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87A -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87A
KR20230072587A KR1020210158979A KR20210158979A KR20230072587A KR 20230072587 A KR20230072587 A KR 20230072587A KR 1020210158979 A KR1020210158979 A KR 1020210158979A KR 20210158979 A KR20210158979 A KR 20210158979A KR 20230072587 A KR20230072587 A KR 2023007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priority
issuance
content
priority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스피너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너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피너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587A/ko
Publication of KR2023007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받는 단계,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 기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는 단계,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FOR ISSUEING AND PROCESSING PREEMPTIVE RIGHT RELATED TO CONTENT PRODUCT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임 라인 상에 출시되는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을 발행하고 각 사용자별로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 유선 통신 기술 시대에 개발된 결제 방식은 판매자 중심의 결제 방식으로서, 구매자가 결제 방식을 먼저 특정하여, 구매자 정보를 판매자에게 전달하였다. 이 경우 구매자 정보 노출 위험이 증가하고, 통상 거래 대비하여 결제 정보 흐름과 현금 흐름의 불일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역방향 구매자 중심 결제 방식(reverse payment)은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및 모바일 기기의 보급화로 인해서 무선 모바일 결제 방식으로 발전하여 판매자 정보를 구매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때, 구매자 정보의 노출 위험이 감소하고, 결제 정보 흐름과 현금 흐름이 통상적 거래와 일치하여, 즉 구매자가 결제 관련 정보를 받고 확인 후에, 자금을 집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방향 결제 시에, 구매자가 직접 결제 또는 송금할 능력이 부족한 경우 구매 대금을 대신 결제자 또는 대신 결제자로부터 조달 받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대신 결제/송금의 경우에는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대신 결제/송금이 이루어지기 전에 구매처나 수금자의 한정 없이 허용하는 예산 금액을 미리 발행하여 편의성을 증대하고 싶을 것이다. 한편, 대신 결제자/송금자의 경우 대신 결제 자금을 미리 결제할 필요 없이, 대신 결제/송금이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금액이 결제 처리되도록 한다면 자금의 효율적, 체계적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최근 엔터테인먼트 및 콘텐츠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타임 라인 상에서 계속하여 출시되는 신규 콘텐츠 상품에 대한 팬들의 우선 구매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자의 구매력 정보를 미리 알 수 없어 우선 구매권을 부여할 기준을 갖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요구 및 문제점을 반영하는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7254호
본 발명은 예산 금액, 사용 기간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 구매권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 구매권 발행 시에는 전체 예산만을 미리 확정하고 결제되는 상품 및 결제 가격을 미리 알 필요가 없어 사용자 및 대신 결제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제가 필요한 미래의 시점에 결제가 처리됨으로써 자금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 입장에서 우선 구매권의 발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매력 정보를 미리 획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우선 구매권을 갖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임 라인 상에서 계속하여 출시되는 신규 콘텐츠 상품들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콘텐츠 출시 이전에 우선 구매권 발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선 구매권 또는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고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우선 구매 시장을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한정 수량 콘텐츠의 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 기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상기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에 상기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 사용 기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상기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에 상기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된 NFT 발행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산 금액, 사용 기간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 구매권을 발행하도록 구성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구매권 발행 시에는 전체 예산만을 미리 확정하고 결제되는 상품 및 결제 가격을 미리 알 필요가 없어 사용자 및 대신 결제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제가 필요한 미래의 시점에 결제가 처리됨으로써 자금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자 입장에서 우선 구매권의 발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매력 정보를 미리 획득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우선 구매권을 갖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임 라인 상에서 계속하여 출시되는 신규 콘텐츠 상품들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콘텐츠 출시 이전에 우선 구매권 발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구매권 또는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으로 발행하고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우선 구매 시장을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한정 