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037A -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037A
KR20230071037A KR1020220063689A KR20220063689A KR20230071037A KR 20230071037 A KR20230071037 A KR 20230071037A KR 1020220063689 A KR1020220063689 A KR 1020220063689A KR 20220063689 A KR20220063689 A KR 20220063689A KR 20230071037 A KR20230071037 A KR 2023007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brid
thermal system
parabolic reflector
solar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훈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7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10/0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 F24S10/70Solar heat collectors using working fluids the working fluids being conveyed through tubular absorb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3/71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with parabolic reflective su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폐양액을 순수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있어서, 반사면을 갖는 반사수단; 상기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열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흡수관; 상기 흡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수단; 및 상기 흡수관을 유동하면서 수증기를 응축하도록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순수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SOLAR-PHOTOVOLTAIC/SOLAR-THERMAL HYBRID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폐양액을 순수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팜 등을 포함하는 시설원예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온실 내부에 구성한 재배지에 작물을 식재하고, 작물의 재배에 이상적인 온도, 습도, CO2 등의 조건을 유지하도록 환경을 관리하면서 재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시설원예는 주로 지하수를 이용한 물 및 양액을 배지(또는 토설)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영양분을 공급하게 되는데, 지하수 자체에 염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염이 농축되어 배지 내에 잔류하지 않게 해주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물 및 양액이 염 관리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시설원예에서 효율적인 제염을 위해서는 가능한 순수(증류수)를 기반으로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요소로 양액 조건을 맞추어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행 시설원예에서는 순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지하수를 대부분 이용함에 따라 염 축적에 따른 생산성 저하, 질병의 발생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그리고, 시설원예는 사용된 폐양액을 방류 등의 방식으로 폐기하고 있는데 향후 법에 의해 무단 방류 및 배출이 규제됨에 따라 자외선 등을 이용한 살균 기반의 폐양액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살균과정을 거치더라도 염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제염을 위한 수단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 대책으로는 시설원예에서 지하수를 대신하여 순수를 이용하는 방안이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순수를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지하수를 끓여 증류수를 제조하는 것이어서 많은 에너지(전기 혹은 연료)가 소모되므로 일반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에 따라 화석연료 및 전력사용 등이 더욱 규제되고 있으므로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순수 생산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3387호 "태양열을 이용한 해수를 포함한 각종 물을 증류시키는 방법및 그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103591호 "반사율을 유지하고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집열기" 한국등록특허 제10-1076318호 "흡수율은 높이고 열손실은 줄일 수 있는 집열기 흡수관"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순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폐양액을 순수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있어서, 반사면을 갖는 반사수단; 상기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열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흡수관; 상기 흡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수단; 및 상기 흡수관을 유동하면서 수증기를 응축하도록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순수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수단은 파라볼릭(Parabolic)반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수생성수단은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응축챔버, 및 상기 응축챔버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열교환수가 유동되는 열교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관은 용수유입측의 배치높이이 높고 용수배출측의 배치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반사면을 갖는 반사수단; 상기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열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흡수관; 상기 흡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수단; 상기 흡수관을 유동하면서 수증기를 응축하도록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순수생성수단; 및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은 중심축이 지면에 직교되도록 상향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의 중심축 선상을 따라 직립 구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은 인접하여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복수로 구성되되 입사광의 간섭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폭은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화석에너지, 혹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순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재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폐양액을 순수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성된 온수를 난방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반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적용되는 반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A부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반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첨부도면,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순수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수단(1), 흡수관(2). 용수공급수단(3); 및 순수생성수단(4)을 구비한다.
반사수단(1)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흡수관(2)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태양광을 흡수관(2)으로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반사수단(1)은 흡수관(2)을 비교적 고온으로 가온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반사하는 파라볼릭(Parabolic)반사판(11)을 갖는 PTC(Parabolic Trough Type Concentrator)로 구성되어 있다.
파라볼릭반사판(11)은 반구형 단면 구조를 갖는 곡면형반사면(111)과, 이 곡면형반사면(111)의 양단에 대략 반원판 형상의 막음판(112)을 구비한 홈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수단(1)은 파라볼릭반사판(11)을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반사판지지대(12)가 구비되어 있다.
