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909A -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 Google Patents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909A
KR20230071909A KR1020210157874A KR20210157874A KR20230071909A KR 20230071909 A KR20230071909 A KR 20230071909A KR 1020210157874 A KR1020210157874 A KR 1020210157874A KR 20210157874 A KR20210157874 A KR 20210157874A KR 20230071909 A KR20230071909 A KR 2023007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section
collision
la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21015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909A/en
Publication of KR2023007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9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59Traversing an inter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60W2720/106Longitudinal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a driver assistance method.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comprises: a corner radar which acquires corner radar data with a vehicle's corner detection field of a view;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ner radar. When a vehicle passes an intersec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vehicle in an adjacent lane based on corner radar data acquired by the corner radar. If there is the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the control unit performs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steering device 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braking device to avoid the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Provided are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which can avoid the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and the adjacent vehicle when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and the driver assistance method.

Description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a driver assistance method.

일반적으로, 차선이 없는 교차로를 주행할 때 주행 경로를 인지하지 못하여 교차로 진출 시 중앙 분리대, 인접 차량 등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차선이 없는 교차로의 경우 차로 중앙 유지 장치, 차로 이탈 방지 장치 등과 같은 시스템이 동작할 수 없어 이와 같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습니다.In general, when driving at an intersection without lanes, a driving path may not be recognized, and when entering the intersection, a collision may occur with a median strip or an adjacent vehi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tersections without lanes, such accidents can occur frequently because systems such as lane center maintenance devices and lane departure prevention devices cannot operate.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20-097276호(2020.06.25. 공개)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20-097276 (published on June 25, 2020)

일 측면은 교차로를 통과할 때 교차로 구조물 및 인접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capable of avoiding a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and an adjacent vehicle when passing through an intersection.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코너 감지 시야를 가지고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는 코너 레이더; 및 상기 코너 레이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경우 상기 코너 레이더에 의해 획득된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조향 장치를 통해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거나 제동 장치를 통해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corner radar for obtaining corner radar data with a corner detection field of view of a vehicle;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ner rada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based on corner radar data obtained by the corner radar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a driver assistance system may be provided that performs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steering device 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braking device to avoid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상기 차량의 전방 시야를 가지고 전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전방 감지 시야를 가지고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 레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교차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전방 레이더에 의해 획득된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의 진출 주변에 존재하는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 camera having a forward view of the vehicle and obtaining forward image data; and a front radar that obtains front radar data with a front detection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front image data obtained by the camera and front radar data obtained by the front radar when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Based on the front radar data, it is possible to perform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for avoiding collision with intersection structures existing around the exit of the interse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while perform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here is.

상기 제어부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 수행시,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정보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목표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궤적을 유지하도록 차선유지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virtual driving lane avoiding a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based on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nd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determines a target trajectory and lane keeping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vehicle maintains the target trajectory.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종방향 위치와 횡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을 가진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reate a virtual driving lane having a right dividing line and a left dividing line continuously connected to a recognized lane before entering an inter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position and a later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상기 제어부는 편향 주행 제어 수행시, 상기 차량을 상기 가상 주행 차선 내에서 상기 인접 차량과 멀리 떨어진 반대쪽 구획선 측으로 붙여 주행시킬 수 있다.When performing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vehicle by attaching it to the side of the opposite dividing line far away from the adjacent vehicle within the virtual driving lane.

상기 제어부는 감속 주행 제어 수행시,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차량을 감속 또는 정차시킬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e controller may decelerate or stop the vehicle based o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감속 또는 정차된 후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거리값보다 높을 경우, 가속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을 감속 전 주행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ccelerate the vehicle to a driv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through an accelerator when a horizont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is higher than a preset distance value after the vehicle decelerates or stop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gain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the adjacent lane and, if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of collision, may perform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based o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경우, 상기 차량의 코너 감지 시야를 가지는 코너 레이더에 의해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조향 장치를 통해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거나 제동 장치를 통해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a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corner radar data is acquired by a corner radar having a corner detection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based on the obtained corner radar data. 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a driver assistance method may be provided that performs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steering device 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braking device to avoid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상기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상기 교차로 진입할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 시야를 가지는 카메라에 의해 전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 감지 시야를 가지는 전방 레이더에 의해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의 진출 주변에 존재하는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is to obtain front image data by a camera having a front view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and to obtain front radar by a front radar having a front detection view of the vehicle. Obtaining data,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for avoiding collision with intersection structures existing around the entrance of the intersection based on the obtained front image data and the front radar data, and perform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during the process.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정보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목표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궤적을 유지하도록 차선유지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Execut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generates a virtual driving lane avoiding a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based on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nd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a target trajectory is determined. and performing lane keeping control so that the vehicle maintains the target trajectory.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종방향 위치와 횡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을 가진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virtual driving lane is to generate a virtual driving lane having a right dividing line and a left dividing lin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cognized lane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position and the later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can include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을 상기 가상 주행 차선 내에서 상기 인접 차량과 멀리 떨어진 반대쪽 구획선 측으로 붙여 주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may include driving the vehicle in the virtual driving lane to a side of the opposite dividing line far away from the adjacent vehicle.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차량을 감속 또는 정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may include decelerating or stopping the vehicle based o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감속 또는 정차된 후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거리값보다 높을 경우, 가속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을 감속 전 주행속도로 가속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is to accelerate the vehicle to the driv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through an accelerator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is higher than a preset distance value after the vehicle is decelerated or stopped. may include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gain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the adjacent lane after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and 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if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still exists.