수량 콘텐츠의 거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를 이용한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발행 금액이 콘텐츠 구매에 기초하여 차감되는 결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 및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의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를 이용한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은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 사용자(A) 단말기(100), 복수의 대신 결제자(B) 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 사용자(A) 단말기(100), 복수의 대신 결제자(B) 단말기(210, 220)은 서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A) 단말기(100), 대신 결제자(B1) 단말기(210), 대신 결제자(B2) 단말기(220) 등 사용자 단말기는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랩탑(laptop)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텔레비전(televis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음성 인식 스피커, 스마트 스피커, AI(인공지능) 스피커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사용자(A) 또는 대신 결제자(B) 등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대신 결제자 단말기(210, 220) 등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받고,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 사용 기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해당 사용자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상품은 다양한 소속사, 엔터테이너, 아티스트, 가수, 그룹, 연예인, 예술가, 영화, 드라마, 콘텐츠 채널 등과 관련된 음원, 영상, 콘서트 티켓, 굿즈, 기념품, 출판물, 디지털 영상물 등 유무형의 다양한 형태의 상품 및 서비스를 포함하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을 비교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 예컨대 콘텐츠 출시일 또는 우선 구매 가능일과 현재 시점 사이를 월 단위로 계산한 후에, 차이 월 개수에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사용자 단말에 타임 라인과 함께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에 기초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된 NFT 발행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발행된 NFT를 통해 사용자는 예컨대 구매 순번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매 순번이 해당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고 NFT로 사용자들 사이에 거래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 발행, 처리 및 결제 등을 처리하기 위한 전용 앱(application),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외부 메모리 또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대신 결제자 단말기(210, 220) 등의 사용자 단말에 이와 같은 앱을 설치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A)는 우선 구매권의 혜택을 받는 사람으로서 우선 구매권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관련 상품, 물건, 서비스 등의 혜택을 받는 사람으로서, 예컨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아티스트의 미성년자 팬(fan)일 수 있으며, 수혜자(beneficiary) 또는 '받는 사람(taker)'로도 언급될 수 있다. 대신 결제자(B)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및 콘텐츠 결제 대금을 대신하여 결제하는 당사자로서, 대신 결제자 또는 '주는 사람(giver)'로도 언급될 수 있으며, 예컨대 팬의 부모, 친척, 보호자, 후견인 등 경제력을 갖춘 가족일 수 있다. 예컨대 미성년의 결제 수단인 선불카드의 경우 이용한도(1일/1회 50,000원)에 따른 구매 범위가 축소되지만, 대신 결제 기능 적용 시 부모/보호자의 대신 결제뿐만 아니라 개인 결제 수단을 통합 결제할 수 있어 이용 한도에 제한 없이 구매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우선 구매권을 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대신 결제는 사용자의 구매에 따른 구매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구매자(사용자)와 상이한 대신 결제자가 부담하는 경우를 가정으로 할 수 있으나, 대신 결제자(B) 없이 사용자(A)가 직접 결제할 능력을 갖는 경우 대신 결제자(B)의 동작 없이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상품 결제가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우선 구매권 발행 시에 결제 상품 또는 금액을 미리 알 필요가 없이 계획된 예산만 결정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 및 대신 결제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실제 콘텐츠 상품의 결제가 진행되는 미래의 시점에 대신 결제가 처리됨으로써 대신 결제 자금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대신 결제 관계를 가족 사이에 적용함으로써, 가족 간에 가족 재정 소통 범위를 넓히고, 가족 재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대신 결제 시점을 미리 설정된 사용 기간 내의 미래의 시점으로 예약함으로써 계획적인 재정 예산을 활용가능한 가족 재정 통합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발행 금액이 콘텐츠 구매에 기초하여 차감되는 결제 처리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간(t) 축 상에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 예산(y)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t0의 현재 시점과 별도로 우선 구매권의 개시 시점이 t1, 종료 시점이 t4로 설정된 경우에, 우선 구매권의 최초 발행 금액으로 설정된 V가 전체 예산(budget)으로서 활성화되고, 개시 시점 이후인 t2 시점에서 콘텐츠 A 구매를 위해 y1 금액만큼 결제가 처리되면 발행 금액 예산 잔액 y = V - y1 으로 변경되고, t3 시점에서 콘텐츠 B 구매를 위해 y2 금액만큼 결제가 처리되면 발행 금액 예산 잔액 y = V - y1 - y2로 변경될 것이며, 종료 시점인 t4 시점에서 남은 예산 잔액은 종료 시점의 연기 요청으로 연장되어 유지되거나, 새로운 우선 구매권 발행을 통해 새로운 금액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우선 구매권은 개시 시점과 종료 시점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설정된 기간 동안에 전체 예산 내에서 실제 구매된 상품 결제 금액만큼 감산되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은 특정 날짜뿐만 아니라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조건의 발생 시점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 발행부(310), 우선 구매권 처리부(320), 우선 구매 결제 처리부(330) 및 NFT 발행 