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124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124A
KR20230073124A KR1020220154085A KR20220154085A KR20230073124A KR 20230073124 A KR20230073124 A KR 20230073124A KR 1020220154085 A KR1020220154085 A KR 1020220154085A KR 20220154085 A KR20220154085 A KR 20220154085A KR 20230073124 A KR20230073124 A KR 20230073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t
information
terminal
base st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989,7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56702A1/en
Publication of KR2023007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1Semi-persistent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에서 수행되는 DL SDT 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SMALL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mmWave) 대역 이상의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하향링크 스몰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 (SDT))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넓은 시스템 대역폭을 위하여 전송 주파수를 6GHz~90GHz 대역을 고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전파의 경로 감쇄 및 반사에 따른 수신 신호 성능 열화에 따라 소형 기지국을 가정하고 있다.
6GHz~90GHz 대역의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서비스 영역이 작은 소형 기지국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배치(deployment)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기능을 모두 구현하여 모든 소형 기지국을 배치하기 보다는 다수개의 원격 무선 송수신 블록과 하나의 집중된 기저대역 처리기능 블록으로 기지국의 기능을 나누어 구성하는 기능 분리(Functional Split) 방법을 적용하거나 또는 캐리어 에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중복 전송(Duplication Transmission)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및 전송점(TRP: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을 활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안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기능 분리 또는 바이캐스팅(bi-casting) 기능 또는 중복 전송(duplication transmission) 기능을 적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SDT(small data transmission) 패킷의 전송/수신을 위한 무선자원 관리 방법 및 제어 시그널링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 발생한 스몰 데이터 전송(SDT)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향링크 SDT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DT 패킷을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 및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DL SDT 수신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 패킷은 소정의 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모니터링되어 수신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PDCCH는 미리 정의된 페이징 스케쥴링 식별자 또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스케쥴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서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한 TA(timing advance) 정보가 추가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DL SDT 패킷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정보 및/또는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 채널의 품질의 측정 결과,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데이터 발생(예컨대, BSR, 상향링크 SDT 요청 등), 상기 단말의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 또는 상기 단말의 선호 정보(preference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의 설정 또는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이 RRC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거나 RRC 인액티브 상태에 머무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DL SDT 동작 방법으로: 단말에게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 패킷은 소정의 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방법은, 상기 단말에게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한 TA(timing advance)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외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모니터링되어 수신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서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면, 단말은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하향링크 SDT 패킷 및/또는 non-SDT 패킷을 단말의 동작 상태(state) 및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DT 패킷 및/또는 non-SDT 패킷의 수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또한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설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반한 DL SDT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반한 하향링크 SDT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SPS 자원에 기반한 하향링크 SDT 동작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재)전송은 “전송”, “재전송”, 또는 “전송 및 재전송”을 의미할 수 있고, (재)설정은 “설정”, “재설정”, 또는 “설정 및 재설정”을 의미할 수 있고, (재)연결은 “연결”, “재연결”, 또는 “연결 및 재연결”을 의미할 수 있고, (재)접속은 “접속”, “재접속”, 또는 “접속 및 재접속”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프론트홀 및 백홀을 이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과 코어망과의 연결 방법(예)를 나타낸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310)(또는 매크로 기지국) 또는 소형 기지국(330)은 핵심망의 종단 노드(340)와 유선 백홀(380)로 연결된다. 여기서, 코어망의 종단 노드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 UPF(User Plane Function),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의 기능이 기저대역 처리기능 블록(360)(예를 들어, BBU(Baseband Unit) 또는 클라우드 플랫폼(Claud platform))과 원격무선송수신 노드(320)(예를 들어, RRH(Remote Radio Head), TRP(Transmission & Reception Point))로 분리하여 구성된 경우에는 유선 프론트홀(370)을 통하여 연결된다.
기저대역 처리기능 블록(360)의 기능들은 복수개의 원격무선송수신 노드(320)를 지원하는 기지국(310)에 위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기지국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지국(310)과 SGW/MME(또는 UPF/AMF)(340)의 중간에 논리 기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저대역 처리기능 블록(360)의 기능들은 물리적으로는 기지국(310)과 SGW/MME(340)와는 독립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기지국(310)(또는 SGW/MME(340))에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도3, 도4의 원격무선송수신 노드(320, 420-1, 420-2)와 도1, 도3, 도4에 나타낸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310, 330, 471, 472) 각각은 OFDM, OFDMA, SC-FDMA, 또는 NOMA 기반의 하향링크(downlink) 전송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도3, 도4의 원격무선송수신 노드와 도1, 도3 도4에 나타낸 복수의 기지국들이 mmWave 대역의 전송 캐리어를 적용하여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빔포밍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각각은 성형된 빔을 통하여 기지국내의 빔간에는 간섭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빔내에서 복수개의 단말(또는 UE)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SDT를 위한 동작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UPF(또는, S-GW)는 기지국과 패킷(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을 교환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고, AMF(또는, MME)는 단말의 무선 접속 구간(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백홀 링크, 프론트홀 링크, 엑스홀 링크, DU, CU, BBU 블록, S-GW, MME, AMF, 및 UPF 각각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예를 들어, 엑스홀 네트워크의 기능,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동성 지원 기능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 및/또는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중 뉴머놀러지(numerology)를 지원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심볼들을 지원하는 프레임 포맷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초기(initial) 뉴머놀러지, 디폴트(default) 뉴머놀러지, 또는 디폴트 심볼 길이에 따른 프레임에서 동기 신호 및/또는 참조 신호의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초기 뉴머놀러지 및 디폴트 뉴머놀러지 각각은 UE-공통 탐색 공간(UE-common search space)이 설정된 무선 자원에 적용되는 프레임 포맷, NR 통신 시스템의 CORESET(control resource set) #0이 설정된 무선 자원에 적용되는 프레임 포맷, 및/또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식별할 수 있는 동기 심볼 버스트(synchronization symbol burst)가 전송되는 무선 자원에 적용되는 프레임 포맷에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은 무선(radio) 프레임(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서브캐리어 간격(spacing), 제어 채널(예를 들어, CORESET), 심볼, 슬롯, 및/또는 참조 신호를 위한 설정 파라미터들의 정보(예를 들어, 설정 파라미터의 값, 오프셋(offset), 인덱스(index), 식별자(identifier), 범위(range), 주기(period), 간격(interval), 듀레이션(dur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및/또는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전용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프레임 포맷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은 해당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자원들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용 참조 신호)를 해당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용 참조 신호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과 연결된 단말은 해당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자원들에서 참조 신호(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용 참조 신호)를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용 참조 신호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PT-RS(phase tracking-reference signal),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등일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 빔(configured beam) 또는 활성화 빔(active beam)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한 빔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1)은 통신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제1 단말(621)이 자신을 탐색하여 하향링크의 동기 유지 동작, 빔 설정 동작, 또는 링크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 신호 및/또는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1)(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과 연결된 제1 단말(621)은 제1 기지국(611)으로부터 연결 설정 및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물리 계층의 무선 자원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리 계층의 무선 자원 설정 정보는 LTE 통신 시스템 및/또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RR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설정 정보는 PhysicalConfigDedicated, PhysicalCellGroupConfig, PDCCH-Config(Common), PDSCH-Config(Common), PDCCH-ConfigSIB1, ConfigCommon, PUCCH-Config(Common), PUSCH-Config(Common), BWP-DownlinkCommon, BWP-UplinkCommon, ControlResourceSet, RACH-ConfigCommon, RACH-ConfigDedicated, RadioResourceConfigCommon,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ServingCellConfig, ServingCellConfigComm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설정 정보는 기지국(또는, 전송 주파수)의 프레임 포맷에 따른 신호(또는, 무선 자원)의 설정 주기(또는, 할당 주기), 전송을 위한 시간 자원 할당 정보,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 전송 시기(또는, 할당 시기) 등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뉴머놀러지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또는, 전송 주파수)의 프레임 포맷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따라 서로 다른 심볼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포맷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예를 들어, 10ms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내에서 미니 슬롯, 슬롯, 및 서브프레임 각각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기지국의 전송 주파수 및 프레임 포맷의 설정 정보
전송 주파수의 설정 정보: 기지국의 모든 전송 캐리어들(예를 들어, 셀 단위의 전송 주파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기지국의 전송 주파수들 간의 전송 기준 시간 또는 시간차(time difference) 정보(예를 들어, 동기 신호의 전송 기준 시간(또는, 시간차)을 지시하는 전송 주기 또는 오프셋 파라미터) 등
프레임 포맷의 설정 정보: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서로 다른 심볼 길이를 가지는 미니 슬롯, 슬롯, 및 서브프레임의 설정 파라미터
-하향링크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 공통(common) RS 등)의 설정 정보
공통 RS의 설정 정보는 기지국(또는, 빔)의 커버리지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참조 신호의 전송 주기, 전송 위치, 코드 시퀀스, 마스킹(masking) 시퀀스(또는,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
-상향링크 제어 신호의 설정 정보
SRS, 상향링크 빔 스위핑(또는, 빔 모니터링)을 위한 참조 신호, 상향링크의 그랜트-프리(grant-free)를 위한 무선 자원(또는, 프리앰블) 등
-하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설정 정보
PDCCH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 빔 공통 참조 신호(예를 들어, 빔 커버리지 내의 모든 단말들이 수신 가능한 참조 신호), 빔 스위핑(또는, 빔 모니터링)을 위한 참조 신호, 채널 추정용 참조 신호 등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설정 정보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신호의 설정 정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절차에서 피드백(예를 들어,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 전송 자원의 설정 정보
-안테나 포트의 개수, 안테나 배열에 대한 정보, 빔포밍(beamforming) 적용을 위한 빔 구성 및/또는 빔 인덱스 매핑 정보
-빔 스위핑(또는, 빔 모니터링)을 위한 하향링크 신호 및/또는 상향링크 신호(또는, 상향링크 액세스 채널 자원)의 설정 정보
-빔 설정 동작, 빔 복구(recovery) 동작, 빔 재설정(reconfiguration) 동작, 무선 링크 재수립(re-establishment) 동작, 동일한 기지국에서 빔 변경 동작,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빔의 수신 신호, 상술한 동작들의 제어 타이머 등의 설정 정보
다중 뉴머놀러지를 지원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심볼 길이를 지원하는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 상술한 정보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설정 주기(또는, 할당 주기), 시간 자원 할당 정보, 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 전송 시기, 및/또는 할당 시기는 대응하는 심볼 길이(또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에서, "Resource-Config 정보"는 물리 계층의 무선 자원 설정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Resource-Config 정보"는 제어 메시지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또는, 파라미터)의 속성 및/또는 설정 값(또는, 범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 요소(또는, 파라미터)는 기지국(또는, 빔)의 커버리지 전체에서 공통(common)으로 적용되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 또는 특정 단말(또는, 특정 단말 그룹)에 전용(dedicated)으로 할당되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단말 그룹은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Resource-Config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는 하나의 제어 메시지 또는 설정 정보의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빔 인덱스 정보는 송신 빔의 인덱스와 수신 빔의 인덱스를 명확히 구분되게 표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인덱스 정보는 해당 빔 인덱스와 매핑 또는 연관된(associated) 참조 신호 또는 빔 관리를 위한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상태의 인덱스(또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자신과 기지국 간에 설정된 빔(예를 들어, 빔 페어)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간의 빔 설정(예를 들어, 빔 페어링)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의 설정 빔, 수신 가능한 빔의 동기 신호(예를 들어, SS/PBCH 블록) 및/또는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의 탐색 동작 또는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가 빔을 통해 제공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설정 빔들 중에서 활성화 빔을 통해 패킷이 송수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NR 통신 시스템에서 "빔이 활성화되는 것"은 "설정된(configured) TCI 상태가 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공통(common) Resource-Config 정보로부터 획득된 파라미터(들)를 사용하여 하향링크 채널의 탐색 동작(예를 들어,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채널 또는 물리계층 상향링크 제어 채널 등)을 사용하여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상향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RLM(radio link monitoring)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링크의 문제(problem)를 감지 또는 검출(detect)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링크의 문제가 검출된 것"은 "무선 링크에 대한 물리계층 동기 설정 또는 유지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의 문제가 검출된 것"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물리계층 동기가 맞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링크의 문제가 검출된 경우, 단말은 무선 링크의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링크가 복구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RLF(radio link failure)를 선언할 수 있고, 무선 링크의 재수립(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LM 동작에 따른 무선 링크의 물리계층 문제의 검출 절차, 무선 링크의 복구 절차, 무선 링크의 실패 검출(또는, 선언) 절차, 및 무선 링크의 재수립 절차는 무선 링크를 구성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계층(layer) 1(예를 들어, 물리 계층), 계층 2(예를 들어,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등) 및/또는 계층 3(예를 들어, RRC 계층)의 기능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의 물리계층은 하향링크 동기 신호(예를 들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PBCH 블록) 및/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의 수신함으로써 무선 링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참조 신호는 기지국 공통(common) 참조 신호, 빔 공통 참조 신호, 또는 단말(또는, 단말 그룹) 특정(specific) 참조 신호(예를 들어,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 할당된 전용(dedicated)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참조 신호는 해당 기지국 또는 빔의 커버리지(또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든 단말들의 채널 추정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용 참조 신호는 기지국 또는 빔의 커버리지 내의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의 채널 추정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빔(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간의 설정 빔)이 변경되는 경우, 빔 관리를 위한 전용 참조 신호는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설정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빔은 변경될 수 있다. 설정 빔에 대한 변경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NR 통신 시스템에서 빔이 변경되는 것"은 "TCI 상태의 인덱스(또는, 식별자)가 다른 TCI 상태의 인덱스로 변경되는 것", "TCI 상태를 새롭게 설정하는 것", 또는 "TCI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공통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참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절차, 동기 재설정(reconfiguration) 절차, 또는 연결 재설정 절차에서, 기지국은 공통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전용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설정 빔 정보는 설정 빔 인덱스(또는 식별자), 설정 TCI 상태 인덱스(또는, 식별자), 각 빔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송신 전력, 빔 폭, 수직 각도, 수평 각도), 각 빔의 송신 및/또는 수신 타이밍 정보(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인덱스, 슬롯 인덱스, 미니 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오프셋), 각 빔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 정보, 및 참조 신호 식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공중에 설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무인 항공기(예를 들어, 드론(drone)), 유인 항공기, 또는 위성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은 RRC 메시지, MAC 메시지, 및 PHY 메시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빔 모니터링 동작, 무선 접속(access) 동작, 및/또는 제어(또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기지국을 확인할 수 있다.
