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023A - Impedance matching layer - Google Patents

Impedance matching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023A
KR20230077023A KR1020210163516A KR20210163516A KR20230077023A KR 20230077023 A KR20230077023 A KR 20230077023A KR 1020210163516 A KR1020210163516 A KR 1020210163516A KR 20210163516 A KR20210163516 A KR 20210163516A KR 20230077023 A KR20230077023 A KR 2023007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matching
matching layer
unit structure
vibrating body
structur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663B1 (en
Inventor
이재화
최태인
이학주
조치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to KR102021016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663B1/en
Publication of KR2023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B06B1/066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with an electrode on the sensitive surface
    • B06B1/06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with an electrode on the sensitive surface which is used as, or combined with, an impedance match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A61B8/449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transduc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2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on one surface
    • B06B1/0629Square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2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on one surface
    • B06B1/0633Cylindrical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6Medical, dental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임피던스에 매칭될 수 있도록 제조 가능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기둥부와, 기둥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단위 구조셀을 포함하고, 단위 구조셀은 복수 개 마련되며, 음향 파동이 전달되는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In detail,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that can be manufactured to match a required impedance. Here,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includes a unit structure cell having a column portion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ide and a space portion formed in an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column portion, and the unit structure cell includes a plurality of units. provided, and continuously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through which acoustic waves are transmitted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IMPEDANCE MATCHING LAYER}Impedance Matching Layer {IMPEDANCE MATCHING LAYER}

본 발명은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임피던스에 매칭될 수 있도록 제조 가능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edance matching layer that can be manufactured to match a required impedance.

음향 파동 장치,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 장치는 초음파를 사람, 동물, 물체 등의 피검체에 조사하고, 피검체 내에서 반사되는 에코 신호를 검출하여 피검체 내 조직의 단층상 등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피검체의 검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An acoustic wave device, for example, an ultrasound examination device, irradiates ultrasonic waves to a subject such as a person, animal, or object, detects an echo signal reflected in the subject, and displays a tomographic image of a tissue in the subject on a monitor. ,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examination of the subject.

초음파 검사는 접촉 초음파 검사와 비접촉 초음파 검사로 대별될 수 있으며, 접촉 초음파 검사는 물이나 접촉매질(Couplant)을 매개체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비접촉 초음파 검사는 물이나 접촉매질 대신 공기(대기)를 매개체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초음파 검사는 의료용, 비파괴 탐지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Ultrasonic testing can be roughly divided into contact ultrasonic testing and non-contact ultrasonic testing, and contact ultrasonic testing transmits and receives ultrasonic waves using water or a couplant as a medium. In addition, the non-contact ultrasonic test transmits and receives ultrasonic waves through air (atmosphere) instead of water or a contact medium. Ultrasonic inspection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and non-destructive detection.

한편, 접촉매질이 물이던 공기던 간에, 발생되는 초음파가 접촉매질에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촉매질과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매칭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초음파 장치에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ther the contact medium is water or air, it is important to match the impedance with the contact medium in order to ensure that the generated ultrasonic waves are well transmitted to the contact medium.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ultrasonic device ha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It is being used.

