KR20230077324A -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 Google Patents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324A
KR20230077324A KR1020210164478A KR20210164478A KR20230077324A KR 20230077324 A KR20230077324 A KR 20230077324A KR 1020210164478 A KR1020210164478 A KR 1020210164478A KR 20210164478 A KR20210164478 A KR 20210164478A KR 20230077324 A KR20230077324 A KR 20230077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gas
coupl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년
Original Assignee
김준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년 filed Critical 김준년
Priority to KR102021016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324A/en
Publication of KR2023007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3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케이스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 중 한 개의 결합구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수용부,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의 결합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체수용부 외부로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부, 상기 배출 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 수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발생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작동부를 발동시키는 발동부를 포함하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a housing provided with a coupling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spheres are formed, a gas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one coupling spher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cases, and containing gas therein, the coupling A discharge unit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ers of the case and discharging gas to the outside of the gas receiving unit, an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and operating the discharge unit, and coupled to the operation unit, th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lator that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es an activat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and activates the actuating unit, and is operable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inflate by gas injection.

Description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ate by gas injection}

본 발명은 인체 또는 물건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체를 주입시키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which is intended to protect a human body or an object,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injects gas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일반적으로 인체 또는 물건의 보호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to protect a human body or an object.

예를들어 인체 또는 물건의 보호를 위하여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보호구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rotector that is inflated by gas injection may be used to protect a human body or object.

여기서 팽창되는 보호구는 의류, 잡화(가방, 모자, 힙색 등), 차량, 컵케이스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inflated protective equipment may be clothes, miscellaneous goods (bags, hats, hip bags, etc.), vehicles, cup cases,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보호구는 사고 현장(공사 현장, 해양 공사 등), 차량, 레저 활동(산악, 낚시, 요트, 골프 등의 레저 등) 등 인체를 보호하거나, 물건 등의 보호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Protective equipment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used to protect the human body or to protect objects, such as accident sites (construction sites, marine construction, etc.), vehicles, leisure activities (leisure such as mountain climbing, fishing, yachting, golf, etc.) .

이때 인체 보호는 머리, 얼굴, 목, 가슴, 허리, 등, 골반, 엉덩이, 다리 등 다양한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man body protection can protect various human bodies such as the head, face, neck, chest, waist, back, pelvis, hips, and legs.

즉 다양한 물품에 적용이 가능하여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articles and can safely protect the human body.

또한, 사용자가 작업 중이거나, 레저 등을 할 때, 다칠 곳이 예상되는 곳에 미리 착용을 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idents can be prevented if the user wears it in advance at a place where an injury is expected while the user is working or leisure.

더불어, 기체 주입에 의한 팽창 구조를 가지는 보호구는 기체 주입을 위한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를 필요로 한다.In addition, protective gear having an expansion structure by gas injection requires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ate by gas injection for gas injection.

또한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작동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inflator, which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be inflated by gas injec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이는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10-1727364호는 우중 작업 시 빗물에 의해 오작동하지 않도록 센서에 보호 링을 장착한 구명 조끼용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센서 보호 링에 대하여 개시한다.Conventional Patent Registration No. 10-1727364 is a sensor protection ring of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be inflated by gas injection for a life jacket equipped with a protection ring on the sensor so that it does not malfunction due to rainwater during rain work. start about

이러한 선행기술의 구성에서는 본체부와, 상부 캡, 공이 고정구, 습기에 의해 녹는 센서 및 카트리지로 구성된 구명조끼용 인플레이터이다.In this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it is an inflator for a life jacket composed of a body part, an upper cap, a ball fixture, a sensor that melts by moisture, and a cartridge.

더불어, 공기 고정구와 고정구 내부의 센서 사이에 센서 보호링이 더 장착되어 보관시 공이 고정구의 깨어짐과 인플레이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nsor protection ring is further mounted between the air fixture and the sensor inside the fixture to prevent the ball from being broken and the inflator malfunctioning during storage.

또한 빗물에 의해 오작동하지 않도록 센서에 보호링을 장착한 것일 뿐, 빗물에만 보호가 될 뿐, 충격을 받아 자동으로 작동이 되거나, 긴급 시 수동으로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is only a protection ring attached to the sensor to prevent malfunction by rainwater, and it is only protected by rain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an impact or manually operate in case of emergency.

즉 선행기술은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That is,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be inflated by gas injection.

