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746A -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746A
KR20230071746A KR1020220151881A KR20220151881A KR20230071746A KR 20230071746 A KR20230071746 A KR 20230071746A KR 1020220151881 A KR1020220151881 A KR 1020220151881A KR 20220151881 A KR20220151881 A KR 20220151881A KR 20230071746 A KR20230071746 A KR 2023007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temperature
flow path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지훈
정희화
하승찬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794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803A1/en
Publication of KR2023007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7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5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characterised by systems with two or more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기 온도 조건에 따라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온도를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는,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포트부; 상기 상부 포트부와 동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포트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유로 포트 및 하부 유로 포트와 연통되는 상하부 연결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a multi-port valve,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ulti-port valve, and a multi-port valve capable of organ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or an electr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s of a vehicle.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port portion having an upp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a lower port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about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upper port portion and having a low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lower flow passage ports; And a valve body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bout the central axis,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hav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flow passage ports, respectively.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ny one pair of the neighboring upper flow path port or lower flow path por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body.

Description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Integrated module including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port valve and multi-port valve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외기 온도 조건에 따라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온도를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ort valve,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ulti-port valve, and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the multi-port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organical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or electr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conditions of a vehicle It relates to a multi-port valve,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ulti-port valve, and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the multi-port valve.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동력을 출력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고 소음이 작아 친환경 자동차로 각광받고 있다.Since the electric vehicle is operated using a motor that receives electricity from a battery and outputs power, it is spotlighted as an eco-friendly vehicle without emission of carbon dioxide and low noise.

이런 전기 자동차를 구현함에 있어 핵심이 배터리 모듈과 관련한 기술이며, 최근 배터리의 경량, 소형화, 짧은 충전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배터리 모듈은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여야 최적의 성능과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중 발생하는 열과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최적의 온도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렵다.The key to implementing such an electric vehicle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battery module, and recently, research on light weight, miniaturization, and short charging time of batteri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 battery module can maintain optimal performance and long life only when used in an optimal temperature environ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it in an optimal temperature environment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and external temperature change.

배터리 모듈의 최적의 온도환경 유지를 위해 종래에는, 배터리 모듈 온도 조절을 위한 냉난방 시스템을 차량 실내 공조를 위한 냉난방 시스템과는 별도로 운용하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즉, 독립된 2개의 냉난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하나는 실내 냉난방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 모듈 온도조절을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al temperature environment for the battery module, a technology for operating a cooling/heating system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separately from a cooling/heating system for air conditioning in a vehicle has been adopted. That is, two independent cooling and heating systems are built, one is used for indoor cooling and heating, and the other is used for temperature control of the battery module.

이처럼 두 개의 냉난방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배터리 모듈이 최적의 성능 발휘를 위한 온도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전체적인 전력 소비율이 현저히 커져 전체적으로 에너지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이 때문에 1회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크게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과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온도 관리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Independently operating the two heating and cooling systems in this way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battery module can easily implement a temperature environment for optimal performance. However,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rate of the vehicle significantly increases,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energy efficiency as a whole, and as a result, the distance that can be traveled on a single charge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organically combin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f a battery or electric component is being discuss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배터리 또는 모터를 포함한 전장부품의 온도 제어를 위해 냉각수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포트밸브를 제시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ort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of coolan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electric components including a battery or a motor while being organically coupled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는,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포트부; 상기 상부 포트부와 동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포트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유로 포트 및 하부 유로 포트와 연통되는 상하부 연결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ort portion having an upper housing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a lower port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about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upper port portion and having a low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lower flow passage ports; And a valve body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bout the central axis,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hav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flow passage ports, respectively.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ny one pair of the neighboring upper flow path port or lower flow path por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or lower flow path po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formed radi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를 지나는 각각의 유로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passag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upper flow passage ports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에 따라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wer flow ports is b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유로 포트와 대응되는 상부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구와 이웃하는 어느 하나의 상부 연결구는 서로 연통되도록 유로가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ow path por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upper connector and any one neighboring upper connect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연결구에는 상부밸브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valve seat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하부 유로 포트 이외의 나머지 하부 유로 포트를 차단하도록 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elding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body to block the remaining lower flow ports other than the lower flow port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서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맞닿는 상기 가림부의 일면에는 하부밸브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valve sea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vering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결합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member is moun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oup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회전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결합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and a sealing member is mounted at a joint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upper housing.

한편,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유동라인; 전장부품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 유동라인; 칠러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3 유동라인;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4 유동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포트부와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포트부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내부 공간에서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을 연통시키는 밸브바디가 형성된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하고, 차량의 외기 온도에 따라 핫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1 모드, 쿨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2 모드 및 콜드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flow line connected to a battery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second flow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third flow line connected to the chiller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fourth flow line connected to the radiator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nd an upper 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flow passage ports, and a low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passage ports are coupled around the same axis of rotation, and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y rotate in the inner space. A first mode, which is an operating mode in a hot condition state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a multi-port valve having a valve body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pair of the upper passage port or the lower passage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or the electric compon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second mode, which is an operating mode, and the third mode, which is an operating mode in a cold condition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포트밸브의 포트 개수를 줄이도록 상부 유로 포트 및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th port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is closed to reduce the number of ports of the multi-port val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분리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mode,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are separated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제3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칠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flow line and the third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chiller operate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fourth flow lin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radi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통합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mod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integrating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are communicated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radi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분리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mode,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are separated to perform temperature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제3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칠러는 작동 정지 상태이며, 상기 폐회로에는 상기 배터리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flow line and the third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chiller operates. It is in a stopped state,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battery is provided in the closed 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fourth flow lin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radi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조 시스템의 증발기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5 유동라인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상기 제5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폐회로를 지나는 냉각수는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fth flow line connected to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s further included, and in the third mode,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second flow line are us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fth flow line is communicated to form a closed circuit, and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losed circuit performs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에는 상기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may further include a pump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llow the cooling water to flow.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3 유동라인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3 유동라인의 양단이 연결된 멀티포트밸브의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s of a multi-port valve to which both ends of the third flow line are connecte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flow line forms a closed circuit in the second mode.

