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375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375A
KR20230074375A KR1020210160756A KR20210160756A KR20230074375A KR 20230074375 A KR20230074375 A KR 20230074375A KR 1020210160756 A KR1020210160756 A KR 1020210160756A KR 20210160756 A KR20210160756 A KR 20210160756A KR 20230074375 A KR20230074375 A KR 2023007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rame
input image
frames
scale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재
박승환
임남재
최영운
양성모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375A/ko
Priority to CN202211437341.6A priority patent/CN116153256A/zh
Priority to EP22208271.1A priority patent/EP4184495A3/en
Priority to US17/990,171 priority patent/US20230162651A1/en
Publication of KR2023007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제어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는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플래그를 기초로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는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일반 영상 프레임들 사이에 블랙 영상 프레임이 삽입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모션 블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일반 영상 프레임들 사이에 블랙 영상 프레임이 삽입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제어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플래그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들은 교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인지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넷 파워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제1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로고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에서 기준 크기 범위 내의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전체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로고 보상부는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스크린 세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전체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제N 프레임은 제N-1 프레임과 동일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전역 전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타겟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상기 타겟 전류와 상기 표시 패널의 센싱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상값과 동일한 값을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상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전압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반영하여 제N+1 프레임의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전원 전압 보상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구동 제어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일부가 블랙 영상 프레임으로 변환된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넷 파워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제1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K+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홀수 번째 프레임들 및 짝수 번째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로고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기준 크기 범위 내의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스크린 세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전역 전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상기 제K 프레임 및 상기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타겟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상기 타겟 전류와 상기 표시 패널의 센싱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K 프레임 및 상기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전압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K는 1 이상의 자연수).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반영하여 제K+1 프레임의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플래그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들은 교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인지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일반 영상 프레임들 사이에 블랙 영상 프레임이 삽입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는 호스트로부터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각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인지를 정확히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이를 기초로 상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기 위한 스케일 팩터 및 보상값을 적절히 연산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제어부의 오동작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 영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 영상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넷 파워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동 제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넷 파워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중간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2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2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구동 제어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 모듈을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iming Controller Embedded Data Driver, TED)로 명명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AA) 및 표시부(AA)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퀀텀-닷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퀀텀-닷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나노 발광 다이오드 및 퀀텀-닷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퀀텀-닷 나노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시 패널(100)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상기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일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은 상기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블랙 프레임 삽입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블랙 프레임 삽입 영상에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들은 교번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모션 블러(motion blur)가 감소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표시 패널(100)의 픽셀들(P)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가 데이터 구동 IC의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 I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할 수 있다. 호스트(20)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칩 일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상기 제2 모드의 시작을 나타내는 모드 개시 신호(MSS)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종료를 나타내는 모드 종료 신호(MSE)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입력 영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 영상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 또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모드에서(예컨대, 모드 종료 신호(MSE)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모드 개시 신호(MSS)를 수신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는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프레임은 프레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예컨대, 모드 개시 신호(MSS)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모드 종료 신호(MSE)를 수신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는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과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은 교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주파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주파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주파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주파수의 두 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주파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의 개수의 절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주파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예컨대, 모드 개시 신호(MSS)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모드 종료 신호(MSE)를 수신하기 이전의 기간 동안) 호스트(2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200)는 모드 개시 신호(MSS)와 함께 플래그(FG)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모드 종료 신호(MSE)를 수신하기 이전까지 플래그(FG)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그(FG)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래그(FG)는 각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프레임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플래그(FG)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첫 번째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가 모드 개시 신호(MSS)와 함께 플래그(FG)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의 개시 시점과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유형이 정확하게 동기화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입력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각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정확히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제어 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제2 제어 신호(CONT2)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제3 제어 신호(CONT3)를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전원 전압 생성부(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4 제어 신호(CONT4)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제4 제어 신호(CONT4)를 전원 전압 생성부(600)에 출력할 수 있다. 제4 제어 신호(CONT4)는 전원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부(300)는 표시 패널(100)의 주변부(PA) 상에 집적될 수 있다.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수신한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할 수 있다.