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439A -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439A
KR20230076439A KR1020210163366A KR20210163366A KR20230076439A KR 20230076439 A KR20230076439 A KR 20230076439A KR 1020210163366 A KR1020210163366 A KR 1020210163366A KR 20210163366 A KR20210163366 A KR 20210163366A KR 20230076439 A KR20230076439 A KR 20230076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sub
blockchain
main
coop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의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이트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이트블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이트블록
Priority to KR102021016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439A/ko
Publication of KR2023007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인 분산형 인증기술을 이용하여, 조합 구성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조합 구성원에게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합원으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는 조합기관서버와; 상기 조합원 단말기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아 인증과정을 통해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조합관리서버와; 복수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메인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메인 블록이 결합되는 메인 블록체인과; 복수의 서브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브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서브 블록이 결합되는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인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에서, 조합원을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범위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체인 기술에서 유발되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인증정보의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을 위한 인증과정을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 Service System For University Cooperatove Member Based on Block Chain DID }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인 분산형 인증기술을 이용하여, 조합 구성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조합 구성원에게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협동조합은 함께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통제하는 사업체를 통해 공통의 경제, 사회 그리고 문화적 욕구와 갈망을 충족하고자 자발적으로 단결한 사람들의 자율적인 조직을 의미한다. 협동조합은 1844년 영국에서 시작하여 전 세계 95개국에 13억 명 이상의 조합원이 활동하고 있는 제3의 경제영역으로 생산, 소비, 금융, 주거, 유통 등 다양한 방면에서 운양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대학교내의 구성원(학생, 교직원 및 교내 매장 등)들 간의 복지와 이익을 공유하고, 유대관계속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고자 대학생활협동조합이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대학생활협동조합은 조합원에게 양질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내 시설의 이용을 허용하고, 조합원의 복지를 위하여 다양한 매장을 입점시켜 조합원들에 할인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조합원의 행정편의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다양한 종류의 증명서 발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증명서 발급의 경우,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제공되므로 본인 인증과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같은 본인인증과정을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이루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출원인 역시 대학교 내에서 증명서 발급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9354호 및 제10-2220599호를 등록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조합원에 대한 인증기술을 다양한 종류로 제공되는 대학생활협동조합의 서비스들에 폭넓게 적용할 수는 없어, 이에 대한 기술구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은 서비스 목적에 따라 인증의 범위가 각각 다른 바, 조합원 개인의 개인정보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서비스들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증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9354호 (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05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에서, 조합원을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범위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DID를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화(조합 코인)를 제공하여, 대학생활협동조합 내의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DID를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합원이 대학생활협동조합 내의 통화(조합 코인)를 다른 조합원 집단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예치금으로 기부할 수 있도록 하여, 대학생활협동조합 내 구성원 간의 기부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인증을 통하여, 조합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합원으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는 조합기관서버와; 상기 조합원 단말기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아 인증과정을 통해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조합관리서버와; 복수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메인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메인 블록이 결합되는 메인 블록체인과; 복수의 서브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브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서브 블록이 결합되는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인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은, 인증범위에 따라, 상위개념으로부터 하위개념으로 계층화되어 구분되고; 인증확인정보는, 인증의 상기 계층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합기관서버는, 인증목적에 따라 상기 인증의 계층을 특정하여 인증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상기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증의 계층에 따라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조합기관서버가 구비된 교내 매장 및 시설에서, 예치금을 이용하여 요청된 금액에 대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대금결제 서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예치금은, 상기 조합원이 타 조합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기탁한 기부예치금이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예치금을 통해 상기 조합기관서버에서 요청된 대금결제를 실행하는 기부 예치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부예치금에는, 기탁자에 의해 상기 예치금을 사용할 수 있는 조합원의 계층 및 사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제한이 설정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상기 예치금을 통한 결제 서비스 요청시, 조합원에 대한 인증과정을 통해, 예치금을 통한 결제 허용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예치금은, 