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151A -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151A
KR20230068151A KR1020210154187A KR20210154187A KR20230068151A KR 20230068151 A KR20230068151 A KR 20230068151A KR 1020210154187 A KR1020210154187 A KR 1020210154187A KR 20210154187 A KR20210154187 A KR 20210154187A KR 20230068151 A KR20230068151 A KR 2023006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pacer
space
grip
los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075B1 (ko
Inventor
김석준
전재호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to KR102021015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07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41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075B1/ko
Priority to US17/983,357 priority patent/US20230140872A1/en
Publication of KR2023006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는, 형상 기억 소재로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며,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 치아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은,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그립부, 복수의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소실공간을 포함하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상에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 및, 상기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을 연결하는 브릿지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그립부 가공선 및 브릿지 가공선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SPAC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 기억 소재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SPACER)는 치아가 소실된 위치의 공간 소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간을 유지시키는 장치로서, 공간 유지 장치라고 불리기도 한다.
치아가 소실된 위치에 공간 소실이 발생할 경우 영구치의 맹출 실패가 발생하거나, 임플란트 등의 시술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영구치의 맹출, 시술 등의 치료를 위해서 공간 소실을 방지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스페이서가 치과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페이서는 치아 소실 공간의 일측에 배치된 치아에 끼워지도록 폐루프 구조의 밴드, 치아 소실 공간의 타측에 배치된 치아를 지지하도록 밴드로부터 돌출되는 루프로 구성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조된다.
루프는 밴드에 용접되거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서 결합된다. 그리고, 루프는 임플란트나 치아 맹출의 공간 확보를 위해서 치아 소실 공간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루프는 일단이 밴드에 결합되고 치아 소실 공간의 설측과 협측을 가로지르는 한쌍의 연장부, 연장된 타단을 연결하며 치아 소실 공간의 타측에 배치된 치아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페이서의 제조를 위해서는 환자의 치아 배열의 석고 고형을 제작하고, 환자의 치아에 알맞은 루브와 밴드를 준비하여 결합시키고, 석고 모형에 밴드를 끼운 후 루프를 구부려 환자의 치아 소실 공간에 적합하게 제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스페이서의 제조에 오랜시간이 걸리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며, 제조 기간 동안 치아 소실 공간의 축소가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스페이서의 경우, 밴드가 치아의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밴드를 치아에 장착하기 전에 밴드가 삽입될 공간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치료 과정이 요구된다. 상세히, 밴드가 장착될 치아 및 이와 인접한 치아의 사이에 고무 탄성체를 끼워 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 확보 치료 과정이 요구되며, 치아에 압력이 가해져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밴드의 구조에 의해서 치료 과정이 복잡해지고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스페이서의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설치가 보다 용이한 스페이서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미국등록특허 9339351 B2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되며, 루프(spacer, 24)와 밴드(ring, 12)을 가지며, 루프와 밴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밴드의 둘레 길이를 조절 가능한 스페이서가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의한 스페이서도 밴드와 루프의 별도 제조가 요구되고 밴드와 루프의 결합을 위한 구조에 의해서 구성이 보다 복잡하므로 여전히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에 의한 스페이서도 밴드가 치아의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여전히 밴드를 치아에 장착하기 전에 밴드가 삽입될 공간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치료 과정이 요구되며, 치료시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키고 치료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9339351 B2
본 발명은, 치아 배열의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체형 구조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치료 과정이 필요없는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된 상태에서 치아 소실 공간에 실시되는 치료에 간섭이 최소화되고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회피 가능한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는, 형상 기억 소재로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며,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 치아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의 중심부에서 편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치아 및 이와 인접한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양단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모재로부터 레이저 절단되어 제조되거나,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소재를 3D 프린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은,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그립부, 복수의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소실공간을 포함하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상에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 및, 상기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을 연결하는 브릿지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그립부 가공선 및 브릿지 가공선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는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 치아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치아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그립부와, 복수의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그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복수의 그립부는 치아 