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723A -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723A
KR20230069723A KR1020210156032A KR20210156032A KR20230069723A KR 20230069723 A KR20230069723 A KR 20230069723A KR 1020210156032 A KR1020210156032 A KR 1020210156032A KR 20210156032 A KR20210156032 A KR 20210156032A KR 20230069723 A KR20230069723 A KR 2023006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ld
pressing block
grain material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희수
Original Assignee
곽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희수 filed Critical 곽희수
Priority to KR102021015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723A/en
Publication of KR2023006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7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는,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이 형성된 제1 성형틀과, 제1 성형틀에 결합되며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이 형성되어 제1 성형틀과 함께 뻥튀기 용기가 성형되는 용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2 성형틀과, 뻥튀기 용기의 재료가 되는 곡물재료를 공급받아 압력을 가하며 가열하여 용기성형공간으로 공급하는 가압가열유닛, 및 가압가열유닛과 용기성형공간 사이를 개폐하여 곡물재료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is provided.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uffed ric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lding mold in which a lower shape of a puffed rice container is formed, and a fried container coupled to the first mold and formed with an upper shape of the puffed ric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A second molding mold for forming a container forming space in which is formed, a pressurized heating unit that receives and pressurizes and heats the grain material to be the material of the popping container, and supplies it 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nd between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grain materials by opening and closing.

Description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Puffed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본 발명은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샐러드, 디저트와 같은 음식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fried dumplings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can easily contain foods such as salads and desserts.

일반적으로, 뻥튀기라 함은 쌀, 보리, 옥수수 등의 곡물을 가열하여 튀겨낸 과자의 일종으로, 밀폐된 금형틀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금형틀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금형틀을 개방하면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곡물이 급속 팽화(膨化)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뻥튀기를 제조하는 장치는 통상, 본체부, 본체부에 마련되며 가열부를 포함하여 곡물을 가열하여 튀겨내는 금형부, 금형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 및 곡물공급부와 금형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금형부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곡물을 공급받는 하부금형과, 구동부에 의해 승강하여 하부금형과 결합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한다.In general, puffed rice is a type of confectionery made by heating and frying grains such as rice, barley, and corn. When the mold is opened while the pressure inside the mold is increased by putting the grain in a closed mold and heating it, the pressure It is manufactured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grain is rapidly expanded by being lowered in an instant. An apparatus for producing such a puff pastry is usually provided in a body part, a mold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heating part to heat and fry grains, a grain supply part for supplying grain to the mold part, and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grain supply part and the mold part. It is configured, and the mold unit includes a lower mold fixed at a certain position and supplied with grain, and an upper mold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a driving unit and combined with the lower mold.

한편, 뻥튀기는 칼로리가 낮고 소화가 잘되며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이 커 식사 대용이나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뻥튀기 위에 샐러드, 아이스크림, 케이크 등의 음식을 올려 음식뿐만 아니라 뻥튀기도 함께 먹는 플레이팅(plating)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로 제조된 뻥튀기는 곡물의 팽창 과정에 의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고르지 못하여 음식을 담는데 불편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puffed rice is low in calories, easy to digest, and has a high sense of satiety even in small amounts, so it is in the spotlight as a meal replacement or diet food. The plating method is gaining popularity. However, the surface of the fried rice prepared by the conventional device is uneven and uneven due to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grain, so it is inconvenient to hold the food.

