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48A -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 Google Patents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48A
KR20230064848A KR1020210150387A KR20210150387A KR20230064848A KR 20230064848 A KR20230064848 A KR 20230064848A KR 1020210150387 A KR1020210150387 A KR 1020210150387A KR 20210150387 A KR20210150387 A KR 20210150387A KR 20230064848 A KR20230064848 A KR 2023006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fluid
mixing chamber
inlet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5305B1 (en
Inventor
김광용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305B1/en
Publication of KR2023006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1/0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by affecting boundary layer flow
    • B64C21/02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by affecting boundary layer flow by use of slot, ducts, porous areas or the like
    • B64C21/04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by affecting boundary layer flow by use of slot, ducts, porous areas or the like for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30/00Boundary layer controls
    • B64C2230/04Boundary layer controls by actively generating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30/00Boundary layer controls
    • B64C2230/18Boundary layer controls by using small jets that make the fluid flow oscil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체를 유입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진동하는 제트기류로 토출하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혼합실의 유입구측으로 유동시켜, 상시 유입구측에서 공급되는 유체에 진동을 발생하는 피드백 유로; 및 상기 혼합실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혼합실을 통과하는 유체와 우회한 유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 중 상측면이 해당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항공기의 날개에 구비되면서, 상기 항공기의 날개에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시켜, 토출된 진동하는 제트기류에 의해 항공기의 날개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제어됨에 따라, 항공기 날개의 양력 및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for introducing fluid from the outside; a mixing chamb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s a vibrating jet stream; a feedback passage that causes a portion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mixing chamber to flow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mixing chamber, thereby generating vibrations i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inlet side;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ixing chamber and discharg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ixing chamber and the bypassed fluid to the outside,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As it is provided on the wing of the aircraft, by discharging the vibrating jet stream to the wing of the aircraft, as the flow separation occurring on the wing of the aircraft by the discharged vibrating jet stream is controlled, the lif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aircraft wing can be improved. Provided is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that can be.

Description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본 발명은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출구부를 사용할 경우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출구높이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동일 출구높이에서는 경사의 시작이 빨라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항공기의 날개에 구비되면서, 상기 항공기의 날개에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시켜, 토출된 진동하는 제트기류에 의해 항공기의 날개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제어됨에 따라, 항공기 날개의 양력 및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when using an inclined outlet,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is improved, and the smaller the outlet height and the faster the inclination starts at the same outlet height. As the recording performance improves, it is provided on the wing of the aircraft, and the vibrating jet stream is discharged to the wing of the aircraft, and the flow separation occurring on the wing of the aircraft is controlled by the discharged vibrating jet stream. It relates to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that can improve lif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에어포일(airfoil)이나 날개(wing)와 같이 양력을 받으면서 기동하는 물체의 주위에서는 매우 복잡한 유동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유동 현상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In general, a very complex flow phenomenon occurs around an object that maneuvers while receiving lift, such as an airfoil or wing of an aircraft, and this flow phenomenon can be changed by various variables.

항공기 날개에서 발생하는 유동박리는 공기역학적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Flow separation in aircraft wings negatively affects aerodynamic performance.

이에 유동분리 제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흐름 제어 기술은 표면에 다양한 구조를 부착하는 수동 흐름 제어(PFC)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능동 흐름 제어(AFC)로 분류되고, AFC는 PFC의 단점인 항력증가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분리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AFC 기술 중 유체진동기를 이용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한 제어 효과를 보였다.Accordingly, many studies on flow separation control have been conducted. Flow control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passive flow control (PFC), which attaches various structures to the surface, and active flow control (AFC), which uses actuators. AFC is a disadvantage of PFC.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iminate the problem of increasing drag, and effective separation control is possible. In particular, the method using the fluid vibrator among the AFC technologies showed superior control effects compared to other methods.

하지만, 종래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동박리 제어 효과가 기대에 못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had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wa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the flow separation control effect did not meet expectations.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1998-014328호(1998.05.25)를 참조할 수 있다.As for the prior art, reference may be made to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14328 (May 25, 1998).

