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094A -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 Google Patent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094A
KR20230065094A KR1020210150944A KR20210150944A KR20230065094A KR 20230065094 A KR20230065094 A KR 20230065094A KR 1020210150944 A KR1020210150944 A KR 1020210150944A KR 20210150944 A KR20210150944 A KR 20210150944A KR 20230065094 A KR20230065094 A KR 2023006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ntent
contents
us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21015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094A/en
Publication of KR2023006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0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Abstract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된 각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한다.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is provided. The method may include collecting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dividing th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storing each of the sub-contents divided into units of the sub-contents in a database to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s; and providing the sub-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s upon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are classified and output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Description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본 발명은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일반적으로 모바일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메신저, SNS 등은 긴 줄글의 이어진 텍스트 형식이 아닌, 다소 짧게 구분된 텍스트 또는 컨텐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뉴스 서비스는 긴 줄글과 이에 덧붙여진 이미지가 결합된 UI/UX 형태로, 메신저나 SNS와는 다소 다른 UI/UX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내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 간의 UI/UX 형태의 차이는 사용자의 편의성, 즉 가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general, messengers, SNS, etc., which are actively used in mobile, take the form of text or contents that are separated somewhat short, rather than the form of long lines of text. However, the conventional news service takes a UI/UX form that is a combination of long lines and images attached to them, and takes a slightly different UI/UX from messengers or SNS. Differences in UI/UX forms among services mainly used in mobile may reduce user convenience, that is, readability.

또한, 포털 내 뉴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언론사는 더욱 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작성하여 구독자의 이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자극적인 헤드라인으로 인하여 뉴스의 내용은 오히려 덜 부각되며, 구독자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에 반응하여 악플과 비속어를 기사 내에서 더 빈번히 작성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gain an edge in the news competition within the portal, media outlets are writing more and more provocative headline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ubscribers. However, news content is rather less prominent due to provocative headlines, and subscribers tend to write malicious comments and profanity more frequently in articles in response to provocative headlines.

특히, 모바일의 경우 다소 불편한 UI/UX와, 자극적인 헤드라인이 드러남에 따라 사용자는 기사 내용에는 더욱 소홀해지게 되고, 이는 전체적으로 가짜 뉴스의 확산과 언론사 불신의 결과에 일부 기여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언론(뉴스) 소비의 악순환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bile, as the slightly uncomfortable UI/UX and provocative headlines are revealed, users become more neglectful of the article content, which contributes to the spread of fake news and the result of distrust of the media as a whole. As a result, a vicious cycle of media (news) consumption occurs.

또한, 바쁜 일상 속 현대인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뉴스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서비스처럼 기사를 추천해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기사 속에서 어떤 내용이 중요한 내용인지까지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 뉴스 서비스는 단순히 기사만을 추천해주기 때문에, 기사 속 내용에 대한 큐레이션에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deliver news content more effectively to modern people in busy daily life,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recommending articles like conventional services and provide information on what content is important in the article. However, since conventional news services simply recommend articles, curation of content in articles is very insufficient.

최근 뉴스 포털은 정치적 편향과 소수 댓글이 여론을 형성하는 현상 때문에, 민관정을 구분하지 않고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정치적 편향과 소수 댓글에 의한 여론 형성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보다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Recently, news portals have received a lot of criticism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public and private government due to political bias and a phenomenon in which minority comments form public opinion. In addition, political bias an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by minority comments are recognized as a more serious problem because they cause synergy with each other.

