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267A -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267A
KR20230067267A KR1020210153170A KR20210153170A KR20230067267A KR 20230067267 A KR20230067267 A KR 20230067267A KR 1020210153170 A KR1020210153170 A KR 1020210153170A KR 20210153170 A KR20210153170 A KR 20210153170A KR 20230067267 A KR20230067267 A KR 2023006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edge
ees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성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267A/ko
Priority to US18/053,633 priority patent/US20230144174A1/en
Priority to PCT/KR2022/017523 priority patent/WO2023085756A1/en
Priority to EP22893176.2A priority patent/EP4371280A1/en
Publication of KR2023006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7Network analysis or design for predicting network behavi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21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client or server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6Access security using security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6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policy control}
본 개시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지속성 지원 관련 정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세대를 거듭하면서 발전한 과정을 돌아보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주로 인간 대상의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물의 예로는 차량, 로봇, 드론,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각종 인프라에 설치된 스마트 센서, 건설기계, 공장 장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증강현실 안경,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그램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6G (6th-generation) 시대에는 수천억 개의 기기 및 사물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6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6G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이후 (Beyond 5G)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2030년쯤 실현될 것으로 예측되는 6G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전송 속도는 테라 (즉, 1,000기가) bps, 무선 지연시간은 100마이크로초(μsec) 이다. 즉, 5G 통신 시스템대비 6G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는 50배 빨라지고 무선 지연시간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6G 통신 시스템은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 (예를 들어, 95기가헤르츠(95GHz)에서 3테라헤르츠(3T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는 5G에서 도입된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비해 더 심각한 경로손실 및 대기흡수 현상으로 인해서 신호 도달거리, 즉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커버리지를 보장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서 RF(radio frequency) 소자, 안테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보다 커버리지 측면에서 더 우수한 신규 파형(waveform),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등 새로운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6G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와 하향링크(downlink)가 동일 시간에 동일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및 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 이동 기지국 등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운영 최적화 및 자동화 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 혁신 기술, 스펙트럼 사용 예측에 기초한 충돌 회피를 통한 동적 주파수 공유 (dynamic spectrum sharing) 기술, 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mobile edge computing (MEC),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6G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새로운 프로토콜의 설계,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환경의 구현 및 데이터의 안전 활용을 위한 메커니즘 개발 및 프라이버시 유지 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간의 연결성을 더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더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엔티티의 소프트웨어화를 촉진하며, 무선 통신의 개방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6G 통신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로 인해, 사물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물 간의 연결까지 모두 포함하는 6G 통신 시스템의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초실감 확장 현실(truly immersive extended reality (XR)),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high-fidelity mobile hologram), 디지털 복제(digital replica)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안 및 신뢰도 증진을 통한 원격 수술(remote surgery),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및 비상 응답(emergency response)과 같은 서비스가 6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산업, 의료,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것이다.
에지 컴퓨팅 서비스의 지속성을 위해서, 단말의 이동성 기반 예측에 따라 앞으로 단말이 접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찾아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정보를 선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 기반 컨텍스트 정보 재배치 방식에 따르면, 단말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주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미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주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미리 관련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이 때, 단말에 대한 이동성 예측이 빗나간 경우, 해당 자원에 대한 낭비가 발생한다. 또는, 단말이 미리 모든 주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앱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경우, 과도한 자원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 기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정보 전송에 대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예측 기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에지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 요청에 기반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결정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S 요청에 기반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결정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rvice provisioning 절차 중 EEC 에 정책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C registration 절차 중 EEC 에 정책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망 객체(network entity) 및 Edge Computing 시스템의 객체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5G 시스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하지만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및 에지 컴퓨팅 개체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Edge Computing 시스템은 Edge Enabler Server (EES), Edge Configuration Server (ECS), Edge Enabler Client (EEC), Edge application Server (EAS) 및/또는 Application Client로 구성될 수 있다.