본 발명은 경사진 출구부를 사용할 경우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출구높이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동일 출구높이에서는 경사의 시작이 빨라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항공기의 날개에 구비되면서, 상기 항공기의 날개에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시켜, 토출된 진동하는 제트기류에 의해 항공기의 날개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제어됨에 따라, 항공기 날개의 양력 및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when using an inclined outlet, and the smaller the outlet height and the faster the inclination starts at the same outlet height, the better the performance. Fluid with an inclined outlet that can improve the lif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wing of the aircraft by discharging the vibrating jet stream to the wing of the aircraft and controlling the flow separation occurring on the wing of the aircraft by the vibrating jet stream discharged. It aims to provide a vibrator.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는 외부에서 유체를 유입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진동하는 제트기류로 토출하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혼합실의 유입구측으로 유동시켜, 상시 유입구측에서 공급되는 유체에 진동을 발생하는 피드백 유로; 및 상기 혼합실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혼합실을 통과하는 유체와 우회한 유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 중 상측면이 해당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for introducing fluid from the outside; a mixing chamb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s a vibrating jet stream; a feedback passage that causes a portion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mixing chamber to flow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mixing chamber, thereby generating vibrations i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inlet side;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ixing chamber and discharg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ixing chamber and the bypassed fluid to the outside,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outlet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구부의 경사면은 출구높이(a/h) 지점과, 경사시작위치(b/L) 지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utl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inclined surface formed by connecting the outlet height (a / h) point and the slope starting position (b / L) point.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구높이(a/h)는 상기 출구부의 유출단 최하지점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높이로, 상기 출구부의 유출단 전체높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let height (a/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lowest point of the outflow end of the outlet, and is preferably any one of the total height of the outflow end of the outlet 1: 0.1 to 0.9. d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시작위치(b/L)은 상기 혼합실과 출구부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출구방향의 길이로, 상기 출구부의 전체길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start position (b / 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ength of the exit direction based on the boundary point of the mixing room and the exit section, and the total length of the exit section is 1: preferably any one of 0.1 to 0.9.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구부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구부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expa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exhibited by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경사진 출구부를 사용할 경우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출구높이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동일 출구높이에서는 경사의 시작이 빨라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항공기의 날개에 구비되면서, 상기 항공기의 날개에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시켜, 토출된 진동하는 제트기류에 의해 항공기의 날개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제어됨에 따라, 항공기 날개의 양력 및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using an inclined outlet, the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is generally improved, and as the outlet height decreases and the inclination starts faster at the same outlet height, the performance improves. As it is provided on the wing of the aircraft, By discharging the vibrating jet stream, the lif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wing of the aircraft can be improved as flow separation occurring on the wing of the aircraft is controlled by the discharged vibrating jet str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다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출구높이(a/h)의 변화에 따른 진동수, 최대속도비, 압력 강하 및 제트 분사각(jetting angle)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경사시작위치(b/L)의 변화에 따른 진동수, 최대속도비, 압력 강하(마찰 계수) 및 제트 분사각(jetting angle)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z-x평면상 시간평균 속도 분포를 나타낸 등고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진동 위상에 따른 유체진동기 내부 유동장의 변화를 나타낸 등고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출구높이(a/h)의 변화에 따른 유동장 변화를 나타낸 등고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의 경사시작위치(b/L)의 변화에 따른 유동장 변화를 나타낸 등고선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the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pressure drop and jetting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let height (a / h) of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graph showing the change.
4a to 4d are the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pressure drop (friction coefficient) and jet jet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clined start position (b / L) of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jetting angle).
5 is a contour diagram showing time average velocity distribution on the zx plane of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our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flow field inside the fluid vibrator according to the vibration phase of the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our diagram showing a change in flow fiel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outlet height (a/h) of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tour diagram showing a change in flow field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nclination start position (b/L) of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y are equivalent alternatives that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본 발명은 경사진 출구부를 사용할 경우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출구높이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동일 출구높이에서는 경사의 시작이 빨라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항공기의 날개에 구비되면서, 상기 항공기의 날개에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시켜, 토출된 진동하는 제트기류에 의해 항공기의 날개에 발생하는 유동박리가 제어됨에 따라, 항공기 날개의 양력 및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when using an inclined outlet, and the smaller the outlet height and the faster the inclination starts at the same outlet height, the better the performance. Fluid with an inclined outlet that can improve the lif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wing of the aircraft by discharging the vibrating jet stream to the wing of the aircraft and controlling the flow separation occurring on the wing of the aircraft by the vibrating jet stream discharged. Regarding the vibrator,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100)는 먼저, 전체적인 형상이 높이 1~2mm의 판 상을 이루고, 입구부(110), 혼합실(120), 한 쌍의 피드백 유로(130), 및 출구부(140)를 포함한다.The fluid vibrator 100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rst has an overall shape of a plate with a height of 1 to 2 mm, an inlet 110, a mixing chamber ( 120), a pair of feedback passages 130, and an outlet part 140.

