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694A -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694A
KR20230076694A KR1020210180928A KR20210180928A KR20230076694A KR 20230076694 A KR20230076694 A KR 20230076694A KR 1020210180928 A KR1020210180928 A KR 1020210180928A KR 20210180928 A KR20210180928 A KR 20210180928A KR 20230076694 A KR20230076694 A KR 2023007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ercise
virtual character
visi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티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티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티핏
Publication of KR2023007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7Analysis of electromy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81Coaching or training aspects related to a group of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접속 단계와,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설정 단계와, 사용자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가상 공간에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운동하며 소통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Multi-user exercise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character}
본 발명은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관리 및 건강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관리를 위하여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운동하는 사용자는 어느 정도 운동을 했는지 혹은 어떠한 운동을 얼마만큼 했는지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렵거나 번거로울 수 있다.
아울러, 개인적으로 운동하는 사용자는 스스로 운동 스케줄을 지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동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에게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708호[문헌 1](발명의 명칭 : 웹기반 홈피트니스 방법, 2016년06월23일 공개)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사용자에게 운동 시간임을 알리는 등 운동을 독려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어떠한 운동을 실시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고, 또한, 소정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사용자 혼자서만 운동을 할 수 있을 뿐, 다른 사람과 함께 운동을 하면서 소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7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상 공간에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운동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접속 단계;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설정 단계; 사용자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및 방문자 단말의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 상에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방문자 단말의 접속 시,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자세나 동작을 보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의 음성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며,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며, 방문자 단말의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 상에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표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방문자 단말의 접속 시,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자세나 동작을 보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의 음성 정보를 더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 상에 표시하고, 그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며, 사용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로부터 각각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상 캐릭터와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제어함으로써, 가상 공간에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타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와 방문자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방문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서버 또는 해당 서버에 탑재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사용자 단말(10)과 방문자 단말은 스마트 TV, 태블릿 PC, 퍼스널 컴퓨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가상 공간에서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운동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1)에게 부합하는 가상 캐릭터(11)를 생성하고,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하며, 가상 공간에 방문자(2, 3)가 접속하면,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1)와 방문자(2, 3)가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가상 공간을 표시하면서, 사용자(1)의 운동 동작을 그대로 따라하는 가상 캐릭터(11)와 방문자(2, 3)들의 운동 동작이 반영된 가상 캐릭터(12, 13)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는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를 두고, 팔목 등의 신체에 웨어러블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방문자(2, 3)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에서 측정되는 신체의 움직임이나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에 대한 정보와, 스마트 디바이스(300)에서 측정되는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캐릭터(11)를 제어함으로써, 가상 캐릭터(11)의 움직임에 사용자(1) 또는 방문자(2, 3)의 운동 동작을 반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1)는 가정 내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구현된 가상 공간 상에서 다른 방문자(2, 3)들과 함께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사용자(1)와 방문자(2, 3)들이 서로 운동 능력을 경쟁하거나 비교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거나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송신하여, 사용자(1)와 방문자(2, 3)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은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의 통신 단말이나 서버 또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10), 방문자 단말,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 및 스마트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거나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은 미들웨어, API,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서버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30)는 가상 캐릭터(11)와 가상 공간의 생성을 위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 사용자(1)로부터 생성된 가상 캐릭터(11)의 정보, 사용자(1)가 편집한 가상 공간의 정보, 사용자(1)가 수행한 운동 종류와 운동량, 운동 횟수에 대한 정보, 사용자(1)의 생체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해당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스크립트 언어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0)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 운동 종류 설정부(112), 가상 공간 생성부(113), 사용자 정보 수신부(114), 방문자 정보 수신부(115) 및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는 사용자 단말(10)이 접속하면 사용자(1) 또는 사용자 단말(10)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11)를 생성한다.