상기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based on a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본 발명은 교차로를 통과할 때 교차로 구조물 및 인접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collisions with intersection structures and adjacent vehicles when passing through intersection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카메라와 레이더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교차로 직진 주행시 교차로 진출로 교차로 구조물이 있을 경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통해 교차로 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인접차량 회피제어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 중에 옆 차선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편향주행제어를 통해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편향주행제어 중에 옆 차선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감속주행제어를 통해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llustrates a camera and a radar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ontrol flowchart for controlling avoidance of intersection structures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voidance of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through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when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on an exit road to an intersection when driving straight through an intersection in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ontrol flow chart for neighboring vehicle avoidance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voidance of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through biased driving control whe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 neighboring lane dur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voiding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through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whe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during deflection driving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카메라(10), 전방 레이더(20), 코너 레이더(30), 거동 센서(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may include a camera 10, a front radar 20, a corner radar 30, a motion sensor 40, and a controller 50.

제어부(50)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may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제어부(50)에는 카메라(10), 전방 레이더(20), 코너 레이더(30) 및 거동 센서(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10, the front radar 20, the corner radar 30, and the motion sensor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제어부(50)는 조향 장치(60), 제동 장치(70) 및 가속 장치(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차량의 다른 전자 장치들도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steering device 60 , the braking device 70 and the accelerator device 80 . Also, the control unit 50 may electrically connect other electronic devices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unit 50 .

카메라(10), 전방 레이더(20), 코너 레이더(30) 및 거동 센서(40) 각각은 제어기(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카메라(10)의 제어기, 전방 레이더(20)의 제어기, 코너 레이더(30)의 제어기 및 거동 센서(40)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Each of the camera 10, the front radar 20, the corner radar 30, and the motion sensor 40 may include a controller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e controller 5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ler of the camera 10, a controller of the front radar 20, a controller of the corner radar 30, and a controller of the motion sensor 40.

카메라(1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차선, 도로 표지판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는 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등의 도로 구조물을 식별할 수 있다.The camera 10 can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identify other vehicles, pedestrians, cyclists, lanes, road signs, and the like. Also, the camera 10 may identify road structures such as a median strip and a guard rail.

카메라(10)는 복수의 렌즈들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이 2차원 매트릭스로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and an image sensor.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iodes that convert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photodiodes may b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카메라(10)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되거나, 하드 와이어(hard wire)를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되거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amera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 For example, the camera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N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through a hard wire, or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ard, PCB). )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through.

카메라(10)는 차량 전방의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amera 10 may transfer image data of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ler 50 .

전방 레이더(20)와 코너 레이더(30)는 차량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등)의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The front radar 20 and the corner radar 30 may acquire relative positions and relative speeds of objects (eg, other vehicles, pedestrians, cyclists, etc.) around the vehicle.

전방 레이더(20)와 코너 레이더(3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 또는 하드 와이어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radar 20 and the corner radar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through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NT or a hard wire or a printed circuit board.

전방 레이더(20)와 코너 레이더(30)는 레이더 데이터를 제어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더들은 라이다(Lidar)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front radar 20 and the corner radar 30 may transfer radar data to the control unit 50 . These radars may be implemented as lidar.

거동 센서(40)는 차량의 거동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동 센서(40)는 휠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 차량의 횡 가속도 및 종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각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요레이트 센서, 차량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과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및/또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동 데이터는 차량의 속도, 종가속도, 횡가속도, 조향각, 조향토크, 주행 방향, 요레이트(yaw rate) 및/또는 기울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havior sensor 40 may obtain vehicle behavior data. For example, the motion sensor 40 may include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wheel speed, an acceleration sensor for detecting lateral acceleration and longitudina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yaw rat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vehicle, and a tilt sensor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A gyro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and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or a torque sensor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of the steering wheel may be included. Behavioral data may include vehicle speed, longitudin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steering angle, steering torque, driving direction, yaw rate, and/or inclination.

조향 장치(6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steering device 60 may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

제동 장치(7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바퀴를 제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The braking device 70 may decelerate the vehicle by brak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

가속 장치(8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및/또는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The accelerator 80 may decelerate the vehicle by driving an engine and/or a driving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

제어부(50)는 프로세서(51)와 메모리(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0 may include a processor 51 and a memory 52 .