상기 입구부(110)는 외부에서 일정한 압력의 유체를 유입한다.The inlet 110 introduces fluid at a constant pressure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입구부(110)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어 전체적인 형상이 호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portion 110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so that the overall shape is a hopper shape.

그리고 상기 입구부(110)의 후단에는 혼합실(120)이 연결되는데, 상기 혼합실(120)은 상기 입구부(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어느 한 편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시킨다.In addition, a mixing chamber 1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110, and the mixing chamber 120 causes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to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either side.

이때 상기 혼합실(120)은 상기 혼합실(120)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1)측이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이루어져,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상기 입구부(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혼합실(120)의 어느 한 편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상기 혼합실(120)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122)측은 만곡형을 이룬다.At this time, the mixing chamber 120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inlet 121 sid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nto the mixing chamber 120 gradually expa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flows along the inner side of either side of the mixing chamber 120, and the outlet 122 side of which the fluid flows out of the mixing chamber 120 forms a curved shape .

따라서 상기 입구부(110)를 통해 혼합실(12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혼합실(120)의 어느 한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혼합실(120)의 유출구(122)를 통해 유출된다. Therefor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ixing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2 of the mixing chamber 120 while flowing along on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mixing chamber 120 .

더불어 상기 혼합실(120)은 피드백 유로(130)를 구비하는데, 상기 피드백 유로(130)는 한 쌍으로 상기 혼합실(120)의 유출구(122)측 좌, 우에서 분기되어 상기 혼합실(120)의 유입구(121)측으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ixing chamber 120 is provided with a feedback passage 130, which is branch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let 122 of the mixing chamber 120 as a pair to form the mixing chamber 120. ) is connected so that the fluid flows toward the inlet 121 side.

이때 상기 혼합실(120) 중 한 쌍의 피드백 유로(130)가 분기되는 지점에는 유체의 분기가 용이하도록 '∧'형태의 분기돌기(123)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branch protrusions 123 in a '∧' shape to facilitate branching of the fluid at points where the pair of feedback passages 130 diverge among the mixing chamber 120.

따라서 상기 혼합실(12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중 일부가 분기돌기(123)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피드백 유로(130)를 따라 우회하여 다시 상기 혼합실(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되고, 상기 혼합실(120)에서 분기되어 혼합실(120)의 유입구(121)로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입구부(110)를 통해 혼합실(120)로 유입된 유체의 주유동 방향이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치도록 한다.Therefore, some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ixing chamber 120 is branched by the branching protrusion 123, bypasses along the feedback passage 130, and returns to the inlet 121 of the mixing chamber 120.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ixing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110 by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mixing chamber 120 and branched off from the mixing chamber 120 into the inlet 121 of the mixing chamber 120. Let this lean to one side.

그러므로 상기 한 쌍의 피드백 유로(130)를 통한 유체의 주유동 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 유동하는 제트기류의 현상이 교번 반복됨에 따라 상기 혼합실(120)에서는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생성 토출하게 된다.Therefore, as the main flow of the fluid through the pair of feedback passages 130 alternately repeats the phenomenon of the jet stream flowing in one direction, the mixing chamber 120 generates and discharges the vibrating jet stream. .

그리고 상기 혼합실(120)의 후단에는 출구부(140)가 연결되는데, 상기 출구부(140)는 상기 혼합실(120)에서 유출되는 진동하는 제트기류를 토출한다.And, the outlet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ixing chamber 120, and the outlet part 140 discharges the vibrating jet stream flowing out of the mixing chamber 120.

