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296A - gangway - Google Patents

gang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296A
KR20230075296A KR1020210161753A KR20210161753A KR20230075296A KR 20230075296 A KR20230075296 A KR 20230075296A KR 1020210161753 A KR1020210161753 A KR 1020210161753A KR 20210161753 A KR20210161753 A KR 20210161753A KR 20230075296 A KR20230075296 A KR 2023007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angway
footbridge
plunge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0753B1 (en
Inventor
유금범
이계봉
Original Assignee
유금범
이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이계봉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21016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753B1/en
Publication of KR2023007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7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bridge for walkin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each footbridge can be operated sequentially by different operating forces, so that sufficient operation can be achieved even with a short operating dista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angway part including a first bridge which is designed to be walkable and has one end installed on land so that it can rotate up and down, and a second bridge which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idge and selectively plac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ridge or rota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idge; a first rotation module installed on land and rotating the first bridge up and down;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idges and rotating the second bridg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bridge.

Description

갱웨이{gangway}gangway {gangway}

본 발명은 비사용 보관시 바람에 의한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갱웨이(gangwa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gangway capable of minimizing wind damage during storage when not in use.

일반적으로, 갱웨이는 부잔교 혹은, 바지선과 같은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과 육지와의 통행을 위해 제공되는 다리이다.In general, a gangway is a bridge provided for passage between a floating pier or a structure floating on the sea, such as a barge, and land.

이러한 갱웨이는 통상 육지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시 그의 끝단이 해상 구조물에 연결되면서 육지와 해상 구조물 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gangway is usually maintained installed on land, and if necessary, its end is connected to an offshore structure to form a passage between the land and offshore structures.

특히, 상기 해상 구조물의 경우는 조수 간만의 차이 혹은, 바람이나 파랑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흔들리며, 이로써 갱웨이의 양 끝단인 육지와 해상 구조물과의 연결 부위에 많은 부하가 제공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ffshore structure, it is shaken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s or the wind or waves, and thus, a lot of load is provi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and and the offshore structure, which are both ends of the gangway.

이에 따라, 상기 갱웨이의 일단은 육지에 설치하고, 갱웨이의 타단은 해상 구조물에 단순히 얹도록 함으로써 해상 구조물의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갱웨이와 해상 구조물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gangway is installed on land, and the other end of the gangway is simply placed on an offshore structur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gangway and offshore structure even if shaking of the offshore structure occurs, there is.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119162호(선행기술 1), 등록특허 제10-1254018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511689호(선행기술 3)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Regarding this, it is as suggest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9162 (Prior Art 1), Patent Registration No. 10-1254018 (Prior Art 2),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511689 (Prior Art 3).

전술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갱웨이의 파손 방지를 위한 구조는 통상적인 흔들림을 고려한 구조이며, 태풍과 같은 큰 바람이나 파도가 발생될 때에는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에서와 같이 갱웨이를 해상 구조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gangway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normal shaking. are stored separately.

즉, 태풍이 발생될 경우 해상 구조물의 유실 우려로 인해 상기 해상 구조물을 별도의 장소에 고정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갱웨이는 육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보관하였던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offshore structure is fixed and stored in a separate place due to concerns about loss of the offshor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typhoon, the gangway is stored with one end fixed to the land.

특히, 상기 갱웨이는 수면에 가까울수록 파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태풍의 발생시에는 상기 갱웨이를 일정 각도이상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하여 보관하고 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gangway can be affected by waves as it is closer to the water surface, the gangway is fixed and stored while being raised at a certain angle or more when a typhoon occurs.

하지만, 상기 갱웨이가 외팔보 구조로 일단만 고정되는 경우에는 갱웨이의 길이가 길수록 갱웨이의 중앙측 부위가 아래로 처지거나 휘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gangway is fixed only at one end in a cantilever structure, damage such as sagging or bending of the central part of the gangway occurs as the length of the gangway increases.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선행기술 1 혹은, 선행기술 2와 같이 갱웨이의 끝단에 해당 갱웨이를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로프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로프를 이용하는 방식은 해당 연결로프가 충분히 길게 인출되거나 혹은, 감기도록 이루어져야만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전기모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기 연결이 어려운 장소에의 설치는 사실상 불가능하였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s in Prior Art 1 or Prior Art 2, a connection rope for lifting the gangway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gangway. However, in the method using such a connecting rope, the connecting rope had to be pulled out or wound long enough, and for this purpose, an electric motor had to be used, so it was virtually impossible to install it in a place where electrical connection was difficult.

또한, 전술된 갱웨이의 보관 구조는 해당 갱웨이가 해상으로 과도히 돌출되기 때문에 태풍 등에 의해 그 주변에 위치된 선박이나 여타 해상 구조물이 상기 갱웨이에 부딪혀 서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angway storag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ships or other offshore structures located around the gangway collide with the gangway and damage each other due to a typhoon or the like because the gangway protrudes excessively into the sea.

