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983A -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983A
KR20230070983A KR1020210157556A KR20210157556A KR20230070983A KR 20230070983 A KR20230070983 A KR 20230070983A KR 1020210157556 A KR1020210157556 A KR 1020210157556A KR 20210157556 A KR20210157556 A KR 20210157556A KR 20230070983 A KR20230070983 A KR 2023007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lower body
work
work chair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678B1 (ko
Inventor
김유경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유경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102021015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농업용 의자를 비롯해 이동용 캐스터가 구비된 작업의자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선택에 따라 좌판(13)의 높이를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형태로 된 다수의 높이조절공(12)이 균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하부동체(1a)와, 상기 하부동체(1a)에 결합되어 높이조절공(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판(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걸림돌부(14)를 가진 상부동체(1B), 그리고 상기 하부동체(1A)와 상부동체(1B)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편한 높이로 손쉽게 높이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휴대시에는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하고, 사용시에는 손쉽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어 취급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의자{A portable chair for movable work}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손쉽게 다단으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한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작업의자는 마늘 파종이나 양파 파종을 비롯하여 비닐하우스나 온실 내부에서의 선별작업이나 포장 등 오랜 시간 쪼그리고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의자를 말하며, 허리와 허벅지에 밴드로 결착시켜 사용하는 농업용 의자와, 저면에 4~5개의 이동캐스터가 장착되어 실내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이동용 작업의자 등이 있다.
신체에 결착시켜 사용하는 농업용 작업의자는, 통상 스치로폼이나 발포쿠션재를 원판 또는 원기둥 모양으로 재단하여 이를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레자케이스 내부에 내장하고, 상기 레자케이스에 밴드를 봉재 연결하여 작업자의 허리나 허벅지에 묶어 결착한 상태에서 쪼그린 상태로 이동 및 작업하면서 사용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작업하게 되는데, 이때 쪼그리고 앉은 상태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레자케이스도 땅바닥에 닿아 끌려오기 때문에 오래가지 않아 레자케이스가 닳아져 떨어지게 된다.
또, 상기한 작업의자를 사용하다보면 레자케이스에 내장된 스치로폼이나 발포쿠션재가 압축되게 되어 점차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상기한 작업의자는 높이조절이 될 수 없었기에 작업자의 체형이나 선택에 따른 높이조절은 전혀 기대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다.
한편, 캐스터가 장착된 작업용 의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송이 가능한 이점은 있지만, 높이 조절이 불가하여 이 또한 작업자의 체형이나 선택에 따른 높이조절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6945호(등록일자 : 2015년04월11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80010호(등록일자 : 2014년03월25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작업용 의자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농업용 의자를 비롯해 이동용 캐스터가 구비된 작업용 의자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매우 신속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려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동체(1A)와, 상기 하부동체(1A)에 조립되는 상부동체(1B)로 이루어져 이들을 조립하여 높이 조절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체(1A)는 지면에 맞닿는 받침부(11)와, 상기 받침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0), 그리고 상기 본체(10)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다단의 높이조절공(12)으로 구성하되, 상기 높이조절공(12)은 본체(10)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수직안내공(12a)과, 상기 수직안내공(12a)의 일 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수평안내공(12b), 그리고 상기 수평안내공(12b) 끝에 형성된 안착홈(12c)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동체(1B)는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된 좌판(13), 그리고 상기 본체(10') 외주면 하측에 상기한 높이조절공(1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부(14)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걸림돌부(14)가 다수의 높이조절공(12)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하부 동체(1B)(1A)를 잡고 승강시키면서 비틀 듯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동체(1B)의 천장면 중앙부와 하부동체(1A)의 바닥면 중앙부가 연결되도록 내부에 인장스프링(2)을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동체(1A)의 받침부(11) 가장자리에 다수의 캐스터(4)를 장착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동체(1A)에 형성되는 본체(10)를 높이조절공(12)을 가진 다수의 조립편(10a)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조립편(10a)은 양끝단에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을, 그리고 하부에는 걸림돌기(10e')를 가진 끼움부(10e)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11)에는 가장자리에 걸림공(11b)을 가진 끼움홈(11a)이 구비된 연장부(11')를 구비하여, 상기 조립편(10a)의 끼움부(10e)를 연장부(11')의 끼움홈(11a)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조립편(10a) 양측의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에는 인접 설치되는 다른 조립편의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을 조립하면서 끼움부(10e)는 연장부(11')의 끼움홈(11a)에 끼워 조립하는 방식으로 조립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동체(1B)의 좌판(11) 위에 쿠션부(3)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의자(100)는 상부동체(1B)와 하부동체(1A)로 분리 구성하여, 이들을 인장스프링(2)과 더불어 하부동체(1A)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2)과 상부동체(1A)에 형성된 걸림돌부(14)를 결합시켜 이들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작업의 종류, 또는 작업목적에 따라 편한 높이로 손쉽게 높이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따른다.
