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859A -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859A
KR20230073859A KR1020210160675A KR20210160675A KR20230073859A KR 20230073859 A KR20230073859 A KR 20230073859A KR 1020210160675 A KR1020210160675 A KR 1020210160675A KR 20210160675 A KR20210160675 A KR 20210160675A KR 20230073859 A KR20230073859 A KR 2023007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topper body
fastening brack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숙
주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도테크윈
Priority to KR102021016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859A/en
Publication of KR2023007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도어가 개방될 때 완충기능을 깆는 도어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에 장착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벽면에 먼저 닿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스토퍼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스토퍼본체는 방향전환수단으로 장착되어 스토퍼본체를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거나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방향전환수단은 체결브라켓과 스토퍼본체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에 의하여 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힌지부와 연결된 바인바의 선단에는 벽면 또는 문틀에 맞닿도록 후크형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를 구비하고, 메인바는 스토퍼본체를 전환할 때 메인바가 도어 상단에 걸리도록 연결바에 의하여 힌지부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되어 체결브라켓의 설치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면서도 도어 스토퍼에 문닫힘 방지기능을 부가하여 다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그 전환사용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that serves as a door stopper that breaks the shock absorber function when the door is opened in normal times and can also be used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when the user desires, comprising a fastening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 Includes a stopper body mounted on the fastening bracket and first contacting the wall surfac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bsorbing shock, and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stopper body are mounted as direction changing means to convert the stopper body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door It can be used as a door stopper or a telephone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as well as the direction change means to be axially coupled by the hinge part formed on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stopper body, A hook-shaped hea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r-in-bar connected to the hinge pa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wall surface or a door frame, and the main bar is mounted at a distance from the hinge part by a connecting bar so that the main bar is caught on the top of the door when switching the stopper body. By making it possible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simply, but by add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to the door stopper, it is possible to use it in a multi-functional way, and the switching structure is made very simple.

Description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면서 멈출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도어가 개방될 때 완충기능을 깆는 도어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한 다기능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topper that mitigates shock when a door stops while opening, and more particularly, serves as a door stopper that cancels a shock absorber function when a door is opened in normal times, and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when a user desires. It also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여닫이식 도어는 도어가 열릴 때 충격이나 흡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어 스토퍼가 장착된다.In general, a hinged door is equipped with a door stopper as a structure for preventing and buffering impact or abrasion when the door is opened.

도어 스토퍼는 벽면이나 바닥에 설치하는 방식과 도어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나뉘어지는데, 벽면이나 바닥에 설치하는 구조는 칼블럭을 벽면이나 박닥에 먼저 박은 후 고무 등의 완충재를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설치하는 것이고, 도어에 설치하는 구조는 기둥 형태로 되어 있어서 도어를 열 때 헤드가 먼저 벽에 닿으면서 도어가 벽면에 직접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벽과 도어의 충격을 완화해줌으로써 흠집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방식이다.The door stopper is divided into a wall or floor installation method and a door installation method. In the wall or floor installation structure, the knife block is first driven into the wall or floor, and then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rubber is tightened using screws. The structure installed on the door is in the form of a pillar, so when opening the door, the head first touches the wall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hit directly on the wall and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wall and the door to prevent scratches and noise. way.

그런데 벽면이나 바닥에 설치하는 방식은 칼블럭을 박기 위해서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곤란하고 어렵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나 바닥이 손상될 경우 추후 원상회복이 어려우며 건축물의 또 다른 하자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installing on a wall or floor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to install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using tools such as a drill to drive the knife block, and if the wall or floor is damaged, it is difficult to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later, and the building There is difficulty in use because it may cause another defect of

따라서 대부분 도어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기둥 형태의 도어스토퍼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도어 스토퍼는 단순히 완충기능을 할 뿐이어서 다른 부가기능, 예를 들어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손끼임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손끼임 방지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이다.Therefore, most of the door stopper in the form of a column that is simply installed and used on the door is used. Conventional door stoppers simply perform a buffer function, so they have othe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arbitrarily closed and preventing hands from getting caught. In this case, a separate hand jam prevention device should be provided.