이러한,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시 기존에 생성된 가상 캐릭터(11)를 이용할지 혹은 새로운 가상 캐릭터(11)를 생성할지 확인한 다음, 기존의 가상 캐릭터(11)를 로딩하거나 가상 캐릭터(11)를 새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가상 캐릭터(11)의 체형이나 성별 등의 설정을 위한 신체 치수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는 사용자(1)의 이름, 주민번호, 아이디 등의 고유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거나, 사용자(1)의 신체에 대한 정보, 예컨대 키, 몸무게, 성별, 나이 등의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는 가상 캐릭터(11)의 생성 시 가상 캐릭터(11)의 얼굴이나 머리 스타일, 머리 색상 등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가상 캐릭터 생성부(111)는 사용자(1)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출입이 승인된 방문자(2, 3)이거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출입을 허용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며, 방문자 단말로부터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2, 3)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문자(2, 3)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운동 종류 설정부(112)는 사용자(1)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한다.
이러한, 운동 종류 설정부(112)는 싸이클, 레그레이즈, 런저, 플랭크, 푸쉬업, 싯업 및 스쿼트 등의 다양한 운동을 종류별로 표시하면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선택되는 입력에 따라 운동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로부터 운동 종류가 설정되면 설정된 운동 종류에 대한 정보가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에 전송함으로써,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1)가 수행하는 운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동 종류 설정부(112)는 사용자(1)가 설정한 운동의 난이도를 더 설정하거나, 목표 운동 횟수나 목표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가상 공간 생성부(113)는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11)를 표시한다.
이러한, 가상 공간 생성부(113)는 각각의 운동 종류별로 사전에 정의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공간은 산, 바다, 들, 숲 등의 자연 경관을 형성할 수도 있고 실내 경기장이나 운동 센터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가상 공간 생성부(113)는 가상 공간의 생성을 위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고, 사용자(1) 입력에 따라 각각의 운동마다 적어도 하나의 가상 공간을 정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공간 생성부(113)는 방문자 단말이 가상 공간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가상 캐릭터(11)와 함께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수신부(114)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제어부(116)에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수신부(114)는 사용자(1)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1)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1)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수신부(114)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 즉, 사용자(1)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1)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방문자 정보 수신부(115)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제어부(116)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방문자 정보 수신부(115)는 방문자(2, 3)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1)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자(2, 3)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운동을 수행하는 방문자(2, 3)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거나 방문자(2, 3)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6)는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11)와 실제 사용자(1)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가상 캐릭터(11)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6)는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11)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의 신체 움직임과 동일하게 가상 캐릭터(11)를 움직일 수 있으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11)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처럼 숨을 내쉬거나 힘이 드는 표정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6)는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도 동일하게,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속도와 자세, 그리고, 표정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6)는 사용자 단말(10)이나 방문자 단말에서 실제로 운동을 하는 과정이 촬영된 영상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그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의 실제 운동 동작이나 근육 움직임이 반영되도록 가상 캐릭터(11)의 자세나 동작을 보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6)는 사용자 단말(10)이나 방문자 단말에서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는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1)와 방문자(2, 3)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1)와 방문자(2, 3)는 단순하게 가상 캐릭터(11)들을 이용하여 함께 운동 동작만 취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을 하면서 음성으로 서로 말을 하고 들을 수 있게 되므로, 운동을 하는 재미를 더 증진시킬 수 있고, 운동을 지도하거나 서로 경쟁을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16)는 사용자(1)나 방문자(2, 3)의 운동 횟수나 난이도를 가상 캐릭터(11)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와 방문자(2, 3)가 운동을 하면서 운동 능력을 경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프로세서(110)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11)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10)가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는 사용자(1)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레이저를 이용하여 객체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전면 커버(210), 구동부(220) 및 후면 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는 결합되어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의 하우징(Housing)을 형성하며, 충분한 강도, 가벼운 무게 등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탄소 섬유 재질,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커버(210)는 광, 예컨대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211)와, 소정의 기능 버튼(212)이 노출되기 위한 버트 개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버튼(212)은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구동부(220)는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 커버(210)와 후면 커버(230)에 의해 보호되며, 운동 센싱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220)는 기판(221) 및 센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21)은 다양한 전자 부품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센서부(222)는 기판(221)에 배치된다. 