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878A -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878A
KR20230071878A KR1020210157259A KR20210157259A KR20230071878A KR 20230071878 A KR20230071878 A KR 20230071878A KR 1020210157259 A KR1020210157259 A KR 1020210157259A KR 20210157259 A KR20210157259 A KR 20210157259A KR 20230071878 A KR20230071878 A KR 20230071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housing
eye movement
augmented realit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4540B1 (en
Inventor
강현구
박상일
김수강
김영관
문세준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riority to KR102021015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540B1/en
Publication of KR2023007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which can be provided to be worn on a user's face, has a receiving space with a front opening formed therein, and has a viewing hole formed, on the rear 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and a terminal fix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fix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directed toward a face mounting unit.

Description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본 발명은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송출되는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안구 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양안 시기능 훈련이 가능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is wearable on a user's face, fixes a mobile terminal, and performs eye movement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image transmitted through eye movement training software. Accordingly, it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capable of training binocular vision.

눈에 피로를 느끼기 쉬운 환경에 노출된 현대인의 경우 안구 기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안구 운동 훈련의 지속적인 수행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modern people who are exposed to an environment prone to eye fatigu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eye function will continuously deteriorate,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erform eye movement training.

특히 이미 시기능 이상이 발생한 환자는 안경원, 안과 또는 시기능 훈련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하며, 하루 3회씩 6개월 정도의 장기간동안 반복 훈련을 해야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 및 직장인의 경우 치료 스케줄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patients who have already experienced visual function problems must visit an optician, ophthalmologist, or visual function training center for treatment, and repeated training three times a day for a long period of about six months is required for effective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t the schedul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증강현실영상을 활용하여 안구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기는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devices and software for performing eye movements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but currently released augmented reality (AR) devices are sold at high prices and are popularized. are struggling with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830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830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가의 증강현실 기기가 아닌 개인이 휴대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간 제약 및 시간 제약 없이 증강현실영상을 통해 안구 운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using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rather than an expensive augmented reality device, eye movement training through augmented reality images without space and time limitations. It has an object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to be able to perfor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후방 측에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wearable on the user's face,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with an open front inside, and a user's A housing having a see-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yeball and a terminal fixing unit provided at an open front of the hous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directed toward the face-mounted unit.

이때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ortion of a surface opposite to the display.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A nos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nose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한편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one 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de cover that selectively shields the opened side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단말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de cover may include an auxiliary fixing par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fixing part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terminal fixing part.

더불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안면장착유닛 및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키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는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단말기 장착커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ccording to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be wearable on the user's face, and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in , It is provided in the opened rear of the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nd is formed to mount a face mounting unit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e-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and provided in the opened front of the housing. and fixing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toward the face-mounted unit,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mounted cover exposing the outside to be photographed.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plate forming a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lower plat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and forming a flo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air of side plat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mounting cover may be hinged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shield or open the front of the housing.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nd an insertion protrusion fixing the terminal mounting cover to the housing may be formed as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a state of shielding the front of the housing. there is.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가 구비된 제1광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tical unit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transflective mirror for transmitting a certain amount of l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 고정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가 구비된 제2광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ptical unit provided with a Fresnel len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enlarging a screen transmitted to a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광학유닛 및 상기 제2광학유닛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fix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to allow portions of the first optical unit and the second optical unit to be inserted and fixed.

한편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mounting cover may include a terminal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fixing unit includes a support membe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fix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the face mounting unit, and the terminal mounting cover A pair of fixing members provided to fix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fixed facing the face mounting uni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slit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and each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is provided with a portion inserted in a different guide slit, so that it can slide along the guide slit. can be formed.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fixing members may be formed to be simultaneously movable by the same movement amount in a direction that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moves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mounting cover may include an elastic part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fixing members come closer to each oth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유·소아, 성인 및 노인층 등 안구 운동 훈련이 필요한 대상에게 꾸준히 안구 운동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시기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ubjects in need of eye movement training, such as infants and children, adults and the elderly, to continuously perform eye movement training, thereby reducing eye fatigue. and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visual function.

