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534A -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534A
KR20230075534A KR1020210161811A KR20210161811A KR20230075534A KR 20230075534 A KR20230075534 A KR 20230075534A KR 1020210161811 A KR1020210161811 A KR 1020210161811A KR 20210161811 A KR20210161811 A KR 20210161811A KR 20230075534 A KR20230075534 A KR 2023007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iginal
encrypted
digital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913B1 (ko
Inventor
배지호
Original Assignee
배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호 filed Critical 배지호
Priority to KR102021016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913B1/ko
Priority to PCT/KR2022/018509 priority patent/WO2023090979A1/ko
Publication of KR2023007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와 원본인 물리적 대상, 원본인 물리적 대상과 관련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 사이의 결합관계를 형성, 관리,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본인 물리적 대상에 부착되어, 암호화된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수신하는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은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 및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 상호 간 연결 관계 및 그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NFT를 매개로 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포함하며,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에 정보를 송신하는 원본 통신 모듈(201); 외부의 장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될 수 있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미리 정의된 규칙으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1),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과 정보를 수신,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기초로 암호화 작업, 복호화 작업, 키 암호화 관련 작업 및 이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수행(필요에 따라, 평문의 생성과 해독을 포함한다)하고, 기타 서명작업을 포함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는 한편, 그 정보를 통해 외부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되어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양도, 처분, 관리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고, 관련된 계정을 생성하며, NFT의 발행과 관련하여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 등(101)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이나 암호화 키 값 등을 NFT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에 기록하며, NFT와 관련된 계정의 접근권한을 설정, 변경, 폐쇄하는 한편,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 폐쇄, 인증하고,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여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에 각 송신하여 기록하고, 기존의 암호화 정보 또는 암호화 키 값을 변경, 삭제하며, 상기 암호화 관련 작업, 복호화 관련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복호화할 수 있고, 관련된 값을 생성, 제어, 호출, 변경, 처리하는 중앙 처리 모듈(104);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연동되거나 연결되며, NFT가 발행될 때 기록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로서,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임을 표상하고,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의 결합 관계에 대한 인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 중앙 처리 모듈(104)과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를 처리, 기록, 저장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를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NFT(Non-fungible Token), Physical Objects and Digital Data}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 물리적 대상인 원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데이터를 결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분야와 결합가능하다.
예술품(예술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는 작품으로서, 고고학적 자료나 역사적 유물을 포함하며, 실용적 가치를 지닌 물리적 대상도 포함된다)의 원본성(해당 예술품이 특정한 주체에 의하여 작성된 것인지 여부)은 그 가치에 관한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원본 여부에 대한 검증, 즉 원본에 관한 인증은 소수 전문가들의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지 않은 대다수의 예술품의 경우 제작자의 개인적인 확인을 거치는 것 외에 특별한 원본 인증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작품이 최초로 완성되는 단계에서부터, 최초 구매자에게 양도되는 단계, 그리고 순차적인 양도에 이르는 전 과정에 있어서 작품의 원본성은 가장 중요한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함에도 원본 인증과 관련한 기술은 근래에 이르기까지 상대적으로 큰 진보를 이루어내지 못햇다.
이와 관련하여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특히 이더리움(Ethereum)의 ERC-721 프로토콜에 기반한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은 원본성 또는 원본 인증과 관련된 유력한 기술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NFT는 각각의 단위별로 구별 가능한 토큰(token)에 관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그 토큰에 uri값 등과 같은 외부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형태로 발행(mint)된다. NFT를 발행할 때 uri값으로 연결된 외부 데이터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과 같이 조작불가능한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에 기록된 CID 값 등과 연결될 경우 일정한 수준의 조작불가능성이 담보된다. 그러나 NFT 기술은 그 자체로 원본성이나 원본에 대한 인증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NFT와 uri로 연결된 외부 데이터가 곧 원본인지, 그리고 NFT의 발행 또는 소유 계정이 그 원본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NFT 기술은 아무런 답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외부 데이터 그 자체가 원본이 아닌, 실제 물리적 대상의 디지털 모사 혹은 실제 물리적 대상과 연결된 디지털 데이터일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물리적 대상이 원본일 경우 NFT 기술은 NFT가 물리적 대상의 실제 소유권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NFT의 발행, 소유, 양도가 상기 물리적 대상에 대한 법률상의 권리와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에 대해서 역시 아무런 답을 줄 수 없고, 오히려 권리가 침해되는 상황(예 : 상기 물리적 대상에 관한 어떠한 권리도 가지지 못하는 주체가 NFT를 발행하는 경우)을 초래할 수 잇다.