빔에 대한 측정 동작(예를 들어,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는 물리계층 제어 채널(예를 들어, PUCCH) 및/또는 MAC 메시지(예를 들어, MAC CE, 제어 PDU)를 통해 보고될 수 있다. 여기서,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는 하나 이상의 빔들(또는, 빔 그룹들)에 대한 측정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는 기지국의 빔 스위핑 동작에 따른 빔들(또는, 빔 그룹들)에 대한 측정 결과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빔 측정 동작 또는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빔 측정 동작 또는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에 기초하여 빔의 속성 또는 TCI 상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빔은 속성에 따라 프라이머리(primary) 빔, 세컨더리(secondary) 빔, 예비(또는, 후보) 빔, 활성 빔, 및 비활성 빔으로 분류될 수 있다. TCI 상태는 속성에 따라 프라이머리 TCI 상태, 세컨더리 TCI 상태, 예비(또는, 후보) TCI 상태, 서빙(serving) TCI 상태, 설정 TCI 상태, 활성 TCI 상태, 및 비활성 TCI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TCI 상태 및 세컨더리 TCI 상태 각각은 데이터 패킷 또는 제어 시그널링 등을 제한적이라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활성(active) TCI 상태 또는 서빙(serving) TCI 상태로 가정될 수 있다. 또한, 예비(또는 후보) TCI 상태는 측정 또는 관리 대상이면서 데이터 패킷 또는 제어 시그널링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없는 비활성(deactivate) TCI 상태 또는 설정(configured) TCI 상태로 가정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 절차는 RRC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 절차가 MAC 계층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MAC 계층은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위계층에 알려줄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에 관한 정보는 MAC 메시지 및/또는 물리계층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에 관한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속성의 변경에 관한 정보는 별도의 지시자 또는 필드로 표현될 수 있다.
단말은 빔 측정 동작 또는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를 기반으로 TCI 상태의 속성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은 TCI 상태의 속성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정보(또는, 피드백 정보)를 PHY 메시지, MAC 메시지, 및 RRC 메시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TCI 상태의 속성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정보(또는, 피드백 정보, 제어 메시지, 제어 채널)는 상술한 설정 빔 정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의 속성 변경은 "활성 빔에서 비활성 빔으로의 변경", "비활성 빔에서 활성 빔으로의 변경", "프라이머리 빔에서 세컨더리 빔으로의 변경", "세컨더리 빔에서 프라이머리 빔으로의 변경", "프라이머리 빔에서 예비(또는, 후보) 빔으로의 변경", 또는 "예비(또는, 후보) 빔에서 프라이머리 빔으로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의 속성 변경 절차는 RRC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의 속성 변경 절차는 RRC 계층과 MAC 계층 간의 부분적 협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빔들이 할당된 경우, 복수의 빔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빔들은 물리계층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빔(들)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빔 및/또는 세컨더리 빔은 물리계층 제어 채널(예를 들어, PHY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계층 제어 채널은 PDCCH 또는 PUCCH일 수 있다. 물리계층 제어 채널은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어, 무선 자원 할당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HARQ ACK, HARQ NACK), 자원 요청 정보(예를 들어, SR(scheduling request)), 빔포밍 기능 지원을 위한 빔 모니터링 동작의 결과, TCI 상태 ID, 및 활성 빔(또는, 비활성 빔)에 대한 측정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리계층 제어 채널은 하향링크의 프라이머리 빔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정보는 프라이머리 빔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고,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데이터는 세컨더리 빔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물리계층 제어 채널은 상향링크의 프라이머리 빔으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요청 정보(예를 들어, SR) 및/또는 피드백 정보는 프라이머리 빔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복수의 빔들의 할당 절차(또는, TCI 상태의 설정 절차)에서, 할당된(또는, 설정된) 빔 인덱스, 빔들 간의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연속한 빔들의 할당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빔 할당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는 단말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이동 속도, 이동 방향, 위치 정보) 및/또는 무선 채널의 품질에 따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상태 정보를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다른 방법을 통해 단말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정보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 시스템 대역폭, PRB 인덱스, PBR의 개수, CRB 인덱스, CRB의 개수, 서브캐리어 인덱스,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들) 및 시간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radio frame) 인덱스, 서브프레임 인덱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슬롯 인덱스, 미니 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시간 오프셋, 전송 구간(또는, 수신 구간)의 주기, 길이, 윈도우)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원 정보는 무선 자원의 호핑(hopping) 패턴, 빔 포밍(예를 들어, 빔 성형) 동작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빔 구성 정보, 빔 인덱스), 및 코드 시퀀스(또는, 비트열, 신호열)의 특성에 따라 점유되는 자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계층 채널의 명칭 및/또는 전송(transport) 채널의 명칭은 데이터의 종류(또는, 속성), 제어 정보의 종류(또는, 속성), 전송 방향(예를 들어, 상향링크, 하향링크, 사이드링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또는 무선 링크 관리를 위한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예를 들어, PSS, SSS, SS/PBCH 블록), CSI-RS, PT-RS, SRS, DM-RS 등일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또는 무선 링크 관리를 위한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에 대한 기준 파라미터(들)는 측정 시간 단위, 측정 시간 구간, 수신 품질의 향상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값, 수신 품질의 저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값 등일 수 있다. 측정 시간 단위 및 측정 시간 구간 각각은 절대 시간(예를 들어, millisecond, second), TTI, 심볼, 슬롯, 프레임,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주기, 기지국의 동작 주기, 또는 단말의 동작 주기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 품질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값은 절대적인 값(dBm) 또는 상대적인 값(dB)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빔(또는, TCI 상태) 또는 무선 링크 관리를 위한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to-noise ratio), SIR(signal-to-interference ratio)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BWP(bandwidth part) 개념에 기초하여 패킷 전송을 위한 채널 대역폭 운용에 대한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지는 최대 4개의 BWP들을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BWP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BWP는 상향링크 BWP와 구별될 수 있다. BWP들 각각은 서로 다른 대역폭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WP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설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시스템 대역폭 내에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BWP #1-4)이 설정될 수 있다. BWP #1-4는 기지국의 시스템 대역폭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BWP #1-4의 대역폭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이 BWP #1-4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WP #1의 대역폭은 10MHz일 수 있고, BWP #1은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BWP #2의 대역폭은 40MHz일 수 있고, BWP #2는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BWP #3의 대역폭은 10MHz일 수 있고, BWP #3은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BWP #4의 대역폭은 20MHz일 수 있고, BWP #4는 6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 있다.
BWP는 이니셜(initial) BWP(예를 들어, 최초 BWP), 액티브(active) BWP(예를 들어, 활성 BWP), 및 디폴트(default) BWP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은 이니셜 BWP에서 기지국과 초기 접속 절차(예를 들어,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의해 하나 이상의 BWP들이 설정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BWP들 중에서 하나의 BWP가 액티브 BWP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 및 기지국 각각은 설정된 BWP들 중에서 액티브 BWP에서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액티브 BWP에서 패킷 송수신을 위한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 동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동작(operating) BWP를 이니셜 BWP에서 액티브 BWP 또는 디폴트 BWP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동작 BWP를 액티브 BWP에서 이니셜 BWP 또는 디폴트 BWP로 변경할 수 있다. BWP 변경 동작은 기지국의 지시 또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BWP 변경을 지시하는 정보를 RRC 메시지, MAC 메시지(예를 들어, MAC CE(control element)), 및 PHY 메시지(예를 들어, DCI)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BWP 변경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의 동작 BWP를 수신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BWP로 변경할 수 있다.
NR 통신 시스템에서 활성(active) UL(uplink) BWP에 RA(random access) 자원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의 동작 BWP를 활성 UL BWP에서 초기 UL BWP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BWP는 단말이 통신(예를 들어, 신호 및/또는 채널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BWP일 수 있다.
빔(또는, TCI 상태) 또는 무선 링크 관리를 위한 측정 동작(예를 들어, 모니터링 동작)은 기지국 및/또는 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측정 동작(예를 들어, 모니터링 동작)을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측정 동작(예를 들어,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 보고를 위한 설정 파라미터(들)에 따라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측정 결과에 따른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및/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기지국은 빔(또는, 무선 링크) 관리 동작, 빔 스위칭 동작, 또는 빔 블록키지(blockage) 상황에 따른 빔 비활성화 동작(또는, 빔 활성화 동작)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기지국은 특정 동작의 수행을 트리거링하는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특정 동작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결과에 따른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및/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머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단말은 측정 결과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빔(또는, 무선 링크) 관리 동작, 빔 스위칭 동작(또는, TCI 상태 ID의 변경 동작, 속성 변경 동작), 또는 빔 블록키지 상황에 따른 빔 비활성화 동작(또는, 빔 활성화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특정 동작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통한 빔(또는, TCI 상태) 관리를 위한 기본 절차는 무선 링크에 대한 빔 실패 검출(beam failure detection, BFD) 절차, 빔 복구(beam recovery, BR) 요청 절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빔 실패 검출 절차 및/또는 빔 복구 요청 절차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빔 실패 검출 절차 및/또는 빔 복구 요청 절차의 수행을 트리거링하는 동작", 및 "빔 실패 검출 절차 및/또는 빔 복구 요청 절차를 위한 제어 시그널링 동작" 각각은 PHY 계층, MAC 계층, 및 RRC 계층 중에서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절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는 초기(initial) 접속 절차 및 비(non)-초기 접속 절차로 분류될 수 있다.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에서 관리되는 컨텍스트(context) 정보가 없는 경우,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RRC 컨텍스트 정보, AS(access stratum) 설정 정보(예를 들어, AR 컨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을 위한 RRC 설정 정보, 암호화(security) 설정 정보,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상태를 포함하는 PDCP 정보, 식별자(예를 들어, C-RNTI(cell-radio resource temporary identifier)), 및 단말과의 연결(connection) 설정이 완료된 기지국의 식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 초기 접속 절차는 초기 접속 절차 외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접속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초기 접속 절차는 단말에서 송신 또는 수신 데이터 도래(data arrival), 연결 재시작(resume), 자원 할당 요청, 사용자(UE) 요청 기반 정보 전송 요청, 무선 링크 실패(RLF) 이후의 링크 재설정 요청, 이동성 기능(예를 들어, 핸드오버 기능) 지원, 세컨더리 셀의 추가/변경, 활성 빔의 추가/변경, 또는 물리계층 동기 설정을 위한 접속 요청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초기 접속 절차 또는 비-초기 접속 절차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인액티브 상태, 및 RRC 휴지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이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RAN(radio access network)(예를 들어, RAN의 제어 기능 블록) 및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RRC 연결 설정 정보 및/또는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RRC 컨텍스트 정보, AS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연결 설정 유지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필요한 물리계층 제어 채널 및/또는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참조 신호는 채널 품질 측정 또는 빔포밍을 위한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지연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RRC 휴지 상태에서 지원되는 이동성 관리 기능/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이동성 관리 기능/동작은 해당 단말을 위해 지원될 수 있다. 즉, 단말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베어러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고, MAC 계층의 기능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비-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동작 상태를 RRC 인액티브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데이터, 제한된 서비스 품질을 가지는 데이터, 및/또는 제한된 서비스에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해당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 설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해당 단말의 RRC 연결 설정 정보 및/또는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RRC 컨텍스트 정보, AS 컨텍스트 정보)는 RAN(예를 들어, RAN의 제어 기능 블록) 및 기지국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상태를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초기 접속 절차가 수행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를 위해 정의된 별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단말에 제한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기지국 및/또는 RAN의 제어 기능 블록은 단말의 타입(type), 능력, 및 서비스(예를 들어,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 제공될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 가능한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허용한 경우"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하향링크 스몰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SDT))의 설정 및 조건
작은 크기의 데이터 및/또는 작은 크기의 시그널링 메시지(이하, "(SDT(스몰 데이터 전송)"라 함)는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SDT는 소정 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DT이 기지국에서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SDT를 도 5의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SDT는 페이징(paging) 절차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하향링크 CG(configured grant)(또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전송 절차를 통해 획득된 하향링크 무선자원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SDT를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단말이 랜덤 액세스(RA, 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SDT 수신을 위하여 하향링크 CG 자원(configured grant resource)(이하 SPS 자원(resource))을 미리 설정(또는 할당)하고 활성화하여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SDT 수신을 위한 SPS 자원을 설정하고, SPS 자원의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여 단말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하향링크 SDT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페이징 절차 및/또는 RA 절차, 또는 SPS 자원을 이용한 하향링크 SDT 수신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알리는 등의 설정 정보(즉, 하향링크 SDT 수신 및/또는 하향링크 SDT 수신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설정 정보(이하 DL SDT 설정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로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작은 기지국이 전송한 SDT수신에 대한 응답 정보, HARQ 피드백 정보, 및/또는 빔 페어링 정보 등의 전송 동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별도의 제어 메시지는 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RRC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 RRC 상태 천이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제어 메지지), MAC CE, 및/또는 물리계층 제어채널(PDCCH)의 DCI 정보(또는 구성 파라미터)일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하여, 기지국은 다음의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또는 IE(information element))를 구성하고, 구성된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를 시스템 정보 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의 형태로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동작(또는 절차)이 필요 없음을 알리는 정보(또는 타이머 등에 의한 제약없이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함을 알리는 정보)
