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060A -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060A
KR20230069060A KR1020230056811A KR20230056811A KR20230069060A KR 20230069060 A KR20230069060 A KR 20230069060A KR 1020230056811 A KR1020230056811 A KR 1020230056811A KR 20230056811 A KR20230056811 A KR 20230056811A KR 20230069060 A KR20230069060 A KR 2023006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ing
female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604B1 (ko
Inventor
조우재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3005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6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커넥터 내에 돌출되는 메일단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체결될 때, 단자의 휨, 변형, 파손과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한 체결력,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with terminal anti-bending sli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이종의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일커넥터 내에 돌출되는 메일단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여러 전기장치들은 내부에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다른 부품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커넥터는 접촉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도전성 단자를 장착하는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구비하여,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쌍으로 결합되면, 그 내부의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상호 접속하게 된다.
이 때 단자가 하우징에 부적절하게 장착되거나, 결합 과정에서 단자가 변형, 파손되는 경우에는 전기 접속의 질이 떨어진다.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자에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거나, 하우징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혹은 커넥터를 사용하는 중에 단자가 흔들리거나 완전히 장착된 상태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 이종의 단자는 상호 부적절하게 장착되거나, 접점 불량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자의 불완전한 삽입이나 결합을 감지할 수 있는 단자 위치 확정장치(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가 피메일커넥터에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피메일커넥터(10) 내에는 피메일단자(1), 방수실링(2) 및 TPA인 피메일홀더(3)가 구비된다.
피메일커넥터(10)와 메일커넥터(20)는 모두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상하 3개씩 6개의 피메일단자(1)와 메일단자(미도시)가 상호 접속을 이루게 된다. 피메일단자(1)가 피메일커넥터(10)의 하우징 내에 안착된 후에는 피메일홀더(3)가 삽입되어 피메일단자(1)의 고정력,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대응되는 메일커넥터(20)의 내부에도 피메일단자(1)와 접속되는 메일단자(미도시)가 배치되는데, 피메일단자(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형으로 내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메일단자(미도시)는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의 자유단은 별도의 보호수단 없이 개구부 및 공중에 보(cantilever)와 같이 길게 노출되어 있게 되는데, 피메일커넥터(10) 및 피메일단자(1)와의 결합시에 메일단자(미도시)의 위치가 조금씩 변경되면서 가장자리가 부딪히고 휘게 되어,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제10-2010-0106808호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체결될 때, 메일커넥터의 메일단자 외측을 무빙, 슬라이딩하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단자의 휨, 변형, 파손과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한 체결력,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는 물론 메일커넥터에도 각각 단자 위치 확정장치(TPA)를 구비하고, 이 중 하나가 무빙 및 슬라이딩되며 상호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피메일커넥터의 피메일단자와, 메일커넥터의 메일단자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의 수용 공간에 복수의 피메일단자(1)가 배치되는 피메일커넥터(100); 상기 피메일단자를 내부에 배치하며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안착되는 피메일홀더(400); 내부의 수용 공간에 복수의 메일단자가 배치되는 메일커넥터(200); 및 상기 메일단자를 관통 배치하며 상기 메일커넥터(200)의 수용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슬라이딩홀더(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와 상기 메일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상기 피메일홀더(400)와 상기 슬라이딩홀더(500)가 상호 맞물리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에는 단자공(51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단자(4)는 상기 단자공(513)으로 관통되며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상기 메일단자(4)의 외측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의 슬라이딩 움직임에 따라 상기 메일단자(4)가 상기 단자공(513)을 통해 적게 노출되거나, 많게 노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상기 단자공(513)으로 상기 메일단자(4)가 대응 삽입되도록 하되, 피메일커넥터(100)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피메일홀더(400)가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에 밀착되어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상기 메일단자(4)의 노출 영역을 확대하며, 후방으로 밀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200)는: 내측 수용 공간에 몸체부(25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50)의 외측에는 걸림부(254)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상기 몸체부(250)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은 개방부(511) 측으로 상기 몸체부(250)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내측 내면부(514)에는, 내면1맞물림부(516)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와 상기 걸림부(254)는 상호 슬라이딩되며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54)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부(254)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를 지나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가 상기 몸체부(250) 방향으로 물러나며, 상기 메일단자(4)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200)는: 내측 수용 공간에 몸체부(25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50)의 외측에는 걸림부(254)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상기 몸체부(250)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은(510)은 개방부(511) 측으로 상기 몸체부(250)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내측 내면부(514)에는, 서로 다른 내측 위치에 상기 개방부(511)로부터 먼 위치의 내면1맞물림부(516) 및 상기 개방부(511)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내면2맞물림부(518)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 및 내면2맞물림부(518)의 사이에 상기 걸림부(254)가 위치되어 맞물리며 