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87A -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 Google Patents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87A
KR20230072187A KR1020210158673A KR20210158673A KR20230072187A KR 20230072187 A KR20230072187 A KR 20230072187A KR 1020210158673 A KR1020210158673 A KR 1020210158673A KR 20210158673 A KR20210158673 A KR 20210158673A KR 20230072187 A KR20230072187 A KR 20230072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eld camera
light field
optical fi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민
김민석
김현명
장세희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5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187A/en
Publication of KR2023007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7Light-field or plenoptic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곡면을 따라 배열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에 위치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집하는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field camera that generates an image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forming a curved surface. 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icro lens array arranged along a curved surface and an optical fiber bundle positioned at a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to collect light from a subject. .

Description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field camera that generates an image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forming a curved surface.

라이트 필드 카메라(light field camera)는 공간상에서의 여러 방향에서 도달하는 빛의 양, 즉 라이트 필드를 분리하여 센싱하는 카메라이다. 이를 위해,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메인 렌즈에 의해서 모아진 빛의 양을, 마이크로 렌즈 배열(microlens array)을 사용하여 빛의 도달 방향에 따라서 분리 센싱한다.A light field camera is a camera that separates and senses the amount of light arriving from various directions in space, that is, a light field. To this end, the light field camera separates and senses the amount of light collected by the main lens according to the arrival direction of the light using a microlens array.

이러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서, 광각(wide-angle)의 이미지를 센싱하기 위해 곡률과 크기가 큰 메인 렌즈가 이용되는데, 이 경우 렌즈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광각에서의 왜곡(distortion)과 상면만곡(curvature of image field)의 문제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light field camera, a main lens with a large curvature and size is used to sense a wide-angle image. In this case, distortion and curvature in the wide-angl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lens of image field) and increase the overall size of the camera.

또한, 기존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서 센싱된 이미지의 해상도는 마이크로 렌즈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마이크로 렌즈의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마이크로 렌즈의 수를 늘리게 되면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resolution of an image sensed in a conventional light field camera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micro lenses.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miniaturization of micro lenses, increasing the number of micro lenses increases the overall size of the camera.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n image of a subject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forming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곡면을 따라 배열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에 위치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집하는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 lens array arranged along a curved surface and an optical fiber bundle positioned at a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to collect light from a su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중심을 연결하는 면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surface connecting the center of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i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상기 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 lens arr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niform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초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위 다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fiber bu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bundle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의 종단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면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s of the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are arranged along the focal plane of the micro lens arr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sensor for gener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using the light collected from the optical fiber bund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 각각은 상기 이미지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is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별로 요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소 이미지를 조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sensor may generate an element image for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and generate an image of the subject by combining the element imag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요소 이미지 내 피사체의 변위에 따라 광의 방향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광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리포커싱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mag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dentifi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bject in the element image, and generates a refocused imag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일 실시예에서, 내부에 상기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고, 높이에 따라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원기둥과,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배열되고, 상기 원기둥의 상면에 구비되는 입광 곡면과, 상기 원기둥의 하면에 결합되어 광섬유 다발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cylinder including the optical fiber bundle therein an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with height, a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on which the micro lens array is arranged, and a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sensor for gener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by using the light collected from the optical fiber bundle is coupl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mages formed through adjacent lenses among a plurality of lenses included in the micro lens array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접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서로 절반 이상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s formed through the adjacent lens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overlap each other by half or more.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카메라의 크기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각에서의 왜곡(distortion)과 상면만곡(curvature of image field)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By generating an image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forming a curve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novatively reduce the size of a camera and solve problems of distortion and curvature of image field in a wide angle. .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광섬유 다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마이크로 렌즈와 단위 다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이미지 센서가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이미지 센서가 광각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인접한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서로 중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icro lens array and the optical fiber bundle shown in FIG. 1;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icro lens arra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icrolens and a unit bundl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image sensor generates an image of a subject;
6 is a view showing how an image sensor generates an image of a wide-angle subject;
7 is a view showing images formed through adjacent microlenses overlapping each other;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elem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and / or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A, B or A and B, and when "C to D", it means a special opposit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more than C and less than D

본 발명은 곡면을 형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field camera that generates an image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forming a curved surface. Hereinafter, 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광섬유 다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icro-lens array and the optical fiber bundle shown in FIG. 1, and FIG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icro-lens arra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마이크로 렌즈와 단위 다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icrolens and a unit bundle.