등록특허공보 제10-1596793호 (2016.02.1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96793 (2016.02.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뉴스를 제공하는 UX/UI 형식과는 다르게,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여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서브 컨텐츠 단위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readability by dividing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unlike the conventional UX / UI format that provides news, and to facilitate interaction in units of sub-cont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 and other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된 각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한다.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centered interfac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collecting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dividing th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storing each of the sub-contents divided into units of the sub-contents in a database to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s; and providing the sub-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ele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so as to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 At this time, upon receivi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the user terminal distinguishes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성하는 각 이미지, 동영상, 문단 별 텍스트를 상기 서브 컨텐츠 단위로 설정하여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ing th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may include: dividing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nd a content area excluding the metadata; and setting and classifying each image, video, and paragraph-specific text constituting the content area excluding the metadata in units of the sub-conten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 별로 선호도 입력 영역, 선호도 표시 영역, 댓글 입력 영역, 댓글 표시 영역, 타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 입력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 별로 입력된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컨텐츠의 ID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preference input area, a preference display area, a comment input area, a comment display area, and a sharing input area to other user terminals for each sub-content.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and sharing history information entered for each sub-content may be matched with the ID of the content and stored on the databas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소정의 상위 개수만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서브 컨텐츠를 타 서브 컨텐츠와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ing a reaction index for each sub-content based on rea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 The step of extracting a predetermined higher number of sub-contents having a reaction index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contents to a user terminal comprises: extracting the extracted sub-contents from other sub-contents; It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by highlighting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ten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에 각각 반응계수를 더 부가하고, 반응계수가 부가된 각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sponse index for each sub-content further adds a response coefficient to the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sponse index for each sub-content by summing each piece of information to which the response coefficient is add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표시된 서브 컨텐츠가 제공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응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갱신 및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highlighted sub-content is provided, collecting the rea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updating and displaying sub-contents having a reaction index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threshold based on the collected rea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표시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만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of the sub-content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only the highlighted sub-content in response to a selection display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서브 컨텐츠 중 상기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되, 당일 발행된 서브 컨텐츠를 후보 서브 컨텐츠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서브 컨텐츠에 대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를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소정의 상위 개수의 후보 서브 컨텐츠 추출하여 추천 서브 컨텐츠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Ds of sub-contents in which reaction information including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s exist are classified and collected for each user. doing; extracting sub-contents from among the collected sub-content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and extracting sub-contents issued on the same day as candidate sub-contents; generating main keyword information for the candidate sub-content as tag information; and extracting a predetermined higher number of candidate sub-contents from the tag information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recommending the tagged sub-contents as recommended sub-content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하는 단계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의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lassifying and collecting the IDs of sub-contents for which reaction information exists may include the ID of sub-contents for which reaction information exists for a preset period in the past based on the present. It can be collected separately by use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제1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제1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입력 이후, 상기 제1 서브 컨텐츠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의 좌우 스와이프 입력인 제2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 순서에 따른 제1 서브 컨텐츠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the sub-content to a user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a first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providing a first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lection input and a reply input area and a reply display area corresponding thereto; receiving, after the first selection input, a second selection input that is a user's left and right swipe input based on the first sub-content; and providing a second sub-content located before or after the first sub-cont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rder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input, and a comment input area and a commen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hereto. can do.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설정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알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체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 ID에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 스크롤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of the sub-content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tification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tting from the user terminal, a shared sub-content from another user terminal, and a recommended sub-content. Providing a notification about the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notifications; and providing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entire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providing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entire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 It is checked whether sub-content IDs exist for notification sub-contents, shared sub-contents, and recommended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if there are sub-content IDs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sub-contents are configur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order of the entire contents. It can be provided by automatically scroll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D.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는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수집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수집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a serve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centered interfa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It includes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display method of content to a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t this time, as the program is executed, the processor divides the collected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stores the collected content in a database to correspond to the order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 and stores the collected content in a database from the user terminal. Upon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the sub-contents, the sub-cont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s, and upon receivi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are output separatel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combined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o execute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the sub-content-centered interface, Sav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기존의 컨텐츠(뉴스)의 UX/UI 형식과는 다르게, 서브 컨텐츠 별로 뉴스 기사를 구분한 UI/UX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뉴스 기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마다 조회, 댓글 작성, 좋아요, 읽음, 싫어요, 신고하기, 공유하기를 할 수 있어, 기사를 더욱 적극적이고 다채롭게 소비할 수 있다.Unlike the existing UX/UI format of contents (new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news articles to users in a UI/UX format in which news artic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sub-contents. Through this format, users can view, comment, like, read, dislike, report, and share for each content, allowing them to consume articles more actively and in a variety of ways.

또한, 컨텐츠 별로 신고하기, 공유하기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만을 타인에게 공유할 수 있고, 컨텐츠 내 잘못된 내용을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언론매체에 바로 제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론의 자정작용과 뉴스 기사의 확산에 소비자의 활발한 개입을 유도하여 가짜뉴스 예방과 여론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reporting and sharing functions for each content, the user can share only the content he/she wants with others, and can immediately report to the media through the reporting function for wrong content in the content. Accordingl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fake news and spreading public opinion by inducing active intervention of consumers in the self-purification of the media and the spread of news articles.

또한,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된 뉴스 UX/UI는 종래의 뉴스 서비스 UX/UI보다 더 세부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종래 뉴스 서비스 UX/UI는 전체 기사별로 반응정보(좋아요, 싫어요, 공유하기, 신고하기, 댓글 등)를 수집한 반면,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컨텐츠 별로 반응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ws UX/UI classified according to sub-contents can collect data in more detail than the conventional news service UX/UI. While the conventional news service UX/UI collects reaction information (likes, dislikes, sharing, reporting, comments, etc.) for each artic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d by sub-content collects reaction information for each sub-content can be collected

또한, 세분화된 데이터 수집은 종래 서비스의 뉴스 큐레이션(추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사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흥미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파악하는 것과,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서브 컨텐츠를 발견해서 타 사용자에게 추천해주는 기능과 같이 종래 뉴스 서비스에서 볼 수 없었던 추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granular data collection does not stop at improving the news curation (recommendation) performance of conventional services, but also identifies sub-contents that a number of users are interested in within an article, and sub-contents that may be of interest to user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commendation method that has not been seen in conventional news services, such as a function of discovering and recommending to other users.

이와 더불어,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천 기능을 제공할 시 텍스트 토큰화가 필요한데, 텍스트의 길이가 짧을수록 연산량이 적어 토큰화 및 시스템 구현에 유리하다, 종래의 포털은 기사 전체를 토큰화 시켜야만 하였으나,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된 UX/UI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컨텐츠 별로 토큰화가 가능한바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도 유리하다.In addition, text tokenization is required when a text analysis algorithm is applied to provide a recommendation function.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text, the less computation is required, which is advantageous for tokenization and system implementation. Conventional portals had to tokenize the entire artic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UX/UI classified by sub-content, it is advantageous to apply a text analysis algorithm since tokenization is possible for each sub-cont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컨텐츠를 수집 및 서브 컨텐츠로 구분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로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서브 컨텐츠로 구분되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사 컨텐츠 내에서 서브 컨텐츠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이라이트 처리될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들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만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뉴스 기사 컨텐츠에서 서브 컨텐츠를 추천하여 제공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로 서브 컨텐츠가 추천 제공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한 댓글 입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한 자동 스크롤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 of collecting and classifying content into sub-contents.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vision of sub-content to a user terminal.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ub-content being classified and output to a user terminal.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series of processes of highlighting and providing sub-content within article cont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sub content to be highlighte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highlighted sub-contents to a user termina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nly highlighted sub-contents are output to a user terminal.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nd providing sub-contents in news article content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ub content is recommended and provided to a user terminal.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inputting comments for sub-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utomatic scroll display function for sub-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발명은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100)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100)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뉴스 UX/UI 형태와는 달리 뉴스 기사를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한 UI/UX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Unlike the conventional news UX/UI form, 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ws articles are provided to the user in a UI/UX form in which each sub-content is classified.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컨텐츠는 뉴스 컨텐츠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news content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통신모듈(110)은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서브 컨텐츠로 가공되어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collects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provides content processed into sub-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이와 같은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유선 통신 모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Such a communication module 11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t does not ex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 telephone line communication device, cable home (MoCA), Ethernet, IEEE1294, an integrated wired home network, and an RS-485 control de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LAN (W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 GHz WPAN, Binary-CDMA, wireless USB technology, wireless HDMI technology, and the like.