-상향링크 동기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SPS 자원을 이용한 SDT수신 및 상향링크 전송(또는 DL SDT 동작)이 허용됨을 알리는 정보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동작을 위한 타이머(예컨대, timeAlignmentTimer) 값이 무한대로 설정됨을 알리는 정보
- DL SDT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SPS용 RNTI, SDT 페이징용 RNTI, 및/또는 C-RNTI 등)
- DL SDT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상향링크 RA 자원 설정 정보
-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또는 임계값) 정보
- SPS 자원 설정 정보(SPS 할당 주기, SPS 시작점/오프셋 정보, SPS 종료 시간 정보, 및/또는 SPS 유효 타이머 등)
- DL SDT 동작 지원을 위한 DRX 주기(DRX cycle, on-duraion timer, DRX 시작 오프셋 등)
- SPS 수신 성공 여부를 알리는 HARQ 피드백 전송용 상향링크 자원 설정 정보(BWP 인덱스, 주파수/시간영역 할당 정보 등)
- DL SDT 동작 BWP 설정 정보(예컨대, 주파수/시간 영역 할당 정보, BWP 인덱스 등)
- DL SDT 동작 CORESET의 설정 정보(예컨대, 주파수/시간 영역 할당 정보, CORESET인덱스 등)
-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
- DL SDT 수행 방법 지시자(또는 지시 정보)
- DL SDT 유효 타이머
- DL SDT 동작 구간
- DL SDT 일회성 전송(one-shot transmission) 지시자
여기서, DL SDT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상향링크 RA 자원 설정 정보는 경쟁 기반 RA(또는 CBRA(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절차 및/또는 비경쟁 기반 RA (또는 CFRA(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절차를 위한 상향링크 RA 무선자원(들)의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향링크 RA 자원 설정 정보는 RO(RA occasion) 설정 파라미터, RA 프리앰블 및 마스크 설정 정보, 및/또는 2-step RA 절차를 위한 2-step RA 프리앰블과 MSG-A 페이로드를 위한 PUSCH 무선자원 간의 연계(association)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비경쟁 기반 RA(또는 CFRA)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RA 자원 설정 정보는 DL SDT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전용(dedicated)으로 할당하는 RA 프리앰블 인덱스 값, RA 프리앰블 마스크 값, 및/또는 2-step RA 절차의 MSG-A 페이로드를 위한 PUSCH 무선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크기,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 단말의 이동상태, 및/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또는 TA 유지) 여부 또는 상향링크 동기와 무관하게 기지국의 SPS 자원 기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또는 임계값) 정보는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크기,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 단말의 이동상태, 및/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또는 TA 유지) 여부 또는 상향링크 동기와 무관하게 기지국의 SPS 자원 기반 DL SDT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단말이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또는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SPS 자원 설정 정보는 SDT 동작을 위한 무선자원들 및/또는 SPS 자원들의 주파수 영역 설정 정보 및 시간 영역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시간 영역 설정 정보는 전송 시작 시점 및/또는 전송 종료 시점, SDT 동작 구간(또는 윈도우, 타이머, 카운터), 또는 전송 구간 내에서의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L SDT 수행 방법 지시자(또는 지시 정보)는 DL SDT 동작을 SPS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하는지 또는 페이징 메시지(또는 PDCCH) 및/RA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DL SDT 수행 방법 지시자(또는 지시 정보)는 선택(또는 적용) 가능한 방법들의 우선순위(또는 선택 순서)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DL SDT 유효 타이머는 DL SDT 동작이 시작된 이후 단말이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에서 DL S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 DL SDT 유효 타이머가 종료하면, 단말은 더 이상 DL SDT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DL SDT 유효 타이머는 DL SDT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예컨대, 기지국의 SDT 송신 시점 및/또는 단말의 SDT 수신 시점)에서 시작하거나 및/또는 DL SDT 동작 수행 시점마다 (재)시작할 수 있다.
또한, DL SDT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는 DL SDT 동작이 일회성(또는 단일(single))인지 또는 한번 이상의 연속적인(subsequent) DL SDT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DL SDT 일회성 전송 지시자는 한번의 DL SDT 동작을 지시하고, '0'으로 설정된 DL SDT 일회성 전송 지시자는 한번 이상의 연속적인 DL SDT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은 HARQ 기능에 따른 재전송이 없이 신규 전송(new transmission)이 한번 발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DL SDT 일회성 전송 지시자가 DL SDT 동작이 한번임을 나타내는 경우, 한번 DL SDT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시작된 DL SDT 동작은 종료한다. 즉, 새로운 DL SDT 동작이 필요한 경우, DL SDT 동작의 개시(initiation 또는 triggering)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여야 한다.
상기 설정 정보에서 시간영역 할당 정보(예컨대, 동작 구간, 윈도우, 타이머, 카운터, 시작점, 또는 종료시점 등)은 무선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가 MAC 계층 메시지로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의 값(들)(또는 설정 파라미터 범위(들))은 MAC (서브)헤더 또는 MAC (서브)PDU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논리채널 식별자(LCID)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연결 상태 및/또는 단말의 상향링크 물리계층 동기(이하 상향링크 동기)가 유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DL SDT 수신 동작은 페이징 절차 및/또는 RA 절차를 이용하거나, SPS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동기를 유지하고 있는 단말 또는 연결 상태의 단말은 미리 설정된 SPS 자원을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 또는 상향링크 동기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단말, SPS 자원이 설정되지 않은 단말, 또는 설정된 SPS 자원이 유효하지 않은 단말은 페이징 절차 및/또는 RA 절차를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SDT를 위한 SPS 자원이 미리 할당되지 않았거나 또는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동작의 수행 조건이 부합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설정된 SPS 자원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 절차 및/또는 RA 절차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SDT를 위한 SPS 자원이 설정된 경우라도, 기지국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PDCCH(예컨대, DCI 또는 페이징 용 SMS등) 시그널링 방법을 이용하여 SPS 활성화를 지시하거나 또는 DL SDT 동작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에게 하향링크 SDT를 위한 SPS 자원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DL SDT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SPS 자원이 동작 조건에 부합(또는 유효)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페이징 절차 또는 RA 절차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여 단말이 DL SDT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동작 수행을 지시하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RA 절차 수행을 지시하는 PDCCH(또는 DCI)를 수신한 단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RA 절차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한 RA 절차는 4단계(4-step)로 구성된 단말의 무선 접속(또는 RA) 절차 또는 2단계(2-step)로 구성된 단말의 무선 접속(또는 RA) 절차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은 4단계(4-step)로 구성된 RA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은 2단계(2-step)로 구성된 RA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4 단계 RA 절차를 이용한 DL SDT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반한 DL SDT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일 수 있고,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일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4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60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에게 사용되는 공통 시스템 정보 또는 기지국 특정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셀 특정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전용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제어 메시지는 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RRC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 또는 RRC 상태 천이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복수개의 기지국들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시스템 정보 또는 기지국 단위의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기지국 별, 빔 그룹(beam group) 별, 또는 빔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DL SDT 동작을 위한 랜덤 액세스(RA) 무선 자원(예컨대,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의 설정 정보는 물리계층의 전송 주파수 정보, 시스템 대역폭 정보(또는, BWP의 설정 정보), 서브캐리어 간격 정보, 빔포밍 기법에 따른 빔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빔 폭, 빔 인덱스), 주파수 및/또는 시간 영역에서 무선 자원의 가변적 설정 정보(예컨대, 무선 자원의 기준 값, 오프셋), 및 비활성(또는, 미사용) 무선 자원 영역/구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DL SDT으로 전송될 조건에 부합하는 패킷이 발생하면,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602). S602 단계에서 기지국은 물리계층 제어채널(PDCCH)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는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P-RNTI), SDT용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SDT P-RNTI), 또는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PDCCH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가 해당 스케쥴링 식별자에 의해서 스크램블링되어 전송될 수 있다.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S602 단계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는 다음 정보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 DL SDT 수신 동작 수행 지시자(indicator)
- 비경쟁 RA(또는 CFRA) 설정 정보(예컨대, RA 프리앰블 인덱스, PRACH 마스크 인덱스 등)
- DL SDT 동작 BWP 인덱스
-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
- DL SDT 수행 방식 지시자(또는 지시 정보)
- DL SDT 유효 타이머
- DL SDT 일회성 전송 지시자
다만, 상술된 파라미터들 중 일부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PDCCH는 해당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경쟁 RA(또는 CFRA) 설정 정보 중 RA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한 정보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 RA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한 정보는 PDCCH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PDCCH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가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경우, S602 단계의 PDCCH는 DL SDT 설정 정보를 통해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가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되지 않은 경우, S602단계의 PDCCH(예컨대, DCI 또는 SMS)는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 또는 SDT 용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하향링크 SDT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DL SDT 수신 단말(또는 단말 그룹) 식별자를 S602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DL SDT 설정 정보 또는 PDCCH에 따라 설정된 무선 자원(예컨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사용하여 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RA MSG1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603). 4단계 RA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메시지 1은 "RA MSG1"로 지칭될 수 있고, 4단계 RA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은 "4단계-RA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 또는 PDCCH를 통하여 RA 프리앰블 인덱스 등을 포함한 RA 자원(또는 CFRA 자원)이 미리 할당될 수 있다. "RA 프리앰블이 미리 할당되는 것"은 "RA MSG1을 위한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마스킹 정보 등이 DL SDT를 위해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다른 단말과 경쟁 없이 RA 절차(예를 들어, CFRA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 또는 PDCCH를 통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CFRA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RA 절차를 위해 정의된 코드 시퀀스(code sequence)(예컨대, RA 프리앰블, 시그니처(signature))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코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RA MSG1을 전송할 수 있다.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라 단말은 RA 프리앰블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RA MSG1을 수신할 수 있고, RA MSG1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604). 즉, 단계 S604에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요청(또는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 또는 구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계 S604에서 기지국(또는 셀)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가 RA MSG2로 지칭된다. 단계 S604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PDCCH(예컨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및/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전송되거나, RA 응답을 위한 PDCCH만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CFRA 기반(또는 PDCCH order 방식)의 RA 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단계 S604에서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PDCCH 및/또는 이에 대응된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PDCCH로 전송되는 DCI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컨대, TA(timing advance) 값, TA 명령(command)),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및/또는 PUCCH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설정 정보는 특정 빔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TCI 상태 정보는 특정 TCI 상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CS 상태 정보 또는 SPS(configured grant) 상태 정보는 CS 방식으로 할당된 무선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특정 동작 상태에서 RRC 휴지 상태,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상태 천이 정보는 현재 동작 상태를 유지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PUCCH 설정 정보는 SR(scheduling request) 자원의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또는, PUCCH 설정 정보는 SR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들 중에 DCI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는 DCI로 전송된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가 어드레스하는 PDSCH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PDSCH에는 DL SDT 패킷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또는 SDT C-RNTI 등)가 전용으로 할당된 단말이 S603 단계에서 CFRA 기반(또는 PDCCH order 방식)의 RA 절차를 수행한 경우에는 S604 단계의 PDCCH는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하의 단계 S605와 단계 S606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 S604의 PDCCH가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된 경우, 단말은 해당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이용하여 DL SDT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후에도 해당 스케줄링 식별자로 전송되는 DCI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이용하여 DL SDT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03에서 CBRA 기반의 RA 절차가 시작된 경우, 기지국은 단계 S604에서 RA 응답을 위한 PDCCH(또는 DCI)를 통하여 RA MSG2(또는 RA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PDSCH를 어드레스할 수 있다. PDSCH로 전송되는 RA 응답 메시지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컨대, TA 값, TA 명령),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백오프 정보, 단계 S603에서 수신된 RA MSG1(예컨대,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정보, 단계 S605의 RA MSG3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제어 정보는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및 상태 천이 정보, PUCCH 설정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제어 정보들은 MAC CE 형태로 PDSCH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DL SDT 동작때마다 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경쟁 기반 RA(또는 CBRA)가 수행된 경우, 기지국은 