특히, 도어가 열린 상태로 환기시킬 때 창문을 열어서 바람이 연통하면서 도어가 갑자기 강한 힘으로 닫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아이들이 문을 왕복하는 과정에서 바람이 불어서 자칫 문이 강하게 닫히면서 손끼임 사고가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다.In particular, when ventilating with the door open, it often happens that the door suddenly closes with strong force while the wind blows through the window.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very high.

따라서 스펀지 형태로 도어에 끼워서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거나 도어의 경첩구조를 개선하여 안전도어로 개선한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문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식은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후 보관이 번거롭고 분실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고, 도어의 경첩구조 자체를 개선한 것들은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가 어렵고 그 자체로 설치비가 지나치게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products that are inserted into the door in the form of a sponge to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completely or improved as a safety door by improving the hinge structure of the door have been propo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risk of loss, and those with improved hinge structure of the door itself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on an already installed door and the installation cost itself is too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스토퍼에 문닫힘 방지기능을 부가하여 다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도어 스토퍼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전환사용이 용이한 구조의 다기능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function door stopp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is added to a door stopper so that it can be used in a multi-functional way and can be easily switched to a door stopper or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에 장착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벽면에 먼저 닿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스토퍼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과 스토퍼본체는 방향전환수단으로 장착되어 스토퍼본체를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거나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concep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a stopper body mounted on the fastening bracket to absorb shock while first contacting the wall surfac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stopper body are mounted as direction changing means so that the stopper body can be used by converting it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doo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oor stopper or used as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또한, 방향전환수단은 체결브라켓과 스토퍼본체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에 의하여 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힌지부와 연결된 바인바의 선단에는 벽면 또는 문틀에 맞닿도록 후크형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를 구비하고, 메인바는 스토퍼본체를 전환할 때 메인바가 도어 상단에 걸리도록 연결바에 의하여 힌지부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되어 체결브라켓의 설치위치 설정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토퍼본체를 간단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irection conversion means is coupled so that the axis is coupled by the hinge part formed on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stopper body, respectively, and the tip of the bind bar connected to the hinge part is provided with a hook-shaped hea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r the door frame, the main The bar is mounted at a distance from the hinge part by the connecting bar so that the main bar is caught on the top of the door when switching the stopper body,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can be set, making installation simple and the stopper body simpl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t has been converted so that it can be used.

본 발명의 손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는, 도어 상단에 걸어서 피스를 이용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신규 건축물은 물론 기설치된 도어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hand-trap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install because it can be installed by using a piece by hanging it on the top of the door, and it can be installed in new buildings as well as existing doors, so it can be used universally this is possible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도어 스토퍼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전환사용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in a location out of reach of infants or children for safe use, and it is very easy to switch to a door stopper or door closure prevention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n

또한, 충격흡수부위가 라운드진 형태로 되어 있어서 도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어 스토퍼와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의 기능은 물론, 옷걸이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으로 다기능을 구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여러 부속들을 개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단일부속 설치로 미관이 매우 수려하다.In addition, since the impact absorbing part is in a round shap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door can be attenuated and dur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As a product of , it is very economical by realizing multifunctionality, it is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several parts separately, and the appearance is very beautiful with single part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의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의 설치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브라켓의 마감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가 도어에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가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전환되는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문닫힘 방지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헤드의 선단이 도어에 맞닿아 지지되는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헤드부의 다른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도어 스토퍼의 다른 실시 예
도 12는 도 11의 메인바가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도
도 13은 도 11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11의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사용 상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stallation structure diagram of the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y view showing the finished structure of the fasten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door
5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door closing preven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door
9 and 10 are other embodiments of the hea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main bar of FIG. 11 is slid and moved;
13 is a use state diagram of FIG. 11
14 is a state diagram of use as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of FIG.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100)과, 상기 체결브라켓에 장착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벽면(W)에 먼저 닿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스토퍼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브라켓(100)과 스토퍼본체(200)는 스토퍼본체(200)의 위치를 도어(D)의 일방향으로 위치시켜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거나 도어의 타방향으로 위치를 전환시켜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수단(300)이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사용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100 installed on one surface of a door and a wall surface W when the door is opened by being mounted on the fastening brack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body 200 that absorbs shock while touching, and the fastening bracket 100 and the stopper body 200 position the stopper body 200 in one direction of the door D to form a door stopper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300 made of a hinge structure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by switching the posi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door, so that the use mode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o be

