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522A -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522A
KR20230069522A KR1020210155633A KR20210155633A KR20230069522A KR 20230069522 A KR20230069522 A KR 20230069522A KR 1020210155633 A KR1020210155633 A KR 1020210155633A KR 20210155633 A KR20210155633 A KR 20210155633A KR 20230069522 A KR20230069522 A KR 2023006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area
optical lens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용
강병권
배재철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9522A/ko
Priority to PCT/KR2022/017902 priority patent/WO2023085891A1/ko
Priority to US17/986,576 priority patent/US20230157105A1/en
Publication of KR2023006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UDC(under display camera)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픽셀층; 및 배선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층은, 제 1 굴절율을 갖는 복수 개의 투명 배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 2 굴절율을 갖는 제 1 물질;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 3 굴절율을 갖는 제 2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UDC(under display camera)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같이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한편, 광학 렌즈 모듈(또는 광학 장치), 예를 들어, 이미지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필름(film) 방식의 광학 렌즈 모듈이 주를 이루었다면, 근자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고체 이미지 센서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고체 이미지 센서(CCD 또는 CMOS)를 채용한 광학 렌즈 모듈은, 필름 방식의 광학 렌즈 모듈에 비해, 이미지의 저장과 복제, 이동이 용이하여 점차 필름 방식의 광학 렌즈 모듈을 대체하고 있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광학 렌즈 모듈에 복수 개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렌즈 모듈(예: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은, 예를 들면, 낮은 F 수, 적은 수차를 가짐으로써, 더 높은 품질(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낮은 F 수, 적은 수차를 얻기 위해서는, 예컨대, 높은 해상도와 밝은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렌즈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광학 렌즈 모듈은 대체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촬영에 특화된 전자 장치에 사용되어 왔으나, 휴대용 무선 단말, 노트 PC,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의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도 탑재되고 있다. 상술한 광학 렌즈 모듈은 근자에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고성능의 광학 렌즈 모듈은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장치의 구매를 유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가 점점 더 소형화되는 추세와 달리,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 렌즈 모듈의 사양은 더 높아지고 있다. 광학 렌즈 모듈의 사양이 더 높아짐에 따라 광학 렌즈 모듈에 포함되는 렌즈의 개수는 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광학 렌즈 모듈의 종류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각(wide), 초광각(ultra wide), 망원(tele)과 같은 다양한 화각을 가진 광학 렌즈 모듈뿐만 아니라, 지문 또는 홍채 인식을 하거나,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광학 렌즈 모듈도 채용되고 있다.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 어셈블리와, 이러한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 광학 렌즈 모듈, 및/또는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광학 렌즈 모듈을 전자 장치에 채용하는 경우 카메라 홀의 개수가 늘어날 수 있는데, 늘어난 카메라 홀의 개수로 인해 전자 장치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홀이 전자 장치 전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침범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카메라 홀의 존재로 인해 디스플레이 영역의 축소 및/또는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UDC(under display camera)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UDC(under display camera) 기술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렌즈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UDC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 중에서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영역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광학 렌즈 모듈이 요구하는 투과율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주변 보다 밀도가 낮은 픽셀들 및 배선들이 배치된 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투과 영역에 광 투과시 다양한 진동수(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회절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진동수(또는 주파수)를 갖는 광원들은 인접한 광원들과 회절에 의한 보강 및/또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광학 렌즈 모듈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결과로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UDC 기술을 적용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투과 영역에 유입되는 빛의 회절 특성을 조절하여 광학 렌즈 모듈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픽셀층 및 배선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 1 영역의 배면에 배치되며 제 1 굴절율을 갖는 복수 개의 투명 배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 2 굴절율을 갖는 제 1 물질;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 3 굴절율을 갖는 제 2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제 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상기 제 1 간격 보다 조밀한 제 2 간격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된 UDC(under display camera)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은 인접한 배선들을 향해 적어도 일측으로 소정 두께의 요철이 형성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UDC 구조의 디스플레이에 투명 배선을 적용하여 빛의 회절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배선에 인접하게 배치된 물질(예: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간의 굴절율 차이를 줄여, 투명 배선과 물질 간의 광학 경로차(optical path difference; OPD)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레어(flare) 발생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UDC 구조의 디스플레이에 투명 배선을 적용함에 있어서, 투명 배선의 표면에 반구 형상의 요철을 적용함으로써 빛을 산란시켜 플레어 발생 현상을 저감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부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학 렌즈 모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학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층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층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면(110A), 후면(110B), 및 전면(110A) 및 후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은, 도 1의 전면(110A), 도 2의 후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면(110B)은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유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전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 1 엣지 영역(1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후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 2 엣지 영역(1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1 엣지 영역(110D)들(또는 상기 제 2 엣지 영역(1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엣지 영역(110D)들 또는 제 2 엣지 영역(1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엣지 영역(110D)들 또는 제 2 엣지 영역(110E)들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엣지 영역(110D)들 또는 제 2 엣지 영역(110E)들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 카메라 모듈(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커넥터 홀(109))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110A), 및 상기 제 1 엣지 영역(110D)들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표면(또는 전면 플레이트(1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시각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형성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화면 표시 영역은 전면(110A), 및 제 1 엣지 영역(11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화면 표시 영역(예: 전면(110A), 제 1 엣지 영역(110D))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미도시), 발광 소자(미도시), 및 카메라 모듈(1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미도시), 카메라 모듈(305), 지문 센서(미도시), 및 발광 소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엣지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 2 엣지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예를 들면,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일부 오디오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오디오 모듈이 부가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전면(1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미도시)(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1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 및/또는 제 4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미도시),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전면(110A)(예: 디스플레이 패널(101))뿐만 아니라 후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미도시)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일부 센서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센서 모듈이 부가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10A)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모듈(105), 및 후면(110B)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모듈(112), 및/또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일부 카메라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카메라 모듈이 부가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 다른 속성(예: 화각)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예: 듀얼 카메라, 또는 트리플 카메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5, 112)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카메라 모듈(105, 112)의 화각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105, 112)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105, 112)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105, 112)들은,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또는 IR(infrared) 카메라(예: TOF(time of flight) camera, structured light camer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R 카메라는 센서 모듈의 적어도 일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OF 카메라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미도시)의 적어도 일부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110)의 후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전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또는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108, 109)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일부 커넥터 홀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커넥터 홀을 부가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도 1 이하의 도면에는 서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으로 정의되는 공간 좌표계가 도시된다. 