RA(random access)-RNTI를 사용하여 RA MSG2의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MSG2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될 수 있고, 해당 DCI는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S603에서 비경쟁 기반 RA(또는 CFRA)가 수행된 경우, 기지국은 C-RNTI를 사용하여 RA MSG2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603단계에서 수행된 RA 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RA-RNTI, C-RNTI)에 의해 어드레스되는(addressed) 스케줄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통해 RA MSG2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603에서 단말이 비경쟁 기반 RA(또는 CFRA) 프리앰블을 전송한 경우, 및/또는 단계 S604에서 단말이 해당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를 이용하여 RA MSG2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단계 S604에서 하향링크 SDT 패킷 및/또는 제어 정보 요소(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제어 정보 요소(들)는 "단말의 동작 상태 천이 지시 정보", "단말의 동작 상태 유지 지시 정보", "빔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 "TCI 상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 "CS 상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하향링크 SDT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DL SDT 동작이 종료된 경우, 단계 S605의 수행 없이 랜덤 액세스 절차는 종료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RA MSG2를 수신하였으나 RA MSG3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RA MSG3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미리 설정된 SDT 동작 타이머가 종료하기 전에 RA MSG3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RA MSG3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종료할 때까지 RA MSG3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RA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단계 S603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하여 단말이 전송한 RA MSG1에 대한 RA 응답 메시지의 포맷 (또는 파라미터들의 구성)과 다른 목적의 RA 절차를 위한 RA 응답 메시지(RA MSG2)의 포맷(또는 파라미터들의 구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DL SDT 동작을 위하여 단말이 전송한 RA MSG1에 대한 응답 메시지(RA MSG2)는 SDT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RA MSG2를 위한 MAC 서브헤더는 해당 RA MSG2가 SDT을 위한 4 단계 RA 절차에 따른 RA MSG2임을 지시하는 필드 파라미터(또는 지시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해당 지시자(또는 비트)는 해당 RA MSG2가 DL SDT을 위한 하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해당 RA MSG2가 DL SDT를 위해서 수행된 4 단계 RA 절차의 RA MSG2임을 지시할 수 있다. '0'으로 설정된 해당 지시자(또는 비트)는 해당 RA MSG2가 DL SDT를 위한 하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거나 해당 RA MSG2가 DL SDT가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하여 수행된 4 단계 RA 절차의 RA MSG2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SDT 동작을 위해서 수행된 4 단계 RA 절차의 RA MSG2는 DL SDT 동작을 위한 단말 식별자, 송신전력 조절 정보(예컨대, TPC), PUCCH 자원 지시자,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Timing Advance Command), MCS 인덱스, 및/또는 SDT을 위한 하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또는 PUSCH 자원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DT 동작을 위한 단말 식별자는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하여 단말에게 할당된 식별자, 3GPP NR 시스템의 I-RNTI, RRC resume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식별자(예컨대, 3GPP NR 시스템의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일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RA MSG2를 수신한 이후, 단말은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는 RA MSG3(즉, 메시지 3)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605). 단말 정보는 단말의 식별자, 능력(capability), 속성, 이동 상태, 위치 정보, 무선 접속의 이유,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 정보(예컨대, BSR(buffer status report)), 연결 설정 요청 정보, 및 하향링크 측정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5에서 단말은 온디맨드 방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계 S605에서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SDT 패킷 및/또는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식별자(예컨대, 단계 S605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자)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메시지 4는 "RA MSG4"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6에서, 기지국은 하향링크 SDT 패킷(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단말이 경쟁 기반 RA(또는 CBRA) 프리앰블을 전송한 경우, 단말은 단계 S606 및/또는 단계 S606 이후에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SDT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RA MSG3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를 RA MSG2를 사용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식별자, 빔 인덱스, 스케줄링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 MCS 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 여부를 지시하는 피드백 정보(예컨대, ACK, NACK)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는 주파수 영역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전송 대역 정보, 서브캐리어 할당 정보) 및/또는 시간 영역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프레임 인덱스, 서브프레임 인덱스, 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전송 구간, 전송 타이밍)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RA 절차에서 RA MSG3은 아래 정보 요소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단말의 능력(capability)
- 단말의 속성
- 단말의 이동 상태(mobility state)
- 단말의 위치(location) 정보
- 접속 절차(예컨대, RA 절차)의 시도 이유
접속 절차의 시도 이유는 "단말 요구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단말 펌웨어 또는 필수 소프트웨어의 갱신에 따른 하향링크의 데이터 전송 요청", 또는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 요청"일 수 있다. 접속 절차의 시도 이유를 지시하는 정보는 접속 절차를 수행한 이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접속 절차를 수행한 이유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 요소(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 핸드오버 요청 정보 또는 측정 결과 정보
- 단말의 동작 상태의 천이(또는, 변경) 요청 정보
- 무선 채널의 재시작(resume) 정보
- 무선 채널의 재수립(re-establishment) 정보
- 빔포밍을 위한 빔 스위핑, 빔 재설정, 또는 빔 변경에 관한 정보
- 물리채널 동기 획득에 관한 정보
- 측정 결과 보고 정보
- 위치 정보의 갱신 정보
- 이동 상태 또는 버퍼 상태 보고
휴지 상태 또는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은 도 6의 4단계 RA 절차 수행 중에 할당받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한 상향링크의 SDT 패킷 또는 시그널링 메시지(예컨대, MAC 계층 또는 RRC 계층의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SDT)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 SDT 동작은 단말이 SDT 패킷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이 전송한 SDT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단말(예컨대,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도 6에 도시된 4단계 RA 절차를 사용하여 상향링크의 SDT 데이터 패킷 또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SDT 시그널링 메시지는 MAC 시그널링 메시지(예컨대, MAC 계층의 제어 메시지 또는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 메시지(예컨대, RRC 계층의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에서 발생한 SDT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SDT동작을 위하여 단말은 상술된 RA MSG3 및/또는 RA MSG3 이후 처음으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예컨대, MAC CE 또는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다음의 정보 중에서 최소 하나 이상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 단말의 식별자(ID)
- 상향링크 SDT 또는 SDT에 대한 요청(request)을 알리는 정보
-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예컨대, LI(Length Indicator)).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는 MAC PDU 또는 RRC 메시지의 크기 또는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 상향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예컨대, 상향링크 베어러 메시지) 및/또는 상향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예컨대, LI). 상향링크 시그널링 메시지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는 MAC PDU 또는 RRC 메시지의 크기 또는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 및/또는 상향링크 시그널링 메시지 크기의 범위(range)를 나타내는 지시자 정보
- 상향링크 데이터 베어러 또는 상향링크 시그널링 베어러의 논리채널 식별자(예컨대, LCID(logical channel identifier))
- 상향링크 버퍼의 크기 정보(예컨대, BSR)
- 상향링크 SDT 패킷의 크기(예를 들어, SDT 패킷의 크기) 정보
- 연결 설정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
-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요청 정보
- 무선 채널의 측정 결과
- SDT동작 완료 후에 희망하는 단말의 상태 정보
기지국은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DL SDT 동작을 위한 랜덤 액세스 어케이젼(RO: Random access Occasion) 설정 파라미터(들) 및/또는 RA MSG1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송할 하향링크 SDT 패킷의 크기 또는 종류(또는 형태)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품질에 따라 RO 설정 파라미터(들) 및/또는 RA MSG1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SDT 동작을 위한 랜덤 액세스 무선자원 그룹들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RO및/또는 RA 프리앰블들의 인덱스들을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RO들의 무선자원 설정에 있어서, SDT를 위한 것이 아닌 RA 절차를 위해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무선자원(들)과 SDT를 위한 RA 절차를 위해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무선자원(들)이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DT 동작을 위한 RA 프리앰블들의 인덱스들이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SDT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경로 손실, RSRP, 또는 RSRQ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RA 프리앰블(RA MSG1) 자원 그룹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DT의 전송을 위한 랜덤 액세스 무선자원들이 다르게 설정된다는 것은 단말이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 상의 무선자원들의 위치들 또는 인덱스들, RA 프리앰블들의 인덱스들, 전송 타이밍들, 또는 오프셋 값들을 다르게 설정하여 RA 프리앰블들 또는 RA 페이로드들을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605의 RA MSG3가 상술된 단말 식별자,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 등을 포함할 때,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의 속성, 길이, 또는 해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등을 나타내기 위한 제어 필드는 MAC 서브 헤더, MAC 헤더, 또는 논리채널 식별자(예를 들어, LCID), 또는 MAC CE(Control Element)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예컨대, 단계 S602또는 단계 S603를 수행한 시점부터의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또는 구간)) 내에서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물리계층 제어채널(PDCCH)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의 스케줄링 식별자는 RA-RNTI 또는 SDT 용 RTNI(예컨대, SDT-RNTI)일 수 있다. SDT-RNTI는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RA-RNTI를 이용하여 수신된 RA MSG2 및/또는 SDT-RNTI를 이용하여 수신된 PDCCH 또는 PDSCH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는 PDCCH 또는 PDSCH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정보로 할당 받은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전송한 하향링크 SDT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단말은 DL SDT 동작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보고 메시지, HARQ 피드백 정보 및/또는 단말에서 발생된 상향링크 SDT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한 RA MSG1가 별도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RA MSG1을 전송한 단말은 도 6의 절차에 따라 단계 S604의 RA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술된 SDT을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A MSG3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RA MSG3는 SDT을 위한 단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SDT을 위한 단말 식별자는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하여 단말에게 할당된 식별자, 3GPP NR 시스템의 I-RNTI, RRC resume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식별자(예컨대, 3GPP NR 시스템의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602에서 단말이 경쟁기반 RA 프리앰블을 전송하여 CBRA 절차가 시작된 경우, 기지국은 단계 S605에서 또는 단계 S605 이후에 단말이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향링크 무선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PDCCH 또는 PD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어드레스하는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SDT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절차에 따른 DL SDT 동작에 있어서, DL SDT 동작이 일회성으로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DL SDT 동작이 한번 이상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또는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 또는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DCI, MAC CE,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지국이 개시한 DL SDT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기지국의 설정(또는 지시)에 따라 단말은 휴지 상태로 천이하거나 인액티브 상태에 잔류할 수 있다.
2단계 RA 절차를 이용한 하향 링크 SDT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반한 하향링크 SDT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일 수 있고,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일 수 있다. 기지국 및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2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별도의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70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에게 사용되는 공통 시스템 정보 또는 기지국 특정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셀 특정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전용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제어 메시지는 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RRC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 또는 RRC 상태 천이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DL 설정 정보는 DL SDT 동작을 위한 랜덤 액세스(RA) 무선 자원(예컨대,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무선 자원의 설정 정보는 물리계층의 전송 주파수 정보, 시스템 대역폭 정보(또는, BWP의 설정 정보), 서브캐리어 간격 정보, 빔포밍 기법에 따른 빔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빔 폭, 빔 인덱스), 주파수 및/또는 시간 영역에서 무선 자원의 가변적 설정 정보(예컨대, 무선 자원의 기준 값, 오프셋), 및 비활성(또는, 미사용) 무선 자원 영역/구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DL SDT으로 전송될 조건에 부합하는 패킷이 발생하면,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02). 단계 S702에서 기지국은 물리계층 제어채널(PDCCH)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2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 S602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S702 단계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가 비경쟁 RA(예를 들어, CFRA 또는 PDCCH order 방식의 RA) 설정 정보를 포함할 경우, 단계 S602에서 설명된 RA 프리앰블 인덱스 및 PRACH 마스크 인덱스에 추가적으로 MSG-A의 페이로드 전송을 위한 PUSCH의 설정 정보가 추가로 단계 S702의 PDCCH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단계 S702의 PDCCH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경쟁 RA(또는 CFRA) 설정 정보 중 RA 프리앰블 인덱스가 상술한 DL SDT 설정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에는 RA 프리앰블 인덱스는 PDCCH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702를 통하여 기지국이 전송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단계 S702에서 수신한 제어 정보 및/또는 단계 S701에서 수신한 DL SDT 설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MSG-A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3). MSG-A는 RA 프리앰블 및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UE ID,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SG-A로 전송되는 UE ID는 SDT 동작을 위한 단말 식별자일 수 있으며, SDT 동작을 위한 단말 식별자는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하여 단말에게 할당된 식별자, 3GPP NR 시스템의 I-RNTI, RRC resume 요청 메시지 내의 단말 식별자(예컨대, 3GPP NR 시스템의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일 수 있다. 또한,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는 해당 단말에게 미리 할당된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일 수 있다.
또한, MSG-A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703에서 단말이 전송하는 메시지는 "RA MSG-A" 또는 "MSG-A"(이하 MSG-A)로 지칭될 수 있고, MSG-A는 도 6의 4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RA MSG1과 구별될 수 있다.