특히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용자가 지루함 없이 꾸준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구 피로감, 건성 안 및 가성근시 등과 같은 안과적 질환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시기능 향상을 통한 안구 보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tilized using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so it can solv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induces users to do steady training without boredom through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resulting in eye fatigue. ,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ye health through the improvement of visual function by preventing ophthalmological diseases such as dry eye and pseudomyopia.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에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fix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n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mounting cover in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mounting cover in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10), 단말기 고정부(15) 및 측면커버(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 a terminal fixing part 15 and a side cover 20 .

하우징(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11)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The housing 10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and has a shap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11 with an open front is formed therei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에는 사용자의 두부 상측을 감싸는 상부 스트랩을 연결하는 스트랩 고정돌기(14)가 형성되며,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상부 스트랩과 함께 사용자의 두부 측부를 감싸는 측부 스트랩을 연결하는 고정링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0 has a strap fixing protrusion 14 connecting an upper strap that surrounds the upper side of the user's head, and although not show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are provided with the upper strap and the user's head. A fixing link connecting the side strap surrounding the side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또한 하우징(10)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투시홀(12)과,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코 삽입홀(13)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e-through hole 1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and a nose insertion hole 1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nose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

단말기 고정부(15)는 하우징(10)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terminal fixing part 15 is provided in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10 and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M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M faces toward the face-mounted unit.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고정부(15)는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 및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단말기 고정부(15)의 형태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fixing part 15 is formed in a shape bent in an 'L' shap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M and a part of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terminal fixing part 15 ) The form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코 삽입홀(13)에 코를 삽입한 상태로 투시홀(12)의 내측에 시선을 둘 경우, 단말기 고정부(15)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볼 수 있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eyes on the inside of the through-hole 12 with his/her nose inserted into the nose insertion hole 13 of the housing 10, the mobile terminal M mounted on the terminal fixing part 15 You can look at the display, so you can wear it stably.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증강현실영상을 송출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안구 운동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And in this stat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ed with eye movement training for the user by send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rough the eye movement train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고정부(15)는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 및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만을 지지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모바일 단말기(M)의 카메라는 전방 측으로 노출되어 증강현실영상 송출을 위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erminal fixing part 15 has a form of supporting only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M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nd the augmented reality image The outside can be filmed for transmission.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10)의 일측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커버(20)를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n open form, and has a feature that further includes a side cover 20 that selectively shields the opened side of the housing.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하우징(10) 내부에 기타 광학기기들을 구비할 경우 이들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하우징(10)의 세척 등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other optical devices when the other optical devices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nd to facilitate operations such as cleaning the housing 10.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 형태를 가지며, 측면커버(20) 역시 이에 대응되는 평행사변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0 has a parallelogram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side cover 20 may also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parallelogram shape.

그리고 하우징(10)의 일측부는 측면커버(20)를 덮어 끼울 수 있도록 단차부(16)가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may have a stepped portion 16 formed so that the side cover 20 can be covered and fitted.

또한 본 실시예예서 측면커버(20)는 단말기 고정부(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기 고정부(15)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de cover 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fixing part 15, and includes an auxiliary fixing part 21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M together with the terminal fixing part 15. can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변형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M is fix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n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는 하우징(110), 안면장착유닛(130) 및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포함한다.4 to 6,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face mounting unit 130, and a terminal mounting cover 120.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105)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and has a shap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105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formed therei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세부적으로, 수용공간(105)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과, 이와 같은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수용공간(105)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과,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10 includes, in detail, an upper plate forming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5, a lower plat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and forming the floor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5, and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It may include a pair of side plates connecting each other.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한 쌍의 측판에는 사용자의 두부에 하우징(1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트랩 등이 구비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a strap or the like for stably fixing the housing 110 to the user's head may be provided on the pair of side plates.

안면장착유닛(130)은 하우징(110)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1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면장착유닛(130)은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ace mounting unit 1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110 to contact the user's face, and a see-through hole 1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Such a face mount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ser's face.