또한, 높이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다양한 높이로 신속 조절을 할 수 있어 취급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다.
도1~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종단면예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확대 횡단면예시도,
도4는 도3의 B-B'선 단면예시도,
도5는 요부 확대 정면예시도이다.
도6~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6은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7은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예시도이며,
도8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예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김매기나 모종이식, 파종 등의 각종 농작업을 할 때 밴드를 이용하여 신체에 결착시켜 사용하는 농사용 작업의자나, 또는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조립이나 선별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작업용 의자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신속 간편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중량이 가볍고 부피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어 휴대를 비롯한 취급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한 작업용 의자로서, 이를 첨부도면 도1~도5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1은 사시도이고, 도2는 종단면예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확대 횡단면예시도, 도4는 도3의 B-B'선 단면예시도, 도5는 요부 정면예시도이다.
도1~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의자(100)는 받침부(11)를 가진 하부동체(1A)와 좌판(13)을 가진 상부동체(1B)를 인장스프링(2)으로 연결하여, 하부동체(1A)와 상부동체(1B)가 항상 서로 끌어당기는 작용을 하게 하되, 하부동체(1A)의 본체(10)에 상부동체(1B)의 본체(10')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동체(1B)를 승강시킴에 따라 작업의자(10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한 것이다.
또 하부동체(1A)의 본체(10) 외주면에는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여 다수의 높이조절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상부동체(1B)의 본체(10')에는 상기 높이조절공(12)에 끼워져 높이조절공(12)을 따라 이송되는 걸림돌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동체(1A)와 상부동체(1B)가 안정적으로 조립되어 높이조절공(12)의 형태에 따라 좌판(13)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작업의 종류를 감안하여 원하는 높이로 신속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공(12)은 수직안내공(12a)과, 상기 수직안내공(12a)의 일측방향에 상하 동일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수평안내공(12b), 그리고 상기 수평안내공(12b) 끝에 형성된 안착홈(12c)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상기 수직안내공(12a)은 높이를 조절할 때 가이드의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상부동체(1B)의 걸림돌부(14)가 조립되어 안정적인 승강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수직안내공(12a)의 길이가 작업의자의 최대 높이와 최저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또, 상기 수직안내공(12a) 일 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수평안내공(12b)은, 수직안내공(12a)을 따라 승강하는 걸림돌부(14)가 상부동체(1B)의 회전에 의해 안착되어 작업의자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한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안내공(12a) 일 측에 수평안내공(1b)을 몇 개 형성하느냐에 따라 의자높이의 조절 단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14)가 상기 수직안내공(12a)에 위치해 있을 때는 양 손으로 하부동체(1A)와 상부동체(1B)를 잡고 양손을 벌리듯이 잡아당기면 하부동체(1A)로부터 상부동체(1B)가 신장되게 되고,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2)의 복원력이 상부동체(1B)를 끌어당겨 신축시키게 되며 이때 부피도 작아지게 된다.