RA MSG-A는 RA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은 "2단계-RA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고, 2단계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RA 페이로드는 "2단계-RA 페이로드"로 지칭될 수 있다. RA MSG-A의 RA 프리앰블은 단말의 MAC 계층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RA MSG-A의 RA 페이로드는 MAC 계층 또는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에서 선택된 RA 프리앰블 및 단말의 MAC 계층 또는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RA 페이로드는 물리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RA MSG-A의 RA 페이로드는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UE ID,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SDT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경로 손실, RSRP, 또는 RSRQ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다음의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들 또는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단계 S701 및/또는 S702에서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 SDT 패킷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에 따른 하나 이상의 MSG-A RA 프리앰블 자원들의 그룹 설정 정보, 및/또는
- SDT 패킷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에 따라 RA 페이로드에 적용할 하나 이상의 MCS 레벨들의 그룹 설정 정보(예컨대, MCS 설정 목록(list) 또는 범위(range))
하향링크 SDT 패킷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에 따라 단말은 조건에 부합하는 MSG-A RA 프리앰블 및/또는 MSG-A RA 페이로드에 적용될 MCS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SDT 패킷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에 따른 MSG-A RA 프리앰블 자원들과 MSG-A RA 페이로드에 적용될 MCS들이 매핑되거나 연관관계를 가지는 경우, 단말이 하향링크 SDT의 크기 및/또는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에 따라 조건에 부합하는 MSG-A RA 프리앰블을 선택하면, 선택된 MSG-A RA 프리앰블에 따라 MSG-A RA 페이로드에 적용될 MCS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선택된 RA 프리앰블에 대한 정보와 생성된 RA 페이로드가 물리계층으로 전달되며, 선택된 RA 프리앰블과 생성된 RA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MSG-A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S703). MSG-A의 RA 페이로드는 단말 식별자(예컨대, UE ID 또는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 등), 상향링크 데이터(또는 SDT 패킷), 상향링크 SDT 전송을 위한 베어러(DRB(data radio bearer) 또는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채널 식별자(LCID),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시그널링 정보는 BSR(buffer status report), 측정 결과 정보(예를 들어, 품질 정보), BFR 요청 정보, RLF 보고 정보, RRC 연결 설정(setup)의 요청 정보, RRC 연결 재수립(re-establishment)의 요청 정보, 재시작(resume) 요청 정보, 및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CBRA 절차 또는 CFRA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RA 페이로드는 단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RA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은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절차를 위하여 설정된(또는, 할당된) 무선 자원들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불연속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접속 절차를 위하여 설정된(또는, 할당된) 무선 자원들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절차를 위한 무선 자원들은 다른 방식으로 설정된(또는, 할당된) 무선 자원들일 수 있다. 또는, 무선 접속 절차를 위한 무선 자원들은 다른 물리계층 채널에 의해 정의된 무선 자원들일 수 있다.
"무선 접속 절차를 위한 무선 자원들이 다르다는 것"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 자원의 위치, 무선 자원의 인덱스,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전송 타이밍, 및 오프셋 중에서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A 프리앰블 또는 RA 페이로드는 서로 다른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프리앰블은 PRA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RA 페이로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MSG-A의 RA 프리앰블을 위한 전송 자원을 MSG-A의 RA 페이로드를 위한 전송 자원과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MSG-A의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예컨대, MSG-A의 RA 페이로드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PUSCH)은 MSG-A의 RA 프리앰블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MSG-A의 RA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과 MSG-A의 RA 페이로드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 간의 매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은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과 일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PRACH는 하나의 PUSCH와 매핑될 수 있다. 또는, RA 프리앰블의 복수의 전송 자원들은 RA 페이로드의 하나의 전송 자원과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PRACH들은 하나의 PUSCH와 매핑될 수 있다. 또는, RA 프리앰블의 하나의 전송 자원은 RA 페이로드의 복수의 전송 자원들과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PRACH는 복수의 PUSCH들과 매핑될 수 있다. RA 페이로드의 수신 품질 향상을 위해, RA 페이로드는 반복 전송될 수 있다. RA 페이로드의 반복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이 설정될 수 있고, 해당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은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과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MSG-A의 전송 자원이 미리 설정된 경우" 또는 "RA MSG-A의 RA 프리앰블이 미리 설정된 영역(또는, 그룹)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RA MSG-A의 RA 페이로드의 반복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리지 확장 기능을 적용하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은 RA 페이로드의 반복 전송을 위해 RA 프리앰블 자원 또는 RA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자원 또는 인덱스에 기초하여 RA 페이로드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RA 프리앰블 인덱스와 매핑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여 RA 페이로드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예를 들어, 중복된 무선 자원들)은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MSG-A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들의 매핑 관계 정보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2단계 RA 절차가 비경쟁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RA MSG-A의 RA 프리앰블 및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들을 단말 전용으로 할당될 수 있다. CFRA 절차에서 단말 전용으로 설정된 RA 프리앰블의 자원 정보는 SS/PBCH 자원 리스트, CSI-RS 자원 리스트, SS/PBCH 인덱스, CSI-RS 인덱스, RA 프리앰블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 MSG-A의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은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과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 간의 매핑 관계(예컨대, 일대일 매핑 관계 또는 다대일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CFRA 절차(예를 들어, 2단계 CFRA 절차)에서 단말 전용으로 설정된 RA 페이로드의 자원 정보는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 빔 설정 정보, MC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단계 RA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과 연속할 수 있다. 또는,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과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은 시간 윈도우(time window) 내에서 할당될 수 있다. 2단계 RA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은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과 연속된 RA 페이로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RA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내의 RA 페이로드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RA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RA 프리앰블의 전송 자원과 RA 페이로드의 전송 자원의 할당을 위한 파라미터(들)는 주파수 오프셋 및/또는 시간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RA 프리앰블에 매핑되는 RA 페이로드를 위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RA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하여 설정된 무선 자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들을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여 RA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전송되는 MSG-A의 RA 페이로드는 도 6에 도시된 단계 S605에서 전송되는 RA MSG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SG-A의 RA 페이로드는 단말의 식별자, 능력, 속성, 이동 상태, 위치 정보, 접속 절차의 시도 이유, 빔 실패 복구의 요청 정보, CA 환경에서의 기지국(또는, 셀)에 대한 측정 결과, CA의 활성화/비활성화 요청 정보, BWP의 변경 요청 정보, BWP의 비활성화/활성화 요청 정보, 상향링크 데이터(예컨대, SDT 패킷), 하향링크 데이터(예컨대, SDT 패킷)의 크기, 상향링크 버퍼 크기 정보(예를 들어, BSR), 연결 설정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 상향링크 자원 할당의 요청 정보, 및 무선 채널의 측정 결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RA MSG3에 포함되는 상향링크/하향링크 SDT을 위한 제어 정보는 도 7에서 MSG-A의 RA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향링크/하향링크 SDT을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A 페이로드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SDT을 위하여 단말은 MSG-A RA 페이로드를 이용하여 SDT가 분할되어 전송되는지 여부(또는, SDT가 일회성 전송으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SDT가 분할되어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은 SDT외에 별도의 제어 메시지(MAC 계층 및/또는 RRC 계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SDT의 분할 전송이 적용된 경우, 단말은 분할된 SDT(세그먼트)들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자원 요청 정보 및/또는 상향링크/하향링크 SDT의 크기(예컨대, MAC PDU들 또는 RRC 메시지들의 크기 등), 상향링크/하향링크 SDT를 위한 메시지 수(예컨대, MAC PDU들 또는 RRC 메시지들의 개수 등), 상향링크 버퍼 크기 정보(예컨대, BSR), 연결 설정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 무선채널 측정 결과 등의 정보, 또는 SDT 완료 후 희망하는 단말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가 MAC 계층 메시지로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또는 제어 정보의 값(들)(또는 설정 파라미터 범위(들))은 MAC (서브)헤더 또는 MAC (서브)PDU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논리채널 식별자(LCID)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RA 프리앰블과 함께 MSG-A RA 페이로드 전송용 무선자원으로 단말 식별자,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의 속성, 길이, 또는 해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등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필드는 MAC 헤더, 논리채널 식별자(예컨대, LCID), 또는 MAC CE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단말은 단말의 전송 타이밍 조절(예컨대, TA(Timing Advance)) 또는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하여 MSG-A의 RA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첫번째 심볼 또는 일부 심볼에 프리앰블, 파일럿 심볼, 또는 기준신호(예컨대, RS(Reference Signal))를 삽입하여 MSG-A의 RA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3의 RA MSG-A를 통해 단말이 전송한 단말의 식별자와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RA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RA MSG-B 또는 MSG-B)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704). RA MSG-B는 BI(Backoff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 수신된 RA MSG-A의 RA 프리앰블을 지시하는 정보, 단말의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TA), 스케줄링 식별자(C-RNTI 또는 Temporary C-RNTI 등), 및/또는 경쟁 해결(contention resolution)을 위한 단말 식별자(이하 CRID(contention resolu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CFRA 기반의 RA 절차가 수행된 경우, 단계 S704에서 MSG-B와 함께 DL SDT 패킷이 단말에게 전송되거나, 또는 미리 할당된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로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PDCCH 또는 DCI)가 지정하는 PDSCH 자원을 통하여 DL SDT 패킷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단말이 수신한 MSG-B에 MSG-A를 통하여 전송했던 CRID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경쟁이 해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RA 응답 윈도우 내(또는 관련 타이머가 종료하기 전)에 TA 정보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를 포함하는 MSG-B(즉, RA 응답)와 DL SDT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C-RNTI를 이용하여 PD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이 전송한 MSG-A에 대한 경쟁 해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미리 할당된 DL SDT 스케줄링 식별자로 전송되는 PDCCH(또는 DCI)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컨대, TA(timing advance) 값, TA 명령(command)),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및/또는 PUCCH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설정 정보는 특정 빔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TCI 상태 정보는 특정 TCI 상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CS 상태 정보 또는 SPS(configured grant) 상태 정보는 CS 방식으로 할당된 무선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특정 동작 상태에서 RRC 휴지 상태,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상태 천이 정보는 현재 동작 상태를 유지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PUCCH 설정 정보는 SR(scheduling request) 자원의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또는, PUCCH 설정 정보는 SR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들 중에 DCI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는 DCI로 전송된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가 어드레스하는 PDSCH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PDSCH에는 하향링크 SDT 패킷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또는 SDT C-RNTI 등)가 전용으로 할당된 경우에는 해당 PDCCH는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계 S704의 PDCCH는 미리 할당된 DL SDT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고, 해당 PDCCH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이용하여 DL SDT 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 단말은 이후에도 해당 스케줄링 식별자로 전송되는 DCI가 어드레스하는 PDSCH를 이용하여 DL SDT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S703에서 CBRA 기반의 RA 절차가 시작된 경우, 기지국은 단계 S704에서 RA 응답을 위한 PDCCH(또는 DCI)를 통하여 RA MSG2(또는 RA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PDSCH를 어드레스할 수 있다. PDSCH로 전송되는 RA 응답 메시지는 CRID,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컨대, TA 값, TA 명령),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백오프 정보, 단계 S703에서 수신된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정보, 해당 단말에게 할당하는 스케줄링 식별자(C-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제어 정보는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및 상태 천이 정보, PUCCH 설정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A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제어 정보들은 MAC CE 형태로 PDSCH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DL SDT 동작때마다 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DL SDT 동작이 일회성으로 수행되는 경우, 단계 S704에서 기지국은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DL SDT 동작이 한번 이상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은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또는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 또는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DCI, MAC CE,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기지국이 개시한 DL SDT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기지국의 설정(또는 지시)에 따라 단말은 휴지 상태로 천이하거나 인액티브 상태에 잔류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없이 상술한 RA 응답 메시지(MSG-B)만을 수신하는 경우 단계 S704에서 DL SDT 동작을 위한 2-step RA 절차가 완료된다. 2-step RA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DL SDT 패킷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05). 즉, 기지국은 단계 S704 및/또는 단계 S705부터 단말이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향링크 무선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게 할당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어드레스하는 하향링크 무선자원(또는 PDSCH)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SDT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기지국이 개시한 DL SDT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기지국의 설정(또는 지시)에 따라 단말은 휴지 상태로 천이하거나 인액티브 상태에 잔류할 수 있다.
한편, 4 단계 RA 절차에서 RA 응답 윈도우는 RA MSG1의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시작될 수 있고, 2 단계 RA 절차에서 RA 응답 윈도우는 RA MSG-A의 RA 페이로드의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RA 응답 윈도우 내(또는 관련 타이머가 종료하기 전)에 C-RNTI로 스케줄링된 TA 정보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를 포함하는 MSG-B(즉, RA 응답)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이 전송한 MSG-A에 따른 2 단계 RA 절차에 대한 경쟁 해결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한 MSG-A에 따른 2 단계 RA 절차에 대한 응답으로 C-RNTI로 스케줄링되는 MSG-B가 전송되는 경우, TA 정보와 함께 MSG-A에 대한 RA 응답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리는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한 PDCCH(예를 들어, DCI 또는 UCI)가 전송될 수 있다.
