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29A -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29A
KR20230072129A KR1020210158539A KR20210158539A KR20230072129A KR 20230072129 A KR20230072129 A KR 20230072129A KR 1020210158539 A KR1020210158539 A KR 1020210158539A KR 20210158539 A KR20210158539 A KR 20210158539A KR 20230072129 A KR20230072129 A KR 2023007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image signal
displ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129A/en
Priority to DE202022104858.4U priority patent/DE202022104858U1/en
Priority to CN202222297374.7U priority patent/CN217982021U/en
Priority to US17/969,346 priority patent/US20230154116A1/en
Publication of KR2023007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B60K2370/15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 head-up display capable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generation uni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and providing flat and three-dimensional images, respectively; an optical guidance unit guiding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implement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guidance unit into an image which can be recognized by a driver.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Vehicle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이미지 생성 유닛이 광학계를 통해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realize augmented reality in which two image generating units superimpose a 3D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a background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display it as a single image. It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운행하는 중에 운전자는 전방 계기판에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속도, 엔진의 회전속도 및 연료량 등의 차량정보를 확인하면서 운전한다. 전방 계기판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운전석 전방에 위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아래로 내려야하기 때문에, 전방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없으므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In general, while driving a vehicle, a driver drives while checking vehicle information such as driving speed, engine rotational speed, and fuel amount displayed on a front instrument panel. Since the front instrument panel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driver has to look down to check vehicle information, the risk of accidents is high because the driver cannot continuously look ahea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에 차량정보를 영상화하는 헤드업디스플레이(Head up diplay, 이하 HUD라 함) 장치가 장착되는데,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운행 중인 차량의 각종 정보를 영사시키는 프로젝터, 영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사경, 반사된 영상을 윈드 실드 글라스에 투사하는 투사경으로 구성된다. 윈드 실드 글라스에 투사된 영상은 운전자의 시각을 통해서 차량의 전방에 보여주게 되므로 운전자는 주행중에 전방의 시야와 함께 상기 영상을 함께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head-up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UD) device that visualizes vehicle information is installed on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The head-up display projects vario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operation It consists of a projector that reflects the projected image, a reflector that reflects the projected image, and a projector that projects the reflected image onto the windshield glass. Since the image projected on the windshield glass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driver's vision, the driver can observe the image together with the forward view while driving.

그러나, 종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윈드 실드 글라스에 가상 이미지만을 제공하므로, 주행중 운전자의 시야에 인식되는 현실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provides only a virtual image on the windshield gla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information on a real image recognized in the driver's field of view while driv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10429호(2005.01.27. 공개, 발명의 명칭 : 헤드업디스플레이 영상 위치조절장치)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010429 (published on January 27, 2005, title of the invention: head-up display image posi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이미지 생성 유닛이 광학계를 통해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for a vehicle capable of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in which two image generating units overlap a 3D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background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show it as one im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체에 내장되고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 상기 이미지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하는 광학유도부; 및 상기 광학유도부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built into a vehicle body and providing flat and three-dimensional images, respectively; an optical induction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implement an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induction unit into an image recognizable by a driver.

상기 이미지생성부는 상기 광학유도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평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1생성부; 및 상기 광학유도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to face the optical induction unit and provides a flat image; and a second generating unit disposed obliquely to the optical induction unit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상기 제1생성부와 상기 제2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학유도부는 상기 제1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미러부; 상기 반사미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미러부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2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하프미러부; 및 상기 하프미러부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곡률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generating unit ar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tical induction unit includes a reflecting mirror unit that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ing unit downward; a half mirror unit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irror unit, transmitting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mirror unit, and downward reflecting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on unit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irror unit; and a curvature mirror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mirror unit to the display unit.

상기 제1생성부와 상기 제2생성부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광학유도부는 상기 제2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반사하는 반사렌즈부; 상기 반사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렌즈부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1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하프렌즈부; 및 상기 하프렌즈부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곡률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generating unit are dispos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optical induction unit includes a reflection lens unit reflect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ng unit; a half lens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on lens unit, transmit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lens unit, and reflect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ion unit forward; and a curvature lens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lens unit to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방법은: 차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가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하는 이미지제공 단계; 광학유도부가 상기 이미지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하는 이미지안내 단계; 및 표시부가 상기 광학유도부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하는 이미지구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d-up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flat and three-dimensional images, respectively, by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built into a vehicle body; an image guidance step of guiding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ng unit by an optical induction unit; and an image implementation step in which the display unit implements the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induction unit into an image recognizable by the driv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은 이미지생성부가 근거리로 인식되는 평면 이미지와, 원거리로 인식되는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므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generating unit provides a flat image recognized as a short distance and a stereoscopic image recognized as a long distance, augmented reality can be implemented in the head-up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광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때 광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induction unit when an imag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induction unit when an imag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미지생성부(10)와, 광학유도부(20)와, 표시부(3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unit 10 , an optical guidance unit 20 , and a display unit 30 .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10)는 차체에 내장되고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한다. 일예로, 이미지생성부(10)로는 피지유(PGU:picture generation unit)가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10 are built into the vehicle body and provide planar and stereoscopic images, respectively. For example, a picture generation unit (PGU) may be used as the image generating unit 10 .