등록특허 제10-1119162호Registered Patent No. 10-1119162 등록특허 제10-1254018호Registered Patent No. 10-1254018 등록특허 제10-1511689호Registered Patent No. 10-1511689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갱웨이의 보관시에는 최대한 짧은 길이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시의 긴 길이로 인한 휨 변형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shortest possible length during storage of a gangway, thereby reducing the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 long length during storage. This is to prevent breakag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it to be used even in a place where electricity is not supplied, so that it can be used even when the location is moved as nee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육상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와,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도교와 나란히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는 제2도교를 구비한 도교부가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walkable, one end is formed to be walkable and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otbridge which is installed rotatably up and down on land, and is formed to be walkable. As such, a footbridge unit having a second footbridge dispos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footbridge or rota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otbridge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육상에 구비되면서 제1도교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module that vertically rotates the first footbridge while being provided on land.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제1도교와 제2도교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도교를 제1도교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modul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idges and vertically rotating the second bridge with respect to the first bridge.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제1회전모듈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플런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fram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a lower e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An inclined frame connected to the part, a height adjusting cylinder installed on the inclined frame, a connecting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lunger of the height adjusting cylind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and the connecting rope sequentially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ll while passing through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복수의 안내롤러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면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를 지나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constituting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guide roller through which a connecting rope passes as i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lunger of a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and a connecting rope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through the first guide roll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메인프레임에는 연결로프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a support fram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ing rop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constituting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pport roller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rope passes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를 이루는 제2회전모듈은 일단이 제1도교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되는 꺽음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제1도교의 끝단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를 이루는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도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와 함께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module constituting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side of the first bridge, and its plunger is a folding cylinder configured to escape the end of the first bridge during a withdrawal opera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bridge, the other end is a first connecting link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unger constituting the folding cylinder, and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bridge It is installed, the other e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onnecting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unger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link.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갱웨이는 보관시 도교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해상 구조물과의 원치않는 부딪힘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ength of the bridge during storage,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due to wind or unwanted collision with offshore structures.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연결로프의 동작 및 꺽음용 실린더의 동작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짧은 플런저의 동작거리에도 불구하고 도교부의 원활한 길이 변화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the connection rope, and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for folding, it has an effect that the length of the bridge can be smoothly changed despite the short plunger operation distance.

특히,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겨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electricity, it can be used even in places where electricity supply is difficult, and it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by moving the location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펌프와 각 실린더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도교부가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D”부 확대도
1 is a front view of a gang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B” part of FIG. 1
4 is a side view of a gang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 pump and each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folded state of a bridge portion of a gang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C” part of FIG. 6
8 is an enlarged view of “D” part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갱웨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ttached.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gang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It is a side view of a gang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gangway)는 보행을 위한 도교가 복수로 분할됨과 더불어 각 도교는 서로 다른 조작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짧은 조작거리로도 충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ootbridges for walking, and each footbridge can be operated sequentially by different operating forces, and with a short operating distance. It was also made so that sufficient action could be mad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도교부(100)와, 제1회전모듈(200) 및 제2회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portion 100, a first rotation module 200,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300.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육상과 해상 구조물(예컨대, 부잔교, 바지선 등)을 보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도교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otbridge 100 connected to walk on land and offshore structures (eg, floating piers, barges, etc.).

이러한 도교부(100)는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한 바닥을 가지는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측부펜스(10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부펜스(101)는 해당 도교부(100)를 지나는 보행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Such a footbridge 100 may be composed of a footrest having a floor on which pedestrians can walk, and may have a side fence 101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At this time, the side fence 101 is provided to prevent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bridge portion 100 from falling.

상기 도교부(100)는 일단(도면상 우측 끝단)이 육상(예컨대, 호안(revetment) 혹은, 안벽(quay wall))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bridge unit 100 includes a first bridge 110 having one end (the right end in the drawing) rotatably installed on land (eg, a revetment or a quay wall).

이때, 육상의 바닥(1)에는 고정플랜지(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도교(110)의 일단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0)에 메인회전축(20)으로 결합되는 회전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도교(110)는 상기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랜지(10)는 육상 바닥(1)의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도교(110)가 일정 각도에 이르기까지는 하향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ed flange 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1, and a rotating flange 111 coupled to the fixed flange 10 as the main rotating shaft 2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footbridge 110. ) is formed. That is, the first footbridge 110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main rotating shaft 20 as a rotational center. At this time, the fixing flange 1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land floor 1, so that the first footbridge 110 can be rotated downward until it reaches a certain angle.

한편, 상기 제1도교(110)는 육상으로부터 해상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일정 거리는 육상을 벗어나는 거리이면서 해상 구조물(30)에는 닿지 않을 정도의 거리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ridge 1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enough to protrud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and toward the sea.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that does not reach the offshore structure 30 while leaving the land.