이때 상기 출구부(140)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part 140 form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expa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또한, 상기 출구부(140)는 출구부(140) 중 상측면이 해당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let portion 140 is preferably made of an inclined surface 141,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portion 140 is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상기 출구부(140)의 경사면(141)은 출구 높이(a/h)와, 경사시작위치(b/L)의 변화로 결정되고, 상기 출구높이(a/h)의 변화로 출구제트의 최대 속도 비, 진동수 및 분사각을 가변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outlet part 140 is determined by the change in the outlet height (a/h) and the inclination start position (b/L), and the change in the outlet height (a/h) determines the maximum output of the outlet jet. The speed ratio, frequency and spray angle can be varied.

이때 상기 출구높이(a/h)는 상기 출구부(140)의 유출단 최하지점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높이로, 상기 출구부(140)의 유출단 전체높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이고, 상기 경사시작위치(b/L)은 상기 혼합실과 출구부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출구방향의 길이로, 상기 출구부의 전체길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의 하나의 지점이다.At this time, the outlet height (a / h) is a vertical height based on the lowest point of the outflow end of the outlet part 140, and the total height of the outflow end of the outlet part 140 is 1: any one of 0.1 to 0.9. point, and the inclination start position (b / L) is a length in the exit direction based on the boundary point of the mixing room and the exit section, and is any one of the total length of the exit section 1: 0.1 to 0.9.

이 중 최대 속도 비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될 수 있다.Among them, the maximum speed ratio may be defined as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최대 속도 비이고,
Figure pat00003
는 진동기 출구에서 시간 평균 된 제트 속도의 최대값이며,
Figure pat00004
는 기준 속도로서 출구 목(throat)에서의 속도이다.here,
Figure pat00002
is the maximum velocity ratio,
Figure pat00003
is the maximum of the time-averaged jet velocity at the vibrator exit,
Figure pat00004
is the speed at the exit throat as the reference speed.

그리고

Figure pat00005
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and
Figure pat00005
Can be obtain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입구에서의 질량 유량,
Figure pat00008
는 출구 목의 면적, ρ는 25℃에서 공기 밀도이다.here,
Figure pat00007
is the mass flow rate at the inlet,
Figure pat00008
is the area of the outlet throat, and ρ is the air density at 25 °C.

또한, 진동기 내의 압력장하를 나타내는 마찰계수(

Figure pat00009
)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In ad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pressure load in the vibrator (
Figure pat00009
) is defin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유체진동기 내부의 압력강하이고,
Figure pat00012
는 출구 목에서 수력 직경이다.here,
Figure pat00011
is the pressure drop inside the fluid vibrator,
Figure pat00012
is the hydraulic diameter at the outlet neck.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100)의 수치해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numerical analysis of the fluid vibrator 100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유동 해석을 위해 상용 CFD 소프트웨어인 ANSYS CFX 15.0®을 이용하였고, 3차원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URANS)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이 해석에 사용되었으며, 난류 모델로는 SST(Shear Stress Transport) 모델이 사용되었다. For flow analysis, commercial CFD software ANSYS CFX 15.0® was used, the 3D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URANS) equation and continuity equation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ST (Shear Stress Transport) model was used as the turbulence model. this was used

SST모델을 사용한 URANS 해석이 유체진동기의 내부 유동을 WALL 모델을 사용한 LES 해석보다 정확히 예측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URANS analysis using the SST model predicts the internal flow of a fluid vibrator more accurately than the LES analysis using the WALL model.

아울러, SST 모델은 역압력구배에 의한 유동 박리를 정확히 예측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ST model accurately predicts the flow separation due to the inverse pressure gradient.

경계 조건으로 입구에는

Figure pat00013
의 균일 유동 조건을 부여하였으며, 벽에는 점착조건(no-slip conditions)을 사용하였고, 작동 유체는 25°C에서 공기를 사용하였으며, 이상 기체로 가정하였다.As a boundary condition, at the entrance
Figure pat00013
A uniform flow condition of was applied, no-slip conditions were used for the wall, air was used as the working fluid at 25°C, and an ideal gas was assumed.

상기 유체진동기(100)의 격자계는 ICEM CFD 15.0® 을 사용하여, 모든 영역에서 비정렬 사면체 격자를 생성하였으며, 경계층에서의 높은 속도 구배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12층의 프리즘 격자를 생성하였다. For the grating system of the fluid vibrator 100, an unordered tetrahedral grating was created in all regions using ICEM CFD 15.0®, and a 12-layer prism grating was created to accurately predict the high velocity gradient in the boundary layer.

