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844A -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844A
KR20230073844A KR1020210160652A KR20210160652A KR20230073844A KR 20230073844 A KR20230073844 A KR 20230073844A KR 1020210160652 A KR1020210160652 A KR 1020210160652A KR 20210160652 A KR20210160652 A KR 20210160652A KR 20230073844 A KR20230073844 A KR 2023007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small
display
breeding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배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to KR102021016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844A/ko
Publication of KR2023007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생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킴으로써 소생물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투명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생육환경 조절장치 및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소생물의 생육환경을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소생물 사육박스에 있어서, 사육박스 내측에 구비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사육박스에 결합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출력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SMALL ANIMAL BREEDING DEVICE FOR EXHIBITION}
본 발명은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생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킴으로써 소생물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곤충과 같은 소생물의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집 또는 학교에서 관상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곤충들이 사육되고 있으며, 전시를 이용한 자연 학습 프로그램, 생태 체험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정 공간 내에서 소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사육박스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종래 소생물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구비되는 일반 플라스틱 박스를 사용하였으나, 외부 온습도 및 조도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품종의 경우 폐사의 위험성이 높았다. 특히, 곤충과 같은 소생물은 각 품종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생존 및 번식이 가능하였으므로, 최근 사육공간 내 항온·항습 및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지장치가 구비된 사육박스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육박스는 개별적으로 소생물을 사육하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전시공간 내 복수 개가 적재되어 소생물의 생장을 체험할 수 있는 수단으로 마련되기도 한다. 이때, 사육박스 내에는 톱밥, 나뭇가지 등을 배치시켜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소생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나의 면 이상을 투명하게 구비하여 사육박스의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생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생물은 활동하지 않을 시 사육박스 내에 구비된 조경부품, 톱밥에 숨어있기 때문에 짧은 전시 시간동안 소생물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육중인 소생물이 사육박스 내에서 폐사하더라도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발견이 힘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0308호(열전소자를 활용한 항온항습기능과 광원조절기능을 포함한 무선제어기능을 가진 소생물 생육 장치) [0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5307호(꿀벌용 질병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00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05407호(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소생물의 위치를 탐지하여 디스플레이에 해당 위치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생물의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박스의 투명스크린에 암막스크린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로그램 박스를 구비함으로써 화상카메라로 수집된 소생물의 이미지정보를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박스에서 수집된 생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품종별 생육방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면이 투명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생육환경 조절장치 및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소생물의 생육환경을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소생물 사육박스에 있어서, 사육박스 내측에 구비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사육박스에 결합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출력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를 본 발명의 요지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육박스 전면에 접이식 결합되어 사용자가 펼치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상기 화상카메라로 사육박스 내 소생물을 일정 주기를 단위로 촬영하여 생장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여 수집된 생장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주기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사육박스에는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생장정보를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QR코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상기 QR코드를 통해 URL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열화상카메라 영상과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생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육박스는, 소정의 폭의 암막공간부가 형성되도록 2중 형성되는 투명스크린; 상기 암막공간부 일측에 권취되되 조작에 따라 권취 해제되어 상기 투명스크린을 비가시화 시키는 암막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시시간 외 설치장소의 빛을 임의로 차단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각 사육박스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일측에 홀로그램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입체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전시 공간 내 사육박스가 복수 개 구비되어 다단으로 배치되고, 각 사육박스 내부의 생육 환경을 통합 제어하는 중앙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사육박스에서 수집된 생장정보를 중앙서버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소생물의 생육방법을 빅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됨으로써,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소생물의 위치를 탐지하고,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육박스 내 투명스크린에 암막스크린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사육박스 설치장소의 빛을 임의로 조절하지 않아도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홀로그램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화상카메라로 수집된 소생물의 이미지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소생물의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출력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육박스에서 