또한, 상기 도교부(100)는 상기 제1도교(110)로부터 연장되는 제2도교(1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에 연장되면서 해상 구조물(30)에 이르기까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bridge part 100 includes a second bridge 120 extending from the first bridge 110. The second bridge 120 extends from the first bridg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offshore structure 30 .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의 타단(도면상 좌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로써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서로 평행한 단일의 도교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ridge 120 extends from the other end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first bridge 110. Accordingly, a single bridge parallel to each other may be formed by the operation of spreading the first and second bridges 110 and 120 .

특히, 상기 제2도교(120)의 일단(도면상 우측 끝단)은 상기 제1도교(1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도교(120)와 제1도교(110)는 힌지축(121)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교부(100)가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피난 상태이거나 혹은, 운반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상기 힌지축(121)을 기준으로 서로 접힌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도교부(100)의 길이가 최대한 짧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태풍과 같이 센 바람이 부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도교부(100)가 파손(휨 혹은, 처짐 등)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one end (right end in the drawing) of the second bridge 12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idge 110 . To this end, the second bridge 120 and the first bridge 110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by a hinge shaft 121. That is, when the bridge unit 100 does not serve as a passage and is in an evacuation or transport state, the first bridge 110 and the second bridge 120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hinge axis 121. The folded state is achiev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ridge portion 100 can be made as short as possible. In this way, a problem in which the bridge portion 100 is damaged (bending or sagging, etc.) can be prevented in spite of strong windy weather such as a typhoon.

또한, 상기 제2도교(120)의 타단(도면상 좌측 끝단) 바닥에는 해상 구조물(30)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바퀴(12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ct wheel 122 for contact with the offshore structure 3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end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second bridge 120 .

한편,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2도교(120)의 회전시 수면에 닿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도교(110)의 들어올림 각도를 최대한 낮출 수 있다. 즉,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수면에 잠기거나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힐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도교(110)를 더욱 높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들어올려야 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the second bridge 120 is formed with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bridge 110 . Accordingly, the lifting angle of the first bridge 110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bridge 120 from touching the water surface during rotation. That is, if the second bridge 120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bridge 110, there is a risk of being submerged in the water or colliding with the offshore structure 30, and to prevent this, the first bridge 110 is positioned higher. This is to reduce the difficulty of work due to having to lift it up to .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보다 짧으면서도 상기 제1도교(110)의 절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2도교(120)가 수면에 잠기거나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힘을 방지하면서도 제1도교(11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어서 각 도교(110,120)에 작용되는 바람(예컨대, 태풍)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second bridge 120 is shorter than the first bridge 110 and long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first bridge 110 .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first bridge 110 can be made as short as possible while preventing the second bridge 120 from being submerged in the water or colliding with the offshore structure 30, so that the wind acting on each bridge 110 and 120 (eg, typhoon) ) can be minimiz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상기 제1도교(110)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rotation module 200 for vertically rotating the first footbridge 110 .

이러한 제1회전모듈(200)은 육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는 필요한 장소에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으로 구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육상의 바닥(1)에 일부가 매립됨으로써 견고히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is first rotation module 200 may be installed on land.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hat is,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movable type that can be moved and installed in a necessary place. Of course, the first rotation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firmly installed by partially embedding it in the ground floor 1.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연결로프(2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도교(110)를 들어올리거나 혹은, 아래로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to lift or lower the first footbridge 110 using the connecting rope 240 .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모듈(20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프레임(220)과, 상기 경사프레임(22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및 연결로프(2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first rotation module 200 includes a main frame 210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 inclined frame 220 installed obliquely to the main frame 210, and the inclined frame 2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251,252,253)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connection rope 240 installed on the.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메인프레임(2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Here, the main frame 210 is a part fixed to the ground. This main frame 210 is installed in a state of standing upr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제1도교(110)에 연결로프(240)가 연결되는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The main frame 210 is formed higher than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rope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110.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220)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경사프레임(220)은 상단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의 육상 바닥(1)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inclined frame 220 is a part for installing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The inclined frame 220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210 and a lower end installed on the land floor 1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210 .

물론,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를 메인프레임(210)에 설치하는 것보다 경사프레임(220)에 설치하는 것이 연결로프(240)의 당김 거리가 더욱 길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210)보다 경사프레임(220)이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의 동작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210 . However, installing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on the inclined frame 220 rather than installing it on the main frame 210 can make the pull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rope 240 longer. That is, since the inclined frame 220 is formed longer than the main frame 210,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연결로프(240)의 당김을 위한 동작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 연결로프(240)의 당김은 전기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갱웨이가 설치되는 호안이나 안벽은 해상에 인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전원선을 해당 장소에 이르기까지 연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도서지역의 섬과 같이 전기를 제공받기가 어려운 장소에서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230 is configured to provide an operating force for pulling the connecting rope 240. Of course, an electric motor may be used to pull the connection rope 240. However, since the revetment or quay wall where the gangway is usually installed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a, it may be difficult to connect the power line to that place. Moreover, it is more difficult to use an electric motor in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receive electricity, such as an island in an island region.

