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252A -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 Google Patents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252A
KR20230071252A KR1020210157236A KR20210157236A KR20230071252A KR 20230071252 A KR20230071252 A KR 20230071252A KR 1020210157236 A KR1020210157236 A KR 1020210157236A KR 20210157236 A KR20210157236 A KR 20210157236A KR 20230071252 A KR20230071252 A KR 2023007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ooktop
exhaust
exhaust passage
bod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356B1 (en
Inventor
이준섭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21015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356B1/en
Publication of KR2023007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2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관한 것이다. 상부 배기 구조물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and a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The upper exhaust structure includes a cooktop body that has an exhaust passage that penetrates vertically and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nd a sink that sucks pollutant gase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from the top through the exhaust passage and discharges it downward. A body tube that is used in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including a hood disposed inside, has an internal space, has an outlet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portion around the outle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position-adjustable; It includes suction por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pipe to suck in polluted gas.

Description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본 발명은 조리시에 발생하는 오염 기체를 상방에서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후드가 적용된 쿡탑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top equipped with a hood that sucks pollutant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the top and discharges it from the bottom.

쿡탑이란 캐비닛형 레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과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이 있다. 주방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 연기 및 냄새 등의 오염 기체를 흡입하여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배치되고, 내부 팬에 의해 흡기구로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A cooktop refers to a cabinet-type range, and includes an electric cooktop using electricity and a gas cooktop using gas. In the kitchen, a hoo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inhalation of pollutant gases such as steam, smoke, an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diffusion into the room. In general, the hood is disposed above the cooktop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ollutant gases can be sucked in through an intake vent by an internal fan and discharged to the outdoors.

그런데,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기체는 상방의 후드에 모두 흡입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후드의 흡기구는 쿡탑의 상방에 일정 거리를 두어 위치되기 때문에, 실제로 오염 기체 중 일부는 후드로 흡입되지 않고 후드와 쿡탑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해 실내로 확산된다. 다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쿡탑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게다가, 쿡탑의 상방에 배치되는 후드는 많은 설치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By the way, it is ideal that polluted gase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re all sucked into the upper hood, but since the intake vents of the hood ar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above the cooktop, some of the polluted gases are not actually sucked into the hood and It diffuses into the room through the open space between the cooktops. In the case of a cooktop in which a plurality of cooking zones are formed, this phenomenon may be further intensified. In addition, the hood disposed above the cooktop not only requires a lot of installation spac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857호(2018.05.24, 공개)Publication No. 10-2018-0053857 (published on May 24, 2018)

본 발명의 과제는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및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and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apable of increasing exhaust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diffusion of pollutants indoors.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top body having exhaust passages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installation hole of a sink, and contamination generated during cooking using the cooktop body Adopted in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including a hood disposed in a sink so that gas is sucked in from the top through the exhaust passage and discharged downward. It includes a body tube fitted to be position-adjus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le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to suck pollutant gas into the body tube.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ktop integrated with a down-mounted hood includes a cooktop body having an exhaust passage that penetrates vertically and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hole on the upper plate of a sink, and pollutant gases generated during a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are sucked in from the upper direction through the exhaust passage to discharge downward It includes a hood disposed in the sink to discharge into the sink.

여기서, 후드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배기 통로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배기 구조물과,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한다.Here, the hood consists of an upper exhaust structu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a hood filter filtering out pollutants in the polluted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passage, and receiving the hood filter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generating air from the polluted gas. A drain box containing condensate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 hood body coupled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exhaust passage and accommodating the drain box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discharging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box through an exhaust port, and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hood body and a hood duct that receives the gas being transferred, and a suction fan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in the hood duct to suck in and discharge the gas in the hood duct.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은 쿡탑 본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 사용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흡입구들을 통해 조리용기의 상측에 대응되게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 통로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upper exhaus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roaches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hrough suction hole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when cooking vessels of various heights are used while mounted on the cooktop body, so that contaminated air or polluted gases such as water vapor in the rising air flow is effectively absorbed and transferred to the exhaust passage, thereby improving exhaust performance.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 내의 후드에 의해 쿡탑 본체의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은 싱크장의 위치, 높이, 구조 등 다양한 조건과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e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ed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is sucked in from the top through the exhaust passage of the cooktop body by the hood in the sink and discharged downward, thereby minimizing the diffusion of polluted gas into the room. Thus, the exhaus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it can be installed with good aesthetics. In addition, the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uitably fo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location, height, and structure of the sink and the situation at the installation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 배기 구조물이 쿡탑 본체에 배치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몸체관에 연장관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한 조립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대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ink.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shown in FIG. 1 .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od filter is accommodated in a drain box.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box is accommodated in the hood body.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in which an upper exhaust structure is disposed in a cooktop body.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7 .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7;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upper inlet is adjusted in FIG. 7 .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extension tube is connected to a body tube.
FIG. 12 is an assembly view of FIG. 11 .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exhaus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upper inlet is adjusted in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exhaus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15;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5 .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이 싱크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후드 필터가 드레인 박스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드레인 박스가 후드 몸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ink.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shown in FIG. 1 .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od filter is accommodated in a drain box.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box is accommodated in the hood body.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은 쿡탑 본체(100)와, 후드(200)를 포함한다.1 to 6 , a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top body 100 and a hood 200.