흡수관(2)은 반사수단(1)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열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파라볼릭반사판(11)의 막음판(112)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관(2)은 용수유입측의 배치 높이가 높고 용수배출측의 배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파라볼릭반사판(11)에 경사지게 배치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흡수관(2)이 경사지게 설치되면 별도의 동력 없이도 유체가 파이프의 내부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가열에 따라 증발된 수증기가 상측으로 모이게 되어 후술되는 응축챔버에 용이하게 수집되므로 응축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용수공급수단(3)은 흡수관(2)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폐양액과 같은 용수가 보관되는 저장조(31), 저장조(31)와 연결되는 공급배관(32), 공급배관(32)에 설치되고 용수를 압송하는 공급펌프(33)를 구비한다. 여기서, 저장조(31)는 폐양액이 저장되는 탱크 외에도 지하수가 저장되는 지하수 저장조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순수생성수단(4)은 흡수관(2)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응축하도록 흡수관에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응축챔버(41), 열교환라인(42), 열교환매체공급부(43), 온수저장부(44) 및 순수저장부(45)를 구비한다.
응축챔버(41)는 흡수관(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수증기가 채워져 응축 과정이 수용되는 통 형상의 챔버부(411), 챔버부(411)와 흡수관(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라인(412)을 구비한다.
열교환라인(42)은 응축챔버(41)를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열교환매체로서 냉각수가 유동되는 구성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열교환라인(422)과, 열교환이 수행된 냉각수가 회수되는 회수열교환라인(423)을 구비한다.
열교환매체공급부(43)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순환펌프(431)와,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부(432)를 구비한다. 여기서 냉각수공급부(432)는 냉각수가 저장되도록 별도로 마련된 냉각수탱크(미도시)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파이프라인(미도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온수저장부(44)는 열교환매체공급부(43)를 통해 열교환라인(22)에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과정을 거치면서 가온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온수 탱크로 구성할 수 있다.
순수저장부(45)는 챔버부(411)에 연결되는 순수배출라인(451), 이 순수배출라인(451)에 설치되는 드레인밸브(452) 및 순수가 저장되는 순수저장조(453)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흡수관(2)의 용수배출측에 수증기의 증발로 인해 잔류하는 염 등의 고형 잔류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부(5)가 구비되어 있다.
수거부(5)는 흡수관(2)의 용수배출측에 연결되는 배출배관(51)과, 이 배출배관(51)을 통해 배출되는 고형 잔류물이 수용되는 수거용기(52)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거용기(52)는 용수와 염 성분 등의 고형 잔류물을 분리하기 위한 여과장치(미도시)나 여과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파라볼릭반사판(21)을 회전 등을 위한 추적(Tracking)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추적 시스템이 고가이고, 파라볼릭반사판 및 태양전지모듈의 고하중으로 인해 효과적인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비용 등을 고려하여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의한 순수 생성과정을 설명하면, 용수공급수단(3)의 공급펌프(33)를 작동시킴으로써 파라볼릭반사판(11)의 중앙에 배치된 흡수관(2)을 통해 폐양액을 아래로 흘려주고, 태양열 집열을 통해 승온된 흡수관(2)과의 대류 열전달을 통해 가온된 폐양액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기울어진 흡수관(2)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응축챔버(4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응축챔버(41) 내부로 이송된 수증기는 열교환라인(42)을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 작용으로 응축된 후 응축챔버(41) 하부에 모이게 되고, 순수배출라인(451)을 통해 순수저장부의 순수저장조(453)로 이동 집수된다. 이때, 열교환라인(42)으로 이동되는 냉각수는 열교환 과정에서 열기를 얻어 온수로 변환된 온수저장부(44)로 유입된다. 이 온수저장부(44)에 저장된 온수는 온실과 같은 재배지에 시설된 난방배관으로 공급하여 난방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흡수관(2)의 용수유입측으로 저장조(31)에 수용된 폐양액이 용수 공급펌프(33)의 펌핑작용으로 폐양액이 공급되면 흡수관(2)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열기에 의해 물은 수증기로 변화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태양열 집열이 가장 원활한 정오 시간대에 수행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관(2)의 감지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예컨대 105℃ 이상)이 될 경우 공급펌프(33)를 구동하여 폐양액이 순환되도록 할 경우 증발작용이 활발하게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적용되는 반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A부 확대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다수의 반사수단이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반사수단(1), 흡수관(2). 용수공급수단(3); 및 순수생성수단(4)을 구비하되, 반사수단(1)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6)이 더 구성되어 있다.