최근 NFT 시장에는 ‘동일한(또는 동일한 주제를 공유하는 유사한) 여러 개 디지털 작품’이 유통되고 있다. 이런 유형의 작품들은 실물 작품을 동영상 등의 형태로 변환하는 형태와 애초부터 디지털 작품으로 고안된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을 다수의 디지털 연작으로 호칭하면, 디지털 연작은 그 형태를 가리지 않고 모두 작품의 가치가 계속 유지되기 어려운 구조적 특성이 있다. 디지털 연작이 실물 작품의 변형일 경우 원작과의 관계가 불명확하고, 디지털 작품은 그 속성상 작가가 같은 작품을 무제한적으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일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시스템으로서, 물리적 대상인 원본, NFT, 그리고 디지털 작품 데이터 간 결합 관계를 구성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 제작, 양도와 관련한 원본 인증, 권리자 인증, 제3자의 인증 내역 확인, (2) 연작인 실물로서의 원본 간 결합 인증, 제3자의 인증 내역 확인, (3) 실물로서의 원본과 디지털 작품의 결합 인증, 제3자의 인증 내역 확인, (4) 디지털 작품 간 결합인증, 제3자의 인증 내역 확인, (5) 위 (1) 내지 (4)를 기초로 한 다수의 디지털 작품 간 권리(소유권, 제한물권, 공동소유를 포함한다, 이하 같음) 및 실물로서의 원본에 관한 법적 관리관계의 창설 및 변동에 관한 적용 및 전자와 후자 간 결합 인증, 제3자의 인증 내역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12638호가 개시된다. 모듈 생성 시 발급된 인증서 개인키 및 고유 ID를 저장하고, 제품 구매 시 정품 인증 서비스 서버로부터 발급된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장치(Secure Element); 상기 고유 ID 또는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결제 단말과 접속 시 암호화된 고유 ID를 포함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정품 인증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유 ID 인증 완료시 상기 결제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 정보 및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부를 통해 상기 판매 정보 및 상기 제품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하도록 하고, 상기 보안 장치는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인증서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고유 ID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 인증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는 단지 보안 장치를 이용하고 있을 뿐, 예술품과 분리되어 있고, 표식의 가변성이 매우 높아 원작에 대한 위조의 염려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또한, NFT와 같은 블록체인에 기반한 진보된 기술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점에서 본원과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상기 특허의 정품 인증 모듈의 구동은 단지 암호화 방법을 통해 구동하는 것에 불과하고, 물리적 실체인 원본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 외에도 전술한 특허는 블록체인 기술과 무관하며, 특히 NFT와 같은 진보된 블록체인 기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므로, 본 발명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리걸테크(legaltech)의 일환으로서, 법률적 관점에서 NFT, 물리적 실체, 디지털 데이터의 일체화(동기화) 문제를 파악하고, NFT,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기 위해 제안된 것인데, 이러한 기술은 아직 제안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2638호
(비특허문허 1) Martinod, N., Homayounfar, K., Lazzarotto, D., Upenik, E. and Ebrahimi, T., 2021, August. Towards a secure and trustworthy imaging with non-fungible tokens. In Application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XLIV (Vol. 11842, p. 1184218).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비특허문허 2) Raman, R. and Raj, B.E., 2021. The World of NFTs (Non-Fungible Tokens): The Future of Blockchain and Asset Ownership. In Enabl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Secure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pp. 89-108). IGI Global.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리적 대상인 원본, 이와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 NFT 간 기술적 결합관계를 구성하고, 이를 인증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NFT(Non-fungible Token)와 원본인 물리적 대상, 원본인 물리적 대상과 관련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 사이의 결합관계를 형성, 관리,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본인 물리적 대상에 부착되어, 암호화된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수신하는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은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 및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 상호 간 연결 관계 및 그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NFT를 매개로 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포함하며,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에 정보를 송신하는 원본 통신 모듈(201); 외부의 장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될 수 있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미리 정의된 규칙으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1),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과 정보를 수신,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기초로 암호화 작업, 복호화 작업, 키 암호화 관련 작업 및 이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수행(필요에 따라, 평문의 생성과 해독을 포함한다)하고, 기타 서명작업을 포함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는 한편, 그 정보를 통해 외부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되어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양도, 처분, 관리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고, 관련된 계정을 생성하며, NFT의 발행과 관련하여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 등(101)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이나 암호화 키 값 등을 NFT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에 기록하며, NFT와 관련된 계정의 접근권한을 설정, 변경, 폐쇄하는 한편,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 폐쇄, 인증하고,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여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에 각 송신하여 기록하고, 기존의 암호화 정보 또는 암호화 키 값을 변경, 삭제하며, 상기 암호화 관련 작업, 복호화 관련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복호화할 수 있고, 관련된 값을 생성, 제어, 호출, 변경, 처리하는 중앙 처리 모듈(104);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연동되거나 연결되며, NFT가 발행될 때 기록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로서,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임을 표상하고,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의 결합 관계에 대한 인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 중앙 처리 모듈(104)과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를 처리, 기록, 저장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를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원의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에 의해 기록, 처리, 저장되는 정보로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과 연동되어 NFT로 발행되는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NFT 또는 디지털 작품 데이터 또는 NFT와 디지털 작품 데이터, 별도의 단일 또는 복수의 NFT 각각의 가능한 모든 조합의 상호 연결 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암호화 가능한 정보인 디지털 연결 정보(50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 발명의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의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 등(101)은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의한 키 중 개인키 또는 공개키이고,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위 개인키 또는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의한 키 중 공개키 또는 개인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되어 향후 발행될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1);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에 상기 규칙(R-1)의 향후 발행된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관한 