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915A -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915A
KR20230070915A KR1020210156963A KR20210156963A KR20230070915A KR 20230070915 A KR20230070915 A KR 20230070915A KR 1020210156963 A KR1020210156963 A KR 1020210156963A KR 20210156963 A KR20210156963 A KR 20210156963A KR 20230070915 A KR20230070915 A KR 20230070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mp
light emitting
ga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8240B1 (en
Inventor
김민아
Original Assignee
김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아 filed Critical 김민아
Priority to KR102021015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40B1/en
Publication of KR2023007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to suit work environments and has a separate gas detection function so as to be used in a variety of work environments and effectively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caused by gas. A technical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first battery installed therein; a gas sens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perated by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and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gas that causes suffocation in a closed situation; a buzz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operated by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and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notify of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d with a first lamp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first cable for power and control, is operated by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work, and a second lamp that emits light to indicate an evacuat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connection holder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integrally and detachably; and a handle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holder and having a shape that can be held with a hand such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connection holder.

Description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어둡고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밝은 빛을 제공하여 원활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work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that enables smooth work by providing bright light when work is performed in a dark and closed place.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 탱크 내부, 선박 선창 내부, 집수조 등과 같이 외부와의 단절로 인해 내부가 밀폐된 밀폐 작업장에서는 공기의 유입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산소의 부족으로 인한 질식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In general, in closed workplaces where the inside is sealed due to disconnection from the outside, such as inside pipelines, inside tanks, inside ship docks, and water collection tanks, suffocation disasters due to lack of oxygen occur frequently without smooth inflow and circulation of air. It happens.

이러한 밀폐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질식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책과 장비가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질식 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가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Although various countermeasures and equipment are prepared to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occurring in such closed workplaces, deaths due to suffocation accidents are not easily reduced.

여기서 질식 재해의 다양한 발생 원인 중에서도 밀폐 작업장에서 작업하기 전과 작업하는 중에 가스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등의 안전 수칙 미준수가 가장 큰 발생 원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Here, among the various causes of suffocation,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such as not performing gas measurement before and during work in an enclosed workplace appears to be the biggest cause.

즉, 질식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구비된 가스 측정 장치를 상시 휴대하여 작업하기 전과 작업하는 중에 가스 측정을 반드시 수행하면 질식 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 That is, if a gas measuring device provided to prevent suffocation is always carried and gas measurement is performed without fail before and during work, death due to suffocation can be greatly reduced.

한편 밀폐 작업장은 대부분 좁고 어두운 환경임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용 조명 장치를 소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면 작업용 조명 장치에 가스 측정 기능을 위한 구조를 적용하면 작업 전과 중에 가스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안전 수칙을 자연스럽게 준수할 수 있으므로 질식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most closed workplaces are narrow and dark environments, workers carry out work with a lighting device for work. Then, if the structure for the gas measurement function is applied to the lighting device for work, safety rules that must be performed before and during work can be naturally followed,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a suffocation disaster can be expected.

그리하여 작업용 조명 장치에 각종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 기능을 추가한 다기능 작업용 조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Thus, a multi-function lighting device for work in which a gas measuring function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harmful gases is added to the lighting device for work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본체에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작업용 램프, 유해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유해가스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을 위해 사용하는 비상용 램프 및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포함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A work lighting device with such a gas detection function includes a work lamp used for work in the main body, a gas sensor tha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es, an emergency lamp used for emergency situation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e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nd electric energy It has a form that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그러나 종래의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본체가 작업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형태만을 가지거나 작업자가 수부에 파지 가능한 형태만을 가짐에 따라 작업장 환경에 맞추어 어느 하나만을 미리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양한 작업장 환경을 위해 사용 형태가 다른 것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main body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for work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has only a shape worn on the body by the operator or only a shape that the operator can grip on the hand, one must be selected and us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workplace environment, so various workplace environments For this,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have all the different types of use.

그리고 종래의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한 개의 배터리가 단독으로 구비되고 배터리로부터 작업용 램프와 비상용 램프에 각각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서로 구분되지 않아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가 되면 가스센서와 비상용 램프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비상 상황을 대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rk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is equipped with a single battery, and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work lamp and the emergency lamp is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o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due to long-term work, the gas is discharged. There is also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repare for an emergency situation because it is impossible to use a sensor and an emergency lamp.