광학유도부(20)는 이미지생성부(10)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한다. 일예로, 광학유도부(20)는 차체 내부에서 이미지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광학유도부(20)에 의해 차체 내부에서 안내되는 이미지 신호가 차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guide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ng unit 10 . For example,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may induce an image signal inside the vehicle body. An image signal guided inside the vehicle body by the optical guidance unit 20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표시부(30)는 광학유도부(20)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한다. 일예로, 표시부(30)는 전면유리창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듈화되어 차체에 장착되고, 표시부(30)는 회전되어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컴바이너가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 implements an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guidance unit 20 as an image recognizable by a driv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 may be formed on a windshield. In addition, the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may be modularized and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the display unit 30 may be rotated to serve as a combiner for recognizing image signals to a driv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10)는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를 포함한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an image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enerator 11 and a second generator 12 .

제1생성부(11)는 광학유도부(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평면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예로, 제1생성부(11)는 차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상태로는 차량관련정보(속도게이지, 주행모드, 목표 도달거리 등)가 되거나, 알림 및 상태표시(커뮤니케이션, 돌발상황, 차량이상상태)가 될 수 있다.The first generating unit 11 is arranged to face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to provide a flat image. For example,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may display a vehicle state. This vehicle state can be vehicle-related information (speed gauge, driving mode, target reach distance, etc.) or notification and status display (communication, unexpected situation, vehicle abnormal state).

제2생성부(12)는 광학유도부(20)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입체 이미지를 제공한다. 일예로, 제2생성부(12)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정면이 아닌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송출하여 이미지에 거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2생성부(12)는 노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외, 제2생성부(12)는 네비게이션의 주행가이드(좌회전, 우회전, 직진, 제한속도 등) 또는 주행환경 능동대응 표시(차간거리유지, 추돌보조, 선행차량 속도표시 등)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For example, the second generator 12 may give a sense of distance to the image by transmitting the display image obliquely in a lateral direction rather than in a frontal direction.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may display the road surface condition. In addition, the second generation unit 12 may provide a navigation driving guide (left turn, right turn, straight ahead, speed limit, etc.) or display of active response to the driving environment (keep distance between vehicles, collision assistance, speed display of preceding vehicle, etc.). there is.

한편, 제2생성부(12)는 광학유도부(20)와 마주보지 않고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자체 또는 측면반사를 통해 광학유도부(20)에 기울기(a)를 갖도록 광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a)는 0도 보다 크고 40도 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생성부(12)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는 운전자에게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보다 멀게 느껴지도록 하고,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may irradiate an optical signal to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a by itself or through side reflection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obliquely without facing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 At this time, the slope (a) may be designed to b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40 degrees. The imag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generator 12 makes the driver feel farther than the image provided by the first generator 11, and augmented reality can be implem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때 광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유도부(20)는 반사미러부(21)와, 하프미러부(22)와, 곡률미러부(23)를 포함한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induction unit when an imag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and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on mirror unit 21, a half mirror unit 22, and a curvature mirror unit 23.

반사미러부(21)는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킨다. 일예로, 반사미러부(21)는 제1생성부(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flection mirror unit 21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or 11 downward. For example, the reflection mirror unit 2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

하프미러부(22)는 반사미러부(21)의 하방에 배치되고, 반사미러부(21)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하방에 배치되는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제2생성부(12)는 하프미러부(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지 않고 경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생성부(12)의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사되는 광신호를 통해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The half mirror unit 22 is disposed below the reflection mirror unit 21, transmi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unit 21,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on unit 12 disposed below. reflect downward. At this time,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may not be disposed to face the half mirror unit 22 but may be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obtained through an optical signal irradiated obliquely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can be implemented

곡률미러부(23)는 하프미러부(22)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표시부(30)로 안내한다. 일예로, 곡률미러부(23)는 라운드진 형상을 하여 표시부(30)에 도달하는 이미지 신호의 초점을 정렬할 수 있다.The curvature mirror unit 23 guides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mirror unit 22 to the display unit 30 . For example, the curvature mirror unit 23 may have a rounded shape to align the focus of image signals reaching the display unit 30 .

그 외, 투과미러부(24)는 내장재에 형성되고, 표시부(30)의 하방에 배치되어 곡률미러부(23)에서 반사된 이미지 신호를 투과시킨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irror unit 24 is formed on the interior material and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30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reflected by the curvature mirror unit 23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생성부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때 광학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유도부(20)는 반사렌즈부(25)와, 하프렌즈부(26)와, 곡률렌즈부(27)를 포함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induction unit when an image generating unit is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and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lection lens unit 25, a half lens unit 26, and a curvature lens unit 27.