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2);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과 연결되어 물리적 대상인 원본으로부터 얻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가 서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부합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3);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NFT에 기록된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통해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대응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거나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규칙(R-4);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연결하고, NFT를 발행할 때, 특정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하여 위 연결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규칙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사용자는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독점적으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5);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에 기록된 정보가 향후에 부가될 수 없도록 동일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기록하는 규칙(R-20);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유권은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 중 상기 디지털 작품 전체 개수(n)의 1/n에 해당하는 지분 만큼에 해당하는 소유권을 표상하는 규칙(R-101);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 중 각 개별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과 서로 관계가 없으나, 모든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곧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을 표상하는 규칙(R-102); 상기 R-1, R-2, R-3, R-4, R-5에 관하여 *?*암호화되었을 경우*?*가 아님을 전제로 동일하게 정의된 규칙(R-Free); 중 어느 하나 또는 위 각 규칙의 일부 또는 모두의 조합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볼 발명 중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은, 정보 처리 장치, 소프트웨어, 스마트 카드,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와이파이 장치, LTE 모듈, 유선 네트워크 연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식별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정보 처리 장치, 스마트 카드,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Wi-Fi 장치, LTE 모듈, 유선 네트워크 연결 장치, 메인 서버, 사용자 서버, 소프트웨어(블록체인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 입력,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한다)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1), 상기 원본 통신 모듈(102)이 외부로부터 상기 키 값을 수신하고 이를 외부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마그네틱 카드, 바코드 카드. 유심 또는 심카드, 스마트 카드. IC 카드. NFC 장치, ISO18092, NFC 태그, 블루투스 통신 장치, LTE 모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NFT의 발행, 양도, 관리, 원본 관련 인증을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스마트 계약에 의해 통제하는 스마트 계약부(1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트랜잭션을 통해,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데이터가 제작 또는 생성 되었다는 점을 검증하고,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NFT와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NFT가 발행될 때,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와 이와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NFT와 결합되었다는 점을 검증하고, 관련된 정보는 필요한 수준에서 암호화할 수 있고, 해시함수를 활용할 수 있는 인증부(4000); 를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가(102) 암호화 될 경우, 암호화 방법은 BIKE(Bit Flipping Key Encapsulation) 알고리즘; 을 더 포함하며,상기암호화와 관련된 서명작업의 규칙은, CRYSTALS-Dilithium 알고리즘;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에서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생성하고, 이를 직접 또는 원본 통신 모듈(201)을 거쳐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에 기록(write)하는 단계(S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이 직접 또는 원본 통신 모듈(201)을 통해 전송받고, 이를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비교, 대응, 조합하거나, 이를 다시 중앙 처리 모듈(103)로 전송하여 기록, 저장, 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3)이 외부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의 대응, 조합, 비교 등을 통해 NFT의 발행, 양도, 관리를 위한 값을 생성하며, 필요한 경우 서명값으로 활용하는 단계(S3);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가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3)과 연동되어, 해당 정보에 관한 트랜잭션을 처리, 기록, 저장하는 단계(S4); 인증부(4000)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을 통해 NFT의 발행, 양도, 관리와 관련하여 실물로서의 원본, 그 원본과 관련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연결관계를 필요에 따라 생성, 처리, 인증, 변경하는 단계(S5); 를 포함한다.
본원 중 상기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은,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가 각 디지털 작품들 상호 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0-1);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향후 발행될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0-2);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가 서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부합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0-3);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NFT로 기록된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를 통해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이라는 점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거나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규칙(R0-4);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특정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하여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규칙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사용자는 독점적으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0-5); 상기 R0-1, R0-2, R0-3, R0-4, R0-5 각 규칙에 관하여 암호화를 전제로 하지 않는 동일한 내용의 규칙(RO-Free); 중 어느 하나 또는 위 각 규칙의 일부 또는 모두의 조합을 통해서 수행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원 중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의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 등(101)은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하나의 키이고,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어느 다른 키이며,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에 의한 위 각 키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의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어느 다른 키이고,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에 의한 위 각 키는 개별 디지털 작품 데이터, 또는 개별 NFT에 부여되도록 구성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필요에 따라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과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 중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는 필요에 따라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과 결합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원의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는, 각 작품 단위별 또는 작품의 특정한 집합 단위별 또는 NFT와 각 대응되는 단위별로 대응되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키를 포함하고, 위 각 키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 디지털 작품 데이터, NFT 간 결합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가 NFT로 발행될 경우 생기는 법적 권리 관계의 불명확성을 해결한다.