소실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치아 둘레 전체를 감싸는 스페이서와 달리 인접한 치아의 사이에 스페이서의 장착 공간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치료 과정이 필요없게 되어, 추가적인 치료 과정에 의한 환자의 불편함 발생을 방지하고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브릿지는 치아 소실공간의 회피를 위해서 치아 소실공간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브릿지는 그립부의 중심부에서 편측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치아 소실공간에 맹출되는 치아나 이식되는 치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치아 소실공간의 효과적인 개방을 통해서 치료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복수의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치아 및 이와 인접한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양단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치아에 보다 견고하게 보착 가능하게 되며, 치아 소실공간에 인접한 치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치아 배열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몸체부는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며,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모재로부터 레이저 절단되어 제조되거나,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소재를 3D 프린팅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크게 감축되고, 스페이서의 구성이 간단해짐에 따라 제조 용이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조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뿐만 아니라, 형상 기억 소재로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어 조립 구조의 스페이서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형상 복원 특성에 의해 치아 소실공간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가 치아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소실 공간의 축소가 발생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해 치아 소실공간이 원복 및 유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합력 회피를 위해서 상악과 하악에 따른 브릿지의 편측 위치의 차이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악과 하악에 따른 스페이서의 구조 차이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아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가 가공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가 치아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소실 공간의 축소가 발생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해 치아 소실공간이 원복 및 유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합력 회피를 위해서 상악과 하악에 따른 브릿지의 편측 위치의 차이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악과 하악에 따른 스페이서의 구조 차이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치아가 소실된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가 필요한 다양한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영구치가 맹출되기전에 유치가 탈락되어 치아 소실공간이 형성된 경우, 영구치가 맹출할 공간을 지켜주기 위해서 상기 스페이서(1)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치아가 영구 소실되어 임플란트 시술과 같은 인공 치아의 이식 시술이 요구되는 경우, 치료 기간 동안 치아 소실공간의 축소를 방지하고 공간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페이서(1)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서 치아가 소실된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 기억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10)는 형상 기억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니티놀(Nitinol)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부(10)는 형상 기억 고분자 소재, 형상 기억 성질을 가지는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원래의 모습으로 회복하려는 성질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11),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12),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를 연결하는 브릿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는 치아 소실공간측에서 대응하는 치아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는 대응하는 치아를 감싼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서 치아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는 대응하는 치아의 치아 소실공간을 향하는 내측 치면, 설측 치면 및 협측 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는 접착 안정성을 위해서 대응하는 치아의 설측 및 협측 치면 둘레 길이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측 및 협측 치면 둘레 길이의 1/2 ~ 2/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측에서 대응하는 치아를 감싸며, 상기 치아 소실공간의 반대측으로는 개방되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그립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그립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3)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가 가까워지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복원력에 의해서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가 서로 멀어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3)는 맹출되는 치아나 이식되는 치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치아 소실 공간의 중심에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13)는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의 상기 치아 소실 공간의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부에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된 위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13)는 도1의 치아 배열의 중심을 따라 연장된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치아 소실공간은 이식 또는 맹출될 치아가 위치될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13)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아 소실공간에 치아가 이식되거나 맹출될 때 상기 브릿지(13)와 치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전체적으로 0.3mm 이상에서 0.55mm 이하의 두께 및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립부(11,12)와 브릿지(13)의 단면은 0.3mm ~ 0.55mm 범주 내의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13)의 상기 그립부와 접하는 단부는, 그립부와의 사이에 날카로운 음각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두께가 보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13)의 상기 그립부와 접하는 단부에는 양측으로 라운드진 리브(1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릿지(13)의 단부의 두께 보강은 상기 브릿지(13)의 단부 두께가 0.55mm를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11,12)와 브릿지(13)가 접하는 접속부에 날카로운 