반사렌즈부(25)는 제2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반사시킨다. 일예로, 반사렌즈부(25)는 제2생성부(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생성부(12)는 반사렌즈부(2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지 않고 경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생성부(12)의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사되는 광신호를 통해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반사렌즈부(25)는 초점 정렬이 되도록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ion lens unit 25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on unit 11 . For example, the reflection lens unit 25 may be incli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second generation unit 12 . At this time, the second generator 12 may not be disposed to face the reflection lens unit 25 but may be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an optical signal irradiated obliquely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generator 12. can be implemented The reflective lens unit 25 may have a curvature so as to be focally aligned.

하프렌즈부(26)는 반사렌즈부(25)의 전방에 배치되고, 반사렌즈부(25)에서 광을 투과시키며,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킨다. 일예로, 하프렌즈부(26)와, 제1생성부(11)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alf lens unit 26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on lens unit 25, transmits light through the reflection lens unit 25, and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or 11 forward. For example, the half lens unit 26 and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ame horizontal line.

곡률렌즈부(27)는 하프렌즈부(26)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표시부(30)로 안내한다. 일예로, 곡률렌즈부(27)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라운드진 형상을 하여 표시부(30)에 도달하는 이미지 신호의 초점을 정렬할 수 있다.The curvature lens unit 27 guides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lens unit 26 to the display unit 30 . For example, the curvature lens unit 27 may be inclined and have a round shape to align the focus of image signals reaching the display unit 30 .

그 외, 투과렌즈부(28)는 내장재에 형성되고, 표시부(30)의 하방에 배치되어 곡률렌즈부(27)에서 반사된 이미지 신호를 투과시킨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ens unit 28 is formed on the interior material and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30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reflected by the curvature lens unit 2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미지제공 단계(S10)와, 이미지안내 단계(S20)와, 이미지구현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the head-up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oviding an image ( S10 ), guiding an image ( S20 ), and implementing an image ( S30 ).

이미지제공 단계(S10)에서는 차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10)가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한다. 일예로, 이미지생성부(10)는 평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1생성부(11)와,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생성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생성부(12)는 경사방향으로 광신호를 조사하여 입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image providing step (S10),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10 built into the vehicle body provide planar and stereoscopic image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image generator 10 may include a first generator 11 that provides a flat image and a second generator 12 tha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image. At this time, the second generator 12 may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by irradiating an optical signal in an oblique direction.

이미지안내 단계(S20)에서는 광학유도부(20)가 이미지생성부(10)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한다. 일예로, 광학유도부(20)는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가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의 이미지 정보를 표시부(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외, 광학유도부(20)는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가 좌우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의 이미지 정보를 표시부(30)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image guiding step (S20), the optical induction unit 20 guide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ng unit 10. For example, the optical guidance unit 20 may mov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generation unit 11 and the second generation unit 12 to the display unit 3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vertically. In addition, the optical guidance unit 20 may mov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generation unit 11 and the second generation unit 12 to the display unit 3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left and right.

이미지구현 단계(S30)에서는 표시부(30)가 광학유도부(20)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한다. 이때,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근거리 이미지로 인식되고,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원거리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다.In the image implementation step (S30), the display unit 30 implements the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guidance unit 20 as an image recognizable by the driver. At this time,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or 11 may be recognized as a near image, and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or 12 may be recognized as a far imag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도 3 참조),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반사미러부(21)에서 반사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고, 하프미러부(22)를 투과한 다음, 곡률미러부(23)에서 상방으로 반사되어 표시부(30)에 도달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차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하프미러부(22)에서 반사되어 곡률미러부(23)로 이동된 다음, 곡률미러부(23)에서 상방으로 반사되어 표시부(30)에 도달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노면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1생성부(11) 보다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가 더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generator 11 and the second generator 1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FIG. 3 ),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or 1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mirror unit 21 and It moves downward, passes through the half mirror unit 22, and then is reflected upward from the curvature mirror unit 23 to reach the display unit 30. At this tim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vehicle state provided by the first generating unit 11 . Then,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is reflected from the half mirror unit 22, moves to the curvature mirror unit 23, and then is reflected upward from the curvature mirror unit 23 to display the display unit 30. reach At this tim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road surface conditions provided by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 Meanwhile,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image provided by the second generator 12 is farther than the first generator 11 .

