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444A -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444A
KR20230067444A KR1020220018964A KR20220018964A KR20230067444A KR 20230067444 A KR20230067444 A KR 20230067444A KR 1020220018964 A KR1020220018964 A KR 1020220018964A KR 20220018964 A KR20220018964 A KR 20220018964A KR 20230067444 A KR20230067444 A KR 2023006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alysis service
counseling
psychological
psychological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훈
이상현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양성훈
이상현
오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훈, 이상현, 오승진 filed Critical 양성훈
Publication of KR2023006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 지능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가 제고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FOR PROVIDING PSYCHOLOGICAL ANALYSIS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담자에게 영상을 기초로 분석된 상담 결과를 제공하고 상담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커머스(e-commerce)가 대중화되고 많은 산업 분야가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는 과정에서 심리상담 서비스는 아직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곳이 많으며 고객 관리 또한 오프라인인 상담 센터들이 많다.
오프라인 상담은 피상담자로 하여금 상담센터에 방문해야 하는 부담을 주며 이러한 부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문제가 정말 심각해지지 않는 경우 상담을 받길 꺼려하는 경향을 지닌다.
특히, 아동 심리를 상담하기 위해 센터를 방문하게 되면, 상담사가 특정 상황에서의 부모 및 아이의 반응을 관찰하게 되는데, 공간의 변화로 평소의 문제 행동이 잘 드러나지 않거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관찰되어 상담 효과가 100% 발휘되기 어려운 상황이 야기되고는 한다. 또한, 객관적 지표 없이 상담사의 주관으로 상담을 진행하기 때문에 아동 심리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부 상담 센터에서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점차 확대 및 지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온라인 상담 서비스는 피상담자의 평소 환경에서 촬영한 자연스러운 영상을 센터에 제출하고 이에 대해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또한 객관적 지표 없이 상담사의 주관으로 상담을 진행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는 상담사 간 역량 차이로 인해 피상담자가 상담 시 얻는 결과에 대한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를 가지며, 상담사는 상담 결과를 피상담자에게 전달할 때의 근거를 본인의 주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뢰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피상담자들에게는 부담없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담사에게는 피상담자들과 직접 의견을 교류하기 이전에 관련 메타 데이터들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40485호 (공개일: 2021년 04월 0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피상담자들에게는 부담없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담사에게는 피상담자들과 직접 의견을 교류하기 이전에 관련 메타 데이터들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담사의 주관에 따라 이루어지던 기존 상담과는 달리, 상담사에게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영상 분석 결과 도출해낸 메타 데이터들을 제공 및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상담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어 상담자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담 센터에 대한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담 센터로부터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접수받는 단계,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서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석 리포트를 상기 상담 센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의 개수, 재생 시간 및 분석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비용을 상기 상담 센터에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 별로 고유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 별 매핑된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수집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 및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상대방이 있는 경우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분석 대상 사용자 및 상담 센터의 상담자에게 제공할 분석 리포트를 서로 다르게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Code)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담 센터로부터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접수받고,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서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분석 리포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담 센터로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모듈;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이용자 단말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업로드되면, 빅데이터 및/또는 기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업로드된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담 대상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타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이를 포함하는 분석 보고서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피상담자들에게는 부담없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상담사에게는 피상담자들과 직접 의견을 교류하기 이전에 관련 메타 데이터들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담사의 주관에 따라 이루어지던 기존 상담과는 달리, 상담사에게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영상 분석 결과 도출해낸 메타 데이터들을 제공 및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상담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어 상담자의 신뢰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담 센터에 대한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으로 사용자 촬영 영상에 대한 심리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별 고유 식별 번호를 매핑하여 출력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피상담자(U1, U2)의 단말(UE), 상담 센터의 단말(D1) 및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담 센터의 단말(D1)은 피상담자(U1, U2)의 단말(UE)로부터 온라인 기반의 상담 신청을 접수할 수 있으며, 상담 센터의 단말(D1)은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심리 분석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 분석 서비스는 사용자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피상담자(U1, U2)의 단말(UE), 상담 센터의 단말(D1) 및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각각에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우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SaaS, Paa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이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로 칭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5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입력부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또는 본 개시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가 복수개일 경우,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들을 통해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카메라들은 3차원의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본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본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인공 지능 기반의 다양한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50), 및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수로 기재되어도 복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Code)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장치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으로 사용자 촬영 영상에 대한 심리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별 고유 식별 번호를 매핑하여 출력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설명하면서, 도 4 내지 도 6의 내용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담 센터로부터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접수받을 수 있다(S710).