이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fried ri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foo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198호 (2018. 08. 13.)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7198 (2018. 08. 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샐러드, 디저트와 같은 음식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capable of producing fried ri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can easily contain foods such as salads and dessert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는,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이 형성된 제1 성형틀과, 상기 제1 성형틀에 결합되며 상기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틀과 함께 상기 뻥튀기 용기가 성형되는 용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2 성형틀과, 상기 뻥튀기 용기의 재료가 되는 곡물재료를 공급받아 압력을 가하며 가열하여 상기 용기성형공간으로 공급하는 가압가열유닛, 및 상기 가압가열유닛과 상기 용기성형공간 사이를 개폐하여 상기 곡물재료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uffed ric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molding mold in which the lower shape of the puffed rice container is formed, and the upper shape of the puffed rice container is formed A second molding mold forming a container forming space in which the puffed rice container is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and pressurization to receive, pressurize and heat the grain material used as a material of the puffed rice container, and supply it 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It includes a heating unit,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hat opens and closes between the pressure heating unit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rain material.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곡물재료가 위치하는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1 가압블록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곡물재료를 가압하는 제2 가압블록, 및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2 가압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heating unit includes a first pressure block in which the grain material is located, a second pressure block that moves toward the first pressure block and presses the grain material, and the first pressure block and the second pressure block. 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may inclu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grain material.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용기성형공간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essure heating unit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상기 제1 가압블록은 상기 제1 성형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블록은 상기 제2 성형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이 결합되어 상기 용기성형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곡물재료가 가압되며 가열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block is formed i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is formed in the second mold, so that the container molding space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When the grain material is pressed, it can be heated.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2 가압블록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상의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성형틀 또는 상기 제2 성형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가 상기 제1 성형틀 또는 상기 제2 성형틀 속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가열유닛과 상기 용기성형공간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includes a cylinder-shaped partition wall surrounding the first pressing block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lding frame or the second molding frame, so that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molding frame or the second molding frame. It can be moved into the first molding die or the second molding die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용기성형공간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격벽부가 상기 곡물재료를 수용하는 재료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pressure heating un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nd the first pressure block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may form a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rain material.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성형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성형틀은 상기 격벽부와 접하는 접하는 부분에 상기 격벽부와 접촉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rrier rib portion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lding frame, and a buffer portion for mitigating a contact shock with the barrier rib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molding frame that contacts the barrier rib portion.

상기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는,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성형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상기 곡물재료가 팽창하는 순간 상기 용기성형공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ff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ing mold and the second molding mold, and the container molding space and the outside are communicated so that the grain material expands at the moment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molding space is discharged An exhaust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배기홀은, 상기 곡물재료가 팽창하며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성형틀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xhaust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mol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in material expands and moves.

상기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는,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성형공간에 접하여 상기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성형하는 성형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pp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ing mold and the second molding mold,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forming space to form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uffing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molding block can do.

본 발명에 따르면,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음식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fried ri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is recessed downward and can easily contain food.

또한, 성형블록을 이용하여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뻥튀기 용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pping container using the molding block, the puffing containe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성형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3 is an exemplary view of a molding block.
4 to 8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음식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블록을 이용하여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뻥튀기 용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fried ri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is recessed downward and can easily contain food. In addition, since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pping container using the molding block, there is a feature that the puffing containe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1)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fried ric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고, 도 3은 성형블록의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ried rice container,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molding block.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1)는 제1 성형틀(10), 제2 성형틀(20), 가압가열유닛(30), 및 개폐유닛(40)을 포함한다.The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ing mold 10, a second molding mold 20, a pressure heating unit 30, and an opening/closing unit 40.

제1 성형틀(10)은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이 형성된 금형으로, 후술할 제2 성형틀(20)과 접하는 일 면이 만입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성형틀(1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면이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으로 만입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성형틀(1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성형틀(10)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측면이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으로 만입될 수도 있다. 제1 성형틀(10)은 본체(70)에 고정 결합된다.The first mold 10 is a mold in which the lower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is formed, and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ld 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ecessed.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first mold 10 is disposed horizontally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indented into the lower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mold 1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 For example, the first mold 10 may be disposed vertically so that the side surface is recessed into the lower shape of the fried rice container. The first mold 10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70 .