제1생성부(11)와 제2생성부(12)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도 4 참조),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반사렌즈부(25)에서 반사되고, 하프렌즈부(26)를 투과한 다음, 곡률렌즈부(27)에서 상방으로 반사되어 표시부(30)에 도달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노면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는 하프렌즈부(26)에서 반사된 다음, 곡률렌즈부(27)에서 상방으로 반사되어 표시부(30)에 도달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1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차량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제1생성부(11) 보다 제2생성부(12)에서 제공되는 이미지가 더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generator 11 and the second generator 12 are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ee FIG. 4 ),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or 12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ens unit 25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half lens unit 26, it is reflected upward from the curvature lens unit 27 and reaches the display unit 30. At this tim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road surface conditions provided by the second generating unit 12 . Then,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ion unit 11 is reflected by the half lens unit 26 and then upwardly reflected by the curvature lens unit 27 to reach the display unit 30 . At this time,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vehicle state provided by the first generating unit 12 . Meanwhile, the driver may recognize that the image provided by the second generator 12 is further away than the first generator 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은 이미지생성부(10)가 근거리로 인식되는 평면 이미지와, 원거리로 인식되는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므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generator 10 provides a flat image recognized as a short distance and a stereoscopic image recognized as a long distance, augmented reality can be implemented in a head-up display. there i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이미지생성부 11 : 제1생성부
12 : 제2생성부 20 : 광학유도부
21 : 반사미러부 22 : 하프미러부
23 : 곡률미러부 25 : 반사렌즈부
26 : 하프렌즈부 27 : 곡률렌즈부
30 : 표시부
10: image generator 11: first generator
12: second generating unit 20: optical induction unit
21: reflective mirror unit 22: half mirror unit
23: curvature mirror unit 25: reflection lens unit
26: half lens unit 27: curvature lens unit
30: display unit

Claims (7)

차체에 내장되고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
상기 이미지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하는 광학유도부; 및
상기 광학유도부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and providing flat and three-dimensional images, respectively;
an optical induction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on unit; and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implement an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induction unit as an image recognizable by a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생성부는
상기 광학유도부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평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1생성부; 및
상기 광학유도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generating unit
a first generating unit disposed to face the optical induction unit and providing a flat image; and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generating unit disposed obliquely to the optical induction unit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성부와 상기 제2생성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enerating unit and the second generating unit ar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도부는
상기 제1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미러부;
상기 반사미러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미러부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2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하프미러부; 및
상기 하프미러부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곡률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tical induction unit
a reflection mirror unit that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ion unit downward;
a half mirror unit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irror unit, transmitting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mirror unit, and downward reflecting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on unit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mirror unit; and
and a curvature mirror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mirror unit to the display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성부와 상기 제2생성부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enerator and the second generator are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도부는
상기 제2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반사하는 반사렌즈부;
상기 반사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렌즈부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1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하프렌즈부; 및
상기 하프렌즈부를 통과한 이미지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곡률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tical induction unit
a reflective lens unit that reflects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generating unit;
a half lens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on lens unit, transmit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on lens unit, and reflecting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generation unit forward; and
and a curvature lens unit for guiding the image signal passing through the half lens unit to the display unit.
차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이미지생성부가 평면과 입체 이미지를 각각 제공하는 이미지제공 단계;
광학유도부가 상기 이미지생성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안내하는 이미지안내 단계; 및
표시부가 상기 광학유도부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운전자가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하는 이미지구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방법.
An image providing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provide planar and stereoscopic images, respectively;
an image guidance step of guiding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generating unit by an optical induction unit; and
A head-up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y unit implementing an imag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optical induction unit into an image recognizable by a driver.
KR1020210158539A 2021-11-17 2021-11-17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KR20230072129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39A KR20230072129A (en) 2021-11-17 2021-11-17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DE202022104858.4U DE202022104858U1 (en) 2021-11-17 2022-08-29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N202222297374.7U CN217982021U (en) 2021-11-17 2022-08-30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US17/969,346 US20230154116A1 (en) 2021-11-17 2022-10-19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39A KR20230072129A (en) 2021-11-17 2021-11-17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29A true KR20230072129A (en) 2023-05-24

Family

ID=8654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39A KR20230072129A (en) 2021-11-17 2021-11-17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1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5649B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KR10110450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20170315352A1 (en) Dual head-up display apparatus
WO2012036098A1 (en) Head-up display
CN106257321B (en) 3D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140232746A1 (en) Three 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eye tracking
JP6105532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108663807B (en) Head-up display optical system and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WO2016158333A1 (en) Head-up display
CN114200675B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head-up display system and vehicle
US108842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8919494B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US20170235139A1 (en) Head-up display, head-up display method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KR20170008430A (en) Head up display
US10488656B2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body having same
US20230011407A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7390558B2 (en) Virtual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head-up display, and moving object
CN219676374U (en)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and vehicle
KR201800480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nfigurable head up display (hud) device in vehicle
KR20230072129A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US20230154116A1 (en)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JP7354846B2 (en) heads up display device
CN114114685A (en) Head-up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72128A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
CN112526748A (en) Head-up display device, imaging system an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