그러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이론적 설계 값을 만족하는 강성을 가지는 상용소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수의 소재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제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균질한 물성 구현이 어렵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commercial material having stiffness that satisfies the theoretical design valu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Therefore, in the prior art, an impedance matching layer was prepared by appropriately mixing a plurality of materials, but this method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homogeneous physical properties and productivity is low.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39698호(2017.12.1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7-0139698 (published on December 19, 20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요구되는 임피던스에 매칭될 수 있도록 제조 가능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edance matching layer that can be manufactured to match a required impeda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단위 구조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셀은 복수 개 마련되며, 음향 파동이 전달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structure cell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having a column portion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ide and a space portion formed in an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column portion. Provide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are provided, and continuously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through which acoustic waves are transmitted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조셀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structure cell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는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와 접촉되는 제1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접촉면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may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a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and the first contact surface may be formed in a form of a filled surface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외부 매질에 접촉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제2접촉면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contacting the external medium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lled surface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단면적은 상기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of the unit structural cell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the acoustic wave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umn portion of the unit structural cell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can be w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는 상기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size of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조셀은, 이격된 2개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공간부를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는 보조 기둥부를 더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structure cell may further have an auxiliary pillar portion disposed while connecting two spaced apart corners and crossing the spac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는 요구되는 임피던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형태, 예를 들면,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길이 및 굵기, 공간부의 부피, 배열되는 단위 구조셀의 개수 등이 이론적 계산을 통해 산출되기만 하면,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요구 임피던스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가 맞춤형으로 획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is the form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capable of implementing the required impedance, for example,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column part of the unit structure cell, the volume of the space part, the number of arranged unit structure cells As long as the back is calculated through theoretical calculation,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Through thi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capable of satisfying various required impedance conditions can be obtained in a customized manne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가 초음파 센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인장 압축 하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제1접촉면 및 제2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서 단위 구조셀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서 단위 구조셀의 다른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ultrasonic sensor.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2 .
FIG. 4 is an image showing tensile and compressive load characteristics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2 .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unit structure cells in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arrangement example of unit structure cells in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8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가 초음파 센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ultrasonic sensor,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2 .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진동체(1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체(11)에서 발생시키는 초음파를 방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11 and may emit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vibrating body 11 .

도 1의 초음파 센서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측에 진동체(11) 및 흡수부(12)가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체(11)는 압전소자일 수 있으며, 흡수부(12)는 진동체(11)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흡수부(12)는 진동체(11)에서 발생시키는 초음파를 흡수함으로써 진동체(11)의 후방에서 진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초음파 센서가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측에 진동체(11) 및 흡수부(12)가 배치되는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ltrasonic sensor of FIG. 1 may have a case 10 and a vibrating body 11 and an absorption unit 12 disposed inside the case 10 . Also, the vibrating body 11 may be a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bsorber 12 may b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11 . The absorber 12 may act as a damper to limit vibration at the rear of the vibrator 11 by absorbing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vibrator 11 . In FIG. 1 , the ultrasonic sensor is shown as having a case 10 and a vibrating body 11 and an absorption unit 12 disposed inside the case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hape.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진동체(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진동체(11)와 외부 매질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개선할 수 있고, 초음파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11 , improve an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the vibrating body 11 and an external medium, and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ultrasonic waves.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구조셀(110)은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110 . The unit structure cell 110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preferably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ore preferably in a regular hexahedron shape.

또한,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110)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구조셀(110)은 음향 파동이 전달되는 제1방향(A1)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구조셀(110)은 제1방향(A1)과 교차하는 제2방향(A2)을 따라서도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의 단위 구조셀(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2방향(A2)은 서로 수직한 제2-1방향(A2-1) 및 제2-2방향(A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A1), 제2-1방향(A2-1) 및 제2-2방향(A2-2)은 서로 수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110)은 3차원 적으로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단위 구조셀(110)의 한 변의 길이는 수 내지 수백 ㎛ 정도로 작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위 구조셀(1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에도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원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11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Specifically, the unit structure cells 11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1 through which acoustic waves are transmitted. Also, the unit structure cells 11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A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1. The second direction A2 includes a 2-1st direction A2-1 and a 2-2nd direction A2-2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unit structure cells 110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can do. The first direction (A1), the 2-1 direction (A2-1), and the 2-2 direction (A2-2)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110 ar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can be arranged consecutively.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 may be as small as several to hundreds of μm. Through this, even though the unit structure cell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shape. ca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단위 구조셀(110)은 기둥부(111) 및 공간부(112)를 가질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unit structure cell 110 may have a pillar portion 111 and a space portion 112 .