낮은 레이놀즈 수에서 SST난류모델을 사용하기 위해 벽 근처에 첫번째 격자점은 벽에서부터 Y+<2에 위치시켰고, 동일한 계산을 수행한 GCI(Grid- convergence index) 분석을 기반으로 격자 의존성 테스트를 수행하여 결정한 진동기에 대한

Figure pat00014
개 격자점의 최적 격자계를 사용하였다. To use the SST turbulence model at a low Reynolds number, the first grid point near the wall was located at Y+<2 from the wall, and a grid dependence test was performed based on the same calculation of the Grid-convergence index (GCI). for vibrator
Figure pat00014
An optimal grid system of individual grid points was used.

유체진동기(100) 내부 유동 해석을 위해 단위 계산당 총 계산 시간은 0.03s이며, 시간간격(time step)은

Figure pat00015
로 설정하였다. For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flow of the fluid vibrator (100), the total calculation time per unit calculation is 0.03s, and the time step is
Figure pat00015
was set to

URANS 해석을 위해 정상상태RANS 계산 결과가 해석의 초기값으로 사용되었으며, 수렴 기준은 상대 잔차의 RMS(root-mean-square) 값이

Figure pat00016
미만으로 유지되었다. For the URANS analysis, the steady-state RANS calculation result was us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analysis, and the root-mean-square (RMS) value of the relative residual was used as the convergence criterion.
Figure pat00016
kept below

먼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유체진동기(100)의 출구높이(a/h)의 변화에 따른 진동수, 최대속도비, 압력 강하 및 제트 분사각(jetting angle)의 변화를 살펴보면, 분사각은 출구에서의 제트의 진동폭이다. First, referring to FIGS. 3A to 3D, looking at changes in the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pressure drop, and jetting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xit height (a / h) of the fluid vibrator 100, the jetting angle is is the oscillation amplitude of the jet at the exit.

높이의 변화에 따른 진동기 성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출구높이(a/h)는 a/h=0.2~1.0의 범위에서 0.1씩 값을 변화시켜 가며 계산을 진행하였으며, 경사시작위치(b/L)는 b/L=0로 고정하였다.To find out the change in vibrat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the outlet height (a/h) was calculated by changing the value by 0.1 in the range of a/h = 0.2 ~ 1.0, and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was fixed at b/L = 0.

압력강하와 관련되는 마찰계수(도 3c를 참조)를 제외한 모든 성능이 출구 높이가 낮아지면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출구높이(a/h)가 낮아지면서 진동수, 최대 속도비 그리고 분사각은 모두 점차 증가하였다.It can be seen that all performances, except for the fric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pressure drop (see FIG. 3c), improve as the outlet height decreases, and as the outlet height (a/h) decreases, the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and spray angle all decrease. gradually increased.

그러므로 진동수, 최대속도비, 압력강하의 경우 모두 경사지지 않은 경우(a/h=1.0)에 비해 경사진 형상(a/h<1.0)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Therefore, in terms of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and pressure drop, the inclined shape (a/h <1.0) show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n-inclined case (a/h = 1.0).

그러나 출구높이(a/h)의 증가에 따라 압력강하의 경우, 전체구간에서 다소 증가하나 a/h=1.0~0.9와 a/h=0.4~0.2 구간을 제외한 영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sure drop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outlet height (a/h), it slightly increases in the entire sec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rea except for the sections a/h = 1.0 to 0.9 and a/h = 0.4 to 0.2. there is.

도 4는 출구부의 경사가 시작되는 위치인 경사시작위치(b/L)에 따른 진동수, 최대속도비, 압력 강하 및 제트 분사각(jetting angle)의 변화를 보여준다. 4 shows changes in the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pressure drop, and jetting angl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start position (b/L), which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outlet part starts.

이때, 출구높이(a/h)는 a/h=0.5로 고정하였으며, 경사시작위치(b/L)은 b/L=0~1.0범위에서 나타낸다. At this time, the exit height (a/h) was fixed at a/h = 0.5, and the slope starting position (b/L) was indicated in the range of b/L = 0 to 1.0.