RA MSG-B는 기지국의 MAC 계층의 MAC 제어 메시지(예컨대, MAC CE)의 형태 및/또는 RRC 계층의 RRC 제어 메시지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RA MSG-B가 MAC CE의 형태로 생성되는 경우, 수신된 RA MSG-A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RRC 계층이 RA MSG-B에 포함되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들을 MAC 계층으로 전달하고, MAC 계층이 MAC CE의 형태로 MSG-B를 생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기지국은 MSG-A의 RA 페이로드를 통하여 수신된 단말의 식별자를 MSG-B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RA MSG-A의 RA 프리앰블이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되었거나 RA MSG-A의 RA 프리앰블과 RA 페이로드의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이 미리 정해진 매핑관계를 가지는 경우, 단계 S704의 RA 응답 메시지는 단말이 전송했던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RA MSG-A의 RA 프리앰블이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되었거나 단말에게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를 포함한 RA 페이로드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해당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MSG-B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계층 무선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예컨대,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PDCCH만을 전송하거나, RA 응답을 위한 PDCCH(예컨대, DCI 형태)만을 전송하거나, PDSCH를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PDCCH만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DCI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컨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컨대, TA(timing advance) 값, TA 명령(command)),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백오프(backoff) 정보,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상태 천이 정보, PUCCH 설정 정보, 단계 S703에서 수신된 MSG-A의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및 MSG-A의 RA 페이로드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설정 정보는 특정 빔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TCI 상태 정보는 특정 TCI 상태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CS 상태 정보 또는 SPS(configured grant) 상태 정보는 CS 방식으로 할당된 무선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천이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천이 정보는 특정 동작 상태에서 RRC 휴지 상태,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상태 천이 정보는 현재 동작 상태를 유지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PUCCH 설정 정보는 SR(scheduling request) 자원의 할당 정보일 수 있다. 또는, PUCCH 설정 정보는 SR 자원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에 설명한 PDCCH만을 전송하여 단계 S704에서 상기의 제어 정보들을 PDSCH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의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또는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 송신 전력 조절 정보, 백오프(backoff) 정보, 빔 설정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ed) 상태 정보, 상태 천이 정보, PUCCH 설정 정보, 단계 S703에서 단말이 전송한 MSG-A의 RA 프리앰블 인덱스 등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계 S704에서 RA 응답을 위한 PDCCH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정보들은 PD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제어 정보들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예를 들어, TA 값, TA 명령), 전송 전력 조절 정보, 백오프 정보, 빔 설정 정보 또는 TCI 상태 정보, CS(Configured scheduling) 상태 정보, 상태 천이 정보, PUCCH 설정 정보, 단계 S703에서 수신된 MSG-A의 RA 프리앰블의 인덱스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4의 MSG-B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은 RA-RNTI 또는 단말에게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C-RNTI)를 이용하여 MSG-B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PDCCH내의 스케줄링 정보가 어드레스하는 PDSCH 자원을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B)가 전송될 수 있다.
RA 무선자원들은 SDT을 위한 것이 아닌 RA 절차를 위한 RA 무선자원들과 SDT을 위한 RA 절차를 위한 RA 무선자원들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술된 두 가지 타입의 RA 절차들에서, 2 단계 RA 절차 및/또는 4 단계 RA 절차를 위한 RA 무선자원들이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RA 절차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SDT를 수행할 때, 상술된 무선채널품질 조건, 상향링크 물리계층 동기 유지 여부, SDT의 크기 조건, SDT가 분할되어 전송되는지 여부, 및/또는 RA 무선자원 설정(예컨대, RO, RA 프리앰블 그룹, RA-MSG3/MSG-A의 RA 페이로드의 크기 등) 등을 고려하여 단말은 어떤 RA 절차를 수행할 지를 아래의 방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 방법1:
■ 1단계: 단말은 SDT을 위한 것이 아닌 RA 절차와 SDT을 위한 RA 절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 2단계: 단말은 1단계에서 선택된 RA 절차에 대해서 2 단계 RA 절차 또는 4 단계 RA 절차를 선택한다.
- 방법2:
■ 1단계: 단말은 SDT을 위한 RA 타입으로 2 단계 RA 절차 또는 4단계 RA 절차를 선택한다.
■ 2단계: 단말은 1단계에서 선택된 RA 타입에 대해서 SDT을 위한 것이 아닌 RA 절차와 SDT을 위한 RA 절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 방법3: 단말은 다음 4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 SDT을 위한 것이 아닌 2 단계 RA 절차
■ SDT을 위한 것이 아닌 4 단계 RA 절차
■ SDT을 위한 2 단계 RA 절차
■ SDT을 위한 4 단계 RA 절차
SPS 자원을 이용한 하향 링크 SDT 방법
도 8은 SPS 자원에 기반한 하향링크 SDT 동작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의 서비스를 종료한 단말은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801). 단계 S801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RRC 연결해제(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은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의 일부(또는 전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DT SDT으로 전송될 조건에 부합하는 패킷이 발생하면,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02). 단계 S802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로부터 획득한 SPS 주기 또는 DRX 동작 주기에 따른 모니터링 시간 영역에서 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PS 주기 및/또는 DRX 동작 주기는 DL SDT 동작 지원 단말들에게 시간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유일하게(unique) 또는 전용으로(dedicate) 할당될 수 있다. 즉, SPS 주기 및/또는 DRX 주기에 따라 단계 S802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이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DL SDT 동작을 개시하는 기지국은 해당 모니터링 시점에서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모니터링 시점에서 하향링크를 모니터링하는 단말도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가 자신에게 전송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주기 및/또는 DRX 동작 주기가 시간 영역에서 단말 별로 구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는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P-RNTI), SDT용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SDT P-RNTI), 또는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PDCCH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가 해당 스케쥴링 식별자에 의해서 스크램블링되어 전송될 수 있다.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S802 단계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PDCCH는 다음 정보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 DL SDT 동작 수행 지시자(indicator)
- 비경쟁 RA(또는 CFRA) 설정 정보(예를 들어, RA 프리앰블 인덱스, PRACH 마스크 인덱스 등)
- DL SDT 동작 BWP 인덱스
-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
- DL SDT 수행 방식 지시자(또는 지시 정보)
- DL SDT 유효 타이머
- DL SDT 일회성 전송 지시자
- SPS 활성화 지시 정보
다만, 상술된 파라미터들 중 일부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PDCCH는 해당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 DL SDT 동작용 스케줄링 식별자에 대한 정보는 PDCCH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RNTI, CS-RNTI, SDT-RNTI, 또는 SDT C-RNTI 등)가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경우, S802 단계의 PDCCH는 DL SDT 설정 정보를 통해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가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되지 않은 경우, S802단계의 PDCCH(예컨대, DCI 또는 SMS)는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 또는 SDT 용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의 SPS 활성화 지시 정보는 DL SDT 동작을 위하여 복수의 SPS 자원이 설정된 경우에는 특정한 SPS 자원을 구별하여 해당 SPS 자원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SPS 활성화 지시 정보가 PDCCH(또는 DCI)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 SPS 활성화 지시 정보는 단계 S802에서의 하향링크 무선자원(PDSCH) 자원 또는 단계 S802이후에 기지국이 처음 전송하는 하향링크 무선자원(PDSCH) 자원을 이용하여 MAC CE, RRC 제어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DL SDT 설정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하향링크 SPS 자원을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동기가 유지되고 있지 않은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이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동작(또는 절차)이 필요 없음 또는 상향링크 동기(또는 TA(timing advance) 동기)가 유효함을 알리는 정보가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크기,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또는 하향링크의 SDT 수신을 위한 단말의 HARQ 피드백 정보 또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타이머),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 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크기에 따라 경로 지연에 보상이 필요 없거나 상향링크 동기(또는 TA 동기)가 항상 유효할 경우,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수신 동작(하향링크의 SDT 수신 및/또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는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수신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타이머이며, 상기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가 기준 조건(또는 값)을 만족하는 경우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수신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가 경로 지연에 대한 보상이 필요 없는 거리로 판단된 경우, TA 유지 여부와 무관하게 또는 TA 동기(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함을 근거로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수신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위치 정보는 위치 추정 알고리즘, GPS 기능, 또는 내장 센서 등을 기반으로 단말이 추정(또는 측정)한 단말의 지리적 위치 또는 기지국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빙 또는 캠핑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이 미리 정의된 기준 조건(또는 값)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가 경로 지연에 대한 보상이 필요 없거나 TA 동기(또는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 거리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SPS 자원 기반의 DL SDT 수신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을 위한 기준 조건은 하기 파라미터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일 수 있다.
-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 미리 정해진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윈도우 동안 채널 품질이 기준 값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의 변화 또는 변동폭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 미리 정해진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윈도우 동안 채널 품질의 변화 또는 변동폭이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SPS 자원이 설정된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이 상향링크 동기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단계 S802에서 기지국은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SPS 자원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2에서 SPS 활성화 지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술한 방법에 따라 상향링크 동기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된 단말은 이에 대한 응답 정보, HARQ 피드백 정보, 및/또는 빔페어링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S803). 여기서, SPS 자원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는 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PDCCH는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 하향링크 SDT 전송을 위한 SPS 자원의 활성화 지시를 위하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 페이징 식별자, 또는 하향링크 SDT용 페이징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PDCCH는 다음의 파라미터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 SPS 활성화 지시자,
- SPS 자원 설정 정보(예컨대, SPS 할당 주기, SPS 시작점 정보, SPS 종료 시간 정보, 및/또는 SPS 유효 타이머 등)
- SPS 수신 성공 여부를 알리는 HARQ 피드백 전송용 상향링크 자원 설정 정보(예컨대, BWP 인덱스, 주파수/시간영역 할당 정보 등)
- DL SDT 동작 BWP 설정 정보(예컨대, 주파수영역 할당 정보, BWP 인덱스 정보 등)
다만, 상술된 파라미터들 중 일부가 상술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PDCCH는 해당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PS 자원 설정 정보가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PDCCH는 SPS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는 상향링크 동기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가 무한대로 설정되거나,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별도의 전용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하향링크의 SDT 수신을 위한 단말의 HARQ 피드백 정보 전송 또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허용하는 지시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명시적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단말이 인지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빔페어링 정보는 단말이 수신한 기지국 송신빔에 대한 TCI 상태, SSB 및/또는 CSI-RS(또는 SPS 수신을 위한 하향링크 빔 식별용 참조신호)의 빔을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 등을 의미한다.
단말로부터 SPS 활성화 지시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 HARQ 피드백 정보, 및/또는 빔페어링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활성화된 SPS 자원으로 하향링크 SDT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활성화된 SPS 자원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SDT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인액티브/휴지 상태의 단말은 하향링크 SDT를 위한 SPS 설정 정보에 따라 할당된 SPS 자원으로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L SDT 설정 정보 및/또는 PDCCH로 단말에게 전달된 SPS 자원으로 기지국과 단말은 DL SD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PS 자원을 이용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기지국의 SPS 활성화 지시 정보 전송 및 단말의 응답 정보 전송 단계를 생략하고 기지국은 SPS 자원으로 하향링크 SDT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전송하는 SPS 자원마다 해당 SPS 자원을 위한 PDCCH(또는 DCI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인액티브/휴지 상태의 단말은 하향링크 SDT를 위한 SPS 설정 정보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DCI가 어드레스하는 SPS 자원으로 하향링크 SDT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SPS 자원에 대한 수신을 지시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예컨대, CS-RNTI 또는 하향링크 SDT 수신을 위하여 설정된 스케줄링 식별자)는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DL SDT 설정 정보 또는 PDCCH를 통하여 상술된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또는 임계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획득한 단말이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 또는 상향링크 동기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단말일지라도 해당 단말은 획득한 정보에 따라 기준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SPS 자원 기반의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RRC 연결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 조절 정보(TA 정보)의 마지막 수신 시점, 기지국으로부터 마지막 수신 시점, 또는 단말의 마지막 송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또는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타이머)가 종료하지 않은 경우(즉, 해당 타이머가 작동(running)하는 경우)에, 단말은 기지국과 경로 지연에 보상이 필요 없거나 TA 동기(또는 UL 동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SPS 자원 기반의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크기,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 타이머(또는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타이머), 설정된 SPS 자원의 유효성(validity), 무선링크의 채널 품질, SDT의 크기 및/또는 단말의 위치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 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들의 선택적인 조합이 만족된 경우에, 단말이 SPS 자원 기반의 DL SDT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 S802에서 기지국은 상술한 RA 절차를 이용하거나 또는 단계 S802에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의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은 RA 무선자원, SR(scheduling request) 자원, 또는 상향링크 동기 획득(또는 TA 획득/조정)이 가능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이다.