음각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파단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3)가 상기 그립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브릿지(13)의 가압력이 상기 그립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1)가 상악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13)는 교합력의 회피를 위해서 협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스페이서(1)가 하악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13)는 교합력의 회피를 위해서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사람의 치아 구조상 하악 치아가 상악 치아보다 설측으로 편측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음식물을 씹기 위해서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교합될 때, 교합력은 상방으로는 하악 치아의 수직 상방 영역에 해당하는 상방 교합력 영향 영역(A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방 교합력은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 중심에서 설측으로 편측된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교합력은 하방으로는 상악 치아의 수직 하방 영역에 해당하는 하방 교합력 영향 영역(A2)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하방 교합력은 교합 중심에서 협측으로 편측된 영역에 집적접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가 상악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릿지(13)가 협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됨으로써 교합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의 파손이나 치아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가 하악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릿지(13)가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됨으로써 교합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1)의 파손이나 치아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1)는 치료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악이나 하악에 상관없이 상기 브릿지(13)가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예로들어, 상기 스페이서(1)는 임플란트 시술에 적용되는 경우, 상악이나 하악에 상관없이 상기 브릿지(13)가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참고하여 스페이서의 상기 브릿지(13)가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아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서 임플란트 시술 위치의 잇몸 판막을 절개하여 협측으로 젖힌 후, 판막 제거 위치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 때, 절개된 판막을 협측으로 젖힘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1)의 브릿지(13)가 치아 소실공간의 협측을 가로지를 경우, 협측에서 진입하는 시술기구와 간섭을 일으켜 시술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가 임플란트 시술과 같이 치아 소실공간 위치에 인공물의 매립이 요구되거나 다양한 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릿지(13)가 상악이나 하악에 상관없이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발명의 설명에서는 그립부가 하나의 치아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브릿지가 하나로 적용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와 접착 안정성 강화 등을 위해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치아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치아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와 내구성 강화 등을 위해 상기 브릿지(13)가 서로 이격된 복수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상술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와 그립부의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는 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구성의 명칭과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그립부의 형상의 차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서 치아가 소실된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11'),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12'), 상기 제1 그립부(11') 제2 그립부(12')를 연결하는 브릿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치아 및 대응하는 치아와 치아 배열을 따라 인접하게 위치된 다른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위치의 복수의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그립부(11')는 상술된 제1 실시예의 제1 그립부(1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그립부(12')만 복수의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그립부(12')는 대응 치아의 치아 소실공간을 향하는 내측 치면, 설측 치면 및 협측 치면을 감싸도록 치면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된 후, 양단이 대응 치아와 인접한 다른 치아의 설측 치면 및 협측 치면을 감싸도록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립부(12')에서 치간에 대응하는 부분은 치간으로 삽입되도록, 치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그립부(12')와 치간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어 상기 제2 그립부(12')와 치간 사이에 이물이 끼이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그립부(12')는 대응 치아의 치아 소실공간을 향하는 내측 치면, 설측 치면 및 협측 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 부분(12a), 상기 제1 부분(12a)의 양단에서 치아 배열을 따라 연장되어 대응 치아 및 이와 인접한 인접 치아 사이의 치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치간에 삽입되도록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제2 부분(12b), 상기 제2 부분(12b)의 양단에서 치아 배열을 따라 연장되어 인접 치아의 설측 치면 및 협측 치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 부분(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부분(13c)은 인접 치아의 설측 및 협측 치면 둘레 길이의 1/2 ~ 2/3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에 의하면 복수이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치아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치아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 가능하며, 치아 소실공간에 인접한 치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치아 소실공간이 축소를 방지하고 치아 배열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치아의 치간을 지나는 부분이 치간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므로 그립부와 치간 사이의 틈이 최소화되어 이물짐 끼임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상술된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와 브릿지의 개수에서 차이가 있는 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구성의 명칭과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브릿지의 차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는 환자의 치아 배열에서 치아가 