상기 서브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에 블록이 공유되는 조합코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부예치금에는, 기탁자에 의해 상기 예치금을 사용시 필요한 최소한의 공동사용 조합원 수에 대한 제한이 설정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상기 기부예치금을 통한 결제 요청시, 상기 결제를 요청한 조합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기부예치금에 설정된 공동사용 조합원 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결제 승인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합관리서버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조합관리서버에서 수행된 인증관련 절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통합서버에 의해 상기 통합된 인증 절차에 대한 메인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노드(Node)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노드는 메인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고, 통합된 인증 절차에 대한 서브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노드와; 상기 메인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메인 연결 노드; 그리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서브 연결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노드는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일부 주체에게만 한정적으로 공개되는 서브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고: 상기 메인 블록체인은 상기 메인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메인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은 상기 서브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주기로 서브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및 서브 연결 노드는, 상기 메인 및 서브 블록 체인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연결 노드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블록체인의 각 서브 연결 노드와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이 공개되지 않는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일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에서, 조합원을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범위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체인 기술에서 유발되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인증정보의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을 위한 인증과정을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화(조합 코인)를 제공하여, 대학생활협동조합 내의 경제활동을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부자가 사용대상 및 사용처를 특정하여 원하는 금액을 예치금으로 기부할 수 있도록 하여, 기부자 의사가 명확하게 반영된 기부가 가능하도록 함에따라 대학생활협동조합 내 구성원 간의 기부문화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학생활협동조합의 구성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인증정보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체인과 서브 블록체인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학생활협동조합의 구성예를 도시되어 있다.
대학생활협동조합은 조합의 형태로 구성되어, 대학의 구성원인 교원, 직원과 학생들의 주체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통한 대학 구성원의 학업과 연구를 지원하는 단체를 말한다.
이때, 대학생활협동조합의 기본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내 다양한 시설 및 매장을 포함하여 대학 학생 및 교직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내 시설은 도서관, 구내식당, 학생회관 및 체육시설과 같이 대학내에서 구성원의 복지 및 학습등을 위하여 운영되는 다양한 시설물들을 말하고, 상기 교내 매장은 서점, 편의점, 카페 및 약국 등과 같이 구성원의 편의를 위하여 운영되는 다양한 매장들을 말한다.
다음 설명될 조합기관서버는 상기 교내 시설 및 교내 매장에 설치되어, 이용자(조합원)의 신원을 인증하는 서버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인증절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인증정보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증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체인과 서브 블록체인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은 조합기관서버(300), 조합 관리서버(400), 통합서버(500) 및 인증과정의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블록들이 결합되는 블록체인(110, 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인은 복수의 메인 노드(11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메인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메인 블록이 결합되는 메인 블록체인(110)과 복수의 서브 노드(1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브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서브 블록이 결합되는 서브 블록체인(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하여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말미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합기관서버(300)는 조합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서버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조합원이 이용하고자 하는 시설이나 매장에 구비되어 조합원의 신원을 인증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조합관리서버(400)은 조합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메인서버로,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조합원에 대한 단순 인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증을 기반으로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합관리서버(400)가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기본적으로 조합원에 대한 인증서비스, 각종 증명서 발급, 조합원의 예치금관리, 예치금에 의한 결제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서버(500)는 복수 개의 조합관리서버(400)가 있는 경우 구비되는 것으로, 각 조합관리서버(400)에서 수행된 인증관련 절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다수의 대학교가 연합되어 협동조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각 대학교에 설치되는 각각의 조합관리서버(400)에서 수행된 인증관련 정보(트랜젝션)를 통합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조합원에 대한 인증확인정보로 발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조합원(200)이 조합기관서버(300)에 조합원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조합기관서버(300)는 조합원(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요청정를 통합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합서버(500)는 상기 조합원(200)의 인증요청에 의한 트랜잭션을 상기 메인 블록체인(1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요청정보를 수신받은 통합서버(500)는 조합관리서버(400)에 이 요청을 다시 전달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전달 받은 인증요청정보에 따라 조합원 인을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상기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요청서비스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증요청정보가 단순 인증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요청정보가 조합원에 대한 인증을 수반하는 서비스인 경우,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인증을 수행한 후, 요청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조합원(2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그 수행 결과를 통합서버(500)에 전달한다.