본체(70)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1)의 외형(外形)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후술할 제1 구동부(60a)와 제2 구동부(60b), 및 호퍼(7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0)는 외측부에 만입된 팝핑공간(70a)이 형성되며, 팝핑공간(70a)은 본체(70) 외측에 형성되어 수용공간과 분리되되 제1 구동부(60a)가 관통하는 관통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성형틀(10)이 팝핑공간(70a)으로 돌출되게 본체(7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성형틀(10)은 팝핑공간(70a)으로 돌출되지 않게 본체(7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70) 외측부에 팝핑공간(70a)이 형성된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체(7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main body 7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accommod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60a, the second driving unit 60b, and the hopper 71 to be described later therein. It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member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not shown) is formed. The main body 70 has a popping space 70a recessed in the outer portion, and the popping space 70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70 and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driving unit 60a passes (shown).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In the drawing, the first molding die 10 is shown as being coupled to the main body 70 so as to protrude into the popping space 70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the first molding die 10 may have a popping space ( 70a)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70 without protruding.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fact that the popping space 70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70, and the shape of the body 70 may be variously modified.

제2 성형틀(20)은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이 형성된 금형으로, 제1 성형틀(10)과 접하는 일 면이 만입되어 제1 성형틀(10)과 함께 뻥튀기 용기가 성형되는 용기성형공간(도 6의 A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 성형틀(20)이 제1 성형틀(1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면이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으로 만입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성형틀(20)의 배치는 제1 성형틀(10)의 배치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성형틀(20)은 제1 성형틀(10)과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측면이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으로 만입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이 각각 수평하게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mold 20 is a mold in which the upper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is formed, and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molding mold 10 is indented to form a container forming space ( see A in FIG. 6).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second mold 2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mold 10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recessed into the upper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mold 20 The arrangement may be variously modifi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mold 10 . For example, the second mold 20 may be disposed vertically like the first mold 10 so that the side surface is indented in the upper shape of the fried rice container.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mold 20 are horizontally arranged and arranged side by side will be described with more emphasis.