이때, 상기 방향전환수단(300)은 체결브라켓(100)과 스토퍼본체(200)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320)가 축으로 결합되어 힌지구조로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으로, 체결브라켓(100)은 힌지부(320)의 하단에 도어설치를 위한 피스체결부(120)가 형성되어 피스를 이용하여 도어에 조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is assembled so that the hinge portion 320 formed on the fastening bracket 100 and the stopper body 200, respectively, is coupled to an axis to be rotatable in a hinge structure, and the fastening bracket 100 is A piece fastening part 120 for door installa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part 320 so that it can be assembled to the door using a piece.

그리고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방향전환수단(300)의 힌지부(320)와 연결된 메인바(220)의 선단에 벽면(W) 또는 문틀(F)에 맞닿는 헤드(240)가 형성되는데, 이때 메인바(220)가 힌지부(320)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되면서 스토퍼본체를 도어의 외면 또는 내면으로 돌출되게 전환할 때 도어에 걸리지 않고 도어 상단에 메인바(22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연결바(260)에 의하여 힌지부(320)로부터 이격되게 장착함으로써 상기 힌지부(320)와 연결바(260)에 의하여 스토퍼본체(200)가 도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유동가능하므로 스토퍼본체(200)의 방향전환수단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body 200 has a head 240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or the door frame F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ar 220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320 of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At this time Connecting bar ( 260) so that the stopper body 200 can freely flow in any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door by the hinge portion 320 and the connecting bar 260 by mounting the stopper body 200 at a distance from the hinge portion 320. ) acts as a means of redirection.

따라서 스토퍼본체(200)가 힌지부(320)를 통하여 180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어 스토퍼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전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stopper body 20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by 180 degrees through the hinge part 320,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oor stopper or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이때, 본 발명을 도어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본체(200)의 메인바(220)를 도어 상단에 걸친 상태에서 피스 설치를 한 후, 도어 스토퍼 상태에서 연결바(260)에 의하여 피스체결부위가 가려지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메인바(220)를 도어 상단에 걸친 상태에서 체결브라켓(100)의 설치 높낮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별도의 가이드나 수치측정이 필요없이도 전환동작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피스 조립후 원상태로 절첩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서 절첩하여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door, as shown in FIG. 2, after installing the piece in a state where the main bar 220 of the stopper body 200 is over the top of the door, the connection bar 260 in the door stopper state ),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astening bracket 100 can be automatically set in a state where the main bar 220 is over the top of the door, and the conversion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guide or numerical measurement It can be installed in the exact position for the door, and after assembling the piece, it can be simply installed by folding it in its original state, and it can be used as a door stopper and then folded as needed to use it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door from closing.

이때, 상기 피스체결부(120)는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복수의 타공홀(122)이 형성되어 피스를 도어에 설치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피스체결부(120)에는 커버(140)를 덧대어서 체결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has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122 formed in the upper, lower or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piece can be installed on the door, and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has a cover 140 can be added to prevent the fastening part from being exposed.

즉, 본 발명을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바(260)에 의하여 피스체결부(120)가 가려지게 되지만 본 발명을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토퍼본체(200)를 도어 안쪽 즉, 문틀쪽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피스체결부(120)가 노출될 수밖에 없는데, 커버(140)를 덧대어 체결부위의 피스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커버에 의하여 피스가 가압되면서 피스가 헐거워지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door stopper,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is covered by the connecting bar 260, bu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the stopper body 200 is placed inside the door That is, since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is inevitably exposed because it is used by switching to the door frame, the cover 140 is applied to prevent the piece from loosening or falling out while the piece is pressed by the cover without exposing the fastening piece. It can be prevented.