처리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에 포함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상에 물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 이상의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program), 오브젝트(object), 콤포넌트(component), 명령(instructions),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및 특정 작업(task)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대신 결제자 단말기(200), 카드사 서버, 결제자 단말기, 판매자 단말기 등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사용자 및 대신 결제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 사용 기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우선 구매권 발행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구매권 발행부(31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대신 결제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권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발행된 우선 구매권은 우선 구매의 대상, 예컨대 특정 소속사, 특정 엔터테이너, 특정 아티스트, 특정 카테고리, 특정 국가, 특정 드라마, 특정 영화, 특정 콘텐츠 채널 등의 대상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은 발행된 금액 정보, 개시 시점 및 종료 시점이 포함된 사용 기간 정보 및 사용자 결제 수단 또는 대신 결제자 결제 수단 및 결제 방법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 기간 정보는 우선 구매권이 개시되는 개시 시점 조건 정보와 우선 구매권이 종료되는 종료 시점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시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은 특정 날짜뿐만 아니라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조건의 발생 시점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부(320)의 우선 구매 콘텐츠 판단부(321)는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 예컨대 상품 출시일 또는 우선 구매 가능 기간 등을 비교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상기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 또는 구매 가능일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에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부(320)의 우선 구매 콘텐츠 판단부(321)는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이후에 판매되는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사용자 단말에 타임 라인 상에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우선 구매가 가능한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을 타임 라인 정보와 함께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부(320)의 우선 순위 처리부(322)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에 기초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한정 판매 콘텐츠의 경우 1순위, 2순위, 3순위 등의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발행 순번에 따른 우선 구매 능력을 차등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우선 구매권 처리부(320)의 우선 순위 처리부(322)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 등 발행 시기에 기초하여 타임 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각 콘텐츠에 대해 우선 구매 순번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빨리 우선 구매권을 발행한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우선 구매 콘텐츠를 구매가능하게 하거나, 한정 판매 수량을 갖는 콘텐츠의 차등적 우선 구매 권리를 획득하는 등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 결제 처리부(330)는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함으로써 발행 금액 예산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된 예산 잔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구매 관련 시간 구간 정보, 발행 금액 변경 정보, 또는 1회 사용 한도 등과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요청 및 대신 결제자의 승인의 절차를 통해 처리될 수 있으며, 반대로 대신 결제자의 요청만으로도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구매 결제 처리부(330)는 사용자의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발행 금액 예산 잔액에 기초하여 대신 결제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 결제 처리부(320)는 사용 기간의 개시 시점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NFT 발행 처리부(340)는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블록 체인을 통해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행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발행된 콘텐츠 상품 NFT를 통해 사용자는 예컨대 구매 순번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매 순번의 차별화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고 콘텐츠 NFT가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거래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우선 구매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구매 순번을 갖는 콘텐츠를 소유하기 위해 우선 구매권 발행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NFT 발행 처리부(340)는 발행되는 우선 구매권 자체를 NFT로 발행할 수 있다. 동일한 발행 금액의 우선 구매권이라 하여도 우선 구매 기간 및 한정 수량 콘텐츠 여부에 따라 보다 빠른 시점에 발행한 우선 구매권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빠른 시점에 우선 구매권을 획득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특정 콘텐츠를 우선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종래에 발행된 우선 구매권 NFT를 확보하기 위해 우선 구매권 NFT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 및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임 라인 상에서 출시되는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으로부터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은 증액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은 최초 우선 구매권 발행 금액 또는 현재 시점에서의 발행 금액 예산 잔액일 수 있다.