따라서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smooth operation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to effectively prevent suffocation by demonstrating its function in emergency situations,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to suit the working environment, so that even if equipped alone, it can be adapted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lighting device for work that has a gas detection function that can respond properly and can properly perform gas detec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s by distinguishing regular power and emergency power from each oth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1493호, 2020.10.29.자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71493, 2020.10.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not only improves work efficiency by guaranteeing smooth work, but also uses various forms to suit the working environment so that it can effectively prevent suffocation by demonstrating its function in emergency situations. A work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that has a structure that can respond adaptively to various work environments even when equipped alone and can properly perform emergency gas detec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s by distinguishing regular power and emergency power from each other.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bove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and can be fully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제1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밀폐 상황에서 질식사고를 유발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비상알림을 출력하는 버저;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1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작업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하는 제1램프와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대피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제2램프가 구비되는 발광모듈;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홀더; 및 상기 연결홀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연결홀더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부로 파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battery therein; a gas sens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powered by the first battery, and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a gas causing an accident of asphyxiation in an airtight situation; a buzz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powered by the first battery, and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gas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first lamp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first cable for power and control, operates with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for work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d with a second lamp that emits light to indicate an evacuation situa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holder detachably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 handle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hold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connection holder and having a grippable shape with the hand.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체와 발광모듈이 연결모듈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모듈에 손잡이가 분리 가능하여 설치되어 본체와 발광모듈을 일체로 연결한 손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와 발광모듈을 서로 분리한 작업등 형태나 안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are detachab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odule, and the handle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on module, so that the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flashlight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separate work light or safety light.

그리고 발광모듈에 작업을 위한 제1램프와 비상 상황을 위한 제2램프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에 가스센서와 버저와 함께 제1램프와 제2램프와 가스센서 및 버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가 구비되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제1램프에 전력을 인가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비상 상황시 제2램프와 가스센서 및 버저의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lamp for work and a second lamp for emergency situations ar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module, respectively, and a first battery supplies power to the first lamp, the second lamp, the gas sensor, and the buzzer together with the gas sensor and buzzer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and controlled so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lamp only w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utoff capacity,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amp, gas sensor, and buzzer can be ensured in an emergency, so that prompt and safe evacuation can be induced. can

또한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제1램프에 전력을 추가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손잡이에 제2배터리가 내장됨에 따라 비상 상황시 제1램프를 이용한 손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econd battery is built into the handle to additionally supply power to the first lamp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less than the cut-off capacity, it can be used as a flashlight using the first lamp in an emergency, making it faster and safer. may induce evacuation.

그리고 발광모듈과 본체이 연결모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모듈의 관절 구조에 의해 발광모듈이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 가능함에 따라 손전등 형태로 사용시 발광모듈의 배광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을 밝게 비춰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odule, the angl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the joint structure of the connection module, so when used in the form of a flashlight, the light distribution angl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making the workplace bright. It can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과 연결모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이 좌우 각도 조절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이 상하 각도 조절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본체와 발광모듈 및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작업등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안전등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odu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modu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connection modu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left and right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modu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showing a vertical angle adjustment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modu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 light emitting module, and a handle of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form of a work light.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form of a safety light.

본 발명은 어둡고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밝은 빛을 제공하여 원활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work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that enables smooth work by providing bright light when work is performed in a dark and closed plac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Particularly, the lighting device for work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s smooth work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also effectively prevents suffocation by performing its functions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러한 특징은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se features can be modified and used in various forms to suit the working environment, so even if equipped alone, it can respond adaptively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structure can be achiev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working lighting device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가스센서(20), 버저(30), 발광모듈(40), 연결홀더(50) 및 손잡이(60)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working lighting device 100 having a gas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gas sensor 20, a buzzer 30, and a light emitting module 40. , It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on holder 50 and a handle 60.

먼저,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이 가능한 제1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First, the main body 10 may have a case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may include a first battery (not shown) capable of being charged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in.

다음으로, 상기 가스센서(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밀폐 상태의 작업장에서 일정시간 작업할 때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스들의 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Next, the gas sensor 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gases that can cause a choking accident when a user work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ealed workplace.

이를 위해 가스센서(20)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O2)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가스센서(21), 황화수소(H2S)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가스센서(22), 일산화탄소(C0)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3가스센서(23), 가연성 가스(LEL)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4가스센서(24)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gas sensor 20 includes a first gas sensor 21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O 2 ) present in the air, a second gas sensor 22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H 2 S), and carbon monoxide It may be composed of a third gas sensor 23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0) and a fourth gas sensor 24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mbustible gas (LEL).