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수신하고,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 신호(DATA)를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전원 전압(ELVDD)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로우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게이트 구동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500)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구동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도 4는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구동 제어부(200)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의 구동 제어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2 모드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플래그(FG)를 수신하고,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플래그(FG)를 기초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가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수신함에 따라,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입력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각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정확히 입력 받을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이를 기초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를 조절하기 위한 스케일 팩터 및 보상값을 적절히 연산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가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각 프레임의 유형을 잘못 판단하고(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을 블랙 영상 프레임(BF)으로 판단하거나 블랙 영상 프레임(BF)을 일반 영상 프레임(IF)으로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의 오동작으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표시 품질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넷 파워 제어부(210) 및 데이터 연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플래그(FG)를 기초로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로드를 계산하고, 상기 로드와 기준 로드를 비교하여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상기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값을 감소시키거나 유지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를 초과하는 경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온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 이하인 경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오프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전체 계조를 합산하거나, 전체 계조 중 일부 계조를 샘플링하여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를 계산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 및 상기 스케일 팩터는 프레임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가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은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제N 프레임의 로드와 상기 기준 로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 예를 들면, 상기 제N 프레임의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N+1 프레임에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온되고, 상기 제N 프레임의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 이하인 경우 제N+1 프레임에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오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스케일 팩터를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적용해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하면,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에서는 상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항상 턴 오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N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 넷 파워 제어부(21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넷 파워 제어부(210)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넷 파워 제어부(210)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케일 팩터를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적용해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데이터 연산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220)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넷 파워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넷 파워 제어부(210)는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 및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호스트(2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를 기초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로드를 계산하고, 상기 로드를 기준 로드와 비교하여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케일 팩터(SF1)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프레임 단위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로드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계산 및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케일 팩터(SF2)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프레임 단위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해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케일 팩터(SF2)가 0.5인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값 또는 픽셀 코드값이 절반으로 감소된 중간 영상 데이터(IMG2)가 생성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프레임 단위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은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상기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해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 및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 및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적용해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상기 제N 프레임의 로드를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로고 보상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고 보상부(230)는 호스트(2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수신할 수 있다.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로고(logo)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고 보상부(230)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CP1)을 생성하여 넷 파워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제1 보상값(CP1)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내에 포함되는 고정 영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제N 프레임의 계조를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와 비교하여,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시간은 소정 개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즉,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상 유지되면(즉,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상기 고정 영상이 인지되면), 상기 고정 영상을 로고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로고를 판단하기 위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고, 상기 고정 영상의 크기가 기준 크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크기 범위는 일반적인 로고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크기 범위보다 큰 고정 영상이나 상기 기준 크기 범위보다 작은 고정 영상은 상기 로고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로고 보상부(230)는 상기 제N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 영상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로고 보상부(230)가 일반 영상 프레임들(IF)과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이 교번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전체에서 상기 고정 영상의 상기 기준 시간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서는 항상 상기 로고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고 보상부(230)는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 로고 보상부(23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을 제외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기초로 상기 로고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고 보상부(23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및 블랙 영상 프레임들(BF) 전체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로고 보상부(230)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로고 보상부(230)는 상기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면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로고 보상부(230)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CP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상값(CP1)은 상기 로고가 위치하는 로고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상값(CP1)이 반영된 제2 스케일 팩터(SF2)는 상기 로고 영역과 상기 로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스크린 세이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세이버(240)는 호스트(2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CP2)을 생성하여 넷 파워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제2 보상값(CP2)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제N 프레임의 계조를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와 비교하여, 상기 제N-1 프레임과 상기 제N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영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준 시간은 소정 개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즉,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이상 유지되면(즉,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동일한 영상이 인지되면), 상기 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정지 영상을 판단하기 위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상기 제N 프레임과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은 다른 영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세이버(240)가 일반 영상 프레임들(IF)과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이 교번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전체에서 동일한 영상의 상기 기준 시간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서는 항상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세이버(240)는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 스크린 세이버(24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에서 동일한 