Edge Data Network (EDN)은 지역(local) 데이터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EAS(s) 및 EES가 EDN 내에 포함될 수 있다. ECS는 EES를 호스팅하는 EDN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여, EES와 관련된 configurations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AC(s)와 EEC를 포함할 수 있다. EAS(s), EES 및 ECS는 3GPP core network와 interact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에지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에 대한 functional entities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dge Enabler Server (EES)는 Edge Hosting Environment (혹은 Edge Computing Platform)를 구축하고 있으며, Edge Hosting Environment 내 구동되고 있는 Edge Application Server (EAS) 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Edge Enabler Server는 단말과 교섭하여 단말의 Application Client와 Edge Hosting Environment 내 Edge Application Server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dge Computing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에는 Edge Enabler Client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Edge Enabler Client와 Edge Enabler 상호 연동이 수행되는 layer를 Edge Enabling Layer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dge Enabling Layer 를 구성하기 위해 Edge Enabler Client 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은 스마트폰 뿐 만이 아니라 IoT 장치 및 차량 등이 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장치의 형태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Edge Configuration Server (ECS)는 Edge Enabler Server들의 deployment 정보를 알고 있으며,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 (또는, EEC)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Edge Data Network connection 정보 (예: Data Network Name, S-NSSAI 등), Edge Data Network Service Area (예: Cell list, List of Tracking Area, PLMN ID), Edge Enabler Server connection 정보 (예: U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dge Data Network Service Area는 Edge Enabler Server 에 의해 설정된 Edge Enabler Server 이용 가능 지역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은 특정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Edge Enabler Server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Edge Configuration Server가 특정 Edge Enabler Server의 Edge Hosting Environment에서 구동 중인 Edge Application Server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단말도 Edge Enabler Client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dge Application Server (EAS)는 Edge Computing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제 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Edge Application Server 는 Edge Hosting Environment 이 제공하는 Infrastructure 위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단말과 가까운 위치에서 초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내에는 Application Client, Application Client와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연동해주는 Edge Enabler Client,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Mobile Terminal (MT)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의 Application은 제 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응용서비스를 위하여 단말 내에서 구동되는 Client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내에는 여러 Application이 구동될 수 있다. 이 Applic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 내 Edge Enabler Client (EEC)는 Edge Computing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단말 내 동작을 수행하는 Client를 의미할 수 있다. EEC는 어떤 응용 Application이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Edge Application Server에 단말 Application Client의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동작을 Mobile Terminal을 통해 3GPP 통신 Layer에서 수행할 수 있다. 3GPP 통신 Layer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모뎀 동작을 수행하는 Layer를 의미하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말을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에지 컴퓨팅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a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EPCS) 가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며, 기존 ECS 및 EES 와 연동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에 대한 생성 (creation), 허가 (authorization), 및/또는 배포 (provisioning) 를 수행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별도의 장치가 아닌 edge configuration server 의 한 functionality 로 구현되어 EES 와 연동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에 대한 생성, 허가, 및/또는 배포를 수행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b에서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dge configuration server 의 functionality 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는 분산적으로 EES 내에도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CS 및 EES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구조에 기반하여, 이하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기능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EPCF) 또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EPCS) 에 대하여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은 별도의 서버 장치로서 도 2a 와 같이 구현되거나, 도 2b와 같이 기존 ECS 의 한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서버/기능 (Edge policy control server/functionality)은 이동 통신망 사업자 또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e.g., 에지 컴퓨팅 전용 플랫폼/인프라 제공자 또는 기존 클라이드 서비스 공급자)가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는 본인의 망에서 운용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하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서버/기능을 결정하여 에지 컴퓨팅 서버 또는 단말 (예를 들어 단말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일부 기능에 대한 허용/지원 여부 (예를 들면, 앱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허용 여부, 앱 재배치에 대한 절차를 예측 기반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한 허용 여부 등) 를 정책으로 제공하거나, 에지 컴퓨팅 서비스의 품질 (QoS) 에 대한 허용 범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업자는 이러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운용하는 망의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하기 위해, 3GPP 네트워크 기능 (network function) 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제어 서버/기능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되는 경우,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는 운용 중인 에지 컴퓨팅 호스팅 환경 (edge hosting environment) 또는 에지 컴퓨팅 인프라의 정보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 호스팅 환경 내 실시간 사용 가능한 저장장치 용량 또는 연산 프로세서 사용량 등) 를 고려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을 결정하고 이를 에지 컴퓨팅 서버 (e.g., ECS, EES, EAS) 또는 단말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EPCS(Edge policy control server) 또는 EPCF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의 주요 동작은 다음과 같다.
