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298A - 히터 단자함 - Google Patents

히터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298A
KR20230072298A KR1020210158890A KR20210158890A KR20230072298A KR 20230072298 A KR20230072298 A KR 20230072298A KR 1020210158890 A KR1020210158890 A KR 1020210158890A KR 20210158890 A KR20210158890 A KR 20210158890A KR 20230072298 A KR20230072298 A KR 2023007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ollow
terminal box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소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텍
Priority to KR102021015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298A/ko
Publication of KR2023007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래로 개방되며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볼트에 의해 상기 히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제1 개구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본체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여 결합공이 제2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의 둘레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어 충격에 대한 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2 본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히터 단자함{Heater Terminal Box}
본 발명은 히터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아래로 개방되며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화함에 따라 핵심 소재 부품과 제품의 디자인이 갖는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소비자와의 접점이 큰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에 있어서는 제품의 색상 디자인이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제품은 색상 디자인을 자주 바꾸면서 TV나 인터넷(스마트폰 포함) 등을 통해 홍보하여, 소비자에게 구매 욕구를 더하고 있다.
그리고, 새롭고 창의적인 색상 디자인을 제품의 외장에 적용하기 위한 도료의 종류도 액상, 분체, 전착, 도금액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도장 기법도 브러쉬를 이용한 칠 도장에서 수동 스프레이 도장을 거쳐 자동 기계를 이용한 로봇 도장에 이르기까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도장 작업 후에는 도장면을 신속하게 건조시켜야만 도장품의 도장면이 벗겨지지 않고 내구성이 강화된다. 이에 따라, 제품에 액상, 분체, 전착, 도금액 등의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 작업을 한 후, 도료가 제품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건조하는 가열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가열 건조장치는 버너의 화염에 의해 발생하는 열풍을 직간접적으로 대류시켜 도장면을 가열 건조하는 열풍 건조장치를 사용하고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열풍 대류 방식의 가열 건조장치는 도장 불량률이 높을 뿐 아니라, 버너의 화염을 이용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많고 대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장품의 건조시 사이사이의 프레쉬 타임(fresh time)을 부여함에 따라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길고, 컨베이어의 길이가 길어지고 도장 설비의 레이아웃이 대형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다양한 도장법이 동시에 적용된 복합 도장의 경우에는 단일 건조장치로는 건조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종래 열풍 대류 방식의 가열 건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복사파에 의한 열파장으로 피건조물인 도장면을 직접 가열함으로써 도장불량률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빠른 건조가 이루어져 건조장치의 레이 아웃의 축소가 가능하고 쾌적하고 청정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HSWG(Heat Spreader and Wave Guide, 히트 스프레더와 웨이브 가이드) 유니트가 구비된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HSWG 유니트가 구비된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장치의 일 예에 관해서는 선행기술문헌 1(등록특허공보 제10-19691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히트 스프레더 모듈(110)은, 아래로 개방되는 히터 케이스(111)와, 상기 히터 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111b), 상기 히터(111b)를 감싸며 복사파 변환 도료가 외주면에 도포된 파이프 형태의 복사파 변환체(111a) 및, 상기 히터 케이스(111)의 외부에서 상기 히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111b)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함(111c)을 포함한다.
상기 복사파 변환 도료는 열 에너지를 전자파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0401171호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자함(111c)은, 대략 중공 원통형의 본체부(a), 상기 본체부(a)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히터 케이스(111)와 볼트(113)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b), 상기 본체부(a)의 외주면에 별도로 돌출되는 외부 전원선 연결부(c), 및 상기 본체부(a)의 중공과 나사 결합되는 캡(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d)의 단부 표면에는 본체부(a)와 나사 결합을 시키기 위한 체결기구가 결합되는 체결 돌출부(e)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자함(111c)은 주조에 의해 제조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 돌출부(b)와 외부 전원선 연결부(c) 등이 본체부(a)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구성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캡(d) 상단의 체결 돌출부(e) 역시 테두리 부분에서 마주보는 양쪽에 각각 부분적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열에 의해 물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969131호 (2019.04.09) 2. 등록특허공보 제10-0401171호 (2003.09.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함의 돌출된 부분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열에 의해 물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히터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로 개방되며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함으로서,
볼트에 의해 상기 히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제1 개구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본체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제2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도록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쪽에는 상호 평행한 설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면에 상기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상기 제2 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제1 본체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방향 쪽으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6각 볼트의 머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본체 중 상기 캡이 배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마감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는 상기 히터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일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본체의 중공에서 제1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2 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4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에 의해 상기 히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제1 개구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부는, 일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본체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본체를 포함하며,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제2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므로, 충격에 대한 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2 본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하도록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경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충격에 대한 강도가 한층 높아지게 되고 파손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쪽에는 상호 평행한 설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면에 상기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외부 전원선 연결공을 형성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을 본체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캡의 테두리에 설치되지 않고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고 파손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6각 볼트의 머리 형태로 구성되어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풀 수 있으므로 잠금/풀림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복사파 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히트 스프레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히트 스프레더 모듈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스프레더 모듈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용 히트 스프레더 모듈(1000)은, 아래로 개방되는 히터 케이스(100), 상기 히터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200), 상기 히터를 감싸는 파이프 형태의 복사파 변환체(300) 및, 상기 히터 케이스(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20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자함(400)은, 볼트(B)에 의해 상기 히터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41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411)의 제1 개구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412)가 형성되는 본체부(410), 상기 본체부(410)의 제1 나사부(412)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429)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411)을 밀폐하는 캡(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411)이 형성되는 제1 본체(415)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본체(415)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415)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본체(416)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B)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415)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본체(416)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공(416a)이 제2 본체(416)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본체(416)가 상기 제1 본체(415)의 둘레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416)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도록 결합공(416a)이 형성되어 있어 충격에 대한 강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제2 본체(416)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416)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411)과 연통하도록 외부 전원선 연결공(416b)이 형성되어 있어, 종래기술과 같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충격에 대한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중공(411)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416)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쪽에는 상호 평행한 설치면(416c)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면(416c)에 상기 외부 전원선 연결공(416b)이 형성되도록 하면 외부 전원선 연결공(416b)을 형성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420)은, 상기 제1 나사부(412)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상기 제2 나사부(429)가 형성되는 결합부(421),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결합부(421)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부(421)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제1 본체(415)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422) 및, 상기 걸림부(422)의 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방향 쪽으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부(422)의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캡(420)을 본체부(4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423)가 캡(420)의 테두리에 설치되지 않고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고 파손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423)를 6각 볼트의 머리 형태로 구성하면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풀 수 있으므로 잠금/풀림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본체(415) 중 상기 캡(420)이 배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마감 플레이트(430)가 설치되되, 상기 마감 플레이트(430)에는 상기 히터(200)가 통과하는 관통공(43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430)의 일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본체(415)의 중공(411)에서 제1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2 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부(413)에 나사 결합하는 제4 나사부(432a)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부(4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415), 제2 본체부(416) 및 캡(420)의 걸림부(422)가 모두 원통형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 경우 선반 등 기계 가공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므로 충격에 대한 강도가 한층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용 히트 스프레더 모듈은 도장 건조용, 식품 건조용, 목재 건조용 등 다양한 분야의 건조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히터 케이스
200... 히터
300... 복사파 변환체
400... 단자함
410... 본체부
411... 중공
412... 제1 나사부
413... 제3 나사부
415... 제1 본체
416... 제2 본체
416a... 결합공
416b... 외부 전원선 연결공
416c... 설치면
420... 캡
421... 결합부
422... 걸림부
423... 체결부
429... 제2 나사부
430... 마감 플레이트
431... 관통공
432a... 제4 나사부
432... 체결 돌부
B... 볼트
1000... 히트 스프레더 모듈