여기서 X축은 전자 장치(100)의 폭 방향, Y축은 전자 장치(100)의 길이 방향, Z축은 전자 장치(100)의 높이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바형(bar type) 또는 평판형(plate type)의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전자 장치는 롤러블 전자 장치나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나, 또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b를 통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nder display camera)(이하, 줄여서 'UDC'라 지칭 함)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면 플레이트(102)는 '윈도우 부재(102)'로 지칭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05, 112, 113)은 '광학 렌즈 모듈(105)'로 지칭될 수 있다. 광학 렌즈 모듈(105)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전면 카메라 모듈(105)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후면 카메라 모듈(112, 113)에 대한 설명에도 준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부재(102),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광학 렌즈 모듈(105)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102)는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glass plate),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polymer plate)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상기 윈도우 부재(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외부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시인할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10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1) 사이에는 편광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표시되는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1)로 입사되는 광량에서 특정 파장의 빛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105), 및/또는 센서 모듈(미도시)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윈도우 부재(102)의 지정된 영역을 통해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픽셀의 개수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 인접한 다른 영역보다 적은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위에서 볼 때, 상기 지정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 렌즈 모듈(105) 및/또는 센서 모듈과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렌즈 모듈(105)이 상기 지정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다는 것은 광학 렌즈 모듈(105)의 화각이 상기 지정된 영역과 대응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부 센서 모듈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윈도우 부재(1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카메라 홀(10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홀(101a)은 다른 인접한 영역보다 픽셀 개수가 적은 지정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홀(101a)은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구멍(cavity), 홈(groove) 및 리세스(recess)와 같이 어떤 구성요소가 채워짐이 없이 물리적으로 비어있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픽셀 개수가 주위에 비해 적게 형성된 지정된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UDC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101a)은 시각적으로 다른 인접한 영역과 구분이 어렵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홀(101a)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광학 렌즈 모듈(105)에 포함된 렌즈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후 전자 장치(100) 제조 시, 개별 부품들의 조립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구비된 개구(101a)는 광학 렌즈 모듈(105)의 렌즈 어셈블리와 광축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102),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광학 렌즈 모듈(105)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최외곽에는 윈도우 부재(102)가 배치되고, 윈도우 부재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2)와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확대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윈도우 부재(102)의 배면에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LCD(liquid cri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감응 패널(TSP: touch sensitive panel)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디스플레이 요소로서 복수 개의 픽셀들(210, 220), 및 상기 복수 개의 픽셀들(210, 220)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배선들(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픽셀들(210, 220) 사이에는 절연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부재(10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적어도 일부가 휘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플렉서블한 폴리머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기타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105)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렌즈 모듈(105)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카메라 렌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UDC 일 수 있다. 광학 렌즈 모듈(105)은 윈도우 부재(10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렌즈를 통해 감지하여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도시되지 않음)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광학 렌즈 모듈(105)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201)과 제 1 영역(201)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202)을 포함하는 픽셀층(101-1) 및 배선층(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201)은 도 3에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의 지정된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201)은 빛이 광학 렌즈 모듈(105)로 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광 투과 영역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영역(201)과 제 2 영역(202)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에 해당될 수 있다. 제 1 영역(201)과 제 2 영역(202) 의 픽셀층(101-1)에는 복수 개의 픽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픽셀층(101-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은 봉지(encapsulation)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픽셀들 각각에는 복수 개의 기준색(예: 적색(R), 녹색(G), 청색(B))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픽셀들은 픽셀층(101-1)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동 회로(driving circuit)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픽셀들 각각에 영상 데이터(예: RGB) 신호를 전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영역(202)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20)은 제 1 영역(20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10)에 비해 보다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20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10)은 제 1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제 2 영역(202)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20)은 제 2 간격을 배치되되, 이때 제 1 간격은 제 2 간격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간격'은 제 1 영역(20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10)의 평균 간격을 의미하고, '제 2 간격'은 제 2 영역(202)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20)의 평균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영역(202)에서 복수 개의 픽셀들(220)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면적 당 차지하는 면적을 100%라고 할 때, 제 1 영역(201)에서 복수 개의 픽셀들(210)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면적 당 차지하는 면적은 3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픽셀들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제 2 영역(202)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20)에 포함된 각 픽셀의 크기보다 제 1 영역(20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10)에 포함된 각 픽셀의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제 1 영역(201)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픽셀들(210)의 개수를 다른 영역(예: 제 2 영역(202))에 비해 줄임으로써, 제 1 영역(201)의 광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UDC 기술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영역(20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면적 당 픽셀들의 밀도가 제 2 영역(20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면적 당 픽셀들의 밀도보다 낮게 형성됨에 따라, 픽셀들의 밀도가 낮게 형성된 제 1 영역(201) 중 적어도 일부에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구동 회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또는 배치)할 수도 있다.