한편,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은, 냉각수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포트부와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포트부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내부 공간에서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을 연통시키는 밸브바디가 형성된 멀티포트밸브; 팽창밸브를 통해 냉매의 출입을 단속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러; 상기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밸브바디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 상기 펌프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nd the low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low path ports are identical. A multi-port valve coupled around a rotating shaft and having a valve body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pair of neighboring upper flow path ports or lower flow path ports according to rotation in an internal space; A chiller that cools the cooling water by regulat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refrigerant through an expansion valve; a pump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the upper flow path port or the lower flow path port;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valve body;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xpansion valve, the pump, and the actu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actu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멀티포트밸브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 정보, 배터리의 온도 또는 전압 정보, 전장부품의 온도 정보 및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multiport valve, temperature or voltage information of the battery, temperature information of electric components, and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carrying 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th port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포트부와 상기 하부 포트부의 일측에 상기 펌프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mp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 and the lower port,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외기 온도 조건에 따라 멀티포트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 방향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유동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적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direction of the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the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vehicle to adjust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ant, the proper temperature of the battery or electric component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외기 온도 조건에 따라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수 유동을 최대화함으로써 냉매 사용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refrigerant can be reduced by maximizing the flow of cooling wat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or an electr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장부품에서 발생된 폐열을 이용하여 차량 내기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using waste heat generated from electric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3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연결 상태를 밸브 기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의 수직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수평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3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operates in a first mod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operates in a second mod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f a vehicle operates in a third mode.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first to third mod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lve symbol.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of the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ortion of a horizontal surface of an upper port portion and a lower port portion is cut a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per port part and the lower port part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first mode.
1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per port part and the lower port part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second mode.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per port and the lower port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third mod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ulti-port valve integ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ulti-port valve, and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the multi-port val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도 관리 시스템은 외기 온도 조건에 따라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구분하여 배터리 또는 전장부품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유체(예를 들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체는 냉각수인 것으로 설명한다. 멀티포트밸브는 이러한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ystem that circulates a fluid (eg, cooling wat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a battery or electric component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by dividing it into a first mode to a third mode according to outside temperature conditions. contains In this specification, the fluid is described as cooling water. A multi-port valve is used to control the flow of cooling water.

제1 모드는 차량의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 보다 높은 상태, 즉 핫 컨디션(Hot Condition) 상태에서 배터리 및 전장부품을 분리하여 온도 제어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제1 온도는 30℃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The firs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battery and electric components are separated and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a preset first temperature, that is, in a hot condition state. Here,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higher than 30 °C.

제2 모드는 차량의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인 상태 즉, 쿨 컨디션(Cool Condition) 상태에서 배터리 및 전장부품을 통합하여 온도 제어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제2 온도는 7℃ ~ 30℃ 범위의 온도일 수 있다.The second mode is a mode for integrating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electric components in a state where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at is, in a cool condition state. Here,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C to 30°C.

제3 모드는 차량의 외기 온도가 기 설정된 제3 온도보다 낮은 상태 즉, 콜드 컨디션(Cold Condition) 상태에서 배터리 및 전장부품을 분리하여 온도 제어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제3 온도는 7℃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The thir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battery and electric components are separated and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in a state where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a preset third temperature, that is, in a cold condition state. Here, the third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lower than 7°C.

제1 내지 제3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온도 제어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 temperature control methods for the first to third modes will be described later.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온도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schematically review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관리 시스템은 제1 유동라인(100), 제2 유동라인(200), 제3 유동라인(150), 제4 유동라인(250) 및 제5 유동라인(45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5 유동라인은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인이다.As shown in FIG. 1, th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ow line 100, a second flow line 200, a third flow line 150, a fourth flow line 250 and a fifth flow line. A flow line 450 is included. The first to fifth flow lines are lines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제1 유동라인(100)은 적정 온도보다 높은 배터리(102)를 냉각시키거나 적정 온도 보다 낮은 배터리를 가열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제1 유동라인(100)의 일단은 배터리(10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멀티포트밸브(500)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유동라인(100)의 일측에는 배터리(102)를 가열시킬 수 있는 웜업(warm-up)히터(103)가 연결된다. 제1 유동라인(100)의 타측에는 제1 유동라인(100)을 따라 냉각수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펌프(105)가 연결된다.The first flow line 100 is a lin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to cool the battery 102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an appropriate temperature or to heat a battery lower than an appropriate temperature. One end of the first flow line 10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0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ulti-port valve 500. In addition, a warm-up heater 103 capable of heating the battery 10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flow line 100 .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low line 100 , a first pump 105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ooling water along the first flow line 100 is connected.

제2 유동라인(200)은 전장부품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여기서 전장부품은 전기차에 사용되는 모든 전기적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전장부품은 발열량이 큰 모터로 가정한다. 제2 유동라인(200)의 일단은 전장부품(20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멀티포트밸브(50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유동라인(200)의 일측에는 제2 유동라인(200)을 따라 냉각수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펌프(205)가 연결된다.The second flow line 200 is a lin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electric components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Here, the electrical component may include all electrical components used in an electric vehicle, but in this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ical component is a motor with a large calorific value. One end of the second flow line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ulti-port valve 500. In addition, a second pump 205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ooling water along the second flow line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low line 200 .

제3 유동라인(150)은 배터리(102)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유체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제3 유동라인(150)의 일단은 칠러(152)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멀티포트밸브(500)에 연결된다. 칠러(152)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이다.The third flow line 150 is a line through which fluid flows to maintain the battery 102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One end of the third flow line 150 is connected to the chiller 1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ultiport valve 500. The chiller 152 is a cooler that cools the fluid by absorbing heat from the refrigerant.

제4 유동라인(250)은 전장부품(202)을 냉각시키기 유체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제4 유동라인(250)의 일단은 제1 라디에이터(254)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멀티포트밸브(500)에 연결된다. 제4 유동라인(250)에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제2 리저버(252)가 연결된다.The fourth flow line 250 is a line through which a fluid for cooling the electric component 202 flows. One end of the fourth flow line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diator 254,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ulti-port valve 500. A second reservoir 252 capable of storing fluid is connected to the fourth flow line 250 .

제5 유동라인(450)의 일단은 증발기(15)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멀티포트밸브(500)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fifth flow line 450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ulti-port valve 5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내기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시스템(30)을 포함한다. 공조 시스템(30)은 냉매라인(10), 난방라인(300) 및 냉방라인(400)과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30 for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3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line 10 , the heating line 300 and the cooling line 400 .