출구높이(a/h)에 따른 변화와는 달리 경사시작위치(b/L)에 따른 전반적인 성능변화는 크지 않으나, 경사시작위치가 b/L=0.9~1구간에서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고 분사각의 경우에는 이 구간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다. Unlike the change according to the exit height (a / h), the overall performance change according to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is not large, but the change is relatively large in the section where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 0.9 ~ 1 In the case of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rapid change in this section.

도 4a와 도 4b에서 경사시작위치(b/L)의 위치가 감소할수록, 즉 경사가 일찍 시작할수록 제트의 진동수와 최대 속도비가 경사시작위치 b/L=1.0 근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S. 4A and 4B, as the position of the slope start position (b/L) decreases, that is, as the slope starts early, the ratio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jet and the maximum speed becomes gentle in most sections except near the slope start position b/L = 1.0. increase can be seen.

도 4c에 나타난 마찰계수는 경사시작위치(b/L)가 b/L=0과 1.0 근처를 제외한 구간에서 Ff =1.4 의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The friction coefficient shown in FIG. 4c shows an almost constant value of Ff = 1.4 in the section except for the slope start position (b/L) near b/L = 0 and 1.0.

도 4d의 제트 분사각의 경우, b/L= 1.0근처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약 46도 정도의 일정한 각을 유지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jet jet angle of FIG. 4D, a constant angle of about 46 degrees is maintained in most sections except near b/L = 1.0.

이러한 결과는 출구부 경사각에 비례해 진동수와 출구 최대 속도비는 변화하지만, 분사각과 마찰 계수의 경우에는 경사각의 영향이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and maximum speed ratio of the outlet change in proportion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utlet, but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angle and friction coefficient, the influence of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ignored except for some sections.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난 출구높이(a/h)가 줄어들면서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현상은 도 5의 z-x평면상 시간평균 속도 분포에서 보인 바와 같이 출구면의 유동 면적이 좁아져 유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The phenomeno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is improved as the outlet height (a / h) shown in FIGS. 3A to 3D is reduced, as shown in the time average velocity distribution on the z-x plane of FIG. It seems to be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of the increase.

기준 형상에서 출구 방향으로 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은 출구부 단면이 출구면을 향하면서 확대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believed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velocity de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exit from the reference shape is because the cross section of the exit section expands toward the exit surface.

그리고 도 5에서는 출구면에서의 최대속도점이 경사면(141) 방향으로 편향되는 현상이 출구높이(a/h)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 출구높이가 a/h=0.9 인 경우에도 이러한 편향된 속도분포는 뚜렷이 나타나나 기준형상인 출구높이 a/h=1.0에서는 중심에서 최대속도가 발생하는 대칭형 속도분포를 보인다.And in FIG. 5, the phenomenon that the maximum velocity point at the exit surface is deflected toward the inclined surface 141 is shown for the exit height (a / h), and even when the exit height is a / h = 0.9, this biased velocity distribution is clearly However, at the exit height a/h = 1.0, which is the standard shape, a symmetrical velocity distribution with the maximum velocity occurring at the center is shown.

출구높이 a/h=0.9-1.0 구간에서의 이와 같은 속도분포의 급격한 변화는 각각 진동수, 마찰계수 및 분사각에 대한 도 3a, 3c 및 3d에 나타난 출구높이 a/h=0.9-1.0 구간에서의 급격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sudden change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exit height a / h = 0.9-1.0 section is shown in Figs. 3a, 3c and 3d for the frequency, friction coefficient and injection angle, respectively, It i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rapid change.

출구 최대속도비(FVR)는 출구높이(a/h)의 증가에 비례해서 감소하는데, 이는 단면적 증가에 반비례하는 유속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이러한 경사진 출구부 내의 유동 현상은 종래기술인 출구부가 굽은 유체진동기 내의 굽힘으로 인한 편향된 속도분포로 발생하는 현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The maximum outlet velocity ratio (FVR)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outlet height (a/h), which is due to the decrease in flow rat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It shows a similar aspect to the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e biased velocity distribution due to bending in the fluid vibrator.

도 6은 진동의 위상에 따른 유체진동기 내부 유동장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해당 유동장을 통하여 출구높이(a/h)가 작아질수록 제트가 좌우로 움직이는 분사각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제트의 폭도 넓어진다.6 shows the change in the flow field inside the fluid vibrator according to the phase of vibration. As the exit height (a / h) decreases through the flow field, the spray angle of the jet moving left and right increases noticeably and the width of the jet widens. all.