한편, 통합서버(592)는 인증이 완료된 조합원에 대한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인증확인정보 생성에 대한 트랜잭션을 메인 블록체인의 메인 노드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인증확인정보는 조합원(200)에게 할당된 고유의 코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ID(Identication information)이나 토큰값(token valu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주체는 통합서버(500)가 될 수도 있지만, 조합관리서버(300)에서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이것을 통합서버(5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합관리서버(400)가 복수개가 아닌 경우, 상기 통합서버(400)는 구비되지 않고, 상기 조합관리서버(400)가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여 인증확인정보 생성에 대한 트랜잭션을 메인 블록체인의 메인 노드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은 에서는 상기 인증요청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은 제 1 메인 노드(111-1)에 전달하고, 인증확인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은 제 2 메인 노드(111-2)에 전달하여 블록화할 수 있다.
상기 인증확인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은 상기 인증요청정보에 대한 회신(response)일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3 개의 노드가 요구되는데, 생성되는 블록의 검증을 모든 노드에서 함께 수행하게 되는데, 검증 결과 과반수가 넘어야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수 있으며, 3개 이상의 노드를 구비해야만 과반수 이상의노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메인 블록체인(110) 역시 적어도 세 개의 노드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통합서버(400)에는 병목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상기 통합서버(4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종류를 구분하여, 어느 한 종류의 트랜잭션은 제 1 메인 노드(111-1)에, 다른 종류의 트랜잭션은 제 2 메인 노드(111-2)에 전달하도록할 수도 있다. 제안하는 것이다.
즉, 블록체인의 특성 상 병목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노드들에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서버(500)는 생성된 상기 인증확인정보를 상기 조합기관서버(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조합기관서버(300)는 상기 인증확인정보의 수신에 대한 트랜잭션을 상기 서브 블록체인의 서브 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합원(200)에게 인증확인정보를 전달하거나, 인증확인정보가 생성되었다는 것을 통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화되어 구분될 수 있다.
즉, 인증의 목적에 따라 상위개념으로부터 하위개념으로 계층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합원 갑(甲)이 A 단과대학, B 학과, D 특정인(이름 또는 학번) 이라고 하면, 조합원의 소속 단과대를 인증하는 것이 제3계층의 인증이고, 조합원의 소속 학과를 인증하는 것이 제2계층의 인증일 수 있으며, 조합원 본인을 인증하는 것이 통상의 인증인 제1계층의 인증 즉 본인 인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의 계층은 인증 목적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인증의 목적이 특정 단과대 학생에게만 개방되는 시설인 경우, 해당 조합원의 개인 인증없이 소속 단과대만을 인증하고, 인증목적이 증명서 발급과 같이 조합원의 개인 인증인 경우 개인을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인증확인정보에 대한 트랜젝션은 다수의 노드에 저장되어 공유되는데, 인증내용이 계층화되는 경우, 개인별 인증이력 및 내용이 공유되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관리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피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조합원의 복지 및 편의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교내 시설 이용을 위한 조합원에 대한 인증서비스, 교내 매장의 혜택(할인 등)을 이용하기 위한 조합원에 대한 인증서비스, 교내 매장에서의 조합원 개인예치금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조합원의 교내 매장 사용을 위한 기부 예치금 관리 서비스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합관리서버(400)는 조합원에 의한 기부 문화 활성화 및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하여, 조합원이 교내 매장에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기부 예치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부자는 특정 예치금을 적립하고, 이를 조합원이 교내 매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기부자는 해당 예치금에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계층 및 사용 가능 매장(시설)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자가 일정 금액의 예치금을 학과를 특정하여 예치하면, 조합원은 교내 매장에서 제2계층의 인증을 통해 조합원의 학과를 인증한 후, 예치금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에서 결제를 지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에 기부를 원하는 기부자는 금액이 소액이거나 자신이 원하는 기부 대상이나 사용목적을 특정하여 기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기부를 포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합원 중의 하나인 졸업생들이 원하는 금액(소액)을 원하는 대상이나 사용처를 특정하여 예치할 수 있으므로, 조합원이 조합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액을 예치금으로 기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졸업생 조합원이 신학기에 자신의 졸업학과 신입생들이 학교 구내식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치금을 일정금액 예치하면, 조합원은 자신의 학과와 학번에 해당하는 계층의 인증을 거친 후 자유롭게 예치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예치금은 일반통화, 구폰 등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코인(조합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치금이 조합코인으로 구성되는 경우, 인증시스템에서 기 구성된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조합코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기존 형성된 블록체인 중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 서브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부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조합에서 통용될 수 있는 조합코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특정 조합원에 의한 예치금 오남용/독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예치금에 공동 사용 조합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기부자는 