냉매라인(10)은 차량의 공조 시스템(30)에 사용되는 압축기(11), 어큐뮬레이터(12), 응축기(13) 및 증발기(15)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어큐뮬레이터(12)는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냉매라인(10)의 일단은 칠러(152)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응축기(13)와 연결된다. 칠러(152)에는 전자식 팽창밸브(154)가 장착되어 칠러(152)를 통한 냉매의 출입이 단속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line 1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1, accumulator 12, condenser 13, and evaporator 15 used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30 of the vehicle and is a lin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e accumulator 12 may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of the refrigerant. One end of the refrigerant line 10 is connected to the chiller 1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13.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154 is mounted on the chiller 152 so that the entry and exit of the refrigerant through the chiller 152 can be controlled.

난방라인(300)은 공조 시스템(30)과 연결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공조 시스템(30)에서의 냉매 순환 라인과 별도로, 전장부품(202)에서 발생된 폐열을 받은 유체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난방라인(300)의 일측에는 히터(302), 히터코어(303) 및 제2 라디에이터(304)가 연결된다. 난방라인(300)의 타측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펌프(305)가 연결된다.The heating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30, but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in the general air conditioning system 30, and is a line through which fluid receiving wast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ic component 202 flows. A heater 302 , a heater core 303 , and a second radiator 304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ing line 300 .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line 300 is connected to a third pump 305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luid can flow.

냉방라인(400)은 공조 시스템(30)과 연결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공조 시스템(30)에서의 냉매 순환 라인과 별도로, 증발기(15)를 통해 열교환시켜 차량 내기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유체가 유동하는 라인이다. 냉방라인(400)의 일단은 쿨러(306)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증발기(15) 연결된다. 냉방라인(400)에는 유체를 저장하는 제1 리저버(402)가 연결된다.The cooling line 400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30, but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in the general air conditioning system 30, a line through which fluid flows to drop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y exchanging heat through the evaporator 15 am. One end of the cooling line 400 is connected to the cooler 306,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5. A first reservoir 402 for storing fluid is connected to the cooling line 4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멀티포트밸브(500)는 9개의 포트(제1번 포트 내지 제9번 포트)가 형성된다. 도 1에는 멀티밸브포트의 포트 간 연결 상태(사각형 내부의 화살표 기호) 또는 연결 폐쇄 상태(사각형 내부의 'ㅗ', 'ㅜ' 기호)가 밸브 기호로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ort valve 500 is formed with nine ports (first port to ninth port). In FIG. 1,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rts of the multi-valve port (arrow sign inside the square) or the connection closed state ('ㅗ', 'TT' sign inside the square) is shown as a valve symbol.

도 2는 제1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2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제3 모드에서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a first mode,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a second mode, and FIG. 4 illustrates a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in a third mode.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에서의 차량의 온도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vehicl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in the first to third m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우선, 핫 컨디션 상태인 제1 모드에서 배터리의 온도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First, a temperature control process of the battery in the first mode, which is a hot condition state,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배터리(10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유동라인(100)과 제3 유동라인(150)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first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flow line 100 and the third flow line 1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배터리(102)가 가열되면 제1 펌프(105)가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냉각수는 제1 유동라인(1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멀티포트밸브(500)의 제3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1 모드에서 제3번 포트는 제2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2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3 유동라인(150)을 따라 유동하다가 칠러(152)를 거친다. 이때, 칠러(152)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는 냉각된다. 이후, 유체는 제6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1 모드에서 제6번 포트는 제8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8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배터리(102)를 냉각시킨다. 한편, 제1 유동라인(100)에 연결된 웜업히터(103)는 작동 정지 상태이다.Specifically, when the battery 102 is heated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ump 105 is controlled to operate. Then, the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first flow line 100 and enters the third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In the first mode, the third 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the second port flows along the third flow line 1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chiller 152 .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is cooled by the operation of the chiller 152 . Then, the fluid enters the sixth port. In the first mode, the sixth port is connected to the eighth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port 8 cools the battery 102 . Meanwhile, the warm-up heater 103 connected to the first flow line 100 is in an operation stop state.

다음으로, 핫 컨디션 상태인 제1 모드에서 전장부품(모터)의 온도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Next, the temperature control process of the electric component (motor) in the first mode, which is a hot condition state,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전장부품(20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유동라인(200)과 제4 유동라인(250)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500)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 2,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flow line 200 and the fourth flow line 2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202. is opened

구체적으로, 제1 모드에서 전장부품이 가열되면 제2 펌프(205)가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냉각수는 제2 유동라인(2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멀티포트밸브(500)의 제1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1 모드에서 제1번 포트는 제4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4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4 유동라인(250)을 따라 유동하다가 제1 라디에이터(254)를 거친다. 이때, 제1 라디에이터(254)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는 냉각된다. 이후, 유체는 제7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1 모드에서 제7번 포트는 제5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5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전장부품(202)을 냉각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electric component is heated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pump 205 is controlled to operate. Then, the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flow line 200 and enters the first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ort is connected to the fourth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the fourth port flows along the fourth flow line 2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radiator 254 .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is cool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radiator 254 . Then, the fluid enters the seventh port. In the first mode, the seventh port is connected to the fifth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the fifth port cools the electric component 202 .

정리하면, 제1 모드에서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은 분리되어 온도 제어되는데, 배터리(102)는 칠러(152)에 의해 냉각되고 전장부품(202)은 제1 라디에이터(254)에 의한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제1 모드의 핫 컨디션 상태에서 전장부품(202)인 모터는 작동 시 발열량이 크므로 용량이 큰 제1 라디에이터(254)로 냉각시키고, 배터리(102)는 칠러(152)에 의해 분리 냉각시키는 것이다.In summary, in the first mode,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are separated and temperature controlled. The battery 102 is cooled by the chiller 152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is placed in the first radiator 254 cooled by outside air. In the hot condition state of the first mode, since the motor, which is an electric component 202, generates a lot of heat during operation, it is cooled by a first radiator 254 having a large capacity, and the battery 102 is cooled separately by a chiller 152. .