둘째,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관계,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가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NFT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안정화 한다.
셋째, 물리적 대상인 원본, NFT, 디지털 작품 데이터 사이의 일체성 문제를 명확하면서도 간명하게 해결함으로써 NFT 거래를 촉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의 일 예시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의 일 예시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이 실제로 구현 되었을 때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기록되는 데이터 값의 일 예시이다(추후 보정).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원의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은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부착된다. 원본 결합 모듈은 암호화 값(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을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이를 송신, 수신, 저장, 기록하는 장치와 결합할 수 있다. 가능하면 물리적 대상인 원본의 제작 과정에서 위 장치와 작품을 일체화하는 것이 적절하다. 일례로서, 본원의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이 NFC 규격의 태그로 구성될 경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 및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상호 연결 관계를 위한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본 통신 모듈(201)은 NFC 규격 태그를 읽어들이거나, 태그에 값을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처리, 저장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는 이와 연결된 디지털 작품임을 표상하는 디지털 대응 정보(102)와 함께 기능하며,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는 중앙 처리 모듈(104)에 저장, 처리, 기록되고, 각 정보의 전달은 원본 통신 모듈(201)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중앙 처리 모듈(104)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과 연동되어,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기초로 NFT를 발행할 때 위 각 정보를 NFT에 기록하며, 향후 NFT와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의 대조가 필요한 경우 복호화 작업을 통해 연결관계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본 작품은 디지털 작품 5개만을 발행한다. 디지털 작품 5개 중 1번은[ ] 2번은 [ ] 3번은 [ ] 4번은[ ], 5번은 [ ]와 같은 값을 가진다'는 내용이라고 가정한다. [ ] 안의 값은 각각의 디지털 작품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 그 자체 일수도 있고, 이와 결합하여 기능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가장 단순하게 [ ] 값이 각각의 디지털 작품에 관한 해시값으로 IPFS에 CID로 기록된 값을 암호화한 값이라고 하자. NFT를 발행할 때, 위 [ ] 값과 대응하는 디지털 대응 정보(102)가 NFT에 기록되는데, 이 정보 역시 위 각각의 IFPS에 CID로 기록되는 값을 암호화한 값이라고 하자. 물리적 대상인 원본의 적법한 소유권자만이 디지털 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NFT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원본의 적법한 소유권자가 보유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원본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복호화한 값 A와 NFT에 기록된 정보를 복호화한 값 A’을 조합한 후, 그 조합된 값이 또 다른 어떤 암호문 X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 값이라면, 무단으로 발행된 NFT의 경우 암호문 X를 해독할 수 없으므로, 이를 통해 원본과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결합 관계가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NFT에 기록된 정보는 암호화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해당 값 만으로는 복호화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검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본으로부터 읽어들이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지 않고, NFT에 기록된 정보만을 암호화 하는 방법 역시 구성 가능하다.
실물인 원본 작품을 통해 제한된 개수의 디지털 작품 데이터만이 적법한 디지털 작품이며, 원본 작품 자체를 훼손하지 않으면 추가의 창작이 불가능하므로 실물 원본은 제한된 개수의 디지털 데이터와 연결된 판화의 원본과 같은 역할을 한다.
위에서 제시된 방법과 아래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본원의 여러 가능한 결합 관계의 구성 방법 중 하나의 예시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은 하나의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복수의 디지털 작품 데이터, 수의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하나의 디지털 작품 데이터, 복수의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복수의 디지털 작품 데이터, 그리고 위 각 경우와 관련하여 발행되는 NFT의 가능한 모든 조합에 관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원의 인증부(4000)는 NFT, 원본, 디지털 간 결합관계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증부(400)는 NFT가 발행되고 이를 통해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디지털 작품 데이터가 연결관계가 구축되었을 때, 임의의 어떤 NFT와 연결관계를 가진 NFT를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된 NFT(0x6e5f231ef98442a23a0395c2a39618cdc22c7c9cd30e7fd2c78d83b3c36cb511)와 이와 다르게 어떠한 인증도 되지 않은 NFT(0xaabb9ea338002a7a49368c29da40a178ac5510bc49571aac94e001)에 대해 인증부는 인증된 NFT에 포함된 값 (0x63f02bf8e565a62835d97703216e7e81e33c86)은 원본으로부터 읽어들인 값(0x29ea1e53651a1a13c80391e5a23e1e53651a1a)과 서로 대조한 후, 양자의 조합을 통해 인증된 NFT와 그렇지 않은 NFT를 구별할 수 있다.