메모리(120)에는 수집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여기에서,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The memory 120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 display method of the collected content and providing it to a user terminal, and the processor 130 executes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 Here, the memory 120 collectively refers to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continuously retain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include a compact flash (CF) card, a secure digital (SD) card, a memory stick, a solid-state drive (SSD), and a micro SD card. NAND flash memory such as cards, magnetic computer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 drives (HDD), and optical disc drives such as CD-ROMs and DVD-ROMs. can

또한,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roles.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즉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or reference,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 For example, a user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that i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etc.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특히, 각 단말은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일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terminal is an intelligent terminal with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add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is a mobile phone or smart phone that can install and run a number of applications (ie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 a pad, a smart watch, a wearable terminal, and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form such as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perform predetermined roles. can do.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as an example, a componen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Components and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m may be combined into fewer componen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컨텐츠를 수집 및 서브 컨텐츠로 구분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로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서브 컨텐츠로 구분되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 of collecting and classifying content into sub-contents.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vision of sub-content to a user terminal.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ub-content being classified and output to a user terminal.

한편,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는 전술한 컨텐츠 제공 서버(100)(이하, 서버라 한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each step shown in FIG. 2 may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먼저,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한다(S110). 그리고 서버(100)는 수집된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한다(S120). 그리고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된 각 서브 컨텐츠를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S130).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tent is coll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S110). Then, the server 100 divides the collected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S120). Then, each sub-content divided by sub-content unit is stored in the database to correspond to the composition order of the content (S130).

이때, 서버(100)는 수집된 컨텐츠를 대상으로 컨텐츠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분한다. 그리고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성하는 각 이미지, 동영상, 문단 별 텍스트를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한다. At this time, the server 100 classifies the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nd the content area excluding the metadata for the collected content. In addition, each image, video, and paragraph text constituting the content area excluding metadata is divided into sub-content units.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브 컨텐츠는 예를 들어 하나의 뉴스 기사 내의 글, 이미지, 이미지에 따른 주석, 소제목 등을 명명한 것으로, 뉴스의 메타데이터(발행 언론사, 발행 기자명, 기사 입력일, 기사 수정일, 기사 이메일)를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메타데이터는 서브 컨텐츠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지만,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상에 표출시에는 종래의 뉴스 서비스와 다르지 않게 일반적인 형식으로 표시된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content is, for example, a text, an image, an annotation according to the image, a subtitle, etc. in one news article, and the metadata of the news (publishing media, publishing reporter name, article input date) , article revision date, article e-mail). At this time, the metadata is stored in the database together with the sub-contents, but when displayed on the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it is displayed in a general format, not unlike conventional news services.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원 뉴스 기사의 HTML 코드를 뉴스 기사 전처리 서버를 통해 독출하면, HTML 코드를 분석하여 기사 내에서 서브 컨텐츠를 구분한다. 이때, 뉴스 기사는 언론사명, 기자명, 입력시간, 수정시간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며, 서브 컨텐츠는 기사 내용 텍스트와 기사 내용 이미지(동영상 포함)를 의미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server 100 reads the HTML code of the original news article through the news article pre-processing server, it analyzes the HTML code to classify sub-contents within the article. At this time, the news article includes metadata such as the name of the press company, the name of the reporter, the input time, and the modification time, and the sub-content means the article content text and the article content image (including video).

이후, 서버(100)는 본래 기사의 컨텐츠 순서를 유지하도록 구성 순서 정보를 생성하고, 구성 순서 정보에 상응하도록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Then, the server 100 generates composition sequence information to maintain the content order of the original article, and stores a plurality of sub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equenc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140). Referring back to FIG. 2 , next, the server 100 receives a content selec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sub-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composition sequence (S14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하고,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한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plurality of sub-contents, classifies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특정 기사를 선택하는 입력을 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로 해당 기사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해당 기사에 대한 컨텐츠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은 서브 컨텐츠를 구성 순서 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4 , when a user inputs a selection of a specific article through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requests corresponding article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server 100 . Accordingly, the server 100 does not provide the content for the article as it is, but provides a plurality of sub-contents constituting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lassifies and outputs the sub-conten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rder information. .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는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메타데이터(언론사명, 기자명, 입력시간, 수정시간, 기자 이메일 등)는 구분되지 않은 채로 출력하고, 기사 내용 부분은 문단 별로 구분되거나 이미지, 영상이 각각 하나의 서브 컨텐츠(실질적인 기사 내용)로 구성되어 표시된다(도 5 참조).Accordingly,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metadata (press company name, reporter name, input time, modification time, reporter email, etc.) is output without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interface, and the article content is divided by paragraph or image, Each video is composed of one sub-content (substantive article content) and displayed (see FIG. 5).