- EEC, EES, EAS, ECS 로부터 제공되는 정책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책을 생성, 허가, 및/또는 배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책 중, 예측 기반 앱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정책 (또는 계획적/예측 서비스 지속성 지원 방안;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책을 결정하기 위해 3GPP network function 또는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edge computing management system 등으로부터 실시간 네트워크 또는 에지 호스팅 환경 내 자원 상태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고려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 다른 장치 (예: EEC, EES, ECS 등) 로부터 특정 정책 설정에 대한 요청을 받은 경우, 요청된 정책에 대한 허가 동작을 수행하고 허가된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 이미 생성/허가/배포된 정책에 대한 업데이트 조건을 결정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 호스팅 환경 내 자원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 기존 정책에 대한 세부사항을 조정하여 수정된 정책을 ECS, EES, EAS, EEC 등에 배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 요청에 기반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결정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dge policy control server(EPCS)가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service continuity planning'은 계획된(planned), 예상된(projected), 또는 기대되는(anticipated) 동작(behavior)에 대한 정보가 EES(s)에서 사용 가능하거나(available) 또는 EEC(s)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원활한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는 Edge enabler layer value-added 기능(feature)를 의미할 수 있다.
1. EAS 는 EES 에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과 관련된 정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책 요청 메시지는 EAS 가 EES 에 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전송하는 EAS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책 요청 메시지에는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ACR) (앱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단말 이동성 예측 기반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한 허용 요청 지시자, 및/또는 EAS 공급자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2. EES 가 EAS 로부터 service continuity planning과 관련된 정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EAS 에 대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과 관련된 정책을 획득하기 위해 EES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생성/허가 요청 메시지(e.g., policy authorization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 내에는 해당 정책이 적용될 EAS 식별자, EAS 제공 서비스 타입, EAS 공급자 식별자, 정책 descriptor (예: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와 관련된 정책임을 나타내는 정보), 에지 호스팅 환경 가용 자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Edge policy control server 는 EES 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service continuity planning과 관련된 정책을 생성하고, 이를 EES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ge policy control server 는 EES 로부터 제공받은 EAS 공급자 식별자 및 EAS 식별자, EAS 서비스 타입에 대해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여부 (예: 단말 이동성 예측 기반 앱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 시작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ge policy control server 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 정보 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여부 지시자와 허용 범위 서비스 지역 (예: cell ID, tracking area ID, PLMN ID, GPS 기반 물리적 위치 정보 등), 허용 시간 범위 (예: 특정 시간 대에서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함을 나타내는 정보), 허용 단말 가입자 등급 또는 허용 에지 컴퓨팅 서비스 가입 등급 (예: 이동 통신망 서비스 가입 등급 또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가입 등급 정보를 나타냄. 예를 들어, 높은 이동 통신망 서비스 또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의 특정 등급 이상의 요금제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을 허용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을 허용하는 에지 호스팅 환경 자원 여유 범위, 및/또는 임시 앱 컨텍스트 저장 유지 시간 (app context flush timer) 등을 포함하여 EES로 전달할 수 있다.
3.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책의 생성/허가 결과 및 정책 정보를 EAS 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는 EAS registration response 메시지에 상기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 정보 및/또는 해당 정책의 생성/허가 결과를 포함하여 EAS로 전송할 수 있다.
EAS 는 EES 를 통해서 제공받은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을 기반으로 앱 컨텍스트 재배치 관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정책 내 포함되어 있는 임시 앱 컨텍스트 저장 유지 시간 동안만 source EAS 로부터 전송 받은 임시 앱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시간이 지나면 임시 앱 컨텍스트를 저장장치에서 지울 수 있다.
또한,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정책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3GPP network 및 에지 컴퓨팅 management system (예를 들어, EAS 에 대한 instantiation 을 관장하는 장치) 에 주기적인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책 허용 범위 서비스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EES 는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3GPP network 에 단말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을 허용하는 에지 호스팅 환경의 자원 여유 범위가 정책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에지 호스팅 환경의 자원 (예: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앱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의 여유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에지 컴퓨팅 management system 에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EES 는 EAS 또는 EEC 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request message) 를 수신하고 해당 메시지 내에 요청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또는 예측 기반임이 명시되어 있으면, EES 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라 획득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에 따라 EAS 또는 EEC 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수락 및 거부를 선택할 수 있다.