상호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54)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 및 내면2맞물림부(518)의 사이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부(254)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516)를 지나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가 상기 몸체부(250) 방향으로 물러나며, 상기 메일단자(4)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사방의 측면부(520)와 일측의 대면부(51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상기 측면부(520)의 외측에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측방돌출부(522); 및 상기 측방돌출부(5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안쪽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내돌출부(524);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홀더(400)는 사방의 외부하우징(410)과 그 내측의 중앙몸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몸체부(420)에는 홀딩부(432)가 형성되는 측방홀더(430);를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와 상기 메일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와 상기 피메일홀더(400)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며, 상기 내돌출부(524)와 상기 홀딩부(432)가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몸체부(420)에는 경사부(4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메일홀더(400)와 상기 슬라이딩홀더(500)가 결합될 때,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의 측방돌출부(522)는 상기 경사부(452)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커넥터(200)의 내면부(210)에는 가압돌출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이 상기 메일커넥터(20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며, 상기 측방돌출부(522)의 외측을 상기 가압돌출부(240) 및 그 내면이 내측으로 밀어내거나 지지하면, 상기 측방돌출부(522)가 상기 홀딩부(432)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가압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홀딩부(432)의 일부를 감싸거나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사방의 측면부(520)와 일측의 대면부(51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530)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홀더(400)는 사방의 외부하우징(410)과 그 내측의 중앙몸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몸체부(420)의 중앙에는 슬라이딩공(422)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와 상기 메일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와 상기 피메일홀더(400)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530)가 상기 슬라이딩공(422)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더(500)는 사방의 측면부(520)와 일측의 대면부(51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510)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53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530)에는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534)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홈부(535)가 교대로 병렬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의 수용 공간에는 단자몸체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몸체부(150)에는 높낮이가 서로 다른 단자몸체돌출부(154)와 단자몸체홈부(155)가 교대로 병렬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커넥터(100)와 상기 메일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500)와 상기 피메일커넥터(100)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며, 상기 두께부(534)는 상기 단자몸체홈부(155)와 대응되고, 상기 홈부(535)는 상기 단자몸체돌출부(154)와 대응되며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체결될 때, 단자의 휨, 변형, 파손과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상호 견고한 체결력,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순차적 과정의 구성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순차적 과정의 구성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 내측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 내측을 다양한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피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피메일홀더와 슬라이딩홀더가 상호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피메일홀더와 슬라이딩홀더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제1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제2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는 기본적으로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를 포함하고, 피메일커넥터(100) 내에 배치되는 피메일홀더(400), 메일커넥터(200)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홀더(500)가 추가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방수실링(300)이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피메일홀더(400)는 피메일커넥터(100) 내에 추가 장착되어, 그 내부의 피메일단자(1)를 고정하거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피메일커넥터(100) 내에서 좌우 측방으로의 장착, 이탈 동작, 즉 전술한 TPA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으로 피메일홀더(400)가 맞은편 대응되는 슬라이딩홀더(500)와 맞물리며 슬라이딩홀더(500)를 메일커넥터(200)의 내측으로 밀어 넣고, 또 반대로 꺼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는 메일커넥터(200) 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서 안팎으로 반자동 무빙, 슬라이딩된다. 메일커넥터(200)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메일단자(4; 도 10)는 메일커넥터(200)의 개방된 위치를 향해 일정 층과 간격을 유지하며 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메일단자(4)는 휨이나 변형에 취약하므로, 이를 슬라이딩홀더(500)가 막아주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는 다수의 메일단자(4)를 커버하며 보호하고, 그 간격이나 배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잡아주고 있다가, 피메일커넥터(100)와의 결합시에 피메일홀더(400)가 인입되면, 후방(또는 내측)으로 무빙되며 메일단자(4)가 노출되도록 하고, 접근하는 피메일단자(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메일홀더(400)는 피메일커넥터(1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직육면체와 비슷한 형상으로 외측에는 외부하우징(410)이, 그 내부에는 이격공간부(440)를 상하좌우 등 측방에 형성한 상태로, 중앙측에 중앙몸체부(420)를 구비한다. 피메일홀더(400)는 피메일커넥터(100)의 개방부로부터 인입되며, 피메일커넥터(100)의 후방으로부터 피메일단자(1)가 인입된 상태에서, 피메일홀더(400)를 피메일커넥터(100) 내부에서 측방으로 밀면, 피메일단자(1)와 맞물려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피메일홀더(400)에는 추가적으로 중앙몸체부(420)의 좌우측에 수직 형의 측방홀더(430)를 더 구비하고, 이 측방홀더(430)는 외면에는 홀딩부(432)가 내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방홀더(430)는 좌우 측방에 구비되는 것으로만 도면 및 설명 상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측방이라 함은 좌우는 물론 상하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상하방에 구비되는 것도 측방홀더(430)에 해당된다.