이를 고려한다면 유압(혹은, 공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로써 연결로프(240)의 당김을 위한 동작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가 제공되지 않는 장소이더라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는 예컨대, 핸드펌프(도 4 참조)60)를 이용하여 펌핑된 유압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핸드펌프(260)의 동작으로 펌핑된 유압은 제1호스(232)를 통해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261은 상기 핸드펀프(261)에 의해 펌핑되는 유압이 저장된 오일탱크이다.Considering this, the operating force for pulling the connecting rope 240 can be provided as a cylinder using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so that it can be used even in places where electricity is not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230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pumped using, for example, a hand pump (see FIG. 4) 60). At this time,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 pump 260 is provided to the height adjusting cylinder 230 through the first hose 232 . Reference numeral 261 denotes an oil tank in which hydraulic pressure pumped by the hand pump 261 is stored.

또한, 상기 연결로프(240)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인출 혹은, 인입되는 거리만큼 제1도교(110)를 들어올리거나 혹은, 내릴 수 있도록 연결되는 금속 재질의 로프(예컨대, 와이어)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rope 240 is a metal rope connected to lift or lower the first bridge 110 by the distance that the plunger 231 of the height adjusting cylinder 230 is drawn in or drawn in ( eg wire).

상기 연결로프(240)의 일단은 상기 경사프레임(220)의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된 연결단(2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11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rope 2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221 formed at any part of the inclined frame 2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110.

이때, 상기 연결로프(240)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 끝단보다 더욱 상측에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을 경유하는 연결로프(240)는 상기 플런저(231)의 인출에 의해 상기 일단의 연결 부위와 플런저(231) 사이의 길이가 길아지면서 연결로프(240)의 타단을 당기게 된다.At this time, a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rope 240 is connected is located higher than the end of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s a result, the connection rope 240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plunger 231 extends the length between the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lunger 231 by the withdrawal of the plunger 23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ope 240 will pull

이와 함께, 상기 연결로프(240)의 타단은 상기 제1도교(110)의 중앙(길이 방향을 기준으로볼 때 중앙)과 해당 제1도교(110)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 구조에 의해 짧은 거리의 들어올림으로도 제1도교(110)의 끝단이 최대한 높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ope 240 is made to be connected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bridge 110 (the center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first bridge 110. That is, the end of the first bridge 110 can be positioned as high as possible even with a short lifting distance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연결로프(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즉, 연결로프(240)는 상기 각 안내롤러(251,252,25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와 제1도교(110)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251 , 252 , 253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rope 240 . That is, the connecting rope 240 is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first bridge 110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each of the guide rollers 251 , 252 , and 253 .

특히,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플런저(231)에 의해 승강되는 제1안내롤러(251)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일측(경사프레임이 연결되는 측)에 위치되는 제2안내롤러(2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내롤러(251)는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런저(231)의 끝단을 경유하면서 급격히 꺽이는 연결로프(240)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롤러(252)는 상기 경사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안내롤러(252)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251 , 252 , 253 include the first guide roller 251 lifted by the plunger 231 and the first guide roller 251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210 (the side to which the inclined frame is conn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guide rollers (252).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roller 251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lunger 231, so that the rapidly bending connection rope 240 can move smoothly while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plunger 231. The second guide roller 252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210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frame 220 . Of course, the second guide roller 252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main frame 210 .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251,252,253)는 상기 제2안내롤러(252)를 지난 연결로프(240)가 급격한 꺽임없이 제1도교(1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3안내롤러(25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안내롤러(253)는 메인프레임(210)의 상단 타측(해상을 향하는 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251, 252, and 253 further include a third guide roller 253 so that the connection rope 240 passing through the second guide roller 252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110 without a sharp bend. can At this time, the third guide roller 253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210 (the side facing the sea).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안내롤러(252)의 경우 경사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guide roller 252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inclined frame 220 .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10)에는 상기 연결로프(24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7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70)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240)가 경유하는 지지롤러(27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도교(120)가 해양 구조물(30)에 안착될 경우 제3안내롤러(253)로부터 제1도교(110)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240)의 길이가 가장 길게 이루어져 처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70)이 자중으로 연결로프(24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일정한 텐션(tension)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270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rope 24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frame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270 has the connection rope 240 A support roller 271 passing through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second bridge 120 is seated on the offshore structure 30,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rope 240 from the third guide roller 253 to the first bridge 110 is the longest and may droop. Considering the state, the support frame 270 provides a pressing force to the connection rope 240 with its own weight so that a constant tension can be maintained.