한편, 전술한 예시에서는 기사의 HTML 태그를 크롤링을 통해 추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추후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프로그램(기사 입력 프로그램 등 전용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적으로 기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xample, it can be understood that HTML tags of articles are extracted through crawling, but when a media program (exclusive program such as an article input program) is developed for future service, article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program. can do.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0 to S14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 중 서브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ighlight function for sub-content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기사 컨텐츠 내에서 서브 컨텐츠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이라이트 처리될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들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만이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series of processes of highlighting and providing sub-content within article cont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sub content to be highlighte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highlighted sub-contents to a user termina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nly highlighted sub-contents are output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기존 컨텐츠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보다 더욱 세분화하여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뉴스 서비스가 기사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된 UX/UI를 사용하여 서브 컨텐츠 단위, 즉 하나의 문단 단위나 이미지 등을 대상으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content into sub-contents and provides them to users, it is possible to collect various kinds of data in more subdivided form than collecting data in units of existing content. For example, if a conventional news service collects data in article uni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UX/UI classified for each sub-content to target sub-content units, that is, one paragraph unit or image. Various types of data can be collected. Based on th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highlighting function for sub content.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서브 컨텐츠 별로 선호도 입력 영역, 선호도 표시 영역, 댓글 입력 영역, 댓글 표시 영역, 타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 입력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브 컨텐츠 별로 입력된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상에 컨텐츠 ID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As an embodiment, the server 100 generates a preference input area, a preference display area, a comment input area, a comment display area, and a sharing input area to other user terminals for each sub-content,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and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put for each sub-content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re matched with content IDs and stored in the database.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구분된 서브 컨텐츠마다 좋아요, 싫어요와 같은 선호도 입력을 할 수 있고, 댓글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서브 컨텐츠만을 타 사용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ser may input preferences such as likes and dislikes for each sub-content, may input comments, and may share only the corresponding sub-content with other user terminals.

또한,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 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조회'한 것으로 카운팅하고, 조회한 서브 컨텐츠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어 3초 이상) 경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를 읽음'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user's activity log within the service, if the user selects the sub-content, it is counted as 'the user has searched for the sub-content', and the searched sub-content is coun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3 seconds or more) If it elapses, it can be counted as 'user has read the content'.

서버(100)는 서브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구독(읽음)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정보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에 반응하였음'으로 인식하여 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 이러한 반응정보의 종류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서비스의 개발이 고도화되거나 서비스의 실시 상황에 따라 그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reacted to the sub-content when there is response information including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for the sub-content. Recognizes and stores each information on the database. The type of response information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obvious that the type may vary according to the advanced development of the service or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service.

이후,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기사)를 선택하면, 서버(100)는 선택된 컨텐츠의 ID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수집된 컨텐츠를 ID 기반으로 검색하여, 해당 ID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와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반환한다. Then,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content (article), the server 100 searches the content collected on the database based on the ID of the selected content, and provides metadata and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ID to the user terminal. return to

이때, 서버(100)는 서브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반응지수는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반응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응지수가 클수록 해당 서브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calculate a reaction index for each sub-content based on re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for the sub-content. The reaction index means the degree of reaction of the user to the sub-content, and the higher the reaction index, the higher the reaction of users to the corresponding sub-content.

서버(100)는 표 1과 같이 각 반응정보와 반응지수를 서브 컨텐츠(서브 컨텐츠 ID)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표 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구조는 설명의 편의상 간소화한 것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server 100 may classify, store, and manage each response information and response index for each sub-content (sub-content ID). At this time, the structure stored in the database shown in Table 1 is simpl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differ from the structure of data stored in the actual database.

데이터베이스(뉴스 기사 A의 DB 구조)Database (DB structure of news article A) 컨텐츠 IDContent ID 좋아요 수number of likes 싫어요 수can dislike 댓글 수number of comments 조회 수views 공유 수number of shares 구독 수number of subscriptions 반응지수reaction quotient A-1A-1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PP A-2A-2 1111 2121 3131 4141 5151 6161 QQ ...... ...... ...... ...... ...... ...... ...... ...... A-NA-N 1N1N 2N2N 3N3N 4N4N 5N5N 6N6N ZZ

일 실시예로, 반응지수는 하기 식 1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action index can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위 식 1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구독 정보에 각각 반응계수를 더 부가하고, 반응계수가 부가된 각 정보를 합산하여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회수는 모든 반응이 일어날 때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요소이므로, 조회수를 제외한 나머지 반응정보들은 알고리즘을 통해 반응계수를 구할 수 있으며, 반면 조회수는 단순 합산을 통해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 above, the server 100 further adds response coefficients to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for sub-contents, and sums each information to which the response coefficients are added. Thus, the response index for each sub-content can be calculated. Here, since the number of views is a factor that commonly increases when all reactions occur, the response coefficient for the remaining reaction information except for the number of views can be obtained through an algorithm, while the number of views can calculate the reaction index for each sub-content through simple summation. there is.

이때, 반응계수는 고정된 값이 아니며, 추후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전체 사용자들에 대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반응정보를 토대로 최초 설정되며, 특정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등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별 반응계수의 가중치는 특정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토대로 가변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는 각 사용자마다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서브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response coefficient is not a fixed value, and its value may vary according to changes in algorithms and data in the future. For example, it is initially set based on the rea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content of all users, and if there is respons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likes and dislikes for the content of a specific user, the weight of the response coefficient for each sub-content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may be variable and set based on reac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customized sub-contents because highlighted sub-contents described later can be provided differently for each user.