측방홀더(430)는 후술할 슬라이딩홀더(500)에 맞물려, 피메일홀더(400)와 슬라이딩홀더(500)가 밀착되어 일체인 것처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측방홀더(430)의 홀딩부(432)는 내입되는 홈이나 홀의 빈 공간이며, 후술할 연결부(523)의 내측 내돌출부(524)가 인입되거나 맞물릴 수 있게 된다면,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중앙몸체부(420)에는 슬라이딩공(4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슬라이딩공(422)으로는 슬라이딩홀더(500)에 형성된 슬라이딩부(530)가 인입되며 맞물린다. 슬라이딩부(530)가 슬라이딩공(422)의 내부에 대면하며 인입되면서, 슬라이딩홀더(500)가 기울어지거나 어긋나지 않고, 평행을 이루며 직진으로 피메일커넥터(100)의 내부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공(422)의 내면과 슬라이딩부(530)의 외면은 상호 사방으로 지지되며, 이격이나 공차가 최소화 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메일커넥터(200) 내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홀더(500)도 직육면체와 비슷한 형상으로 외측에는 슬라이더하우징(510)이 형성되고, 그 내부는 개방부(511)로부터 내측으로 비어 있는 구조이고, 개방부(511)의 반대쪽 선단은 대면부(512)로 막혀 있으며, 대면부(512)에는 층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메일단자(4)의 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단자공(513)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홀더(500)는 대면부(512)가 외측을 향하도록 메일커넥터(200)의 개방부로부터 인입되며, 메일커넥터(100)의 후방으로 전방의 개방부를 향해 연장 배치된 메일단자(4)의 단부가 단자공(513)으로 관통된 상태로, 안팎으로 무빙, 슬라이딩되며, 메일단자(4)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슬라이더하우징(510)의 양 측방(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또는 좌우 위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의 측면부(520)에 대면부(512) 측방에 위치되도록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522)를 구비한다. 이러한 측방돌출부(522)는 대면부(5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방돌출부(522)에는 일체로 내돌출부(524)가 형성되며, 내돌출부(524)는 대면부(5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안쪽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이 때 측방돌출부(522)와 내돌출부(524)의 사이에는 연결부(523)가 추가 배치되어, 내돌출부(524)의 위치가 대면부(512)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설정할 수 있다.
측방돌출부(522)는 측방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도록 힘이 가해지면, 탄성 재질 및 돌출 구조의 특성상, 대면부(512) 중심을 향해, 즉, 슬라이딩부(530)를 향해 밀려 들어가게 되며, 이 때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523)도 변형되고, 또한 내돌출부(524)도 내측을 향해 가압 또는 이동된다.
피메일홀더(400)가 슬라이딩홀더(500)의 대면부(512)에 밀착되면, 피메일홀더(400)의 측방홀더(430)는 슬라이딩홀더(500)의 측방돌출부(522) 및/또는 내돌출부(524)의 안쪽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측방돌출부(522)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면 내돌출부(524)가 슬라이딩홀더(500)에 접촉되거나 맞물리게 된다. 즉, 측방돌출부(522)가 기울어지며 안쪽으로 숙여지면서, 측방홀더(430) 중 인입된 홀이나 홈 형태의 홀딩부(432)로 피메일홀더(400)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내돌출부(524)가 삽입되며 맞물리게 된다. 이 때는, 피메일홀더(400)를 슬라이딩홀더(500)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여도, 내돌출부(524)가 홀딩부(423)를 멀어지는 방향, 피메일홀더(400)의 후방, 즉 이탈되고자 향하는 방향 쪽에서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호 이탈, 분리되지 않게 된다.
측방돌출부(522) 및 내돌출부(524)의 내외측 탄성 변형 및 맞물림 동작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더하우징(500)의 측면부(520)에는 측방돌출부(522)의 양측으로 대면부(512)로부터 개방부(511) 방향으로 절개되고, 개방부(511) 측이 슬라이더하우징(510)에 일체가 되도록 하는 절개홈(521)을 형성한다. 이로써, 판스프링의 단부에 구비된 것과 같은 측방돌출부(522)는 내외측 이동이 용이해지고, 변형 폭이 확대될 수 있다.