이때, 상기 커버(140)의 장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체결부(120)의 테두리부분에 걸림홈(124)이 형성되고, 커버(140)에 그 걸림홈에 맞물리게 걸이부(144)가 형성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ver 140, as shown in FIG. 3, a hooking groove 124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and the hooking part is engaged with the hooking groove on the cover 140 ( 144) is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assembled in a one-touch manner.

이때, 상기 걸림홈(124)에 걸이부(144)가 강제로 끼워 조립할 때 걸이부(144)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피스체결부(120)에는 안내경사면(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124)과 걸이부(144)의 맞물림 구조가 테두리부분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커버(140)의 일단에는 피스체결부(120)와의 유격(142)을 갖도록 형성하면 드라이버 등의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uide inclined surface 126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120 so that the hook part 144 can be easily entered when the hook part 144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4 and assembled. When the groove 124 and the hooking part 144 are formed on only a part of the rim so that one-touch assembly is possible, one end of the cover 140 has a gap 142 with the piece fastening part 120 Separation can be done easily by us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screwdriver.

이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스토퍼로 사용할 경우에는 헤드가 먼저 벽에 닿으면서 도어가 벽면에 직접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본체(200)의 방향을 전환하여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D)가 문틀에 닫힘될 때 헤드부(240)가 문틀의 문턱에 맞닿게 되는 턱으로 작용하여 도어가 임의로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도어가 강한 힘으로 닫히더라도 손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여유공간을 확보하면서 문이 임의로 강하게 닫히지 않으므로 손끼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the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door is used as a door stoppe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ead first touches the wall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hit directly on the wall 6 and 7, whe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body 200 is changed and used as a door closure prevention safety device, the head unit when the door D is closed to the door frame (240) acts as a jaw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reshold of the door frame, so that the door does not completely close arbitrarily, and even if the door is closed with a strong force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wind, the door can be arbitrarily closed while securing enough space for a hand to enter. Since it does not close stro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getting your hands caught.

이때,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헤드(240)가 일측이 개구된 후크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벽변 또는 문틀과의 타격시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ead 240 of the stopper body 200 is formed round in the form of a hook with one side opened, so that an impact when hit with a wall or door frame can be offset.

즉, 헤드(240)에 충격이 발생하면 헤드 자체가 후크형태로 일측이 개구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되는데, 그 후크의 변형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R)을 따라서 스토퍼본체의 재질에 따라서 미세하게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완충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n impact occurs on the head 240, the head itself forms a hook-shaped state in which one side is open, so that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The stopper along the radius R based on the deformation center C of the hook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function while being minutely elastically deformed.

그리고 도어 스토퍼를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40)의 선단(241)이 도어에 밀착되게 형성하면 헤드(240)가 문틀에 타격될 때 헤드의 선단이 도어에 지지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체결브라켓(100)의 피스 고정된 부분에 충격이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stopper is converted into a door closure prevention safety device and used, as shown in FIG. The front end of the head can be supported by the doo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evice that occurs when impact is concentrated on the fixed piece of the fastening bracket 100.

이때, 헤드(240) 선단과 도어의 간극(G)은 1㎜~3㎜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하면 헤드(240) 자체의 라운드진 형상에 의하여 일부 탄성변형으로 인한 완충효과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헤드(240)의 선단이 도어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메인바(220)와 힌지부(320)를 경유하여 체결브라켓(1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국부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피스체결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gap G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head 240 and the doo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of 1 mm to 3 mm, a buffering effect due to some elastic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rounded shape of the head 240 itself. At the same time, while the front end of the head 24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doo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bracket 100 via the main bar 220 and the hinge part 320, Damage and breakage of the piece fastening part caused by this action can be prevented.

뿐만 아니라, 헤드(240)가 일측이 개구된 후크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치를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헤드(240)에 의류 등을 걸어서 사용하는 옷걸이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ad 240 maintains a hook shape with one side opened, when the device is used as a door stopper, the head 240 can be used as a hanger for hanging clothes and the like.