제어부(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는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51)와 메모리(52)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5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51 . One or more processors 51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50 may be integrated into one chip or may be physically separated. Also, the processor 51 and the memory 52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프로세서(51)는 카메라(10)의 영상 데이터, 전방 레이더(20)의 전방 레이더 데이터 및 코너 레이더(30)의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는 조향 장치(60)를 제어하기 위한 조향 신호, 제동 장치(70)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신호 및 가속 장치(80)를 제어하기 위한 가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51 may process image data of the camera 10 , front radar data of the front radar 20 , and corner radar data of the corner radar 30 . Also, the processor 51 may generate a steer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device 60 , a brak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braking device 70 , and an accel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accelerator device 80 .

예를 들면, 프로세서(51)는 카메라(10)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더들(20, 30)의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향 신호, 제동 신호 및 가속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51 may include an image signal processor that processes image data of the camera 10, and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that processes radar data of the radars 20 and 30, It may include a micro control unit (MCU) that generates a steering signal, a braking signal, and an acceleration signal.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가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가 차량의 구성에 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52 may store programs and/or data for the processor 51 to process image data. The memory 52 may store programs and/or data for the processor 51 to process radar data. In addition, the memory 52 may store programs and/or data for the processor 51 to generate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메모리(52)는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들(20, 30)로부터 수신된 레이더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가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52 may temporarily stor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10 and/or radar data received from the radars 20 and 30 . Also, the memory 52 may temporarily store a result of processing the image data and/or radar data by the processor 51 . The memory 52 includes not only volatile memories such as S-RAM and D-RAM, but also flash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and the like. of non-volatile memory.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카메라와 레이더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a camera and a radar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0)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는 시야(field of view)(10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0)는 차량(1)의 프론트 윈드 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차량(1)의 전방을 촬영하고, 차량(1) 전방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1) 전방의 영상 데이터는 차량(1)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차선, 교차로 구조물(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등)에 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amera 10 may have a field of view 10a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camera 10 may be installed on a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1 . The camera 1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vehicle 1 and obtain image data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 The image data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pedestrians, cyclists, lanes, and intersection structures (central barriers, guard rails, etc.)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 .

전방 레이더(20)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는 감지 시야(field of sensing)(20a)을 가질 수 있다. 전방 레이더(20)는 예를 들어 차량(1)의 그릴(grille) 또는 범퍼(bumper)에 설치될 수 있다.The front radar 20 may have a field of sensing 20a facing the front of the vehicle 1 . The front radar 20 may be installed on a grill or bumper of the vehicle 1, for example.

전방 레이더(20)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여 송신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또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와, 객체에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또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20)는 송신 안테나에 의한 송신된 송신 전파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전파로부터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front radar 20 may include a transmission antenna (or transmission antenna array) for radiating transmission radio wav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1 and a reception antenna (or reception antenna array) for receiving reflected radio waves reflected on an object. there is. The forward radar 20 may obtain front radar data from a transmitted radio wave transmitted by a transmission antenna and a reflected radio wave received by a reception antenna.

전방 레이더 데이터는 차량(1) 전방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에 관한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레이더 데이터는 차량(1) 전방에 위치하는 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등의 교차로 구조물에 관한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ront radar data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of other vehicles, pedestrians, and cyclist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 . In addition, the front radar data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about intersection structures such as a median barrier and a guard rail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 .

전방 레이더(20)는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위상 차이(또는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객체까지의 상태 거리를 산출하고,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에 기초하여 객체의 상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front radar 20 calculates the state distance to the object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or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ed radio wave and the reflected radio wave, and calculates the relative speed of the object based on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ed radio wave and the reflected radio wave. can do.

코너 레이더(30)는 차량(1)의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1 코너 레이더(30-1), 차량(1)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2 코너 레이더(30-2), 차량(1)의 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3 코너 레이더(30-3) 및 차량(1)의 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4 코너 레이더(3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 radar 30 includes a first corner radar 30-1 install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 second corner radar 30-2 install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A third corner radar 30 - 3 install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nd a fourth corner radar 30 - 4 install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vehicle 1 may be included.

제1 코너 레이더(30-1)는 차량(1)의 전방 우측을 향하는 감지 시야(30-1a)를 가질 수 있다. 제2 코너 레이더(30-2)는 차량(1)의 전방 좌측을 향하는 감지 시야(30-2a)를 가질 수 있고, 제3 코너 레이더(30-3)는 차량(1)의 후방 우측을 향하는 감지 시야(30-3a)를 가질 수 있으며, 제4 코너 레이더(30-4)는 차량(1)의 후방 좌측을 향하는 감지 시야(30-4a)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rner radar 30-1 may have a detection field of view 30-1a facing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1. The second corner radar 30-2 may have a detection field of view 30-2a facing the front lef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third corner radar 30-3 faces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1. It may have a detection field of view 30 - 3a, and the fourth corner radar 30 - 4 may have a detection field of view 30 - 4a toward the rear left side of the vehicle 1 .