따라서, 보호구의 작동을 위한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전기적으로 자동으로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for operating protective equipment needs to have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operated electrical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7364 "구명조끼용 인플레이터의 센서 보호링"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27364 "Sensor protection ring of inflator for life jacke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기체 팽창 방식의 보호구에 모터가 작동되어 기체가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 which a motor is operated in a gas expansion type protector and gas can be automatically injected.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케이스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 중 한 개의 결합구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수용부;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의 결합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체수용부 외부로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부; 상기 배출 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 수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발생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작동부를 발동시키는 발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 coupling case coupled to the ins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therein; a gas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ers of the coupling case and containing gas therein; a discharging unit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ers of the coupling case and discharging gas to the outside of the gas receiving unit; an operat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discharging unit and operates the discharging unit; and an activating unit coupled to the oper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ctivating the operating unit by sensing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상기 기체수용부는,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 receiving unit may include an outlet through which the gas is discharged.

상기 배출 수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단면과 맞닿도록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수단부와 결합된 좌측 방향의 결합구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이격거리가 형성되는 나선부와, 우측 방향의 결합구로 상기 나선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된 방향의 나선부와 결합되어 상기 나선부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means part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a spiral shap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and a spiral portion formed with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as it rotates to a coupling hole in the left direction coupled with the discharge means portion, and a right direction It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portion positioned facing the spiral portion as a coupler and coupled to the spiral portion in a direction formed in the spiral shape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iral portion.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나선부의 좌측 끝단면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구를 벗어난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part may include a gear part coupled to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piral part and out of the coupling part.

상기 발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모터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or may include a senso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ing an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a motor operated according to the sensor, and a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d.

상기 모터회전결합부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motor rotation coupling portion may be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전기식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작동 신뢰성이 높으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by being set to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while having high operational reliability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또한, 사고 상황을 탐지하는 센서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보호구의 착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방지를 대비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operating in combination with a sensor that detects an accident situation, the user has an effect of preparing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due to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단면도와, 회전지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단면도와, 결합케이스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기체수용부와 배출 수단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발동부와 기어부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하우징 내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of FIG. 1 and an enlarged view of a rotation support par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 FIG. 3 and an enlarged view of a coupling case.
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gas accommodating part and a discharge means part of the portable inflator which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 FIG. 1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ngaged state of an engine unit and a gear unit of the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 FIG. 1 .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the inside of a housing of the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be inflated by gas injection in FIG. 1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단면도와, 회전지지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단면도와, 결합케이스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기체수용부와 배출 수단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발동부와 기어부의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의 하우징 내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 FIG. 3 and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case; 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gas receiving part and a discharge unit of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of FIG. 1 , and FIG. 7 and 8 show a coupled state inside a housing of the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so as to be inflated by gas injection in FIG. 1 . is the drawing show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10)는, 하우징(100)과, 기체수용부(200)와, 배출 수단부(300)와, 작동부(400) 및 발동부(500)로 구성된다.1 to 8, a portable inflator 10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gas receiving part 200, It consists of a discharge unit 300, an operation unit 400, and an actuation unit 500.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사각형상으로 되어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As shown, the housing 100 has a rectangular shap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또한 하우징(100)은 하우징(100) 내측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결합구(111)가 형성되는 결합케이스(1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cas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ers 111 are formed.

결합케이스(110)는 다수개의 결합구(111) 내측면이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case 110 may be thread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uplers 111 can be screwed together.

기체수용부(200)는, 결합케이스(110)의 다수개 중 한 개의 결합구(111)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된다. 또한 기체수용부(200)는 기체가 기체수용부(20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is coupled to one coupler 111 of a plurality of coupling cases 110, and gas is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gas accommodating unit 200 may include an outlet 210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as accommodating unit 200 .

또한 배출구(210)는 기체수용부(200)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미도시)과 결합되어 탄성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210 may be coupled with a spring (not shown) formed inside the gas receiving portion 200 to be elastically coupled.

즉 배출구(210)는 기체수용부(200) 내부와 연통되고, 배출구(210)가 배출 수단부(300)에 의해 기체수용부(2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That is, the outlet 21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 and the outlet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by the discharge unit 300 .

이때 결합구(111)는 기체수용부(200)와 배출구(21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체수용부(200)와 배출구(210) 사이에는 결합구(111)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 둘레면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er 111 may be coupled between the gas receiving part 200 and the outlet 210 . Between the gas receiving portion 200 and the outlet 210,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upler 111.