또한, 센서부(222)는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객체(Object)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22)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1) 등의 소정의 객체를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고려할 때, 센서부(222)는 레이저 센서(Laser Sensor)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부(222)는 레이저 발산부 및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저 발산부와 레이저 수신부는 하나의 모듈(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222)는 객체를 센싱하기 위해 전면 커버(210)의 광투과부(211)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22)는 수직방향으로 광투과부(211)와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발산부는 광투과부(211)를 통해 운동 센싱 디바이스의 외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할 수 있고, 레이저 수신부는 광투과부(211)를 통해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 광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면 커버(210)에 형성되는 광투과부(211)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센서 개구부(Sensor 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전면 커버(210)의 일부가 개구되어 광투과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광투과부(211)가 센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투과부(211)에 대응되는 센서부(222)는 센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210)는 움푹 파인 형태를 갖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함몰부는 전면 커버(210)의 일부가 후면 커버(230)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광투과부(211)는 함몰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투과부(211)가 센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센서 개구부는 함몰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면 커버(210)가 함몰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센서부(222)에 운동 정보의 검출을 위한 광이 아닌 다른 광(잡광), 예컨대 레이저 광이 아닌 다른 광이 수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함몰부의 단면을 살펴보면, 함몰부의 입구 부분에는 함몰부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센서부(222)에 잡광이 수신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레이저 광의 발산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광투과부(211)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는 광투과부(211)의 센서 개구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광(레이저 광)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있으며, 전면 커버(210)의 하부에서 광투과부(211)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222)는 필터부에 의해 가려져서 보호될 수 있는데, 필터부는 소정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부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부는 제 1부분(First Part), 제 2부분(Second Part) 및 제 3부분(Third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은 판(Plate)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판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제 2부분은 제 1부분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부분은 제 1부분의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후면 커버(23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부분은 제 2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부분은 제 2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는 하부에 제 1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는 전체적으로 모자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필터부는 센서부(222)를 덮는 형태로 기판(221)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20)에서는 기판(221)의 전면(Front Surface)에 센서부(222)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기판(221)의 전면에는 필터부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221)의 전면에서 센서부(222)와 다른 전자 부품 사이의 간격은 조립 과정에서의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필터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221)의 전면에 필터부가 센서부(222)를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가 센서부(222)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필터부는 수직방향으로 센서부(222)와 제 1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간격은 수직방향으로 필터부의 제 1부분의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터부의 제 1부분이 잡광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면서도 레이저 광이 센서부(222)에 효과적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센서부(222)의 두께는 필터부의 두께 및/또는 제 1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필터부의 제 3부분은 수직방향으로 전면 커버(210)와 기판(2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21)의 후면(Rear Surface)에는 또 다른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221)의 후면에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배터리부 및/또는 인터페이스부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1)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광투과부(211)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개구부는 센서부(222)의 레이저 발산부에 대응되고, 제 2개구부는 센서부(222)의 레이저 수신부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의 사이에는 경계부가 위치할 수 있다. 경계부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경계부는 레이저 발산부와 레이저 수신부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 수신부에 잡광이 수신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은 직진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레이저 발산부에 대응되는 제 1개구부의 사이즈는 레이저 수신부에 대응되는 제 2개구부의 사이즈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필터부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에 공통으로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필터부는 제 1개구부 및 제 2개구부와 공통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부는 원판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필터부는 경계부에 대응되는 제 1홀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후면 커버(23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는 필터부의 제 1홀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돌출부는 필터부의 제 1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제 1개구부와 제 2개구부를 구분하는 소정의 격벽(Wall)이라고 볼 수 있다.