상담 센터는 상담사의 결정에 따라 자동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신청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상담 센터는 디폴트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신청하거나, 특정 상담 테마에 대해서만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신청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서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720).
상담 센터는 심리 분석 서비스를 신청할 때,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의 개수, 재생 시간 및 분석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90)는 분석 대상 사용자의 이전 심리 분석 서비스 신청 정보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비용 산정에 활용할 수 있는데, 제어부(190)는 이전 심리 분석 서비스 신청 테마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비용 할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산정된 비용을 상담 센터에 청구할 수 있는데, 접수하자마자 청구하거나 심리 분석 서비스의 분석 리포트가 송부된 직후에 청구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720 단계 이후에, 제어부(190)는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S7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사용자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들(U6~U8)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번호(ID5~ID7)을 각각 매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촬영 영상에서 스크린 아웃되었다가 스크린 인되는 경우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모가 소정 범위 내에서 바뀌더라도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다.
도 3의 S730 단계 이후에, 제어부(190)는 특정된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S740).
이‹š, 제어부(19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인공 지능 기반의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및/또는 표정을 인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인식 모델(M1)은 복수의 신경망 기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3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는 모두 지도 학습 기반으로 학습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 트루스 기반으로 소정의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반복 학습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별 매핑된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수집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분석 대상 사용자 및 분석 대상 사용자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90)는 분석 대상 사용자(U3)의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가령, 집중도)에 대한 심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분석 대상 사용자(U3)의 시선을 추적하여, 소정 시간 동안 얼만큼 교재를 들여다보는지, 사고하는 표정과 행동을 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90)는 특정된 제1 사용자(U1) 및 제2 사용자(U2)의 행동(때리는 행동, 맞는 행동)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U2)의 표정이 일그러지고 눈물을 흘리는 표정을 인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U1, U2)의 감정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카메라(C2, C3)는 소정 장소(PL, 가령, 집, 어린이집 등)의 촬영 허가 범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S740 단계 이후에, 제어부(190)는 인식된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750).
여기서,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는 피상담자가 궁금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단어일 수 있는데, 학습, 집중, 산만, ADHD, 사회성, 교우 관계, 가족 관계, 우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타 데이터는 특정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따른 상담사가 피상담자와 상담하기 위해 필요한 분석 정보, 숙지해야할 정보, 전문성/상담성 증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90)는 분석 대상 사용자의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상대방이 있는 경우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750 단계 이후에, 제어부(190)는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S760).
제어부(190)는 상담사가 이용할 분석 리포트 및 분석 대상 사용자에게 제공할 분석 리포트를 서로 다르게 작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은 상담을 원하는 피상담자의 단말로서, 피상담자는 제1 단말을 통해 제2 단말로 상담을 요청(의뢰)한다. 상담 요청 시, 피상담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과 함께 피상담자 자신 및/또는 상담 대상자의 인적사항, 성향, 상담 내용, 문제점 등을 이용자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피상담자와 그 상담의 대상이 되는 상담 대상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피상담자가 상담대상자를 촬영한 영상으로서, 상담대상자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해 연출된 상황을 기반으로 촬영한 영상이거나, 상담대상자의 일상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제2 단말은 피상담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상담사의 단말로서, 상담사는 제1 단말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수신되면, 제2 단말을 통해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상에 그 수신된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송신함으로써 영상 분석을 요청한다.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관리 및 운용하는 장치로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일 수도 있다.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단말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업로드되면, 빅데이터 및/또는 기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그 업로드된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담 대상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그 추출된 메타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를 포함하는 분석 보고서를 제2 단말로 송신하며, 제2 단말은 그 분석 보고서를 참고하여 피상담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그 최종 상담 결과를 제1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최종 상담 결과는 상담자가 분석 보고서를 기반으로 추가 분석한 분석 결과 및 영상 분석 보고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최종 상담 결과에 포함되는 데이터(정보) 및 그 제공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할 뿐 아니라, 제2 단말로부터 그 피상담자의 분석 결과를 전달받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로써, 상담사는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확인할 수 있고, 그 히스토리 파악 또한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은 각각의 이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테블릿(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 박스(black box)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단말(10) 및/ eh는 제2 단말(20)은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웹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피상담자가 제1 단말을 통해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직접 가입 및 접속하여 자신이 촬영한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업로드하고, 그 업로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및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담을 요청하면,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기반으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용자 정보와 함께 상담사의 제2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심리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담사에 의한 분석 결과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상에 업로드 될 수 있고, 피상담자는 그 분석 결과를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상에서 확인하거나 제1 단말에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피상담자가 상담을 요청할 시, 피상담자에 의해 입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인공 지능 모델을 통해 적합한 상담사를 검출함으로써 피상담자와 상담사가 자동 매칭될 수도 있고, 피상담자가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상담사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어느 