배선층(101-2)은 픽셀층(101-1)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배선층(101-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픽셀층(101-1)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 개의 픽셀들 각각에 영상 데이터(예: RGB)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회로(driver circuit)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선층(101-2)은 구동 회로와, 상기 구동 회로를 감싸는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각 픽셀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data line)을 통해 전달하는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와 데이터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각 픽셀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각 픽셀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gaete line)을 통해 전달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또는 스캔 드라이버(scan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에 구비된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예: 박막 트랜 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acitor)(예: 스토리지 커패시터 (CST)), 및 발광 소자(예: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픽셀에 대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표시 장치에서도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개선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영역(201)에 대응하는 위치의 배선층(101-2)에는 복수 개의 배선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배선들은 상기 데이터 라인(data line) 및/또는 게이트 라인(gate line)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은 서로 교차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픽셀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영역(201) 상에서 복수 개의 픽셀들과 복수 개의 배선들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overlapped)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영역(201)의 복수 개의 픽셀들을 통과한 빛은 복수 개의 배선들을 통과해 광학 렌즈 모듈(105)로 입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선층(101-2) 상의 복수 개의 배선들을 투명 배선(23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선들을 투명 배선(230)으로 형성함으로써 광학 렌즈 모듈(105)로 입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배선(230)은 산화 인듐 주석(ITO; induim tin ox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배선층(101-2) 상의 복수 개의 배선들을 투명 배선(230)으로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빛이 픽셀과 투명 배선을 통과할 때 다양한 진동수를 갖는 회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주파수가 입사되어 광원의 회절에 의한 보강 및/또는 상쇄 간섭을 통해 주파수별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가 linear 하게 형성되지 않고, 광원의 회절에 의해 주파수별 MTF가 sine wave로 출렁이는 현상(주파수가 커질수록 MTF 값이 일반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이미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하 후술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회절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층(101-2)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선층은 투명 배선(230)과 제 1 물질(24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이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반면, 제 1 물질(240)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과 제 1 물질(2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포함된 배선층(101-2) 중에서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에 해당하는 배선층(10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배선(230)은 절연층(101-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101-3)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의 픽셀들(210)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배선(230)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230)은 각각 복수 개의 픽셀들(210) 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230)은 제 1 방향(예: Z축 방향)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픽셀들(210)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물질(240)은 투명 배선(23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23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제 1 물질(240)은 투명 배선(230)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물질(240)도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물질(240)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예: X축 방향)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230)과 복수 개의 제 1 물질들(240)은 제 3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물질(240)과 투명 배선(230)은 제 1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이 제 1 굴절율(a first refractive index)을 갖도록 형성됨에 있어서, 제 1 물질(240)은 제 2 굴절율(a second refractive index)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은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차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은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에 대하여 2%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은 대략 1.9인 경우에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은 대략 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 배선(230)은 산화 인듐 주석(ITO; induim tin oxide)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제 1 물질(240)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가 해당될 수 있다. 투명 배선(230)과 함께, 투명 배선(230)과 굴절율 차가 적은 제 1 물질(240)을 투명 배선(230)과 함께 인접 배치시킴으로써 제 1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하는 광들의 광학 경로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경로 차에 따른 광 간섭을 줄여 광학 렌즈 모듈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수행한, 다양한 카메라 플레어(camera flare)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물체측으로부터 윈도우 부재(10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투과 영역(제 1 영역(201))과 대응되는 화각을 가지는 광학 렌즈 모듈(105)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에 빛이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에 상이 맺힌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을 n(A)라고 하고,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을 n(B)라고 할 때,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하는 빛의 파장별 제 1 굴절율과 제 2 굴절율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656nm 588nm 546nm 486nm 435nm