서버(100)는 사용자의 특정 컨텐츠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각 반응지수를 산출하고,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임계치(N, N은 자연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소정의 상위 개수(M%, M은 자연수)만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상위 개수에 해당하는 서브 컨텐츠는 컨텐츠 내 다른 서브 컨텐츠와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하며, 하이라이트 처리되는 서브 컨텐츠는 별도의 ID로 구분되어 관리된다.The server 100 calculates each response index for the sub-contents in response to the user's specific content selection input, and selects sub-contents having a response index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mong a plurality of sub-contents. A predetermined upper number (M%, M is a natural number) is extracted. At this time, the extracted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number are highlighted and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contents in the content, and the highlighted sub-contents are classified as separate IDs and managed.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메타데이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되, 상위 개수만큼 추출된 서브 컨텐츠는 해당 ID를 기반으로 타 서브 컨텐츠와 구별되도록 표시하여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어떤 서브 컨텐츠가 하이라이트된 서브 컨텐츠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도 8 참조).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receives metadata and a plurality of sub-contents from the server 100, and displays and outputs sub-contents extracted by the higher number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contents based on a corresponding ID. Through this, the user can recognize at a glance which of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is the highlighted sub-content (see FIG. 8 ).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브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반응지수를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표시된 서브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이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응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갱신할 수 있다. Furtherm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on sub-contents from a user terminal, update a response index, and provide the updated response index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after the highlighted sub-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100 may collect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update the sub-content having a response index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based on the collected response information. there is.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서브 컨텐츠에 대하여 반응함(좋아요, 싫어요, 조회 등)에 따라, 서버(100)는 반응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반응정보를 토대로 반응지수를 재산출하여 전술한 과정을 통해 하이라이트 처리되는 서브 컨텐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이라이트 처리되는 서브 컨텐츠를 단순히 고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닌, 전체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반응정보를 더 고려하여 갱신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고, 더욱 관심있는 서브 컨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user's reaction to a specific sub-content (like, dislike, inquiry, etc.), the server 100 collects reaction information, recalculates the reaction index based on the collected reac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proces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pdate sub-content information that is highlighted through. As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provide a fixed sub-content to be highlighted, but rather considers and updates not only the reaction information of all users but also the rea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so that the user becomes more interested over time. ,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customized sub-contents of more intere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표시 입력에 상응하여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만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도 9 참조).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may provide only highlighted sub-contents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 selection display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see FIG. 9 ).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내 잘못된 내용을 신고하기 기능을 통해 언론매체에 바로 제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론의 자정작용과 뉴스 기사의 확산에 소비자의 활발한 개입을 유도하여 가짜뉴스 예방과 여론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report wrong content in the content to the media through a function to report. Accordingl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ng fake news and spreading public opinion by inducing active intervention of consumers in the self-purification of the media and the spread of news articl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 중 서브 컨텐츠에 대한 추천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recommendation function for sub-content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뉴스 기사 컨텐츠에서 서브 컨텐츠를 추천하여 제공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로 서브 컨텐츠가 추천 제공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and providing sub-contents from news article content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sub content is recommended and provided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컨텐츠를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브 컨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 컨텐츠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중요한 내용을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이 아닌 보다 뉴스 본연의 내용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tent may be divided into sub-content unit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furthermore, a function of recommending sub-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may be provided. By selecting and providing important content directly to the user through the sub-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cus on the original content of the news rather than the stimulating headlines.

또한, 텍스트 기반으로 추천 기능을 사용할 경우 텍스트 토큰화가 필요하다. 이때, 종래의 뉴스 서비스는 기사 전체를 토큰화해야 하였으나, 서브 컨텐츠 타입으로 구분된 UX/UI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요한 서브 컨텐츠만을 토큰화하면 되므로, 종래 기술 대비 적은 연산량으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 알고리즘의 구현과 적용에도 종래 기술보다 유리하다.In addition, text tokenization is required when text-based recommendation is used.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news service had to tokenize the entire article,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provides UX/UI divided into sub-content types, only necessary sub-contents need to be tokenized, so it is recommended with a small amount of computa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service can be provided, and it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prior art in implementing and applying a recommendation algorithm.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 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한다. 서버(100)는 수집된 데이터를 표 2와 같은 타입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한다.Specifically, the server 100 classifies and collects, for each user, IDs of sub-contents including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including search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about the sub-contents. The server 100 stores the collected data in the database in the type shown in Table 2.

사용자 IDUser ID 반응한 서브 컨텐츠 IDResponsive Sub Content ID 0101 [01, 02, 03, 04, 05, ... N][01, 02, 03, 04, 05, ... N] 0202 [01, 12, 13, 14, 15, ... M][01, 12, 13, 14, 15, ... M] ...... ......