하나의 상담사를 선택함으로써 피상담자와 상담사가 수동 매칭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담사만이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상담자와 상담사가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중심으로 소통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용자들, 즉, 피상담자, 상담자, 상담 센터 등은 별도의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이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이용하여 그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는, 심리 분석 서비스는 무상으로 제공하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1) 상에 광고를 노출시켜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는 바, 그 수익 창출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90)는 제2 단말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업로드되면, 빅데이터 및/또는 기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그 업로드된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담 대상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90)는 그 추출된 메타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를 포함하는 분석 보고서를 제2 단말로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190)는 업로드된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각 이용자 별로 등록하여 관리하는데, 제2 단말로부터 그 피상담자의 분석 결과를 더 전달받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는 피상담자 및/또는 상담 대상자의 인적사항, 성향, 상담 내용 및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상담자 및 상담 대상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단말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업로드 됨에 따라 영상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피상담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 이때, 그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피상담자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롭게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담 대상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메타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를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이전 단계에서 시각화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 보고서를 생성하여 제2 단말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190 : 제어부

Claims (10)

  1.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담 센터로부터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접수받는 단계;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서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분석 리포트를 상기 상담 센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의 개수, 재생 시간 및 분석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비용을 상기 상담 센터에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 별로 고유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 별 매핑된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수집하여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 및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시간순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메타 데이터 및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상대방이 있는 경우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분석 대상 사용자 및 상담 센터의 상담자에게 제공할 분석 리포트를 서로 다르게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8.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인공 지능 기반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9.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Code)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담 센터로부터 심리 분석 서비스를 접수받고,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서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 사용자 정보 및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사용자의 행동 및 표정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행동 및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 관심 키워드 정보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석 리포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분석 리포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담 센터로 제공하도록 야기하는 코드가 저장된,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석 대상 사용자의 촬영 영상의 개수, 재생 시간 및 분석 난이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접수된 심리 분석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비용을 상기 상담 센터에 청구하도록 구성되는,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20018964A 2021-11-08 2022-02-14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067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2103 2021-11-08
KR1020210152103 2021-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44A true KR20230067444A (ko) 2023-05-16

Family

ID=8654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964A KR20230067444A (ko) 2021-11-08 2022-02-14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4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85B1 (ko)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통합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85B1 (ko)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통합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8949B2 (en) Personalized privacy assistant
CN110781321B (zh) 一种多媒体内容推荐方法及装置
US20190034402A1 (en) Cognitive mediator for generating blockchain smart contracts
US20200302564A1 (en) Customized career counseling and management
CN106030594B (zh) 个人守护程序的加速训练
CN111298445A (zh) 目标账号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585939B2 (en) Real time object description service integrated with knowledge center on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devices
US11182447B2 (en) Customized display of emotionally filtered social media content
US10650327B2 (en) Adaptive content generation and dissemination system (ACGDS)
JP2021103506A (ja) 情報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1611490A (zh) 资源搜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057673B2 (en) Personalized content aggregation and delivery
US10841482B1 (en) Recommending camera settings for publishing a photograph based on identified substance
Miraz et al. Culturally inclusive adaptive user interface (CIAUI) framework: exploration of plasticity of user interface design
US20200402153A1 (en) Negotiation device
KR2020001316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38063B2 (en) Online fraud prevention and detection based on distributed system
KR20230067444A (ko) 인공 지능 기반 심리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US10832315B2 (en) Implementing cognitive modeling techniques to provide bidding support
CN113762585B (zh) 数据的处理方法、账号类型的识别方法及装置
JP7337933B2 (ja) 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サーバ、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30865B2 (en) User reaction based information options
US11481460B2 (en) Selecting items of interest
CN114372580A (zh) 模型训练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15482019A (zh) 一种活动关注度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