n(A) 1.765 1.827 1.868 1.928 1.987
n(B) 1.810 1.860 1.867 1.890 1.940
굴절율차의 절대값|n(A)-n(B)| 0.045 0.033 0.001 0.038 0.047
도 6의 (a)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라 [표 1]과 같은 굴절율 n(B)을 가지는 제 1 물질을 적용하였을 때, 예를 들면, 가시 광선 대역(예: 435nm ~656nm) 의 광 파장에 대한 카메라 플레어(camera flare) 현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6의 (a)의 중심에서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번짐이 발생하는 부분은 픽셀(예: 애노드(anode))일 수 있고, 도 6의 (a)의 중심으로부터 위 아래로 연장되는 선 부분은 투명 배선(23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을 n(A)라고 하고,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을 n(B)라고 할 때,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하는 빛의 파장별 제 1 굴절율과 제 2 굴절율은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
  656nm 588nm 546nm 486nm 435nm
n(A) 1.765 1.827 1.868 1.928 1.987
n(B) 1.765 1.810 1.830 1.880 1.910
굴절율차의 절대값|n(A)-n(B) | 0.000 0.017 0.038 0.048 0.077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투명 배선(230)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제 1 물질(240)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도 6의 (b)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라, [표 2]과 같은 굴절율 n(B)을 가지는 제 1 물질을 적용하였을 때, 예를 들면, 가시 광선 대역(예: 435nm ~656nm)의 광 파장에 대한 플레어현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을 n(A)라고 하고,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을 n(B)라고 할 때,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하는 빛의 파장별 제 1 굴절율과 제 2 굴절율은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표 3]와 같을 수 있다.
  656nm 588nm 546nm 486nm 435nm
n(A) 1.765 1.827 1.868 1.928 1.987
n(B) 1.830 1.880 1.910 1.950 1.990
굴절율차의 절대값|n(A)-n(B) | 0.065 0.053 0.042 0.022 0.003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사용한 투명 배선(230)과 동일한 투명 배선(230)에 대하여,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다른 종류의 제 1 물질(240)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도 6의 (c)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라, [표 3]과 같은 굴절율 n(B)을 가지는 제 1 물질을 적용하였을 때, 예를 들면, 가시 광선 대역(예: 435nm ~656nm)의 광 파장에 대한 플레어 현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
상기 [표 1], [표 2] 및 [표 3]을 살펴보면, 투명 배선(230)에 인접한 제 1 물질(240)로서 어떠한 종류의 제 1 물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카메라 플레어와 관련한 시뮬레이션 결과도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매질의 굴절율은 빛의 파장 별(또는 주파수 별) 상이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어떤 특정 종류의 제 1 물질(240)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빛의 파장에 따라 카메라 플레어의 세기의 크고 작음이 좌우되는 바, 투명 배선(230)과 제 1 물질(24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만으로는 플레어 현상을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도 7 이하의 도면에서는 투명 배선(230)과 제 1 물질(240)뿐만 아니라, 제 2 물질(250)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상기 도 5 및 도 6을 통해 전술한 카메라 플레어 현상은 도 7 이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저감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층(101-2)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선층(101-2)은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이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반면,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포함된 배선층(101-2) 중에서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에 해당하는 배선층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은 함께 투명 배선(23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투명 배선(23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은 투명 배선(230) 사이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도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예: X축 방향)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230)과 복수 개의 제 1 물질들(240)은 제 3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제 2 물질들(240) 또한, 제 3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물질(250)은 제 1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제 1 물질(240)과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방향(예: Z축 방향) 상에서 제 1 물질(240)이 제 2 물질(250)의 위에 배치됨에 따라 제 2 물질(250)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배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은 서로 적층될 수만 있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예: Z축 방향) 상에서 제 1 물질(240)이 제 2 물질(250)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 2 물질(250)이 제 1 물질(240)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명 배선(230)이 제 1 굴절율을 갖도록 형성됨에 있어서, 제 1 물질(240)은 제 2 굴절율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 2 물질(250)은 제 3 굴절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은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물질(250)의 제 3 굴절율 또한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 1 굴절율은 대략 1.9인 경우에 제 2 굴절율은 대략 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굴절율은 대략 1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물질(240) 이외에 제 2 물질(240)을 더 포함함으로써,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한 빛은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함께 통과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빛이 제 2 물질(250)을 통과한 이후 제 1 물질(240)(또는 제 1 물질(240)을 통과한 이후 제 2 물질(2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고려하여, 투명 배선(230)을 통과하는 광과의 