코너 레이더들(30) 각각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30-1, 30-2, 30-3, 30-4)은 각각 제1 코너 레이더 데이터와 제2 코너 레이더 데이터와 제3 코너 레이더 데이터와 제4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코너 레이더 데이터는 차량(1)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객체에 관한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너 레이더 데이터는 차량(1)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객체의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 데이터는 차량(1) 후방 우측 및 차량(1) 후방 좌측에 위치하는 객체의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corner radars 30 may include a transmit antenna and a receive antenna.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rner radars 30-1, 30-2, 30-3, and 30-4 respectively include first corner radar data, second corner radar data, and third corner radar data. and fourth corner radar data may be obtained. The first corner radar data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of an object locat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1 . The second corner radar data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of an object located on the left front side of the vehicle 1 . The third and fourth corner radar data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rear left side of the vehicle 1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카메라(10)의 전방 영상 데이터와 전방 레이더(20)의 전방 레이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 전방의 객체들을 감지 및/또는 식별할 수 있고, 차량(1) 전방의 객체들의 위치 정보(거리 및 방향) 및 속도 정보(상대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는 복수의 코너 레이더들(30)의 코너 레이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 측방(전방 우측, 전방 좌측, 후방 우측, 후방 좌측)의 객체들의 위치 정보(거리 및 방향) 및 속도 정보(상대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controller 50 may detect and/or identify objects in front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front image data of the camera 10 and the front radar data of the front radar 20,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a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relative speed) of objects in front of the vehicle 1 may be obtained. In addition, the processor 51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and direction) of objects on the side (front right, front left, rear right, rear left)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corner radar data of the plurality of corner radars 30. and speed information (relative speed) can be obtained.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3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자차량이 교차로로 진입하는지를 판단한다(100).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the own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100).

제어부(50)는 카메라(10)에 의해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노면에서 차선 유무, 정지선 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자차량이 교차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양 차선이 끊기는 지점의 정지선과 방향 표시선 인식 여부, 양 차선이 끊기는 지점의 신호등 인식 여부, 양 차선이 끊기는 지점 근방에서 교차로 표지판 인식 여부 등을 근거로 하여 교차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may analyze the front image data obtained by the camera 10 and monitor whether there are lanes or stop lines on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own vehicle is driving to determine whether the own vehicle enters an intersec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 enters an intersection based on whether a stop line and a direction indicator line are recognized at a point where both lanes are cut, whether a traffic light is recognized at a point where both lanes are cut, whether an intersection sign is recognized near a point where both lanes are cut, etc. can determine whether

제어부(50)는 자차량이 교차로로 진입하면(100, 예), 교차로 진출 주변에 중앙 분리대, 가드 레일 등의 교차로 구조물이 있을 경우 이 교차로 구조물을 회피하기 위한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한다(102).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는 교차로 구조물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고, 이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차선 유지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자차량을 가상 주행 차선을 따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향 개입 시 시스템의 전체 제어를 종료한다.When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100, YES), the controller 50 performs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o avoid the intersection structure if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such as a median strip or guard rail near the intersection (102, YES). ).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creates a virtual driving lane avoid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nd performs lane keeping control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At this time, when driving the vehicle along the virtual driving lane, the driver's steering intention is preferentially processed. Accordingly, when the driver intervenes in steering, the entire control of the system is terminated.

제어부(50)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옆 차선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인접차량 회피제어를 수행한다(104). 인접차량 회피제어는 자차량을 편향주행제어 및/또는 감속주행제어를 수행한다.Whe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the next lane while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he controller 50 performs adjacent vehicle avoidance control (104). Adjacent vehicle avoidance control performs deflection driving control and/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of the host vehicle.

제어부(50)는 자차량이 교차로를 진출하는지를 판단한다(106).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own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106).

제어부(50)는 자차량이 교차로를 진출하면(106, 예),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정지시키고(108), 인접차량 회피제어를 정지시킨다(110).When the own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106, YES), the control unit 50 stops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108) and stops the adjacent vehicle avoidance control (110).

이하에서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for controlling avoidance of intersection structures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카메라(10)에 의해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전방 레이더(20)에 의해 획득된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한다(200).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ler 50 obtains front image data obtained by the camera 10 and front radar data obtained by the front radar 20 (200).

제어부(50)는 전방 영상 데이터와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차로 진출 주변에 중앙 분리대, 가드레일 등의 교차로 구조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202). 제어부(50)는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교차로 내에서 자차량 경로를 예측하고 자차량 경로 근방의 교차로 구조물의 유무를 확인한다.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의 폭, 곡률 등의 차선 정보와 거동 센서(40)에 검출된 차량 거동 정보(일예로, 요레이트, 조향각 및 차속)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경로를 예측한다. 교차로 내 자차량 경로 근방에서 운전석 측 방향으로 교차로 구조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50 analyzes the forward image data and the forward rada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intersection structures such as median strips and guardrails near the intersection (202). The control unit 50 predicts the own vehicle's path within the intersection based on the recognized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near the own vehicle's path. The path of the own vehicle is predicted using lane information such as width and curvature of the lane recognized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vehicle behavior information (eg, yaw rate, steering angle, and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behavior sensor 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s path within the intersection.