영상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중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을 제외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기초로 상기 정지 영상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및 블랙 영상 프레임들(BF) 전체에서 동일한 영상이 상기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스크린 세이버(240)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스크린 세이버(240)는 상기 제N 프레임은 상기 제N-1 프레임과 동일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크린 세이버(240)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CP2)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전역 전류 관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넷 파워 제어부(21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수신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기초로 타겟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전류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 전류(IS)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전류(IS)는 전원 전압 라인을 통해 모든 픽셀들(P)에 공통적으로 인가되는 전류일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상기 타겟 전류와 센싱 전류(IS)를 비교하여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값(CP3)을 생성하여 넷 파워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제3 보상값(CP3)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전류는 프레임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가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타겟 전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역 전류 관리 동작은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기초로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타겟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타겟 전류와 센싱 전류(IS)를 비교해 제3 보상값(CP3)을 생성하여 넷 파워 제어부(210)에 출력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3 보상값(CP3)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하고,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해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넷 파워 제어부(210)로부터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N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 전역 전류 관리부(25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전역 전류 관리부(250)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3 보상값(CP3)과 동일한 값을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3 보상값(CP3)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전원 전압 보상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넷 파워 제어부(210)로부터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를 생성하여 전원 전압 생성부(60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는 상기 전원 전압을 픽셀들(P)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화 영역에서 동작시키는 최적의 전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를 포함하는 제4 제어 신호(CONT4)에 응답하여, 전원 전압(ELVDD)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의 소비 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는 프레임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전원 전압 보상부(260)가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원 전압 보상 동작은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기초로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를 생성하여 전원 전압 생성부(600)에 출력할 수 있다.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를 반영하여 상기 제N+1 프레임의 전원 전압(ELVDD)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넷 파워 제어부(210)로부터 플래그(FG)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N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예컨대,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 전원 전압 생성부(60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인 경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이전 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와 동일한 신호를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전원 전압 제어 신호(EC)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및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을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 및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FG)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200)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에 포함된 각 프레임이 일반 영상 프레임(IF)인지 블랙 영상 프레임(BF)인지를 정확히 입력 받을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이를 기초로 제2 입력 영상 데이터(IMGb)의 계조를 조절하기 위한 스케일 팩터 및 보상값을 적절히 연산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의 오동작으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표시 품질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되는 제어 동작(예컨대, 상기 넷 파워 컨트롤 동작, 상기 전역 전류 관리 동작, 상기 전원 전압 보상 동작 등)의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구동 제어부(200)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영상의 기준 시간 유지 여부로 보상 여부를 판단(예컨대, 로고 판단, 정지 영상 판단 등)하는 제어 동작의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이 블랙 영상 프레임(BF)이면 구동 제어부(200)는 일반 영상 프레임(IF)인 상기 제N-1 프레임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블랙 영상 프레임(BF)을 제외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기준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의 오동작으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표시 품질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구동 제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넷 파워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의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중간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제어부(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제어부(200')를 설명하며,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1,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상기 제2 모드의 시작을 나타내는 모드 개시 신호(MSS)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종료를 나타내는 모드 종료 신호(MSE)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모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모드에서도 호스트(20)로부터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프레임들은 모두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호스트(20)로부터 플래그(FG)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수신하고,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고,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예컨대, 모드 개시 신호(MSS)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모드 종료 신호(MSE)를 수신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일부를 블랙 영상 프레임(BF)으로 변환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홀수 번째 프레임들 및 짝수 번째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를 블랙 영상 프레임(BF)으로 변환하여(예컨대, 스케일 팩터를 0으로 생성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00')는 넷 파워 제어부(210') 및 데이터 연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기초로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로드를 계산하고, 상기 로드와 기준 로드를 비교하여 스케일 팩터를 생성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상기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계조값을 감소시키거나 유지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상기 로드 및 상기 스케일 팩터는 프레임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가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상기 로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은 1 프레임 딜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넷 파워 제어부(21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제K 프레임의 로드와 상기 기준 로드를 비교하여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K+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K는 1 이상의 자연수). 예를 들면, 상기 제K 프레임의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K+1 프레임에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온되고, 상기 제K 프레임의 로드가 상기 기준 로드 이하인 경우 제K+1 프레임에 넷 파워 컨트롤 동작이 턴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넷 파워 제어부(210')는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 및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호스트(20)로부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계조를 기초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로드를 계산하고, 상기 로드를 기준 로드와 비교하여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케일 팩터(SF1)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는 프레임 단위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상기 로드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계산 및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스케일 팩터 생성부(212)로부터 제a 입력 영상 데이터(IMGa) 및 제1 스케일 팩터(SF1)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1)의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케일 팩터(SF2')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프레임 단위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일부에 대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홀수 번째 프레임들 및 짝수 번째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제2 스케일 팩터(SF2')를 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스케일 팩터 보상부(214')로부터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 및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수신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해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스케일 팩터 적용부(216)는 프레임 단위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적용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에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및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을 