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076A -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076A
KR20230076076A KR1020220048952A KR20220048952A KR20230076076A KR 20230076076 A KR20230076076 A KR 20230076076A KR 1020220048952 A KR1020220048952 A KR 1020220048952A KR 20220048952 A KR20220048952 A KR 20220048952A KR 20230076076 A KR20230076076 A KR 2023007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rsity antenna
radiating elements
plate
feed lin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덕
류재홍
이창원
최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896,76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63480A1/en
Publication of KR2023007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의 복수의 방사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는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DIVERSITY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아래 개시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는 구조가 간단하고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의 방사 특성을 가지므로 소형 또는 이동형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는 전자 장치의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전자 장치에 복수의 안테나(예: 복수의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안테나(diversity antenna)는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를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해 전방향성의 방사 특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안테나를 동축(coaxial)으로 배열하고, 급전 선로를 방사 소자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전방향성 방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안테나를 동축으로 배열함으로써 기준점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탐지할 때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의 복수의 방사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는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 모양은 원통형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접지를 위한 접지 판(earth 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판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급전 선로를 상기 PCB에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 판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방사 소자의 하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방사 소자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전자 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제1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제2 급전 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는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접지를 위한 접지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판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상기 PCB에 연결하는 제1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 판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방사 소자의 하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방사 소자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상기 제2 급전 선로에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의 복수의 방사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는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안테나 다이버시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이버 시티 안테나 상호 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동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모노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배열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안테나 다이버시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안테나 다이버시티(antenna diversity)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율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장치)(110, 120)에 복수의 안테나(예: 복수의 모노폴 안테나)(Ant1, Ant2)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를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는 상호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에서,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는 상호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직교 방향(orthogonal direction)으로 전자 장치(110)의 하우징(112)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에서,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는 상호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일정 간격(D)를 두고 전자 장치(120)의 하우징(12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 중에서 송수신 특성이 우수한 안테나(Ant1 또는 Ant2)를 스위치(예: RF 스위치)를 통해서 선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위상 조절(phase shift)한 후에 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안테나 상호 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를 모두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어느 하나의 안테나(Ant1 또는 Ant2)의 방사 특성(301, 303)은 다른 안테나(Ant2 또는 Ant1)에 의해 영향(예: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Ant1)는 다른 안테나(Ant2)에 의해 형성되는 널(null)(311)을 포함하는 방사 특성(301)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Ant2) 또한 안테나(Ant1)에 의해 형성되는 널(null)(313)을 포함하는 방사 특성(303)을 가질 수 있다. 널(null)(311, 313)은 안테나(Ant1, Ant2)가 전방향성의 방사 특성을 가지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도 4는 동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모노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420), 복수의 안테나(431, 433), 및 급전 선로(411, 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431, 433)는 복수의 안테나(431, 433) 상호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동축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431, 433)는 하우징(420)에 위치하거나, 하우징(420)에 부착된 별도의 브라켓(422)에 위치할 수 있다. 급전 선로(411, 413)는 하우징(420) 내부에 위치한 모듈(예: 통신 모듈)(미도시)로부터 복수의 안테나(431, 433)로 연결(예: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Ant1, Ant2)는 동축으로 배열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복수의 안테나(Ant1, Ant2) 상호 간의 간섭은 피할 수 있지만, 전송 선로(411, 413)부터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세도이다.
도 5및 도 6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안테나(500)는 복수의 방사 소자(511~517), 하부 플레이트(521), 하나 이상의 연결 플레이트(523~527), 상부 플레이트(529), PCB(611, 621), 커넥터(617, 627), 및 접지판(615, 6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4개의 방사 소자(511~517)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며 방사 소자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방사 소자(511~517)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예: 원통 모양) 일 수 있다. 복수의 방사소자(511~517) 각각은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예: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물질의 연결 플레이트)(521~529)는 방사 소자(511~517)를 연결(또는 체결)하거나 개구부를 막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1)는 복수의 방사 소자(511 내지 517)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방사 소자(511)의 하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521)는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로부터 연결(예: 전기적 연결)되는 급전 선로(533, 535, 537)를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의 내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529)는 복수의 방사 소자(511 내지 517)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방사 소자(517)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523~527)는 복수의 방사 소자(511~517)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523, 525, 527)는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로부터 연결되는 급전 선로(535, 537)를 통과시키는 개구부(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PCB(611, 621) 및 커넥터(617, 627)는 급전 선로(531~537)을 방사 소자(511~517)에 연결(예: 전기적 연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PCB(611, 621)(예: PCB(611, 621)에 포함된 급전 선로(613, 623))는 커넥터(615, 625)에 연결될 수 있다. PCB(611, 621)는 플레이트(521~527)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617, 627)는 플레이트(521~527) 및 접지판(615, 