예컨대, 우선 구매 조건 최소 발행 금액을 콘텐츠 판매 금액에서 월 기준으로 10%씩 증액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콘텐츠 A의 현재 시점에서의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은 콘텐츠 A 발맹일과 현재 시점과의 기간 차이가 1개월이므로 25,000 x (1 + 0.1) = 27,500원 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B의 현재 시점에서의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은 3개월의 기간 차이를 반영하여 150,000 x (1 + 0.3) = 195,000원 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C의 현재 시점에서의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은 6개월의 기간 차이를 반영하여 45,000 x (1 + 0.6) = 72,000원 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서 팬#1은 우선 구매권을 발행 금액 300,000원으로 발행하였으며, 발행 금액 300,000원으로서 콘텐츠 A, 콘텐츠 B, 콘텐츠 C의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의 총합인 294,500원을 초과하므로, 팬#1은 3개 콘텐츠에 대해 우선 구매 혜택을 갖게 된다. 이에 반해 사용자로서 팬#2는 우선 구매권을 발행 금액 150,000원으로 발행하였으며, 이때 콘텐츠 B의 우선 구매 최소 발행 금액이 195,000원이기 때문에 콘텐츠 B에 대한 우선 구매가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우선 구매는 특정 콘텐츠의 발매일 또는 출시일보다 빠른 시점에 구매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예컨대, 우선 구매권을 갖는 사용자는 콘텐츠 A의 음원 발매일보다 15일 이전부터 구매가 가능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선 구매권 발행 금액과 콘텐츠 판매 금액 및 시간과 미리 결정된 증액 비율을 고려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큰 금액의 우선 구매권을 보다 빠른 시점에 발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이 발행된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구매력 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큰 구매력을 갖는 사용자들에 우선 구매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콘텐츠 판매 가격 및 현재 시점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 상품별로 우선 구매 혜택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의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사용자로서 팬#1은 팬#2에 비해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 기준으로 보다 빠른 시점에 우선 구매권을 발행함으로써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로서 1순위의 우선 구매 순위를 획득하였으며, 팬#2는 발행 순번에 따라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로서 3순위의 우선 구매 순위를 획득하였다. 이와 같이 우선 구매권은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 등 발행 시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우선 구매 순번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빨리 우선 구매권을 발행한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우선 구매 콘텐츠를 구매하거나 한정 판매 수량을 갖는 콘텐츠의 우선 구매 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예컨대 한정 판매 수량을 갖는 콘텐츠 A 및 콘텐츠 C의 경우 팬#1은 우선 구매권 발행 시간 또는 발행일을 기준으로 1순위로서 우선 구매 순번으로 선정되어 한정 수량 콘텐츠의 우선 구매 특전을 제공받으나, 팬#2는 우선 구매권 발행일 기준 3순위로서 한정 판매 콘텐츠의 우선 구매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B는 한정 수량 콘텐츠가 아니라 비교적 수량의 여유가 있는 콘서트 티켓 콘텐츠로서 순위에 상관없이 우선 구매권을 갖는 사용자들은 콘서트 티켓 판매일보다 30일 이전부터 우선 구매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정 수량의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보다 빠르게 우선 구매권을 발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또는 대신 결제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S610)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우선 구매권 발행을 위한 발행 금액 정보, 사용 기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20) 추가적으로 우선 구매권 발행을 위해 우선 구매권의 구매 대상 범위를 결정하는 특정 소속사, 특정 엔터테이너, 특정 아티스트, 특정 카테고리, 특정 국가, 특정 영화, 특정 드라마, 특정 콘텐츠 채널 등의 대상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 사용 기간 및 구매 대상 범위 등에 기초하여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예컨대,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 및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우선 구매권 발행일 또는 순서에 기초하여 생성된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한정 수량 콘텐츠 상품의 선순위 여부에 기초하여 한정 판매 콘텐츠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각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기간 및 우선 구매 가능한 콘텐츠 상품을 타임 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S640) 사용자는 타임 라인 상에서 출시되는 콘텐츠들을 시계열적으로 인식하면서 각 콘텐츠의 구매 계획을 사전에 확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선 구매권의 발행 계획에 대해서도 미리 확립할 수 있다.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상품을 구매 순위 정보와 함께 NFT로 발행할 수 있다.(S650) 이과 같이 발행된 콘텐츠 관련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고유의 구매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의해 콘텐츠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금액을 발행 금액에서 차감하여 발행 금액 예산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660) 또한, 새롭게 구매하려고 하는 콘텐츠 상품의 구매 금액이 발행 금액 예산 잔액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로 우선 구매권을 발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구체적인 다양한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대신 결제자 단말기
300: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
310: 우선 구매권 발행부
320: 우선 구매권 처리부 321: 우선 구매권 콘텐츠 판단부
322: 우선 순위 처리부
330: 우선 구매 결제 처리부
340: NFT 발행 처리부

Claims (14)

  1.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 기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상기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에 상기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방법.