그리고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사용자 등이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M)를 장착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M owned by the user, etc., and is provided in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M is the face mounting unit 130 fixed in that direction.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하우징(11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s hinged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nd is formed to selectively shield or open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즉 사용자는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전방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내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110)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증강현실영상을 송출하도록 하여 안구 운동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mount or separate the mobile terminal M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exposed by rotating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outward, and rotates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nward to expose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shielded, eye movement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rough the eye movement train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모바일 단말기(M)의 카메라가 증강현실영상 송출을 위해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카메라홀이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may have a camera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expose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M to be able to shoot the outside for augmented reality image transmissio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전단부에는 걸림홈(112)이 형성되며,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걸림홈(112)에 삽입됨에 따라 단말기 장착커버(120)를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121)가 형성된다.And, in this embodiment, a locking groove 11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10, and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12 in a state of shielding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terminal An insertion protrusion 121 fixing the mounting cover 120 to the housing 110 is formed.

이와 함께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may include a terminal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M).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고정부(120)는, 단말기 장착커버(120)가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123)와, 단말기 장착커버(120)가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가 안면장착유닛(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fixing unit 120,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s fix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M faces the face mounting unit 130,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M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23 and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are fix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M is directed toward the face mounting unit 130,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M It includes a pair of fixing members 124 provided to be fixed.

이때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고정부재(124)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122)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슬릿(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guide slits 122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formed 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124 are partially inserted into different guide slits 122. , and may be formed to slide along the guide slit 122 .

즉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슬라이드 조작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24)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모바일 단말기(M)를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적용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fix and separate the mobile terminal (M) by sliding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124 to obtain various standard mobile terminals (M).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더불어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may be formed to move simultaneously by the same amount of movement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ncludes a pair of fixing members 124 An elastic par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re closer to each other.

한편 본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제1광학유닛(140)과 제2광학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tical unit 140 and a second optical unit 150 additionally.

제1광학유닛(14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05)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141)를 포함하며, 제2광학유닛(150)은 수용공간(105) 내에 구비되어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고정된 모바일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151)를 포함한다.The first optical unit 140 includes a transflective mirror 141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of the housing 110 to transmit a certain amount of light, and the second optical unit 150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It includes a Fresnel lens 151 provided inside and magnifying the screen transmitted to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M fix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이와 같은 제1광학유닛(140) 제2광학유닛(150)은 수용공간(105) 내에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10)에는 제1광학유닛(140) 및 제2광학유닛(150)의 프레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tical unit 14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150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05, and at this time, the housing 110 includes the first optical unit 140 and the second optical unit. A fixing groove 111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frame of 150 is inserted and fix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M)를 이용하여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용자가 지루함 없이 꾸준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구 피로감, 건성 안 및 가성근시 등과 같은 안과적 질환을 예방하도록 함에 따라 시기능 향상을 통한 안구 보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tilized using a mobile terminal (M) carried by an individual, it can solv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through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the user can continue training without boredom.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ye health through the improvement of visual function by preventing ophthalmological diseases such as eye fatigue, dry eye and pseudomyopia, etc.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n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단말기 장착커버(120)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M)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 고정부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를 포함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may include a terminal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M,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terminal fixing unit It includes a pair of fixing members 124.

또한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단말기 장착커버(120)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에 각각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가이드슬릿(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ar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each part is inserted into a pair of guide slit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so that they can slide along the guide slits 122. do.

그리고 한 쌍의 고정부재(124)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단말기 장착커버(120)에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는 점도 전술한 제1실이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be movable simultaneously by the same amount of movement in the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or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are in the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fact that an elastic part (not shown) providing an elastic force is further provided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thread example.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고정부재(124) 내측 각각에 압력감지센서(125)가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25 is further provided on each inner side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

압력감지센서(125)는 한 쌍의 고정부재(124)가 모바일 단말기(M)를 가압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 양측 각각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pressure sensor 125 is provided to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M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fixing members 124 press and fix the mobile terminal M.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M)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작업을 수동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매번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moothly use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mobile terminal M is always provided at a constant position. However, when the user manually fixes the mobile terminal M, the lo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y be slightly misaligned.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M)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한 쌍의 고정부재(124) 내측 각각에 압력감지센서(125)를 구비하였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pressure sensor 125 is provided on each inner side of a pair of fixing members 124 in order to always fix the mobile terminal M at a constant position.