제2 성형틀(20)은 제1 구동부(60a)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여 제1 성형틀(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용기성형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60a)가 제2 성형틀(20)을 하강시키면,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이 결합되어 밀폐된 용기성형공간(A)을 형성하고, 제1 구동부(60a)가 제2 성형틀(20)을 상승시키면,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이 분리되어 용기성형공간(A)이 개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구동부(60a)가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제2 성형틀(20)을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구동부(60a)의 구동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mold 2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driving unit 60a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mold 10 to form a container forming space A. For example, when the first driving unit 60a lowers the second mold 20,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mold 20 are coupled to form a sealed container molding space A. Then, when the first driving unit 60a lifts the second mold 20,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mold 20 are separated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may be opened. Although the first driving unit 60a is illustrated as driving the second mold 20 in a hydraulic cylinder method in the drawing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first driving unit 60a may be variously modified.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성형블록(50)이 설치될 수 있다. 성형블록(50)은 용기성형공간(A)에 접하여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성형하거나 뻥튀기 용기의 형상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성형블록(50)의 형상은 한정될 것은 아니나, 용기 형태의 뻥튀기가 제조될 수 있도록 제1 성형틀(10)에 설치된 성형블록(50)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성형틀(20)에 설치된 성형블록(50)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 중 적어도 하나에 성형블록(50)이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뻥튀기 용기의 형상을 바꾸거나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글씨, 상표, 도형 등을 성형할 수 있어 뻥튀기 용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뻥튀기 용기의 형상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의 성형블록(50)을 제1 성형틀(10) 또는 제2 성형틀(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글씨, 상표, 도형 등을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가 새겨진 성형블록(50)을 제1 성형틀(10) 또는 제2 성형틀(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글씨, 상표, 도형 등을 성형할 경우, 음식을 담았을 때 심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molding block 5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mold 20 . The molding block 50 is for forming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opping container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or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puffing container, the first molding mold 10 and the second molding mold 20 )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m. The shape of the molding block 50 is not limited, but the molding block 50 installed in the first molding mold 10 is formed in a downward concave shape so that container-shaped puffs can be manufactured, and the second molding mold The molding block 50 installed in (20) may be formed in a convexly protruding shape downward. By installing the molding block 50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ing mold 10 and the second molding mold 20, the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can be changed as needed or letters, trademarks, figures, etc. Since it can be molded, the poppy containe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when trying to change the shape of the popping container, the user may change the molding block 50 of a different shape to the first mold 10 or the second mold (as shown in FIG. 3 (a)). 20) can be combined. In addition, when forming letters, trademarks, figures, etc. on the surface of the popping container, the user, as shown in (b) of FIG. (10) o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ld (20). In this way, when letters, trademarks, figures, etc. are molded on the surface of the puffed rice container, not only the aesthetic sense is improved when food is contained, but also the advertising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뻥튀기 용기의 재료가 되는 곡물재료(p)는 통 형상의 호퍼(71)에 저장되고, 호퍼(71)에는 곡물재료(p)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장치(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호퍼(71)에서 곡물재료(p)가 배출되는 개구부(도면부호 미도시)와 인접한 일 측에는 호퍼(71)에서 배출된 곡물재료(p)를 후술할 가압가열유닛(30)으로 공급하는 재료이송유닛(72)이 마련될 수 있다. 재료이송유닛(72)은 개방된 중앙에 곡물재료(p)를 담는 링 형상의 수용부(72a)와, 수용부(72a) 하부를 개폐하는 판 형상의 받침부(72b)를 포함하며, 수용부(72a)와 받침부(72b)는 동일 축(72c) 상에 모터, 기어, 체인 등의 구조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곡물재료(p)를 수용, 이동 및 낙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71)에서 배출된 곡물재료(p)를 수용하여 공급위치로 이동시킬 때, 수용부(72a)와 받침부(72b)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같이 회동하고, 공급위치로 이동하면, 받침부(72b)만 회동하여 수용부(72a)에 담긴 곡물재료(p)를 낙하시킬 수 있다. 곡물재료(p)가 낙하하면, 수용부(72a)도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이송유닛(72)이 동일 축(72c)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용부(72a)와 받침부(72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재료이송유닛(72)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ain material (p),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frying container, is stored in a tubular hopper 71, and the hopper 7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reference numeral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grain material (p) It can be. In addition, at one side adjacent to the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the grain material (p) is discharged from the hopper 71, the grain material (p) discharged from the hopper 71 is supplied to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 material transfer unit 72 may be provided. The material transfer unit 72 includes a ring-shaped accommodating portion 72a containing grain material p in the open center and a plate-shaped receiving portion 72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The portion 72a and the supporting portion 72b are independently rotatably coupled to a structure such as a motor, gear, chain, etc. on the same shaft 72c to accommodate, move, and drop the grain material p. For example, when accommodating the grain material p discharged from the hopper 71 and moving it to the supply position, the accommodating part 72a and the supporting part 72b rotate together in an overlapping state, and move to the supply position When moved, only the supporting portion 72b can be rotated to drop the grain material p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When the grain material (p) falls,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can also be rotated and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However, the material transfer unit 72 is not limited to includ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and the supporting portion 72b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dependently on the same shaft 72c, and the material transfer unit 72 The structure of can be variously modified.