또, 높이조절을 할 때는 걸림돌부(14)가 다수의 수평안내공(12b)들 중 원하는 수평안내공(12b)의 입구에 다다르게 되었을 때 상부동체(1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부(14)가 선택된 수평안내공(12b)을 통하여 안착홈(12c)에 안착되는 순간 인장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부(14)가 안착홈(12c)에 안착되게 되므로 좌판(13) 또는 쿠션부(3)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돌리더라도 걸림돌부(14)가 안착홈(12c)에 걸려 있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이 상태에서 작업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부동체(1B)를 상부로 당긴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착홈(12c)에 안착되어 있던 걸림돌기(14)가 안착홈(12c)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수평안내공(12b)을 통해 수직안내공(12a)으로 이송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당기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동체(1B)의 본체(10')가 하부동체(1A)의 본체(10) 안으로 삽입되게 되어 최소의 높이로 줄게 되는 것이고, 상부동체(1B)를 잡아당겨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의 수평안내공(12b) 위치에서 상부동체(1B)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작업의자의 높이가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동체(1A)와 상부동체(1B)를 각각 성형하여 이들을 인장스프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조립성,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동체(1A)의 본체(10)에 상부동체(1B)의 본체(10')를 완전히 삽입시켰을 경우에는 부피, 즉 높이가 최소화되게 되어 콤팩트한 크기로 축소되기 때문에 휴대, 보관 등 취급이 편리한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단 외에 3단이나 4단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하부 동체 사이에 높이조절공(12)이 구비된 또 다른 원통형 본체를 1개 또는 2개 개재시키되 조립된 부분들이 모두 안테나식으로 조립되게 하면 높이조절이 더욱 다양하면서도 콤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작업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부동체(1B)의 좌판(11) 위에 쿠션부(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판(11)에 오랜 시간 앉아 작업하더라도 쿠션력에 의해 피로가 적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동체(1A)의 받침부(11) 가장자리나 또는 양측에 양발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게 되면 상부동체(1B)를 잡아 빼어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때 양발로 상기 누름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양 손으로 좌판(13) 가장자리를 잡고 돌리거나 당김으로서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6~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이는 하부동체(1A)의 원통형 본체(10)를 형성할 때, 높이조절공(12)을 가진 다수의 조립편(10a)으로 분리 구성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들 조립편(10a)들은 좌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본체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편(10a)의 양끝단에는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을 형성하였고, 각각의 조립편(10a) 하부에는 끼움부(10e)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부(10e)가 받침부(11)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11')의 끼움홈(11a)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끼움홈(11a)에 형성된 걸림공(11b)에 조립편(10a)의 걸림돌기(10e')가 조립되게 되면 조립편(10a)이 연장부(11')와 견고하게 조립되게 되고, 또, 상기 다수의 조립편(10a)이 연장부(11')에 연결 조립되는 것이므로 조립형의 견고한 하부동체(1A)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이는 하부동체(1A)의 받침부(11)에 다수의 캐스터(4)를 더 장착한 것으로, 이는 실내를 비롯해 바닥이 편평한 장소에서 각종 작업을 할 때 앉은 자세에서 약간씩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높이조절과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사용이 보다 더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권림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따라서 발명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A : 하부동체 1B : 상부동체 2 : 인장스프링
3 : 쿠션부 4 : 캐스터 10, 10' : 본체
10a : 조립편 10d : 삽입돌부 10d' : 삽입홈
10e : 끼움부 10e' : 걸림돌기 11 : 받침부
11' : 연장부 11a : 끼움홈 11b : 걸림공
12 : 높이조절공 12a : 수직안내공 12b : 수평안내공
12c : 안착홈 13 : 좌판 14 : 걸림돌부
100 : 작업의자

Claims (5)