즉 사용자는 이와 같은 한 쌍의 압력감지센서(125)의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바일 단말기(M)를 세팅하여, 모바일 단말기(M)의 고정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always maintain the fixed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M) constant by setting the mobile terminal (M) such that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pair of pressure sensors 125 are constantly maintained.

특히 압력감지센서(125)는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는 압력감지센서(125)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세팅 보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ressure sensor 125 may be interlocked with software for eye movement training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oftware for eye movement training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125. By receiving the measurement value and informing the user, the user may perform an appropriate setting correction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in the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내면 측에 복수 개의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이 소정의 패턴으로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fine angle adjustment cushions 126 ar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이와 같은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은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내면 측에 모바일 단말기(M)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M)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Such a fine angle adjusting cushion 126 is provid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M while the mobile terminal M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내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주입공간이 형성되며, 단말기 장착커버(120)의 일측에는 이와 같은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공기주입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주입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에어펌프(127)가 더 구비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an air injection space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air is formed inside each fine angle adjusting cushion 126, and each fine angle adjusting cushion 12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mounting cover 120. An air pump 127 that operates to individually inject air into the air injection space or discharge air from the air injection space is further provided.

즉 에어펌프(127)는 미세각도조절쿠션(126)의 내부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각 미세각도조절쿠션(126) 간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M)의 미세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air pump 127 can change the height between each fine angle adjusting cushion 126 differently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fine angle adjusting cushion 126, and thus adjust the fine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M. it is possible to regulate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용자 별로 안면 굴곡, 착용 상태 등 다양한 요소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M)의 미세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적합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implement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by enabling fine adjustment of the mobile terminal M, since differences may occur in various factors such as facial curves and wearing conditions for each user.

또한 에어펌프(127) 역시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M)에 설치된 안구 운동 훈련용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별로 모바일 단말기(M)의 최적 각도를 로드하고, 이에 따라 에어펌프(127)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모바일 단말기(M)의 적절한 각도 보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pump 127 may also be interlocked with software for eye movement training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oftware for eye movement training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M may be linked to the mobile terminal M for each user. The optimal angle may be loaded, and accordingly, a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 pump 127 so that the mobile terminal M may perform an appropriate angle correction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M: 모바일 단말기
110: 하우징
111: 고정홈
112: 걸림홈
120: 단말기 장착커버
121: 삽입돌기
122: 가이드슬릿
123: 지지부재
124: 고정부재
125: 압력감지센서
126: 미세각도조절쿠션
127: 에어펌프
130: 안면장착유닛
131: 투시홀
140: 제1광학유닛
141: 반투과미러
150: 제2광학유닛
151: 프레넬렌즈
M: mobile terminal
110: housing
111: fixed groove
112: catch groove
120: terminal mounting cover
121: insertion protrusion
122: guide slit
123: support member
124: fixing member
125: pressure sensor
126: fine angle adjustment cushion
127: air pump
130: face mounting unit
131: see-through hole
140: first optical unit
141: transflective mirror
150: second optical unit
151: Fresnel lens