대면부(512)에는 메일단자(4)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단자공(513)이 형성되며, 단자공(513)의 단면적은 메일단자(4)의 단면적에 거의 대응되도록 하되, 슬라이딩 입출에 방해되지 않는 수준의 이격, 공차를 유지하도록 한다. 단자공(513)이 구비되지 않은 대면부(512)의 위치에는, 슬라이딩부(530)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딩부(530)는 대면부(51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31), 연장부(531)로부터 단차를 이루며 폭을 좁히는 단차부(532), 단차부(532) 이후로 계속 연장되는 맞물림부(533)를 포함한다. 맞물림부(533)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부(534), 상대적으로 얇은 홈부(535)가 교대로, 대면부(51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맞물림부(533)에는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537)이 형성되고, 연장부(531)와 맞물림부(533)의 사이에는 두께 단차가 발생되는 단차벽부(536)가 형성된다. 교대 배치된 평행의 두께부(534)와 홈부(535)는 피메일커넥터(100)와 맞물리며 직진 결합을 유도하도록 하고, 단차벽부(536)는 피메일커넥터(100)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슬라이딩하우징(510)의 내측은 개방부(511)로부터 개방되며 비어 있다.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의 내면부(514)에는 상측 및 하측(방향은 도면 기준임)에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가 형성되고, 내면1맞물림부(516)은 개방부(511)로부터 먼 위치에, 내면2맞물림부(518)은 개방부(511)에 근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볼 때,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는 상대적으로 개방부(51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방 기준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의 간격은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의 너비나 그 보다 약간 큰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순차적 과정의 구성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가 상호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피메일커넥터(100)에는 피메일단자(1)가 배치되며, 그 단부 측에는 피메일홀더(400)가 체결되어 있다. 메일커넥터(200)에도 메일단자(4)가 장형으로 배치되는데, 메일단자(4)의 노출 부분으로는 슬라이딩홀더(500)가 삽입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홀더(500)의 단자공(513)을 통해 메일단자(4)의 단부가 일부 노출되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노출 직전의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홀더(500)가 메일단자(4)의 노출 부분 일부를 감싸며 배치하고 있으므로, 메일단자(4)의 단부의 일부 영역만이 외측으로 노출되고, 메일단자(4)의 중간부분은 슬라이딩홀더(500)에 지지되는 동시에, 커버되어 외력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받고 있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는 메일커넥터(200)의 몸체부(500)에 지지되어 최초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 때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가 활용된다. 동시에 메일커넥터(200)의 내면부(210)에는 가압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슬라이딩홀더(500)의 측방돌출부(522)의 후면측에 걸리면서, 슬라이딩홀더(500)가 최초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측방돌출부(522)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홀더(500)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안착내입부(220)를 내면부(210)에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가 상호 결합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피메일커넥터(100)의 내측으로 메일커넥터(200)가 인입되면서, 피메일홀더(400)와 슬라이딩홀더(500)의 대면부(512)가 맞닿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는 여전히 원 위치를 유지하며, 메일단자(4)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피메일홀더(400)나 피메일커넥터(100)와의 충격, 충돌, 마찰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의 상호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계속적으로 피메일커넥터(100) 내에 메일커넥터(200)가 삽입되면서, 피메일홀더(400)가 슬라이딩홀더(500)를 더욱 밀어내게 되어, 슬라이딩홀더(500)가 메일커넥터(200)의 내측으로 물러나고, 그에 따라 메일단자(4)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며 종시에 메일단자(4)와 피메일단자(1)의 상호 접속, 결합이 완료된다. 슬라이딩홀더(500)가 물러나면서 측방돌출부(522)도 메일커넥터(200) 내에서 후방 이동하게 되고, 가압돌출부(240)로 인해 회피 공간이 감소, 제한되므로, 안쪽으로 가압되고 오므려지게 되며, 내측 피메일홀더(400) 방향으로 근접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와 같은 결합 상태의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가압돌출부(240)에 의해 측방돌출부(522)를 중심 방향으로 밀린 상태로 지지되면서, 내돌출부(524)도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내돌출부(524)는 홀딩부(432)의 후방 쪽에 인입 위치되며, 감싸며 중심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홀더(500)와 피메일홀더(400)는 견고하게 맞물리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분리되는 순차적 과정의 구성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100)와 메일커넥터(200)를 분리하기 시작하는데, 결합시의 역순으로, 슬라이딩홀더(500)와 피메일홀더(400)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홀더(500)가 메일커넥터(200)의 내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때 