또한 기체수용부(200)는 외측 둘레면의 나사산을 따라 기체수용부(200)의 외측둘레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2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캡(220) 또한 결합구(111)에 결합되기 위해 외측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cap 220 for prot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accommodating portion 200 may be installed along the screw threa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 accommodating portion 200 .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p 220 may also be formed as a screw thread to be coupled to the coupler 111 .

배출 수단부(300)는, 결합케이스(110)의 다수개의 결합구(111)에 각각 결합되고, 기체수용부(200) 외부로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수단부(300)는 나선부(310)와, 회전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0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uplers 111 of the coupling case 110, respectively, and can discharge gas to the outside of the gas receiving unit 200. To this end, the discharge unit 300 may include a spiral portion 310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320 .

여기서 나선부(310)는 배출구(210)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210)는 나선부(310)의 외측면에 맞닿아 배출구(210)를 폐쇄해야 함으로 나선부(31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310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210 . At this time, the outlet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310 because the outlet 210 should be clos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310 .

즉, 배출구(210)는 나선부(310)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배출구(210)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outlet 210 may be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310 .

또한 나선부(310)는 배출 수단부(300)와결합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의 결합구(111)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배출구(210)와 이격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iral portion 310 may form a spac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210 as it rotates to the left or right coupling hole 111 coupled with the discharge means portion 300 .

즉, 나선부(31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나선부(310)의 좁아지는 나선모양 방향으로 나선부(310)의 외측면과 맞닿은 배출구(210)가 나선부(310)와 이격되고, 이때 배출구(210)는 스프링의 결합으로 인해 탄성력으로 기체수용부(200)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기체수용부(200)에 수용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piral part 310 is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the outlet 2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part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spiral part 310 in the spiral direction where the spiral part 310 narrows. , At this time, the outlet 210 is moved toward the inside of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by an elastic force due to the coupling of the spring, and the gas accommodated in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나선부(310)는 결합구(111)와 결합 시 나선부(310)와 결합구(111)의 결합을 지지하고, 후술할 작동부(40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전달캡(31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ral part 310 is a transmission cap 311 for supporting the coupling of the spiral part 310 and the coupler 111 when coupled with the coupler 111 and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이때 나선부(310)와 결합구(111)의 결합을 위해 나선부(310)는 외측면에 결합구(111)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for coupling between the spiral portion 310 and the coupler 111,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portion 3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111.

더불어 전달캡(311)은결합구(111)와 결합하기 위해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cap 311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be coupled with the coupler 111.

또한 전달캡(311)은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작동부(40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cap 311 has a hole formed therein so that it can be rotated with the opera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회전지지부(320)는 우측 방향의 결합구(111)로 나선부(310)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방향의 나선부(310)와 결합되어 나선부(310)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The rotation support part 320 is positioned facing the spiral part 310 with the right direction coupler 111, and is coupled with the spiral part 310 in the direc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iral part 310. there is.

한편, 결합구(111)는 기체수용부(200)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로 예를 들어, 하방향으로 기체수용부(200)가 결합되는 결합구(111)와, 상방향으로 각각 좌, 우로 결합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er 111 is the coupler 111 to which the gas receiver 200 is coup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gas receiver 200 is erected vertically, and the coupler 111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A coupler 111 may be formed.

따라서 나선부(310)는 결합구(111)의 좌측 방향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지지부(320)는 결합구(111)의 우측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나선부(310)와 회전지지부(320)는 각각 결합구(111)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각각 외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spiral part 310 can be coupled to the left direction of the coupler 111, and the rotation support 320 can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coupler 111. In addition, the spiral portion 310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320 may each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in order to be screwed together with the coupler 111 .

작동부(400)는, 배출 수단부(300)에 결합되어 배출 수단부(300)를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작동부(400)는 기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410)는 나선부(310)의 좌측 끝단면에 결합되되, 결합구(111)를 벗어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400 is coupled to the discharging unit 300 and operates the discharging unit 300 . To this end, the operating unit 400 may include a gear unit 410 . Here, the gear part 410 is coupled to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piral part 310, and can escape the coupler 111.

즉 기어부(410)는 전달캡(311) 내부에 형성된 홀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gear unit 410 may be bolted to a hole formed inside the transfer cap 311 .

이러한 기어부(410)는 나선부(3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나선회전전달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회전전달부(411)는 기어부(410) 중앙과 관통되어, 전달캡(311) 내부에 형성된 홀과 회전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gear unit 410 may further include a spiral rotation transfer unit 411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spiral unit 310 . The spiral rotation transmission unit 411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gear unit 4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 hole formed inside the transmission cap 311 .