가압가열유닛(30)은 곡물재료(p)를 공급받아 압력을 가하며 가열하여 용기성형공간(A)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곡물재료(p)가 위치하는 제1 가압블록(31)과, 제1 가압블록(31)을 향하여 이동하여 곡물재료(p)를 가압하는 제2 가압블록(32), 및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곡물재료(p)를 가열하는 열선 등의 가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가열유닛(30)은 용기성형공간(A) 내측에 위치하여, 제1 가압블록(31)은 제1 성형틀(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가압블록(32)은 제2 성형틀(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이 결합되어 용기성형공간(A)이 형성될 때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이 서로 접하여 곡물재료(p)가 가압되며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가열유닛(30)이 용기성형공간(A)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압가열유닛(30)은 용기성형공간(A)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압가열유닛(30)이 용기성형공간(A)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 및 가열부(33)에 의해 가압 및 가열된 곡물재료(p)를 분사 등의 방식으로 용기성형공간(A) 내부로 공급할 수도 있다. 가압가열유닛(30)이 곡물재료(p)를 가압 및 가열하여 용기성형공간(A)으로 공급하면, 개폐유닛(40)이 동작할 수 있다.The pressure heating unit 30 receives the grain material (p), applies pressure and heats it, and supplies it 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 second pressing block 32 that moves toward the pressing block 31 and pressurizes the grain material p, and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so that the grain material ( It may include a heating unit 33 such as a hot wire for heating p).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i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the first pressure block 3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pressure block 32 is 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mold 20 .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molding mold 10 and the second molding mold 20,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grain materials. (p) may be pressurized and heated. However,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30 is not limited to being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if necessary,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30 may be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Wh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is located out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the grain material pressurized and heated by the first pressure block 31, the second pressure block 32, and the heating unit 33 ( p) may be supplied in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in a manner such as spraying. Wh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pressurizes and heats the grain material p and supplies it 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the opening/closing unit 40 can operate.

개폐유닛(40)은 가압가열유닛(30)과 용기성형공간(A) 사이를 개폐하여 곡물재료(p)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 구동부(60b)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개폐유닛(40)은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상의 격벽부(41)를 포함하며, 제1 성형틀(10) 또는 제2 성형틀(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격벽부(41)가 제1 성형틀(10) 또는 제2 성형틀(20) 속으로 이동하여 가압가열유닛(30)과 용기성형공간(A)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이하, 개폐유닛(40)이 제1 가압블록(31)을 둘러싸는 격벽부(41)를 포함하여 제1 성형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grain material p by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may be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unit 60b. The opening/closing unit 40 includes a cylinder-shaped partition wall portion 41 surrounding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and the first molding mold 10 or the second molding mold 20 ) is slidably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to move into the first mold 10 or the second mold 20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can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ld 10 by including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surrounding the first pressing block 31 will be described with more emphasis.

개폐유닛(40)은 제1 성형틀(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격벽부(41)가 제1 성형틀(10) 속으로 이동하며 가압가열유닛(30)과 용기성형공간(A)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부(60b)가 개폐유닛(40)을 상승시키면, 격벽부(41)가 상승하여 가압가열유닛(30)과 용기성형공간(A)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격벽부(41)는 제1 성형틀(10)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성형틀(20)에 설치된 완충부(21)와 접할 수 있다. 완충부(21)는 탄성부재, 실린더 등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격벽부(41)와 접하는 제2 성형틀(20)의 내측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격벽부(41)와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격벽부(41)가 상승하면, 가압가열유닛(30)은 용기성형공간(A) 중앙에 위치하여 제1 가압블록(31)과 격벽부(41)가 곡물재료를 수용하는 재료수용공간(3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재료수용공간(30a)은 격벽부(41)가 상승하였을 때 용기성형공간(A)과 구획되고, 격벽부(41)가 하강하면 용기성형공간(A)과 연통될 수 있다. 재료수용공간(30a)에 수용된 곡물재료(p)는 가열부(33)에 의해 가열되고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 및 격벽부(4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부(60b)가 개폐유닛(40)을 하강시키면, 격벽부(41)가 하강하여 가압가열유닛(30)과 용기성형공간(A) 사이가 개방될 수 있다. 격벽부(41)가 하강함에 따라, 재료수용공간(30a)과 용기성형공간(A)이 연통되며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가열 및 가압된 곡물재료(p)가 용기성형공간(A)을 따라 이동하며 용기성형공간(A)의 형상으로 급속 팽창할 수 있다. 제1 성형틀(10)과 제2 성형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용기성형공간(A)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홀(11)이 형성되므로, 곡물재료(p)가 팽창하는 순간 용기성형공간(A) 내부의 공기가 배기홀(1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기홀(11)은 곡물재료(p)가 팽창하며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성형틀(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용기성형공간(A) 내부에서 곡물재료(p)가 팽창하여 형성된 뻥튀기 용기는 일부가 조각 형태로 배기홀(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배기홀(11)에 삽입된 뻥튀기 용기 조각은 제2 구동부(60b)에 의해 격벽부(41)가 다시 상승함에 따라 뻥튀기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뻥튀기 용기로부터 분리된 배기홀(11) 내의 뻥튀기 조각은 다음 곡물재료(p)의 팽창 공정 시 배기홀(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배기홀(1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4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ld 10 so that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moves into the first mold 10, and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30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re formed. You can open and close between them.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60b raises the opening/closing unit 40, the partition wall 41 rises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can be sealed.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may slide upward from the first mold 1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buffer part 21 installed on the second mold 20 . The buffer part 21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cylinder, etc., and at least one is installed in the inner part of the second mold 20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41 to reduce contact impact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41. can alleviate When the bulkhead part 41 rises,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the first pressure block 31 and the partition wall part 41 accommodate the grain material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30a. ) can be formed. That is,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30a may be partitioned from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rises, and communicate with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descends. Grain material (p)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30a) can be heated by the heating unit 33 and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and partition wall portion 41 there is.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60b lowers the opening/closing unit 40, the partition wall 41 lowers, so that a space between the pressure heating unit 30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can be opened. As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descends, the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30a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ressure is instantly lowered so that the heated and pressurized grain material p moves along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can be rapidly expanded 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Since at least one exhaust hole 11 communicating with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the outsid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second mold 20, the grain material p expands. Instantaneous air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 More specifically, the exhaust hole 11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mold 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in material p expands and moves. A portion of the popping container formed by expanding the grain material (p) in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may be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11 in the form of a piece, and the piece of the popping container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1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s the partition wall part 41 rises again by the driving part 60b,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rying container. The puffed rice pieces in the exhaust hole 11 separated from the puffed ric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hole 11 by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 during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next grain material (p).