교차로 진출 주변에 교차로 구조물이 존재할 경우(202, 예), 제어부(50)는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정보와 교차로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교차로 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가상적인 주행 차선인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한다(204).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의 폭을 사용하여 교차로 구조물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 정보와 차량 거동 정보를 사용하여 자차량이 급격한 거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한다. 교차로 구조물의 종방향 위치 및/또는 횡방향 위치를 계산하여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한다.If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around entering the intersection (202, Yes), the control unit 50 is a virtual driving lane that is a virtual driving lane capable of avoiding a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based on the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 lane is created (204).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 creates a virtual driving path avoid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by using the width of the lane recognized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t this time, a virtual driving lane is created using the lane information and vehicle behavior information recognized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make a sudden movement. By calculat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and/or the later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 virtual driving lan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cognized lane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is created.

제어부(50)는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목표 궤적을 결정한다(206). 예를 들면, 목표 궤적은 가상 주행 차선의 좌우 구획선 사이의 중앙 위치를 잇는 궤적일 수 있다.The controller 50 determines a target trajectory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206). For example, the target trajectory may be a trajectory connecting a central position between left and right dividing lines of the virtual driving lane.

제어부(50)는 자차량이 목표 궤적을 따라 주행하도록 조향 장치(60)를 제어하여 차선유지제어(Lane Keeping Assist)를 수행한다(208). 차선유지제어는 차량을 좌우의 구획선에 의해 규정되는 차선 안의 적절한 위치에서 주행시키도록 차량의 조향각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조향 제어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50 performs lane keeping assist by controlling the steering device 60 so that the vehicle travels along the target trajectory (208). Lane keeping control includes steering control that automatically changes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so as to drive the vehicle at an appropriate position within a lane defined by left and right dividing lines.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교차로를 직진 주행하는 차량이나 좌회전 혹은 우회전하는 차량 등 교차로를 통과하는 다양한 주행 형태의 차량에 적용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교차로를 직진 주행하는 차량에 적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various driving types of vehicles passing through an intersection, such as a vehicle traveling straight through an intersection or a vehicle turning left or right,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pplied to a vehicle traveling straight through an intersection. Explain.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교차로 직진 주행시 교차로 진출로 교차로 구조물이 있을 경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통해 교차로 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voidance of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through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when there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on an exit road to an intersection when driving straight through an intersection in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교차로 상류측 중앙 분리대(CD1)와 하류측 중앙 분리대(CD2)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난 교차로(CR)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5 , an intersection CR is shown in which the upstream side median strip CD1 and the downstream side median strip CD2 are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but are offset from each other.

교차로 진입 전 차선 L1와 L2이 있고, 교차로 진출로에는 차선 L3와 L4가 있다고 가정한다.Assume that there are lanes L1 and L2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lanes L3 and L4 at the intersection exit.

통상적으로 교차로(CR)의 노면에는 구획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도 5와 같이, 교차로 진입 전 도로와 교차로 진출 후 도로가 어긋난 교차로(CR)의 경우, 교차로 진입 전 차선 L1에서 교차로 진출 후 차선 L3으로 직진 주행하는 자차량(1)이 주행 경로를 바꾸지 않을 경우, 자차량(1)이 목적지 방향의 교차로 구조물인 중앙 분리대(CD1)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In general,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dividing line is not mark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intersection (CR).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an intersection (CR) where the road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the road after entering the intersection are misaligned, when the vehicle (1) driving straight from lane L1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to lane L3 after entering the intersection does not change its driving route , there is a risk that the own vehicle 1 collides with the median strip CD1, which is an intersection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자차량(1)이 교차로 진입시 교차로 진출로 주변에 자차량(1)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중앙 분리대(CD1)가 존재할 경우, 이 중앙 분리대(CD1)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중앙 분리대 회피제어가 필요하다.When the own vehicle 1 enters an intersection, if there is a median strip CD1 that may collide with the own vehicle 1 near the intersection, median strip avoidance control for avoiding collision with the median strip CD1 is needed

중앙 분리대 회피제어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것, 목표 궤적을 결정하는 것 및 차선 유지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Median avoidance control includes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lane, determining a target trajectory, and performing lane keeping control.

먼저,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 정보(L2의 폭과 곡률)와 중앙 분리대(CD1)의 위치정보(종방향 위치와 횡방향 위치)를 근거로 교차로 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한다. 자차량(1)이 급격히 거동하지 않는 선에서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된다. 중앙 분리대(CD1)의 종 위치 및/또는 횡 위치를 계산하여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 L1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한다.First, based on the lane information (width and curvature of L2)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longitudinal position and lateral position) of the median strip (CD1), a virtual driving lane that can avoid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is created. . A virtual driving lane is generated on a line in which the host vehicle 1 does not rapidly move. By calculat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and/or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edian strip CD1, a virtual driving lan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cognized lane L1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is created.