이때, 상기 헤드(240)의 선단(241)에는 옷걸이로 사용시 옷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소재의 패킹과 같이 완충과 함께 논슬립기능을 하는 마감요소(241a)가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마감요소(241a)는 도어 스토퍼를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전환하여 사용할 때 문틀과의 타격시 헤드부(240) 선단(241)과 도어(D) 사이에 완충작용을 하면서 도어의 표면 또는 도어 스토퍼 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체결브라켓(100)에 전달되는 하중을 더욱 감쇄시켜 도어 스토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end 241 of the head 240 may be equipped with a closing element 241a that performs a non-slip function along with a buffer, such as pack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to prevent clothes from flowing down when used as a hanger. When the door stopper is converted into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and used, this finishing element 241a acts as a buffer between the front end 241 of the head part 240 and the door D when hit with the door frame and prevents the door from closing.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oor stopper by preventing damage or breakage of the surface or door stopper device and further attenuating the load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bracket 100 .

그리고 헤드(240)에는 벽면(W) 또는 문틀(F)에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242)가 덧대어 장착되어 타격 발생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완충부(242)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계수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거나 합성수지 성형물 등으로 헤드(240)의 표면에 대응하게 제작하여 덧대어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헤드(240)의 단면이 라운드진 봉상의 구조로 형성하고 완충부(242)는 헤드(24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내경을 형성함으로써 접착 또는 조립 등에 의한 방식으로 덧대어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240 is equipped with a buffer part 242 attach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 or the door frame F to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when a blow occurs. The buffer part 242 is made of rubber or A material with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such as silicon or a synthetic resin molded material may be used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of the head 240 and be attached. The portion 242 may be mounted by forming an inner diameter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240 by means of adhesion or assembly.

특히, 완충부(242)를 헤드(240)에 조립방식으로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완충부(242)가 헤드(240)의 외경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하고 완충부(242)를 벌려서 가압 방식으로 조립하면 완충부(242)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헤드(240)를 감싸 조립되게 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buffer 242 is to be mounted on the head 240 in an assembly manner, the buffer 242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240, and the buffer 242 is widened to assemble by pressing. When the cushioning unit 242 is restored by its own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wrap and assemble the head 240 .

그리고 상기 헤드(2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어 스토퍼 또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전환시 헤드(240)의 선단이 도어의 상부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전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 상태에서의 헤드(240) 선단(241)이 도어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방향전환수단(300)의 힌지부(32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반경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환사용시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240 can be formed in various hook shapes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when converted to a door stopper or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the front end of the head 240 is at the top of the doo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without getting caught in the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stat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241 of the head 240 from the top of the door to the lower side increases, the hinge part 320 of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 radius of rota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axis, so that jamming can be minimized when switching.

그리고 이렇게 헤드(240) 선단(241)이 도어 상단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도 9의 (A)와 같이 후크를 타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9의 (B)와 같이 헤드(240)의 선단(241)을 후크의 외향으로 꺾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And, as a structure for making the head 240 front end 241 farther from the top of the door to the lower side in this way, the hook is formed in an ellipse as shown in FIG. 9 (A), or the head ( 24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where the front end 241 is bent outward of the hook.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220)에서 헤드(240)가 시작되는 부분에 도어표면에 밀착되게 절곡된 구조 또는 돌출된 구조로 지지부(230)를 형성하면 도어가 닫히면서 문틀에 타격될 때 헤드(240)에 작용하는 하중이 체결브라켓(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지지부(230), 또는 지지부(230)와 헤드(240)에서 충격을 대부분 흡수하게 되며, 이때, 지지부(230)와 도어표면의 사이에는 완충패드를 덧대어 완충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if the support part 230 is formed in a bent or protruding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surface at the beginning of the head 240 in the main bar 220, the door is closed and attached to the door frame. When hit, the transfer of the load acting on the head 240 to the fastening bracket 100 is minimized and most of the impact is absorbed by the support 230 or between the support 230 and the head 240. At this time, the support ( 230) and the door surface, a buffer pad may be added to add a buffer function.