다음으로, 쿨 컨디션 상태인 제2 모드에서 배터리 및 전장부품의 온도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Next, a temperature control process of the battery and electric components in the second mode, which is a cool condition state,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100, 200, 150, 250)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500)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100, 200, 150, and 2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 component 202 to form a closed circuit. The multi-port valve 500 is opened so as to

구체적으로, 제2 모드에서 배터리(102)가 가열되면 제1 펌프(105) 및 제2 펌프(205)가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냉각수는 제1 유동라인(1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멀티포트밸브(500)의 제3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2 모드에서 제3번 포트는 제5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3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2 유동라인(200)을 따라 유동하다가 전장부품(202)을 거쳐 멀티포트밸브(500)의 제1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2 모드에서 제1번 포트는 제4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4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1 라디에이터(254)를 거쳐 냉각된다. 이후, 냉각수는 멀티포트밸브(500)의 제7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2 모드에서 제7번 포트는 제8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8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1 유동라인(1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배터리(102)를 냉각시키고 다시 상술한 순환라인을 돌며 전장부품(202)을 냉각한다. 한편, 제1 유동라인(100)에 연결된 웜업히터(103)는 작동 정지 상태이다.Specifically, when the battery 102 is heated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pump 105 and the second pump 205 are controlled to operate. Then, the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first flow line 100 and enters the third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In the second mode, the third port is connected to the fifth port. The cooling water going out through the third port flows along the second flow line 200 and then enters the first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via the electric component 202 .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port is connected to the fourth port.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ourth port is cooled through the first radiator 254 . Thereafter, the cooling water enters the seventh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In the second mode, the seventh port is connected to the eighth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the eighth port flows along the first flow line 100, cools the battery 102, and cools the electric component 202 while going around the above-mentioned circulation line again. Meanwhile, the warm-up heater 103 connected to the first flow line 100 is in an operation stop state.

정리하면, 제2 모드에서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은 통합되어 온도가 제어된다. 이때,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은 제1 라디에이터(254)에 의해 냉각된다. 제2 모드에서는 제1 모드에서 보다 외기의 온도가 높지 않으므로 냉각의 필요성이 적기 때문이다.In summary, in the second mod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 component 202 are integrated and controlled. At this time,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 component 202 are cooled by the first radiator 254 . This is because the need for cooling is less in the second mode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not higher than in the first mode.

다음으로, 콜드 컨디션 상태인 제3 모드에서 배터리의 온도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Next, a temperature control process of the battery in the third mode, which is a cold condition state, will be described.

콜드 컨디션 상태에서 배터리(102)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열될 필요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는 배터리(10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유동라인(100)과 제3 유동라인(150)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500)가 개방된다.In cold conditions, the battery 102 needs to be heated to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As shown in FIG. 4, in the third mode, the first flow line 100 and the third flow line 1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is opened

구체적으로, 제3 모드에서는 제1 펌프(105)가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냉각수는 제1 유동라인(1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멀티포트밸브(500)의 제3번 포트로 들어간다. 여기서, 제3번 포트는 제2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2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3 유동라인(150)을 따라 유동하다가 제6번 포트로 들어간다. 이때, 칠러(152)는 작동 정지 상태이다. 한편, 제6번 포트는 제8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8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웜업히터(103)를 거쳐 가열된 후 배터리(102)를 가열시킨다.Specifically, in the third mode, the first pump 105 is controlled to operate. Then, the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first flow line 100 and enters the third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Here, the third 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rt. Cooling water going out through the second port flows along the third flow line 150 and then enters the sixth port. At this time, the chiller 152 is in an operation stop state. Meanwhile, the sixth port is connected to the eighth port. The cooling water going out through the eighth port is heated through the warm-up heater 103 and then heats the battery 102 .

다음으로, 콜드 컨디션 상태인 제3 모드에서 전장부품(모터)의 온도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Next, the temperature control process of the electric component (motor) in the third mode, which is a cold condition state,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는 전장부품(20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유동라인(200)과 제4 유동라인(250)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500)가 개방된다.4, in the third mode, the second flow line 200 and the fourth flow line 2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202. ) is opened.

구체적으로, 제3 모드에서 전장부품(202)이 가열되면 제2 펌프(205)가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면 냉각수는 제2 유동라인(200)을 따라 유동하다가 멀티포트밸브(500)의 제1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3 모드에서 제1번 포트는 제9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9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제5 유동라인(450)을 따라 유동하다가 증발기(15)를 거친다. 이때, 전장부품(202)으로부터 폐열을 받은 냉각수는 증발기(15)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다. 이후, 유체는 제5 유동라인(450)을 따라 계속 이동하다가 제7번 포트로 들어간다. 제3 모드에서 제7번 포트는 제5번 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제5번 포트로 나간 냉각수는 전장부품(202)을 냉각시킨다.Specifically, when the electric component 202 is heated in the third mode, the second pump 205 is controlled to operate. Then, the cooling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flow line 200 and enters the first port of the multi-port valve 500. In the third mode, the first port is connected to the ninth port. The cooling water going out through the ninth port flows along the fifth flow line 4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5 .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receiving waste heat from the electric component 202 is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15 . Thereafter, the fluid continues to move along the fifth flow line 450 and enters the seventh port. In the third mode, the seventh port is connected to the fifth port.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of the fifth port cools the electric component 202 .

정리하면, 제3 모드에서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은 분리되어 온도 제어되는데, 배터리(102)는 웜업히터(103)에 의해 가열되고 전장부품(202)은 증발기(15)에 의해 냉각된다. 제3 모드의 콜드 컨디션 상태에서 배터리(102)와 전장부품(202)은 분리되어 온도 제어된다.In summary, in the third mode,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are separated and temperature controlled. The battery 102 is heated by the warm-up heater 103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is heated by the evaporator 15. It cools down. In the cold condition of the third mode,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 component 202 are separated and temperature controll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드에서 제9번 포트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냉각수는 제5 유동라인(450)으로 유동하지 못하므로 전장부품(202)이 냉각되지 않는 않는다. 이러한 제어 과정은 히터펌프가 없는 차량에도 적용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nth port may not be used in the third mode. At this time, since the cooling water does not flow through the fifth flow line 450, the electric component 202 is not cooled. This control process is intended to be applied even to a vehicle without a heater pump.

한편, 펌프(105, 205)는 제1 내지 제5 유동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에 마련될 수 있으며, 펌프(105, 20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Meanwhile, the pumps 105 and 205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ifth flow lines, and the number of pumps 105 and 205 is not limited.