측방돌출부(522)가 가압돌출부(240)의 설치 위치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외측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내돌출부(524)가 홀딩부(432)로부터 빠져나가며 놓아주므로 맞물림을 해제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분리가 계속되면 도 15와 같이, 최초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슬라이딩홀더(500)는 메일단자(4)를 단부만 남겨놓고 커버하며 보호하는 위치에 안착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및 해제 과정에서, 슬라이딩홀더(500)가 메일단자(4)를 최대한 보호하며 슬라이딩하는 반자동 무빙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홀더(500)와 피메일홀더(400)가 견고하게 맞물려 체결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홀더(500)는 도 14와 같이 측방돌출부(522)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지점까지는, 피메일홀더(400)의 이탈 방향으로 같이 움직이다가, 측방돌출부(522)가 외측으로 도피되는 위치에서, 내돌출부(524)가 홀딩부(432)로부터 빠져나가며 놓아주게 되며, 슬라이딩홀더(500)는 더 이상의 바깥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홀더(500)의 멈춤 위치는 몸체부(250)로부터 일정 외측으로 이탈된 단부측 위치이며, 이 위치에 대응 설치된 내돌출부(254)와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슬라이딩홀더(500)는 도 15와 같이 메일단자(4)의 끝부분을 제외한 안쪽 부분을 감싸며 보호하는 상태가 다시 지속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 내측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메일커넥터(200)의 측방 내면부(210)에는 중간부분부터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하 한쌍의 가압돌출부(240)가 형성된다. 가압돌출부(240)는 내면부(210)로부터 일정 두께로 내측 돌출되도록 하여, 측방돌출부(522)가 위치하게 되면 이를 내측 중심 방향으로 밀어 넣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가압돌출부(240)는 내측 중간부터 시작하여 안쪽 끝까지 연장 형성되는데, 가압돌출부(240)가 어느 위치부터 시작될 것인지는, 슬라이딩홀더(500)의 최초 설정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내면부(210)에는 더 내입되어 있는 안착내입부(220), 이와 단차를 이루며 두께를 형성하는 단차내입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내입부(220)에서는 측방돌출부(522)가 가압되지 않고 위치되고, 측방돌출부(522)가 내측으로 향할수록 가압돌출부(240) 외에도 단차내입부(230)가 측방돌출부(522)를 중심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 내측을 다양한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홀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메일커넥터(200)의 내측 중앙에는 몸체부(250)가 구비되고, 이 몸체부(250)에는 메일단자(4)의 본체가 안착되며 배치된다.
몸체부(250)는 몸체 외면에 슬라이딩홈(25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252)의 외측에는 걸림부(254)가 형성된다. 슬라이딩홈(252) 내에는 추가로 내돌기(25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홈(252) 및 걸림부(254)는 도 18의 슬라이딩홀더(500) 내측에 형성된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와 대면하게 된다.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이 돌출된 돌기 형태라면,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이 슬라이딩홈(252) 내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홈(252)을 따라 내외로 이동하게 된다.
최초 상태에서는 슬라이딩홈(252)의 걸림부(254)가 내면1맞물림부(516)의 안쪽 및 내면2맞물림부(518)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1차 조립이 완료된다. 1차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단자를 삽입하는 2차 조립을 위해 납품, 이동된다.
즉 내면1맞물림부(516) 및 내면2맞물림부(518)의 사이에 걸림부(254)가 위치되어, 걸림부(254)의 외측은 내면1맞물림부(516)에, 내측은 내면2맞물림부(518)에 지지되도록 한다. 걸림부(254)가 몸체부(250) 중 비교적 바깥쪽의 위치에 형성되고,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는 슬라이딩홀더(500)의 개방부(511) 쪽에 위치되므로, 슬라이딩홀더(500)는 몸체부(250)의 바깥쪽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더(500)가 몸체부(25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더라도, 내면2맞물림부(518)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걸림부(254)가 내면2맞물림부(518)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빠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슬라이딩홀더(500)를 몸체부(250)로 밀어넣으면, 내면1맞물림부(516) 보다 내측 방향에 위치한 걸림부(254)가 내면1맞물림부(516)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딩홀더(500)가 안쪽으로 이동된다. 이 때 슬라이딩홀더(500) 측방돌출부(522)가 가압돌출부(2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홀더(500)는 몸체부(250)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몸체부(250) 바깥으로 연장 노출되는 메일단자(4)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가 피메일홀더(400)와 결합되고, 몸체부(250) 방향으로의 내측 가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해지면, 슬라이딩홀더(500)가 몸체부(250) 방향으로 밀착하며 물러나게 되고, 이로써 몸체부(250)에 배치된 메일단자(4)의 노출 영역이 확대된다. 이 과정에서도 슬라이딩홀더(500)는 다수의 메일단자(4)와 단자공(513) 테두리와의 지지력 교환을 통해 고정력을 지속 제공하고, 슬라이딩홀더(500)에 피메일홀더(400)가 밀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므로, 메일단자(4)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변형될 여지가 없도록 한다.