기둥부(111)는 단위 구조셀(110)의 변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112)는 기둥부(111)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구조셀(110)은 3차원 트러스-격자(Truss-Lattice)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 . Further, the space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an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pillar portion 111 . The unit structure cell 1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have a three-dimensional truss-lattice structure.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다양한 3차원 구조체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be manufactured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rough this,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be easily manufactured in various 3D structures.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추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 임피던스를 만족하는 상용 소재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 임피던스를 맞출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제작이 힘들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요구되는 임피던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형태, 예를 들면, 단위 구조셀(110)의 기둥부(111)의 길이 및 굵기, 공간부(112)의 부피, 배열되는 단위 구조셀(110)의 개수 등이 이론적 계산을 통해 산출되기만 하면,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요구 임피던스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가 맞춤형으로 획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no commercial material that satisfie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 impedance required for the front weigh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 impedance matching layer capable of matching such characteristic impedance. However,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capable of implementing the required impedance, for example,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pillar portion 111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 As long as the volume of the space portion 112, the number of arranged unit structural cells 110, etc. are calculated through theoretical calculation,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Through thi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capable of satisfying various required impedance conditions can be obtained in a customized manner.

도 4는 도 2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인장 압축 하중 특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FIG. 4 is an image showing tensile and compressive load characteristics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2 .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구조셀(110)은 축방향으로는 탄성계수가 매우 크고 인장 압축 하중에 강성이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 구조셀(110)을 가지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전면추의 굽힘 진동 영향이 적고, 축방향 인장 압축 하중이 큰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t can be seen that the unit structure cel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very high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axial direction and high stiffness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loads. Therefore,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having such a unit structure cell 110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influence of bending vibration of the front weight is small and the axial tensile and compressive loads are high.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제1접촉면 및 제2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ntact surfac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함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11)와 접촉되는 제1접촉면(101)을 가질 수 있다. 진동체(11)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1접촉면(101)은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후면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ogether with FIG. 1 ,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101 in contact with the vibrating body 11 generating acoustic waves.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sound generated from the vibrating body 11 , the first contact surface 101 may be the rear surfac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

제1접촉면(101)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접촉면(101)의 압축변형 방지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 및 진동체(11)가 더욱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어, 초음파 투과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surface 10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filled surface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Through this, not only is there an effect of preventing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01, but also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and the vibrating body 11 can be more closely contacted, so that ultrasonic permeability can be improved.

제1접촉면(101)은,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에서 진동체(11)와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의 후단측의 기둥부를 연결하면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도 5의 (a) 참조), 또는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의 후단측의 기둥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The first contact surface 101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while connecting the pillars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dispos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vibrating body 11 i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FIG. 5) (see a)), or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rearward than the pillar part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to have a thickness (see (b) of FIG. 5).

그리고,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는 제1접촉면(101)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외부 매질에 접촉되는 제2접촉면(102)을 가질 수 있다. 진동체(11)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2접촉면(102)은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앞면일 수 있다. Also,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may have a second contact surface 10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01 and contacting an external medium. The second contact surface 102 may be the front surfac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ng body 11 .

제2접촉면(102)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방사하는 음향 파동이 외부 매질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마모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surface 10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filled surface in which no empty space is formed, through which radiated acoustic waves a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an external medium and wear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is effectively prevented. It can be.

외부 매질이 물과 같은 액체인 경우에는 제2접촉면(102)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외부 매질에 포함된 이물질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medium is a liquid such as water, watertightness can be improved by the second contact surface 102,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external medium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제2접촉면(102)은,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의 전단측의 기둥부를 연결하면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도 5의 (a) 참조), 또는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의 전단측의 기둥부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참조).The second contact surface 102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while connecting the front end side pillars of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see (a) in FIG. 5), or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 cells. It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more than the pillar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two unit structural cells to have a thickness (see (b) in FIG. 5).