기부금을 예치하면서 해당 예치금에 대하여, 특정한 수(n) 이상의 조합원이 공동으로 인증할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합원은 공동으로 상기 조합관리서버(300)에 인증요청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400)는 각 조합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한 후, 예치금 사용 제한을 만조하는 경우, 이들 조합원들에 대한 인증내용 및 예치금에 대한 사용(차감)내용은 통합하여 인증확인정보 생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조합원(기부자)이 다른 조합원들을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상 및 사용처를 특정하고, 사용 대상의 범위(공동 사용자 수)를 특정하여 원하는 만큼의 기부금을 예치할 수 있으므로, 대학 내 건전한 기부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9354호 및 제10-2220599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블록체인과 서브 블록체인의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은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노드(111-1 ~ 111-3)가 참여하는 메인 블록체인(110) 및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노드(121-1 ~ 121-4)가 참여하는 서브 블록체인(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블록체인(110)은 상기 메인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메인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120)은 상기 서브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서브 블록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메인 블록체인(110)과 서브 블록체인(120)간에 생성되는 블록 간에는 서로 연결되거나 검증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메인 블록체인(110)과 서브 블록체인(120)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연결 시에는 검증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블록체인(110)에서 증명서 생성 트랜잭션 발생 시, 서브 블록체인에 해당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유 받은 증명서 생성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서브 블록체인(120)은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 쿼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 간에 관계는 차단되어 있는 대신, 메인 블록체인(110)과 서브 블록체인(120)은, 연결 노드에 의해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메인 블록체인(110)에 참여하는 메인 노드(111-1 ~ 111-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메인 연결 노드(111-3)이고, 서브 블록체인(120)에 참여하는 서브 노드(121-1~12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서브 연결 노드(121-1)이며, 메인 및 서브 연결 노드(111-3, 121-1)는, 상기 메인 및 서브 블록 체인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조건 하에서만 상기 연결 노드들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메인 블록체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서, 메인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외부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블록체인(110)은 노드(메인 노드)로 승인된 특정 기관만이 참여되는 프라이빗 블록 체인이고, 서브 블록체인(120)은, 퍼블릭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블록체인(110)과 서브 블록체인(120)이 분리되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보안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즉, 블록체인 기술에서는 모든 트랜잭션이 공중(public)에게 공개되는데, 사용자 인증이나 문서의 제 증명내용 자체는 공중(public)에 공개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졸업 증명문서는 조합원(예를 들어 기업의 지원자)이 요청한 수령 기관(예를 들어 지원자에 대한 증명서를 수령하고자 하는 기업 등)에게만 공개되어야 되고, 그 수령 기관을 제외한 다른 기업, 금융기관이나 타인 등의 제3자에게는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인 분산형 인증기술을 이용하여, 조합 구성원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조합 구성원에게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학생활협동조합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에서, 조합원을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범위로 인증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체인 기술에서 유발되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인증정보의 생성을 최소화하면서 제공되는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들을 위한 인증과정을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10 : 메인 블록체인 120 : 서브 블록체인
200 : 조합원 300 : 조합기관서버
400 : 조합관리서버 500 통합서버

Claims (8)

  1.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인증을 통하여, 조합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합원으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는 조합기관서버와;
    상기 조합원 단말기로부터 인증요청정보를 제공받아 인증과정을 통해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조합관리서버와;
    복수의 메인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메인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메인 블록이 결합되는 메인 블록체인과;
    복수의 서브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브 트랜젝션을 통해 생성되는 서브 블록이 결합되는 서브 블록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인증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원에 대한 인증은,
    인증범위에 따라, 상위개념으로부터 하위개념으로 계층화되어 구분되고;
    인증확인정보는,
    인증의 상기 계층에 따라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기관서버는,
    인증목적에 따라 상기 인증의 계층을 특정하여 인증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상기 인증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증의 계층에 따라 인증확인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상기 조합기관서버가 구비된 교내 매장 및 시설에서, 예치금을 이용하여 요청된 금액에 대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대금결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은,
    상기 조합원이 타 조합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기탁한 기부예치금이고;
    상기 조합관리서버는,