이때, 서버(100)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의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뉴스의 경우 시의성이 중요하므로 한 달 이상 도과한 서브 컨텐츠의 ID는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삭제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최근 한 달 동안의 반응정보만을 서브 컨텐츠 추천 시 적용할 수 있다.그 다음, 서버(100)는 수집된 서브 컨텐츠 중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서브 컨텐츠 중 당일 발행된 서브 컨텐츠를 후보 서브 컨텐츠로 추출한다. 일 예로, 서버(100)는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된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행렬과 서브 컨텐츠 행렬로 구분하고, 이를 협업 필터링 기반 연산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서브 컨텐츠의 ID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서브 컨텐츠의 ID를 수집된 컨텐츠(뉴스 기사)와 매칭하여 오늘 발행된 컨텐츠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후보 서브 컨텐츠로 선별한다.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classify and collect IDs of sub-contents for which re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period in the past exists based on the present time for each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news, since timeliness is important, IDs of sub-contents older than one month may be deleted from the database. That is, the server 100 can apply only reaction information for the last month when recommending sub-contents. Next, the server 100 performs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the reaction information among the collected sub-contents. extract Among the extracted sub-contents, sub-contents issued on the same day are extracted as candidate sub-contents. For example, the server 100 divides IDs of sub-contents collected for each user into a user matrix and a sub-contents matrix, and extracts IDs of sub-contents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through a collaborative filtering-based operation. Then, the ID of the extracted sub-content is matched with the collected content (news article) to select the ID of the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ublished today as the candidate sub-content.

이때, 후보 컨텐츠를 선별하는 이유는 모든 서브 컨텐츠를 대상으로 신경망 연산을 수행할 경우, 학습량이 너무 많아 현실적으로 학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산량이 비교적 적은 협업 필터링 기반의 연산을 적용하고 후보군을 추출하여 추후 신경망 연산의 학습량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andidate content is that when the neural network operation is performed on all sub-contents, learning is practically impossible because the amount of learning is too large.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learning of a neural network operation can be adjusted by applying an operation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operation and extracting a candidate group.

다음으로, 서버(100)는 후보 서브 컨텐츠에 대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태그 정보를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소정의 상위 개수의 후보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여 추천 서브 컨텐츠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Next, the server 100 generates main keyword information for the candidate sub-content as tag information. Then, based on the collaborative filtering of the tag information, a predetermined higher number of candidate sub-contents are extracted, selected as recommended sub-content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즉, 서버(100)는 후보 서브 컨텐츠들을 대상으로 키워드(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키워드(형태소)를 추출하고, 이를 태그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표 3과 같이 태그 정보 당 후보 서브 컨텐츠 행렬을 생성한다.That is, the server 100 extracts a main keyword (morpheme) by performing keyword (morpheme) analysis on candidate sub-contents, and generates tag information. Also, the server 100 generates a candidate sub-content matrix per ta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3.

태그tag 후보 서브 컨텐츠 IDCandidate Sub Content ID [뉴스][news] [01, 02][01, 02] [언론][Press] [14, 15][14, 15] ...... ......

서버(100)는 표 3의 행렬을 태그 행렬과 후보 서브 컨텐츠 행렬로 변환하고, 이를 대상으로 다시 협업 필터링을 수행하여 후보 서브 컨텐츠마다 최종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하여 사용자가 가장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위 N개를 최종 추천 서브 컨텐츠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 중 서브 컨텐츠에 대한 댓글 입력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server 100 converts the matrix of Table 3 into a tag matrix and a candidate sub-content matrix, performs collaborative filtering again on these matrices, calculates a final score for each candidate sub-content, and calculates a ranking based on this, so that the user has the most The top N items predicted to be preferred may be selected as final recommended sub-content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Hereinafter,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of inputting comments for sub-contents will be described. let it do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한 댓글 입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inputting comments for sub-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과거에 비해 댓글은 사람들의 반응이나 여론을 살펴보기에 점점 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종래의 뉴스 UI/UX는 긴 줄글의 기사 하단부에 댓글이 달려있는 형식으로 댓글과 기사를 동시에 볼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기사와 댓글이 구분된 구조로 인해 사용자들은 기사의 내용과 사람들의 댓글을 효과적으로 비교해서 기사를 읽을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뉴스 서비스는 소수 댓글에 의해 여론이 좌우되는 것 또한 많은 지적을 받아왔다.Compared to the past, comment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examining people's reactions or public opinion. Nevertheless, the conventional news UI/UX has a structure in which comments and articles cannot be viewed at the same time in the form of comments at the bottom of long lines of articles. As such,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articles and comments are separated, users cannot read articles by effectively comparing the contents of articles with people's comments. In addition, conventional news services have also received many criticisms that public opinion is influenced by minority comment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브 컨텐츠 별로 구분되는 UX/UI에 대하여 각각 댓글 입력 영역을 추가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the above problem by additionally providing a comment input area for each UX/UI classified by sub-content.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제1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1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제1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한다. 도 12에서는 서브 컨텐츠인 문단 A 내지 문단 E 중에서 문단 C(제1 서브 컨텐츠)를 선택한 케이스로, 문단 C가 선택됨에 따라 화면 상에는 문단 C와 이에 상응하는 댓글들이 제공된다.Specifically, the server 100 receives a first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for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contents. In addition, a first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lection input and a reply input area and a reply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content are provided. 12 shows a case in which paragraph C (first sub content) is selected among sub content paragraphs A to E, and as paragraph C is selected, paragraph C and corresponding comments are provided on the screen.