태양전지모듈(6)은 반사수단(1)의 파라볼릭반사판(1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태양광의 가시광선 영역 에너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전지셀이 구비된 구성요소로서, 태양광 발전분야에서 주지된 구성이므로 첨부 도면에서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고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태양전지모듈(6)은 전지셀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PVT(태양광열; Photo-voltaic & thermal) System에서 널리 적용하고 있는 PV(Photo-voltaic) cell을 적용할 수 있다.
전지셀은 후술되는 바와 같은 모듈고정프레임(65)에 배치되어 설치되되, 반사수단의 집광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양 방향 발전이 가능하도록 모듈고정프레임(65)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전지셀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모듈(6)은 파라볼릭반사판의 길이보다 조금 짧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수단(1)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수관(2)을 비교적 고온으로 가온할 수 있는 파라볼릭반사판(11)을 갖는 PTC(Parabolic Trough Type Concentrator)로 구성되되, 이 파라볼릭반사판(11)은 오목한 부분을 하늘을 향하여 배치되게 중심축(오목한 부분의 중심 횡축)이 지면에 직교되도록 상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파라볼릭반사판(11)에는 그 중심축 선상을 따라 태양전지모듈(6)이 직립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태양전지모듈(6)은 흡수관(2)에 설치되는 모듈고정프레임(65)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65)은 태양전지모듈(6)의 하중의 크기에 따라 파라볼릭반사판(11)을 관통하여 설치면에 고정되는 고정바(6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흡수관(2)은 용수유입측의 배치 높이가 높고 용수배출측의 배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파라볼릭반사판(11)에 경사지게 배치되되, 그 경사 각도는 흡수관(2)을 형성하는 파이프의 직경이나 길이, 유동되는 유체의 공급량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라볼릭반사판(11)은 막음판(112)에 흡수관(2)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113)이 형성된 막음판(112)에는 흡수관(2)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위치고정부재(7)는 고정너트로 구성되어 있고, 흡수관(2)의 외면에는 고정너트의 암나사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다량의 순수를 생산하는 동시에 전기에너지의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사수단(1)이 복수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수단(1)은 설치면에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다수 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태양전지모듈(6) 또한 복수로 구성되되 반사수단(1)이 모든 파라볼릭반사판(11)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입사광의 간섭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은 태양전지모듈(6)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시스템(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반사수단(1), 흡수관(2). 용수공급수단(3); 및 순수생성수단(4)의 작용에 의해 순수 생성할 수 있는 동시에 태양전지모듈(6)이 더 구비되어 전기를 발전할 수 있으므로 공급펌프(33), 냉각수순환펌프(431) 등의 작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6)을 추가로 구성한 경우 태양광 위치에 따라 추적하여 파라볼릭반사판(11)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일정 방향(주로 남향)으로 고정한 후 태양의 위치가 집열 온도를 최대로 하는 시점에 한하여 폐양액을 흡수관(2)으로 공급하고 순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태양전지모듈(6)은 수직 양면으로 전지셀이 배치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수직형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동서 방향의 태양광 입사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하고, 정오 시점에 수직으로 내려 쬐는 태양광은 발전에 이용하지 않는 구조적 특징을 갖지만 태양광이 수직으로 입사되는 정오 시점의 경우에는 반사수단(1)을 매개로 집열하여 순수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을 이용한 집열이 간섭 없이 진행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반사수단 11:파라볼릭반사판
2:흡수관 3:용수공급수단
31:저장조 32:공급배관
33:공급펌프 4:순수생성수단
41:응축챔버 42:열교환라인
43:열교환매체공급부 44:온수저장부
45:순수저장부 5:수거부
6:태양전지모듈 65:모듈고정프레임
7:위치고정부재

Claims (8)

  1.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에 있어서,
    반사면을 갖는 반사수단;
    상기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열을 흡수하도록 설치되는 흡수관;
    상기 흡수관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수단; 및
    상기 흡수관을 유동하면서 수증기를 응축하도록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순수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파라볼릭(Parabolic)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생성수단은,
    상기 흡수관에 연결되는 응축챔버;
    상기 응축챔버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라인; 및
