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293A -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293A
KR20230067293A KR1020210153228A KR20210153228A KR20230067293A KR 20230067293 A KR20230067293 A KR 20230067293A KR 1020210153228 A KR1020210153228 A KR 1020210153228A KR 20210153228 A KR20210153228 A KR 20210153228A KR 20230067293 A KR20230067293 A KR 2023006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composition
nail care
gel
n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윤 filed Critical 한상윤
Priority to KR102021015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293A/ko
Publication of KR2023006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5Involves in-situ formation or cross-linking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광 경화형 수지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네일 폴리쉬 혼합물; 및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 및 네일 케어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로 손발톱에 지속적으로 영양 성분을 침투시킴으로써, 기존 젤 네일 시술에 따른 손발톱 손상을 억제하고, 건강하고 매끄러운 손발톱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COMPOSITION FOR NAIL CARING CONTAINING NUTRIENT}
본 발명은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경화성 젤 제형을 활용하여 영양 성분의 투과 성능을 향상시킨 네일 케어용 조성물 및 네일 케어 키트에 관한 것이다.
네일(nail)은 손톱, 발톱을 총칭하는 단어로, 케라틴 경단백질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층의 네일 매트리스에 의해 끊임없이 자라지만 죽은 각질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이러한 네일과 관련된 산업은 삶의 질의 향상 및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인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네일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제품 출시와 기술 수용으로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노력들을 보이고 있다. 젤 네일 시장은 소비자의 오래 유지될 수 있는 네일 미용 서비스의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짧은 기간에 급성장하고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젤 제품에 대한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않은 채 시술하고 제거 또한 인위적으로 하다 보니 손톱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손상된 네일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한 손톱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또한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뷰티 분야에서는 미용 질환 치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뷰티 시장의 욕구에 따라 화장품(Cosmetics)과 의약품(Pharmaceutical)을 합성한 고기능성 화장품을 뜻하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신조어가 등장하였다. 기존 화장품에 피부치료의 개념을 접목한 ‘피부의약품’을 의미한다.
더불어, 손톱의 손상도 및 강도를 보강해주는 보강제, 강화제 및 영양제 등 다양한 트리트먼트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젤 네일의 유지력과 밀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젤 네일 제거시 손톱의 손상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제, 강화제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손톱 질환은 흔한 질병이고 UV 젤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해 손톱의 질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손톱의 조상(nail bed)을 통한 영양 성분의 약물 침투는 미미한 실정이다. 손발톱은 각화된 죽은 세포가 여러 겹이 단단하게 압축되어 있어서 피부와는 달리 영양 성분의 투과가 어렵다. 따라서 손톱의 손상도 및 강도를 보강해주는 영양 성분의 효과적인 약물 침투의 전달을 위한 네일 트리트먼트의 내구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7064호 (2006년12월12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발톱으로 영양 성분 투과가 우수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광 경화형 수지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네일 폴리쉬 혼합물; 및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tropoelastin methacrylate),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및 나노실리케이트(nano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광 경화성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gelatin methacryloly, GelM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광 경화로 1 내지 3주간 영양 성분이 손발톱으로 침투 및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를 함유하여, UV 경화시 손발톱으로 영양 성분 침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로 손발톱에 지속적으로 영양 성분을 침투시킴으로써, 기존 젤 네일 시술에 따른 손발톱 손상을 억제하고, 건강하고 매끄러운 손발톱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손상된 손톱의 보강을 위한 영양 성분의 투과 가능성을 조사하여, 네일 트리트먼트의 효능을 개선하고 손톱에 영양 성분이 오래 지속되어 작용할 수 있는 UV 경화성 젤 제형에 적용 가능한 네일 영양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UV 경화가 가능한 젤 제형으로, 젤 네일 폴리쉬 혼합물; 및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젤 네일 폴리쉬(polish) 혼합물은 UV 하에서 경화되는 폴리쉬로,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광 경화형 수지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 경화형 수지는 헤마((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디-헤마 트리메칠헥실 디카바메이트(di-HEMA trimethyhexyl dicarbamate) 및 아크릴레이트/카바메이트 코폴리머(acrylates/carbam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손발톱 미용에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심자외선(deepultraviolet radiation) 등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는 단량체들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것으로, 상기 광 개시제는 라디칼 개시제이거나 양이온계 개시제일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네일에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에틸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ethyl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및 페닐 비스(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 옥사이드(phenyl bis (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젤 네일 폴리쉬 혼합물은 이 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중합 가속제, UV 안정제, 소포제, 레벨링제, 요변성(thixotropic) 첨가물, 글리터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Tropoelastin methacrylate),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및 나노실리케이트(Nono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광 경화성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gelatin methacryloly, GelMA)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영양 성분은 판테놀(panthenol) 또는 비오틴(biot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테놀은 판토테닉시나(비타민 B5)의 프로비타민으로, 판테놀이 피부 내로 들어오게 되면 판토텐산(비타민 B5)이라는 물질로 변해 수분을 결합시키는 성질이 있어 보습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비오틴은 비타민 B7, 비타민 H로도 불리며, 손톱, 피부를 구성하는 구성 물질 중의 하나이다.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UV 조사함으로써 경화 처리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UV 경화에 의해 1 내지 3주간 영양 성분이 손발톱으로 침투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판테놀, 비오틴, 케라틴, 콜라겐, 레티놀, 펩타이드 및 비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영양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네일에 영양 및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은 직접 손발톱에 적용되는 고상 또는 액상 형태의 네일 제품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인조 손발톱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네일 케어 키트는 UV 또는 LED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손발톱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손발톱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일 케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광은 UV 또는 LED 램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방법>
1. 재료
1) 시료 손발톱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 손발톱은 3개월 동안 지속적인 젤 네일 시술 후 3개월 이후 제거 직후의 20대 여성 4명의 한 손의 손발톱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 손발톱 시료 채취는 총 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선 젤 네일 시술 전의 건강한 손톱을 1차 시료로 채취하였다. 그리고 젤 네일을 3개월에 거쳐 지속적으로 시술 및 제거를 2회 이상 반복하여 손상된 손톱을 2차 채취하였다.