이때 가스센서(2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as sensor 2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through a power control circu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다음으로, 상기 버저(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밀폐 상태의 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가스센서(20)에서 측정된 가스들의 농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스의 농도가 기설정된 위험농도 이상일 때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Next, the buzzer 3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any one gas among the concentrations of gases measured by the gas sensor 20 while the user is performing work in a sealed workplace It can operate automatically when the set dangerous concentration is higher.

즉, 버저(30)는 밀폐 상태에서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스의 농도가 위험농도 이상을 때 사용자가 작업장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비상알람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at is, the buzzer 30 can automatically output an emergency alarm notifying the user of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evacuate the workplac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that can cause a suffocation accident in the sealed state is higher than the dangerous concentration. .

이때 버저(3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zzer 3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through a power control circu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다음으로, 상기 발광모듈(40)은 밀폐 상태인 어두운 작업장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발광하거나 작업장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발광할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can operate and emit light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o perform work in a closed dark workplace or automatically operate and emit light when an emergency occurs while working in the workplace. .

이를 위해 발광모듈(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과, 케이싱(41)의 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발광하는 제1램프(42)와, 케이싱(41)의 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가스센서(20)에서 측정된 도중에 가스들의 농도 중의 어느 하나가 위험농도 이상일 때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발광하는 제2램프(43)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ncludes a casing 41, a first lamp 42 installed to be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casing 41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emit light, and a casing A second lamp 43 that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one side of the gas sensor 20 and automatically operates and emits light to indicate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user when any one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gases measured by the gas sensor 20 is greater than the dangerous concentration may consist of

그리고 본체(10)에 내장된 제1배터리의 전력이 제1램프(42)와 제2램프(43)로 인가 가능하도록 제1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4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nd a first cable 4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so that power of the first battery built in the body 10 can be applied to the first lamp 42 and the second lamp 43 may be further included. .

이때 제1램프(42)와 제2램프(43)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lamp 42 and the second lamp 43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through a power control circu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

단, 제1램프(42)는 작업용 램프로서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고 비상 상황을 대비하며 가스센서(20)의 정확도와 수명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기설정된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발광 가능하도록 전원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lamp 42 is a working lamp and emits light only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t-off capacity in order to lighten the overall weight, prepare for an emergency, and guarantee the accuracy and lifespan of the gas sensor 20. It can be controlled by the power control circuit to enable.

즉,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는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되고 컷오프용량 미만을 때는 제2램프(43)만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utoff capacity, the first lamp 42 and the second lamp 43 are controlled in an operable state, and w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less than the cutoff capacity, only the second lamp 43 is controlled in an operable state. It can be.

여기서 제1배터리의 컷오프용량이라 함은 비상 상황시 버저(30)가 1회 비상알람을 출력 가능함과 동시에 대략 30분간 비상알람을 연속으로 출력 가능하고 제2램프(43)가 대략 30분간 발광 가능하며 가스센서(20)가 최대 2시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전력의 총량과 대응될 수 있다. Here, the cutoff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means that in an emergency, the buzzer 30 can output an emergency alarm once and at the same time continuously output an emergency alarm for about 30 minutes, and the second lamp 43 can emit light for about 30 minutes. And it can correspond to the total amount of power that allows the gas sensor 20 to operate for up to 2 hours.

그리고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에서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으로 될 때까지의 용량은 통상 4시간 작업 후에 1~2시간 휴식하는 작업일정을 고려하여 제1램프(42)가 적어도 4시간 이상 작동 가능한 전력의 총량과 대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pacity until the remaining capacity reaches the cut-off capacity in the fully charged state of the first battery is the power that the first lamp 42 can operate for at least 4 hours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schedule of 1 to 2 hours of rest after working for 4 hours. can correspond to the total amount of

이러한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에 기초하여 가스센서(20)와 제1램프(4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배터리의 용량을 복수 개의 LED를 통해 불빛의 색상과 개수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1잔량표시램프(12)와 제2잔량표시램프(13)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Based o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a first method for displaying the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for operating the gas sensor 20 and the first lamp 42 by classifying and displaying the color and number of lights through a plurality of LEDs.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lamp 12 and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isplay lamp 13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