도면 상에는 제2 구동부(60b)가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개폐유닛(40)을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구동부(60b)의 구동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second driving unit 60b drives the opening/closing unit 40 in a hydraulic cylinder metho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second driving unit 60b may be variously modified.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the operation of the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 내지 도 8은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4 to 8 are ope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1)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음식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의 뻥튀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블록(50)을 이용하여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뻥튀기 용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container-shaped fried rice that is recessed downward and can easily contain food. In addition, since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pping container using the molding block 50, the puffing container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호퍼(71)로부터 배출된 곡물재료(p)는 서로 중첩된 수용부(72a)와 받침부(72b) 사이에 수용되고, 수용부(72a)와 받침부(72b)는 중첩된 상태로 같이 회동하여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 사이의 공급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격벽부(41)는 제1 성형틀(10)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가압블록(31)과 함께 재료수용공간(30a)을 형성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grain material (p) discharged from the hopper 71 is accommoda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and the supporting portion 72b overlapping each other,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and the supporting portion 72b ) rotates together in an overlapping state and moves to a supply position between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may slide upward from the first mold 10 to form a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30a together with the first pressing block 31 .

곡물재료(p)가 공급위치로 이동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72b)만 회동하여 수용부(72a)에 담긴 곡물재료(p)를 재료수용공간(30a)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곡물재료(p)가 재료수용공간(30a)으로 낙하하면, 수용부(72a)도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When the grain material (p) moves to the supply position, as shown in FIG. 5, only the supporting portion (72b) rotates to drop the grain material (p)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into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30a) can When the grain material (p) falls into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30a), the accommodating portion (72a) can also be rotated and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곡물재료(p)가 재료수용공간(30a)에 수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성형틀(20)이 하강하여 제1 성형틀(10)과 결합되며 용기성형공간(A)을 형성하고, 이 때, 완충부(21)는 격벽부(41)와 접하며 압축될 수 있다. 제2 성형틀(20)이 제1 성형틀(1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가압블록(31)과 제2 가압블록(32)이 서로 접하여 재료수용공간(30a)에 수용된 곡물재료(p)를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열부(33)가 동작하여 곡물재료(p)를 가열할 수 있다.When the grain material (p) is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receiving space (30a), as shown in Figure 6, the second mold 20 is lowered and combined with the first mold 10, container forming space (A) At this time, the buffer part 2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41 and be compressed. As the second molding mold 20 is coupled to the first molding mold 10, the first pressing block 31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3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accommodate grain materials (p) accommodated in the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30a. )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the heating unit 33 operates to heat the grain material (p).

