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47A - 무선 마우스 - Google Patents

무선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47A
KR20230072147A KR1020210158584A KR20210158584A KR20230072147A KR 20230072147 A KR20230072147 A KR 20230072147A KR 1020210158584 A KR1020210158584 A KR 1020210158584A KR 20210158584 A KR20210158584 A KR 20210158584A KR 20230072147 A KR20230072147 A KR 2023007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use
computing device
handheld computing
mou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신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민 filed Critical 신상민
Priority to KR102021015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147A/ko
Priority to PCT/KR2021/018895 priority patent/WO2023090523A1/ko
Publication of KR2023007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 상기 접촉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마우스{Wireless Mouse}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잠금 장치와 외부 개입 없이 분리 가능하게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시키는 자기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용도로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대표적인 입력 장치인 무선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나 기존 마우스를 별도 휴대하거나 추가적으로 외부 부착 구조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크다.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의 휴대성을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마우스를 부착 휴대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특히, 마우스의 경우 휠 장치가 있고 곡선 형태인 상부 케이스와 바닥에 마찰력으로 인한 사용성 저하를 막기 위한 작은 돌출부(Mouse feet)들이 존재하여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추가 적인 구조 없이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부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그 형상과 구성물의 성분에서 기존 마우스와 차별되는 부착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40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잠금 장치와 외부 개입 없이 분리 가능하게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시키는 자기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하여 보다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 기구의 작동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연결 및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상황에 따라 자동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 상기 접촉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면 특정 버튼이 카메라 촬영 기능으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리모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카메라 기능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작동 모드를 다시 상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 사이의 최초 연결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로 결정되며, 연결 이후 상기 키보드의 연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상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 사이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마우스 모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거치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와 상기 거치대를 연결하여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고, 상기 거치대의 회전 동작시 상기 마우스 본체에 결합된 일측이 일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며, 슬라이딩 동작시 토글 타입의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클릭 버튼;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마우스 모드 또는 상기 리모콘 모드로 상기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변경 버튼;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 및 휠 클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스크롤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 각각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좌클릭 및 우클릭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이전 트랙 및 다음 트랙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휠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스크롤 동작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화면 이동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볼륨 조절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재생 멈춤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와 외부 개입 없이 분리 가능하게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형태로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하여 보다 손쉽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 기구의 작동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연결 및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상황에 따라 자동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가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가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의 거치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가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가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무선 마우스(200)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b)는 무선 마우스(200)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의 거치부(280)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200)는 자기부착 매커니즘으로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부착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마우스(2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210),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225)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0),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22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230),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240),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230)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240)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250), 상기 마우스 본체(21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260), 상기 마우스 본체(210)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270), 상기 접촉부(26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마우스 본체(210)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225)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280),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미도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230)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20)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버튼(225)은 토글 타입이며, 외력에 의한 조작에 따라 동작전원의 공급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230)는 상기 마우스 본체(210)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클릭 버튼(231,232),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기능 