한편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제1램프(42)를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1)가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an operation switch 11 for controlling the first lamp 42 to b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operation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한편, 발광모듈(40)은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램프(42)는 실시예에 따라 작업 조명으로 적합한 황색이나 백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램프(43)는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데 적합한 적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lamp 42 and the second lamp 43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That is, the first lamp 42 may be configured to emit yellow or white light suitable for work ligh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second lamp 43 may be configured to emit red light suitable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can

그리고 발광모듈(40)은 작업 수행시 황색이나 백색의 빛을 효과적으로 발광하면서 비상 상황시 적색의 빛을 효과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면서 케이싱(41)의 전면에 상하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램프(42)는 복수 개가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열과 제3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램프(43)는 복수 개가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열과 제3열의 사이인 제2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lamps 42 and second lamps 43, respectively, so that yellow or white light is effectively emitted during work and red light is effectively emitted in emergency situations. It may be arranged in three rows up and down on the front of the casing 41 .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lamps 4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nd third columns at regular intervals lef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ps 43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third columns at regular intervals left and right. It can be placed in the second row between.

또한 발광모듈(40)은 작업장의 내부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발광모듈(40)은 실시예에 따라 총 6개로 구성되어 본체(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좌측에 상하 3열과 우측에 상하 3열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so that the operator can quickly and reliably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as well as brightly illuminate the entire interior of the workplace. That is,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six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may be composed of 3 columns up and down on the left side and 3 columns up and down on the right sid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연결홀더(50)와 손잡이(6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연결 사용 가능하도록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Next, the connection holder 50 and the handle 60 are integrated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can be separated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and use the main body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s needed. can be connected with

즉, 연결홀더(5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40)을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가능하게 하고 손잡이(60)는 연결홀더(5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본체(10)와 발광모듈(40)가 일체로 연결되어 손전등과 같은 형태로 수부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nection holder 50 enable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4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handle 6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holder 50, so that the main body (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can be used while being held by the hand in the form of a flashlight.

이를 위해 연결홀더(5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51)와, 홀더몸체(5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홀더몸체(51)의 결합에 따라 손잡이(60)의 단부를 삽입 구속하여 연결하는 구속단(52)과, 홀더몸체(51)의 타측 일면에 형성되어 본체(10)의 일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53)을 매개로 고정되는 밀착고정단(54)과, 홀더몸체(51)의 타측 타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회동암(55)과, 좌우회동암(55)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봉(56)이 상하 2열로 설치되는 연결대(57)와, 힌지봉(56)을 매개로 연결대(57)에 상하 3열로 설치되고 발광모듈(40)이 각각 탈착되는 복수 개의 탈착구(58)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nection holder 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der body 51 to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detachably coupled,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holder body 51 is coupled. Accordingly, the restraint end 52 connecting the end of the handle 60 by insertion and restraint, and the fastening means 5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51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air of left and right pivoting arms 55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51, respectively, and a left and right pivoting arm 55, each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lose fixing end 54 fixed to, and a hinge on one side A connecting rod 57 in which rods 56 are installed in two vertical rows, and a plurality of detachable ports 58 installed in three vertical rows on the connecting rod 57 via the hinge rod 56 and with light emitting modules 40 detached from each other may consist of

여기서 좌우회동암(55)이 홀더몸체(51)의 타면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탈착구(58)가 힌지봉(56)을 매개로 연결대(57)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left and right pivoting arm 5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51 and the release port 58 is rotatably connected up and down to the connecting rod 57 via the hinge rod 56. .

그리고 손잡이(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로 파지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둥근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홀더몸체(51)의 단부에 구비된 구속단(53)을 매개로 홀더몸체(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2, the handle 6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 rou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the hand, and is attached to the holder body 51 via the restraining end 53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lder body 51. Can be detachably connected.

따라서 연결홀더(50)는 발광모듈(40)을 좌우회동암(55)과 연결대(57)와 탈착구(58)를 통해 좌우 2열 및 상하 3열로 배열된 상태로 본체(10)와 연결하여 손전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nection holder 50 connects the light emitting modules 40 to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s 40 are arranged in two rows on the left and three rows up and down through the left and right pivoting arms 55, the connecting rod 57, and the detachment hole 58.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flashlight.