가상 주행 차선은 좌측 구획선(LL1)과 우측 구획선(LL2)에 의해 구획되는 차로의 차선이다.The virtual driving lane is a lane of lanes divided by the left dividing line LL1 and the right dividing line LL2.

가상 주행 차선의 좌측 구획선인 운전석 측 구획선(LL1)은 교차로 진입 전 차선 L1의 좌측 구획선과 이어지고 중앙 분리대(CD1)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된 횡 위치를 갖는다.The driver's seat side dividing line LL1, which is the left dividing line of the imaginary driving lane, is connected to the left dividing line of the lane L1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has a lateral position secured enough space not to collide with the median strip CD1.

가상 주행 차선의 우측 구획선인 운전석 반대 측 구획선(LL2)은 교차로 진입 전 차선 L1의 우측 구획선과 이어지고 교차로 진입 전 차선의 폭만큼 떨어진 부근에 위치한다.The dividing line LL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r's seat, which is the right dividing line of the imaginary driving lane, connects to the right dividing line of the lane L1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is located near the width of the lane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가상 주행 차선의 좌우 구획선(LL1, LL2) 사이의 중앙 위치를 잇는 목표 궤적(PR)을 결정한다.A target trajectory PR connecting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dividing lines LL1 and LL2 of the virtual driving lane is determined.

그리고, 자차량(1)이 목표 궤적(PR)을 따라 주행하도록 차선 유지 제어를 수행한다.Then, lane keeping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host vehicle 1 travels along the target trajectory PR.

이하에서는 인접차량 회피제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djacent vehicle avoidanc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인접차량 회피제어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 chart for neighboring vehicle avoidance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코너 레이더(30)에 의해 획득된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한다(300).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unit 50 obtains corner radar data acquired by the corner radar 30 while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300).

제어부(50)는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분석하여 옆차선 차량인 인접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302). 제어부(50)는 인접차량과의 횡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 인접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50 analyzes the corner radar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that is a vehicle in the next lane (302).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when the lateral distance with the adjacent vehicl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인접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302, 예), 제어부(50)는 인접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가상 주행 차선 내에서 자차량(1)을 인접차량과 먼 쪽으로 이동시켜 주행시키는 편향주행제어를 수행한다(304).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302, Yes), the control unit 50 moves the host vehicle 1 farther away from the adjacent vehicle within the virtual driving lane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and drives the deflected driving control. is performed (304).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서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 중에 옆 차선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편향주행제어를 통해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voidance of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through biased driving control whe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 neighboring lane dur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교차로 진입 전에 1차로에 있던 자차량(1)과 2차로에 있던 인접차량(2)이 교차로 진입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FIG. 7 , a situation is shown in which the own vehicle 1 on the first lane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the adjacent vehicle 2 on the second lane enter the intersection.

자차량(1)은 중앙분리대(CD1)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가상 주행 차선의 점선의 목표 궤적을 따라 이동해야 하지만, 2차로에 있던 인접차량(2)이 가상 주행 차선의 우측 구획선(LL2)에 근접하여 주행할 경우,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줄어들어 충돌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The own vehicle (1) should move along the target trajectory of the dotted line of the virtual driving lane to avoid collision with the median strip (CD1), but the adjacent vehicle (2) in the second lane moves along the right dividing line (LL2) of the virtual driving lane. ),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host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reduced to within a preset distance, resulting in a risk of collision.

이와 같이, 자차량(1)과 인접차량(2)간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자차량(1)을 가상 주행 차선의 중앙 위치가 아닌 인접차량(2)과 멀리 떨어진 반대쪽 구획선인 좌측 구획선(LL1) 측으로 붙여 주행시키는 편향주행제어를 수행한다. 이 편향주행제어에 의해 자차량(1)은 인접차량(2)과의 횡거리가 벌어져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자차량(1)은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계속 수행하는 중이다. 따라서, 자차량(1)은 중앙분리대(CD1)과의 충돌을 회피함과 함께 인접차량(2)과의 충돌도 회피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own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the left dividing line LL1, which is the opposite dividing line farther away from the neighboring vehicle 2, rather tha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virtual driving lane, the own vehicle 1 ) to perform deflection driving control. By this biased travel control, the host vehicle 1 widens the lateral distance with the adjacent vehicle 2,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collision. At this time, the host vehicle 1 continues to perform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herefore, the own vehicle 1 can avoid collision with the median strip CD1 and also avoid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2 .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편향주행제어를 수행한 후 인접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306).Referring back to FIG. 6 , after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again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306).

인접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302, 예), 제어부(50)는 자차량(1)을 감속시켜 인접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는 감속주행제어를 수행한다(308). 제어부(50)는 편향주행제어에 의해서도 인접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인접차량(2)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자차량(1)의 속도를 감속시킨다.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302, Yes), the control unit 50 performs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by decelerating the own vehicle 1 (308). When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neighboring vehicle still exists even by biased driving control, the controller 50 decelerates the speed of the host vehicle 1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neighboring vehicle 2 .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방법에서 편향주행제어 중에 옆 차선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감속주행제어를 통해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voiding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through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when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during deflection driving control in a driver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편향 주행에 의해서도 인접차량(2)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을 경우, 자차량(1)을 감속하여 인접차량(2)이 지나간 후 주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2 even by deflection driving, the own vehicle 1 may be decelerated and travel after the adjacent vehicle 2 passes.