수행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233),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마우스 모드 또는 상기 리모콘 모드로 상기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변경 버튼(234),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231,2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 및 휠 클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스크롤 휠(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231,232) 각각은 일반적인 좌클릭 버튼 및 우클릭 버튼으로서,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좌클릭 및 우클릭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이전 트랙 및 다음 트랙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버튼(233)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해상도 변경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수행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카메라 작동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수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휠(235)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스크롤 동작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화면 이동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볼륨 조절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재생 멈춤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경 버튼(234)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상기 리모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상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60)는, 자기요소를 내장하고 있는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11)에 부착 시 부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철, 니켈, 코발트 등 자기요소에 달라붙는 금속 혹은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금속 혹은 합금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돌출부 없는 편평한 구조를 통하여 부착되고자 하는 호스트 유닛에 부착시 빈 공간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자기 요소는 호스트 유닛에 대한 자기 부착력을 갖기 위한 자석으로 전자석 혹은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영구 자석은 다시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알니코, 희토류, 페라이트 자석으로 나뉘며, 자기 력을 크게 하기 위해 철(Fe) 등의 자연 강자성 물질에 네오디뮴(Nd), 사마륨(Sm) 등 다른 물질을 혼합해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희토류 네오디뮴(Nd) 자석은 현재 사용되는 영구자석 소재 중 가장 우수하다.
또한, 자기장 크기를 증폭(Shielding effect)시키고 터치 센서 등 근처 센서의 오작동 방지를 위하여 차폐 자석(Shield magnet)을 자기요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260)는 자력 극대화를 위하여 편평한 형상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부착면적이 극대화될 수록 호스트 유닛의 자기 영역과 접촉하여 인력을 받는 면적이 늘어나므로 상부 케이스 영역의 가능한 많은 부분을 접촉부(260)로 구성하면 더욱 강력한 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력부(270)는 상기 접촉부(260)의 내측 구멍 혹은 상기 접촉부(260)의 하부 혹은 상기 접촉부(260) 하부의 기구물 내부에 삽입되어 직접적으로 호스트 유닛에 접촉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부(270)는 자력 생성을 위하여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80)는 일측이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거치대(282), 및 상기 마우스 본체(210)와 상기 거치대(282)를 연결하여 상기 거치대(282)를 지지하고, 상기 거치대(282)의 회전 동작시 상기 마우스 본체(210)에 결합된 일측이 일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며, 슬라이딩 동작시 토글 타입의 상기 전원 버튼(225)을 조작하는 지지대(28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280)는 상기 거치대(282)를 펼치면서 상기 전원 버튼(225)을 오프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무선 마우스(2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으며, 다시 상기 거치대(282)를 접으면서 상기 전원 버튼(225)을 온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무선 마우스(2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토글 타입 전원 버튼(225) ON OFF
거치대(282) 상태 펼쳐짐(Off) 접힘(On) 펼쳐짐(Off) 접힘(On)
최종 전원 상태 Off On Off Off
표 1과 같이, 상기 무선 마우스(200)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부착된 후 상기 거치대(282)를 펼쳐서 거치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해당 시간 동안 전원 오프 상태이나, 다시 상기 거치대(282)를 접어서 떼어 내면 상기 무선 마우스(200)는 원래 상태인 전원 온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상기 제어부(290)는 키보드 연결 및/또는 카메라 앱 실행에 따라 자동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모드 전환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전원 온(On) 후 상기 무선 마우스(200)와 연결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는 키보드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는 키보드 연결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 키보드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키보드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버튼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는 블루투스 HID 프로필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키보드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통신부(250)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키보드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 모드를 리모콘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버튼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모드 동작 중 키보드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90)는 작동 모드를 자동으로 마우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면 마우스(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제어부(290)는 특정 버튼이 카메라 촬영 기능으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작동 모드를 리모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 마우스(200)에서는 특정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 촬영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즉 키보드 키(key) 값이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기능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290)는 작동 모드를 다시 마우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마우스 모드에서 카메라 앱 실행으로 인하여 리모콘 모드로 변경된 경우, 카메라 기능이 꺼지면 다시 마우스 모드로 복귀한다. 다만,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는 카메라 실행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작동 모드 전환에 따른 상기 버튼부(230)의 키 오퍼레이션(key operation)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마우스 모드 리모콘 모드
제1 클릭 버튼 좌 클릭 이전 트랙
제2 클릭 버튼 우 클릭 다음 트랙
스크롤 휠(235) 스크롤 동작 볼륨 업/다운
화면 이동 재생/멈춤
모드 변경 버튼(234) 리모콘 모드 전환 마우스 모드 전환
버튼(233) 해상도 변경 카메라 작동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와 외부 개입 없이 분리 가능하게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형태로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에 부착하여 보다 손쉽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 기구의 작동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연결 및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상황에 따라 자동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200: 무선 마우스
210: 마우스 본체
220: 전원부
230: 버튼부
240: 위치감지부
250: 통신부
260: 접촉부
270: 자력부
280: 거치부
290: 제어부