이러한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 및 걸림부(254)와의 맞물림 과정은, 돌기와 홈의 암수결합이나, 돌기끼리의 맞물림 결합에 의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이 돌기인지, 홈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걸림부(254) 외에 그 내측의 내돌기(255)를 추가 설치하고, 걸림부(254)가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의 사이에서 내면1맞물림부(516)의 바깥쪽으로 이탈되더라도, 내돌기(255)가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의 사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딩홀더(500)의 멈춤 지점이 추가로 발생되고, 조립, 조작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를 구비하면, 슬라이딩홀더(500)가 몸체부(250) 안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1차로 걸림부(254)가 내면1맞물림부(516)를 넘고, 2차로 내면2맞물림부(518)를 넘는 크기나 시간의 바깥 방향 외력 작용이 있을 때에만, 슬라이딩홀더(500)가 몸체부(25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홀더(500)가 조립, 이동 과정에서 실수로 메일커넥터(200)로부터 분리되거나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내면1맞물림부(516), 내면2맞물림부(518)는 지지력이나, 요구되는 힘, 조건에 따라 도면과 같이 2개의 라인에 하나씩만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2개의 라인 모두에 두개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피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홀더(500)의 슬라이딩부(530)의 쓰임새를 알 수 있다. 슬라이딩부(530)는 1차적으로 피메일홀더(400)의 슬라이딩공(422)과 암수결합되며 상호 결합시의 직진성을 보강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2차적으로는 슬라이딩부(530)가 피메일홀더(400)의 슬라이딩공(422)을 관통한 후, 피메일커넥터(100) 내측과 상호 대응, 접촉되면서 추가적인 직진성 및 결합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부(530)에도 요철을 슬라이딩 방향의 평행 직선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부(530)의 끝 부분과 접촉하는 피메일커넥터(100)의 단자몸체부(150)에도 요철을 슬라이딩 방향의 평행 직선으로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하다.
슬라이딩부(530)의 맞물림부(533)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부(534)는 단자몸체부(150)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단자몸체홈부(155)에 내입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30)의 맞물림부(533)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얇은 홈부(535)는 단자몸체부(150)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단자몸체돌출부(154)와 맞물리고 지지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부(530)의 인입, 접근시 직진성을 유지하며 무빙될 수 있게 되고,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슬라이딩부(530)가 단자몸체부(150)의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며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추가로 슬라이딩부(530)에는 내돌출부(524)가 가로 방향(인입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벽을 이루고 있는데, 이 벽에 의해 슬라이딩부(530)가 과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부 단자몸체홈부(155) 및/또는 단자몸체돌출부(154)의 끝부분이 내돌출부(524)와 접촉되면서 더 이상의 접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부(530)에 형성된 관통홀(537)은 결합 해제시 잡아당기거나, 슬라이딩부(530)를 메일커넥터(200)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 고리 등을 통해 걸어서 빼내는데 사용된다.
도 21 및 도 22는 피메일홀더와 슬라이딩홀더가 상호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피메일홀더(400) 외부하우징(410)의 양 측방에는 빈 공간인 연결인입부(453)와 그 상하측의 경사부(452)가 구비된다. 경사부(542)는 외측에서 내측 안쪽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비스듬한 면을 구비한다.
슬라이딩홀더(500) 슬라이더하우징(510)의 양 측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523), 내돌출부(524)와 그 상하측의 측방돌출부(522)가 구비된다. 측방돌출부(52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올수록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비스듬한 면을 구비한다.