또한,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도어 스토퍼로 사용할 때 벽면과 타격되는 하중을 수용하고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로써 도어에 지지되는 받침부(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pper body 200 is used as a door stopper, a supporting portion 280 supported by the door may be further provided a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nd distributing a load hit against a wall surface.

이때, 상기 받침부(280)는 메인바(2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받침부(280)의 선단은 도어에 맞닿게 구비되어 연결바(260)가 체결브라켓(100)에 타격되는 충격을 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받침부(280)에는 고무나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패드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ortion 28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main bar 220,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ortion 28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door so that the connection bar 260 hits the fastening bracket 100 To be capable of dispersing the impact, the support portion 280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a pad made of rubber or silicon material.

한편,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충격발생시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바(220)가 제1,2메인바(222,224)로 분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리 구조로 장착 및 작동을 위하여 가이드(226)가 추가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stopper body 200 has a main bar 220 as first and second main bars 222 and 224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or elastic operation occurs when an impact occurs. It may be made of a separate structure, and a guide 226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for mounting and operation with a separate structure.

즉, 제1,2메인바(222,224) 중 어느 하나가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그 중공의 관체에 삽입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제1,2메인바(222,224)간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26)가 구비되고, 가이드(226)는 제1,2메인바가 진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과 돌기가 형성되고, 진퇴 간격을 제어하도록 걸림턱이 구성되어 스토퍼본체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222 and 224 may be formed as a hollow tubular body, and the other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tubular body to have a variable length,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222 and 224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able length. ) is provided with a guide 226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guides 226, slide groov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can advance and retreat, and a stopp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dvance and retreat interval, so that the stopper bod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an be adjusted.

따라서 스토퍼본체(2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가이드(226)가 다단으로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설치된 장소의 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 벽면(W)과의 간격에 맞추어서 간격 조절을 함으로써 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개방될 때 헤드(240)가 벽면(W)에 닿을 때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길이로 돌출되게 조절함으로써 스토퍼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opper body 200, the guide 226 is fix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door D is opened in the place where the door is installed, and the dist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with the wall surface W. When the head 240 is opened by the hinge, when the head 240 touches the wall surface W, the durability of the stopper can be further improved by adjusting the length so that the eccentric load does not act.

즉, 헤드(240)가 벽면(W)에 닿을때 작용하는 하중이 메인바(220)를 통하여 체결브라켓(100)으로 전달되는데, 체결브라켓(100)에서 하중을 전체로 분산시키고 국부하중이 발생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토퍼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load acting when the head 240 touches the wall surface W is transmitted to the fastening bracket 100 through the main bar 220, and the load is distributed in the fastening bracket 100 as a whole and a spot load is generat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and greatly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topper.