도 5는 이미지 센서가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이미지 센서가 광각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n image sensor generates an image of a subject,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image sensor generates an image of a wide-angle subject.

도 7은 인접한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가 서로 중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images formed through adjacent microlenses overlap each oth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다발(120)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100, 이하 라이트 필드 카메라)는 기능적으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 광섬유 다발(120) 및 이미지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입광 곡면(140) 및 원기둥(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라이트 필드 카메라(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ight field camera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field camera) using an optical fiber bund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ally includes a micro lens array 110, an optical fiber bundle 120, and an image sensor. 130, and may structurally include a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and a cylinder 150. However, the light field camera 100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ca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라이트 필드 카메라(100)는 곤충의 겹눈 구조를 모사한 렌즈(111)를 통해 피사체(200)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렌즈(1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광섬유 다발(120)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ght field camera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image of a subject 200 through a lens 111 that simulates the compound eye structure of an insect, and the light field camera 100 incident through the lens 111 Light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fiber optic bundle 120 .

이하,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후술되는 마이크로 렌즈(111)는 단순히 렌즈(111)로 기술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micro lens 11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imply described as the lens 111.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는 곡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11)를 포함하는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11)는 곡면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The micro lens array 110 may be arranged along a curved surface. In other words, the micro lens arra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11, and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1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 curved surface.

도 3a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11) 각각의 입광면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111) 각각의 표면 역시 곡면인 바, 마이크로 어레이의 표면이 정교한 곡면을 형성하지는 않으나, 마이크로 렌즈(111)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면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11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110 may form a curved surface as a whole. Since the surface of each of the micro lenses 111 is also a curved surface, the surface of the micro array does not form a precise curved surface, but a surface connecting the center of each micro lens 111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certain curvature.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렌즈(111)는 일정 곡률을 가진 입광 곡면(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11)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아닌, 입광 곡면(140) 상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광 곡면(140)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11)가 패터닝(patterning)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3B , the micro lens 111 may be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having a certain curvature.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instead of being individually designed as shown in FIG. 3A . To this end, the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11 are patterned.

이와 같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는 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111)들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가 배열되는 곡면의 중심(C)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Such micro-lens arrays 110 may be uniform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micro lenses 111 may be uniform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C of the curved surface on which the micro lens arrays 110 are arranged.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가 곡면을 따라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열됨으로써 넓은 범위에서 광을 수집할 수 있어,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130)가 광각의 피사체(200)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icro lens array 110 is uniform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along a curved surface, light can be collected in a wide range, so that the image sensor 130 to be described later generates an image of a wide-angle subject 200. make it possible

광섬유 다발(120)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초점에 위치하여 피사체(200)로부터의 광을 수집할 수 있다. 즉, 광섬유 다발(120)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초점에 위치함으로써, 각 마이크로 렌즈(111)에 의해 집광된 광을 수집할 수 있다.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be positioned at the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110 to collect light from the subject 200 . That is,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collect light condensed by each micro lens 111 by being positioned at the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110 .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섬유 다발(120)은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111)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위 다발(1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개의 렌즈(111)가 마이크로 어레이를 구성하는 경우, 광섬유 다발(120)은 각 렌즈(111)에 대응하는 n개의 단위 다발(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위 다발(121)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의 개수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in detail,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bundles 121 corresponding to each micro lens 111 . Specifically, when n lenses 111 form a microarray,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include n unit bundles 121 corresponding to each lens 111, and the unit bundle 121 The number of constituting individual optical fibers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needs.

이 때, 각 단위 다발(121)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개별 렌즈(111)의 초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렌즈(111)와 제n 단위 다발(121)이 서로 대응되는 경우, 제n 단위 다발(121)은 제n 렌즈(111)의 초점에 위치하여, 제n 렌즈(111)를 통해 집광된 광을 수집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unit bundle 121 may be located at a focal point of an individual lens 111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110 . For example, when the n-th lens 111 and the n-th unit bundle 121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n-th unit bundle 121 i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n-th lens 111, so that the n-th lens 111 Through the condensed light can be collected.

보다 구체적으로, 광섬유 다발(120)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의 종단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초점면(focal plane)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nds of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be arranged along the focal plane of the micro lens array 110 .