쿡탑 본체(100)는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110)를 갖고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설치된다. 쿡탑 본체(100)는 화구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쿡탑 본체(100)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쿡탑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쿡탑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oktop body 100 has an exhaust passage 110 that penetrates vertically and is installed in the top plate installation hole 11 of the sink 10. The cooktop body 100 is configured to apply heat to a cooking container seated on a cooking zone. The cooktop main body 100 is exemplified as being composed of an electric cooktop using electricity, but may also be composed of a gas cooktop using gas.

쿡탑 본체(100)는 싱크장(10)의 상판 설치홀(11)에 끼워져 상측 플랜지가 상판 설치홀(11)의 상측 주변을 따라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쿡탑 본체(100)는 하부가 상판 설치홀(11)을 통해 싱크장(10) 내로 노출됨으로써, 배기 통로(110)를 싱크장(10) 내로 노출시킬 수 있다.The cooktop body 10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lange is seat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top plate installation hole 11 by being inserted into the top plate installation hole 11 of the sink 10 . The lower part of the cooktop body 100 is exposed into the sink 10 through the upper plate installation hole 11, so that the exhaust passage 110 can be exposed into the sink 10.

쿡탑 본체(100)가 좌,우측에 2개씩 화구(120)들을 갖는 경우, 배기 통로(110)는 좌측 화구와 우측 화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 통로(110)는 상,하측 배기 통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상판에 형성된다. 상측 배기 통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배기 통로는 쿡탑 본체(100)의 하측 몸체에 상측 배기 통로와 통하게 사각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cooktop body 100 has two cooktops 12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exhaust passage 1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left cooktop and the right cooktop. The exhaust passage 110 may include upper and lower exhaust passages. The upper exhaust passag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cooktop body 100 . The upper exhaust passage may have a circular shape. The lower exhaust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hole in the lower body of the cooktop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exhaust passage.

이러한 배기 통로(110)는 쿡탑 본체(100)의 비유효 영역을 활용하여 좌,우측 화구(120)들 모두에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화구(120)들 주변으로부터 발생된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상방으로부터 유입시켜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통로(110)는 드레인 박스(230)가 상하로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드레인 박스(230)가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관리될 수 있게 한다.The exhaust passage 110 is located close to both the left and right cooking zones 120 by utilizing the ineffective area of the cooktop body 100, so that pollutant gas generated from the vicinity of the cooking zones 120 is effectively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It can be discharged downwards. In addition, the exhaust passage 110 is formed so that the drain box 230 can move in and out vertically, so that the drain box 230 can be periodically cleaned and managed.

후드(200)는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10) 내에 배치된다. 후드(200)는 상부 배기 구조물(210)과, 후드 필터(220)와,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와, 후드 덕트(250), 및 흡입 팬(260)을 포함한다.The hood 200 is disposed within the sink 10 to suck pollutant gase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100 from above through the exhaust passage 110 and discharge them downward. The hood 200 includes an upper exhaust structure 210, a hood filter 220, a drain box 230, a hood body 240, a hood duct 250, and a suction fan 260.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부 배기 구조물(21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will be described later.

후드 필터(220)는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낸다. 후드 필터(220)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유증기를 흡착해서 제거할 수 있다. 후드 필터(220)는 사각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od filter 220 filters out contaminants in the polluted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passage 110 . The hood filter 220 may adsorb and remove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 hood filter 2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eet shape.

드레인 박스(230)는 상측 개구를 통해 후드 필터(220)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육면체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후드 필터(220)를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한 상태로 수용함으로써, 후드 필터(220)를 사이에 두고 기체 유입 공간(230a)과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drain box 230 accommodates the hood filter 220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contains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polluted gas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The drain box 230 may have a hexahedral appearance. The drain box 230 accommodates the hood filter 220 while being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hood filter 220 may be divided into a gas inflow space 230a and a gas discharge space 230b with the hood filter 220 interposed therebetween. .