일례로, 0xaabb9ea338002a7a49368c29da40a178ac5510bc49571aac94e001를 통해서는 복호화한 값을 얻을 수 없으나, 0x6e5f231ef98442a23a0395c2a39618cdc22c7c9cd30e7fd2c78d83b3c36cb511를 통해서는 복호화한 값을 얻을 수 있다. 그 복호화 값 x와 0x29ea1e53651a1a13c80391e5a23e1e53651a1a를 복호화한 값 y을 얻은 후 x와 y의 값을 통해 공개된 어떤 암호 정보(이 정보 역시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디지털 대응 정보(102)에 기록되는 것이 적절하다)를 복호화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복호화를 통해 어떤 계정에 관한 일회성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소유자가 아닌 주체를 통해서도 인증이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 별개의 인증용 조합을 통해 해당 NFT가 인증되었음을 검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에 각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0xa792e00c29ab10ab1161938ac130bc49a41101aab를 기록한 후 이를 y로 암호화하고, 해당 디지털 작품에 관한 디지털 대응 정보(102)에 0xa792e00c29ab10ab1161938ac130bc49a41101aab를 동일하게 기록하거나, 0xa792e00c29ab10ab1161938ac130bc49a41101aab를 k로 암호화하여, y와 k의 조합을 통해 인증을 가능하게 하며 경우에 따라 복호화 수단을 여러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위에서 설시한 구현 예는 일종의 Homomorphic Encryption(HE) 기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나, 반드시 HE 기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부가되는 조합을 추가,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에는 향후 발행될 디지털 작품에 관한 일종의 자기 구속적 제약으로서 향후 n개의 특정 디지털 작품만을 발행할 것이라는 내용이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형태로 포함될 수 있고, 실물로서의 원본에 관한 NFT에 해당 내용 그 자체가 이에 대응하는 내용을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형태로 기록하고, 디지털 작품에 관한 NFT에도 역시 같은 내용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작품은 실물로서의 원본에 관한 일종의 제한된 인증 판화본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누군가가 어떤 디지털 작품이 원본과 아무런 상관이 없음에도 원본과의 연관성을 주장할 경우에도, 무단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작품이 원본과 아무런 결합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누구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의 동형 암호는 물리적 원본에 부착되어 기록된 값 즉,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정보(101)의 값과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기록된 값 즉 디지털 대응 정보(102) 사이에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NFT 또는 연결된 데이터로서 작품별 디지털 대응 정보(102) 상호간에 구성될 수 있으며, 양자를 조합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인증과 관련된 결합 정보 즉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NFT를 발행할 때 블록체인 그 자체에 함께 기록되거나 또는 NFT와 uri 등으로 외부 값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해쉬값을 기초로 생성하거나, 해쉬값 그 자체를 포함하거나, 해쉬값을 기초로 변형, 수정된 데이터와도 결합할 수 있다.
본원의 스마트 계약부(130)는 NFT, 원본, 디지털 간 결합관계를 통해 다채로운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정당한 권한을 보유한 자에 의한 인증을 전제로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결합관계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그 결합관계가 한번 구축될 경우 누구도 결합관계를 손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마트 계약부(130)은 분할 소유권과 관련된 전술한 기능과 결합할 경우 매우 용이하게 현재의 정당한 법적 상태와 일치하게 현실의 트랜잭션이나 NFT의 소유 계정 현황을 변동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원의 암호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가능하고, 대칭암호화, 비대칭암호화 방식을 포함하며, 추가의 키 값을 추가의 장치와 연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예술품 거래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장 강력한 형태의 양자 저항 암호화 기법을 결합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본원의 암호화와 관련해서, BIKE를 활용할 경우,
Figure pat00001
위와 같은 정의 하에서, 1번 키 값과, 2번 키 값은,
Figure pat00002
서명과 관련해서는, 별도의 CRYSTALS-Dilithium 알고리즘 을 활용하고 가장 단순하게,
Figure pat00003
를 사용할 수 있고, 서명과 관련해서는 다음 2개 알고리즘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를 사용할 수 있고, 서명과 관련해서는 다음 2개 알고리즘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본원의 디지털 작품 데이터 여러 개가 제작될 경우 물리적 대상인 원본의 일부 지분을 표상하는 형태로 고안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소유권을 분리할 수도 있으며, 모든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소유권자 또는 특정한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소유권자에게 특별한 법적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은 일반적인 NFT와 달리 미리 원본과 디지털 데이터에 암호화된 정보가 기록되므로 법적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NFT와 실물 간 지분 소유권 등을 고안하더라도 그 내용 자체가 NFT에 기록되거나 조작불가능한 형태로 결합관계와 함께 구성되지 않으면 내용의 수정, 변경이 가능하므로 법적 지위가 불안정해질 수 있으나, 본원을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원은 물리적 대상인 원본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고, 단순한 디지털 연작과 같은 복수의 디지털 작품이 NFT로 발행될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복수의 디지털 작품 각각에 앞서와 같은 정보를 기록하여 NFT를 발행하고, 상호 간의 결합 관계를 구성할 경우, 복수의 디지털 작품만이 원본이라는 점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작 1, 2, 3, 4에 관하여 NFT 1, 2, 3, 4가 발행되었을 때, 1, 2, 3, 4에 관한 디지털 작품 데이터가 외부의 등일 경우 NFT와 별도로 또는 NFT 1 2 3 4 그 자체에 디지털 연결 정보(501)를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작 1, 2, 3, 4가 서로 연쇄 관계에 있는 암호문일 경우, 각자의 대응관계는 연속된 다음 연작의 값을 통해서 인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대응되는 각 연작들 간에 Homomorphic Encryption(HE) 기법을 통한 복호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단일 한 또는 복수로 별개 또는 일체로 NFT를 통해 연작 여러 개를 연결하고, 각 연작에 해당하는 별도의 NFT와 단일한 NFT를 연결하면서, NFT에 단일한 NFT와 여러 NFT연작들의 디지털 연결 정보(501)를 기록할 수도 있다.