이하, 개별 렌즈(111)와 해당 렌즈(111)에 대응하는 단위 다발(121)을 표현한 도 4를 참조하여 광섬유 다발(120)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111)는 2차원의 초점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각 마이크로 렌즈(111)에 대응하는 단위 다발(121)의 종단, 상세하게는 단위 다발(121)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의 종단은 2차원의 초점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섬유의 종단이 초점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모습만을 도시하였으나, 광섬유의 종단은 2차원의 초점면 전체에 배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each micro lens 111 may have a two-dimensional focal plane.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unit bundles 121 corresponding to each micro lens 111, in detail, the ends of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unit bundles 121 may be arranged along a two-dimensional focal plane. In FIG. 4, only the ends of the optical fibe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ocal pla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ends of the optical fibers may be arranged throughout the two-dimensional focal plane.

이와 같은 배치에 따라,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111)를 통해 집광된 광은 초점면에 배열된 광섬유의 단부에 입사될 수 있고, 입사된 광은 광섬유 내부면에서 전반사(total reflection)되어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130)에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light condensed through each microlens 111 can be incident to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arranged on the focal plane, and the incident light is totally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resulting in an image described later. It may be provided to the sensor 13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광섬유 다발(120)은 높이에 따라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테이퍼(taper) 구조의 원기둥(15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가 입광 곡면(140)에 배열되는 경우, 해당 입광 곡면(140)은 원기둥(15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입광 곡면(140)의 지름은 원기둥(150) 상면의 지름과 같을 수 있다. 이 때, 원기둥(150) 내에서 광섬유 다발(120)은 각 마이크로 렌즈(111)에서 집광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각 렌즈(111)의 초점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above-described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be included inside a cylindrical column 150 having a tapered structure, the diameter of which increases with height. As shown in FIG. 3B , when the micro lens array 110 is arranged on the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the corresponding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150. For this purpose, the light incident curved surface 140 ) may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150. At this time,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within the cylinder 150 may be disposed at the focal point of each lens 111 to receive the light condensed by each micro lens 111 .

한편, 이미지 센서(130)는 평판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되어 원기둥(15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광섬유 다발(120)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ensor 130 is implemented as a flat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150, and the subject 200 is captured by using light collected from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 can generate an image of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130)는 광섬유 다발(120)의 일단과 접촉 및/또는 접속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섬유 다발(120)의 일단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초점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광섬유 다발(120)의 타단은 이미지 센서(130)에 접촉 및/또는 접속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mage sensor 130 may contact and/or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 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be arranged along the focal plane of the micro lens arra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contact and/or be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130. can

이러한 물리적인 구조로 인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통해 생성되는 광각의 곡면 이미지는, 평면의 이미지 센서(130)에 왜곡 없이 그대로 투영(projection)될 수 있다.Due to this physical structure, the wide-angle curved image generated through the micro lens array 110 may be projected onto the flat image sensor 130 as it is without distortion.

한편, 이미지 센서(130)는 이미지 생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sensor 13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circuits (FPGAs) in order to perform an image generating operation. gate array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processors, and microprocessors.

한편, 이미지 센서(130)의 프로세싱 로드를 줄이기 위하여, 광섬유 다발(120)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 각각은 피사체(200) 이미지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이미지 센서(130)에 접속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reduce the processing load of the image sensor 130, each individual optical fiber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13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of the subject 200. .

다시 말해, 이미지 센서(130)가 개별 광섬유 다발(120)을 통해 수집된 광을, 후처리(post-processing)를 통해 이미지의 특정 좌표에 매핑하는 로드를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광섬유가 이미지 센서(130)에 접속되는 위치는 이미지의 좌표에 따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reduce the load that the image sensor 130 maps the light collected through the individual fiber bundles 120 to specific coordinates of the image through post-processing, each fiber optic image sensor ( 130) may follow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서 곡면의 중앙(C)에 위치한 광섬유를 통해 수집된 광은 이미지의 중심 좌표에 대응되므로, 이미지 센서(130)의 중앙에서 접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광섬유들은 횡단면 상의 위치에 따라, 생성될 이미지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이미지 센서(130)의 각 위치에서 접속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S. 3A and 3B , the light collec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positioned at the center C of the curved surface corresponds to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image, so that it may be contact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sensor 130 . Similarly, each of the optical fibers may be connected at each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130 to correspond to the coordinates of an image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n the cross section.