625)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8의 전자 장치(800))으로부터 연결(예: 전기적 연결)되는 급전 선로(531~537) 각각은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대응하는 방사 소자(511~517)에 연결(예: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전 선로(531)는 커넥터(627) 및 PCB(621)(예: PCB(621)에 포함된 급전 선로(623))를 통해 방사 소자(511)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선로(533)는 하부 플레이트(521)(예: 하부 플레이트(521)의 개구부(630)) 및 방사 소자(511)(예: 방사 소자(511)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를 통과하고, 커넥터(617) 및 PCB(611)(예: PCB(611)에 포함된 급전 선로(613))를 통해 방사 소자(513)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선로(535)는 하부 플레이트(521)(예: 하부 플레이트(521)의 개구부(630)), 방사 소자(511)(예: 방사 소자(511)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 연결 플레이트(523)(예: 연결 플레이트(523)의 개구부(600)), 및 방사 소자(513)(예: 방사 소자(513)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를 통과하고, 커넥터(617) 및 PCB(611)(예: PCB(611)에 포함된 급전 선로(613))를 통해 방사 소자(51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선로(537)는 하부 플레이트(521)(예: 하부 플레이트(521)의 개구부(630)), 방사 소자(511)(예: 방사 소자(511)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 연결 플레이트(523)(예: 연결 플레이트(623)의 개구부(600)), 방사 소자(513)(예: 방사 소자(513)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 연결 플레이트(525)(예: 연결 플레이트(525)의 개구부(600)), 및 방사 소자(515)(예: 방사 소자(515)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를 통과하고, 커넥터(617) 및 PCB(611)(예: PCB(611)에 포함된 급전 선로(613))를 통해 방사 소자(517)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판(615, 625)은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의 접지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접지판(615, 625)는 플레이트(521~527)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안테나(500)는 상술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전방향성의 방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안테나(700)는 도 5의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다이버시티 안테나(500)는 급전 선로(511~517)을 포함하지 않지만, 다이버시티 안테나(700)는 급전 선로(721, 723, 7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 5의 다이버시티 안테나(500)와 다이버시티 안테나(700)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안테나(700)는 급전 선로(721~725)를 다이버시티 안테나(700)의 내부(예: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급전 선로(721~725) 각각은 하부 플레이트(751)에 위치(예: 하부 플레이트(751)를 관통)하는 커넥터(740)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으로부터 연결(예: 전기적 연결)되는 급전 선로(711~715)에 연결(예: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전 선로(721)는 커넥터(740)(예: 커넥터(740) 중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통해 급전 선로(711)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선로(723)는 커넥터(740)(예; 커넥터(740) 중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커넥터)를 통해 급전 선로(713)에 연결될 수 있다. 급전 선로(725)는 커넥터(740)(예: 커넥터(740) 중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통해 급전 선로(71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축 배열 다이버시티 모노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하우징(820), 다이버시티 안테나(840), 및 급전 선로(862~86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820)은 전자 장치(8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안테나(840)는 도 5 및 도 7의 다이버시티 안테나(500, 700)와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다이버시티 안테나(840)는 전자 장치(800)의 하우징(820)에 위치하거나, 하우징(820)에 부착된 별도의 브라켓(822)에 위치할 수 있다. 급전 선로(862~868)는 하우징(8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듈(예: 통신 모듈)(미도시)로부터 다이버시티 안테나(840)로 연결(예: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를 탐지할 때, 동축으로 배열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840)를 사용함으로써 기준점을 정확히 설정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의 복수의 방사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는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diversity antenn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 모양은,
    원통형 모양을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PCB
    를 더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접지를 위한 접지 판(earth plate)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판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선로를 상기 PCB에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방사 소자의 하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방사 소자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제1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제2 급전 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급전 선로는,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에 연결하는 PCB
    를 더 포함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접지를 위한 접지 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판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선로를 상기 PCB에 연결하는 제1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접지 판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방사 소자의 하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 방사 소자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급전 선로를 상기 제2 급전 선로에 연결하는 제2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14. 하우징; 및
    하우징에 위치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apertured) 통 모양의 복수의 방사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사 소자는,
    동축(coaxial)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급전 선로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48952A 2021-11-23 2022-04-20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76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896,760 US20230163480A1 (en) 2021-11-23 2022-08-26 Diversity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2591 2021-11-23
KR1020210162591 2021-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076A true KR20230076076A (ko) 2023-05-31

Family

ID=8654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952A KR20230076076A (ko) 2021-11-23 2022-04-20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0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782B2 (en) Low coupling full-duplex MIMO antenna array with coupled signal cancelling
CN101401256B (zh) 具有极化分集的天线
US10181655B2 (en) Antenna with polarization diversity
US7965252B2 (en) Dual polarization antenna array with increased wireless coverage
US8031129B2 (en)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array
US8463222B2 (e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antenna device
US7289068B2 (en) Planar antenna with multiple radiators and notched ground pattern
US8988298B1 (en) Collocated omnidirectional dual-polarized antenna
JP6556118B2 (ja) アンテナ構成
US10186750B2 (en) Radio frequency antenna array with spacing element
CN101194441A (zh) 天线装置
US20130207865A1 (en) Radio frequency emission pattern shaping
EP3211718A1 (en) Antenna substrate
US20170179610A1 (en) Low Coupling 2x2 MIMO Array
US20230299486A1 (en) Antenna subarray and base station antenna
US11949165B2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402759A1 (en) Antenna assemblies and antenna module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230076076A (ko)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63480A1 (en) Diversity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97394B2 (en) Antenna arrays with modified Yagi antenna units
CN218975790U (zh) 一种定位天线及定位系统
CN112909582B (zh) 一种用于终端通信测试的宽带正交双极化全向天线及方法
US20230253699A1 (en) Antenna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antenna device
CN110521059B (zh) 天线组件和无线通信设备
WO2023091876A1 (en) Base station antennas including feed circuitry and calibration circuitry that share a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