단계 S802에서 상술된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주기 및/또는 DRX 동작 주기가 시간 영역에서 단말별로 구분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DL SDT 동작을 개시하는 기지국은 해당 모니터링 시점에서의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모니터링 시점에서 하향링크를 모니터링하는 단말도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가 자신에게 전송된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동기획득을 목적으로 할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예컨대, RA 무선자원, SR 자원, 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UL RS) 등)은 미리 설정된 DL SDT 동작 목적의 상향링크 동기획득을 위하여 허용된 시간 영역(또는 타이머, 윈도우) 내에서 해당 단말에게 전용(dedicated)으로 할당되는 무선자원일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802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상향링크 동기획득을 목적으로 할당하는 상향링크 자원(예컨대, RA 무선자원, SR 자원, 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UL RS) 등)은 해당 단말에게 전용(dedicated)으로 할당되는 무선자원이다. 즉, RA 무선자원의 경우는 상술한 CFRA 방식(또는 PDCCH order 방식)으로 할당된 RA 프리앰블 및/또는 MSG-A 전송용 PUSCH 자원이다. 또한, 해당 단말에게 전용(dedicated)으로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은 SR 자원 또는 UL RS 자원에 대해서도 해당 무선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또는 식별자 정보를 단계 S802의 PDCCH 및/또는 PDSCH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802에서 DL SDT 동작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RA 자원, SR 자원, 또는 UL RS 자원은 미리 지정된 시간(예컨대, 타이머 또는 윈도우) 동안 해당 단말에게 전용으로 할당된다. 만일, 상술한 DL SDT 설정 정보가 상향링크 동기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 S802에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동기획득을 위한 무선자원의 할당 정보 없이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미리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한 상향링크 동기획득 수행을 지시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802에서 동기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향링크 동기획득 동작 수행을 지시 받은 단말은 동기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메시지 및/또는 DL SDT 수신 동작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03).
단계 S803에서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메시지(예를 들어, SR 자원, 상향링크 참조신호(UL RS), RA 프리앰블, 및/또는 MSG-A 등)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향링크 동기 설정(또는 조정)을 위한 TA(timing advance) 정보 및/또는 DL SDT 패킷을 해당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S804). 단계 S80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TA 정보 및/또는 DL SDT 패킷을 수신한 단말은 수신한 DL SDT 패킷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 및/또는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다(S805). 여기서, 제어 정보는 무선채널 품질의 측정 결과,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CQI, 상향링크 데이터 발생(예컨대, BSR, 상향링크 SDT 요청 등), 단말의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 또는 단말의 선호 정보(preference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DL SDT 동작이 일회성으로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DL SDT 동작이 한번 이상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또는 지시자)를 SDT 패킷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성(one-shot transmission) 전송 지시자 또는 마지막 SDT 패킷(또는 SDT 종료)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DCI, MAC CE,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기지국이 개시한 DL SDT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기지국의 설정(또는 지시)에 따라 단말은 RRC 휴지 상태로 천이하거나 RRC 인액티브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S805).
DL SDT 동작을 위하여 기지국은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방식으로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할당된 PDSCH 자원(들)의 설정 정보(SPS 설정 정보)를 시스템 정보 또는 전용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제어 메시지는 RRC 연결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RRC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 또는 RRC 상태 천이 제어 메시지(예컨대,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제어 메시지)일 수 있다.
DL SDT동작을 위한 SPS 설정 정보는 해당 SPS 설정 정보를 설정(또는 시그널링)한 기지국에 대해서만 적용되거나 유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의 SPS 설정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의 SPS 설정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의 SPS 설정 정보로 구성된 목록(list)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수신된 SPS 설정 정보가 적용되는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SPS 설정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할 때마다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지국의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SDT 목적이 아닌 수행 조건에 부합하는 resume 절차(예컨대, 타이머 기반 또는 라우팅 영역 갱신 조건 등에 따른 resume 절차 수행 조건에 따른 resume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해당 기지국의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이 SPS 설정 정보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대한 SPS 설정 정보의 목록(list)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설정 정보의 목록 내에서 새로운 기지국에 대응되는 SPS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술한 방법에 따른 새로운 기지국의 지시로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을 위하여 복수의 기지국들에 적용될 수 있는 SPS 자원(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인접한 기지국과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된 SPS 자원(들)을 위한 하향링크, BWP, 및/또는 CORESET 자원 등을 설정(또는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지국들 간에 DL SDT동작을 위해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된 SPS 자원(들)(예컨대, DL, BWP, CORESET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기지국들 간에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된 SPS 자원(들)은 '공유(shared) SPS 자원(들)' 또는 '공유(common) SPS 자원(들)'로 지칭된다. 단말에게 전달되는 공유 SPS 설정 정보는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인액티브 단말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공유 SPS 자원이 유효한지 여부(또는 공유 SPS 자원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시자 또는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지국들에게 공유 SPS 자원(들)이 설정된 경우, 이전 기지국으로 설정받은 공유 SPS 자원이 유효하다면,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인액티브 단말은 SPS 설정 정보에 따른 공유 SPS 자원을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은 공유 SPS 자원이 유효하지 않다면,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인액티브 단말은 resume 절차 또는 별도의 SPS 설정(또는 SDT 요청) 절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지국을 위한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인액티브 단말이 SPS 자원을 획득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SPS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거나 SPS 설정 절차를 트리거(또는 개시)하기 위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지국에 진입한 인액티브 단말은 연결 상태로의 천이없이 해당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된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설정 정보는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 단계 또는 연결 재시작(resume) 단계의 제어 메시지 또는 상태천이(또는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SPS 자원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또는 위치)하는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할당된 채널(또는 무선자원)일 수 있다.
상술된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설정 정보는 SPS 자원 할당 정보(SPS 자원 전송용 비트열 및/또는 PDSCH), MCS 정보, HARQ 설정 정보, 수신 타이밍(또는 윈도우), 또는 SPS 자원 영역 내 기지국들 간에SPS 자원을 매핑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PS 자원 할당 정보는 SPS 자원이 할당(또는 설정)되는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의 식별자, SPS 자원이 일회성으로 할당되지는 여부, SPS 자원이 반복적으로 할당되는지 여부, 및/또는 SPS 자원이 반복적으로 할당되는 회수 등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PS 자원할당 정보는 SPS 자원을 구성하는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물리계층 무선자원(PRB, Physical Resource Block) 할당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PS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영역(예컨대, 시스템 대역폭, BWP, 또는 서브 캐리어 등)에서 SPS 자원이 시작하는 서브캐리어의 인덱스 또는 미리 지정된 기준(예컨대, 시스템 대역폭 또는 BWP를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시작점)으로부터의 오프셋 정보, SPS 자원의 BWP 인덱스, SPS 자원의 서브캐리어들 또는 서브채널들의 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PS 자원의 BWP 인덱스는 SPS 자원이 설정된 BWP 및/또는 SDT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BWP를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이다. 기지국은 DL SDT 패킷 전송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BWP(들)을 설정하거나 지정할 수 있다. BWP 인덱스 정보가 시스템 정보 또는 연결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된 경우, BWP 인덱스 정보는 SPS 자원 할당 정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SPS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영역(예컨대,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또는 미니 슬롯, 심볼 등)에서 SPS 자원의 시작되는 위치의 인덱스(예컨대, SPS 자원이 시작하는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또는 심볼 등의 인덱스) 및/또는 SPS 자원 무선 자원의 길이(length), SPS 자원 할당 주기, 할당된 SPS 자원의 유효 구간(duration, window, 또는 timer) 또는 전송 가능 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PS 자원 할당 주기는 무선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 등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SPS 자원 할당 주기는 단말의 식별자(예컨대, IMSI, TMSI, S- TMSI, ResumeID, I-RNTI, C-RNTI, 또는 기타 단말 식별자) 및/또는 SFN(system frame number) 값을 이용한 모듈러(modular) 연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SPS 자원이 전송되는 프레임 및/또는 서브프레임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해당 프레임 및/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의 시작점은 오프셋 정보 또는 SPS 자원이 시작되는 위치를 위한 오프셋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또한, DL SDT 동작이 요구되는 일시(년/월/일/시간)가 지정되거나 DL SDT 동작이 요구되는 일시에 대한 구간이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DT을 위한 SPS 자원은 매년 특정한 달 및/또는 매월 특정한 날짜(또는 날짜 범위)에 설정될 수 있다. 또는,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자원은 지정된 년월일의 특정한 시간(또는 시간 범위)에 설정될 수 있다. 특정한 일시의 지정은 UTC, GPS 등의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MCS 정보는 SPS 자원을 이용하여 DL SDT 동작를 수행할 때 적용되는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MCS 정보는 하나 이상의 MCS 값을 가지는 목록(list) 또는 범위(range)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전송하려는 SDT의 크기(size) 및/또는 채널 품질(예컨대, CSI 레벨, RSRP, RSRQ 등)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MCS 목록(또는 범위)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MCS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이 MCS 값을 선택하여 SDT를 수행하도록 설정되거나 기지국이 SPS 자원에 적용될 MCS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지 않은 경우,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시점에서 PDCCH(또는 DCI)를 이용하여 SPS 자원에 적용된 MCS에 대한 정보(예컨대, SPS 자원 MCS indicator)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송 타이밍 정보는 SDT을 위한 SPS 자원의 SFN(System Frame Number), 프레임/서브 프레임/슬롯/미니 슬롯/심볼 등의 인덱스, 전송 시간(또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SFN/프레임/서브 프레임/슬롯/미니 슬롯/심볼 등에 대한 오프셋(offset) 정보, 또는 시간 윈도우 값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전송 타이밍 정보는 시간 영역(예컨대,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또는 미니 슬롯, 심볼 등)에서 SPS 자원이 시작하는 시점 또는 미리 지정된 기준(예컨대, SFN 또는 프레임/서브 프레임 등의 인덱스로 설정되는 시간 기준점)으로부터의 오프셋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프셋 정보는 SPS 자원 할당 주기의 시작점 또는 SFN(System Frame Number)의 기준점으로부터의 오프셋 정보(무선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 등의 단위)일 수 있다.
또한, HARQ 설정 정보는 DL SDT 동작에 대해 HARQ 기능이 지원되는지 여부 및/또는 반복 전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반복 전송의 회수, 반복 전송이 적용되는 SPS 자원의 설정 정보, 또는 반복 전송이 적용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PS 자원 영역 내 기지국들 간에SPS 자원을 매핑하기 위한 정보(이하, SPS 자원 매핑 정보)는 SPS 설정 정보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공유 SPS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동일한 영역에 속한 기지국들간에 SPS 자원(들)을 매핑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핑 정보는, SPS 설정 정보가 동일한 영역(또는, 동일한 영역 식별자가 설정된 SPS 설정 정보가 적용되는 영역)에 속한 기지국들에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ies)가 적용된 경우에도, 단말이 SPS 설정 정보에 따라 새로운 기지국의 SPS 자원 및/또는 공유 SPS 자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매핑 정보는 전송 주파수/대역폭, BWP 설정,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심볼 길이 등에서 상이한 뉴머롤로지(numerologies)가 적용된 기지국들 각각에 실제로 적용되는 SPS 설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오프셋 정보 또는 상이한 뉴머롤로지(numerologies) 간의 전환 매핑 규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SPS 자원이 설정된 BWP와 새로운 기지국의 BWP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슬롯/미니 슬롯 구성, 또는 심볼 구성 등에서 다른 경우, 상기 매핑 정보는 각 기지국(또는 BWP)을 위한 SPS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매핑 규칙에 대한 정보, SPS 자원이 설정된 BWP 인덱스, 및/또는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포밍(beamforming) 기술 적용에 따른 빔 관리(또는 선택)를 위하여, SPS 설정 정보는 SSB 및/또는 기준 신호(예컨대, DM-RS, CSI-RS, 및/또는 기타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빔과 SPS 자원을 위한 프리앰블(또는 기준신호의 패턴/시퀀스) 무선자원 간의 매핑 관계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SPS 자원을 위한 무선자원은 미리 지정되거나 설정된 BWP의 자원으로만 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PS 자원의 설정 정보는 해당 BWP를 지시하는 BWP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차원에서 디폴트(default) BWP, 이니셜(initial) BWP, 및/또는 DL SDT 전용 BWP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자원이 구성되는 경우는 SPS 자원의 설정 정보가 BWP 인덱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DL SDT 전용 BWP가 설정되는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 또는 전용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DL SDT 전용 BWP 및/또는 SPS 자원의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자원이 이니셜 상향링크 BWP가 아닌 다른 상향링크 BWP에 설정되는 경우, 해당 BWP는 이니셜 BWP와 동일한 속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일, SPS 자원이 이니셜 BWP가 아닌 다른 DL BWP에 설정되는 경우,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의 변경 통지, 시스템 정보(예컨대, SI, SIB, posSIB 등), 또는 MBS 서비스를 수신하는 BWP는 단말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Case1: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하나의 하향링크 BWP에서만 수신을 할 수 있는 경우
단말은 SPS 자원이 설정된 DL BWP를 통하여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의 변경 통지, 시스템 정보(예컨대, SI, SIB, posSIB 등), 또는 MB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또는, SPS 자원이 설정된 DL BWP가 이니셜 BWP로 설정되어야 한다.