4명의 손발톱을 준비하여 70% 에탄올로 처리하고 다시 증류수로 씻어내었다. 이 과정을 세 번 반복하고 손발톱을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 후 바로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4℃에서 보관하였다. 전 처리 과정을 거친 손발톱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2) 사용 시약
디-헤마 트리메칠헥실 디카바메이트(Di-HEMA Trimethyhexyl Dicarbamate), 테트라하이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아크릴레이트/카바메이트 코폴리머(Acrylates/Carbamate Copolymer), 에틸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Ethyl 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헤마(HEMA), 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Trimethy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폴리에스터-11(Polyester-11)의 성분으로 구성된 젤(Gel)을 네일1번가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광경화성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gelatin methacryloly, GelMA)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나노실리케이트(Nanosilicate),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Tropoelastin methacrylate/AMP Tet213 펩다이드)를 www.curegel.cn에서 구입하고, UV/LED 젤 램프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실험과정
1) 손발톱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의 제조
손발톱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단량체(monomers)인 젤(Gel)과 광경화성 GelMA에 함께 사용하여 세포 및 조직에 특이적인 기능을 제공해 주는 물질의 3가지 유형의 영양성분 투과 촉진 제형을 제조하였다.
① 세포 및 조직에 상처 치료와 항균 작용의 반응을 보이는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Tropoelastin methacrylate/AMP Tet213 펩다이드) + GelMA
② 미네랄 생성에 반응하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 GelMA
③ 골 생성 및 미네랄 생성에 반응하는 나노실리케이트(Nanosilicate) + GelMA
2) 단랑체 및 용매(에탄올 및 NMF)에서의 손발톱 영양성분 투과 촉진제 용해도 측정
포화 용해도 연구는 단량체 및 용매에서의 영양성분의 적정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3가지 종류의 영양성분 투과 촉진제(Tropoelastin methacrylate/AMP Tet213 펩다이드 + GelMA, Hydroxyapatite + GelMA, Nanosilicate + GelMA)를 2ml의 단랑체 또는 용매(25%v/v)를 함유하는 바이알에 각각 1~5%w/v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조에 배치된 자기 교반기에서 2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두었다. 이어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1ml의 각 3개의 샘플을 바이알로부터 빼내어 0.22㎛ MILLEXⓡ GP 필터 유닛을 통해 Eppendorf 튜브로 통과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13.2X1000의 속도로 20분 동안 벤치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 분리하였다. 각 3개의 샘플의 상층액을 수집하고 에탄올로 50, 100 또는 1000배로 희석하고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했다.
3) 제형의 UV/LED-경화 및 손발톱 표면 관찰
전처리 과정을 거친 2차 시료 채취 손발톱은 well plate에 넣어 각각의 3가지 종류 영양성분 투과 촉진제를 1ml씩 첨가한 혼합 단량체인 Gel을 UV/LED 램프에 경화시켰다. 나머지는 손발톱은 영영성분 투과촉진제를 첨가하지 않은 단일 단량체인 Gel을 UV/LED 램프에 경화시켰다.