전술된 제1회전모듈의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연결로프와 각 안내롤러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4와 같이 경사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 측에 어느 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제1안내롤러와 제2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한 후 연결로프로 경사프레임과 제1도교의 일측을 연결하고, 경사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다른 일 측에 다른 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제1안내롤러와 제2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한 후 또 다른 연결로프로 경사프레임과 제1도교의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Two or more cylinder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rotation module, connecting ropes, and guide roller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For example,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4, after installing a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a first guide roller, a second guide roller, and a third guide roller on either side of the inclined frame and the main frame, respectively, the inclined frame and the first guide roller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rope. Connect one side of the footbridge, install another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the first guide roller, the second guide roller, and the third guide roller on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frame and the main frame, respectively, and then connect the inclined frame and control with another connecting rope. 1 The other side of the bridge can be connec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제2도교(120)를 제1도교(110)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otation module 300 for vertically rotating the second viaduct 120 of the gangway with respect to the first viaduc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제2회전모듈(300)은 상기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의 연결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module 300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ridge 110 and the second bridge 120.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회전모듈(300)은 제2도교(120)의 강제적인 회전 동작을 위한 꺽음용 실린더(310)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연결링크(321,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회전모듈(300)은 꺽음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한 연결링크(321,322)의 동작으로 제1도교(110)로부터 제2도교(1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on module 300 connects a folding cylinder 310 for forcible rotation of the second bridge 120, and the folding cylinder 310 and the second bridge 1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link (321, 322) to. That is, the second rotation module 300 allows the second viaduct 120 to be rotated from the first viaduct 110 by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links 321 and 322 by the operation of the folding cylinder 310.

여기서,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는 일단이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311)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된다.Here, one end of the folding cylinder 31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side of the first bridge 110, and its plunger 311 escapes the end of the first bridge 110 during a withdrawal operation. is composed of

특히, 상기한 꺽음용 실린더(310)는 핸드펌프(260)를 이용하여 펌핑된 유압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펌프(260)에서 펌핑된 유압은 제2호스(312)를 통해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olding cylinder 310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pumped using the hand pump 260.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by the hand pump 260 is provided to the folding cylinder 310 through the second hose 312 .

상기 핸드펌프(260)는 전술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드펌프(260)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를 연결하는 제1호스(232)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233)가 구비되고, 상기 핸드펌프(260)와 꺽음용 실린더(310)를 연결하는 제2호스(312)에는 해당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13)가 구비된다.The hand pump 26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aforementioned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cylinder 310 for folding. To this end, the first hose 232 connecting the hand pump 260 and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closing valve 2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rresponding flow path, and The second hose 312 connecting the drinking cylinder 31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closing valve 313 that opens and closes the corresponding flow path.

즉, 두 개폐밸브(233,313)의 선택적인 조작으로 각 호스(232,312)를 개폐함으로써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혹은, 꺽음용 실린더(310)가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폐밸브(233) 및 상기 제2개폐밸브(313)는 수동 조작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two opening/closing valves 233 and 313 to open and close each hose 232 and 312,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230 or the folding cylinder 310 can be selectively operated. At this time, the first on-off valve 233 and the second on-off valve 313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manual operation.

또한, 상기 연결링크(321,322)는 일단이 상기 제1도교(110)의 끝단 외면(저면)에 형성된 지지플랜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를 이루는 플런저(311)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321)와, 일단이 상기 제2도교(12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321)와 함께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32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된 두 연결링크(321,322)의 연결 구조에 의해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되는 동작으로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에 대하여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혹은, 접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ks 321 and 3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lange 1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footbridge 110, and the other end is a plunger constituting the folding cylinder 310 A first connecting link 321 connected to the end of 311,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bridge 120, and the other end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link 321, the plunger ( 311)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link 322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That is, by the operation in which the plunger 311 of the folding cylinder 310 is drawn out by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wo connecting links 321 and 322, the second bridge 120 is sprea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ridge 110, or Or, it is made to be folded.

특히, 상기 제1연결링크(321)와 제2연결링크(322)의 끝단(플런저와 연결되는 측의 끝단)은 플런저(311)의 동작 방향을 고려하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321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k 322 (ends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plunger) may be formed to be ben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lunger 311 .