따라서, 배기 통로(110)로 유입된 오염 기체는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유입되어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된 후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배출 공간(230b)으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전후 내면이 후드 필터(220)의 전후 부위를 밀착시킨 상태로 내부의 경사 리브(231)로 후드 필터(220)를 경사지게 지지하며, 내부 바닥의 끼움 홈(232)에 후드 필터(220)의 하측 부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lluted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passage 110 flows into the gas inlet space 230a of the drain box 230, passes through the hood filter 220, and is purified, and then discharges into the gas outlet space 230b of the drain box 230. can be emitted as The drain box 230 supports the hood filter 220 inclinedly with an internal inclined rib 231 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hood filter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od filter 220 is attached to the fitting groove 232 on the inner bottom.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220 may be inserted and fixed.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을 형성하는 측면에 배기구(233)를 갖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배출 공간(230b)의 바닥에 후드 필터(220)를 거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다. 드레인 박스(230)는 격벽(234)들에 의해 기체 배출 공간(230)의 내부 바닥을 구획해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을 수 있다.The drain box 230 has an exhaust port 233 on a side forming a gas discharge space 230b. The drain box 230 contains condens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od filter 220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t the bottom of the gas discharge space 230b. The drain box 230 may contain condensed water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by partitioning the inner bottom of the gas discharge space 230 by partition walls 234 .

드레인 박스(230)는 기체 유입 공간(230a)을 형성하는 전,후면의 상측에 홀(235)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이 홀(235)들은 배기 통로(110)로부터 드레인 박스(230)와 후드 몸체(240)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온 오염 기체를 통과시켜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보낼 수 있게 한다.The drain box 230 may have a hole 235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orming the gas introduction space 230a, respectively. These holes 235 pass the polluted gas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drain box 230 and the hood body 240 from the exhaust passage 110 and send it to the gas inlet space 230a of the drain box 230. do.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드레인 박스(230)를 수용하고 드레인 박스(230)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241)를 통해 배출한다. 후드 몸체(240)는 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41)를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 박스(230)는 해당 배기구(233)가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와 통하게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에 수용될 수 있다.The hood body 240 accommodates the drain box 230 through the upper open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exhaust passage 110 and discharges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box 230 through the exhaust port 241 . The hood body 240 may have an exhaust port 241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drain box 2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od body 240 so that the corresponding exhaust port 233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port 241 of the hood body 240 .

후드 몸체(240)는 좌,우측 내면과 내부 바닥이 드레인 박스(230)의 좌,우측 외면과 외부 바닥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전,후측 내면으로부터 지지 리브(242)들이 돌출되어 드레인 박스(230)의 전,후측 외면을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드 몸체(240)는 드레인 박스(23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배기 통로(110)로부터 흘러오는 오염 기체를 드레인 박스(230)의 기체 유입 공간(230a)으로 모두 유입시켜 후드 필터(220)를 거쳐 정화될 수 있게 한다.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hood body 240 and the inner bottom adhere to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and the outer bottom of the drain box 230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the support ribs 242 protrude from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drain box 230. The front and rear outer surfaces of (230) can be spaced apart and supported. Thus, the hood body 240 facilitates entry and exit of the drain box 230 and allows all polluted gas flowing from the exhaust passage 110 to flow into the gas inlet space 230a of the drain box 230 so as to It is allowed to be purified through the filter 220.

쿡탑 본체(100)와 후드 몸체(240)의 결합 부위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oktop body 100 and the hood body 24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even when the exhaust outlet 241 of the hood body 240 is selected and position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후드 몸체(240)는 배기 통로(110)의 하측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측 결합편(243)을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은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상측 결합편(243)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쿡탑 본체(100)의 결합부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The hood body 240 may include an upper coupling piece 243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oktop body 100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eriphery of the exhaust passage 110 . The upper coupling piece 243 of the hood body 240 may be bolt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oktop body 100 . The bolting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coupling piece 243 of the hood body 240 may also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front and rear, and the bolting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cooktop body 1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front and rear.

따라서, 싱크장(10)의 위치, 높이, 구조 등의 조건에 따라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후드 몸체(240)가 쿡탑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후드 덕트(250)를 편리하게 위치 변경해서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exhaust port 241 of the hood body 240 is selected and position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position, height, and structure of the sink 10, the hood body 240 is ), the hood duct 250 can be conveniently changed and installed.

후드 덕트(250)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다. 후드 덕트(250)는 흡기 단이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에 연결되고 배기 단이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에 연결되어, 후드 몸체(240)와 흡입 팬(260) 사이에 기체 통로를 제공한다.The hood duct 250 receives the ga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241 of the hood body 240 . The hood duct 250 has an intak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41 of the hood body 240 and an exhaust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261a of the suction fan 260, so that the hood body 240 and the intake fan 260 A gas passage is provided between them.

일 예로, 후드 덕트(250)는 수평 곡관 덕트(251)와,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와, 직관 덕트(253)와,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 및 팬 연결 덕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od duct 250 includes a horizontal bend duct 251, an upper vertical bend duct 252, a straight pipe duct 253, a lower vertical bend duct 254, and a fan connection duct 255. can do.