또한, 서버(100)는 제1 선택 입력 이후, 제1 서브 컨텐츠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의 좌우 스와이프 입력인 제2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제2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따른 제1 서브 컨텐츠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한다. 도 12의 경우 문단 C가 출력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스와이프 또는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할 경우, 문단 B 또는 문단 D가 각 댓글과 함께 전환 출력된다. 한편, 스와이프의 정도에 따라 이전 또는 이후에 전환 제공되는 제2 서브 컨텐츠의 수는 증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rver 100 receives a second selection input that is a user's left and right swipe input based on the first sub-content after the first selection input, the server 100 responds to the second selection input, Second sub-content located before or after the first sub-content, a comment input area and a commen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b-content are provided. In the case of FIG. 12 , when a user swipe left or right while paragraph C is output, paragraph B or paragraph D is converted and output together with each comment. Meanwhile, the number of second sub-contents that are switched and provided before or after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wip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컨텐츠 별로 댓글을 스와이핑하면서 확인할 수 있어, 컨텐츠(뉴스)의 흐름이 끊기지 않고 뉴스를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ents for each sub-content can be checked while swip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news can be consumed without interrupting the flow of content (news).

또한, 사용자들은 기사보다 다소 짧은 서브 컨텐츠마다 댓글을 입력해야 하므로, 일부(문단 별) 기사의 내용과 해당 문단 내용에 달린 댓글을 같이 보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사의 내용과 다른 사람들의 댓글을 비교하여 뉴스를 소비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컨텐츠마다 댓글이 입력되기 때문에 댓글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어, 소수 댓글에 의해 여론이 좌지우지되는 피해 또한 줄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댓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들 역시 서브 컨텐츠의 내용을 고려하여 댓글을 입력하는 경향이 높아지므로, 기사(컨텐츠)와 무관한 또는 무분별한 악플을 달 가능성이 줄어든다.In addition, since users have to enter comments for each sub-content that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article, it is possible to view the news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article with the comments of others more effectively while viewing the contents of some (paragraphs) of the article and the comments on the corresponding paragraph together. can consume In addition, since comments are input for each sub-content, comments are dispersed, and damage caused by public opinion being swayed by minority comments can also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users who want to input comments also tend to input com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of the sub-content, the possibility of writing malicious comments unrelated to the article (contents) or indiscriminately is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 중 서브 컨텐츠에 대한 자동 스크롤 표시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scrolling display function for sub-contents amo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서브 컨텐츠에 대한 자동 스크롤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utomatic scroll display function for sub-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뉴스 서비스에서는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기사를 공유받거나, 사용자가 알림을 설정한 키워드 등에 맞는 기사에 대한 알림이 제공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추천된 기사에 대한 알림이 제공될 시, 해당 알림을 단순히 누르면 해당 기사로 페이지가 전환되어 전체 기사 내용이 표출된다. In a conventional news service, when a specific article is shared from another user's terminal, a notification for an article matching a keyword set for notification by a user is provided, or a notification for an article recommended through an application is provided,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 is simply sent. When pressed, the page changes to the corresponding article and the entire article content is displayed.

사용자는 특정 이슈에 대하여 빠른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단순히 헤드라인 부분이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기존 서비스의 경우, 핵심되는 내용을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Users often need quick confirmation of a specific issue, but in the case of existing services that are simply provided to have the headline part locat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took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grasp the core conten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설정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에 따라, 해당 알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controls at least one of notification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tting from a user terminal, shared sub-contents from other user terminals, and recommended sub-contents. As the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if one of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s is selected, the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the entire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 과정에서, 서버(100)는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존재하는 경우 전체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기초하여 서브 컨텐츠 ID에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 스크롤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server 100 checks whether sub-content IDs exist for notification sub-contents, shared sub-contents, and recommended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Based on this, it may be automatically scrol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b content I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때,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인 인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자동 스크롤되는 서브 컨텐츠는 해당 위치로 자동 스크롤이 됨과 동시에 서브 컨텐츠 영역이 좌우로 미세하게 복수회 흔들리거나, 진동, 소리 등과 같은 강조 애니메이션을 부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duce a more intuitive recognition by the user, the auto-scrolling sub-content is automatically scroll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ub-content area is slightly shaken left and right multiple times, or an emphatic animation such as vibration or sound is added.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와 같은 자동 스크롤 제공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더욱 잘 드러내도록 공유할 수 있고, 서비스적인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서브 컨텐츠를 추천하고 추천한 서브 컨텐츠의 위치로 사용자를 올바르게 인도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users to share their thoughts to better reveal themselves to others through such an automatic scrolling function, and in terms of service, recommends and recommends sub-contents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The user can be correctly guided to the location of the sub-content.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can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gram is C, C++, JAVA, Ruby, C, C++, JAVA, Ruby, which the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reads the program and executes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a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These codes may include functional codes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include control codes related to execution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se codes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s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should be referenc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related codes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kind of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컨텐츠 제공 서버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00: content providing server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emory
130: processor