코너 레이더 데이터로부터 인접차량(2)의 거동을 모니터링하여 인접차량(2)의 이동경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of the adjacent vehicle 2 may be predicted in advance by monitoring the behavior of the adjacent vehicle 2 from the corner radar data.

편향 주행에 의해서도 자차랑(1)과 인접차량(2)의 충돌 가능성이 있을 경우, 자차량(1)의 감속 주행을 시작한다.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own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even by deflection driving, the reduced speed of the own vehicle 1 is started.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 거리값이 감속시작거리값(DSD)일 경우, 자차량(1)을 감속하기 시작한다.When the value of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host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the de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DSD, the host vehicle 1 starts to decelerate.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 거리값이 감속시작거리값(DSD)보다 낮은 충돌가능거리값(CPD)일 경우, 자차량(1)을 정차시킨다.When the value of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own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a possible collision distance value CPD lower than the de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DSD, the own vehicle 1 is stopped.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 거리값이 감속시작거리값(DSD)과 충돌가능거리값(CPD)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자차량(1)을 감속시킨다.The host vehicle 1 is decelerated so that the later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own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positioned between the de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DSD and the possible collision distance value CPD.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 거리값이 감속시작거리값(DSD)과 충돌가능거리값(CPD)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자차량(1)을 감속시킨다.The host vehicle 1 is decelerated so that the later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own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positioned between the de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DSD and the possible collision distance value CPD.

자차량(1)이 감속 또는 정차 중에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횡 거리값이 While the host vehicle 1 decelerates or stops, the later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host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가속시작거리값(ASD)보다 높을 경우, 자차량(1)이 감속하기 전의 주행 속도로 복귀하도록 자차량(1)을 감속 전 주행속도까지 가속시킨다. 이때, 가속시작거리값(ASD)은 감속시작거리값(DSD)와 같거나 높을 수 있다.When higher than the ac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ASD, the host vehicle 1 is accelerated to the travel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so that the host vehicle 1 returns to the travel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In this case, the ac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ASD may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eceleration start distance value DSD.

편향주행제어에 의해서도 인접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감속주행제어를 통해 자차량(1)과 인접차량(2)의 충돌을 회피한다.If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still exists even by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e collision between the host vehicle 1 and the adjacent vehicle 2 is avoided through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자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때 교차로 구조물 및 인접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어 교차로 통과시 자차량을 사고 위험없이 안전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avoid a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and an adjacent vehicle when the own vehicle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so that the own vehicle can safely pass through the intersection without risk of an accident.

한편,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기능, 동작, 단계 등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microprocessor(s) combined with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The processor/microprocessor(s) may execute the computer 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operations, steps, and the like.

상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일시적인 기록 매체로 구현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전달되거나 그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거나 전술한 제어부 및/또는 그 구성요소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r a computer-readable temporary recording medium. The memory may be controll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configured to store data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or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and/or its components. It may be processed or configured to store data to be processed.

개시된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알고리즘/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 매체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실리콘 디스크 드라이브(SDD), 읽기 전용 메모리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algorithm/softwar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uch as a dat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microprocessor.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 solid state drives (SSD), silicon disk drives (SDD), read-only memory (ROM),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etc.

10: 카메라 20: 전방 레이더
30: 코너 레이더 40: 거동 센서
50: 제어부 51: 프로세서
52: 메모리 60: 조향 장치
70: 제동 장치 80: 가속 장치
10: camera 20: forward radar
30: corner radar 40: motion sensor
50: control unit 51: processor
52: memory 60: steering device
70: brake device 80: accelerator device

Claims (18)