- Case2: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두개 이상의 하향링크 BWP들에서 수신을 할 수 있는 경우
단말은 SPS 자원이 설정된 DL BWP이 아닌 이니셜 BWP를 통하여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정보의 변경 통지, 시스템 정보(예컨대, SI, SIB, posSIB 등), 또는 MB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SPS 자원이 설정된 DL BWP를 통하여 DL SDT 패킷 및/또는 제어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된 DL SDT 동작에 있어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구간에는 무선계층 프로토콜에 따른 암호화 기능이 사용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키를 이용한 암호화 기능은 적용되지 않고 전송 메시지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기능(예컨대, integrity protection)만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RA 절차 및/또는 SPS 자원에 기반한 SDT 방법에 있어서 SDT(small data transmission)기능 지원을 위하여 기지국이 하향링크 물리계층 제어채널(또는 PDCCH)을 전송할 때, SDT 기능 지원용 PDCCH(또는 DCI)의 전송 영역(예컨대, 코어셋(CORESET) 또는 탐색영역(search space))이 다른 목적의 기존 코어셋 또는 탐색영역과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DL SDT 동작 지원을 위하여 지정(또는 설정)된 코어셋(CORESET) 또는 탐색영역(search space)을 모니터링하여 SDT 기능 지원을 위한 PDCCH(또는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RA 절차 및/또는 SPS 자원에 기반한 SDT 방법에 있어서, SDT을 위해 설정된 SPS 자원의 사용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SDT의 전송을 위한 SPS 자원이 설정된 단말에 대해서도 SPS 자원을 이용한 SDT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SPS 자원의 사용 조건은 상술된 SPS 자원의 설정 정보를 위한 영역 식별자가 현재 단말이 존재하는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의 영역 식별자와 동일하여야 한다는 조건, SDT을 위한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 조건, 무선채널의 측정 결과가 SDT을 위한 기준을 만족하는 조건, 및 상향링크 물리계층 동기가 유지되고 있여야 한다는 조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SPS 자원의 사용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L SDT 수신 동작을 위한 SPS 자원이 아니라, 상술된 DL SDT 동작을 위한 RA 절차를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RA 절차 및/또는 SPS 자원에 기반한 DL SDT 동작을 완료한 단말은 기지국의 결정(또는 제어) 및/또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인액티브 상태를 유지하거나 휴지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단말이 휴지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 단말은 SDT을 위한 상술된 SPS 설정 정보를 설정받지 않고 휴지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단말이 인액티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단말은 SPS 설정 정보를 새롭게 설정받거나 저장된 기존 SPS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SDT 패킷이 발생할 때 SPS 자원 기반의 DL SDT 수신 동작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RA 절차 및/또는 SPS 자원에 기반한 DL SDT 동작 방법은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연결 상태의 단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연결 상태의 단말이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가지지 않았거나 상향링크 자원요청을 위한 유효한 SR(scheduling request) 자원을 가지지 않은 경우, 연결 상태의 단말은 상술된 방법 및 절차에 따라 RA 절차 또는 SPS 자원을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RA 절차 및/또는 SPS 자원에 기반한 DL SDT 수신 동작에 있어서, DL SDT 동작 구간(또는 윈도우, 타이머, 카운터), 일회성 전송(또는 one-shot 전송)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일회성 전송으로 전송될 수 있는 SDT의 크기(또는 메시지들의 수), 또는 분할되어 전송될 수 있는 DL SDT 패킷의 크기(또는 메시지들의 수) 등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 정보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RRC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회성으로 DL SDT 동작을 수행하거나 두개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SDT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동안에는, 단말은 무선링크실패(RLF) 검출, 무선링크모니터링(RLM), 빔실패 검출 및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DL SDT 동작이 SDT 구간(또는 윈도우, 타이머, 카운터)내에서 완료되지 못한 경우, DL SDT 동작은 실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하여 설정된 하향링크 SDT의 크기 임계값(또는 조건값) 및/또 하향링크 SDT의 분할 전송을 위한 후속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라, 단말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자원들을 사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L SDT 동작 지시로부터 DL SDT 동작완료까지의 시간은 기존의 무선링크 재시작 절차(예컨대, 3GPP LTE/NR 시스템의 resume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 기반으로 DL SDT 동작의 실패를 관리(또는 검출)하는 방법으로 아래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 방법1: DL SDT 동작 타이머를 기반으로 DL SDT 동작실패를 관리(또는 검출)하는 방법
- 방법2: 기존 무선링크 재시작(resume) 타이머(예컨대, 3GPP LTE/NR 시스템의 T319 타이머)와 DL SDT 동작 타이머를 기반으로 DL SDT 동작 실패를 관리(또는 검출)하는 방법
방법1은 DL SDT 동작 지시 시점부터 DL SDT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하나의 SDT 타이머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관리(또는 검출)하는 방법이다. DL SDT 동작 타이머는 DL SDT 동작기능을 지원(또는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이 하향링크 수신 및/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마다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DL SDT 동작타이머가 종료할 때까지 DL SDT 수신 동작 및/또는 DL SDT 수신 동작를 위한 각각의 하향링크 수신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DL SDT 동작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방법2를 위하여 DL SDT 동작절차는 DL SDT 동작 개시 단계와 DL SDT 동작 수행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DL SDT 동작개시 단계는 DL SDT 동작 지시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시점부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처음 수신 또는 단말이 DL SDT 동작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또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때까지를 의미한다. DL SDT 동작 수행 단계는 단말이 DL SDT 패킷을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DL SDT 동작 개시 단계에서, 단말은 기존의 무선링크 재시작(resume) 타이머(예컨대, T319 타이머), 상향링크 동기획득 관리 타이머, RA 윈도우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DL SDT 동작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관리(또는 검출)할 수 있다.
DL SDT 동작 수행 단계에서, 단말은 DL SDT 동작 타이머(또는 SDT 순시 타이머)를 이용하여 DL SDT 동작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관리(또는 검출)할 수 있다. DL SDT 타이머(또는 SDT 순시 타이머)는 DL SDT 기능을 지원(또는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이 하향링크 무선 자원을 통한 수신 또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통한 전송을 수행할 때마다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즉, 단말이 SPS 자원 및/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받은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자원)으로 SDT 패킷을 수신시점(또는 피드백/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마다 DL SDT 동작 타이머(또는 SDT 순시 타이머)는 시작되거나 재시작된다. DL SDT 동작 타이머(또는 SDT 순시 타이머)가 종료할 때까지 DL SDT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DL SDT 동작 실패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2에서는 각 단계별로 기존의 무선링크 재시작(resume) 타이머(예컨대, T319 타이머)와 DL SDT 동작 타이머(또는 SDT 순시 타이머)를 이용하여 SDT이 실패하였는지 여부가 관리(또는 검출)될 수 있다.
DL SDT 동작이 실패한 경우, DL SDT 동작 이후에 DL SDT 동작의 재시도가 제한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또는 타이머)가 종료한 이후에, 단말은 휴지 상태로 천이하거나 또는 인액티브 상태에 잔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연결상태로 천이하여 중단된 DL SDT 패킷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DL SDT 동작의 재시도가 제한되는 시간 구간(또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및/또는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게 전달된다. 미리 설정된 DL SDT 구간(또는 윈도우, 타이머, 카운터)가 종료하기 전 또는 종료를 인지하였을때,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연결 상태로의 천이를 지시하거나, 단말이 연결상태로의 천이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RA 절차 등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DL SDT 구간을 관리하는 카운터(또는 타이머)는 상술한 RA 절차 또는 SPS 자원을 이용한 DL SDT 동작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 DL SDT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 두개 이상의 DL SDT 동작들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수신 시점, 또는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또는 PDCCH/DCI)를 수신한 시점에서 시작(또는 재시작)될 수 있다.
DL SDT 동작을 위한 SPS 자원과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 및/또는 DMRS 설정 정보 간의 매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DMRS 설정 정보는 DMRS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DMRS 시퀀스, 또는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 파라미터 등을 의미한다. 상기 매핑 관계에 대한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술된 SDT 동작이 개시(initiation) 또는 트리거(trigger)된 이후 해당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의 non-SDT 패킷이 발생할 수 있다. DL SDT 기능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에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을 연결 상태로 천이하여 발생한 non-SDT 패킷(예를 들어, non-SDT DRB 또는 SRB의 데이터/메시지)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DL SDT 동작이 개시된 이후에 해당 단말에게 P-RNTI를 이용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DL SDT 동작 수행 중에 하향링크 채널로 단말에게 non-SDT 패킷의 발생을 알리는 RRC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DL SDT 동작 수행 중에 해당 단말의 연결상태로의 천이를 위하여 기존의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용 스케줄링 식별자(P-RNTI)가 아니라,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DL SDT 동작 수행 중에 해당 단말의 연결상태로의 천이를 위한 새로운 RRC 계층 제어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DL SDT 동작을 위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에게 연결상태로의 천이를 지시하는 RRC 계층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른 DL SDT동작에 있어서, 도 6의 단계 S602, 도 7의 단계 S702, 또는 도 8의 단계 S802 단계에서 기지국이 PDCCH로 전송하는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에는 별도의 DCI 포맷이 적용될 수 있다. 즉,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DCI 포맷이 별도로 정해지면, 해당 DCI는 DL SDT 동작을 위하여 별도 지정된 스케줄링 식별자(SDT-RNTI) 또는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P-RNTI)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DCI가 P-RNTI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해당 DCI와 기존의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DCI를 구별하기 위한 지시자가 포함되거나 또는 기존 페이징 메시지 및/또는 페이징용 DCI내에서 DL SDT 목적을 지시하는 별도의 필드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DL SDT 동작을 지시하는 DCI가 DL SDT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또는 단말 그룹)에게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에도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에는 별도의 DCI 포맷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DCI 포맷, 스케줄링 식별자, 및/또는 DCI 필드 내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또는 PDCCH/DCI)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PDCCH/DCI를 전송하는 BWP 및/또는 CORESET 자원(예컨대, BWP 및/또는 CORESET 자원의 식별정보(또는 자원 인덱스))를 별도로 지정하여 시스템 정보 및/또는 DL SDT 설정 정보 메시지로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인액티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의 단말은 해당 BWP 및/또는 CORESET 자원을 모니터링하여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PDCCH/DCI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PDCCH/DCI는 SDT를 위하여 지정된 스케줄링 식별자(SDT-RNTI), 페이징 스케줄링 식별자(P-RNTI), 또는 단말에게 미리 할당된 스케줄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른 DL SDT동작에 있어서, 기지국이 마지막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DL SDT 패킷이 마지막 전송임을 알리는 지시자를 PDCCH, MAC CE, RLC 헤더 (또는 제어 정보), 및/또는 PDCP 헤더(또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채널 품질은 CSI(channel status indicator),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 또는 설명한 타이머의 동작과 관련하여, 타이머의 시작(start), 중지(stop), 리셋(reset), 재시작(restart), 종료(expire) 등의 동작은 해당 타이머의 동작 또는 해당 타이머를 위한 카운터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또는, 셀)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또는 gNB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또는, 셀)은 기능 분리가 적용된 CU 노드 또는 DU 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UE,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또는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에서 수행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스몰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 SDT) 수신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L SDT 패킷은 소정의 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DL SDT 수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모니터링되어 수신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DL SDT 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미리 정의된 페이징 스케쥴링 식별자 또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스케쥴링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DL SDT 수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서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한 TA(timing advance) 정보가 추가로 수신되는,
    DL SDT 수신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DL SDT 패킷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정보 및/또는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무선 채널의 품질의 측정 결과,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 간의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데이터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단말의 보조 정보(assistant information), 또는 상기 단말의 선호 정보(preference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의 설정 또는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이 RRC 휴지(idle) 상태로 천이하거나 RRC 인액티브 상태에 머무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DL SDT 수신 방법.
  12.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스몰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 SDT) 동작 방법으로,
    단말에게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L SDT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DL SDT 패킷은 소정의 크기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DL SDT 동작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는 상기 단말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해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DL SDT 동작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DL SDT 동작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DL SDT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한 TA(timing advance)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DL SDT 동작 방법.
  17.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외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 DL) 스몰 데이터 전송(small data transmission, SDT)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DL SDT 패킷을 상기 송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DL SDT와 관련된 설정 정보에서 지시하는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주기 또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주기에 따른 시간 영역에서 모니터링되어 수신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단말.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상향링크 동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유지를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대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DL SDT 수신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에서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
KR1020220154085A 2021-11-18 2022-11-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 KR20230073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89,727 US20230156702A1 (en) 2021-11-18 2022-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small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35 2021-11-18
KR20210159635 2021-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124A true KR20230073124A (ko) 2023-05-25

Family

ID=8654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085A KR20230073124A (ko) 2021-11-18 2022-11-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1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09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11115892B2 (en) Beam failure information for radio configuration
CN111684744B (zh) 半持久信道状态信息报告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11006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venting bandwidth part misal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37320B2 (en) Method for managing radio link in multi-carrier environment, and device for same
KR10244437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2203864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16235603A (zh) 用于小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EP3439221B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US2023028426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CA3147766A1 (en) Wireless device sidelink information
US20220312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9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CN114946262A (zh) 随机接入过程的设备和方法
KR20220118433A (ko)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위한 cg(configured grant) 타입 1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12809A (ko) 랜덤 액세스 절차의 장치 및 방법
US202301567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small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34163A1 (en)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multiple wireless access points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01916A (ko) 비-지상 네트워크에서 송수신 동작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072763A1 (en) Instant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272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US201901328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09329A (ko)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저전력 소모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7312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sdt 동작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절차
KR20210018049A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