본원의 정보는 가장 넓은 의미의 정의를 따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원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 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 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 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 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하나, 상기 기능으로만 모듈이 제한되지는 않고, 모듈이 특정된 그 기능 이외에, 상기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적 기능 및 추가적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 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 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 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 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 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 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 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든 무선통신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원의 조건은 법률상 조건에 한하지 않으며, 일상의 언어나 논리학에서 말하는 조건의 의미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NFC는 ISO15693, ISO14443-A, ISO14443-Topaz, ISO14443-B, ISO14443-B SRIxx, ISO/IEC18092, ISO/IEC 21481 모두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예술품, 작품 등은 모든 형태의 표현의 대상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원에서 사용한 예술품이나 작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원은 작업용 문서의 실물과 디지털 데이터와 같이 예술적 가치가 아닌 실용적 가치만을 가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본원의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은 예술품, 미술품, 작품 외에도 모든 형태의 물리적 대상을 포함하며, ‘물리적 대상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 역시 위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원본과 연결된 모든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앞서 예시한 작업용 문서의 실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문서 데이터)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원의 블루투스 비컨 장치, NFC 장치는 Wi-Fi Direct, Bluetooth, Ethernet, 802.11a/b/g/n 등과 같은 주변 유/무선 네트워크와 함께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프라이빗, 퍼블릭, 컨소시엄, 하이브리드 등 모든 형태를 포함하고, 이들 간의 모든 가능한 조합으로도 구현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NFT는 ERC-721 프로토콜에 기반한 경우 외에도, 이와 유사한 개념적 표지를 공유하는 모든 형태의 프로토콜에 기반한 경우를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원본 임프린팅 모듈
101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 및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로서 상호 간 연결 관계 및 그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NFT를 매개로 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이하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로 약칭한다)
201 : 원본 통신 모듈
104 : 중앙 처리 모듈
102 :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임을 표상하고,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의 결합 관계에 대한 인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NFT가 발행될 때 기록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인 디지털 대응 정보(102)(이하 '디지털 대응 정보' 약칭한다)
4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501 : 디지털 연결 정보
130 : 스마트 계약부
4000 : 인증부

Claims (16)

  1. NFT(Non-fungible Token)와 원본인 물리적 대상, 원본인 물리적 대상과 관련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 사이의 결합관계를 형성, 관리,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본인 물리적 대상에 부착되어, 암호화된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수신하는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은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 및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 상호 간 연결 관계 및 그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NFT를 매개로 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포함하며,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정보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에 정보를 송신하는 원본 통신 모듈(201);
    외부의 장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될 수 있고, 외부와 정보를 수신, 송신하고, 미리 정의된 규칙으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1),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과 정보를 수신,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기초로 암호화 작업, 복호화 작업, 키 암호화 관련 작업 및 이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수행(필요에 따라, 평문의 생성과 해독을 포함한다)하고, 기타 서명작업을 포함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는 한편, 그 정보를 통해 외부의 서버나 네트워크나 연동되어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 양도, 처분, 관리와 관련된 일체의 작업을 처리하고, 관련된 계정을 생성하며, NFT의 발행과 관련하여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 등(101)에 대응하는 암호화 값이나 암호화 키 값 등을 NFT 또는 이와 관련된 정보에 기록하며, NFT와 관련된 계정의 접근권한을 설정, 변경, 폐쇄하는 한편,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 폐쇄, 인증하고, 새로운 암호화 정보 값이나 암호화 키 값을 생성하여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에 각 송신하여 기록하고, 기존의 암호화 정보 또는 암호화 키 값을 변경, 삭제하며, 상기 암호화 관련 작업, 복호화 관련 작업을 연속하여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 복호화할 수 있고, 관련된 값을 생성, 제어, 호출, 변경, 처리하는 중앙 처리 모듈(104);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연동되거나 연결되며, NFT가 발행될 때 기록될 수 있는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로서,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임을 표상하고,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의 결합 관계에 대한 인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원본 통신 모듈(201), 중앙 처리 모듈(104)과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를 처리, 기록, 저장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를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에 의해 기록, 처리, 저장되는 정보로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과 연동되어 NFT로 발행되는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로서, 각각의 NFT 또는 디지털 작품 데이터 또는 NFT와 디지털 작품 데이터, 별도의 단일 또는 복수의 NFT 각각의 가능한 모든 조합의 상호 연결 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암호화 가능한 정보인 디지털 연결 정보(501)를 더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의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 등(101)은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의한 키 중 개인키 또는 공개키이고,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위 개인키 또는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에 의한 키 중 공개키 또는 개인키로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되어 향후 발행될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1);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에 상기 규칙(R-1)의 향후 발행된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관한 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2);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과 연결되어 물리적 대상인 원본으로부터 얻은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가 