이때, 상기 가이드(226)는 간격조절나사 등을 장착하여 메인바(220)의 길이를 고정함으로써 도어와 벽면간 이격공간을 확보하면서도 길이조절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guide 226 can be fixed while securing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door and the wall by fixing the length of the main bar 220 by mounting a spacing adjusting screw or the like.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스토퍼본체(200)에 충격발생시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인바(220)가 분리 구조로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에 스프링을 끼워 구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제1,2메인바(222,224)간에 탄성이 작용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for the stopper body 200 to be elastically actuated when an impact occurs, the main bar 220 is configured by inserting a spring into an internal space formed of a separate structure, so that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Elasticity between (222, 224) can act so that shock can be mitigat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바(220)를 분리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면서 헤드(240)가 벽면에 충돌할 때 충돌되는 각이 벽면과 직교하는 각도에 가깝도록 길이조절을 하여 반복적인 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도어 스토퍼에 충격이 누적되더라도 충격이 헤드(240)를 통하여 도어 스토퍼 전체로 분산되므로 부분적인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렇게 제1,2메인바(222,224)로 분리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내장하면 제1,2메인바(222,224)간에 축방향 피스톤 왕복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도어가 열리면서 헤드(240)가 벽면에 충돌할 때 완충기능을 통하여 충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인 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도어 스토퍼에 충격이 누적되더라도 충격이 헤드(240)를 통하여 도어 스토퍼 전체로 분산되므로 부분적인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main bar 220 in a separate structur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head 240 collides with the wall, the length is adjusted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head 240 collides is close to the angle orthogonal to the wall. Even if impact is accumulated on the door stopper due to repetit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door, the impact is distributed to the entire door stopper through the head 240, thereby minimizing partial damage or damage, as well as minimiz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When an elastic spring is built into the bar (222,224) in a separated structure, an axial piston reciprocating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222,224) and the door is opened and the head 240 collides with the wall The shock can be greatly reduced through the buffer function, and even if the shock is accumulated on the door stopper due to repetitiv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artial damage or damage can be minimized because the shock is distributed to the entire door stopper through the head 240. there is.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바(220)를 분리구조로 형성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면 메인바(22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도어 스토퍼를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 사용하고자 전환할 때 헤드(240)의 선단(241)의 회동반경이 도어 상단에 걸리지 않게 됨은 물론, 메인바(220)의 길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메인바(220)의 늘어난 길이, 또는 길이를 축소시킨 경우 그 축소된 길이에 맞도록 도어가 닫힐 때 필요한 만큼의 여유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완전히 닫히지 않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main bar 220 is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and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e length of the main bar 220 can be adjusted to be long. When doing so, the rotation radius of the front end 241 of the head 240 does not get caught on the top of the door, and the length of the main bar 220 is increased by artifici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bar 22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lternatively, when the length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completely closed while securing a sufficient amount of free space when the door is closed to fit the reduced length.

뿐만 아니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40)의 위치를 조절하여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도어에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헤드(240)가 위치하여야 하는 적절한 위치에 간편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도어에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240,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on various types of door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t and use the head 240 at an appropriate position where it should be located. Therefore, i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various types of doors.

100: 체결브라켓
120: 피스체결부 122: 타공홀 124: 걸림홈
140: 커버 142: 유격 144: 걸이부
200: 스토퍼본체
220: 메인바 222: 제1메인바 224: 제2메인바
226: 가이드
240: 헤드 241: 선단 241a: 마감요소
242: 완충부
260: 연결바
280: 받침부
300: 방향전환수단
320: 힌지부
100: fastening bracket
120: piece fastening part 122: perforated hole 124: locking groove
140: cover 142: clearance 144: hook
200: stopper body
220: main bar 222: first main bar 224: second main bar
226 Guide
240: head 241: tip 241a: closing element
242: buffer part
260: connecting bar
280: supporting part
300: direction conversion means
320: hinge part

Claims (6)