이때,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제1연결링크와 제2연결링크가 연결되는 부위)은 두 도교(110,120)가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두 도교(110,12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311)의 끝단이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외측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plunger 311 (the part where the first connecting link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k are connecte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ridge 110 rather than the hinge shaft 121 in a state in which the two bridges 110 and 120 are unfolded do. When the two bridges 110 and 120 are folded, the end of the plunger 311 is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bridge 110 rather than the hinge shaft 121 .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웨이의 각 상황별 동작 상태 및 동작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state and operation process for each situation of the gangwa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갱웨이의 사용시에는 도교부(100)를 이루는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가 펼쳐진 상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도교(120)의 타단(해상 구조물측 끝단, 도면상 좌측 끝단)은 해상 구조물(30)의 상면에 얹히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도교(120)의 끝단 바닥에 구비된 접촉바퀴(122)는 상기 해상 구조물(30)에 얹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해상 구조물(30)의 상하 유동(예컨대, 출렁임)이 발생되더라도 제2도교(120)의 얹힘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when the gangway is used, the first and second bridges 110 and 120 constituting the bridge part 100 extend side by side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idge 120 (the end of the offshore structure side) , the left end in the drawing) is positioned so as to res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ffshore structure 30. At this time, the contact wheel 122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nd of the second bridge 12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resting on the offshore structure 30. As a result, even if vertical movement (eg, rocking) of the offshore structure 30 occurs, the second bridge 120 can be stably placed.

이러한 초기의 상태에서, 해상 구조물(30)을 이동시키거나, 태풍 등의 강한 바람에 의한 파손 위험이 발생될 경우 혹은, 만조시와 같이 해수위가 과도히 높을 경우에는 도교부(200)를 들어올려 해상 구조물(30)로부터 이격시킨다.In this initial state, when the offshore structure 30 is moved, when there is a risk of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such as typhoons, or when the sea level is excessively high, such as at high tide, the bridge unit 200 is lifted and It is separated from the offshore structure (30).

이를 위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 상태로 핸드펌프(260)를 동작시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를 점차 인출한다.To this end, the first on-off valve 233 is operated to open the first hose 232 and the second on-off valve 313 is operated to close the second hose 312 while the hand pump 260 is operated. to gradually withdraw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상기한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점차 인출됨에 따라 안내로프(240) 중 경사프레임(220)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제1안내롤러(251)에 이르기까지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상기 안내로프(240)의 타단은 제3안내롤러(253)를 향해 점차 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로프(240)의 타단이 연결된 제1도교(110)는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점차 들어올려진다.As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is gradually withdrawn, the length from one end fixed to the inclined frame 220 of the guide rope 240 to the first guide roller 251 gradually increases.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pe 240 is gradually pulled toward the third guide roller 253. Accordingly, the first footbridge 11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pe 240 is connected is gradually lifted around the main rotating shaft 20 as a center of rotation.

그리고, 상기 동작에 의해 제1도교(110)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면(들어올려지면)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동작은 정지되고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폐쇄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어, 핸드펌프(260)의 동작에 의해 펌핑된 유압을 상기 꺽음용 실린더(310)가 제공받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ootbridge 110 is rotated (lifted) by the set angle by the above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cylinder 230 is stopped and the plunger 311 of the folding cylinder 310 is drawn out. is carried out To this end, the first on-off valve 233 is operated to close the first hose 232 and the second on-off valve 313 is operated to open the second hose 312, by the operation of the hand pump 260. The pumped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olding cylinder 310 .

상기 작용에 의해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출될 경우에는 해당 플런저(311)와 각 연결링크(321,322) 간의 연결 부위가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로써 제2연결링크(322)의 일단(제2도교와의 연결 부위)은 상기 힌지축(121)보다 아래에 위치되면서 제2도교(120)의 일단이 제1도교(110)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된다.When the plunger 311 of the folding cylinder 310 is drawn out by the above ac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plunger 311 and each of the connecting links 321 and 322 connects the first bridge 110 and the second bridge 120. It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bridge 110 than the connecting hinge shaft 121. As a resul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link 322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cond bridge) is located below the hinge axis 121, and one end of the second bridge 120 i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idge 110 is bent

이때, 상기 제2도교(120)는 상기 제1도교(110)가 일정 각도 이상 들어올려진 이후 하향 절곡되기 때문에 해당 제2도교(120)가 하향 절곡되는 과정에서 해상 구조물(30)에 부딪힘 혹은, 해상에 잠기는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의 상태와 같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bridge 120 is bent downward after the first bridge 110 is lifted at a certain angle or more, the second bridge 120 collides with the offshore structure 30 in the process of downward bending, or The problem of being submerged at sea can be avoided. This is the same as the state of FIGS. 6 to 8 attached.

그리고, 상기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로부터 하향 절곡된 상태가 완료되면 제2개폐밸브(313)가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다. 이로써 제1호스(232)와 제2호스(312)가 모두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이조절용 실린더(230) 및 꺽음용 실린더(310)는 각각 플런저(231,311)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ownward bending of the second bridge 120 from the first bridge 110 is completed, the second on/off valve 313 is operated to close the second hose 312 . As a result, since both the first hose 232 and the second hose 312 are closed,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cylinder 310 for folding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plungers 231 and 311 are withdrawn, respectively.