또한 나선회전전달부(411)는 나선부(310)의 좌측 방향의 끝단(회전지지부;320 방향의 반대 방향)과 맞닿아 나선부(3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411a)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ral rotation transfer unit 4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end of the spiral unit 310 (rotation support un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320 direction) to form a support 411a capable of supporting the spiral unit 310. can

또한 나선회전전달부(411)는 기어부(410)가 회전시, 나선부(310)를 회전지지부(320) 방향으로 회전 상승시킬 수 있고, 나선부(310)를 나선회전전달부(411) 방향으로 회전 하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ral rotation transfer unit 411 can rotate and lift the spiral unit 3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320 when the gear unit 410 rotates, and rotates the spiral unit 310 to the spiral rotation transmission unit 411. It can be rotated in any direction.

또한 나선회전전달부(411)는 전달캡(311)의 일부면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iral rotation transfer unit 411 may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transfer cap 311 .

발동부(500)는, 작동부(400)와 결합되되,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하우징(100)으로 발생되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작동부(400)를 발동시킨다. 이를 위해 발동부(500)는 감지센서(510)와, 모터(520) 및 모터회전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ing unit 500 is coupled to the operating unit 40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activates the operating unit 400 by detecting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100. To this end, the actuator 500 may include a sensor 510, a motor 520, and a motor rotation coupling unit 530.

여기서 감지센서(51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고, 하우징(100)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 센서이다. 감지센서(510)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생략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detection sensor 510 is an impact detection sensor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etecting an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100 . Since the detection sensor 510 is a well-known technology, detailed omission will be omitted.

모터(520)는 감지센서(510)의 충격 감지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이때 모터(520)는 감지센서(510)의 센싱(sensing)을 전달받아 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인해 작동될 수 있다. The motor 52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sensor 510 detects an impact. At this time, the motor 520 may be operat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hat receives sensing from the sensor 510 and controls driving of the motor 520 .

또한 센싱을 전달받는 것은 PCB 기판(미도시)일 수 있다. 이러한 PCB 기판은 일반적인 PCB 기판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what receives sensing may be a PCB board (not shown). This PCB board is a general PCB boar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모터회전결합부(530)는 모터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모터회전결합부(530)는 기어부(410)와 맞물려 기어부(4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530 may be coupled to the motor and rotated. In addition, the motor rotation coupling unit 530 may be engaged with the gear unit 41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unit 410 .

이때 모터회전결합부(530)는 모터(520)에 설치된 회전중심축(미도시)과 결합되어, 모터(520) 작동 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530 is coupled to a rotation center shaft (not shown) installed in the motor 520, and may be rotated simultaneously when the motor 520 is operated.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모터(520)는 하우징(100) 내부에 결합되고, 하우징(100) 내부에서 모터(520)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2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the motor 5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installed inside the protective case 120 protecting the motor 520 inside the housing 100 .

또한 모터(520)는 하우징(100) 내부에 결합되고, 모터회전결합부(530)는 모터(520)와 결합되되 보호케이스(120)를 관통하여 보호케이스(12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작동부(400)와 결합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motor 5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530 is coupled to the motor 520, penetrates the protective case 120, and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protective case 120. This is to be combined with the operating unit 400.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는 기체수용부(200)와 결합되는 결합구(111)를 지지하는 결합구지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er support 130 supporting the coupler 111 coupled to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

이러한 결합구지지부(130)는 결합케이스(110)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기체수용부(200)와 결합되는 결합구(111)를 지지할 수 있다.The coupler support 1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oupling case 110 and can support the coupler 111 coupled to the gas receiving unit 200 .

즉 결합구지지부(130)는 결합구(111)를 지지함과 동시에 기체수용부(200)의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er support 130 can support the coupler 111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shaking of the gas accommodating part 200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를 통해 전기식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작동 신뢰성이 높으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by being electrically operated through a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et to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with high operational reliability. there is.

이때, 본 발명은 수동으로 작동되기 위해서 작동구(의류, 차량 등등)와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와 결합된 연결도구(끈 등)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tuator (clothing, vehicle, etc.) for manual operation and a connecting tool (string, etc.) combined with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may be combined.