도 7은 형상 변화에 따른 시간 평균 유동장을 비교하기 위해 출구높이(a/h)의 변화에 따른 유동장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경사시작위치(b/L)의 변화에 따른 유동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7 shows the flow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let height (a / h) to compare the time average flow field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and FIG. 8 shows the flow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will be.

도 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출구높이(a/h)가 작아지면서 분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다만 출구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는 유동장의 변화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pray angle gradually increases as the outlet height (a/h) decreases, but the flow field does not clearly change in areas other than the outlet.

한편, 도 8의 경우, 경사시작위치(b/L)에 따른 내부 유동의 변화는 경사시작위치 b/L= 1.0근처를 제외하고는 크지 않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 8, the change in the internal flow according to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is not large except near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 1.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10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진동수, 최대 속도비, 압력 강하 및 제트 분사각 등 다양한 성능을 출구높이(a/h)와 출구부 경사가 시작되는 위치인 경사시작위치(b/L)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100 having an inclined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erformances such as frequency, maximum speed ratio, pressure drop, and jet spray angle were evaluated by the outlet height (a / h) and the outlet The change in the slope starting position (b/L),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inor slope, was analyzed.

계산결과, 출구부의 경사가 없는 경우(출구높이 a/h = 1.0 혹은 경사시작위치 b/L = 1.0)에 비해 경사가 있는 경우(출구높이 a/h < 1.0)에는 압력강하를 제외한 진동기의 성능이 항상 향상됨을 보여준다.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vibrator excluding the pressure drop in the case of the inclination (outlet height a/h < 1.0) compared to the case of no inclination at the outlet (exit height a/h = 1.0 or inclination start position b/L = 1.0) shows that it is always improving.

출구높이(a/h)가 줄어들수록 진동수, 출구 최대속도비 및 분사각이 거의 일정비율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압력 강하의 경우에는 전체 출구높이(a/h) 구간에서 증가하였지만 그 크기는 크지 않았다. As the outlet height (a/h)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utlet maximum speed ratio, and injection angle increased at an almost constant rate. It wasn't great.

경사시작위치(b/L)의 경우 출구높이(a/h)에 비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전반적으로 작았으며 특히 압력 강하와 분사각의 변화는 경사시작위치 b/L = 1.0근처를 제외하고는 매우 작았다. In the case of the slope start position (b/L), the effect on performance was generally smaller than that of the outlet height (a/h), and in particular, the change in pressure drop and spray ang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near the slope start position b/L = 1.0. It was very small.

경사시작위치(b/L)가 작아질수록 진동수와 최대 속도비는 점진적으로 향상되었다. As the slope start position (b/L) became smaller, the frequency and maximum speed ratio gradually improved.

그러므로 경사진 출구부를 사용할 경우 유체진동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출구높이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동일 출구높이에서는 경사의 시작이 빨라질수록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fluid vibrator generally improves when the inclined outlet is used, and the performance improves as the outlet height decreases and the inclination starts faster at the same outlet heigh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유체진동기
110: 입구부
120: 혼합실
121: 유입구
122: 유출구
123: 분기돌기
130: 피드백 유로
140: 출구부
141: 경사면
100: fluid vibrator
110: entrance
120: mixing room
121: inlet
122: outlet
123: divergent projection
130: Feedback Euro
140: exit part
141: slope

Claims (6)