Claims (9)

  1.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
    상기 접촉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2.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자기 영역에서의 접촉면에 대해 부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자기요소와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접촉면에 부착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자기 부착력 최적화를 위해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의 금속 영역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생성하는 자력부;
    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3.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의 타부에 배치되고, 회전 동작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를 거치시키며, 회전 동작시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4.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면 특정 버튼이 카메라 촬영 기능으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리모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카메라 기능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작동 모드를 다시 상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마우스.
  5.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무선마우스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전원 버튼의 작동에 따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입력 버튼의 작동에 대응하는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이동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위치감지부;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버튼 출력 신호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키보드 사이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키보드 연결 감지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우스 모드 또는 리모콘 모드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며,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버튼부를 제어하여 상기 버튼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 사이의 최초 연결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로 결정되며, 연결 이후 상기 키보드의 연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상기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상기 키보드 사이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마우스 모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6.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상기 마우스 본체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거치대; 및
    상기 마우스 본체와 상기 거치대를 연결하여 상기 거치대를 지지하고, 상기 거치대의 회전 동작시 상기 마우스 본체에 결합된 일측이 일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며, 슬라이딩 동작시 토글 타입의 상기 전원 버튼을 조작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7.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클릭 버튼;
    상기 마우스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마우스 모드 또는 상기 리모콘 모드로 상기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변경 버튼;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스크롤 신호 및 휠 클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스크롤 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릭 버튼 각각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좌클릭 및 우클릭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이전 트랙 및 다음 트랙 기능 수행을 위한 제1 및 제2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휠은,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마우스 모드일 경우, 스크롤 동작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화면 이동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리모콘 모드일 경우, 볼륨 조절 기능 수행을 위한 스크롤 신호 또는 재생 멈춤 기능 수행을 위한 휠 클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
KR1020210158584A 2021-11-17 2021-11-17 무선 마우스 KR20230072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84A KR20230072147A (ko) 2021-11-17 2021-11-17 무선 마우스
PCT/KR2021/018895 WO2023090523A1 (ko) 2021-11-17 2021-12-13 무선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84A KR20230072147A (ko) 2021-11-17 2021-11-17 무선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47A true KR20230072147A (ko) 2023-05-24

Family

ID=8639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84A KR20230072147A (ko) 2021-11-17 2021-11-17 무선 마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2147A (ko)
WO (1) WO202309052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02B1 (ko) 2010-09-17 2012-04-05 애플 인크. 자기 부착 구조를 갖는 액세서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918A (ko) * 2003-10-10 200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마우스가 구비된 노트북pc
KR100812998B1 (ko) * 2006-12-15 2008-03-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마우스 제어 시스템
KR20190137638A (ko) * 2018-06-02 2019-12-11 구희준 만능 블루투스 마우스
KR20200069666A (ko) * 2018-12-07 2020-06-17 서연민 탈부착식 무선 마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02B1 (ko) 2010-09-17 2012-04-05 애플 인크. 자기 부착 구조를 갖는 액세서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523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2974B1 (en) Touch screen device with surface switch
EP3348316A1 (en) Accessory device
KR101575343B1 (ko) 터치스크린 잠금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H08335132A (ja) 位置指示ユニット及びスタイラスペン
JP2003050668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CN105518591A (zh) 压电致动器和方法
CA2772398C (en) Input device with haptic feedback
WO2006075416A1 (ja) 操作体、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US6201534B1 (en) Trackball for single digit control of wireless terminal
US20140218330A1 (en) Touch Sensitive Su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False Touch Protection
CN111527470A (zh) 主动式触控笔
US7843433B2 (en) Cordless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4778722B2 (ja) 位置指示器、及び、リモコン装置
KR20230072147A (ko) 무선 마우스
KR20110048880A (ko) 입력장치
CN101359264A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触控板装置
US20130300657A1 (en) User replaceable case for touch operated handheld device
JP7041229B2 (ja) 制御部材を備える小型時計
JP2008269263A (ja) 入力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10386A (ko)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CN110865680A (zh) 一种多功能磁吸附式旋钮
KR20120029852A (ko) 복합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20070769A (ko) 전자기기용 폴더형 휴대용 무선 입력 장치
CN210924316U (zh) 一种多功能磁吸附式旋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