차량의 코너 감지 시야를 가지고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는 코너 레이더; 및
상기 코너 레이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경우 상기 코너 레이더에 의해 획득된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조향 장치를 통해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거나 제동 장치를 통해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 corner radar that acquires corner radar data with a corner detection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ner radar,
The control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based on corner radar data obtained by the corner radar, 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avoiding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A driver assistance system that performs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rough the steering system 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rough the braking system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시야를 가지고 전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전방 감지 시야를 가지고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 레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교차로로 진입할 경우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전방 레이더에 의해 획득된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의 진출 주변에 존재하는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having a forward view of the vehicle and obtaining forward image data; and
Including a front radar for acquiring front radar data with a forward sensing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the control unit avoids a collision with an intersection structure existing around the entrance of the intersection based on the front image data obtained by the camera and the front radar data obtained by the front radar A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while perform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 수행시,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정보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목표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궤적을 유지하도록 차선유지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n performing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virtual driving lane avoiding a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based on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nd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determines a target trajectory A driver assistance system that determines and performs lane keeping control so that the vehicle maintains the target trajector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종방향 위치와 횡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을 가진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virtual driving lane having a right dividing line and a left dividing lin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cognized lane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position and a later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편향 주행 제어 수행시, 상기 차량을 상기 가상 주행 차선 내에서 상기 인접 차량과 멀리 떨어진 반대쪽 구획선 측으로 붙여 주행시키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vehicle in the virtual driving lane to the side of the opposite dividing line far away from the adjacent vehicle in the virtual driving lane when performing deflection driving contro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속 주행 제어 수행시,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차량을 감속 또는 정차시키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decelerates or stops the vehicle based on a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when performing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감속 또는 정차된 후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거리값보다 높을 경우, 가속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을 감속 전 주행속도로 가속시키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accelerates the vehicle to the driv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through an accelerator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is higher than a preset distance value after the vehicle decelerates or sto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gain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the adjacent lane after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and performs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if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of colli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r assistance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based on a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경우, 상기 차량의 코너 감지 시야를 가지는 코너 레이더에 의해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코너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인접 차량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조향 장치를 통해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거나 제동 장치를 통해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When a vehicle passes through an intersection, corner radar data is acquired by a corner radar having a corner detection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Based on the acquired corner radar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vehicle in an adjacent lane;
A driver assistance method for performing deflec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steering device or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through a braking device to avoid a collision with an adjacent vehicle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상기 교차로 진입할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 시야를 가지는 카메라에 의해 전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 감지 시야를 가지는 전방 레이더에 의해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방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전방 레이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의 진출 주변에 존재하는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Determining wheth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is,
When the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front image data is acquired by a camera having a front view of the vehicle, front radar data is obtained by a front radar having a front detection view of the vehicle, and the obtained front image Based on the data and the front radar data,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is performed to avoid collision with intersection structures existing around the exit of the intersection, and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while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is performed is determined. A driver assistance method comprising judg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구조물 회피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교차로 진입 전의 차선정보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차로구조물과 충돌을 회피하는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근거로 목표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목표 궤적을 유지하도록 차선유지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Performing the intersection structure avoidance control,
Based on the lane information before entering the intersec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a virtual driving lane that avoids collision with the intersection structure is created, a target trajecto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virtual driving lane, and the vehicle follows the target trajectory A driver assistanc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lane keeping control to maintain a la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교차로구조물의 종방향 위치와 횡방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교차로 진입 전 인식된 차선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우측 구획선과 좌측 구획선을 가진 가상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Generating the virtual driving lane,
A driver assistanc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lane having a right dividing line and a left dividing line continuously connected to a recognized lane before entering an inter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 longitudinal position and a later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struc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을 상기 가상 주행 차선 내에서 상기 인접 차량과 멀리 떨어진 반대쪽 구획선 측으로 붙여 주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driver assistance method of claim 1 , wherein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includes driving the vehicle in the virtual driving lane to a side of a division line farther away from the adjacent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차량을 감속 또는 정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includes decelerating or stopping the vehicle based on a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차량이 감속 또는 정차된 후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거리값보다 높을 경우, 가속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을 감속 전 주행속도로 가속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is to accelerate the vehicle to the driving speed before deceleration through an accelerator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valu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is higher than a preset distance value after the vehicle is decelerated or stopped. A driver assistance method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주행 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인접 차선의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 충돌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경우 상기 감속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fter performing the deflection driving control, it is determined again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vehicle in the adjacent lane, and if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of collision, the driver assistance metho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the deceleration driving contro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과 상기 인접 차량의 횡거리를 근거로 상기 인접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determining wheth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exists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adjacent vehicle based on a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adjacent vehicle.
KR1020210157874A 2021-11-16 2021-11-16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KR202300719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874A KR20230071909A (en) 2021-11-16 2021-11-16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874A KR20230071909A (en) 2021-11-16 2021-11-16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909A true KR20230071909A (en) 2023-05-24

Family

ID=8654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874A KR20230071909A (en) 2021-11-16 2021-11-16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90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7276A (en) 2018-12-17 2020-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ravel trajectory determining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7276A (en) 2018-12-17 2020-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ravel trajectory determining device and automatic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9525B2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10926764B2 (en) Lane keeping assistan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387160A1 (en) Autonomous cruis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8447484B2 (en) Branch-lane entry judging system
CN1112844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ravel
US20170372150A1 (en) Processing of Sensor Data for a Driver Assistance System
US10974732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ffic intersection navigation
US20210197824A1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210083220A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JP5202741B2 (en) Branch entry judgment device
US20200242941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US2020021607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overtaking a preceding vehicle
KR102356612B1 (en) Collision Avoidan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3123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200327809A1 (en) Vehicle and method for predicating collision
US2020021605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on the highway
KR20230071909A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JP644796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0875532B2 (en) Travelling assist apparatus
US20210284148A1 (en) Travel control apparatus, vehicle, travel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4093023A (en) Moving body obstruction detection device,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39898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34569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KR20230068917A (e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121978A1 (en) Collision avoidance assistanc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