  1.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동체(1A)와, 상기 하부동체(1A)에 조립되는 상부동체(1B)로 이루어져 이들을 조립하여 높이 조절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의자(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체(1A)는 지면에 맞닿는 받침부(11)와, 상기 받침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0), 그리고 상기 본체(10)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다단의 높이조절공(12)으로 구성하되, 상기 높이조절공(12)은 본체(10)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수직안내공(12a)과, 상기 수직안내공(12a)의 일 측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수평안내공(12b), 그리고 상기 수평안내공(12b) 끝에 형성된 안착홈(12c)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동체(1B)는 상기 본체(10)에 삽입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된 좌판(13), 그리고 상기 본체(10') 외주면 하측에 상기한 높이조절공(1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돌부(14)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걸림돌부(14)가 다수의 높이조절공(12)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하부 동체(1B)(1A)를 잡고 승강시키면서 비틀 듯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동체(1B)의 천장면 중앙부와 하부동체(1A)의 바닥면 중앙부가 연결되도록 내부에 인장스프링(2)을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체(1A)의 받침부(11)에 다수의 캐스터(4)를 장착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체(1A)에 형성되는 본체(10)를 높이조절공(12)을 가진 다수의 조립편(10a)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조립편(10a)은 양끝단에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을, 그리고 하부에는 걸림돌기(10e')를 가진 끼움부(10e)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11)에는 가장자리에 걸림공(11b)을 가진 끼움홈(11a)이 구비된 연장부(11')를 구비하여, 상기 조립편(10a)의 끼움부(10e)를 연장부(11')의 끼움홈(11a)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조립편(10a) 양측의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에는 인접 설치되는 다른 조립편의 삽입돌부(10d)와 삽입홈(10d')을 조립하면서 끼움부(10e)는 연장부(11')의 끼움홈(11a)에 끼워 조립하는 방식으로 조립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동체(1B)의 좌판(11) 위에 쿠션부(3)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동체(1A)의 받침부(11) 가장자리나 또는 양측에 양발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KR1020210157556A 2021-11-15 2021-11-15 작업용 의자 KR10258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56A KR102588678B1 (ko) 2021-11-15 2021-11-15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56A KR102588678B1 (ko) 2021-11-15 2021-11-15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83A true KR20230070983A (ko) 2023-05-23
KR102588678B1 KR102588678B1 (ko) 2023-10-11

Family

ID=865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556A KR102588678B1 (ko) 2021-11-15 2021-11-15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979A (ja) * 2001-04-05 2002-10-15 Hiroshi Sugita 半身浴用腰掛台
KR20110075100A (ko) * 2009-12-28 2011-07-06 박판석 간이의자
KR101380010B1 (ko) 2013-11-13 2014-04-02 한광식 농업용 작업의자
KR200476945Y1 (ko) 2014-01-14 2015-04-17 이상걸 농사용 의자
KR20160026080A (ko) * 2014-08-29 2016-03-09 김근태 의자 겸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979A (ja) * 2001-04-05 2002-10-15 Hiroshi Sugita 半身浴用腰掛台
KR20110075100A (ko) * 2009-12-28 2011-07-06 박판석 간이의자
KR101380010B1 (ko) 2013-11-13 2014-04-02 한광식 농업용 작업의자
KR200476945Y1 (ko) 2014-01-14 2015-04-17 이상걸 농사용 의자
KR20160026080A (ko) * 2014-08-29 2016-03-09 김근태 의자 겸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678B1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299B2 (en) Chair with ergonomic motion features
CA1127521A (en) Portable folding seat
US7326152B2 (en) Infant walker
US8205934B2 (en) Portable chair
US6957867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US9474376B2 (en) Portable back pack swivel seat
CN101410037A (zh) 人体工学椅
US20070221800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the Height of Furniture
US10213021B2 (en) Mobile chair
US20230070268A1 (en) Chair handle and hook
KR20230070983A (ko) 작업용 의자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WO2007021179A1 (en) Piece of furniture
KR200250514Y1 (ko) 절첩식 좌의자
USD979056S1 (en) Pelvic floor training device
US9961996B2 (en) Table with storage rack
US10660445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armrest
KR20200028092A (ko) 농어업용 썰매 의자
KR102386731B1 (ko) 작업편의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파종기
KR20220052507A (ko) 가변형 접이식 배낭의자
US10646043B1 (en) Easily manipulable stool
KR200467000Y1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KR20220135764A (ko) 작업용 의자
US4694517A (en) Universal couch
KR101380010B1 (ko) 농업용 작업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