그리고 탈착구(58)가 좌우회동암(55)과 힌지봉(56)에 의해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40)의 배광각도를 좌우 및 상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작업장 전체를 밝게 비춰 편리한 작업을 보장할 수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대피 경로를 밝게 비춰 신속한 대피를 보장할 수 있다. And as the detachable port 58 can rotat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by the left and right pivoting arms 55 and the hinge rod 56,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light distribution angl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can be adjuste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Since it can be easily adjusted with , it not only ensures convenient work by illuminating the entire workplace while working, but also ensures quick evacuation by brightly illuminating the evacuation route in case of an emergency.

한편 탈착구(58)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봉(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회동암(581)과, 상하회동암(581)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용관(582)과, 수용관(582)의 일단과 타단 내측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봉(583)과, 슬라이딩봉(583)의 타단에 형성되는 쐐기 형상의 걸림단(584)과, 수용관(582)의 양단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단(584)이 수용관(582)의 양단 외부로 탄발되게 지지하는 탄성부재(585)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etachable port 58 is an up and down pivoting arm 581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rod 56, and an accommodation tube 582 fixed to the end of the up and down pivoting arm 581. ), a pair of sliding rods 583, one end of which is slidably accommodated insid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pipe 582, and a wedge-shaped engaging end 58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rod 583 And, it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585 that is inserted inside both ends of the accommodation tube 582 and supports the engaging end 584 to be resilient to the outside of both ends of the accommodation tube 582.

그리고 발광모듈(40)의 후면 양측에는 걸림단(584)이 탄성부재(585)에 의해 수용관(582)의 양단 외부로 탄발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locking grooves 48 may be formed in which the locking end 584 is lock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585 is elasticd to the outside of both ends of the accommodation pipe 582.

따라서 발광모듈(40)은 걸림단(584)이 걸림홈(48)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림단(584)을 누름 조작하면 걸림단(584)이 걸림홈(48)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면서 탈착구(58)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end 584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end 584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48,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releases the locking end 584 from the locking groove 48.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ort 58.

여기서 발광모듈(40)을 탈착구(58)에서 분리하고 본체(10)를 홀더몸체(51)에서 분리하여 홀더몸체(51)와 손잡이(60)를 사용하지 않고 도 9와 같이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제1케이블(45)로만 연결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ort 58 and the main body 1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body 51 to obtain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9 without using the holder body 51 and the handle 6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can also be used in a state connected only by the first cable 45.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에 발광모듈(40)과 본체(10)를 거치하여 작업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10 ,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nd the main body 10 may be mounted on a ceiling or wall of a workshop or a structure of the workshop to be used in the form of a work lamp.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밸트에 발광모듈(40)과 본체(10)를 거치하여 안전등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And, as shown in FIG. 11,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nd the main body 10 may be placed on a seat belt worn by the user on the upper body to be used as a safety light.

이를 위해 본체(10)와 발광모듈(40)에는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 또는 안전밸트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미도시)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단, 거치수단은 걸리식으로 거치되도록 걸고리 형태를 가지거나 자력에 의해 자착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not shown)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wall of a workplace, a structure or a safety belt in the workplace, respectively. However, the mounting means may have a hook shape to be mounted in a hooked manner or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be self-attached by magnetic force.

그리고 홀더몸체(51)와 손잡이(60) 없이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사용할 때 발광모듈(40)을 본체(10)를 중심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제1케이블(45)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re used without the holder body 51 and the handle 60,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plac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with the main body 10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cables 45 may be formed.

즉, 제1케이블(45)은 우측 열 중의 어느 하나의 발광모듈(40) 한 개와 좌측 열 중의 어느 하나의 발광모듈(40) 한 개를 각각 본체(10)와 병열로 연결하는 제1a케이블(451)과, 좌측 열에 위치한 발광모듈(40)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b케이블(452)과, 우측 열에 위치한 발광모듈(40)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c케이블(453)로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cable 45 is a 1a cable connecting one light emitting module 40 of any one of the right column and one light emitting module 40 of any one of the left column to the main body 10 in parallel ( 451), a 1b cable 452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light emitting modules 40 located in the left column in series, and a 1c cable 453 that sequentially connects the light emitting modules 40 located in the right column in series. there is.

따라서 발광모듈(40)은 제1a케이블(451)과 제1b케이블(452)과 제1c케이블(453)을 통해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치 가능함에 따라 작업등 형태나 안전등 형태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10 through the 1a cable 451, the 1b cable 452, and the 1c cable 453, and can be moun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work light. It can also be conveniently used in the form of a safety light.

마지막으로, 상기 손잡이(60)는 연결홀더(5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홀더(50)의 일측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Finally, the handle 6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holder 5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use the connection holder 50 .