Claims (6)

  1. 아래로 개방되며 내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수용하는 히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단자함에 있어서,
    볼트에 의해 상기 히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제1 개구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본체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일방향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제2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도록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2 본체 외주면의 마주보는 양쪽에는 상호 평행한 설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면에 상기 외부 전원선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상기 제2 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일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되게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제1 본체의 일단부에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방향 쪽으로 바라볼 때 상기 걸림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6각 볼트의 머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중 상기 캡이 배치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마감 플레이트가 설치되되, 상기 마감 플레이트에는 상기 히터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일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본체의 중공에서 제1 개구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2 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4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단자함.
KR1020210158890A 2021-11-17 2021-11-17 히터 단자함 KR20230072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890A KR20230072298A (ko) 2021-11-17 2021-11-17 히터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890A KR20230072298A (ko) 2021-11-17 2021-11-17 히터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298A true KR20230072298A (ko) 2023-05-24

Family

ID=8654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890A KR20230072298A (ko) 2021-11-17 2021-11-17 히터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2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71B1 (ko) 2000-08-02 2003-10-10 조극래 전자파 변환 효율이 개선된 전자파 변환체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71B1 (ko) 2000-08-02 2003-10-10 조극래 전자파 변환 효율이 개선된 전자파 변환체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3583A1 (en) Heat spreader and wave guide unit, and conveyor-type paint drying furnace comprising same
US6250044B1 (en) Shower door bar with recessed grip
US10900654B1 (en) Small aperture lighting device
US20110308065A1 (en) Captive screw installation method
KR20230072298A (ko) 히터 단자함
US8607506B2 (en) Glass handle connector for glass door handle
US2729414A (en) Bar hanger fixture for outlet boxes
KR870000940Y1 (ko) 유체통로용 플러그 조립체
KR101133948B1 (ko) 중적외선 카본램프를 이용한 페인트 건조용 히터
KR100686975B1 (ko) 루비원석을 소재로 한 루비방열램프가 장착된 근적외선히터
CN206387844U (zh) 一种电表箱干燥散热结构
CN112427209A (zh) 一种用于汽车改装的免拆卡钳涂装装置
AU2003258473A1 (en) Heating element
AU2012200283B2 (en) A mounting adaptor for uneven surfaces
CN105665904B (zh) 一种氩弧焊机喷嘴结构
CN206647935U (zh) 一种多散热机结构工矿灯
KR102423520B1 (ko) 건조로용 히트 스프레더 모듈
KR102423527B1 (ko) 건조로용 히트 스프레더 모듈
KR20120004701U (ko) 도장부스용 원적외선 건조히터
KR100215986B1 (ko) 강관 및 전선관
CN210289011U (zh) 一种墙面喷漆用遮蔽胶带粘贴辅助器
US11391456B2 (en) Handle adapter assembly including a light assembly
US20160276753A1 (en) Grounding assembly for an ultraviolet water sanitizer
KR20230072297A (ko) 공기 순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조장치
CN219422410U (zh) 组合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