하기 표 1은 영양성분 투과 촉진제를 각 시료에 적용한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연구대상 1 A B C D E
연구대상 2 E A B C D
연구대상 3 D E A B C
연구대상 4 C D E A B
연구대상 5 B C D E A
A: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 + GelMA의 혼합 단량체
B: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 GelMA의 혼합 단량체
C: 나노실리케이트 + GelMA의 혼합 단량체
D: 단일 단량체
E: 무처치
채취된 손발톱 시료의 3주 (21일) 기간 동안 표면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형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였다. 또 손발톱시료의 두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포인트 마이크로미터(mitutoyo)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4) 적외선(FT-IR)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의 중합체 구조 및 용매, 영양성분 투과촉진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단량체 혼합물에서 중합체 필름의 전화도(DC)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5) UV/LED 경화된 복합 단량체으로부터 영양 성분의 방출 및 침투 측정
3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손발톱을 통해 투과되는 영양성분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능 액채 크로마토 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3주의 기간이 지난 후 핀셋을 사용하여 손발톱 표면의 경화된 젤(Gel)을 조심스럽게 분리시켜 1ml의 에탄올을 함유한 바이알에 넣었다. 혼합물을 2시간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용매를 HPLC로 분석하여 약물의 양을 정량화 하였다.
3. 평가방법
1) 퍼짐성 (Spreadability)
20cm x 20cm 크기의 유리판 중앙에 네일 폴리쉬 1mL을 가한 후, 그 위에 같은 크기의 또 다른 유리판을 올려 놓은 다음, 상부 플레이트에 1분 동안 약 1kg의 무게를 가하여 네일 폴리쉬가 두 플레이트 사이에 퍼지도록 한 다음, 확산 면적(cm2)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 때, 균일하게 퍼지지 않은 경우 긴 축과 짧은 축 2군데를 측정하였다.
2) 졸-겔 전이온도 (Sol-Gel Transition Temperature)
젤 네일 폴리쉬 1mL을 테스트 튜브에 넣은 후 25℃로 유지되는 수조에 담궈 서서히 온도를 올려 용액이 완전히 겔화되는 온도를 전이온도로 하였다. 전이 온도 부근에서 젤 네일 폴리쉬는 튜브 안에서 흐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야 하며 이상적으로는 젤 네일 폴리쉬의 사용 온도 범위(25℃-30℃)가 바람직하다.
3) 약물(유효성분) 함량 (Drug Content)
유효성분의 함량은 제형 1mL을 메탄올에 정확하게 용해시켜 결정하였다. 메탄올에 용해된 제형은 적절한 비율로 희석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약물의 농도는 확립된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4) 건조시간 (Drying Time) 혹은 경화시간
약물의 농도나 제형의 처방에 따른 젤 네일 폴리쉬의 건조시간을 평가하였다. UV 경화기에 의해 경화를 시킬 경우 조성에 따라 경화가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젤 네일 폴리쉬를 브러시를 사용하여 유리 페트리 접시 혹은 적절한 대상(인공손톱 등)에 적용한 후 UV 경화기를 이용해 경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경화의 기준은 깨끗한 손가락 끝 혹은 면봉으로 필름을 만졌을 때 손가락이나 면봉에 어떤 물질도 뭍어나지 않는 상태이다. 경화시간의 기준(예를 들어 10분 이내)이 있을 경우 적부를 판정할 수 있다.
5) 방수효과 (Water Resistence)
필름에 물이 얼마나 투과되는지에 대한 평가로 물의 투과에 대한 저항의 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
세 개의 유리판에 동일량의 필름을 적용하고 건조시킨 다음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후 유리판을 37℃의 증류수 수조에 24시간 동안 담궈 놓은 다음, 유리판을 꺼내어 표면의 물기를 닦아 완전히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하기 식 1에 따라 무게의 변화를 계산해 무게가 증가할수록 내수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W1: 젤 네일 폴리쉬를 물에 담그기 전의 무게
W2: 젤 네일 폴리쉬를 물에 담근 후 24시간 이후의 무게
6) 광택 (Gloss)
육안으로 필름 표면의 광택과 색상을 확인하였다.
7) 약물방출시험
약물(유효성분)의 방출시험은 젤 네일 폴리쉬를 셀로판막(0.8㎛)에 일정한 면적으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 진행하였다. 젤 네일 폴리쉬가 건조된 후 폴리쉬가 적용되지 않은 셀로판막은 칼로 제거하여 폴리쉬 시편을 약물방출시험 샘플로 사용하였다.
셀로판막 없이도 젤 네일 폴리쉬만 단독으로 필름을 만들어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폴리쉬가 건조 후 쉽게 떨어질 수 있는 테플론판 같은 곳에 일정한 크기로 폴리쉬를 도포후 건조한 후 떼어 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실험에 사용할 폴리쉬는 실제로 가로와 세로 길이를 재서 면적을 구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모든 폴리쉬의 크기가 같지 않아도 무방하다.
아래의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택하여 방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유효성분의 방출양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완충액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① 37℃가 유지되는 pH 7.4 인산완충액이 담긴 교반기가 있는 비이커에 샘플을 넣고 교반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완충액을 취하여 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완충액의 양이나 교반기의 교반 속도는 실험 장비에 따라 논의 후 결정한다.