곡물재료(p)가 가압 및 가열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41)가 하강하면, 재료수용공간(30a)과 용기성형공간(A)이 연통되며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가열 및 가압된 곡물재료(p)가 용기성형공간(A)을 따라 이동하며 용기성형공간(A)의 형상으로 급속 팽창할 수 있다. 곡물재료(p)가 팽창될 때 용기성형공간(A) 내부의 공기는 배기홀(11)을 통해 배출되고, 곡물재료(p)가 팽창하여 형성된 뻥튀기 용기는 일부가 조각 형태로 배기홀(11)에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the grain material (p) is pressurized and heated,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descends, the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30a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re communicated and the pressure is instantly lowered. The heated and pressurized grain material (p) can move along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rapidly expand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When the grain material (p) is expanded,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 and the popping container formed by the expansion of the grain material (p) is partially in the form of a piece through the exhaust hole (11). ) can be inserted into

곡물재료(p)가 팽창하여 뻥튀기 용기가 제조되면, 제2 성형틀(20)이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격벽부(41)도 제1 성형틀(10)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격벽부(41)가 상승함에 따라, 뻥튀기 용기가 용기성형공간(A)으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배기홀(11)에 삽입된 뻥튀기 용기 조각이 뻥튀기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뻥튀기 용기로부터 분리된 배기홀(11) 내의 뻥튀기 조각은 다음 곡물재료(p)의 팽창 공정 시 배기홀(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배기홀(1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grain material (p) expands and the popping container is manufactured, the second mold 20 rises and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can also slide upward from the first mold 10 . As the partition wall portion 41 rises, the puff pastry container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 and at the same time, the puff pastry container pieces inserted into the exhaust hole 11 can be separated from the puff pastry container. The puffed rice pieces in the exhaust hole 11 separated from the puffed ric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hole 11 by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hole 11 during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next grain material (p).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10: 제1 성형틀 11: 배기홀
20: 제2 성형틀 21: 완충부
30: 가압가열유닛 30a: 재료수용공간
31: 제1 가압블록 32: 제2 가압블록
33: 가열부 40: 개폐유닛
41: 격벽부 50: 성형블록
60a: 제1 구동부 60b: 제2 구동부
70: 본체 70a: 팝핑공간
71: 호퍼 72: 재료이송유닛
72a: 수용부 72b: 받침부
A: 용기성형공간 p: 곡물재료
1: Fried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10: first mold 11: exhaust hole
20: second mold 21: buffer part
30: pressurized heating unit 30a: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31: first pressing block 32: second pressing block
33: heating unit 40: opening and closing unit
41: bulkhead part 50: molding block
60a: first driving unit 60b: second driving unit
70: body 70a: popping space
71: hopper 72: material transfer unit
72a: accommodating part 72b: supporting part
A: container forming space p: grain material

Claims (10)