  8.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 상품을 우선으로 구매할 수 있는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을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행 금액 정보, 사용 기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발행된 우선 구매권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에 대해 일반 구매 출시일보다 빠른 우선 구매 기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 기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가 처리되는 경우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에서 우선 구매 처리된 콘텐츠 상품의 금액을 차감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사용 기간 정보와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기간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금액과 상기 콘텐츠 상품의 판매 금액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기초하여 증액 산정된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 최소 기준 금액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콘텐츠 상품의 구매 가능 기간과의 기간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기간 차이값에 상기 미리 결정된 비율을 곱하여 산정되는 증액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판단된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구매권 발행일 이후에 판매되는 상기 우선 구매권과 관련된 복수의 콘텐츠 상품 중 우선 구매가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 상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의 발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 구매 관련 순위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상품의 우선 구매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구매권 처리 서버는 상기 우선 구매권을 통해 구매한 콘텐츠 상품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발행하도록 구성된 NFT 발행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구매 순위와 관련된 고유의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우선 구매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

KR1020210158979A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30072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79A KR20230072587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79A KR20230072587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87A true KR20230072587A (ko) 2023-05-25

Family

ID=8654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79A KR20230072587A (ko) 2021-11-18 2021-11-18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5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54B1 (ko) 2017-11-21 2019-09-0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대신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신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54B1 (ko) 2017-11-21 2019-09-0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대신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신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losed loop cards and codes
US20140129363A1 (en) Dynamic rating rules for an online marketplace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US10235718B2 (en) Future resource forecast
CN114912904B (zh) 项目交付状态确定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72587A (ko)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210398030A1 (en) Reservation substitute remittance method using reservation substitute remittance processing ser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12006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tem and financial exchanges
KR20230083905A (ko) 콘텐츠 상품 관련 우선 구매권을 이용한 조각 nft 경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0766471A (zh) 发行信息服务系统
KR102662576B1 (ko) 제휴 판매사에 예약 대신 결제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관계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140250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transactional data on consumer use of gift certificates at merchant retail locations
JP2010061368A (ja) 情報紹介装置
JP73114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71002B1 (ko) 예약 대신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한 예약 대신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1292150A (zh) 用于生成订单的方法和装置
KR102502718B1 (ko)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거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5489B1 (ko) 선불식 장기상품의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57536A (ko) 예약 대신 결제 처리 서버를 이용한 예약 대신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662575B1 (ko) 중계 서버를 이용한 예약 대신 결제 처리를 위한 관계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230185522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entry at electronic user devices
KR20230124369A (ko) 예약 대신 결제 처리를 제공하기 위해 보호자와의 관계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799552B1 (ko) 판매물품 기반의 p2p대출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10224778A1 (en) System for automatic registration of credit card processing applications
KR20200069558A (ko) 마이크로서비스 스토어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