필터부는 제 1개구부에 대응되는 제 1필터부 및 제 2개구부에 대응되는 제 2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개구부 또는 제 2개구부에 대응되는 별도의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필터부와 제 2필터부는 각각 전면 커버(210)의 후방에서 제 1개구부 또는 제 2개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필터부가 전면 커버(210)의 후방에서 광투과부(211)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부는 전면 커버(210)의 전방에서 광투과부(211)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210)의 단면은 제 1베이스층과 제 1베이스층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광 차단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베이스층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 코팅층은 광이 전면 커버(210)를 투과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 차단 코팅층의 광투과율은 제 1베이스층의 광투과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광 차단 코팅층은 검은색 계열의 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광 차단 코팅층의 두께는 제 1베이스층의 두께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전면 커버(210)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 표시부는 전면 커버(210)의 표면에서 광차단 코팅층이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 커버(210)는 광 차단 코팅층이 제거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20)의 기판(22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상태 정보 표시부에 대응(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광 소자에서 발산된 광은 상태 정보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1)는 상태 정보 표시부에 통해 표시되는 광을 이용하여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발광 소자가 초록색 광을 발산할 수 있다. 그러면, 상태 정보 표시부를 통해 초록색 계열의 색이 표시될 수 있다.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후면 커버(2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1)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를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운동기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전면 커버(210)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의 전면 커버(210)에서 함몰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 커버(210)의 전면은 평평한 표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면 커버(210)에서 함몰부가 생략되는 경우에도 전면커버에는 광투과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커버(210)는 제 2베이스층 및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베이스층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베이스층은 소정 파장 대역의 광, 예컨대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베이스층은 광의 필터링이 가능한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베이스층은 소정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팅층은 제 2베이스층의 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은 광이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팅층의 광투과율은 제 2베이스층의 광투과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코팅층은 검은색 계열의 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제 2베이스층의 광투광부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코팅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베이스층에서 코팅층이 생략되는 부분이 광투과부(211)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220)의 센서부(222)는 코팅층이 생략된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코팅층이 생략된 부분의 폭은 센서부(222)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 광의 발산 및 수신이 용이해지고, 센싱 가능 영역이 충분히 넓어질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센서부(222)와 전면 커버(210)의 사이의 간격은 제 2베이스층의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222)와 전면 커버(210)의 사이의 간격은 센서부(222)의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는 센서부(222)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소정의 객체, 즉, 사용자(1) 또는 방문자(2, 3)와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싱한 객체(OB)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운동 측정 정보는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에 송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멀티유저 운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10)는, 먼저, 사용자 단말(10)이 접속하면 사용자(1) 또는 사용자 단말(10)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11)를 생성한다(S110).
S1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시 기존에 생성된 가상 캐릭터(11)를 이용할지 혹은 새로운 가상 캐릭터(11)를 생성할지 확인한 다음, 기존의 가상 캐릭터(11)를 로딩하거나 가상 캐릭터(11)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가상 캐릭터(11)의 생성 시 체형이나 성별 등의 설정을 위한 신체 치수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가상 캐릭터(11)의 얼굴이나 머리 스타일, 머리 색상 등을 커스터마이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한다(S210).
S2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싸이클, 레그레이즈, 런저, 플랭크, 푸쉬업, 싯업 및 스쿼트 등의 다양한 운동을 종류별로 표시하면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선택되는 입력에 따라 운동 종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운동의 난이도를 더 설정하거나 목표 운동 횟수나 목표 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설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11)를 표시한다(S220).
S22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각각의 운동 종류별로 사전에 정의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10)는 가상 공간의 생성 이전에, 가상 공간의 생성을 위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고, 사용자(1) 입력에 따라 각각의 운동마다 적어도 하나의 가상 공간을 정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가상 공간은 산, 바다, 들, 숲 등의 자연 경관을 형성할 수도 있고 실내 경기장이나 운동 센터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수신한다(S310).
S3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1)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1)의 스마트 디바이스(300)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10)과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 즉, 사용자(1)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1)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는 S510 단계에서 방문자 단말이 가상 공간에 접속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더 수신하고, 방문자(2, 3)를 촬영한 영상 정보와 방문자(2, 3)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11)와 실제 사용자(1)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11)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한다(S410).
S4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에 따라 가상 캐릭터(11)의 움직임과 자세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의 신체 움직임과 동일하게 가상 캐릭터(11)를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방문자 단말이 가상 공간에 접속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더 제어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11)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한다(S420).