뻥튀기 용기의 하부 형상이 형성된 제1 성형틀;
상기 제1 성형틀에 결합되며 상기 뻥튀기 용기의 상부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틀과 함께 상기 뻥튀기 용기가 성형되는 용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2 성형틀;
상기 뻥튀기 용기의 재료가 되는 곡물재료를 공급받아 압력을 가하며 가열하여 상기 용기성형공간으로 공급하는 가압가열유닛, 및
상기 가압가열유닛과 상기 용기성형공간 사이를 개폐하여 상기 곡물재료의 이동을 제어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 first molding mold in which the lower shape of the fried rice container is formed;
a second mold coupled to the first mold and forming a container forming space in which the puff pastry container is molded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by forming an upper shape of the puff pastry container;
A pressurized heating unit that receives the grain material that is the material of the frying container, applies pressure and heats it, and supplies it to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nd
Puffed ric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grain material by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곡물재료가 위치하는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1 가압블록을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곡물재료를 가압하는 제2 가압블록, 및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2 가압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heating unit,
A first pressing block in which the grain material is located;
A second pressing block for pressing the grain material by moving toward the first pressing block, and
Puffed ric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ing block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to heat the grain materi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용기성형공간 내측에 위치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ure heating unit is a fry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forming spa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블록은 상기 제1 성형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블록은 상기 제2 성형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이 결합되어 상기 용기성형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곡물재료가 가압되며 가열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pressing block is formed i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is formed in the second mold,
Wh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re combined to form the container forming space, the grain material is pressurized and heat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제2 가압블록을 둘러싸는 실린더 형상의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성형틀 또는 상기 제2 성형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격벽부가 상기 제1 성형틀 또는 상기 제2 성형틀 속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가열유닛과 상기 용기성형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t includes a cylindrical partition wall surrounding the first pressing block and the second pressing block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mold or the second mold,
The bulkhead portion moves into the first mold or the second mold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pressurized heating unit and the container forming spa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가열유닛은,
상기 용기성형공간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압블록과 상기 격벽부가 상기 곡물재료를 수용하는 재료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ure heating unit,
A frying pan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space and forming a material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rain material in the first pressing block and the partition wal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 성형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성형틀은 상기 격벽부와 접하는 접하는 부분에 상기 격벽부와 접촉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가 형성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barrier rib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mold to be slidably movable,
The second molding mold is a popp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a buffer part for relieving contact shock with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성형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상기 곡물재료가 팽창하는 순간 상기 용기성형공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을 더 포함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ing mold and the second molding mold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molding space to the moment the grain material expands,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ontainer molding space is discharged. container manufacturing equipmen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은,
상기 곡물재료가 팽창하며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성형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haust hole,
Puff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med by penetrating the first mol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in material expands and mov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틀과 상기 제2 성형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성형공간에 접하여 상기 뻥튀기 용기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성형하는 성형블록을 더 포함하는 뻥튀기 용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nd further comprises a molding block for forming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puff pastry container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forming space.
KR1020210156032A 2021-11-12 2021-11-12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KR202300697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32A KR20230069723A (en) 2021-11-12 2021-11-12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032A KR20230069723A (en) 2021-11-12 2021-11-12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23A true KR20230069723A (en) 2023-05-19

Family

ID=8654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032A KR20230069723A (en) 2021-11-12 2021-11-12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72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98Y1 (en) 2017-09-15 2018-09-20 장주성 Rice Puffs Manufactur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98Y1 (en) 2017-09-15 2018-09-20 장주성 Rice Puffs Manufactur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2935C (en) Production of expanded food crackers
JP4210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veloping food
KR100774998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KR100571883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ES2421129T3 (en) Blowing apparatus to produce cereal biscuits
US7444928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JP4260216B1 (en) Food molding equipment
KR200441626Y1 (en) Popping Grain Apparatus
WO1998026673A1 (en) Popcorn cake machine
KR2023006972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uffed snack container
KR200487198Y1 (en) Rice Puffs Manufacturing Equipment
KR100943210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JP4996965B2 (en) Heat sealing equipment
US11191294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food products with improved hydraulic controls
JP7193279B2 (en) rice ball forming machine
KR19990079239A (en) Food automatic popping device
KR101983646B1 (en) Manufacturing system for tarte using 3D printer
KR200166795Y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fresh noodles
JP4579280B2 (en) Stamping device for cooked rice food
KR200441897Y1 (en) Mold for producing popped rice and device for producing popped rice using the same
US11589606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food products with improved heating components
CN219844997U (en) Air baking equipment
CA2506488C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JP2004313072A (en) Food-forming machine
KR20230143324A (en) Dual crackers manufact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