즉, 손잡이(60)는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연결홀더(5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하여 손전등 형태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수부로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몸체(51)에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handle 60 can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51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with the hand part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40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der 50 and used in the form of a flashlight. there is.

여기서 손잡이(60)의 내부에는 제2배터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배터리는 본체(10)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2케이블(6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램프(4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Here, a second battery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handle 60 . At this time, the second batter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a second cable 62 for power and control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lamp 42 .

단, 제2배터리는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제1램프(4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제어회로에 의해 제1램프(4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However, the second battery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lamp 42 by a power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first lamp 42 can be operated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less than the cutoff capacity. .

이를 위해 손잡이(60)의 일면에는 제2배터리의 전력이 제1램프(42)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전원스위치(61)가 마련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ower switch 61 that a user presses and operates so that power from the second battery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lamp 42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60 .

그리고 손잡이(60)에는 제2배터리의 잔류 용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2배터리의 잔류 용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서로 다른 색상의 컬러빛으로 발광하는 3색(RGB) LED(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on the handle 60, there are three color (RGB) LEDs (not shown) that emit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second battery in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second battery. can be embedded.

단, 3색 LED의 컬러빛이 손잡이(60)의 외부로 확실하게 표출되도록 전원스위치(61)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3색 LED의 컬러빛이 전원스위치(61)를 투과하여 외부로 비춰지도록 손잡이(60)의 내부에는 손잡이(6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곡선 형상의 확산판(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However, the power switch 61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so that the color light of the three-color LED is clearly expressed to the outside of the handle 60. In addition, a curved diffusion plate (not shown)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60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handle 60 so that the color light of the three-color L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switch 61 and shines to the outside. there is.

한편,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에 내장되어 가스센서(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가스 측정값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및 관제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면서 가스 측정값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비상신호와 함께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및 관제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in the drawing, the gas measurement value, which is built into the main body 10 and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gas sensor 20,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trol server, and the gas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is, a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o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server together with an emergency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for prompt response when an emergency occurs.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other embodiments variously modified therefrom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ly modified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 본체
11: 조작스위치
12: 제1잔량표시램프
13: 제2잔량표시램프
20: 가스센서
21: 제1가스센서
22: 제2가스센서
23: 제3가스센서
24: 제4가스센서
30: 버저
40: 발광모듈
41: 케이싱
42: 제1램프
43: 제2램프
45: 제1케이블
451: 제1a케이블
452: 제1b케이블
453: 제1c케이블
46: 걸림홈
50: 연결홀더
51: 홀더몸체
52: 구속단
53: 체결수단
54: 밀착고정단
55: 좌우회동암
56: 힌지봉
57: 연결대
58: 탈착구
581: 상하회동암
582: 수용관
583: 슬라이딩봉
584: 걸림단
585: 탄성부재
60: 손잡이
61: 전원스위치
62: 제2케이블
10: body
11: operation switch
12: 1st remaining amount display lamp
13: 2nd remaining amount display lamp
20: gas sensor
21: first gas sensor
22: second gas sensor
23: third gas sensor
24: 4th gas sensor
30: buzzer
40: light emitting module
41: casing
42: first lamp
43: second lamp
45: first cable
451: firsta cable
452: first b cable
453: 1c cable
46: catch groove
50: connection holder
51: holder body
52: Redeemer
53: fastening means
54: close fixing end
55: left and right rotation arm
56: hinge rod
57: connecting rod
58: dismount
581: up and down round rock
582: reception tube
583: sliding bar
584: hanging stage
585: elastic member
60: handle
61: power switch
62: second cable

Claims (7)