한편,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단면적은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umn of the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may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그리고, 복수 개의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는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nd,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size of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서 진동체(11)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일수록 밀도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두께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변하는 임피던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density of a portion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disposed closer to the vibrator 11 may be higher, and through this, it may have impedance characteristics that change linear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서 단위 구조셀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unit structure cells in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에서 진동체(11)를 기준으로 진동체(1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1)의 단위 구조셀(110-1)의 크기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가깝게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2)의 단위 구조셀(110-2)의 크기는 그 다음으로 크며, 제일 멀게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3)의 단위 구조셀(110-3)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unit structure cell 110-1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1 disposed closest to the vibrating body 11 based on the vibrating body 11 i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The size of is the largest, and the size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2 of the next closest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2 is the next largest, and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3 is the farthest away. The size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3 of ) may be the smallest.

또는,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에서 단위 구조셀의 다른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에서 진동체(1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1)의 단위 구조셀(110-1)의 기둥부(111-1)의 단면적이 가장 넓을 수 있다. 즉, 기둥부(111-1)가 가장 굵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1) 보다 진동체(11)에서 멀리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2)의 단위 구조셀(110-2)의 기둥부(111-2)의 단면적은 상기 기둥부(111-1)의 단면적보다 좁아 더 얇을 수 있고,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2) 보다 진동체(11)에서 멀리 배치된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3)의 단위 구조셀(110-3)의 기둥부(111-3)의 단면적은 상기 기둥부(111-2)의 단면적보다 좁아 더 얇을 수 있다.Alternatively,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arrangement example of unit structure cells in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vibration body 11 i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 ) may have the widest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111-1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1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1 disposed closest to . That is, the pillar portion 111-1 may be the thickes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111-2 of the unit structure cell 110-2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2 disposed farther from the vibrating body 11 tha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1 is A unit structure cell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3, which may be thinner and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111-1, and disposed farther from the vibrating body 11 than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2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111-3 of (110-3) may be narrower and thinn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111-2.

그리고, 각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영역(100-1,100-2,100-3)의 두께는 진동체(11)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작동파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each impedance matching layer region 100 - 1 , 100 - 2 , and 100 - 3 may vary according to the operating wavelength of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vibrating body 11 .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구조셀의 구성이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단위 구조셀과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한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impedance match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of FIG. 8 .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unit structure cell may be different from the unit structure cell described in FIGS. 2 to 4,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so repeti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a)의 단위 구조셀(110a)은 보조 기둥부(115)를 더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구조셀(110a)은 공간부(112)에 보조 기둥부(115)를 가지는 3차원 트러스-격자(Truss-Lattice) 구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unit structure cell 110a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illar portion 115 . That is, the unit structure cell 1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three-dimensional truss-lattice structure having the auxiliary pillar portion 115 in the space portion 112 .

보조 기둥부(115)는 이격된 2개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공간부(112)를 가로지르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기둥부(115)에 의해 단위 구조셀(110a)은 대각 방향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조 기둥부(115)를 가지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100a)는 전단력 및 굽힘 하중에 대한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The auxiliary pillar portion 115 may be disposed while connecting two spaced apart corners and crossing the space portion 112 . Since the unit structure cell 110a can be reinforced in the diagonal direction by the auxiliary pillar part 115,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100a having the auxiliary pillar part 115 has stiffness against shear force and bending load. ca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진동체
100,100a,100b: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101: 제1접촉면
102: 제2접촉면
110,110a,110b: 단위 구조셀
111: 기둥부
112: 공간부
115: 보조 기둥부
11: vibrating body
100, 100a, 100b: impedance matching layer
101: first contact surface
102: second contact surface
110, 110a, 110b: unit structure cell
111: column part
112: space part
115: auxiliary pillar part