Claims (17)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방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후방 측에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단말기 고정부;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 housing that is wearable on a user's face, has a front-ope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has a see-through hole formed at a rear si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and
a terminal fixing unit provided at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directed toward the face-mounted unit;
includ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대 측 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fixing unit,
Formed in a bent shape to support a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art of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의 코에 대응되는 위치에 코 삽입홀이 형성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 nose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nose.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in an open shape,
Further comprising a side cov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ed side of the hous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단말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ide cover,
An auxiliary fixing par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fixing part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terminal fixing part.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시홀이 형성된 안면장착유닛; 및
모바일 단말기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키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는 외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노출시키는 단말기 장착커버;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 housing provided to be worn on a user's face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in;
a face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open rear of the housing,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nd having a see-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all; and
It is formed to be able to mount a mobile terminal, and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 fix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toward the face-mounted unit, while exposing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outside can be photographed. cover;
includ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상판;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
을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housing,
a top plate forming the ceiling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lower plat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and form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air of side plat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each other;
includ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거나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is formed to selectively shield or open the front of the hous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lo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As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a state of shielding the front of the housing, an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to fix the terminal mounting cover to the hous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빛의 일정량을 투과시키는 반투과미러가 구비된 제1광학유닛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rst optical unit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 transflective mirror for transmitting a certain amount of light.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 고정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송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프레넬렌즈가 구비된 제2광학유닛을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optical unit provided with a Fresnel lens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nlarging a screen transmitted to a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fixed to the terminal mounting cover,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광학유닛 및 상기 제2광학유닛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housing to allow portions of the first optical unit and the second optical unit to be inserted and fixed.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ncludes a terminal fixing part for fixing the mobile terminal,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하부를 받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안면장착유닛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양측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terminal fixing unit,
a support membe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while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fix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the face mounting unit; and
a pair of fixing members provided to fix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fix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the face mounting unit;
including,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각각은 서로 다른 가이드슬릿 내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A pair of guide slit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terminal mounting cover,
Each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is provided with a portion inserted into a different guide slit, and is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guide slit.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서로 연동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pair of fixing member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move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amount of movement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증강현실영상을 이용한 안구 운동 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terminal mounting cov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fixing members come closer to each other.
A wearable device fo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KR1020210157259A 2021-11-16 2021-11-16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KR102624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en) 2021-11-16 2021-11-16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en) 2021-11-16 2021-11-16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78A true KR20230071878A (en) 2023-05-24
KR102624540B1 KR102624540B1 (en) 2024-01-15

Family

ID=8654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59A KR102624540B1 (en) 2021-11-16 2021-11-16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54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03A (en) * 2010-09-18 2012-03-28 이남진 3d glasses for smartphone
KR20140013676A (en) * 2012-07-25 2014-02-05 허춘화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WO2015145863A1 (en) * 2014-03-28 2015-10-01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Display system, attachment,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205643870U (en) * 2016-05-20 2016-10-12 吴取明 Mini VR glasses
KR20170107750A (en) * 2016-03-16 2017-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See-through type display apparatus
KR20180076023A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tracking
CN110927977A (en)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Foldable VR glasses that conveniently carry
KR20200058303A (en)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of Eye Movement Disord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03A (en) * 2010-09-18 2012-03-28 이남진 3d glasses for smartphone
KR20140013676A (en) * 2012-07-25 2014-02-05 허춘화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WO2015145863A1 (en) * 2014-03-28 2015-10-01 国立研究開発法人理化学研究所 Display system, attachment,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70107750A (en) * 2016-03-16 2017-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See-through type display apparatus
CN205643870U (en) * 2016-05-20 2016-10-12 吴取明 Mini VR glasses
KR20180076023A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tracking
KR20200058303A (en) 2018-11-16 2020-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of Eye Movement Disord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927977A (en) * 2019-12-25 2020-03-27 温州明澈眼镜科技有限公司 Foldable VR glasses that conveniently car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540B1 (en)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9796B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6538624B1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EP0889346B1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apparatus
US6113237A (en) Adaptable eye movement measurement device
KR101370748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yopia and fatigue
KR20220043113A (en) OPHTHALMOLOGIC TESTING SYSTEMS AND METHODS
WO2001027684A2 (en) Eyeglass-mount display having personalized fit module
US20080084362A1 (en) Image display device
EP302382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209879142U (en) Head-mounted view device for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KR20210047972A (en) Display device
WO2007037089A1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unit
KR20180113449A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US20190235623A1 (en) Virtual Reality Headset
KR10202942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sual disturbance
EP3633419B1 (en) Head-mounted display
TWI679523B (en) Headset display device
CN110755030A (en) Head-mounted OCT probe
CN113439233A (en) Visual information changing device, prism glasses, and method for selecting lens in prism glasses
KR20190071472A (en) Eyeglasses-type wearable device providing game contents for treatment of amblyopia
KR20230071878A (en) Wearable Device for Ocular Motor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s
KR20220076711A (en) Smart glass
JP2004029768A (en) Image display device for use on head
CN109100864B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4641647B2 (en) Magn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