    상기 열교환라인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열교환매체공급부;
    상기 열교환라인에 공급된 냉각수가 냉각과정을 거치면서 가온되어 생성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저장부; 및
    상기 응축챔버에서 생성된 순수가 저장되는 순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관은 용수유입측의 배치 높이가 높고 용수배출측의 배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은 중심축이 지면에 직교되도록 상향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의 중심축 선상을 따라 직립 구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을 포함하는 상기 반사수단은 인접하여 복수 개가 배열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복수로 구성되되 입사광의 간섭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에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폭은 상기 파라볼릭반사판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KR1020220063689A 2021-11-15 2022-05-24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KR20230071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6772 2021-11-15
KR1020210156772 2021-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037A true KR20230071037A (ko) 2023-05-23

Family

ID=8654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89A KR20230071037A (ko) 2021-11-15 2022-05-24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0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387B1 (ko) 2008-09-10 2010-11-09 홍정호 태양열을 이용한 해수를 포함한 각종 물을 증류시키는 방법및 그 장치
KR101076318B1 (ko) 2010-01-06 2011-10-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율은 높이고 열손실은 줄일 수 있는 집열기 흡수관
KR101103591B1 (ko) 2010-01-06 2012-0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반사율을 유지하고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집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387B1 (ko) 2008-09-10 2010-11-09 홍정호 태양열을 이용한 해수를 포함한 각종 물을 증류시키는 방법및 그 장치
KR101076318B1 (ko) 2010-01-06 2011-10-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흡수율은 높이고 열손실은 줄일 수 있는 집열기 흡수관
KR101103591B1 (ko) 2010-01-06 2012-01-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반사율을 유지하고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집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533B1 (ko) 집광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US9169832B2 (en) Ground high-temperature high-efficiency solar steam electricity-generating device
US20090158736A1 (en) Thermal power plant incorporating subterranean cooling of condenser coolant
US20100212654A1 (en) Solar energy concentrator and mounting method
US20100294266A1 (en) Concentrated solar thermal energy collection device
Kumar et al. Survey and evaluation of solar technologies for agricultural greenhouse application
US20180041038A1 (en) Hybrid power generation station
US20110265783A1 (en) solar energy collecting system
CN104896769A (zh) 一种塔式太阳能烟囱盐、水、电联产系统及其运行方法
CN104944488A (zh) 一种追日太阳能烟囱盐、水、电联产系统及其运行方法
KR101997761B1 (ko) 집광형 및 평판형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및 태양열 복합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El-Agouz et al. Theoretical analysis of continuous heat extraction from absorber of solar still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US20140332054A1 (en) Solar collector having a pivotable concentrator arrangement
KR20100069246A (ko) 태양광 집광장치
US20160233829A1 (en) Solar water-collecting, air-conditioning, light-transmitting and power generating house
Singh et al. A review on solar energy collection for thermal applications
KR20230071037A (ko)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시스템
WO2005050103A1 (en) A large lens solar energy concentrator
CN210320708U (zh) 中能光热高效综合利用系统
KR20180023430A (ko) 태양광발전장치
WO2009028000A2 (en) Improved robot collector for large lens solar concentrators
CN202472105U (zh) 一种塔式太阳能热发电电厂的光场集热系统
KR102481831B1 (ko) 렌즈 집광형 열병합 태양광 시스템
CN101071000B (zh) 一种太阳能集热器
CN213718973U (zh) 可兼顾治理沙漠为良田的光热与农业组合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