소실된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11),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이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12),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1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그립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그립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브릿지(13')는 맹출되는 치아나 이식되는 치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치아 소실 공간의 중심에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13')는 2개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브릿지(13')는 치아 소실공간을 설측에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의 상기 치아 소실공간이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부에서 설측으로 편측된 위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브릿지(13')는 치아 소실공간을 협측에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의 상기 치아 소실공간이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부에서 협측으로 편측된 위치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브릿지(13')가 서로 이격되고, 이격된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치아 소실공간이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맹출되는 치아나 이식되는 치아와 상기 브릿지(13') 사이의 간섭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1'')에 의하면 복수의 그립부를 지지하여 치아 소실공간을 유지력을 생성하는 상기 브릿지(13')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치아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강화되며, 하나의 일부의 브릿지가 파손되더라도 기능을 상실하지 않아 치료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술된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일체된 단일 구성으로 제조 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스페이서는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소재로 3D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세히, CAD, CAM과 같은 설계도구를 이용하여,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 상에서 스페이서의 설치가 요구되는 위치의 치아 소실공간과 주변 치아들의 형상 및 배열을 고려한 스페이서의 3D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스페이서의 3D 모델에 대응하는 스페이서를 형상 기억 소재로 프린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3D 프린터에 이용되는 형상 기억 소재는 공지된 3D 프린터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 기억 소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3D 프린터와 형상 기억 소재를 이용하여 3D 모델에 대응하는 물체를 프린팅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는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스페이서는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모재로부터 레이저 절단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가 레이저 컷팅된 후 형상 변형을 위한 추가적인 가공이 적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가 레이저 컷팅된 후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는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이 안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표면이 연마 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는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되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를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모재로부터 레이저 절단하여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가 가공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은 상술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스페이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은, 치아 소실공간을 포함하는 치아 배열의 스캐닝 데이터를 확득하는 데이터 획득 단계, 스캐닝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수정된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는 컷팅 단계, 레이저 컷팅된 몸체부 형성체를 추가 가공하는 추가 가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스페이서의 적용이 필요한 환부 위치를 포함하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스캐닝 데이터는 상기 몸체부(10)가 부착될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 배열을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스캐닝 데이터는 치아 소실공간, 치아 배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 데이터는 치아 배열에 형성된 치간 형상, 각 치아별 치면 굴곡 및 치면 경사도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캐닝 데이터는 stl 파일 포맷에 해당하는 파일일 수 있다. [S100,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데이터 획득 단계 후 상기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제조를 위해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하는 가공선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한 후, 스캐닝 데이터 상에서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된 치아에 상기 제1 그립부(11)와 제2 그립부(12)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한 한쌍의 그립부 가공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가공선은 대응하는 치아의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향하는 내측 치면, 설측 치면, 협측 치면을 따라 그려질 수 있으며, 두께 설정을 위해서 요구되는 두께에 대응하도록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가공선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그립부 가공선을 연결하여 상기 브릿지(13)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한 브릿지 가공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가공선은 상기 한쌍의 그립부 가공선의 중심에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된 위치에 연결되도록 생성되어, 상기 브릿지(13)가 치아 소실공간의 회피를 위해서 설측 또는 협측으로 편측된 구조로 제조 가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가공선은 상기 브릿지(13)의 두께 설정을 위해서 요구되는 두께에 대응하도록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가공선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 가공선의 상기 그립부 가공선에 접하는 단부는 상기 리브(13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라운드지게 가공될 수 있다.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그립부 가공선이 대응하는 치아의 치면을 따라 그려짐에 따라, 치아의 치면 형상이 반영되어 생성될 수 있다. [S200,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가 완료되면, 생성된 가공선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공선 데이터는 2차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컷팅기의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가공선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생성된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는 상기 가공선 데이터가 반영된 2차원의 캐드 파일일 수 있다. [S300, 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는 레이저 가공을 위한 레이저 컷팅기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 컷팅기가 동작하여 투입되는 모재(2)를 레이저 컷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컷팅기가 모재(2)를 레이저 컷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재(2)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재(2)는 형상 기억 합금 판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재(2)는 니티놀(Nitinol) 박판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는 상기 모재(2)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재(2)는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는 레이저 컷팅 전에 설정값이 부여될 수 있다. 