4.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CS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 는 ECS에 특정 EAS 에 대해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이 적용됨을 알리기 위해, EAS 식별자와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지시자를 EES registration update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5.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EC 에 제공할 수 있다. EEC 는 EES 로부터 제공받은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을 기반으로 특정 EAS 에 대해서 단말 이동성 예측 기반으로 앱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트리거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의해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는 EEC, EAS, ECS 로 EES 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EEC 는 EES 로부터 수신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이동이 예측되었을 때, 앱 컨텍스트 재배치 (ACR) 절차를 트리거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고, ACR 절차를 트리거하기 위해 EES 에 어느 시점에 ACR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EEC 는 EES 로부터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이 허용됨이 명시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을 수신하였다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를 EES 에 전송할 때 동작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임을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 예에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동작이 허용된 경우, EES 는 단말의 이동 경로 예측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3GPP 네트워크 기능 (예를 들어, network exposure function 또는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에 관련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 가 3GPP 네트워크 기능에 단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측 정보를 요청할 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책 허용 범위, 시간, 예측 정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3GPP 네트워크 기능에 전송할 수도 있다. EES 가 이러한 요청을 전송하는 시점은 도 3의 절차 2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EES 는 EAS 의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management event 에 대한 subscrib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위와 같이 3GPP 네트워크 기능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S 요청에 기반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결정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dge policy control server(EPCS)가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 EES 는 local configuration 되어 있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을 사용하거나,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해당 정책에 대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해당 요청 메시지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요청 지시자, EES 식별자, EES 공급자 식별자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 식별자), 등록되어 있는 EAS 식별자 리스트,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을 위해서 가용 가능한 저장 공간 및 프로세서 용량 정보, EES 서비스 지역 또는 EDN 서비스 지역 정보 (정책 적용 범위 정보), 임시 앱 컨텍스트 저장 유지 시간 (app context flush timer), 필요 예측 정확도 (또는 location Q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Edge policy control server 는 EES 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을 결정하고 EES 에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정책 정보는 아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여부
- 해당 정책 허용 범위 (예: cell ID, tracking area ID, PLMN ID, 또는 GPS 정보, 위도, 경도 등) 및 허용 시간
-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을 위한 저장 공간 및 프로세서 허용 용량 정보
3.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정책 (예: authorized service continuity planning policy) 에 대한 정보 (예: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여부 등) 를 ECS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 는 EES Registration update 절차를 통해서 ECS 에 해당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5. EES 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제공받은 정책을 EEC 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C 가 EES 에 EEC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 또는 EAS discovery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EES는 EEC에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EES 는 EEC 의 EEC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 또는 EAS discovery 요청 메시지 내에 EEC service continuity support 정보 (예: EEC 가 서비스 지속성 지원 또는 예측 기반 서비스 지속성 지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EEC 가 EES 에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책 정보 업데이트에 대한 notification 서비스에 구독을 요청한 경우, EES 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책에 대한 변동 또는 신규 생성에 대한 정보를 EEC 에 알리기 위해 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서 EEC 에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동작이 허용된 경우, EES 는 단말의 이동 경로 예측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3GPP 네트워크 기능 (예를 들어, network exposure function 또는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에 관련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 가 3GPP 네트워크 기능에 단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측 정보를 요청할 때,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책 허용 범위, 시간, 예측 정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3GPP 네트워크 기능에 전송할 수 있다. EES는 도 4의 절차 2 이후 시점에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EES 는 EAS 의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management event 에 대한 subscrib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위와 같이 3GPP 네트워크 기능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rvice provisioning 절차 중 EEC 에 정책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례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 EEC 는 ECS 에 service provisioning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ervice provisioning 요청 메시지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수행 가능 여부 (또는 단말 이동성 예측 가능 여부, 또는 capability to perform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service provisioning 요청 메시지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 허용 요청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2. ECS 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있는 경우, EEC 에 설정할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을 획득하기 위해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관련 정책에 대한 생성 및 허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ECS 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도 3의 실시 예 또는 도 4의 실시 예에 기술되어 있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만약,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CS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ECS 에서 자체적으로 해당 정책을 생성 및 허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차 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ES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절차 2는 EES 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EPCF가 EES 및 ECS 에 분산되어 구현되는 경우, EES와 ECS가 협력하여 해당 정책을 생성/허가할 수도 있다.