본 발명에서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구분하여 배터리(102) 및 전장부품(202)의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은 냉매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battery 102 and the electric component 202 is performed by dividing into the first mode to the third mode to minimize the use of refrigera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연결 상태를 밸브 기호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first to third mod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lve symbol.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멀티포트밸브의 연결 상태에서는 제2 모드에서 제2번 포트와 제6번 포트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에서 제2번 포트와 제6번 포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제2번 포트와 제6번 포트가 지나가는 냉각수 라인 상에 펌프가 없으므로 냉각수의 유동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더라도 제2 모드에서의 온도 제어 과정이 달라지지 않는다.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multi-port valve shown in FIGS. 1 to 4, the second port and the sixth por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ode. However, as shown in FIG. 5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rt and the sixth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mode. In the second mode, there is no flow of cooling water because there is no pump on the cooling water lin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rt and the sixth port. Therefore, the temperature control process in the second mode does not change e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멀티포트밸브는 총 9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으나, 설계에 따라 멀티포트밸브의 포트 개수를 줄이도록 상부 유로 포트(512) 또는 하부 유로 포트(5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를 폐쇄시켜 8포트 또는 이보다 적은 포트를 갖는 밸브로도 얼마든지 활용이 가능하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ort valve has a total of 9 ports, but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is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ports of the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the design. By closing the above ports, a valve with 8 ports or less ports can be used as much as you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의 수직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수평면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vertical surface of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ut away,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upper 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lower port part is cut.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500)는 상부 포트부, 하부 포트부 및 밸브바디를 포함한다.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는 동일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multi-port valv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ort portion, a lower port portion, and a valve body. The upper port portion and the lower port portion are respectively locat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round the same central axis.

상부 포트부는 상부 하우징(510)과 상부 유로 포트(512)를 포함한다.The upper port por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510 and an upper flow path port 512 .

상부 하우징(51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510)의 상면에는 후술할 회전샤프트(511)의 상단이 삽입될 홀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51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512)가 일정 간격 떨어져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각 상부 유로 포트(512)는 상부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부 유로 포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하우징(510)에 6개의 상부 유로 포트(512a, 512b, 512c, 512d, 512e, 512f)가 형성된다. 중심축에 대해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512a, 512b, 512c, 512d, 512e, 512f) 간 각도는 동일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상부 유로 포트 간 각도는 60°이다. 한편, 중심축 방향과 회전샤프트(511)의 축방향은 일치한다.The upper housing 51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 hole into which an upper end of a rotation shaft 51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 .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510, a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512 are radi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ach upper flow port 512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housing 510 . Although the number of upper flow ports is not limi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upper flow ports 512a, 512b, 512c, 512d, 512e, and 512f ar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510.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upper flow path ports 512a, 512b, 512c, 512d, 512e, and 512f adjacent to the central axis is the sam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upper flow path ports is 60°.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11 coincide.

하부 포트부는 하부 하우징(530)과 하부 유로 포트(532)를 포함한다.The lower 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housing 530 and a lower flow path port 532 .

하부 하우징(53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530)의 하면에는 후술할 회전샤프트(511)의 하단이 삽입될 홀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5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532)가 일정 간격 떨어져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각 하부 유로 포트(532)는 하부 하우징(53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하부 유로 포트(53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530)에 3개의 하부 유로 포트(532a, 532b, 532c)가 형성된다. 중심축에 대해 이웃하는 하부 유로 포트(532a, 532b, 532c) 간 각도는 동일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하부 유로 포트 간 각도는 120°이다.The lower housing 53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530 to insert a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511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530, a plurality of lower flow ports 532 are radi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ach lower flow port 532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housing 530 . The number of lower flow ports 532 is not limited,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lower flow ports 532a, 532b, and 532c ar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530.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lower flow ports 532a, 532b, and 532c adjacent to the central axis is the sam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between the lower flow ports is 120°.

상부 하우징(510)과 하부 하우징(530)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하우징(510)과 하부 하우징(530)의 결합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 오링(538)이 장착된다. 물론, 하우징 오링(538) 이외에 가스켓 등 다양한 실링부재가 기밀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510 and the lower housing 530 may b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Meanwhile, a housing O-ring 538 is mounted at a joint between the upper housing 510 and the lower housing 530 to maintain airtightness.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housing O-ring 538, various sealing members such as gaskets may be used to maintain airtightness.

밸브바디(5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부 하우징(510)과 하부 하우징(530)이 결합될 때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밸브바디(520)의 중심축 방향으로는 회전샤프트(511)가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샤프트(511)의 회전과 함께 밸브바디(520)도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샤프트(511)를 회전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511)와 상부 하우징(510)과의 결합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축오링(528)이 장착된다. 물론, 축오링(528) 이외에 가스켓 등 다양한 실링부재가 기밀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valve body 52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accommodated in its internal space when the upper housing 510 and the lower housing 530 are coupled. A rotation shaft 511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body 520 . Accordingly, the valve body 520 may als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511 . An actuator may be mounted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511 . A shaft O-ring 528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is mounted at a joint between the rotating shaft 511 and the upper housing 510 .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shaft O-ring 528, various sealing members such as gaskets may be used to maintain airtightness.

밸브바디(520)의 상부 둘레면에는 상부 포트 연결구(522)가 형성된다. 상부 포트 연결구(522)는 상부 유로 포트(5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부 포트 연결구(522)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상부 유로 포트(512)와 동일하다. 상부 포트 연결구(522)와 상부 하우징(510) 간 접촉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 밸브 시트(523)가 형성된다. 도 6에는 상부 밸브 시트(523)가 상부 포트 연결구(522)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부 유로 포트(512)의 내측 홀에 형성될 수도 있다.An upper port connector 522 is formed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body 520 . Since the upper port connectors 52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flow path ports 512 ,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upper port connectors 52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upper flow path ports 512 . An upper valve seat 523 is form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port connector 522 and the upper housing 510 to maintain airtightness. Although the upper valve seat 523 is formed in the upper port connector 522 in FIG. 6 , it may be formed in the inner hole of the upper flow port 512 .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포트 연결구(522)는 이웃하는 상부 포트 연결구(522)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부 유로 포트(512a)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부 포트 연결구(522b)와만 연통되어 있고 나머지 상부 포트 연결구(522c, 522d, 522e, 522f)와는 연통되어 있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상부 포트 연결구(522c)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부 포트 연결구(522d)와만 연통되어 있고 나머지 상부 포트 연결구(522a, 522b, 522e, 522f)와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 포트 연결구(522)가 서로 연통된 쌍은 총 3개이며, 상부 유포 포트(512)를 지나는 각각의 냉각수 유로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대칭 형상은 밸브바디(520)가 회전하여도 대칭 방향만 변경될 뿐 유로의 대칭 형상은 유지된다.Referring to FIGS. 8 to 10 , the upper port connector 522 communicates with any one of the neighboring upper port connectors 522 . Specifically, any one upper flow path port 512a communicates only with the other neighboring upper port connector 522b and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other upper port connectors 522c, 522d, 522e, 522f, and The upper port connector 522c communicates only with another neighboring upper port connector 522d and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other upper port connectors 522a, 522b, 522e, and 522f. Therefore, as shown in FIG. 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 total of three pairs of upper port connectors 52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each cooling water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upper distribution port 512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mation can be observed. In this symmetrical shape, only the symmetrical direction is changed even 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and the symmetrical shape of the passage is maintained.