이미지 센서(130)는 광섬유 다발(120)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에서 수집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30)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각 렌즈(111)별로 요소 이미지(elemental image)를 생성하고, 요소 이미지를 조합하여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sen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of the subject 200 based on the intensity of light collected from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 More specifically, the image sensor 130 may generate an elemental image for each lens 111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110 and generate an image of the subject 200 by combining the elemental images. there is.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30)는 각 마이크로 렌즈(111)에 대응하는 단위 다발(121)을 통해 수집된 광의 세기를 합산하여 렌즈(111)별 요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들을 합성하여 합성하여 단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130)는 요소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image sensor 130 may generate an element image for each lens 111 by summing the intensities of light collected through the unit bundle 121 corresponding to each micro lens 111, and synthesizing them. can be combined to create a single image. The image senso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various methods used in the art to synthesize element images.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하나의 광섬유는 이미지 내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므로, 이미지의 해상도는 광섬유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통해 광각의 이미지를 왜곡 없이 생성하면서도 광섬유 개수 제어를 통해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optical fiber corresponds to one pixel in an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lution of an image can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optical fiber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de-angle image can be generated without distortion through the curved micro-lens array 110 and high resolu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optical fibers.

다시 말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라이트 필드 카메라(100)는 광각의 피사체(200)로부터의 빛을,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를 통해 수광하고, 수광된 빛은 개별 광섬유를 통해 이미지 센서(130)에 제공되며, 이미지 센서(130)는 광섬유의 개수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6, the light field camera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light from a wide-angle subject 200 through the micro lens array 110, and the received light is imaged through individual optical fibers. Provided to the sensor 130, the image sen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having a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ptical fibers.

이 때, 광각의 곡면 이미지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곡면 구조와 광섬유의 배치를 통해, 이미지 센서(130) 상에 평면으로 왜곡 없이 투영되므로, 광각의 이미지를 생성하면서도 상면만곡(curvature of image field)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e-angle curved image is projected onto the image sensor 130 as a plane without distortion through the curved structure of the micro lens array 1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fibers, so that the wide-angle image is generated while the curvature of the image fiel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다발(120)을 통해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기존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서 이용되는 마이크로 렌즈의 역할을 광섬유가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의 크기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mage by receiving light through the optical fiber bundle 120, the optical fiber can perform the role of a micro lens used in an existing light field camera,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camera innovatively. there is.

한편, 이미지 센서(130)는 요소 이미지 내 피사체(200)의 변위에 따라 광의 방향 정보를 식별하고, 광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리포커싱(refocusing)된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sensor 130 may identify light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bject 200 in the element image, and generate a refocused image of the subject 200 based on the light direction information.

리포커싱된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광의 세기와 광의 방향 정보가 요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0)는 광의 방향 정보를 식별하기 위하여, 요소 이미지 내 피사체(200)의 변위를 이용할 수 있다.Light intensity and light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required to generate an image of the refocused subject 200 . The image sensor 130 may use the displacement of the subject 200 in the element image to identify direction information of light.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30)는 기준이 되는 요소 이미지, 즉 중앙의 요소 이미지에 표현된 피사체(200)의 위치 대비, 인접 요소 이미지에 표현된 피사체(200)의 변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0)는 식별된 변위에 기초하여 광의 방향 정보, 즉, 피사체(200)로부터의 광이 어느 방향으로 입사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image sensor 130 may identify a displacement of the subject 200 expressed in an element image adjacent to a positional contrast of the subject 200 expressed in a reference element image, that is, a central element image. can The image sensor 130 may identify direction information of light, that is, information about in which direction light from the subject 200 is incident, based on the identified displacement.

이미지 센서(130)는 광의 세기와 광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의 가상 초점에 대한 피사체(200)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삼각 비(trigonometric ratio) 방식 등 종래 라이트 필드 카메라에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The image sen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of the subject 200 at the virtual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110 using light intensity and light direction information. To this end, various methods applied to conventional light field cameras, such as a trigonometric ratio method, may be utilized.

한편, 이미지 센서(130)는 광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200)의 깊이 정보를 식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30)는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111)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시차(disparity)를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사체(200)의 깊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sensor 130 may identify depth information of the subject 200 using light direc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image sensor 130 may identify a disparity of an image generated by each micro lens 111 and use this to identify depth information of the subject 200 .