서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부합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3);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NFT에 기록된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통해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대응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거나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규칙(R-4);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연결하고, NFT를 발행할 때, 특정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하여 위 연결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규칙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사용자는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를 독점적으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5);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가 암호화되었을 경우,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에 기록된 정보가 향후에 부가될 수 없도록 동일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기록하는 규칙(R-20);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유권은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 중 상기 디지털 작품 전체 개수(n)의 1/n에 해당하는 지분 만큼에 해당하는 소유권을 표상하는 규칙(R-101);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 중 각 개별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과 서로 관계가 없으나, 모든 디지털 데이터 작품에 대한 소유권은 곧 이와 연결된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소유권을 표상하는 규칙(R-102);
    상기 R-1, R-2, R-3, R-4, R-5에 관하여 *?*암호화되었을 경우*?*가 아님을 전제로 동일하게 정의된 규칙(R-Free);
    중 어느 하나 또는 위 각 규칙의 일부 또는 모두의 조합을 통해서 수행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 상기 원본 통신 모듈(201)은, 정보 처리 장치, 소프트웨어, 스마트 카드,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와이파이 장치, LTE 모듈, 유선 네트워크 연결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식별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정보 처리 장치, 스마트 카드, NFC 장치, 블루투스 장치, Wi-Fi 장치, LTE 모듈, 유선 네트워크 연결 장치, 메인 서버, 사용자 서버, 소프트웨어(블록체인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 입력, 변경하는 기능을 포함한다)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1), 상기 원본 통신 모듈(102)이 외부로부터 상기 키 값을 수신하고 이를 외부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마그네틱 카드, 바코드 카드. 유심 또는 심카드, 스마트 카드. IC 카드. NFC 장치, ISO18092, NFC 태그, 블루투스 통신 장치, LTE 모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NFT의 발행, 양도, 관리, 원본 관련 인증을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스마트 계약에 의해 통제하는 스마트 계약부(130); 를 더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트랜잭션을 통해,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물리적 대상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데이터가 제작 또는 생성 되었다는 점을 검증하고, 상기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NFT와 상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NFT가 발행될 때, 물리적 대상인 원본에 관한 정보와 이와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NFT와 결합되었다는 점을 검증하고, 관련된 정보는 필요한 수준에서 암호화할 수 있고, 해시함수를 활용할 수 있는 인증부(4000); 를 포함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가(102) 암호화 될 경우, 암호화 방법은 BIKE(Bit Flipping Key Encapsulation) 알고리즘; 을 더 포함하며,
    상기암호화와 관련된 서명작업의 규칙은, CRYSTALS-Dilithium 알고리즘; 을 더 포함하는, NFT와 실물 원본, 실물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0. NFT와 실물 원본, 실물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4)에서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생성하고, 이를 직접 또는 원본 통신 모듈(201)을 거쳐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에 기록(write)하는 단계(S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를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이 직접 또는 원본 통신 모듈(201)을 통해 전송받고, 이를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와 비교, 대응, 조합하거나, 이를 다시 중앙 처리 모듈(103)로 전송하여 기록, 저장, 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3)이 외부와 연동하여,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101),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의 대응, 조합, 비교 등을 통해 NFT의 발행, 양도, 관리를 위한 값을 생성하며, 필요한 경우 서명값으로 활용하는 단계(S3);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가 상기 중앙 처리 모듈(103)과 연동되어, 해당 정보에 관한 트랜잭션을 처리, 기록, 저장하는 단계(S4);
    인증부(4000)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을 통해 NFT의 발행, 양도, 관리와 관련하여 실물로서의 원본, 그 원본과 관련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의 연결관계를 필요에 따라 생성, 처리, 인증, 변경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NFT(Non-fungible Token)의 발행은,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가 각 디지털 작품들 상호 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0-1);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향후 발행될 디지털 작품에 관한 정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규칙(R0-2);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을 경우,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가 서로 미리 정의된 규칙에 부합하는 값임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0-3);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NFT로 기록된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에 관한 정보를 통해 서로 연결된 디지털 작품들이라는 점을 인증하는 규칙으로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거나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규칙(R0-4);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가 암호화 되었고 NFT를 발행할 경우, 디지털 작품 데이터에 관한 특정한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하여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규칙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사용자는 독점적으로 복호화 수단을 활용하는 규칙(R0-5);
    상기 R0-1, R0-2, R0-3, R0-4, R0-5 각 규칙에 관하여 암호화를 전제로 하지 않는 동일한 내용의 규칙(RO-Free);
    중 어느 하나 또는 위 각 규칙의 일부 또는 모두의 조합을 통해서 수행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본 임프린팅 모듈(100)의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 하지 않은 정보 등(101)은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하나의 키이고,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어느 다른 키이고,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에 의한 위 각 키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모듈(104)의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어느 다른 키이고,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에 의한 위 각 키는 개별 디지털 작품 데이터, 또는 개별 NFT에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또는 암호화하지 않은 정보(101)와 상기 디지털 대응 정보(102)는 필요에 따라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과 결합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는 필요에 따라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프로토콜과 결합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연결 정보(501)는, 각 작품 단위별 또는 작품의 특정한 집합 단위별 또는 NFT와 각 대응되는 단위별로 대응되는 준동형 암호화(Homomorphic Encryption) 방법에 의한 키를 포함하고, 위 각 키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추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NFT, 물리적 대상인 원본, 연결된 디지털 작품 데이터를 일체화하는 시스템.
