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899A -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 Google Patents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899A
KR20230067899A KR1020210153629A KR20210153629A KR20230067899A KR 20230067899 A KR20230067899 A KR 20230067899A KR 1020210153629 A KR1020210153629 A KR 1020210153629A KR 20210153629 A KR20210153629 A KR 20210153629A KR 20230067899 A KR20230067899 A KR 2023006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s
class
student
edi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이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열 filed Critical 이수열
Priority to KR102021015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899A/ko
Publication of KR2023006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학과목을 수강할 때 학습내용을 숙지함과 아울러 반복학습을 통하여 중요공식의 암기 및 고난이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의내용에 대해 일(日)단위, 주(週)단위 및 월(月)단위로 단계적인 확인/점검과 보충학습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본 발명에 의하면,강의 또는 수업을 통하여 습득된 학습내용에 대해 수강생으로 하여금 반복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체계적인점검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학습노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업 당일 내려진 과제별로 과제내용을 기재할 수있도록 꾸며진 제1 편저부와;수업중 습득되는 학습내용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와 중요 공식들을 정리하기 위한 제2 편저부와;중요공식을 반복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문사항에 대해 지도를 요청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3 편저부와;일정시간 또는 기간동안의 수업과정에서 배웠던 중요부분들을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를 통해 다시 학습 및정리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4 편저부와;정기적인 점검 및 지도를 통하여 정리된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꾸며진 제5 편저부 및주어진 기간동안의 학습내용 중 틀린 문제들을 다시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틀린부분을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오답노트로 꾸며진 제6 편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Omitted}
본 발명은 노트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학과목을 수강할 때 학습내용을 숙지함과 아울러 반복학습을 통하여 중요공식의 암기 및 고 난이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의내용에 대해일(日)단위, 주(週)단위 및 월(月)단위로 단계적인 확인/점검과 보충학습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학습노트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문제풀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취약한 분야의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있게 한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리영역의 학문은 이해력과 논리력 및 응용력 등이 총 망라되는 분야로서 학습을 위해 이론이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하는 학습서 이외에도, 실질적인 시험에 대비할 수 있게 다양한 문제풀이를 경험할 수 있는 문제집이 제공되었으며 또한, 부족한 학습량을 보충하고 선행학습을 위한 방편으로, 이른바 사설 강습시설들이 많이 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설립된 사설 강습시설에서는 기존에 출판되어 있거나, 자체 편집한 문제집을 이용하여 이들 문제의 풀이과정을 통해 수업이 진행되는데, 이때, 활용되는 문제집은 학생들이 필요한 이론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이론 요약과, 문제 및 그 문제에 대한 해설과 풀이과정으로 구성되며, 각 문제는 단원별 및 난이도별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문제집의 수업진행과정에서 습득되는 내용을 단순히 순차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이어서, 이와 같은 노트 필기로는 수업중 습득된 주요내용, 공식 및 문제풀이과정에서 오답을 작성하게 된 이유 등과 같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학습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1414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수학과목의 수업에 사용되는 노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목적은 수학과목을 수강할 때 학습내용을 숙지함과 아울러 반복학습을 통하여 중요공식의 암기 및 고 난이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의내용에 대해 일(日)단위, 주(週)단위 및 월(月)단위로 단계적인 확인/점검과 보충학습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학습노트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문제풀이과정에서 나타나는취약한 분야의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게 한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의 또는 수업을 통하여 습득된 학습내용에 대해 수강생으로 하여금 반복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체계적인점검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학습노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업 당일 내려진 과제별로 과제내용을 기재할 수있도록 꾸며진 제1 편저부와;수업중 습득되는 학습내용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와 중요 공식들을 정리하기 위한 제2 편저부와;중요공식을 반복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문사항에 대해 지도를 요청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3 편저부와;일정시간 또는 기간동안의 수업과정에서 배웠던 중요부분들을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를 통해 다시 학습 및정리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4 편저부와; 정기적인 점검 및 지도를 통하여 정리된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꾸며진 제5 편저부 및 주어진 기간동안의 학습내용 중 틀린 문제들을 다시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틀린 부분을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오답노트로 꾸며진 제6 편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 또는 수업을 통하여 습득된 학습내용에 대해 수강생으로 하여금 반복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체계적인점검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학습노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업 당일 내려진 과제별로 과제내용을 기재할 수있도록 꾸며진 제1 편저부(110)와;수업중 습득되는 학습내용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와 중요 공식들을 정리하기 위한 제2 편저부(120)와;중요공식을 반복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문사항에 대해 지도를 요청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3 편저부(130)와; 일정시간 또는 기간 동안의 수업과정에서 배웠던 중요부분들을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를 통해 다시 학습 및정리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4 편저부(140)와;정기적인 점검 및 지도를 통하여 정리된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꾸며진 제5 편저부(150) 및주어진 기간 동안의 학습내용 중 틀린 문제들을 다시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틀린 부분을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오답 노트로 꾸며진 제6 편저부(1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학과목을 수강할 때 학습내용을 숙지함과 아울러 반복학습을 통하여 중요공식의 암기및 고 난이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의내용에 대해 일(日)단위, 주(週)단위 및 월(月)단위로 단계적인확인/점검과 보충학습 등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학습노트를 작성하게 함으로써, 문제풀이과정에서나타나는 취약한 분야의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에 따른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중 제1편저부의 편성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중 제2편저부의 편성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에 따른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중 제1 편저부의 편성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트(100)는 그 내용에 따라 제1 편저부(110), 제2 편저부(120), 제3 편저부(130), 제4 편저부(140), 제5 편저부(150), 제6 편저부(160)로 구획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상기 각 편저부를 구분하기 위한 색상이 다른 속지(1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편저부(110)는 수업이 이루어진 날의 과제물을 정리하기 위해 오와 열로 구획되어 있는 곳으로, 그 첫 난에는 수업의 해당 월과 일을 기재하기 위한 기일부(幾日; 112)가 마련되고, 상기 기일부(112)와 접하여 그날의 수업주제를 기재하기 위한 수업내용(114) 및 그날의 과제를 기재하기 위한 숙제(116)란이 서로 접하도록 구획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편저부(110)를 통해 그날의 수업내용과 그 수업내용을 통해 전달된 과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중 제2편저부의 편성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편저부(120)는 수업도중 습득되는 중요 공식들을 정리하기 위해 오와열로 구획되어 있는 곳으로, 그 첫란에는 해당 공식의 명칭을 기재하기 위한 공식이름(122)이 마련되고,이와 인접하여 상기 해당공식이 증명되기까지의 풀이과정을 정리하기 위한 원리과정(124), 해당 공식의 풀이과정 중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정리하기 위한 공식에 대한 중요 Point(126) 및 이 모든 과정을 검수하기위한 선생님 확인(128)란이 서로 접하도록 구획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 모든 과정을 문제 풀이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日) 단위의 수업내용을 주(週)단위로 확인/점검하고 또한, 주 단위의 수업내용을 월(月)단위로 확인/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계적인 확인/점검을 통해 체계적인 학습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110 : 제1 편저부 120 : 제2 편저부
130 : 제3 편저부 140 : 제4 편저부
150 : 제5 편저부 160 : 제6 편저부
170 : 속지