이를 위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렌즈(111) 중 인접한 렌즈(111)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To this end, images formed through adjacent lenses 111 among the plurality of lenses 111 included in the micro lens array 110 may overlap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렌즈가 순서대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제1 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1 요소 이미지와, 제2 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2 요소 이미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ssuming that first to fourth lenses are arranged adjacently in order, a first element image generated using light collected by the first lens and light collected by the second lens are The second element images generated using the image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마찬가지로, 제2 요소 이미지와, 제3 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3 요소 이미지는 서로 중첩되며, 제3 요소 이미지와 제4 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4 요소 이미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element image and the third element image generated using the light collected by the third lens overlap each other, and the third element image and the fourth element image generated using the light collected by the fourth lens. may overlap each other.

이 때, 인접하는 요소 이미지들이 중첩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요소 이미지, 제2 및 제3 요소 이미지, 제3 및 제4 요소 이미지는 서로 절반 이상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verlapping ratio of adjacent element images may be preferably half or more. That is,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element images, the second and third element images, and the third and fourth element images overlap each other by half or mo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2)

곡면을 따라 배열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에 위치하여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수집하는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 micro lens array arranged along a curved surface; and
An optical fiber bundle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micro lens array to collect light from the subject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중심을 연결하는 면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인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A surface connecting the center of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is a curved surface having a certain curvature.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상기 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 lens array is uniformly arranged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다발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초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위 다발로 구성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ber bund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bundle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의 종단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초점면을 따라 배열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Ends of the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are arranged along the focal plane of the micro lens array.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다발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mage sensor for gener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using the light collected from the optical fiber bundle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개별 광섬유 각각은 상기 이미지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속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6,
Each of the individual optical fibers constitu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is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 렌즈별로 요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소 이미지를 조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6,
The image sensor generates element images for each lens constituting the micro lens array, and generates an image of the subject by combining the element images.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요소 이미지 내 피사체의 변위에 따라 광의 방향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광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리포커싱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8,
The image sensor identifi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ligh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ubject in the element image, and generates an image of the subject refocused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광섬유 다발을 포함하고, 높이에 따라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원기둥과,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배열되고, 상기 원기둥의 상면에 구비되는 입광 곡면과,
상기 원기둥의 하면에 결합되어 광섬유 다발에서 수집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er including the optical fiber bundle therein an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with height;
a curved surface on which the microlens array is arranged an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Further comprising an image senso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gener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using light collected from an optical fiber bundle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렌즈 중 인접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서로 중첩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
Images formed through adjacent lenses among a plurality of lenses included in the micro lens array overlap each other.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렌즈를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서로 절반 이상 중첩되는
광섬유 다발을 이용한 라이트 필드 카메라.
According to claim 11,
The images formed through the adjacent lenses overlap each other by more than half.
A light field camera using fiber optic bundles.
KR1020210158673A 2021-11-17 2021-11-17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KR202300721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73A KR20230072187A (en) 2021-11-17 2021-11-17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73A KR20230072187A (en) 2021-11-17 2021-11-17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87A true KR20230072187A (en) 2023-05-24

Family

ID=8654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673A KR20230072187A (en) 2021-11-17 2021-11-17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1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7281B2 (en) Image sensor comprising plural pixels including a microlens and plural photoelectric conversion portio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same
US6987258B2 (en) Integrated circuit-based compound eye image sensor using a light pipe bundle
US7897903B2 (en) Image detection system of optical channels arranged next to one another
US7924327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table equipment, and imaging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72989B2 (en) Imaging device
KR102297488B1 (en) Light field camera
US8908054B1 (en) Optics apparatus for hands-free focus
KR102633636B1 (en) Plenoptic cameras for mobile devices
JP2017524968A5 (en)
CN101546111A (en) Method for twin-lens wide baseline catadioptric omnidirectional stereo imaging by using single camera and device thereof
US11024010B2 (en) Super-resolution image senso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N111818242B (en) Image sensing device
JP2022132320A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JP2021103766A (en) Image device and image detection method
JP7393542B2 (en) Compound camera device and compound eye system
JP2015152738A5 (en)
US7095561B2 (en) Compact telephoto imaging lens systems
JP2002191060A (en) Three-dimensional imaging unit
JP2017525208A5 (en)
KR20230072187A (en) Light field camera using optical fiber bundle
CN104125391A (en) Image sensor,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and focusing method of the electric device
CN105892022A (e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panorama camera
JP2009086144A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equipment provided therewith
JP2004336228A (en) Lens array system
JP2017026814A (en) Imaging optical system and imag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