3. ECS 는 앞의 단계에서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EC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S는 service provisioning 응답 메시지 내에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포함시켜 EEC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5. EEC가 앞의 단계에서 ECS 로부터 제공받은 정책 정보 (예: authorized service continuity policy) 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이 허용됨이 명시되어 있고, EEC 가 단말의 이동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의 목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EEC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ACR) 요청 메시지 내에 해당 요청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또는 예측 기반임을 명시하여 EES 에 상기 ACR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ES 는 EEC의 해당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응답메시지를 EEC 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C registration 절차 중 EEC 에 정책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례일 뿐,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 EEC 는 EES 에 EEC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EC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수행 가능 여부 (또는 단말 이동성 예측 가능 여부, 또는 capability to perform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EEC 는 EEC Registration 요청 메시지 내에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 허용 요청 지시자를 포함하여 EES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특정 EAS 에 대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EEC는 EES에 EAS filter information (예: EAS 식별자,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식별자, EAS 서비스 타입 등) 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2. EES 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 별도의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있는 경우, EEC 에 설정할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을 획득하기 위해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관련 정책에 대한 생성 및 허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EES 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도 3의 실시 예 또는 도 4의 실시 예에 기술되어 있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dge policy control server 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앞의 단계에서, EEC 가 특정 EAS 에 대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요청한 경우, EES 는 EAS 별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에 대한 생성 및 허가를 edge policy control server 에 요청할 수 있다.
만약,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CS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EES 는 ECS 에 해당 정책을 생성 및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차 2는 ECS 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edge policy control server 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EES 내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EES 는 절차 2를 수행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해당 정책을 생성하고 허가할 수 있다. 또는, EPCF가 EES 및 ECS 에 분산되어 구현되는 경우, EES와 ECS가 협력하여 해당 정책을 생성/허가할 수도 있다.
3. EES 는 앞의 단계에서 생성/허가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를 EEC 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는 EEC registration 응답 메시지 내에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EEC에게 제공할 수 있다.
4-5. EEC가 앞의 단계에서 EES 로부터 제공받은 정책 정보 (authorized service continuity policy) 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이 허용됨이 명시되어 있고, EEC 가 단말의 이동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의 목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EEC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내에 해당 요청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또는 예측 기반임을 명시하여 EES (source EES 또는 target EES) 에 전송할 수 있다. EES 는 EEC의 해당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응답메시지를 EEC 에 제공할 수 있다. 만약,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 정보가 앞의 단계에서 EAS 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EEC 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이 허용된 EAS 에 대해서만 예측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즉, 허용된 EAS 에 대해서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내에 해당 요청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또는 예측 기반임을 명시하여 EES로 전달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와 같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에 대한 허용 여부를 포함하는 정책이 EES 에 설정되면, EES 는 설정된 정책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EES 가 EEC 또는 EAS 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내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타입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또는 예측 기반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설정되어 있는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이 허용 된 경우, 기존 절차대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허용되지 않은 경우, EES는 해당 요청에 대한 거절 메시지를 요청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과 같이 생성되어 EEC 에 설정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은 아래의 조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policy evaluation triggers)에 따라 재검토되고 수정되어 재배포될 수 있다.
■ Change of ECSP (edge computing service provider) domain: 단말의 이동 등에 따라 EEC 가 다른 ECSP 도메인에 속한 EDN (edge data network) 또는 EES 에 접속한 경우 (즉, 다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 공급자의 EDN 또는 EES 에 접속한 경우)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과 같이 생성되어 EES 또는 EAS 에 설정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은 아래의 조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policy evaluation triggers)에 따라 재검토되고 수정되어 재배포될 수 있다.
■ Change of available EHE resource, out of resource to be reserved for ACR planning
: EES 또는 EAS 가 호스팅 되어 있는 에지 컴퓨팅 호스팅 환경 (EHE) 에서 가용할 수 있는 저장 장치 또는 프로세서 자원이 부족하게 된 경우. 예를 들어, EAS 또는 EES 는 에지 컴퓨팅 management system 을 통해서 에지 컴퓨팅 호스팅 환경 내 자원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predicted/expected) Location QoS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requested location accuracy (prediction accuracy) can no longer be guaranteed for the UE hosting the EEC
: EES 또는 EAS 는 단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3GPP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3GPP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더 이상 해당 단말의 이동 경로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 (location QoS)를 보장 받을 수 없다는 notification 을 수신한 경우, service continuity planning 정책에 대한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 Edge policy control server 또는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제공하는 서비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API operation name: Eepcs_EdgePolicyCreate_Request, 또는 Eecs_EdgePolicyCreate_Request, 또는 Eees_EdgePolicyCreate_Request 로 정의될 수 있다.