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체결브라켓(100)과, 상기 체결브라켓에 장착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벽면에 먼저 닿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스토퍼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100)과 스토퍼본체(200)는 스토퍼본체(200)의 위치를 도어(D)의 일방향으로 위치시켜 도어 스토퍼로 사용하거나 도어의 타방향으로 위치를 전환시켜 문닫힘 방지 안전장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수단(300)이 구성되어 사용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
It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100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and a stopper body 200 mounted on the fastening bracket to absorb shock while first contacting the wall surface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astening bracket 100 and the stopper body 200 are used as a door stopper by positioning the stopper body 200 in one direction of the door D, or as a door closing prevention safety device by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door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made of a hinge structure is configured to enable the use of the use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300)은 체결브라켓(100)과 스토퍼본체(200)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320)가 축으로 결합되어 힌지구조로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방향전환수단(300)의 힌지부(320)와 연결된 메인바(220)의 선단에 벽면 또는 문틀에 맞닿는 헤드(240)가 형성되되, 메인바(220)가 힌지부(320)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되면서 스토퍼본체를 도어의 외면 또는 내면으로 돌출되게 전환할 때 도어에 걸리지 않고 도어 상단에 메인바(22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연결바(260)에 의하여 힌지부(320)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is assembled so that the fastening bracket (100) and the hinge part (320) respectively formed on the stopper body (200) are axially coupled to be rotatable in a hinge structure,
The stopper body 200 has a head 24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ar 220 connected to the hinge part 320 of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300,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r the door frame, and the main bar 220 is the hinge part Hinge portion 320 by connecting bar 260 so that the main bar 220 can hang over the top of the door without being caught on the door when the stopper body is switched to protrude to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door while being mounted away from 320 )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spaced apart fro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본체(200)의 메인바(220)를 도어 상단에 걸친 상태에서 피스 설치를 한 후, 도어 스토퍼 상태에서 연결바(260)에 의하여 피스체결부위가 가려지도록 상기 체결브라켓(100)은 힌지부(320)의 하단에 도어설치를 위한 피스체결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According to claim 2, After the piece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main bar 220 of the stopper body 200 is over the top of the door, the fastening so that the piece fastening portion is covered by the connection bar 260 in the door stopper state The bracket 100 is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ce fastening portion 120 for door installa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inge portion 3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도어 스토퍼로 사용할 때 벽면과 타격되는 하중을 수용하고 분산시키기 위하여 도어에 지지되는 받침부(280)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The function of claim 3, wherein the stopper body (200) has a supporting portion (280) supported on the door protruding in order to accommodate and disperse a load hit against a wall surface when used as a door stopper.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벽변 또는 문틀과의 타격시 충격을 상쇄시키면서 도어 스토퍼로 사용시 옷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헤드(240)가 후크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헤드(240)에는 벽면 또는 문틀에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242)가 덧대어 장착되어 타격 발생시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body 200 has a head 240 rounded in a hook shap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anger when used as a door stopper while offsetting impact when hitting a wall or door frame,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240 has a buffer unit 242 attach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a wall surface or a door frame to perform a buffer function when a blow occurs.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본체(20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충격발생시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바(220)가 제1,2메인바(222,224)로 분리 구성되되 제1,2메인바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도어 스토퍼.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main bar 220 is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222,224) so that the length of the stopper body (200) can be adjusted or elastic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n impact occurs. ), but a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having a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uide 226 for guiding slide m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bars.
KR1020210160675A 2021-11-19 2021-11-19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KR20230073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75A KR20230073859A (en) 2021-11-19 2021-11-19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75A KR20230073859A (en) 2021-11-19 2021-11-19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859A true KR20230073859A (en) 2023-05-26

Family

ID=8653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675A KR20230073859A (en) 2021-11-19 2021-11-19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8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016B2 (en)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of a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CA2557108A1 (en) Two bar stays
KR20230073859A (en) Multifunctional door stopper with door closing prevention function
KR102014607B1 (en) Mounting structure of damping apparatus for window and window having the same
KR200445152Y1 (en) A hinge for furniture
AU2020389479B2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KR102221573B1 (en) Door schassis including push frame and guide piece for separation prevention
KR102469188B1 (en) Safety Hinge
KR102449155B1 (en) Door hinge device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a door
KR101447728B1 (en) Open-and-close method of sliding door
KR200243085Y1 (en) Buffer structure of door and hinge structure in machine for washing tableware
KR102442088B1 (en) Door hinge device for preventing a finger from inserting in a door
KR101784984B1 (en) Folding door with fuction of speed control and auto-moving
KR200302240Y1 (en) Tempered opening for reinforced door gap
KR20220146183A (en) Buffer Apparatus for door
KR102443075B1 (en) Door system
KR102492726B1 (en) Door Stopper
KR200378692Y1 (en) Duplex door stopper
JP2003138825A (en) Door stopper and fitting equipped with the door stopper
KR101987070B1 (en) Buffer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
KR200272204Y1 (en) protector for opening and closing type glass door
KR200371628Y1 (en) Apparatus of flap door opening and shuttering
JPH07286470A (en) Structure of folding door
US5161282A (en) Door stop
KR200325719Y1 (en) A supporting lock installation of a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