수집된 생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품종별 생육방법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홀로그램 박스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열화상 이미지가 출력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하나 이상의 면이 투명하게 형성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의 온도, 습도, 조도를 조절하는 생육환경 조절장치와 화상카메라를 구비하는 박스형 소생물 사육장치로서, 내부에서 획득한 환경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외부서버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열화상 카메라(100)와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화상 카메라(100)는 사육박스(10)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열화상 카메라(100)는 적외선 에너지(열)을 감지하여 실화상으로 변환해주는 비접촉식 측정기로서, 촬영 영역을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열화상 카메라(100)는 촬영 영역의 온도를 센싱하여 출력 시 온도가 높은 부분은 어두운 색으로, 온도가 낮은 부분은 밝은 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100)는 다각 촬영이 가능하도록 촬영몸체부가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00)는 사육박스(10)의 외측에 결합되고, 열화상 카메라(100)의 촬영영상을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0)는 사육박스(10) 내 배치되는 열화상 카메라(100)의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통신부 및 단자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200)는 사육박스(10)의 전면에 접이식 결합되어, 사육박스(10)의 전면에 배치되면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사육박스(10)의 상면에 배치되면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사육박스(10)의 전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200)는 사육박스(10)의 전면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 시 사육박스(10)의 전면 상측에 배치되고, 미사용 시 사육박스(10)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열화상 카메라(100)가 사육박스(10) 내부의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200)로 출력하되, 사육박스(10) 내에 배치된 조경부품 또는 톱밥의 온도와 소생물(A)의 온도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되는 정보에서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소생물(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화상카메라로 사육박스(10) 내에 사육되는 소생물(S)을 일정주기로 촬영하여 생장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20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육박스(10) 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200)에는 수집된 생장정보를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QR코드가 형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로 QR코드를 스캔하면 그에 대응하는 URL에 접속하여 저장된 생장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로서, 사육박스(10)에 사육되는 소생물(S)의 생장정보가 15일을 간격으로 저장되되, 디스플레이(200)에는 각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터치버튼부(미도시)가 마련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0)의 출력부 일측에 마련된 QR코드를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디스플레이(200)에 출력되던 생장정보 및 열화상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URL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0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박스는 투명스크린(300)과 암막스크린(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스크린(300)은 2개의 투명패널로 이루어지며, 사육박스(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투명패널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되어, 암막공간부(310)가 마련된다.
즉, 암막공간부(310) 사육박스(10)의 전면, 투명스크린(3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암막스크린(320)은 암막공간부(310)의 일측에 권취되어 형성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권취 해제되어 투명스크린(300)을 비가시화시킬 수 있다.
즉, 암막스크린(320)은 암막이 권취된 본체가 사육박스(10)의 투명스크린(300)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타방향으로 암막이 권취 해제되어 투명스크린(300) 전체를 비가시화시킨다.
이때, 암막스크린(320)을 권취 및 권취해제시키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사육박스(10)의 전면 하단에는 암막스크린(320)의 조작바가 돌출 형성되고, 투명스크린(30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린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조작바는 암막스크린(320)의 암막 타단에 일체 형성되어, 외부에서 권취 및 권취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권취 해제 시 스크린레일의 타단에 조작바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며, 고정부에서 조작바를 이탈시키면 자동으로 암막이 암막스크린(320)의 본체에 복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홀로그램 박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로그램 박스(400)는 사육박스(10) 내 소생물의 입체영상을 홀로그램 박스(400) 내부로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홀로그램 박스(400)는 사육박스(10)에 배치되는 화상카메라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서버(S)에 저장된 생장정보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화상카메라는 이미지를 다각 구도로 획득할 수 있도록 사육박스(10) 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객체를 3차원 모델링 데이터화하여 획득하기 위한 입체데이터획득부재,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입체데이터획득부재는 반사판, 패턴발생기, 패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박스(400)는 전면이 개방형성되어 내부에 홀로그램 이미지가 출력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육박스(1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육박스(10)에 홀로그램 박스(400)가 착탈되는 착탈부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육박스(10)에는 홀로그램 박스(400)와 화상카메라를 연결하는 접속단자(미도시) 및 전원배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로그램 박스(400) 결합 시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전시 공간 내에 사육박스(10)가 복수 개 구비되어 다단으로 배치되고, 각 사육박스(10)의 생육 환경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가 마련되어, 사육박스(10)에서 수집된 생장정보를 외부 또는 중앙서버(S)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소생물(A)의 생육방법을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화 된 생장정보를 토대로 사육박스(10) 내의 소생물(S)의 품종마다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사육박스(10)는 레일홈(510)과 레일이동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일홈(510)은 사육박스(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동일 수직 선상에 형성되되, 전후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요(凹) 형상의 레일이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레일이동수단(520)은 레일홈(510)에 고정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로서, 상측은 레일홈(510)에 인입되는 철(凸)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은 길이방향으로 바퀴가 복수 개 배치된다.