KR1020210161811A 2021-11-22 2021-11-23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7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11A KR102557913B1 (ko) 2021-11-23 2021-11-23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2/018509 WO2023090979A1 (ko) 2021-11-22 2022-11-22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11A KR102557913B1 (ko) 2021-11-23 2021-11-23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534A true KR20230075534A (ko) 2023-05-31
KR102557913B1 KR102557913B1 (ko) 2023-07-21

Family

ID=8654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811A KR102557913B1 (ko) 2021-11-22 2021-11-23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638B1 (ko) 2016-09-05 2018-01-30 코나아이 (주) 보안 장치를 이용한 정품 인증 모듈,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2194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997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비주얼넷 분산원장을 rfid 키 저장소로 사용하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인증 키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638B1 (ko) 2016-09-05 2018-01-30 코나아이 (주) 보안 장치를 이용한 정품 인증 모듈,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2194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을 이용한 상품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997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비주얼넷 분산원장을 rfid 키 저장소로 사용하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인증 키 암호갱신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자태그 기반의 정품인증 서비스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허 1)
(비특허문허 2)
Martinod, N., Homayounfar, K., Lazzarotto, D., Upenik, E. and Ebrahimi, T., 2021, August. Towards a secure and trustworthy imaging with non-fungible tokens. In Application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XLIV (Vol. 11842, p. 1184218).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Raman, R. and Raj, B.E., 2021. The World of NFTs (Non-Fungible Tokens): The Future of Blockchain and Asset Ownership. In Enabl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Secure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pp. 89-108). IGI Glob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913B1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34923A1 (en) Secure and confidential custodial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using zero-knowledge protocol
CN110417750B (zh) 基于区块链技术的文件读取和存储的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9674156B2 (en) Event-triggered release through third party of pre-encrypted digital data from data owner to data assignee
US10999276B2 (en) Industrial internet encryption system
CN109120639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云存储加密方法及系统
US11290262B2 (en) Method and devices for communicating securely between devices
KR20210066867A (ko) 암호화된 자산 암호화 키 부분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자산 암호화 키의 어셈블리를 허용하는 암호화된 자산 암호화 키 부분
CN111324881B (zh) 一种融合Kerberos认证服务器与区块链的数据安全分享系统及方法
CN103502994A (zh) 用于处理隐私数据的方法
KR20200133881A (ko) 분산 환경에서의 신원 인증 방법
US11681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using quantum resistant keys
US11367065B1 (en) Distributed ledger system for electronic transactions
CN109685531A (zh) 基于区块链技术的产品质量认证方法和系统
CN112966022B (zh) 一种数据交易平台的信息查询方法、装置及系统
CN114020841A (zh) 一种数据共享系统、方法、存储介质和设备
CN109005196A (zh) 数据传输方法、数据解密方法、装置及电子设备
Yu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the 5g-enabled internet of things systems: Principle, applications and challenges
EP3779833B1 (en) Controlled-share identity transport stack
KR102554973B1 (ko) NFT(Non-fungible Token)와 물리적 대상인 원본을 일체화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7913B1 (ko)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88395A1 (en) Digital identity management device
Thompson et al. Multifactor IoT Authentication System for Smart Homes Using Visual Cryptography, Digital Memory, and Blockchain Technologies
WO2023090979A1 (ko) Nft(non-fungible token), 실물로서의 원본 작품 및 그 원본과 연결된 디지털 작품 간 결합관계를 생성, 유지,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244509A (zh) 使用移动终端进行sm2一次一密双向认证开锁的方法
KR20200134187A (ko) 분산 환경에서의 신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