밸브바디(520)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 포트 연결구(52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포트 연결구(525)는 하부 유로 포트(532)와 대응되는 위치에 1개 형성된다. 다만, 하부 포트 연결구(52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하부 포트 연결구(525)와 하부 하우징(530) 간 접촉 부위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하부 밸브 시트(524)가 형성된다. 도 6에는 하부 밸브 시트(524)가 하부 포트 연결구(525)에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 유로 포트(532)의 내측 홀에 형성될 수도 있다.A lower port connector 525 is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52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lower port connector 52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 However, the number of lower port connectors 525 is not limited. A lower valve seat 524 is form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lower port connector 525 and the lower housing 530 to maintain airtightness. Although the lower valve seat 524 is formed in the lower port connector 525 in FIG. 6 , it may be formed in the inner hole of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

밸브바디(520)의 하부 타측에는 가림부(526)가 형성된다. 가림부(526)는 밸브바디(520)의 전체적인 형상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있다. 가림부(526)의 일측면, 즉 하부 하우징(530)을 바라보는 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하부 밸브 시트(527)가 형성된다. 가림부(526)는 회전하면서 하부 유로 포트(532)를 폐쇄한다.A shielding portion 526 is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520 . The shielding portion 526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overall shape of the valve body 520 . A lower valve seat 52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rt 526, that is, a surface facing the lower housing 530, to maintain airtightness. The cover part 526 closes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while rotating.

한편, 상부 포트 연결구(522)와 하부 포트 연결구(525)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바디(520)가 상하부 하우징(510, 530)에 수용되어 결합되면 상하부 하우징(510, 52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 유로 포트(512)와 하부 유로 포트(532)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upper port connector 522 and the lower port connector 52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valve body 520 is received and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510 and 530,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510 and 520.

밸브바디(5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상부 포트 연결구(522)는 상부 유로 포트(512)와 연통되고, 하부 포트 연결구(525)는 하부 유로 포트(532)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밸브바디(520)가 60° 만큼 회전되었을 때 상하부 포트 연결구(522, 525)가 각각 상하부 유로 포트(512, 532) 연통될 수 있다. 이때, 가림부(526)의 가림 영역의 크기는 밸브바디(520)가 회전했을 때 2개의 하부 유로 포트(532)는 서로 연통시키고 나머지 1개의 하부 유로 포트(532)는 폐쇄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바디(520)의 회전각도는 상하부 포트 연결구(522, 525) 및 상하부 유로 포트(512, 532)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at a certain angle, the upper port connector 522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and the lower port connector 525 may communicate with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lve body 520 is rotated by 60°, the upper and lower port connectors 522 and 525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flow passage ports 512 and 53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hielding area of the shielding part 526 can be set so that 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the two lower flow path ports 5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remaining one lower flow path port 532 closes. there is. However, the rotation angle of the valve body 5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ort connectors 522 and 525 and the upper and lower flow ports 512 and 532.

도 11은 제1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제2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제3 모드에서 멀티포트밸브의 상부 포트부와 하부 포트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port portions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first mode, and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port portions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second mode,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upper port and the lower port of the multi-port valve in the third mode.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5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멀티포트밸브(500)의 각 포트 번호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포트 번호와 동일하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ulti-port valv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Here, each port number of the multi-port valve 500 is the same as the port number described in FIGS. 1 to 4 described above.

도 11의 (a)는 제1 모드에서 상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의 (b)는 제1 모드에서 하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멀티포트밸브(500)의 구성에 따라 밸브바디(5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상부 포트부의 제3번 포트와 제2번 포트가 연통되고, 제6번 포트와 제8번 포트가 연통되며, 제7번 포트와 제5번 포트가 연통되는 제1 모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포트부에서는 제1번 포트와 제4번 포트만 연통되며, 제9번 포트는 가림부(526)에 의해 폐쇄된다.Figure 11 (a) shows the state of the upper port portion in the first mode, Figure 11 (b) shows the state of the lower port portion in the first mode. Referring to (a) of FIG. 11, 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at a certain angl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ort valve 500 described above, the third port and the second port of the upper port are communicated. The 6th port and the 8th port are in communication, and the 7th port and the 5th port are in communication. At this time, referring to (b) of FIG. 11 , in the lower port part, only the first port and the fourth port communicate, and the ninth port is closed by the shielding part 526 .

도 12의 (a)는 제2 모드에서 상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의 (b)는 제2 모드에서 하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모드 상태에서 밸브바디(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60° 만큼 회전하면 상부 포트부의 제2번 포트와 제6번 포트가 연통되고, 제7번 포트와 제8번 포트가 연통되며, 제3번 포트와 제5번 포트가 연통되는 제2 모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포트부에서는 제1번 포트와 제4번 포트만 연통되며, 제9번 포트는 가림부(526)에 의해 폐쇄된다.Figure 12 (a) shows the state of the upper port portion in the second mode, Figure 12 (b) shows the state of the lower port portion in the second mode. In the first mode, 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counterclockwise by 60 °, the second port and the sixth port of the upper port are in communication, and the seventh port and the eighth port are in communication. The third mode and the fifth port are connected to the second mode. At this time, referring to (b) of FIG. 12 , in the lower port part, only the first port and the fourth port communicate, and the ninth port is closed by the shielding part 526 .