Claims (12)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된 각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dividing th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storing each of the sub-contents divided into units of the sub-contents in a database to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s;
In response to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sub-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o as to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
Wherein the user terminal classifies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컨텐츠 영역을 구성하는 각 이미지, 동영상, 문단 별 텍스트를 상기 서브 컨텐츠 단위로 설정하여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viding the content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distinguishing between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nd a content area excluding the metadata; and
Setting and classifying each image, video, and text for each paragraph constituting the content area excluding the metadata in units of the sub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 별로 선호도 입력 영역, 선호도 표시 영역, 댓글 입력 영역, 댓글 표시 영역, 타 사용자 단말로의 공유 입력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 별로 입력된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상기 컨텐츠의 ID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For each of the sub-contents, a preference input area, a preference display area, a comment input area, a comment display area, and a sharing input area to other user terminals are created and provided;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and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put for each sub-content are matched with the ID of the content and stored on the database.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소정의 상위 개수만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서브 컨텐츠를 타 서브 컨텐츠와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Calculating a reaction index for each sub-content based on respons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
Extracting a predetermined higher number of sub-contents having a response index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extracted sub-content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content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에 각각 반응계수를 더 부가하고, 반응계수가 부가된 각 정보를 합산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 별 반응지수를 산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action index for each sub-content,
A response coefficient is further added to each of the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 and each information to which the response coefficient is added is added to obtain a response index for each sub-content. that yield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표시된 서브 컨텐츠가 제공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반응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반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반응지수를 갖는 서브 컨텐츠를 갱신 및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collecting the rea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fter the highlighted sub-content is provided; and
Further comprising updating and displaying sub-contents having a reaction index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reshold based on the collected reaction information.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택 표시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된 서브 컨텐츠만이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Provided that only the highlighted sub-content is displayed in response to a selection display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에 대한 상기 선호도 정보, 댓글 정보, 공유 이력 정보와 조회 정보 및 구독(읽음) 정보를 포함하는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서브 컨텐츠 중 상기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서브 컨텐츠를 추출하되, 당일 발행된 서브 컨텐츠를 후보 서브 컨텐츠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서브 컨텐츠에 대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태그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정보를 협업 필터링에 기초하여 소정의 상위 개수의 후보 서브 컨텐츠 추출하여 추천 서브 컨텐츠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classifying and collecting, for each user, IDs of sub-contents in which reaction information including preference information, comment information, sharing history information, inquiry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read) information for the sub-contents exists;
extracting sub-contents from among the collected sub-content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and extracting sub-contents issued on the same day as candidate sub-contents;
generating main keyword information for the candidate sub-content as tag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a predetermined higher number of candidate sub-contents from the tag information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recommending the tag information as recommended sub-content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하는 단계는,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의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반응정보가 존재하는 서브 컨텐츠의 ID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수집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of classifying and collecting the ID of the sub-content in which the reaction information exists for each user,
Collecting IDs of sub-contents for each user that hav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t period in the past based on the present,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제1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제1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입력 이후, 상기 제1 서브 컨텐츠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의 좌우 스와이프 입력인 제2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구성 순서에 따른 제1 서브 컨텐츠의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댓글 입력 영역과 댓글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first selection input from a user terminal for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providing a first sub-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lection input and a reply input area and a reply display area corresponding thereto;
receiving, after the first selection input, a second selection input that is a user's left and right swipe input based on the first sub-content;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input, providing a second sub-content located before or after the first sub-cont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sequence, and a comment input area and a commen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b-content, ,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설정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알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컨텐츠 및 이에 상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알림 서브 컨텐츠, 공유된 서브 컨텐츠 및 추천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전체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 ID에 상응하는 위치로 자동 스크롤하여 제공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providing the sub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notification of at least one of notification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tting from the user terminal, shared sub-contents from other user terminals, and recommended sub-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notifications; and
Providing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entire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entire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sub-content IDs exist for notification sub-contents, shared sub-contents, and recommended sub-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and if there are sub-content IDs, the sub-content IDs exist based on the configuration order of the entire content. To automatically scroll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d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a user terminal.
서브 컨텐츠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수집 방법을 통해 컨텐츠를 수집하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수집된 컨텐츠의 표시 방법을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수집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 컨텐츠 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구성 순서에 상응하도록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복수의 서브 컨텐츠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인,
컨텐츠 제공 서버.
In a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ub-content-oriented interfac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llects content through a predetermined collection method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a user terminal;
A memory storing a program for processing the display method of the collected content and providing it to a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s the processor executes the program, the collected cont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content units and stored in a database corresponding to a configuration order of the content;
Upon receiving a selection request for th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providing the sub-content to the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
Wherein the user terminal classifies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on a pre-installed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plurality of sub-contents.
Content Serving Server.
KR1020210150944A 2021-11-04 2021-11-04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KR202300650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44A KR20230065094A (en) 2021-11-04 2021-11-04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44A KR20230065094A (en) 2021-11-04 2021-11-04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94A true KR20230065094A (en) 2023-05-11

Family

ID=8637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944A KR20230065094A (en) 2021-11-04 2021-11-04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0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93B1 (en) 2014-11-27 2016-02-23 (주)제이컴코퍼레이션 Responsive news web service system and Real-time news pos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93B1 (en) 2014-11-27 2016-02-23 (주)제이컴코퍼레이션 Responsive news web service system and Real-time news post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246B2 (en) Topical activity monitor and identity collector system
CN106021586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US91956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extual display of image tags in a social network
US926276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reference and identifying content within a social network
US9325653B1 (en) Notifying content owners of related posts
US7958117B2 (en) Initial impression analysis tool for an online dating service
US20190278821A1 (en)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context
US20150142888A1 (en) Determining information inter-relationships from distributed group discussions
US20110302152A1 (en)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context
US201001005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the Fantasies of Users Based on Image Tagging
US20120042280A1 (en) Intelligent Display of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US20160004761A1 (en) Person-based display of posts in social network
CN109325223B (en) Articl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636367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CN104221006A (en) Optimization of web page content including video
CN108304422B (en) Media search word pushing method and device
CN103246713A (en) Web surfing method and web surfing device
US11257000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diction sets based on a known set of features
KR101691220B1 (en) Personalized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contents rating
US9015607B2 (en) Virtual sp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997254B1 (en) 1307458USCON1 search engine optimization in social question and answer systems
US20180114279A1 (en) Automatic Newsletter Creation
US9426190B1 (en) Crowdsourcing descriptor selection
CN105706409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hancing user engagement with service
KR102536824B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user device through sub-content based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