따라서, 사육박스(10)가 다단 적재될 시, 하측에 배치되는 사육박스(10)는 상부면에 형성되는 레일홈(510)이 이동레일로서 사용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사육박스(10)는 하부면에 형성되는 레일홈(510)에 레일이동수단(520)을 결합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사육박스(10)의 레일홈(510)에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육박스(10)의 다단 적재 및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510)은 전후면스토퍼(5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후면스토퍼(511)는 레일홈(510)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되, 일측은 레일홈(510)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레일홈(5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후면스토퍼(511)의 타측면은 사육박스(10)와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이동수단(52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퀴들의 샤프트축을 일체 고정시킬 수 있는 레일이동수단고정부재(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되어, 다단 적재 시 각 바퀴들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생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킴으로써 소생물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육박스
100 : 열화상 카메라
200 : 디스플레이
300 : 투명스크린
310 : 암막공간부
320 : 암막스크린
400 : 홀로그램 박스
510 : 레일홈
511 : 전후면스토퍼
520 : 레일이동수단
A : 소생물
S : 서버

Claims (7)

  1. 전면이 투명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생육환경 조절장치 및 화상카메라를 구비하여 소생물의 생육환경을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는 소생물 사육박스에 있어서,
    사육박스 내측에 구비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사육박스에 결합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 촬영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출력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육박스 전면에 접이식 결합되어 사용자가 펼치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상기 화상카메라로 사육박스 내 소생물을 일정 주기를 단위로 촬영하여 생장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여 수집된 생장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주기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사육박스에는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생장정보를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QR코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상기 QR코드를 통해 URL에 접속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열화상카메라 영상과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생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박스는,
    소정의 폭의 암막공간부가 형성되도록 2중 형성되는 투명스크린;
    상기 암막공간부 일측에 권취되되 조작에 따라 권취 해제되어 상기 투명스크린을 비가시화 시키는 암막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시시간 외 설치장소의 빛을 임의로 차단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각 사육박스 내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일측에 홀로그램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육박스 내 소생물의 입체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는,
    전시 공간 내 사육박스가 복수 개 구비되어 다단으로 배치되고,
    각 사육박스 내부의 생육 환경을 통합 제어하는 중앙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사육박스에서 수집된 생장정보를 중앙서버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소생물의 생육방법을 빅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KR1020210160652A 2021-11-19 2021-11-19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KR20230073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52A KR20230073844A (ko) 2021-11-19 2021-11-19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52A KR20230073844A (ko) 2021-11-19 2021-11-19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844A true KR20230073844A (ko) 2023-05-26

Family

ID=8653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652A KR20230073844A (ko) 2021-11-19 2021-11-19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84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08B1 (ko) 2016-12-20 2018-11-26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열전소자를 활용한 항온항습기능과 광원조절기능을 포함한 무선제어기능을 가진 소생물 생육장치
KR102175307B1 (ko) 2018-11-16 2020-11-06 농업회사법인 허니엣비 주식회사 꿀벌용 질병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205407B1 (ko) 2018-12-26 2021-01-20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308B1 (ko) 2016-12-20 2018-11-26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열전소자를 활용한 항온항습기능과 광원조절기능을 포함한 무선제어기능을 가진 소생물 생육장치
KR102175307B1 (ko) 2018-11-16 2020-11-06 농업회사법인 허니엣비 주식회사 꿀벌용 질병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205407B1 (ko) 2018-12-26 2021-01-20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083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Grieshop et al. Big brother is watching: studying insect predation in the age of digital surveillance
KR20220132531A (ko) 조사기 및 카메라 및/또는 센서를 사용하는 제어된 환경 원예를 위한 다중센서 이미징 방법 및 장치
Peckmezian et al. A virtual reality paradigm for the study of visually mediated behaviour and cognition in spiders
KR20200049369A (ko) 식물 생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akamoto et al. Application of day and night digital photographs for estimating maize biophysical characteristics
Lertvilai The In situ Plankton Assemblage eXplorer (IPAX): An inexpensive underwater imaging system for zooplankton study
CN105475178A (zh) 一种放大式活体蜜蜂展示观摩箱及物联系统
Surmacki et al. The use of trail cameras to monitor species inhabiting artificial nest boxes
KR102149673B1 (ko)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재배 시스템
KR20230073844A (ko) 전시용 소생물 사육장치
JP5621880B2 (ja) 観測管理システム並びに観測装置
Hempel de Ibarra et al. The role of colour patterns for the recognition of flowers by bees
JP2013162800A (ja) 通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145410A (zh) 一种蜜蜂行为观察器及蜜蜂观测系统
JP2015133994A (ja) 観測装置及び観測管理システム
CN106472330B (zh) 一种集成装置
Brown et al. The basics of using remote cameras to monitor wildlife
Heath et al. See as a bee: UV sensor for aerial strawberry crop monitoring
Vasas et al. Recording animal-view videos of the natural world using a novel camera system and software package
KR102153784B1 (ko) 다목적 곤충 케이스
CN206075180U (zh) 基于植物生长监控记录的社交化养培系统
Burns You're Invited to a Moth Ball: A Nighttime Insect Celebration
Mathejczyk et al. New modular assays for the quantitative study of skylight navigation in flying flies
Simpson The evolution of hummingbird coloration and courtship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