S42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 등에 따라 가상 캐릭터(11)의 표정이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가상 캐릭터(11)가 사용자(1)처럼 숨을 내쉬거나 힘이 드는 표정을 지을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여 사용자(1)가 운동하는 가상 공간에 방문자(2, 3)가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S510).
S5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려는 방문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술한 S310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다시 반복할 수 있다.
그 다음, 방문자 단말이 접속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방문자 단말의 방문자(2, 3)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 상에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표시한다(S520).
S510 단계에서, 프로세서(110)는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가상 공간에 표시하게 되면, 전술한 S310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다시 반복하여 사용자(1)의 가상 캐릭터(11)와 방문자(2, 3)의 가상 캐릭터(12, 13)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전술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을 수행하며,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110 : 프로세서
111 : 가상 캐릭터 생성부 112 : 운동 종류 설정부
113 : 가상 공간 생성부 114 : 사용자 정보 수신부
115 : 방문자 정보 수신부 116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메모리

Claims (10)

  1.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접속 단계;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설정 단계;
    사용자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는 단계; 및
    방문자 단말의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 상에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방문자 단말의 접속 시,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자세나 동작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의 음성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6.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종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종류에 부합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한 후 가상 공간 상에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운동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신체를 움직일 때 측정된 운동 거리, 운동 속도 및 운동 횟수를 포함하는 운동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체온 및 근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며,
    가상 공간 상에서 가상 캐릭터와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운동 측정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운동 속도와 자세를 제어하고,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공간에 접속하고자 하는 방문자 단말의 요청을 확인하고 방문자 단말의 접속을 승인하며,
    방문자 단말의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 상에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방문자 단말의 접속 시,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동 측정 정보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방문자의 가상 캐릭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캐릭터의 자세나 동작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 또는 방문자 단말로부터 운동을 수행하는 대상의 음성 정보를 더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방문자 단말에 송신하고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와 방문자 간의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시스템.
KR1020210180928A 2021-11-22 2021-12-16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76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1386 2021-11-22
KR1020210161386 2021-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694A true KR20230076694A (ko) 2023-05-31

Family

ID=8654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928A KR20230076694A (ko) 2021-11-22 2021-12-16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6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08A (ko) 2014-12-15 2016-06-23 노준 웹기반 홈피트니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08A (ko) 2014-12-15 2016-06-23 노준 웹기반 홈피트니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6036B (zh) 使用生物特征传感器数据检测神经状态来指导现场娱乐
US10922890B1 (en) Multi-use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racking systems
CN104126184B (zh) 用于包括训练计划的自动个人训练的方法和系统
KR20230059828A (ko) 스마트 미러들을 통한 다중화된 통신들 및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디오 스트리밍
CN104436615A (zh) 监视成果的装置和方法
WO2015108702A1 (en) Cloud-based initiation of customized exercise routine
CN111477297A (zh) 个人计算设备
CN103518203A (zh) 包括训练程序的自动化个人训练的方法和系统
US20110184248A1 (en)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9327737A (zh) 电视节目推荐方法、终端、系统及存储介质
JP7066764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US20130172154A1 (en) Method for measuring quantity of exercis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30244539A1 (en) Interacting toys
JP7046044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及び方法
US20220070513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video distribut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video viewing program
US20230047787A1 (en) Controlling progress of audio-video content based on sensor data of multiple users, composite neuro-physiological state and/or content engagement power
WO2023040449A1 (zh) 利用健身动作触发客户端操作指令
CN108401167A (zh) 用于视频回放的电子设备和服务器
KR20230076694A (ko)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멀티유저 운동 방법 및 시스템
CN111176440A (zh) 一种视频通话方法及可穿戴设备
EP4122565A1 (en) Health and wellness gamification
JP6974544B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102476285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개인별 운동량 측정 방법
CN109151515B (zh) 表演场景下的互动系统和方法
CN113139506A (zh) 一种计步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