광학 경로차가 더 적은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의 굴절율에 대한 예시는, 앞서 말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투명 배선(230)을 통과하는 광과의 광학 경로차가 적은 물질을 선택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물질(240)에 대한 선택만 할 수 있으므로, 투명 배선(230)의 굴절율과 지정된 차이 이내의 굴절율을 가지는 제 1 물질(240)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투명 배선(230)의 굴절율과 지정된 차이 이내의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이라 하더라도 해당 물질에 대한 가공 여부, 내구도 등을 고려할 때 제품에 적용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에 대한 선택도 할 수 있으므로, 투명 배선(230)의 굴절율과 지정된 차이 이내의 굴절율을 가지는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의 조합을 찾는 것과 그 물질의 제품에의 적용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을 조합하면 투명 배선(230)과의 굴절율 차이를 제 1 물질(240)만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줄여 결과적으로 광학 렌즈 모듈을 통해 보다 좋은 품질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을 적층함에 있어서, 제 1 물질(240)의 높이와 제 2 물질(250)의 높이를 각각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에 대하여 굴절율에 대한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높이에 대한 파리미터까지 고려하므로, 물질 선택의 폭이 현저히 확장될 수 있다.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포함하는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조건식 1]
-0.045 ≤ (N(A)*T(A)-N(B)*T(B)-N(B')*T(B'))/(T(A)+T(B)+T(B') ≤ 0.045
단, 여기서 N(A)는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 N(B)는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 N(B')는 제 2 물질(250)의 제 3 굴절율, T(A)는 투명 배선(230)의 두께, T(B)는 제 1 물질(240)의 두께, T(B')는 제 2 물질(250)의 두께에 해당될 수 있다. 하기 조건식 1은 435nm 내지 656nm의 광 파장 대역에서 만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선층이 상술한 조건식 1을 만족할 때, 투명 배선(230)을 통과하는 광과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통과하는 광 간의 광학 경로차가 최소화되어 광학 렌즈 모듈을 통해 높은 해상력을 가지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의 적층 구조는 투명 배선(230)과 제 1 방향(예: Z축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포함하는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조건식 2]
T(A)=T(B)+T(B')
단, 여기서, T(A)는 투명 배선(230)의 두께, T(B)는 제 1 물질(240)의 두께, T(B')는 제 2 물질(250)의 두께에 해당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수행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물체측으로부터 윈도우 부재(102) 및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투과 영역(제 1 영역(201))과 대응되는 화각을 가지는 광학 렌즈 모듈(105)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에 빛이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에 맺힌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투명 배선(230)의 제 1 굴절율을 N(A), 제 1 물질(240)의 제 2 굴절율을 N(B), 제 2 물질(250)의 제 3 굴절율을 N(B'), 투명 배선(230)의 두께를 T(A)는, 제 1 물질(240)의 두께를 T(B), 제 2 물질(250)의 두께를 T(B')라 할 때, 전술한 [조건식 1] 및 [조건식 2]를 모두 만족하는 상태에서, N(A)*T(A)-N(B)*T(B)-N(B')*T(B'))/(T(A)+T(B)+T(B') = -0.045일때, 도면이 도 8의 (a)에 도시된다.
또한, 전술한 [조건식 1] 및 [조건식 2]를 모두 만족하는 상태에서, N(A)*T(A)-N(B)*T(B)-N(B')*T(B'))/(T(A)+T(B)+T(B') = 0.045일때, 도면이 도 8의 (b)에 도시된다.
또한, 전술한 [조건식 1] 및 [조건식 2]를 모두 만족하는 상태에서, N(A)*T(A)-N(B)*T(B)-N(B')*T(B'))/(T(A)+T(B)+T(B') = 0일때, 도면이 도 8의 (c)에 도시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N(A)*T(A)-N(B)*T(B)-N(B')*T(B'))/(T(A)+T(B)+T(B')값이 -0.045 보다 작은 값을 가질 때 카메라 플레어는 눈에 띄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N(A)*T(A)-N(B)*T(B)-N(B')*T(B'))/(T(A)+T(B)+T(B')값이 -0.045 이상이 될 때, 카메라 플레어가 점차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N(A)*T(A)-N(B)*T(B)-N(B')*T(B'))/(T(A)+T(B)+T(B')값이 0.045 보다 큰 값을 가질 때 카메라 플레어는 눈에 띄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N(A)*T(A)-N(B)*T(B)-N(B')*T(B'))/(T(A)+T(B)+T(B')값이 0.045 이하가 될 때, 카메라 플레어가 점차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제 2 물질(250)의 굴절율과, 두께에 관한 파라미터들이 상기 조건식 1을 만족하지 않고, 상한값인 0.045를 상회하거나, 하한값인 -0.045를 하회하면 카메라 플레어가 과도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N(A)*T(A)-N(B)*T(B)-N(B')*T(B'))/(T(A)+T(B)+T(B') = 0일 때 카메라 플레어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예를 들면, 1.922의 제 1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3mm의 ITO(Indium Tin Oxide)인 투명 배선(230), 2.033의 제 2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25mm의 Si3N4 인 제 1 물질(240), 1의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05mm의 air인 제 2 물질(250)로 이루어진 배선층에 대하여 상기 [조건식 1]을 적용하면, 상기 임계 범위 내의 값인 0.03058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 치수를 가진 배선층을 포함한 UDC는 용인 가능한 수준의 카메라 플레어를 발생시키는 광학 경로차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한 예를 들면, 1.922의 제 1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3mm의 ITO(Indium Tin Oxide)인 투명 배선(230), 2.033의 제 2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25mm의 Si3N4 인 제 1 물질(240), 1.46의 굴절율을 가지는 두께 0.05mm의 SiO2인 제 2 물질(250)로 이루어진 배선층에 대하여 상기 [조건식 1]을 적용하면, 상기 임계 범위 내의 값인 -0.0077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건식 1]에 따른 산출값을 비교하면, 다른 조건들이 동일할 때, 제 2 물질(250)로서 SiO2를 적용한 UDC는 제 2 물질(250)로서 air를 적용한 UDC에 비해 보다 작은 카메라 플레어를 발생시키는 광학 경로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투명 배선(230)을 구비하는 한편, 이에 인접하여 제 1 물질(240)과 제 2 물질(250)을 구비함으로써 광 투과 영역을 통과하는 빛의 광학 경로 차를 줄일 수 있다. 