Claims (2)

  1. 강의 또는 수업을 통하여 습득된 학습내용에 대해 수강생으로 하여금 반복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체계적인점검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학습노트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업 당일 내려진 과제별로 과제내용을 기재할 수있도록 꾸며진 제1 편저부(110)와;수업중 습득되는 학습내용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와 중요 공식들을 정리하기 위한 제2 편저부(120)와;중요공식을 반복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문사항에 대해 지도를 요청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3 편저부(130)와;
    일정시간 또는 기간 동안의 수업과정에서 배웠던 중요부분들을 선생님이 출제한 문제를 통해 다시 학습 및정리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제4 편저부(140)와;정기적인 점검 및 지도를 통하여 정리된 학습내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꾸며진 제5 편저부(150) 및주어진 기간 동안의 학습내용 중 틀린 문제들을 다시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틀린 부분을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오답 노트로 꾸며진 제6 편저부(1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저부(110)는 수업이 이루어진 날의 날짜를 기재하는 기일부(幾日; 112), 그날의 수업주제를 기재하기 위한 수업내용(114) 및 상기 기일부(112)의 해당 날짜에 발생한 과제 내용을 기재하기 위한 숙제(116)란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란들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노트편집방법.
KR1020210153629A 2021-11-10 2021-11-10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KR20230067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29A KR20230067899A (ko) 2021-11-10 2021-11-10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29A KR20230067899A (ko) 2021-11-10 2021-11-10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899A true KR20230067899A (ko) 2023-05-17

Family

ID=8654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629A KR20230067899A (ko) 2021-11-10 2021-11-10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8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143A (ko) 1998-04-24 2001-02-26 우츠미 오사무 저유전율 실리카계 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저유전율피막으로 도포된 기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143A (ko) 1998-04-24 2001-02-26 우츠미 오사무 저유전율 실리카계 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저유전율피막으로 도포된 기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htiyarovna et al. Independent Extracurricular Work Of Students Of Technic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Conditions Of A Credit Modular System
Duker et al. Hacking the music theory classroom: Standards-based grading, just-in-time teaching, and the inverted class
Olkun et al. Textbooks, word problems, and student success on addition and subtraction
Max et al.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addressing the common cor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in content courses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 focus on critiquing the reasoning of others
Seitan et al. The Impact of Integrating Flipped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Attitudes towards It.
Hartley Studying for the future
KR20230067899A (ko)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Haviz Development of Research-Based Learning Model in Biology Education: What is Relevance, Concystency and Practicality?
KR100658087B1 (ko) 수리영역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트편집방법
Lee Virtually Vygotsky: using technology to scaffold student learning
Mousavi et al. The washback effect of TEFL university entrance exam on academic behavior of students and professors
KR20090076449A (ko) 반복 학습을 통해 단어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단어암기용 정리 노트 및 그 편집 방법
Surprenant Learning theory, lecture, and programmed instruction text: An experiment in bibliographic instruction
KR101357750B1 (ko) 자기주도학습서
Pertiwi et al.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utorial Content to Improve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Skills
Mundy-Henderson et al. Support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sign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th a Transparent Lesson Plan Template
Moin Relative effectiveness of various techniques of calculus instruction: A meta-analysis
Conner Investigating diagnostic preassessments
Householder Effects of programed instruction upon initial learning, retention, and subsequent learning from a textbook
Lim et al. The “Wrong Answer Note”: An Analysis of Students’ Mistakes
Grade Course Information
Smith Using technology with pre-k and kindergarten students to increase early numeracy skills
Cumhur et al. Evaluation of Numerical Analysis Course Problem-Solving Processes of Engineering Students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Kurniati et al. An Analysis of Mathematics Education Students Errors in solving PISA Adaptation Test
Parks Impact of a laboratory approach supported by" Mathematica" on the conceptualization of limit in a first calculus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