또한, 사고 상황을 탐지하는 센서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보호구의 착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방지를 대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operating in combination with a sensor that detects an accident situation, the user can prepare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the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100 : 하우징
110 : 결합케이스
111 : 결합구
120 : 보호케이스
130 : 결합구지지부
200 : 기체수용부
210 : 배출구
220 : 보호캡
300 : 배출수단부
310 : 나선부
311 : 전달캡
311a : 홀
320 : 회전지지부
400 : 작동부
410 : 기어부
411 : 나선회전전달부
411a : 지지턱
500 : 발동부
510 : 감지센서
520 : 모터
530 : 모터회전결합부
10: Por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ate by gas injection
100: housing
110: coupling case
111: coupler
120: protective case
130: coupler support
200: gas receiving unit
210: outlet
220: protective cap
300: discharge means
310: spiral part
311: transfer cap
311a: hall
320: rotation support
400: operation part
410: gear part
411: spiral rotation transfer unit
411a: supporting jaw
500: trigger
510: detection sensor
520: motor
530: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Claims (5)

내측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케이스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 중 한 개의 결합구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되는 기체수용부;
상기 결합케이스의 다수개의 결합구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체수용부 외부로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부;
상기 배출 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 수단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으로 발생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작동부를 발동시키는 발동부를 포함하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A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spheres are formed;
a gas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ers of the coupling case and containing gas therein;
a discharging unit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ers of the coupling case and discharging gas to the outside of the gas receiving unit;
an operat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discharging unit and operates the discharging unit; and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cluding an activating part coupled to the actuating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ctivating the actuating part by detecting an external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수용부는,
상기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 receiving part,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includ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gas is discharg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 수단부와 결합된 좌측 방향의 결합구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구와 이격거리가 형성되는 나선부와,
우측 방향의 결합구로 상기 나선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나선형으로 형성된 방향의 나선부와 결합되어 상기 나선부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unit,
A spiral portion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and a spac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s it rotates to the coupling hole in the left direc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means portion;
It is positioned facing the spiral part as a right-side coupler and is coupled with the spiral part in the direction formed in the spiral shape to suppo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iral part. It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expand by gas injection. portable infla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나선부의 좌측 끝단면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구를 벗어난 기어부를 포함하는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ng part,
A portable inflator coupled to the left end surface of the spiral part, including a gear part out of the coupling hole, and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모터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회전결합부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인 기체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휴대용 인플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triggering unit,
A sensor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ing an impact generated by the housing;
A motor op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ensor;
A motor rotatio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d rotated with the motor portion;
The motor rotation coupling part,
A portable inflato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to inflate by gas injection, wherein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ear unit by engaging with the gear unit.
KR1020210164478A 2021-11-25 2021-11-25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KR202300773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78A KR20230077324A (en) 2021-11-25 2021-11-25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78A KR20230077324A (en) 2021-11-25 2021-11-25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24A true KR20230077324A (en) 2023-06-01

Family

ID=8677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478A KR20230077324A (en) 2021-11-25 2021-11-25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32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364B1 (en) 2014-07-29 2017-04-17 윤덕규 Sensor protection ring of inflator for life jack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364B1 (en) 2014-07-29 2017-04-17 윤덕규 Sensor protection ring of inflator for life j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931B2 (en) Water actuated pressurized gas release device
JPH10179776A (en) Impact absorbing auxiliary tool for human body
JPH11279813A (en) Protector for rider of non-enclosed vehicle and its protection
KR101207012B1 (en) Safety vest
US20220361599A1 (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IT201600068775A1 (en) Garment provided with an inflatable protective device
WO2019022675A1 (en) Wearable apparatus, method and controller thereof
KR20230077324A (en) Potable inflator that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o infllate by gas injection
US20220402585A1 (en) Interface device for an inflatable individual safety device
KR101341377B1 (en) Protective clothing for crash detection
JP3138437B2 (en) Motorcycle airbag device
JP2006081746A (en) Air bag apparatus for human body
KR101683233B1 (en) Air inflating device
JPH0796049A (en) Airbag system for fall accident
CN109094700A (en) A kind of non-motor vehicle and Motor-cyclist's safety equipment
TWM634460U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O2000073126A1 (en) Emergency starter for high-pressure gas cylinder and start key
KR200311484Y1 (en) A buffer protective clothes used compressed gas
US6088841A (en) Pneumatic protection device of great dimensions to be worn by the user with a vocal control
JP7154963B2 (en) Parachute device and unmanned floating aircraft using the same
KR102647444B1 (en) Fall accident detection instantaneous inflation airbag device
KR101747671B1 (en) Airbag gas inflating device
TWI822110B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20200061095A (en) Inflator for protective gear using levers and protective gear using the same
KR20220086199A (en) Autobicycle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