도 13의 (a)는 제3 모드에서 상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제3 모드에서 하부 포트부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2 모드 상태에서 밸브바디(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60° 만큼 회전하면 상부 포트부의 제3번 포트와 제2번 포트가 연통되고, 제6번 포트와 제8번 포트가 연통되며, 제7번 포트와 제5번 포트가 연통되는 제3 모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포트부에서는 제1번 포트와 제9번 포트만 연통되며, 제4번 포트는 가림부(526)에 의해 폐쇄된다.Figure 13 (a) shows the state of the upper port in the third mode, Figure 13 (b) shows the state of the lower port in the third mod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valve body 520 rotates counterclockwise by 60°, the third port and the second port of the upper port are communicated, and the sixth port and the eighth port are communicated. The 3rd mode state in which the 7th port and the 5th port are in communication. At this time, referring to (b) of FIG. 13 , in the lower port part, only the first port and the ninth port communicate, and the fourth port is closed by the shielding part 526 .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5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의 밸브 제어 과정을 만족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multiport valv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valve control process in the first to third modes shown in FIGS. 1 to 4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은, 칠러(152), 멀티포트밸브(500), 액츄에이터(540), 제1 펌프(105) 및 제2 펌프(205) 및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14 and 15, the multi-port valve integ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iller 152, a multi-port valve 500, an actuator 540, a first pump 105, and a second It includes a pump 205 and an integrated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에서 각 구성 및 그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멀티포트밸브 통합 모듈은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에서 배터리(102) 또는 전장부품(202)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통합된 모듈로 조립되어 구성된다.In the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and its function are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ort valve integrated module is assembled into one integrated modu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or electric component 202 in the first to third modes.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포트밸브(500)의 상부 하우징(510)에는 6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펌프(105)가 장착된다. 멀티포트밸브(500)의 하부 하우징(530)에는 3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2 펌프(205)가 장착된다. 상하부 하우징(510, 530)은 볼트, 용접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하우징(510, 530) 내부에는 밸브바디(520)가 수용된다. 멀티포트밸브(500)의 일측에는 냉각기인 칠러(152)가 장착되고, 그 타측에는 회전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540)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칠러(152)는 팽창밸브(154)(도 1 내지 도 4 참조)의 냉매 출입 단속 제어를 통해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4 and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upper flow ports ar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510 of the multi-port valve 500, and the first pump 105 is formed on one side. is fitted Three lower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530 of the multi-port valve 500, and the second pump 205 is mounted on one side.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510 and 5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various means such as bolts and welding.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body 52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510 and 530 . A chiller 152, which is a cool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ulti-port valve 500, and an actuator 540 for driving a rotating shaft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the chiller 152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heat with the cooling water through control of the refrigerant entry and exit of the expansion valve 154 (see FIGS. 1 to 4).

통합 제어부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모드에서 배터리(102) 또는 전장부품(202)의 온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팽창밸브(154), 펌프(105, 205) 및 액츄에이터(540)를 통합하여 제어한다. 이때, 통합 제어부는 제어를 위해 멀티포트밸브, 배터리(102), 전장부품(202), 차량 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합 제어부는 액츄에이터(540)에 마련되나, 별도의 제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integrates and controls the expansion valve 154, the pumps 105 and 205, and the actuator 540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02 or the electric component 202 in the first to third modes described above. do. At this time,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nalyzes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multi-port valve, the battery 102, the electrical component 202, and the vehicle for contro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actuator 540, but it can be configured as a separate control device, of cours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포트밸브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 multi-port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유로 포트(512)에는 온도센서(55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온도센서(550)의 끝단은 상부 유로 포트(512)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가 측정되도록 유로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6 , a temperature sensor 550 is mounted on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 At this time, the tip of the temperature sensor 55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flow path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

한편, 온도센서(550)는 상부 유로 포트(512) 및/또는 하부 유로 포트(53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멀티포트밸브 상에서 온도센서(550)의 장착 위치 및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mperature sensor 55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flow path port 512 and/or the lower flow path port 532, and the mounting position and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550 on the multi-port valv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It can b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멀티포트밸브(500)는 총 9개의 포트로 구성되나,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ort valve 500 is composed of a total of 9 ports, but the number of upper flow path ports or lower flow port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desig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be able to.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 냉매라인 11 : 압축기
13 : 응축기 15 : 증발기
17 : 팽창밸브 30 : 공조 시스템
100 : 제1 유동라인 102 : 배터리
103 : 웜업히터 105 : 제1 펌프
150 : 제3 유동라인 152 : 칠러
154 : 팽창밸브 200 : 제2 유동라인
202 : 배터리 205 : 제2 펌프
250 : 제4 유동라인 252 : 제2 리저버
254 : 제1 라디에이터 300 : 난방라인
302 : 히터 303 : 히터코어
304 : 제2 라디에이터 305 : 제3 펌프
306 : 쿨러 400 : 냉방라인
450 : 제5 유동라인 500 : 멀티포트밸브
510 : 상부 하우징 511 : 회전샤프트
512 : 상부 유로 포트 520 : 밸브바디
522 : 상부 포트 연결구 523 : 상부 밸브 시트
524 : 제1 하부밸브시트 525 : 하부 포트 연결구
526 : 가림부 527 : 제2 하부밸브시트
528 : 축오링 530 : 하부 하우징
532 : 하부 유로 포트 538 : 하우징 오링
540 : 액츄에이터 550 : 온도센서
10: refrigerant line 11: compressor
13: condenser 15: evaporator
17: expansion valve 30: air conditioning system
100: first flow line 102: battery
103: warm-up heater 105: first pump
150: third flow line 152: chiller
154: expansion valve 200: second flow line
202: battery 205: second pump
250: 4th flow line 252: 2nd reservoir
254: first radiator 300: heating line
302: heater 303: heater core
304: second radiator 305: third pump
306: cooler 400: cooling line
450: fifth flow line 500: multiport valve
510: upper housing 511: rotating shaft
512: upper flow port 520: valve body
522: upper port connector 523: upper valve seat
524: first lower valve seat 525: lower port connector
526: cover part 527: second lower valve seat
528: shaft O-ring 530: lower housing
532: lower flow port 538: housing O-ring
540: actuator 550: temperature sensor