수평 곡관 덕트(251)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수평 곡관 덕트(251)는 출구가 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측방으로 위치되어 후드 몸체(240)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의 배기구(241)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has a curved shape such that an inlet and an outlet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may be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241 o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body 240 with the inlet located at the side with the outlet located at the rear. The inlet flange 251a of 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may be connected to the exhaust flange 241a of the hood body 240 in a male and female fitting method.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곡관 덕트(251)는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241)가 좌우 위치 변경되더라도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 후드 몸체(240)와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몸체(240)의 배기구 플랜지(241a)와 수평 곡관 덕트(251)의 입구 플랜지(251a)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다.The exhaust flange 241a of the hood body 240 and the inlet flange 251a of 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may be connected in a rectangular shape. Accordingly, 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and connected to the hood body 240 even if the position of the exhaust port 241 of the hood body 240 is changed left and right. The exhaust flange 241a of the hood body 240 and the inlet flange 251a of the horizontal bend pipe duct 251 may be connected in a circular shape.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전방으로 위치되어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측 곡관 덕트(252)의 입구 플랜지는 수평 곡관 덕트(251)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vertical bend duct 252 has a curved shape such that an inlet and an outlet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upper vertical bend duct 25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horizontal bend duct 251 with the inlet positioned forward while the outlet is positioned downward. The inlet flange of the upper bend duct 252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flange of the horizontal bend duct 251 in a male and female fitting method.

직관 덕트(253)는 입구와 출구가 180도로 이루게 직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직관 덕트(253)는 출구가 하방으로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에 위치되어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직관 덕트(253)의 입구 플랜지는 상측 수직 곡관 덕트(252)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traight pipe duct 253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e straight pipe duct 253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upper vertical bend pipe duct 252 by having an inlet located in an upper direction with an outlet locat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inlet flange of the straight pipe duct 253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flange of the upper vertical bend duct 252 in a male and female fitting method.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이다.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는 출구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상방으로 위치되어 직관 덕트(253)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하측 곡관 덕트(254)의 입구 플랜지는 직관 덕트(253)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vertical bend duct 254 has a curved shape such that an inlet and an outlet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lower vertical bend duct 254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traight pipe duct 253 by having an inlet located upward with an outlet located in the front. The inlet flange of the lower bend duct 254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flange of the straight pipe duct 253 in a male and female fitting method.

팬 연결 덕트(255)는 입구와 출구가 90도를 이루게 곡선으로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로 입구가 후방으로 위치되어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의 입구 플랜지는 하측 수직 곡관 덕트(254)의 출구 플랜지와 암수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an connection duct 255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that an inlet and an outlet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fan connection duct 255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lower vertical bend duct 254 by having an inlet located at the rear side with an outlet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 inlet flange of the fan connection duct 255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flange of the lower vertical bend duct 254 in a male and female fitting method.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가 흡입 팬(260)의 흡기구(261a)와 연결된다. 팬 연결 덕트(255)의 출구 플랜지(255a)는 흡입 팬(260)의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를 감싸서 끼우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연결 덕트(255)는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결합편(255b)이 연장되고, 결합편(255b)이 팬 하우징(261)의 흡기구 플랜지(261b) 주변의 결합부(261c)에 볼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outlet of the fan connection duct 255 is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261a of the intake fan 260 . The outlet flange 255a of the fan connection duct 255 may be formed by wrapping around the intake flange 261b of the fan housing 261 of the suction fan 260. In the fan connection duct 255, a coupling piece 255b extends from the outlet flange 255a, and the coupling piece 255b is bolted to the coupling portion 261c around the inlet flange 261b of the fan housing 261. It can be.

전술한 구성을 갖는 후드 덕트(250)는 싱크장(10) 내에서 후방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싱크장(10)의 내부 공간 활용을 좋게 할 수 있다.Since the hood duct 25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disposed and install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rear within the sink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ink 10.

흡입 팬(260)은 후드 덕트(250)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후드 덕트(250)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한다. 흡입 팬(260)은 싱크장(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싱크장(10)의 바닥판 개구를 통해 팬 연결 덕트(255)와 결합될 수 있다. 흡입 팬(260)은 팬 하우징(261)과, 임펠러(262), 및 회전 모터(263)를 포함한다.The suction fan 260 generates a suction force in the hood duct 250 to suck in and discharge gas in the hood duct 250 . The suction fan 260 may be disposed below the sink 10 and coupled to the fan connection duct 255 through an opening in the bottom plate of the sink 10 . The suction fan 260 includes a fan housing 261, an impeller 262, and a rotation motor 263.

팬 하우징(261)은 상면에 흡기구(261a)를 갖고,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에 배기구(261d)를 가질 수 있다. 임펠러(262)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팬 하우징(261)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모터(263)는 임펠러(262)의 하측에서 몸체가 팬 하우징(261)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임펠러(262)의 회전 중심에 고정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임펠러(262)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fan housing 261 may have an intake port 261a on an upper surface and an exhaust port 261d on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The impeller 262 may be disposed on the fan housing 261 so as to rotate about a vertical axis. The rotary motor 263 has a body fixed to the fan housing 261 at the lower side of the impeller 262, and a driving shaft fixed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mpeller 262 to rotate the impeller 262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haft.