예로들어, 작업자는 가공속도 200mm/s, 가공가속도 3000mm/s, 펄스타입의 펄스파워 300w, 펄스 주파수 600hz, 펄스타임 400us, 아르곤가스압 3.0mpa 등과 같이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재(2)가 투입되고 상기 레이저 컷팅기의 설정값이 설정된 후, 작업자는 상기 레이저 컷팅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 동작되면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 의해서 상기 가공선에 따라 상기 모재(2)의 컷팅이 이루어져, 상기 모재(2)에 상기 몸체부(10)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체(100)가 컷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S400, 레이저 컷팅 단계]
상기 레이저 컷팅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가 형성된 상기 모재(2)를 추가 가공하는 추가 가공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가 가공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가 상기 몸체부(10)의 최종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기계적 가공 또는 화학적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추가 가공 단계는,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형상 안정화 등을 위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가공 단계는, 치면에 접촉하는 그립부의 접촉면을 생성하는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에 치면 형상을 반영하는 형상 가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가공 단계는, 상기 형상 가공 단계가 완료된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를 연마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 형상 가공 단계, 연마 단계는 그 작업 순서가 나열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 효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을 밝혀둔다. 예로들어, 상기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연마 단계가 실시되고, 연마 단계 이후 열처리 단계가 실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열처리 단계가 실시된 후 연마 단계가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열처리 단계 히우 형상 가공 단계가 실시되고,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연마 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500, 추가 가공 단계]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는 상기 모재(2)로부터 절단된 후 모재(2)이 절단 공간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지그에 고정된 후, 열처리 장치에 투입되어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는 열처리된 후 형상의 안정화를 위해서 냉각 장치에 투입되어 냉각되거나 자연 냉각될 수 있다. [S510, 열처리 단계]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는 상기 모재(2)로부터 절단된 후 형상 가공에 투입될 수 있다.
형상 가공은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표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다양한 공구, 장치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형상 가공은 원뿔 형상의 버(bur, 3)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상하 방향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에 치면 형상을 고려한 굴곡 및 경사도를 가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버(3)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은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치아의 치면 형상에 맞게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이 치아 소실공간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치면에 대응하는 경우, 대응하는 치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이 치아 소실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치면에 대응하는 경우, 대응하는 치면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이 굴곡진 치면에 대응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굴곡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520, 형상 가공 단계]
상기 형상 가공 단계가 실시된 후,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를 연마하는 연마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표면을 연마 가능한 다양한 연마 공구, 장치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연마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의 판재를 연마 가공하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연마 가공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가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되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이저 컷팅시 상기 몸체부 형성체에는 모재의 용융에 의한 플래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 가공시 가공부위에 쇠가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마 가공에 의해서 플래시, 쇠가시, 모서리 부분이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표면이 보다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S530, 연마 단계]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몸체부가 치아 배열의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판재가 레이저 절단되어 제조되거나 3D 프린팅되어 제조되어, 일체된 단일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치아 소실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의 치아를 지지하는 복수의 그립부가 대응하는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특히 치아 소실공간과 반대되는 측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치아 둘레 전체를 감싸는 스페이서와 달리 인접한 치아의 사이에 스페이서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치료 과정이 필요없하지 않게 되어, 이러한 추가적인 치료과정에 의한 환자의 불편함 발생 및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치아 소실공간을 회피하여 치아 소실공간이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됨에 따라, 치아 소실공간에 맹출되는 치아나 이식되는 치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브릿지가 교합력의 회피를 위해서 상악에서는 협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되고, 하악에서는 설측으로 편측되도록 적용된다. 