따라서, 갱웨이를 이루는 도교부(200)는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로써 도교부(200)의 길이가 최대화된 상태로 보관할 때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휨 변형이나 파손 발생이 확연히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bridge portion 200 constituting the gangway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is minimized, and thus,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or breakage caused by the influence of wind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length of the bridge portion 200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bridge portion 200 is maximized. or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와 같은 도교부(200)의 보관 상태에서 다시금 해당 도교부(200)를 해상 구조물(30)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된 제2도교(120)의 접음 과정과는 역순으로 조작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rying to connect the bridge part 200 to the offshore structure 30 again in the storage state of the bridge part 200 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second bridge part 120 is operated in the reverse order. do.

즉,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폐쇄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개방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 핸드펌프(260)를 동작하여 꺽음용 실린더(310)에 유압을 제공하면서 해당 꺽음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가 인입되도록 동작시킨다.That is, the first on-off valve 233 is operated to close the first hose 232 and the second on-off valve 313 is operated to open the second hose 312 by operating the hand pump 260. While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folding cylinder 310, the plunger 311 of the folding cylinder 310 is operated to be drawn in.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311)와 각 연결링크(321,322) 간의 연결 부위가 제1도교(110)와 제2도교(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21)보다 제1도교(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연결링크(322)의 일단(제2도교와의 연결 부위)은 점차 힌지축(121)과 같은(혹은, 더욱 높은)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향 이동되면서 제2도교(120)는 제1도교(110)와 점차 수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nger 311 and each of the connecting links 321 and 32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ridge 110 rather than the hinge shaft 121 connecting the first bridge 110 and the second bridge 120 And, as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link 322 (connection portion with the second bridge) gradually moves upward to the same (or higher) height as the hinge axis 121, the second bridge 120 1 bridge 110 and gradually achieve a horizontal state.

이후, 상기 동작으로 제2도교(120)가 제1도교(110)와 수평한 상태를 이루면 제1개폐밸브(233)는 제1호스(232)를 개방하도록 조작되고 제2개폐밸브(313)는 제2호스(312)를 폐쇄하도록 조작된다. 이로써, 핸드펌프(260)의 동작으로 펌핑된 유압은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에 제공되면서 해당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의 플런저(231)가 인입되도록 동작시킨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bridge 120 is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first bridge 110 through the above operation, the first opening/closing valve 233 is operated to open the first hose 232 and the second opening/closing valve 313 is operated to close the second hose 312. Thus,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 pump 260 is provided to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plunger 231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is operated to be drawn in.

따라서, 상기 조작 및 동작에 의해 제1도교(110)는 메인회전축(20)을 회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고, 제2도교(120)의 끝단은 해상 구조물(30)에 얹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bridge 110 is rotated downward around the main rotating shaft 20 by the manipulation and operation, and the end of the second bridge 120 rests on the offshore structure 30.

이의 상태에서는 핸드펌프(260)에 걸린 압력을 해소함으로써 각 회전 부위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and pump 260 is relieved so that each rotating part can flow freely.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갱웨이는 그의 보관시 도교부(2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나 해상 구조물(30)과의 원치않는 부딪힘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After all,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minimize the length of the bridge portion 200 during storage thereof, damage caused by wind or unwanted collision with the offshore structure 30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갱웨이는 높이조절용 실린더(230)와 연결로프(240)의 동작 및 꺽음용 실린더(310)의 구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짧은 플런저(231,311)의 동작거리에도 불구하고 도교부(200)의 원활한 길이 변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30 for height adjustment and the connection rope 240 and the drive of the cylinder 310 for folding, despite the short operating distance of the plungers 231 and 311, the footbridge 200 ), a smooth length change i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의 갱웨이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gangw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use electricity,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electricity supply is difficult.

1. 육상 바닥 10. 고정플랜지
20. 메인회전축 30. 해상 구조물
100. 도교부 101. 측부펜스
110. 제1도교 111. 회전플랜지
120. 제2도교 121. 힌지축
122. 접촉바퀴 200. 제1회전모듈
210. 메인프레임 220. 경사프레임
230. 높이조절용 실린더 231. 플런저
232. 제1호스 233. 제1개폐밸브
240. 연결로프 251,252,253. 안내롤러
260. 핸드펌프 270. 지지프레임
271. 지지롤러 300. 제2회전모듈
310. 꺽음용 실린더 311. 플런저
312. 제2호스 313. 제2개폐밸브
321. 제1연결링크 322. 제2연결링크
1. Land floor 10. Fixed flange
20. Main axis of rotation 30. Offshore structure
100. Ministry of Education 101. Side fence
110. First bridge 111. Rotation flange
120. Second Tao Bridge 121. Hinge Axis
122. Contact wheel 200. First rotation module
210. Main frame 220. Inclined frame
230.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231. Plunger
232. 1st hose 233. 1st on-off valve
240. Connecting ropes 251,252,253. guide roller
260. Hand pump 270. Support frame
271. Support roller 300. Second rotation module
310. Cylinder for folding 311. Plunger
312. 2nd hose 313. 2nd on/off valve
321. First connection link 322. Second connection link