외부에서 유체를 유입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진동하는 제트기류로 토출하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를 상기 혼합실의 유입구측으로 유동시켜, 상시 유입구측에서 공급되는 유체에 진동을 발생하는 피드백 유로; 및
상기 혼합실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혼합실을 통과하는 유체와 우회한 유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 중 상측면이 해당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An inlet for introducing fluid from the outside;
a mixing chamb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let and discharg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s a vibrating jet stream;
a feedback passage that causes a portion of the fluid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mixing chamber to flow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mixing chamber, thereby generating vibrations in the fluid supplied from the inlet side;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ixing chamber and discharging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ixing chamber and the bypassed fluid to the outside; including,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portion i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corresponding 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경사면은
출구높이(a/h) 지점과, 경사시작위치(b/L) 지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경사면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utlet is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which is a slope formed by connecting the outlet height (a/h) point and the slope start position (b/L) poi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구높이(a/h)는
상기 출구부의 유출단 최하지점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의 높이로,
상기 출구부의 유출단 전체높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인 경사면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let height (a / h) is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lowest point of the outlet end of the outlet,
The total height of the outflow end of the outlet part is 1: a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any one of 0.1 to 0.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시작위치(b/L)은
상기 혼합실과 출구부의 경계지점을 기준으로 출구방향의 길이로,
상기 출구부의 전체길이 1 : 0.1 ~ 0.9 중 어느 하나인 경사면인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lope start position (b / L) is
The length of the exit direction based on the boundary point of the mixing room and the exit part,
The total length of the outlet 1: Fluid vibrator having an inclined outlet portion that is an inclined surface of any one of 0.1 to 0.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A fluid vibrator with an inclined outlet that gradually narrows in width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이루는 경사진 출구부를 가진 유체진동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xit part
A fluid vibrator with an inclined outlet that gradually expands in width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KR1020210150387A 2021-11-04 2021-11-04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KR102595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87A KR102595305B1 (en) 2021-11-04 2021-11-04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87A KR102595305B1 (en) 2021-11-04 2021-11-04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48A true KR20230064848A (en) 2023-05-11
KR102595305B1 KR102595305B1 (en) 2023-10-30

Family

ID=8637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87A KR102595305B1 (en) 2021-11-04 2021-11-04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3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25A (en) * 1996-04-19 1998-05-12 Bowles Fluidics Corporation Fluidic washer systems for vehicles
KR20170109262A (en) * 2016-03-21 2017-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asher nozzle for vehicle
US20170349268A1 (en) * 2016-06-01 2017-12-07 The Boeing Company Distributed Compressor for Improved Integration and Performance of an Active Fluid Flow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25A (en) * 1996-04-19 1998-05-12 Bowles Fluidics Corporation Fluidic washer systems for vehicles
KR20170109262A (en) * 2016-03-21 2017-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asher nozzle for vehicle
US20170349268A1 (en) * 2016-06-01 2017-12-07 The Boeing Company Distributed Compressor for Improved Integration and Performance of an Active Fluid Flow Control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체진동기의 형상 변화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정한솔, 김광용,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21 no.3, pp.77-88, 2016, 한국전산유체공학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305B1 (en)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54B1 (en) Casting nozzle with diamond-back internal geometry and multi-part casting nozzle with varying effective discharge angles and method for flowing liquid metal through same
Babinsky et al. SBLI control for wings and inlets
JP7216716B2 (en) Walls of hot gas components and hot gas components comprising walls
US8210482B2 (en) Prismatic-shaped vortex generators
CN106081069B (en) Aerodynamic surface assembly defining fluid actuation aperture
US2916230A (en) Supersonic airfoil
US4311291A (en) Nozzle structure with notches
JP2004506846A (en) Pulsed or unsteady ejector methods and systems
JPH0681713A (en) Scrum jet fuel injector
JPH0692774B2 (en) Scramjet with combustor integral with inlet
UA7281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 of efficiency and economy of use of complex methods of control of boundary layer
US9618150B2 (en) Device for generating fluid pulses
RU2745893C2 (en) Nozzle providing three-dimensionaltapering airflow and a method for using this nozzle
KR102595305B1 (en) Performance analysis of a fluidic oscillator with a tapered outlet
JP6917030B2 (en) Methods and cavities for controlling cavity flow vibrations and acoustic loads using a curved back surface
US20110268560A1 (en) Gas turbine engine
Mazaheri et al. The multi-point optimization of shock control bump with constant-lift constraint enhanced with suction and blowing for a supercritical airfoil
US11268550B2 (en) Swirling jet actuator for control of separated and mixing flows
KR102595304B1 (en) Fluidic oscillator with curved outlet and airfoil
Weber et al. Design, optimization, and analysis of a high-turning transonic tandem compressor cascade
Kuzmin Shock wave instability in a bent channel with subsonic/supersonic exit
US11865556B2 (en) Out-of-plane curved fluidic oscillator
JPH1089494A (en) Main steam control valve
RU2789419C1 (en) Method for eliminating vibrations of the shock wave on the wing profile of a civil aircraft at transonic flight speeds
Mazaheri et al. The application of suction and blowing i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ransonic airfoils with shock control b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