팬 하우징(261)과 후드 덕트(250)의 연결 부위는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가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되어 위치되더라도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an housing 261 and the hood duct 250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mutually connected even when the exhaust port 261d of the fan housing 261 is selected and positioned on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

팬 하우징(261)은 정사각형 흡기구 플랜지(261b)의 주변에 결합부(261c)를 구비할 수 있다. 후드 덕트(250)의 팬 연결 덕트(255)는 정사각형 출구 플랜지(255a)로부터 연장된 결합편(255b)을 구비할 수 있다.The fan housing 261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261c around the square inlet flange 261b. The fan connection duct 255 of the hood duct 250 may have a coupling piece 255b extending from the square outlet flange 255a.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와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은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팬 하우징(261)의 결합부(261c)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은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되고, 팬 연결 덕트(255)의 결합편(255b)에 형성된 볼팅 결합홀들도 전후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261c of the fan housing 261 and the coupling piece 255b of the fan connection duct 255 may be bolted together. The bolting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261c of the fan housing 261 are arranged symmetrically in front and rear, and the bolting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coupling piece 255b of the fan connection duct 255 can also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front and rear. there is.

따라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이 설치되는 현장의 외부 배기구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팬 하우징(261)의 배기구(261d) 방향을 전,후,좌,우면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흡입 팬(260)을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where the external exhaust outlet is located at the site where the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1000 is installed, the direction of the exhaust port 261d of the fan housing 261 is selected to be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fan ( 260) can be installed.

전술한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1000)에 의하면, 쿡탑 본체(100)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싱크장(10) 내의 후드(200)에 의해 쿡탑 본체(100)의 배기 통로(110)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므로, 오염 기체의 실내 확산을 최소화해서 배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1000 described above, pollutant gase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100 ar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assage 110 of the cooktop body 100 by the hood 200 in the sink 10. Since it is sucked in from the top and discharged from the bottom through the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haust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diffusion of the polluted gas into the room, and it can be installed with good aesthetics.

도 7은 상부 배기 구조물이 쿡탑 본체에 배치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in which an upper exhaust structure is disposed in a cooktop body.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7 .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7;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upper inlet is adjusted in FIG. 7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몸체관(211)과, 흡입구(216)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to 10 , an upper exhaust structure 210 according to an example includes a body pipe 211 and intake ports 216 .

몸체관(211)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211a)가 형성되며, 배출구(211a)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흡입구(216)들은 몸체관(211)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한다.The body pipe 211 has an inner space and has an outlet 211a formed thereon, and a portion around the outlet 211a is fit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so as to be position-adjus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tion holes 216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body pipe 211 to suck polluted gas.

이러한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쿡탑 본체(100)에 탑재된 상태에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20) 사용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흡입구(216)들을 통해 조리용기(20)의 상측에 대응되게 근접시켜, 상승 기류의 오염 공기나 수증기와 같은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 통로(110)로 전달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approaches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20 correspondingly through suction ports 216 formed at different heights when cooking vessels 20 of various heights are used while mounted on the cooktop body 100. , It is possible to improve exhaust performance by effectively sucking polluted air or pollutant gases such as water vapor in an upward airflow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exhaust passage 110 .

몸체관(211)은 하측 몸체관(212)과, 상측 몸체관(2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몸체관(212)은 배출구(211a)를 형성하는 하측 개구 주변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부위의 내외벽이 원형으로 둘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단 내주를 따라 지지턱(212b)이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tube 211 may include a lower body tube 212 and an upper body tube 213 . In the lower body tube 212, a portion around the lower opening forming the discharge port 211a is fit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so as to be position-adjus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ower body tube 212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lower portion are circularly surrounded. The lower body tube 212 may be formed in a stepped shape by protruding the support jaw 212b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하측 몸체관(212)은 지지턱(212b)이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턱(212b)의 외벽이 배기 통로(110)의 내벽에 맞닿고 하단 외주 부위가 배기 통로(110)의 상측 주변에 안착된 상태로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흡입구(216a)가 둘레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In the lower body tube 212,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jaw 212b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exhaust passage 11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jaw 212b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xhaust passage 110 ) can be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seat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lower intake port 216a of the lower body tube 212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하측 흡입구(216a)는 하측 몸체관(212)의 측면에 형성된다. 하측 흡입구(216a)는 1개로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흡입구(216a)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흡입관부(212a)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 inlet (216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tube (212). The lower inlet 216a is provided as one and has a shape that is longer on the left and right than on the top and bottom. The lower body pipe 212 may include a lower suction pipe portion 212a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suction port 216a.