투명 배선(230), 제 1 물질(240) 및 제 2 물질(25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각 구성요소의 굴절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카메라 플레어를 저감하거나 제어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해상력이 높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선층에 포함된 투명 배선(230)은 픽셀들(210)과 적어도 일부 중첩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 2 방향(예: Y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투명 배선(230) 및 이에 인접한 제 1 물질(240),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제 2 물질(25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지나는 빛의 광학 경로 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투명 배선(230)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 렌즈 모듈(105)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투명 배선(23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빛을 산란 시키는 방법을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플레어(flare)를 저감시키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제 1 물질(240), 제 2 물질(250) 추가 실시예)과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혹은 전술한 실시예들(제 1 물질(240), 제 2 물질(250) 추가 실시예)을 기반으로 투명 배선(230)의 표면 구조를 추가로 적용하는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의 표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편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배선(230)의 표면이란 투명 배선(230)이 길게 연장된 제 2 방향(예: Y축 방향)에 수직한 제 3 방향(예: X축 방향)을 향하는 면(230a) 또는 상기 제 3 방향의 반대를 향하는 면(230b)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0b는, 빛의 물리적 에너지량(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b는 투명 배선(230)이 배치된 투과 영역(예: 도 4의 투과 영역(201))을 통과한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될 때의 광 조사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는 UDC에 대하여 빛이 수직(또는 일렬로 배열된 광학계에서, 렌즈의 중심과 초점을 연결한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될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지만, 도 10b는 UDC에 대하여 빛이 비스듬하게 입사될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b의 왼쪽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한 이미지 샘플을 나타내고, 오른쪽에 도시된 히스토그램은 이미지 센서에 결상된 빛의 에너지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샘플을 이용해 광원(예: 발광소자, 즉 픽셀)의 중심(S)으로부터 빛이 방사상으로 퍼질 때, +Y축 방향으로 향한 빛의 이동 거리와, 상기 -Y축 방향으로 향한 빛의 이동 거리의 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상기 빛의 이동 거리의 합을 이용해, 광원의 중심(S)으로부의 빛 번짐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빛의 이동 거리의 절대값이 클수록 육안으로 시인되는 플레어(flare)는 크며, 상기 빛의 이동 거리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육안으로 시인되는 플레어는 작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빛의 세기(강도)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에너지 레벨 분포를 가진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빛의 이동 거리의 합은 d1으로 측정되며, 에너지 레벨은 최저 에너지 레벨 0 내지 최대 에너지 레벨값 500 범위의 분포를 가진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편평한 투명 배선(230)이 형성된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한 빛은 광원(S)의 중심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만큼 번질 수 있으며, 상당한 에너지 레벨을 가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빛 번짐과, 에너지 레벨을 가지는 경우에는 플레어(flare)가 관찰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일 면(예: 제 3 방향(X 방향)을 향하는 면(230a))에 요철(2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는 투명 배선(230)의 표면의 일면에 반구(semi sphere) 형상의 요철(231)이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빛의 이동 거리의 합은 d2으로 측정되며, 에너지 레벨은 대략 최저 에너지 레벨값 0 내지 최대 에너지 레벨값 30 범위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예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 비해 빛 번짐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즉, 표면의 일면에 반구 형상의 요철(231)이 형성된 투명 배선(230)이 배치된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한 빛은, 표면이 편평한 투명 배선을 통과한 빛보다 덜 번질 수 있으며, 적은 에너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11a 및 도 11b에 실시예에 따른 요철(231)을 구비한 투명 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 비해 플레어(flare) 관찰 빈도가 줄어들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플레어가 관찰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의 표면의 일면에 반구 형상의 요철(231)이 형성된 때에는, 투명 배선(230)의 반지름을 R(A), 투명 배선의 폭길이를 W(A)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 3을 만족하는 경우에 플레어(flare)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조건식 3]
0.09 ≤ R(A)/W(A) ≤ 0.34
단, 이때, 투명 배선의 반지름은 대략 0.3㎛ ≤ R(A) ≤ 1.5㎛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배선(230)의 반지름(R(A))이 대략 0.3㎛ 내지 1.5㎛일 때, 요철(231)을 포함한 투명 배선(230)의 폭(W(A))이 대략 3.3㎛ 내지 4.5㎛로 형성되면, 투명 배선(230)이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는 투명도(transparency)를 확보하는 상태에서, 플레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양 면(예: 제 3 방향을 향하는 면(230a) 및 제 3 방향의 반대를 향하는 면(230b))에 요철(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 배선(230)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231)과 투명 배선(230)의 타면에 형성된 요철(231)은 반구(semi spher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투명 배선(23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빛의 이동 거리의 합은 d3으로 측정되며, 에너지 레벨은 대략 최저 에너지 레벨값 0 내지 최대 에너지 레벨값 30 범위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예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 비해 빛 번짐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즉, 표면의 일면과 타면에 반구 형상의 요철(231)이 형성된 투명 배선(230)이 배치된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한 빛은, 표면이 편평한 투명 배선을 통과한 빛보다 덜 번질 수 있으며, 적은 에너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도 12a 및 도 12b에 실시예에 따른 요철(231)을 구비한 투명 배선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예에 비해 플레어(flare) 관찰 빈도가 현저히 줄어들거나, 현저히 작은 크기의 플레어가 관찰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의 표면의 일면과 타면에 반구 형상의 요철(231)이 형성된 때에는, 투명 배선(230)의 반지름을 R(A), 투명 배선의 폭길이를 W(A)라 할 때, 다음의 조건식 4를 만족하는 경우에 플레어가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조건식 4]