Claims (7)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단위 구조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셀은 복수 개 마련되며, 음향 파동이 전달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 unit structure cell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having a pillar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side and a space part formed in an inner area surrounded by the pillar part;
The unit structure cell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a first direction through which acoustic waves are transmitted and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조셀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structure cell is an impedance match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는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와 접촉되는 제1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1접촉면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has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a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led surface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외부 매질에 접촉되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의 제2접촉면은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채워진 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3,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contacting the external medium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led surface without forming an empty space.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단면적은 상기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기둥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portion of the unit structural cell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the acoustic wav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umn portion of the unit structural cell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impedance matching layer. .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위 구조셀 중에, 음향 파동을 발생하는 진동체에 가깝게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는 상기 진동체에 멀리 배치된 단위 구조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tructural cells, the size of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close to the vibrating body generating acoustic wave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unit structural cells disposed far from the vibr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조셀은, 이격된 2개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공간부를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는 보조 기둥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레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structure cell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illar portion connecting two spaced apart corners and crossing the spac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edance matching layer.
KR1020210163516A 2021-11-24 2021-11-24 Impedance matching layer KR102583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16A KR102583663B1 (en) 2021-11-24 2021-11-24 Impedance matching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16A KR102583663B1 (en) 2021-11-24 2021-11-24 Impedance matching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023A true KR20230077023A (en) 2023-06-01
KR102583663B1 KR102583663B1 (en) 2023-10-05

Family

ID=8677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516A KR102583663B1 (en) 2021-11-24 2021-11-24 Impedance matching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66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675A (en) * 1995-09-13 2000-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US20160238567A1 (en) * 2013-10-07 2016-08-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Probe,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and ultrasonic testing control method
KR20170139698A (en) 2015-05-11 2017-12-19 메저먼트 스페셜티스, 인크. An impedance matching layer for ultrasonic transducers having a metallic protective structure
KR20190042807A (en) * 2017-10-17 2019-04-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focusing of acoustic wav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69171B1 (en) * 2016-08-31 2021-06-24 베이징 슈퍼소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iezoelectric Actuator, Submersible 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mersible Acoustic Transduc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675A (en) * 1995-09-13 2000-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probe
US20160238567A1 (en) * 2013-10-07 2016-08-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Probe,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and ultrasonic testing control method
KR20170139698A (en) 2015-05-11 2017-12-19 메저먼트 스페셜티스, 인크. An impedance matching layer for ultrasonic transducers having a metallic protective structure
KR102269171B1 (en) * 2016-08-31 2021-06-24 베이징 슈퍼소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iezoelectric Actuator, Submersible 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mersible Acoustic Transducer
KR20190042807A (en) * 2017-10-17 2019-04-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focusing of acoustic wave and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663B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lvo et al. Underwater sound transmission through arrays of disk cavities in a soft elastic medium
US20210043825A1 (en) Multi-cell transducer
US20080156577A1 (en) Ultrasonic transducer system
KR101386101B1 (en) Acoustic backing element, Transducer and Acoustic probe including the same
CN104226577A (en) acoustic lens for micromachined ultrasound transducers
KR102044705B1 (en)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matching layer having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emillieux et al. Review of air-coupled transduction for nondestructive testing and evaluation
ITGE20100018A1 (en) ULTRASOUND PROBE
US20170154619A1 (en) Acoustical lens and ultrasound transducer probe
KR20230077023A (en) Impedance matching layer
US20140121490A1 (en) Acousto-optic imaging device
US10349835B2 (en) Optical switching unit, optical probe including the sam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probe
JP2019213139A (en) Acoustic matching device and acoustic probe system using the same
JP5504921B2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Rajabi et al. Acoustic manipulation of a liquid-filled spherical shell activated with an internal spherical oscillator
KR20140141199A (en) Transducer Structure for Enhancement in Image Quality
JP2017163331A (en) Ultrasonic device, ultrasonic module, and ultrasonic measuring apparatus
JP5552820B2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2007301023A (en) Ultrasonic probe
KR102583661B1 (en) Acoustic wave transmission structure
Hu et al. Characteristics of acoustic scattering from a double-layered micro shell for encapsulated drug delivery
Tanaka et al. Super broadband acoustic impedance matching by MUT‐type acoustic metamaterial
Na Air-coupled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s based on Annular Cell Geometry
IT201800007696A1 (en) ELECTRICALLY CONTROLLABLE ACOUSTIC IMPEDANCE ADAPTATION SYSTEM
US11835485B2 (en) Ultrasonic probe having flexible stabilizing element for probe alig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