하측 흡입관부(212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측 몸체관(212)은 하측 흡입관부(212a)와 하측 흡입구(216a)를 통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속도를 상승시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lower suction pipe portion 212a may have the sam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r have a wider shape toward the outside. Accordingly, the lower body pipe 212 can increase the speed at which polluted gas is sucked into a relatively large area through the lower suction pipe portion 212a and the lower suction port 216a, thereby improving exhaust performance.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다.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흡입구(216b)는 상측 몸체관(213)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측 흡입구(216b)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몸체관(213)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측 흡입구(216b)는 하측 흡입구(216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body tube 213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tube 212 . The upper body tube 213 may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lower body tube 212 . The upper inlet (216b)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body tube (213). The upper intake ports 216b are provided as a pair, each having a longer left and right side than up and down, and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ody tube 213 at the same height at 90 degree intervals. The upper inlet 216b may be smaller than the lower inlet 216a.

2개의 상측 흡입구(216b)들은 1개의 하측 흡입구(216a)와 함께 3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구(216b)들 주변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213a)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two upper inlets 216b together with one lower inlet 216a allow polluted gas to be inhaled in three directions. The upper body pipe 213 may include upper suction pipe portions 213a each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ction ports 216b.

각각의 상측 흡입관부(213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관부(213a)와 상측 흡입구(216b)를 통해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속도를 상승시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Each of the upper suction pipe portions 213a may have the sam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r have a wider shape toward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pper body pipe 213 can increase the speed at which polluted gas is sucked into a relatively large area through the upper suction pipe portion 213a and the upper suction port 216b, thereby improving exhaust performance.

추가 양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측 흡입구(216b)를 하측 흡입구(216a)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쿡탑 본체(100)의 좌,우측 화구 모두에 조리용기(20)들이 올려져 조리될 때 상측 흡입구(216b)와 하측 흡입구(216a)가 좌,우측 조리용기(20)에 근접하도록 위치 조정되어 오염 기체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서 배기할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as shown in FIG. 10 , the upper body tube 213 is circumferentially positionally adjustable relative to the lower body tube 212 to position the upper intake port 216b relative to the lower intake port 216a. make it adjustable. Therefore, when the cooking vessels 20 are plac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cooking zones of the cooktop body 100 and cooked, the upper inlet 216b and the lower inlet 216a are positioned so that they are close to the left and right cooking vessels 20 It can effectively inhale and exhaust pollutant gases.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부위의 내외벽이 원형으로 둘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측 몸체관(212)은 상단에 상측 몸체관(213)의 하측 부위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우는 원형 끼움홀(212c)을 갖는다. 여기서,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The upper body tube 213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lower portion are circularly surrounded. The lower body tube 212 has a circular fitting hole 212c rotatably fit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tube 2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Here, the upper body tube 213 may rot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tube 212 in an airtight state.

추가 양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기 구조물(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관(217)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17)은 몸체관(211), 즉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흡입구(216)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높이가 있는 조리용기(20)의 사용시, 연장관(217)은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흡입 구간을 보상함으로써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In a further aspect,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xtension tubes 217 . The extension pipe 217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while being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ipe 211, that is, the lower body pipe 212, so that the heights of the inlets 216 can be adjusted. Therefore, when using the tall cooking vessel 20, the extension tube 217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tube 212 to compensate for the intake s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exhaust performance.

연장관(217)은 원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관(217)은 상측 개구에 하측 몸체관(212)의 지지턱(212b)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연장관(217)은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연장관(217)은 각각 다른 길이로 마련되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된 상태로 하측 몸체관(212)에 연결되어 흡입구(216)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The extension pipe 217 may be made of a circular pipe body. The extension pipe 217 may be supported by inserting the support jaw 212b of the lower body pipe 212 into the upper opening. The extension pipe 217 has the same shap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ipe 212 and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 The extension tubes 217 are provided in different lengths and are connected to the lower body tube 212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take ports 216.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상측 흡입구가 위치 조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exhaus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upper inlet is adjusted in FIG. 1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에서, 상,하측 흡입구(216b', 216a')는 1개씩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하측 흡입구(216b', 216a')는 2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13 and 14, in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suction ports 216b' and 216a' may be provided one by on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longer than the top and bottom.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suction ports 216b' and 216a' allow polluted gas to be sucked in two directions.

본 예의 하측 몸체관(212')과 하측 흡입구(216a')와 하측 흡입관부(212a')는 전술한 예의 하측 몸체관(212)과 하측 흡입구(216a)와 하측 흡입관부(212a)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pipe 212', the lower suction port 216a', and the lower suction pipe portion 212a' of this example are the same as the lower body pipe 212, the lower suction port 216a, and the lower suction pipe portion 212a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or may be configured similarly.

상측 흡입구(216b')는 하측 흡입구(216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몸체관(213')은 상측 흡입구(216b') 주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측 흡입관부(21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측 흡입관부(213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intake port 216b' may be smaller than the lower intake port 216a'. The upper body pipe 213' may include an upper suction pipe portion 213a' exten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ction port 216b'. The upper suction pipe portion 213a' may have the sam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r a wider shape as it goes outward.