Claims (5)

보행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육상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교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도교와 나란히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1도교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회전되는 제2도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교부;
육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도교를 상하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듈;
상기 제1도교와 제2도교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도교를 제1도교에 대하여 상하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A first footbridge formed to be walkable and one end installed rotatably up and down on the lan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otbridge and optionally arranged alongside the first footbridge, or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otbridge a footbridge including a second footbridge that rotates;
a first rotation module installed on land and rotating the first footbridge up and down;
The gangw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otation modul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idges and rotating the second bridg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bri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모듈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측 부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과는 이격된 부위에 연결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단을 향해 플런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경사프레임 중 상기 플런저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도교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tation module is
A main frame installed to be erect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A cylinder for height adjustment fixed to the inclined frame and installed so that the plunger protrud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frame;
A connecting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plunger in the inclined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footbridge;
A gangw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installed so that the connecting ropes can roll while passing through them sequential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난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제2안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타측에 위치되어 제2안내롤러를 지난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제3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A first guide roller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lunger;
A second guide roll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guiding the connecting rope past the first guide roller;
Gangw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guide roll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guiding the connecting rope past the second guide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연결로프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지지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rop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The gang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ller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rope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모듈은
일단이 상기 제1도교의 끝단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플런저는 인출 동작시 상기 제1도교의 끝단을 벗어나도록 구성되는 꺽음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제1도교의 끝단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꺽음용 실린더를 이루는 플런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2도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와 함께 상기 플런저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웨이.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otation module
A folding cylinde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side of the first bridge, and whose plunger is configured to leave the end of the first bridge during a withdrawal operation;
A first connecting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bridg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unger constituting the folding cylinder;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bridge,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lunger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link.

KR1020210161753A 2021-11-22 2021-11-22 gangway KR102560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en) 2021-11-22 2021-11-22 gang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en) 2021-11-22 2021-11-22 gang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296A true KR20230075296A (en) 2023-05-31
KR102560753B1 KR102560753B1 (en) 2023-07-27

Family

ID=8654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753A KR102560753B1 (en) 2021-11-22 2021-11-22 gang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75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2B1 (en) 2008-08-05 2012-03-20 이남서 Floating pier
KR101254018B1 (en) 2012-12-05 2013-04-12 (주)하나 Floating pier
KR101315385B1 (en)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Bridge of folding type
KR101511689B1 (en) 2013-07-26 2015-04-10 김대령 foot bridge of floating pier
KR20160048472A (en) * 2014-10-24 2016-05-04 이도희 tactical bridge
KR101672778B1 (en) * 2014-05-08 2016-11-07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Bridge having board carr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2B1 (en) 2008-08-05 2012-03-20 이남서 Floating pier
KR101254018B1 (en) 2012-12-05 2013-04-12 (주)하나 Floating pier
KR101315385B1 (en)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Bridge of folding type
KR101511689B1 (en) 2013-07-26 2015-04-10 김대령 foot bridge of floating pier
KR101672778B1 (en) * 2014-05-08 2016-11-07 주식회사 반도산업개발 Bridge having board carrier
KR20160048472A (en) * 2014-10-24 2016-05-04 이도희 tactical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753B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1366B1 (en) Flood guard barrier lifting system
KR101680172B1 (en) Floating flap gate
US7438504B2 (en) Arrangement for anchoring a floating structure
KR100929613B1 (en) Compound gate floodgate
KR20140099551A (en) Floating flap gate
JP2007126862A (en) Flood damage, snow damage and sediment disaster countermeasure structure for building
WO2010139725A1 (en) Method of installa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and combination of an offshore wind turbine and a floating vessel
JP2017036595A (en) Floating body type flap gate
JP2010133095A (en) Door body mooring device of derricking gate breakwater
KR102560753B1 (en) gangway
CN113235394A (en) Floating bridge capable of being opened horizontally
WO2016174919A1 (en) Floating body type flap gate
KR101635160B1 (en) Cable Stayed Bridges movable multiple hinge and energy saving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32128B1 (en) Fence for sports facilities in a riverside
CN102858626B (en) For the equipment of faltboat springboard
TWI767973B (en) Undulating gate
JP2003239243A (en) Undulation type wave preventive device
JP5699888B2 (en) Floating type undulating gate facility
KR101939878B1 (en) Fenderlift variable pier type dam
KR100890029B1 (en) Gate built-in type aqueduct for tidal power embankment
KR102382711B1 (en) Gangway lift equipment with left-right rotation restoration function
KR102599629B1 (en) Water defence apparatus for underground entrance
KR102613908B1 (en) A floating platform equipped with a conveyor
JP4031694B2 (en) Seawall / breakwater
KR20100095805A (en) Boarding bridge for embarkation andleaving a ship on whar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