0.08 ≤ R(A)/W(A) ≤ 0.25예를 들어, 투명 배선의 반지름이 대략 0.3㎛ ≤ R(A) ≤ 1.5㎛로 형성되고, 요철(231)을 포함한 투명 배선(230)의 폭(W(A))이 대략 3.7㎛ 내지 6㎛로 형성되면, 투명 배선(230)이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는 투명도(transparency)를 확보하는 상태에서, 플레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실시예의 광 조사량(photon irradianc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배선(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양 면(예: 제 3 방향을 향하는 면(230a) 및 제 3 방향의 반대를 향하는 면(230b))에 요철(231)이 형성될 수 있다. 단, 이때 투명 배선(230)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231)과 투명 배선(230)의 타면에 형성된 요철(231)은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3b의 빛의 이동 거리의 합(d4)은 도 10b의 빛의 이동 거리의 합(d1)에 비해 짧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의 에너지 레벨은 대략 최저 에너지 레벨값 0 내지 최대 에너지 레벨값 30 범위의 분포를 가짐으로써, 도 10b의 실시예보다 더 적은 에너지 레벨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1a 내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투명 배선(230)의 적어도 일 부분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투과 영역(제 1 영역(201))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또는 빛의 진행 경로를 변화시켜)키고 이로써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231)이 형성되는 투명 배선(230)의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UDC(under display camera)가 배치되는 부분에 한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를 향유하기 위해서, 투명 배선(230)의 표면에서 요철이 형성되는 면은 그 위치가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배선(230)의 표면 중 제 1 방향(예: 도 7의 Z축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상에 요철(23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빛 번짐을 줄일 수 있을 정도로 빛이 산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투명 배선(230)의 표면 중 제 3 방향(X 방향)을 향하는 면(230a)에 요철(23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로소 빛 번짐을 줄일 수 있을 정도의 빛이 산란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를 향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 개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예: 도 1의 광학 렌즈 모듈(105))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예: 도 1의 광학 렌즈 모듈(105));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예: 도 4의 제 1 영역(201))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예: 도 4의 제 2 영역(202))을 포함하는 픽셀층(예: 도 4의 픽셀층(101-1)); 및 배선층(예: 도 4의 배선층(101-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층은, 제 1 굴절율을 갖는 복수 개의 투명 배선(예: 도 7의 투명 배선(230));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 2 굴절율을 갖는 제 1 물질(예: 도 7의 제 1 물질(240));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 3 굴절율을 갖는 제 2 물질(예: 도 7의 제 2 물질(250))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된 UDC(under display camera)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픽셀층은 제 1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제 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상기 제 1 간격 보다 조밀한 제 2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045 ≤ (N(A)*T(A)-N(B)*T(B)-N(B')*T(B'))/(T(A)+T(B)+T(B') ≤ 0.045
(단, 여기서 N(A)는 투명 배선의 제 1 굴절율, N(B)는 제 1 물질의 제 2 굴절율, N(B')는 제 2 물질의 제 3 굴절율, T(A)는 투명 배선의 두께, T(B)는 제 1 물질의 두께, T(B')는 제 2 물질의 두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건식 1]은 예컨대, 435nm 내지 656nm 대역의 범위에서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T(A)=T(B)+T(B')
(단, 여기서, T(A)는 투명 배선의 두께, T(B)는 제 1 물질의 두께, T(B')는 제 2 물질의 두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은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물질은 SiNx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배선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에 대하여 제 1 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투명 배선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물질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 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물질은 상기 제 1 물질과 상기 제 1 방향(예: 도 7의 Z축 방향) 상에서 적층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예: X축 방향)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물질, 제 2 물질 그리고 투명 배선은 각각 제 2 방향(예: 도 3의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선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 렌즈 모듈(예: 도 1의 광학 렌즈 모듈(105))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예: 도 4의 제 1 영역(201))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예: 도 4의 제 2 영역(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제 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상기 제 1 간격 보다 조밀한 제 2 간격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101)); 및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배선층(예: 도 4의 배선층(101-2))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된 UDC(under display camera)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은 인접한 배선들을 향해 적어도 일측으로 소정 두께의 요철(예: 도 11a, 도 12a, 도 13a의 요철(231))이 형성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잇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 1 물질(예: 도 7의 제 1 물질(240));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 2 물질(예: 도 7의 제 2 물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도 11a 참조). 여기서, 일면은 투명 배선을 위에서 바라볼 때 제 3 방향(예: X축 방향)또는 상기 제 3 방향에 반대되는 면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도 있다(도 12a 참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3a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100
디스플레이 패널: 101
윈도우 부재: 102
제 1 영역: 201
제 2 영역: 202
픽셀 : 210, 220
투명 배선 : 230
요철 : 231
제 1 물질 : 240
제 2 물질 : 250

Claims (20)

  1. 광학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픽셀층; 및 배선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층은,