상측 몸체관(213')은 하측 몸체관(212')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하측 몸체관(212')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예와 같이, 상측 몸체관(213')이 하측 몸체관(21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측 흡입구(216b')를 하측 흡입구(216a')에 대해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의 연장관(217)이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측 흡입구(216b', 216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The upper body tube 213'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body tube 212'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tube 212'. As in the above example, the upper body tube 213' is connected to the lower body tube 212'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intake port 216b' can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lower intake port 216a'. there is. In addition, the extension tube 217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fit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while being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tube 212',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suction ports 216b' and 216a'. can be adjusted

도 15는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상부 배기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대한 측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exhaus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xhaust structure shown in FIG. 15;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5 .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에서, 몸체관(211")은 몸체관 베이스(212")와, 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15 to 17, in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body pipe 211" may include a body pipe base 212" and a cover 213".

몸체관 베이스(212")는 하측 부위가 전술한 예의 하측 몸체관(212)의 하측 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배기 통로(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몸체관 베이스(212")는 상단에 개구를 갖고 개구 주변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body pipe base 212" may be fitted into the exhaust passage 110 in the same form a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body pipe 212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body pipe base 212" has an opening at the upper end. and has an inclined shape around the opening.

커버(213")는 몸체관 베이스(212")의 상단 개구를 덮은 상태로 다양한 기계적 결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213")는 상면에 손잡이(213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으로 커버(213")의 손잡이(213a")를 쥐고서 상부 배기 구조물(210")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cover 213"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s while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body pipe base 212". A handle 213a"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213". The user can conveniently manipulate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by holding the handle 213a" of the cover 213" with his/her hand.

흡입구(216")들은 몸체관(211")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흡입구(216a", 216c")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제2 흡입구(216b")는 제1,3 흡입구(216a", 216c")보다 높게 형성되며, 제4 흡입구(216d")는 제1,3 흡입구(216a", 216c")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높이의 조리용기 사용시, 제1,2,3,4 흡입구는 다양한 높이로 4방향으로 오염 기체를 흡입해서 배기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intake ports 216" may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take ports 216a", 216b", 216c", and 216d" sequentially arranged at 90 degree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tube 211". there is. The first and third intake ports 216a" and 216c"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second intake port 216b" is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and third intake ports 216a" and 216c", and the fourth intake port 216d" ) is formed lower than the first and third intake ports 216a" and 216c". Accordingly, when cooking containers of various heights are use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ction ports suck in pollutant gas in four directions at various heights to improve exhaust performance.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는 각각 몸체관 베이스(212")의 상단 개구 주변으로부터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절개되고 절개 부위 상측이 커버(213")에 의해 덮여 사각형 홀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take ports 216a", 216b", 216c", and 216d" are each cut from the periphery of the top opening of the body tube base 212" in a shape that is longer on the left and right than up and down, and the upper side of the incision is covered. (213") to form a square hol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take ports 216a", 216b", 216c", and 216d" may all have the same shape.

본 예에 따른 상부 배기 구조물(210")도 전술한 예와 같이, 전술한 예의 연장관(217)이 몸체관 베이스(212")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기 통로(110)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제1,2,3,4 흡입구(216a", 216b", 216c", 216d")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upper exhaust structure 210 "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110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tube 217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tube base 212 ". Combined, the height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take ports 216a", 216b", 216c", and 216d" may be adjus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be able to. Therefore,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싱크장 20..벽체
21,,외부 배기구 100..쿡탑 본체
110..배기 통로 200..후드
210, 210', 210"..상부 배기 구조물
220..후드 필터 230..드레인 박스
240..후드 몸체 250..후드 덕트
260..흡입 팬
10.. sink 20.. wall
21,, External exhaust vent 100.. Cooktop body
110. Exhaust passage 200.. Hood
210, 210', 210"..top exhaust structure
220.. hood filter 230.. drain box
240.. hood body 250.. hood duct
260.. suction fan