포함하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모드에서의 중간 영상 데이터(IMG2')에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과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은 교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210')는 로고 보상부(230), 스크린 세이버(240), 전역 전류 관리부(250) 및 전원 전압 보상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고 보상부(230), 스크린 세이버(240), 전역 전류 관리부(250) 및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프레임들은 모두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이므로, 로고 보상부(230), 스크린 세이버(240), 전역 전류 관리부(250) 및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로고 보상부(230), 스크린 세이버(240), 전역 전류 관리부(250) 및 전원 전압 보상부(260)는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값들(CP1, CP2, CP3)을 정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넷 파워 제어부(210')는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스케일 팩터(SF1)에 보상값들(CP1, CP2, CP3)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SF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모드에서 넷 파워 제어부(210')는 상기 제K 프레임이 홀수 번째 프레임인 경우(또는, 짝수 번째 프레임인 경우) 제2 스케일 팩터(SF2')를 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에서 넷 파워 제어부(210')는 일반 영상 프레임들(IF)과 블랙 영상 프레임들(BF)이 교번하는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20)로부터 일반 영상 프레임들(IF)을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이를 기초로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의 계조를 조절하기 위한 스케일 팩터 및 보상값을 적절히 연산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일부를 블랙 프레임(BF)으로 변환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IMG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IMGa)에 포함된 일반 영상 프레임들(IF) 중 홀수 번째 프레임들 또는 짝수 번째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최종 스케일 팩터를 0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모드에서 구동 제어부(200')의 오동작으로 인해 표시 장치(10)의 표시 품질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표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표시 장치 20: 호스트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210: 넷 파워 제어부 220: 데이터 연산부
230: 로고 보상부 240: 스크린 세이버
250: 전역 전류 관리부 260: 전원 전압 보상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전원 전압 생성부

Claims (24)

  1. 표시 패널;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플래그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들은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인지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인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제1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넷 파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N은 2 이상의 자연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상기 제N+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에서 기준 크기 범위 내의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을 생성하는 로고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전체에서 상기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N-1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N 프레임에 상기 고정 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을 생성하는 스크린 세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중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세이버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전체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상기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제N 프레임은 제N-1 프레임과 동일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타겟 전류를 계산하고, 상기 타겟 전류와 상기 표시 패널의 센싱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값을 생성하는 전역 전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전역 전류 관리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상값과 동일한 값을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보상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N 프레임 및 상기 제N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전압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반영하여 제N+1 프레임의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프레임이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이면, 상기 전원 전압 보상부는 제N-1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상기 제N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표시 패널;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일부가 블랙 영상 프레임으로 변환된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제1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에 보상값을 반영하여 제2 스케일 팩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적용해 제K+1 프레임의 계조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넷 파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넷 파워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 중 홀수 번째 프레임들 및 짝수 번째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는 상기 제2 스케일 팩터를 0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는 1 이상의 자연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기준 크기 범위 내의 고정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로고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보상값을 생성하는 로고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영상이 소정 개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정지 영상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2 보상값을 생성하는 스크린 세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K 프레임 및 상기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타겟 전류를 계산하고, 상기 타겟 전류와 상기 표시 패널의 센싱 전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보상하기 위한 제3 보상값을 생성하는 전역 전류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K 프레임 및 상기 제K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1 스케일 팩터를 기초로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전압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K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전압 제어 신호를 반영하여 제K+1 프레임의 상기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복수의 일반 영상 프레임들 및 복수의 블랙 영상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들 각각의 유형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상기 플래그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조절하여 중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들과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들은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프레임들 각각이 상기 일반 영상 프레임인지 상기 블랙 영상 프레임인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10160756A 2021-11-19 2021-11-19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74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756A KR20230074375A (ko) 2021-11-19 2021-11-19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202211437341.6A CN116153256A (zh) 2021-11-19 2022-11-17 显示设备和驱动显示设备的方法
EP22208271.1A EP4184495A3 (en) 2021-11-19 2022-11-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7/990,171 US20230162651A1 (en) 2021-11-19 2022-11-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756A KR20230074375A (ko) 2021-11-19 2021-11-19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375A true KR20230074375A (ko) 2023-05-30

Family

ID=843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756A KR20230074375A (ko) 2021-11-19 2021-11-19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62651A1 (ko)
EP (1) EP4184495A3 (ko)
KR (1) KR20230074375A (ko)
CN (1) CN116153256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275A (ko) * 2020-04-13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53256A (zh) 2023-05-23
EP4184495A3 (en) 2023-08-02
EP4184495A2 (en) 2023-05-24
US20230162651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5756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数据驱动器及驱动数据驱动器的方法
KR102294231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6205485B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电路及使用其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96913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96912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4115648A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97879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30087927A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20210127275A (ko)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500715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N112309304A (zh) 显示装置和驱动该显示装置的显示面板的方法
KR2021002435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100107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60025143A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5010104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2574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8170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210018665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7008105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KR2023007437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43858B1 (ko) 자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79094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이미지처리장치 및 이미지처리방법
KR10197056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1011678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19228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