② 37℃가 유지되는 pH 7.4 인산완충액이 담긴 교반기가 있는 비이커에 샘플을 넣고 진탕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완충액을 취하여 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완충액의 양이나 진탕 속도는 실험 장비에 따라 논의 후 결정한다.
③ 주의할 점은 유효성분 분석을 위해 시간마다 샘플을 취한 양과 동일한 완충액을 비이커에 가해 주어야 전체 용량이 유지된다. 또한 교반이나 진탕 중에 시간이 지나면서 용매가 증발되어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호일이나 파라필름 혹은 적절한 뚜껑으로 비이커를 차폐해야 한다.
8) 안정성 시험 (Stability Studies)
안정성 시험은 1개월 동안 서로 다른 보관 온도 (4℃와 25℃)에서 수행하며, 다양한 시험은 15일 간격으로 평가되었다. 평가항목은 앞선 여러 평가 방법 중 선택된 방법들(퍼짐성, 졸-겔 전이온도, 유효성분 함량, 건조시간, 방수효과, 광택)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Claims (5)

  1.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광 경화형 수지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젤 네일 폴리쉬 혼합물; 및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트로포엘라스틴 메타아크릴레이트(tropoelastin methacrylate),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및 나노실리케이트(Nanosilic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광 경화성 젤라틴 메타아크릴로일(gelatin methacryloly, GelM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성분 투과 촉진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 경화로 1 내지 3주간 영양 성분이 손발톱으로 침투 및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케어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네일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네일 케어 키트.
KR1020210153228A 2021-11-09 2021-11-09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KR20230067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28A KR20230067293A (ko) 2021-11-09 2021-11-09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228A KR20230067293A (ko) 2021-11-09 2021-11-09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93A true KR20230067293A (ko) 2023-05-16

Family

ID=8654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228A KR20230067293A (ko) 2021-11-09 2021-11-09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2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64B1 (ko) 1998-03-09 2006-12-12 더 콜로머 그룹 스페인, 에스.엘. 인조 손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064B1 (ko) 1998-03-09 2006-12-12 더 콜로머 그룹 스페인, 에스.엘. 인조 손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926728B4 (de) Verwendung von Trägermaterialien und diagnostisch nutzbaren Zusatzstoffen in Abbildungsverfahren für intraorale Diagnosezwecke
CN102164577A (zh) 用于加速胶原蛋白生成的组合物
Peralta et al. Self-etching dental adhesive containing a natural essential oil: Anti-biofoul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Romita et al.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acrylates.
Kerai et al. UV-curable gel formulations: Potential drug carriers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nail diseases
US20170360683A1 (en) One Part Acrylic Nail Formulation
Barbosa et al. Experimental self-etching HEMA-free adhesive systems: cytotoxicity and degree of conversion
CN110526957B (zh) 细胞渗透增强肽、组合物及其应用
Taurina et al. The gel formulation of the aqueous phase of snakehead fish (Channa striata) extract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HPMC K4M and Carbopol 934
KR20230067293A (ko) 영양 성분을 함유한 네일 케어용 조성물
Zhang et al. The influence of dimethyl sulfoxide on resin–dentin bonding: A systematic review
Permatananda et al. Lip Balm Formulation Based on Balinese Grape seed Oil
Kerai et al. Two strategies to enhance ungual drug permeation from UV-cured films: Incomplete polymerisation to increase drug release and incorporation of chemical enhancers
Pandit et al. Antifungal Nail Lacquer Loaded with Extract of Cissusquadrangularis for Treatment of Onychomycosis
Sahu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ansferosomal drug delivery for effective treatment of acne
Bernauer et al. OPINION ON the safety of cosmetic ingredients HEMA and Di-HEMA Trimethylhexyl Dicarbamate"-Submission I-(Sensitisation only)
CN112294975A (zh) 接触性过敏原试剂组合及其用途
JP4366075B2 (ja) 角質細胞の成熟度の評価方法
Yusuf et al. Formulation and in vivo effectiveness test of albumin gel isolated from white egg as anti-aging
US20220323536A1 (en) Use of beta-l-aspartyl-l-arginine on senescent skin
KR101766393B1 (ko) 블레오마이신 하이드로라제를 이용한 건조 피부 개선물질 스크리닝 방법
Hibler et al. Bilateral symmetric onycholysis of distal fingernails
CN115068352B (zh) 一种控油多肽柔性脂质体水凝胶及制备方法与应用
WahidAmbekar et al. Glibenclamide loaded ethosomal gel for transdermal delivery: Formulation, optimization and ex-vivo study
US6403111B1 (en) Method for preparing aqueous phytosphingosine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