Claims (8)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몸체관과,
상기 몸체관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오염 기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들을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 cooktop body having an exhaust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nd disposed in the sink so that pollutant gase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are sucked in from the top through the exhaust passage and discharged downward By being adopted in a top-down hood integrated cooktop including a hood that is
A body tube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on, and a portion around the discharge port being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position-adjustable;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including suction port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body tube to suck in polluted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관은 하측 개구 주변 부위가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하측 몸체관과, 상기 하측 몸체관의 상측에 통하게 연결된 상측 몸체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들은 상기 하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하측 흡입구와, 상기 상측 몸체관의 측면에 형성된 상측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tube includes a lower body tube in which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opening is fitted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upper body tube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tube;
The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ports include a lower intake po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tube and an upper intake po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body tu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흡입구는 1개로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흡입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몸체관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suction port is provided with one and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longer than the top and bottom;
The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let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longer on the left and right than the top and bottom, and is arrang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at the same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ody tub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흡입구는 1개씩 구비되어 상하보다 좌우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uction ports are provided one by one and are longer on the left and right than on the top and botto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몸체관은 상기 하측 몸체관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측 흡입구를 상기 하측 흡입구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tube is connected to the lower body tub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inlet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들은 상기 몸체관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2,3,4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3 흡입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제1,3 흡입구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4 흡입구는 상기 제1,3 흡입구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ntake ports includ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take ports sequentially arranged at 90 degree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pipe;
The first and third inlets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second inlet is formed higher than the first and third inlets,
The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inlet is formed lower than the first and third inl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용 상부 배기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extension pipe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while being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ip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lets.
상하로 관통된 배기 통로를 갖고 싱크장의 상판 설치홀에 설치되는 쿡탑 본체와, 상기 쿡탑 본체를 사용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기체를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흡입해서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싱크장 내에 배치되는 후드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기 통로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배기 구조물과,
상기 상부 배기 구조물을 통해 상기 배기 통로로 유입된 오염 기체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후드 필터와,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후드 필터를 수용하고 오염 기체로부터 생성된 응축수와 외부 이물질을 담는 드레인 박스와,
상기 배기 통로의 하측 주변에 결합된 상태로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드레인 박스를 수용하고 상기 드레인 박스를 거친 기체를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후드 몸체와,
상기 후드 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를 전달받는 후드 덕트, 및
상기 후드 덕트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후드 덕트 내의 기체를 흡입해서 배출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하향식 후드 일체형 쿡탑.
A cooktop body having an exhaust passag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nd disposed in the sink so that pollutant gase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using the cooktop body are sucked in from the top through the exhaust passage and discharged downward Includes a hood that is;
The hood,
An upper exhaust structure made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a hood filter filtering out contaminants in the polluted ga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assage through the upper exhaust structure;
a drain box accommodating the hood filter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contain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polluted gas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 hood body coupled to a lower periphery of the exhaust passage, accommodating the drain box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discharging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box through an exhaust port;
A hood duct for receiving ga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of the hood body, and
A top-down hood-integrated cooktop including a suction fan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in the hood duct to suck in and discharge gas in the hood duct.
KR1020210157236A 2021-11-16 2021-11-16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KR102543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en) 2021-11-16 2021-11-16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en) 2021-11-16 2021-11-16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52A true KR20230071252A (en) 2023-05-23
KR102543356B1 KR102543356B1 (en) 2023-06-16

Family

ID=8654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36A KR102543356B1 (en) 2021-11-16 2021-11-16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35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4740U (en) * 2014-12-20 2015-08-05 杨国庆 The range hood that smokeless vestlet formula band oil strain air covers
US20180073745A1 (en) * 2016-09-14 2018-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height downdraft built into cooking device
KR20180053857A (en)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Kitchen Hood Integrated Cooktop
CN110160102A (en) * 2019-06-13 2019-08-23 青岛兴邦电子电器有限公司 It is integrated with the downdraft kitchen ventilator of electromagnetic oven
CN110397974A (en) * 2019-07-16 2019-11-01 林庆森 Secondary injection range ho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34740U (en) * 2014-12-20 2015-08-05 杨国庆 The range hood that smokeless vestlet formula band oil strain air covers
US20180073745A1 (en) * 2016-09-14 2018-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height downdraft built into cooking device
KR20180053857A (en)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Kitchen Hood Integrated Cooktop
CN110160102A (en) * 2019-06-13 2019-08-23 青岛兴邦电子电器有限公司 It is integrated with the downdraft kitchen ventilator of electromagnetic oven
CN110397974A (en) * 2019-07-16 2019-11-01 林庆森 Secondary injection range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356B1 (en)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835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423361B1 (en) Tornado Type Suction/Discharge Blower
KR101934457B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EP2196737B1 (en) Suction Hood
KR20210090474A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111878867B (en) Air guide box structure and internal circulation range hood applying same
EP1672285B1 (en) Hood ventilation apparatus
JP2003207184A (en) Air-supply outlet structure of supply and exhaust type kitchen ventilator
KR102543356B1 (en) Upper exhaust structur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KR102526371B1 (en)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KR101985797B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209445454U (en) A kind of range hood
KR20230048828A (en) Exhaust assist device for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and downdraft hood integral cooktop
CN2898669Y (en) Smoke exhausting equipment in kitchen and integrated cooker containing it
WO2006001065A1 (en) Range hood forming air curtain by indoor air
KR102331409B1 (en) Apparatus for suction using vortex
KR102317436B1 (en) Energy-saving type hood system having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KR102663290B1 (en) Ventilation equipment
KR100664068B1 (en) Exhaust hood
KR102540638B1 (en) Double fan and kitchen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2195622A (en) Air-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JP3458774B2 (en) Tornado-type intake / blower
KR20230084683A (en) Portable hood
CN212457007U (en) Fume exhaust fan
CN215523675U (en) Ai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