    제 1 굴절율을 갖는 복수 개의 투명 배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제 2 굴절율을 갖는 제 1 물질;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제 3 굴절율을 갖는 제 2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된 UDC(under display came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층은 제 1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제 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상기 제 1 간격 보다 조밀한 제 2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조건식 1]
    -0.045 ≤ (N(A)*T(A)-N(B)*T(B)-N(B')*T(B'))/(T(A)+T(B)+T(B') ≤ 0.045
    (단, 여기서 N(A)는 투명 배선의 제 1 굴절율,
    N(B)는 제 1 물질의 제 2 굴절율
    N(B')는 제 2 물질의 제 3 굴절율
    T(A)는 투명 배선의 두께,
    T(B)는 제 1 물질의 두께,
    T(B')는 제 2 물질의 두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하기 조건식 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조건식 2]
    T(A)=T(B)+T(B')
    (단, 여기서, T(A)는 투명 배선의 두께,
    T(B)는 제 1 물질의 두께,
    T(B')는 제 2 물질의 두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은 ITO(Indium Tin Oxide)인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 및 제 2 물질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SiNx인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에 대하여 제 1 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투명 배선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된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 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된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2 물질은 상기 제 1 물질과 상기 제 1 방향 상에서 적층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제 3 방향 상에서 투명 배선과 나란히 형성된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선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광학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렌즈 모듈; 및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의 화각과 대응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제 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에 복수 개의 픽셀들이 상기 제 1 간격 보다 조밀한 제 2 간격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이 나란하게 배치된 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렌즈 모듈은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된 UDC(under display camera)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은 인접한 배선들을 향해 적어도 일측으로 소정 두께의 요철이 형성된,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명 배선들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 1 물질; 및
    상기 제 1 물질과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 2 물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투명 배선의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155633A 2021-11-12 2021-11-12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6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33A KR20230069522A (ko) 2021-11-12 2021-11-12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17902 WO2023085891A1 (ko) 2021-11-12 2022-11-14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986,576 US20230157105A1 (en) 2021-11-12 2022-11-1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633A KR20230069522A (ko) 2021-11-12 2021-11-12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522A true KR20230069522A (ko) 2023-05-19

Family

ID=8633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633A KR20230069522A (ko) 2021-11-12 2021-11-12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9522A (ko)
WO (1) WO20230858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137A (ko) * 2019-04-03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189627B (zh) * 2019-05-30 2021-12-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60186A (ko) * 2019-11-18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82316A (ko) * 2019-12-24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7479858B2 (ja) * 2020-01-28 2024-05-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891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6676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663830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003906A1 (en) Spectr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ctral filter
US20200150387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028909A1 (en) Image sen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image sensor
US20230228912A1 (en) Meta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39422A (ko)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373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26301B2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69522A (ko) Ud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95574B1 (en) Spectr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ctral filter
US2023015710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EP3992674A1 (en) Spectr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ctral filter
KR20230023986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5011A (ko) 메타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230131759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5323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20230164413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51248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69608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83969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910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65147A (ko) 촬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967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4445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