제1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밀폐 상황에서 질식사고를 유발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비상알림을 출력하는 버저;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1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작업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하는 제1램프와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대피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제2램프가 구비되는 발광모듈;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홀더; 및
상기 연결홀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연결홀더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부로 파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 body in which a first battery is provided;
a gas sens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powered by the first battery, and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a gas causing an accident of asphyxiation in an airtight situation;
a buzz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powered by the first battery, and outpu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gas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first lamp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first cable for power and control, operates with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for work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a light emitting module equipped with a second lamp that emits light to indicate an evacuation situa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holder detachably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 working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andle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hold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connection holder and having a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th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더는
일측과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결합에 따라 상기 손잡이의 단부를 삽입 구속하여 연결하는 구속단;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밀착고정단;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 타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회동암;
상기 좌우회동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힌지봉이 구비되는 연결대; 및
상기 힌지봉에 각각 상하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holder
A holder body to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detachably coupled;
a restraint end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der body and inserting and restraining an end portion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holder body;
A contact fixing e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and detachably fixed via a fasten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pair of left and right pivot arm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to be angularly adjus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necting rod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pivoting arms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inge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working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는
상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기설정된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발광 가능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mp
A work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to emit light only w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t-off capac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2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상기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상기 제1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제2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3,
It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second cable for power and control, and is controlled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lamp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is less than the cutoff capacity. 2 A working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발광모듈을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가능하도록 우측 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모듈 한 개와 좌측 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모듈 한 개를 각각 상기 본체와 병열로 연결하는 제1a케이블과, 좌측 열에 위치한 상기 발광모듈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b케이블과, 우측 열에 위치한 상기 발광모듈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c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able is
One light emitting module of any one of the right column and one light emitting module of any one of the left column are respectively arrang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with the main body as the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1a cable connecting the main body in parallel, a 1b cabl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s located in the left column in series, and a 1c cable sequential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modules located in the right column in series. Work lighting unit with gas detec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손잡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결홀더로부터 모두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밸트 또는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에 거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거치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handle, respectively,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handle are all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older, a safety belt worn by the user on the upper body or a ceiling or wall surface of a workplace or a workplace A working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제1램프와 상기 제2램프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고, 상기 제1램프와 상기 제2램프가 상하 3열로 배치되며, 제1열과 제3열에 상기 제1램프가 배치되고 나머지 제2열에 상기 제2램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odule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the first lamp and the second lamp are arranged in three rows, the first lamp i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nd the third column, and the remaining lamps are arranged in three rows. A working lighting device with a gas det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amp is disposed in two columns.
KR1020210156963A 2021-11-15 2021-11-15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KR102638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en) 2021-11-15 2021-11-15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en) 2021-11-15 2021-11-15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15A true KR20230070915A (en) 2023-05-23
KR102638240B1 KR102638240B1 (en) 2024-02-16

Family

ID=8654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en) 2021-11-15 2021-11-15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30A (en) * 2007-07-19 2009-01-22 (주)맨 텍 An emergency flashlight
KR101954958B1 (en) *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LED lantern for camping
KR20190000693U (en) * 2017-09-08 2019-03-18 (주)삼정물산 Safety helmet equipped with removable lighting units
KR102171493B1 (en) 2019-01-17 2020-10-29 문수진 Work safe vest including strip type smart led device based on i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30A (en) * 2007-07-19 2009-01-22 (주)맨 텍 An emergency flashlight
KR101954958B1 (en) *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LED lantern for camping
KR20190000693U (en) * 2017-09-08 2019-03-18 (주)삼정물산 Safety helmet equipped with removable lighting units
KR102171493B1 (en) 2019-01-17 2020-10-29 문수진 Work safe vest including strip type smart led device based on i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40B1 (en)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751B1 (en) Safety cap with multi-function and safety supervision system in work
US8122763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US8091422B2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US4668940A (en) Portable hazard warning apparatus
CA241327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detector
US6198400B1 (en) Portable gas detection and/or monitoring apparatus for a hostile environment
US8643360B1 (en) In-water voltage gradient detector
US20080066748A1 (en) Breathing Gas Supply Visual Broadcast Apparatus and Method
SA08290550B1 (en) Light Sensing Pull Station
WO2018124422A1 (en) Multipurpose lantern for disaster safety
KR200454894Y1 (en) Multifunctional Smoke Lantern
KR20230070915A (en) 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GB2527758A (en) Wearable safety sensor
KR20110070312A (en) Movable gas warning unit
CN113876063A (en) Multifunctional reflective clothes
US20110134657A1 (en) Light-pipe base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signaling light
ES2966750T3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9048569A1 (en) Optical display apparatus for breathing gas reserve in a tank
EP3498093B1 (en) A fishing appliance and a fishing accessory
TWM480129U (en) Emergency indication lamp device
AU644845B2 (en) Self-contained apparatus for emergency lighting incorporating alarm systems for fire, gas and the like
CN213021721U (en) Power dispatch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alarm device
KR101711194B1 (en) Alarm devices of gas detection for fireman
CN221014269U (en) Intelligent fire-extinguishing rescue shield
CN215415281U (en) Cable tunnel gas monitoring device based on safety illu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