Claims (28)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포트부;
상기 상부 포트부와 동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부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포트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유로 포트 및 하부 유로 포트와 연통되는 상하부 연결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n upper port portion having an upper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flow ports are formed;
a lower port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about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upper port portion and having a lower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lower flow passage ports; and
A valve body rotatably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bout the central axis, and hav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flow passage ports,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body, at least one pair of neighboring upper flow path ports or lower flow path ports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Multiport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트 밸브.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or lower flow path po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radi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ort val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를 지나는 각각의 유로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밸브바디의 회전에 따라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wer flow path ports is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b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유로 포트와 대응되는 상부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구와 이웃하는 어느 하나의 상부 연결구는 서로 연통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ow path po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valve body, and a flow path is formed so that the upper connector and one of the neighboring upper connecto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구에는 상부밸브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valve seat is mounted on the upper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하부 유로 포트 이외의 나머지 하부 유로 포트를 차단하도록 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shielding por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alve body to block the remaining lower flow ports other than the lower flow port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맞닿는 상기 가림부의 일면에는 하부밸브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7,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valve sea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ver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결합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member is mount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oupl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회전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결합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and a sealing member is mounted at a joint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upper housing.
배터리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유동라인;
전장부품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 유동라인;
칠러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3 유동라인;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4 유동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과 연결되고,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포트부와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포트부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내부 공간에서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을 연통시키는 밸브바디가 형성된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하고,
차량의 외기 온도에 따라 핫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1 모드, 쿨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2 모드 및 콜드 컨디션 상태에서의 작동 모드인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 first flow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second flow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third flow line connected to the chiller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 fourth flow line connected to the radiator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nd
An upper 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flow ports, and a low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low ports are coupled around the same axis of rotation, and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y rotate in the internal space. A multi-port valve having a valve body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pair of the flow path port or the lower flow path port; includes,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of the vehicle, the battery is selected according to any one of a first mode in a hot condition state, a second mode in a cool condition state, and a third mode in a cold condition state. 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is controlle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port val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트밸브의 포트 개수를 줄이도록 상부 유로 포트 및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트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pper flow path port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are closed to reduce the number of ports of the multi-port val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분리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first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separating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제3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칠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first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flow line and the third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chiller is operate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first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fourth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radiator is operate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통합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econd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integrating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econd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are communicated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radiator is operate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장부품이 분리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third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by separating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compon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라인과 제3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칠러는 작동 정지 상태이며, 상기 폐회로에는 상기 배터리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third mode, a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first flow line and the third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the chiller is in an operation stop state, and the battery in the closed circuit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heater is provided for heat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제4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third mode, the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fourth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radiator is operated.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의 증발기와 연결되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5 유동라인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전장부품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유동라인과 상기 제5 유동라인이 연통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멀티포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폐회로를 지나는 냉각수는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A fifth flow lin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flows is further included,
In the third mode, a multi-port valve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flow line and the fifth flow line communicate to form a closed circu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mponent, and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closed circuit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유동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라인에는 상기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A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flow lines further includes a pump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3 유동라인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3 유동라인의 양단이 연결된 멀티포트밸브의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이용한 온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n the second mode, th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s of the multi-port valve to which both ends of the third flow line are connecte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flow line forms a closed circuit.
냉각수가 유동되는 다수개의 상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상부 포트부와 다수개의 하부 유로 포트가 형성된 하부 포트부가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내부 공간에서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을 연통시키는 밸브바디가 형성된 멀티포트밸브;
팽창밸브를 통해 냉매의 출입을 단속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러;
상기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밸브바디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팽창밸브, 상기 펌프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An upp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flow path ports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and a lower por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low path ports are coupled around the same axis of rot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upper flow path port or lower flow path port is rotated in the inner space. A multi-port valve having a valve body communicating with any one pair;
A chiller that cools the cooling water by regulat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refrigerant through an expansion valve;
a pump provid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the upper flow path port or the lower flow path port;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valve body; and
An integrat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valve, the pump, and the actuator;
Integrated module including multi-port valves.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integrated control unit is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actuator.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멀티포트밸브를 지나는 냉각수의 온도 정보, 배터리의 온도 또는 전압 정보, 전장부품의 온도 정보 및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integrated control unit analyz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lant passing through the multi-port valve, temperature or voltage information of the battery, temperature information of electric components, and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to perform control. Integrated module including port valv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로 포트 또는 하부 유로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25. The method of claim 24,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th port and the lower flow path port.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부와 상기 하부 포트부의 일측에 상기 펌프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포트밸브를 포함한 통합 모듈.
25. The method of claim 24,
An integrated module including a multi-port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mp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 and the lower port, respectively.
KR1020220151881A 2021-11-16 2022-11-14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KR202300717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948 WO2023090803A1 (en) 2021-11-16 2022-11-15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port valve, and integrated module comprising multiport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619 2021-11-16
KR1020210157619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746A true KR20230071746A (en) 2023-05-23

Family

ID=822048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881A KR20230071746A (en) 2021-11-16 2022-11-14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KR1020220152785A KR20230071751A (en) 2021-11-16 2022-11-15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785A KR20230071751A (en) 2021-11-16 2022-11-15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30071746A (en)
CN (1) CN216903102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104A (en) * 2022-08-02 2024-02-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lu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903102U (en) 2022-07-05
KR20230071751A (en)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528B2 (en) Six-way valve and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76255B1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Valve For Vehicle
US20120085512A1 (en) Vehicle cooling system
KR102299299B1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Valve For Vehicle
CN113276628A (en) Thermal management integrated unit,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KR20200038608A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230071746A (en) Multi-port valve, temperatur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ntegrate modiule comprisinig the same
KR102299300B1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Valve For Vehicle
CN115139751B (en) Heat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and electric automobile
US20240034122A1 (en) Valve set integrated modu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US20200335838A1 (en) Device for cooling a battery
CN110645379B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and distribution of a fluid in a fluid circulation circuit and uses thereof
CN109398026B (en) Electric automobil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thereof
CN113883747B (en) Refrigerant heat exchange device and indirect heat pump system
KR102290361B1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circuit for vehicle
JP6520832B2 (en) Switch valve
US20240025226A1 (en) Valve manifold integration module for thermal management system,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US20240025227A1 (en) Valve set integrated modu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WO2023024604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151440A1 (en) Multi-Way Coolant Valve and Heat Pump System Having the Same
CN220980393U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energy storage system, vehicle and multi-way valve
CN217463314U (en) Four-way valve and cooling system thereof
CN217705427U (en) Passenger car heat management controller, heat management system and passenger car
KR20230170164A (en) Refrigerant valve
KR20240065688A (en) Multi-way coolant valve and heat pump system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