Input: UE 식별자, EEC 식별자, EAS 식별자, EAS 제공 서비스 타입, EAS 공급자 식별자, EES 공급자 식별자, 요청 정책 정보 또는 descriptor (예를 들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에지 호스팅 환경 가용 자원 정보, EAS 에서 사용 가능한 에지 호스팅 환경 자원 정보, 및/또는 임시 앱 컨텍스트 저장 유지 시간 (app context flush timer)
Output: 허가된 정책 정보 [authorized policy: 적용 EAS ID, EES ID, 요청한 service continuity planning 허용 여부 지시자, 허용 서비스 지역, 허용 시간 범위, 허용 단말 가입자 등급 또는 허용 에지 컴퓨팅 서비스 가입 등급, service continuity planning 동작을 허용하는 에지 호스팅 환경 자원 여유 범위, 임시 앱 컨텍스트 저장 유지 시간 (app context flush timer), 및/또는 policy evaluation/update triggers]
또 다른 예로, Edge policy control server 또는 edge policy control functionality 가 제공하는 서비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API operation name: Eepcs_EdgePolicySubscribe_Request, Eecs_EdgePolicySubscribe_Request, 또는 Eees_EdgePolicySubscribe_Request 로 정의될 수 있다.
Input: UE 식별자, EEC 식별자, EAS 식별자, EAS 공급자 식별자, EES 공급자 식별자 (ECSP ID), 요청 정책 정보/descriptor (예를 들어, service continuity planning 관련 정책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및/또는 event ID (예: EEC 관련 정책 정보 업데이트, EAS 관련 정책 정보 업데이트, EES 또는 EDN 정책 정보 업데이트)
Output: subscription ID, policy evaluation/update triggers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은 자동차,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IoT 장치, local gateway, infrastructure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에지 컴퓨팅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 제어부(프로세서) 및/또는 저장부(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경우 송수신부, 제어부 및 저장부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는 3GPP 네트워크 기능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지속성 지원 관련 정책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부에서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10153170A 2021-11-09 2021-11-09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KR20230067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70A KR20230067267A (ko) 2021-11-09 2021-11-09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US18/053,633 US20230144174A1 (en) 2021-11-09 2022-11-08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policy control
PCT/KR2022/017523 WO2023085756A1 (en) 2021-11-09 2022-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policy control
EP22893176.2A EP4371280A1 (en) 2021-11-09 2022-11-09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policy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70A KR20230067267A (ko) 2021-11-09 2021-11-09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67A true KR20230067267A (ko) 2023-05-16

Family

ID=8623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170A KR20230067267A (ko) 2021-11-09 2021-11-09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44174A1 (ko)
EP (1) EP4371280A1 (ko)
KR (1) KR20230067267A (ko)
WO (1) WO2023085756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756A1 (en) 2023-05-19
US20230144174A1 (en) 2023-05-11
EP4371280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1983B (zh) 在5g系统中支持车辆通信的方法和装置
US20170295531A1 (en) Device to device mobility management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ntity using the same
US10873950B2 (en) Network slice selection based on requested service
CN115486053A (zh) 用于管理与边缘计算服务相关的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4824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71055B1 (en) Network slice selection in cellular system
KR20210136486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902711A (zh) 用于在边缘计算系统中调整应用上下文重定位的方法和装置
US202203301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92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by considering backhau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196227A1 (en) Network slice instance creation
KR20210136850A (ko) 단말 앱 상태를 이용한 동적 eas 생성 및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220135982A (ko)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로 mbs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24206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EP4132199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102290784B1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KR20230067267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 관련 정책 제어 방법
KR202300658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0658A (ko) Mbs 서비스 영역에서의 mbs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US20230216929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US20230254931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KR20220138775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2043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등록 및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68251A (ko) 에지 컴퓨팅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13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