따라서, 교합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어 교합력에 의한 스페이서의 파손이나 이차로부터의 탈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치아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치아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 가능하며, 치아 소실공간에 인접한 치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치아 배열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에 의하면, 복수의 브릿지가 구비됨에 따라 치아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강화되며, 일부의 브릿지가 파손되더라도 기능을 상실하지 않아 치료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를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제조 가능함에 따라, 스페이서의 제조 비용이 크게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가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저 컷팅되어 제조됨에 따라, 스페이서의 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스페이서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스페이서의 제조 기간 동안 치아 소실공간의 축소가 최소화되어, 제조된 스페이서와 치아가 안정적으로 일치되어 부착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치료 기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상하 방향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한 가공선을 생성 후 상기 가공선에 따라 레이저 컷팅을 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를 형성한다. 그 후, 별도의 추가 가공을 통해서 상기 그립부의 치아 접촉면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 형성체(100)의 접촉면 형성면에 치면 형상을 고려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립부의 치아 접촉면에 치면 굴곡 및 경사도가 반영되어 그립부가 치아에 보다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물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접착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 1', 1'': 스페이서
10, 10', 10'': 몸체부
11, 11': 제1 그립부
12, 12': 제2 그립부
12a: 제1 부분
12b: 제2 부분
13c: 제3 부분
13, 13': 브릿지
C: 중심선
A1: 상방 교합력 영향 영역
A2: 하방 교합력 영향 영역
2: 모재
100: 몸체부 형성체
3: 버(Bur)
S1: 스페이서 제조 방법
S100: 데이터 획득 단계
S200: 데이터 가공 단계
S300: 데이터 변환 단계
S400: 레이저 컷팅 단계
S500: 추가 가공 단계
S510: 열처리 단계
S520: 형상 가공 단계
S530: 연마 단계

Claims (5)

  1. 형상 기억 소재로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며,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 치아 소실공간 양측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1 그립부;
    상기 치아 소실공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치아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제2 그립부;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치아 소실공간의 외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의 중심부에서 편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와 제2 그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치아 및 이와 인접한 치아를 함께 감싸도록 양단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모재로부터 레이저 절단되어 제조되거나, 치아 배열의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소재를 3D 프린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5. 치아 소실공간의 유지를 위해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그립부, 복수의 그립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소실공간을 포함하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상에서 치아 소실공간의 양측에 배치된 치아들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 및, 상기 복수의 그립부 가공선을 연결하는 브릿지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그립부 가공선 및 브릿지 가공선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체를 형성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제조 방법.
KR1020210154187A 2021-11-10 2021-11-10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6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87A KR102669075B1 (ko) 2021-11-10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US17/983,357 US20230140872A1 (en) 2021-11-10 2022-11-08 Spacer and method of me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187A KR102669075B1 (ko) 2021-11-10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151A true KR20230068151A (ko) 2023-05-17
KR102669075B1 KR102669075B1 (ko) 2024-05-2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9351B2 (en) 2013-08-31 2016-05-17 Kenny Durandis Adjustable dental spa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9351B2 (en) 2013-08-31 2016-05-17 Kenny Durandis Adjustable dental spa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0872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974B2 (en) 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
US20230346516A1 (en)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rthodontic Apparatus
US20220226076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0970341B1 (ko)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5662681B2 (ja) Cncフライス盤による歯科矯正器具の製造システム
US20220133438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70127481A (ko) 아치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JP2015510425A (ja) 歯科用補綴物を支持する歯支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510606A5 (ko)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JP551878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治療の骨造成術において使用する保護デバイス
US20130313131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tient-specific bracket body and corresponding bracket body
CN112702973A (zh) 牙齿装置
KR102350791B1 (ko) 접착식 리테이너
US947458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atient-specific pad and corresponding pad
JP2010284248A (ja)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KR20230068151A (ko)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69075B1 (ko) 스페이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075999B (zh) 一种辅助隐形矫治近中移动磨牙的装置及矫治方法
KR20230156584A (ko) 리게이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0800B1 (ko) 접착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US20230233290A1 (en) Adhesive re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00037B1 (ko) 리테이너 및 그의 제조방법
CN213851150U (zh) 一种辅助隐形矫治近中移动磨牙的牵引件及装置
CN210749387U (zh) 一种三维打印的下颌升支部取骨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