피메일홀더(400)에는 경사부(452)가 위아래로 2쌍이 배치되고, 그 사이는 이격되어 연결인입부(453)가 형성된다. 경사부(452)와 대면하는 슬라이딩홀더(500)의 측방돌출부(522)도 마찬가지로 위아래로 2쌍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돌출되는 연결부(523), 내돌출부(524)가 형성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경사부(452)는 도면상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모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에 대응되는 측방돌출부(522)는 도면상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피메일홀더(400)와 슬라이딩홀더(500)가 상호 결합되기 시작하면, 측방돌출부(522)가 경사부(452)의 내측으로 파고들며, 측방돌출부(522)의 경사면이 경사부(45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도 23은 피메일홀더와 슬라이딩홀더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피메일홀더(400)와 슬라이딩홀더(500)가 상호 결합되어, 고정된 경사부(452)의 사이에 측방돌출부(522)가 밀려 상호 모아지도록, 즉 도면상 중심 방향으로 외측에서 측방돌출부(522)가 인입되도록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 때, 연결인입부(453)에 인입되는 연결부(523)도 안쪽 중심 방향으로 인입되며, 내돌출부(524)는 홀딩부(432) 안으로 내입되어 맞물리게 되며, 이 때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4는 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제1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결합 상태는 걸림부(254)가 내면1맞물림부(516)과 내면2맞물림부(518)의 위치된 상태이며, 단자(4; 도 25)가 결합되기 전의 간이 조립 상태이다. 즉, 메일커넥터(200)에 슬라이딩홀더(500)를 삽입시킬 때, 슬라이딩홀더(500)가 몸체부(250)를 감싸며 하강하면서, 내면2맞물림부(518)가 걸림부(254)를 넘고, 내면1맞물림부(516)는 걸림부(254)의 외측에 있는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제조자는 이러한 제1결합 상태에서 메일커넥터(200)와 슬라이딩홀더(500)를 조립 완료하고, 단자 조립 완성 업체로 납품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메일커넥터와 슬라이딩홀더의 제2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 상태의 기초 조립 후에, 단자(4)를 준비하여 몸체부(250) 측으로 결합시키고, 슬라이딩홀더(500)에 단자(4) 상측 단부를 관통시키며 약간 하강시키게 된다. 슬라이딩홀더(500)가 하강하게 되면, 걸림부(254)의 상측에 있던 내면1맞물림부(516)가 걸림부(254)를 넘어 하측으로 내려가며, 미세한 진동이나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하강하던 슬라이딩홀더(500)는 외측의 측방돌출부(522) 하측 수평부가 메일커넥터(200) 내벽 가압돌출부(240)의 단차구조 상면에 지지되면서 멈추고, 이 때 제2결합 상태가 완성되며, 단자(4)의 상측 단부가 일부 노출되어 앞서 살펴본 도 10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슬라이딩홀더(500)는 더 하강하려고 해도 측방돌출부(522)의 지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이탈되려고 해도 내면1맞물림부(516)가 외측의 걸림부(254)에 의해 지지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피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홀더(400)가 결합되면, 슬라이딩홀더(500)는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13 및 도 23과 같은 상태가 되며 제3결합이 완성된다.
이후에, 피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홀더(40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딩홀더(500)가 다시 외측으로 따라 나가게 되며, 제2결합 상태와 같은 위치에서 피메일커넥터(100)와 피메일홀더(400)가 분리되고, 슬라이딩홀더(500)의 외부 인출은 중지된다. 이 때 슬라이딩홀더(500)는 걸림부(254)에 내면1맞물림부(516)의 걸리면서, 외측 이동을 멈출 수 있게 된다. 만약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홀더(500)가 좀 더 외측으로 이동되더라도, 걸림부(254)가 내면2맞물림부(518)에 걸리면서, 제1결합 상태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홀더(500)의 슬라이딩 및 제1, 2, 3차 결합 및 해제 동작에 의해 조립, 납품, 이동, 결합이 용이해지고, 단자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피메일단자 2: 방수실링
3: 피메일홀더 4: 메일단자
10: 피메일커넥터 20: 메일커넥터
100: 피메일커넥터 150: 단자몸체부
154: 단자몸체돌출부 155: 단자몸체홈부
200: 메일커넥터 210: 내면부
220: 안착내입부 230: 단차내입부
240: 가압돌출부 250: 몸체부
252: 슬라이딩홈 254: 걸림부
300: 방수실링 400: 피메일홀더
410: 외부하우징 420: 중앙몸체부
422: 슬라이딩공 430: 측방홀더
432: 홀딩부 440: 이격공간부
452: 경사부 453: 연결인입부
500: 슬라이딩홀더 510: 슬라이더하우징
511: 개방부 512: 대면부
513: 단자공 514: 내면부
516: 내면1맞물림부 518: 내면2맞물림부
520: 측면부 521: 절개홈
522: 측방돌출부 523: 연결부
524: 내돌출부 530: 슬라이딩부
531: 연장부 532: 단차부
533: 맞물림부 534: 두께부
535: 홈부 536: 단차벽부
537: 관통홀

Claims (10)

  1. 피메일커넥터의 피메일단자와, 메일커넥터의 메일단자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의 수용 공간에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배치되는 피메일커넥터;
    상기 피메일단자를 내부에 배치하며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수용 공간 내에 안착되는 피메일홀더;
    내부의 수용 공간에 복수의 메일단자가 배치되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메일단자를 관통 배치하며 상기 메일커넥터의 수용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슬라이딩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피메일홀더와 상기 슬라이딩홀더가 상호 맞물리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는:
    내측 수용 공간에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은 개방부 측으로 상기 몸체부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내측 내면부에는, 내면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맞물림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호 슬라이딩되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사방의 측면부와 일측의 대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홀더는 사방의 외부하우징과 그 내측의 중앙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와 상기 피메일홀더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는:
    내측 수용 공간에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은 개방부 측으로 상기 몸체부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내측 내면부에는, 내면1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1맞물림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호 슬라이딩되며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를 지나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가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물러나며, 상기 메일단자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는:
    내측 수용 공간에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며 배치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은은 개방부 측으로 상기 몸체부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내측 내면부에는, 서로 다른 내측 위치에 상기 개방부로부터 먼 위치의 내면1맞물림부 및 상기 개방부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내면2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1맞물림부 및 내면2맞물림부의 사이에 상기 걸림부가 위치되어 맞물리며 상호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 및 내면2맞물림부의 사이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면1맞물림부를 지나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가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물러나며, 상기 메일단자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커넥터의 내면부에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이 상기 메일커넥터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며, 상기 측방돌출부의 외측을 상기 가압돌출부 및 그 내면이 내측으로 밀어내거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돌출부가 상기 피메일홀더와 접촉하며 상호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사방의 측면부와 일측의 대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메일홀더는 사방의 외부하우징과 그 내측의 중앙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몸체부의 중앙에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와 상기 피메일홀더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슬라이딩공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더는 사방의 측면부와 일측의 대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두께가 두꺼운 두께부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홈부가 교대로 병렬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수용 공간에는 단자몸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몸체부에는 높낮이가 서로 다른 단자몸체돌출부와 단자몸체홈부가 교대로 병렬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슬라이딩홀더와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호 마주보며 밀착되며, 상기 두께부는 상기 단자몸체홈부와 대응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단자몸체돌출부와 대응되며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30056811A 2021-04-15 2023-05-02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2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6811A KR102628604B1 (ko) 2021-04-15 2023-05-02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312A KR102566111B1 (ko) 2021-04-15 2021-04-15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30056811A KR102628604B1 (ko) 2021-04-15 2023-05-02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12A Division KR102566111B1 (ko) 2021-04-15 2021-04-15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060A true KR20230069060A (ko) 2023-05-18
KR102628604B1 KR102628604B1 (ko) 2024-01-25

Family

ID=83805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12A KR102566111B1 (ko) 2021-04-15 2021-04-15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30056811A KR102628604B1 (ko) 2021-04-15 2023-05-02 단자 휨 방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312A KR102566111B1 (ko) 2021-04-15 2021-04-15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6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808A (ko) 2009-03-24 2010-10-04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커넥터 조립체
KR101869540B1 (ko) * 2018-03-15 2018-06-20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KR20190051532A (ko) * 2017-11-07 2019-05-1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808A (ko) 2009-03-24 2010-10-04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커넥터 조립체
KR20190051532A (ko) * 2017-11-07 2019-05-1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KR101869540B1 (ko) * 2018-03-15 2018-06-20 주식회사 경신 방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604B1 (ko) 2024-01-25
KR102566111B1 (ko) 2023-08-11
KR20220142814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941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7901229B2 (en) Shorting terminal,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114998B2 (en)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553186B2 (en) Fluidtigh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764879B1 (en) 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of
US7448888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9935399B2 (en) Connector with fitting detection member
US20120309219A1 (en) Connector
US8708739B2 (en) Connector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JP3301329B2 (ja) コネクタ
EP1641083B1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059902B2 (en)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assembly
US6811451B2 (en) Connector
EP1801925B1 (en) A connector
EP1560297B1 (en) Connector with retaining finger having excessive deformation prevention means
JP3495881B2 (ja) コネクタ
US737782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566111B1 (ko) 단자 휨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US7125292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front part
US20020160650A1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US20040253884A1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7033230B2 (en) Connector
US6530800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JP405648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