    예치금을 통해 상기 조합기관서버에서 요청된 대금결제를 실행하는 기부 예치금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은,
    상기 서브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에 블록이 공유되는 조합코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관리서버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조합관리서버에서 수행된 인증관련 절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에 의해 상기 통합된 인증 절차에 대한 메인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노드(Node)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메인 노드는 메인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고, 통합된 인증 절차에 대한 서브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노드와;
    상기 메인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메인 연결 노드; 그리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서브 연결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서브 노드는 트랜잭션이 기설정된 일부 주체에게만 한정적으로 공개되는 서브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고:
    상기 메인 블록체인은 상기 메인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메인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은 상기 서브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기설정된주기로 서브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및 서브 연결 노드는, 상기 메인 및 서브 블록 체인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서브 블록체인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연결 노드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블록체인의 각 서브 연결 노드와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163366A 2021-11-24 2021-11-24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KR20230076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66A KR20230076439A (ko) 2021-11-24 2021-11-24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66A KR20230076439A (ko) 2021-11-24 2021-11-24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439A true KR20230076439A (ko) 2023-05-31

Family

ID=8654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366A KR20230076439A (ko) 2021-11-24 2021-11-24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4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54B1 (ko) 2018-10-11 2020-02-19 주식회사 디지털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20599B1 (ko) 2018-10-11 2021-02-26 주식회사 디지털존 통합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354B1 (ko) 2018-10-11 2020-02-19 주식회사 디지털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20599B1 (ko) 2018-10-11 2021-02-26 주식회사 디지털존 통합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A novel blockchain-based education records verification solution
Thakur et al. Land records on blockchain for implementation of land titling in India
Liyuan et al. E^ 2 C-Chain: A two-stage incentive education employment and Skill Certification Blockchain
KR102057669B1 (ko) 지역 커뮤니티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Datta Sustainability of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of the rural poor: Learning from Concern's rural development projects, Bangladesh
Amoretti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s policies: e‐democracy and e‐government for political development
CN111899046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数字权益通证与智能行权方法和系统
Khettry et al. A detailed review on blockchain and its applications
Mahmud et al. A Blockchain-based Service Provider Validation and Verification Framework for Health-care Virtual Organization
Swan Blockchain enlightenment and smart city cryptopolis
Lacity et al. The quiet corner of Web3 that means business
권선아 et al. A decentralized approach to education powered by blockchain technology
Khokhariya et al. DAMBNFT: document authentication model through blockchain and non-fungible tokens
Al Hamrani et al. People of determination (disabilities) recruitment model based on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technology
KR20230076439A (ko) 블록체인 did 기반 대학생활협동조합 서비스 시스템
Zou et 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credit management for credit bank system
Menne Blockchain in the Sharing Economy: Will Blockchain Disrupt Today’s Winning Business Models?
US20230142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share of asset of which owner cannot be specified or ownership does not exist
Sachan Aadhaar & Blockchai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India
Kasymov Regional fragmentation in Tajikistan: the shift of powers between different identity groups
Chen et al. Mobile time banking on blockchain system development for community elderly care
Thummar et al. DeSAT: Towards Transparent and Decentralized University Counselling Process
Azid et al. Social justice, market, society and government: An Islamic perspective
NTWALI Use of blockchain in the management of land registration system
Linwa et al. A GENERIC AND RELIABLE LAND ACQUISITION PROTOCOL AND SOFTWARE ARCHITECTURE FOR SUB-SAHARAN AFRICA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