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679A - Tra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a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679A
KR20230064679A KR1020210149733A KR20210149733A KR20230064679A KR 20230064679 A KR20230064679 A KR 20230064679A KR 1020210149733 A KR1020210149733 A KR 1020210149733A KR 20210149733 A KR20210149733 A KR 20210149733A KR 20230064679 A KR20230064679 A KR 2023006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lug
upper tray
charged
cons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362B1 (en
Inventor
박원대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362B1/en
Publication of KR2023006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 vehicle. The tray for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tray whih slides on a console body, is inserted to or withdrawn from one side, stores a charged unit, and charges the stored charged unit; a plug which is fixed to the upper tray and receives a power from the console body; and a plug receiving unit which is fixed to the console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inserted, and is disconnected from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withdra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 connection or disconnection is easily made depending on the insertion or the withdrawal of the upper tray. Accordingly, charging is performed only while the charged unit is stored, an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when the charging is not required.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 {Tray for vehicle}Tray for vehicle {Tra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에 배치되고,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for a vehicle disposed in a console box and capable of storing objects.

콘솔박스(Console box)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이다. 콘솔박스는 내부에 기어박스를 수납하거나,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다양한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A console box is a box-shaped storage space install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a vehicle. The console box may store a gearbox therein, store items, or have various operation buttons.

일반적으로 콘솔박스에는 각종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가 구비된다.In general, a console box is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trays capable of storing various belongings.

이러한 트레이는 배치되는 위치와 여유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These trays can be design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free space where they are placed.

트레이는 커버가 열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커버는 슬라이딩 방식을 전제로 한다.The tray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a sl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way the cover is opened, and the tra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liding method.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1769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자외선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휴대폰 무선충전기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휴대폰 무선충전용 트레이에 휴대폰 살균기능을 부가하여 휴대폰의 무선충전 시 자외선 살균소독이 함께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협소한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한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함을 목적을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7694 is suggested as prior literature. Prior literature relates to a tray for a wireless charger for a mobile phon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 Prior literature adds a mobile phone sterilization function to a tray for wireless charging of a mobile phone so that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are performed together during wireless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ecuring installation space in a narrow vehicle interior space. The purpose is to have a sterilization function.

선행문헌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무선충전모듈, 자외선살균부 및 공기청정기 등이 결합된다. 상기 모듈들은 전기로 구동되며, 외부로부터 전선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하지만, 상기 모듈들은 하우징에 고정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들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prior literature,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and an air purifier are coupled to the housing. The modules are driven by electricity and are supplied with power by connecting wires from the outsid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modules must be fixed to the hous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is consumed unnecessarily as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odules.

또한, 모듈의 온/오프를 위해 휴대폰이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detection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mobile phone is mounted for turning on/off the module is required, which increases production cost.

한국등록특허 제10-151769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769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충전이 필요하지 않을 때 피충전유닛에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여, 불필요한 전력공급을 손쉽게 차단하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ray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y for a vehicle that easily cuts off unnecessary power supply by relea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a unit to be charged when charging is not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별도의 감지센서 없이도 피충전유닛의 거치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하여, 피충전유닛이 수납된 동안에 충전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tray that can be charged while the charged unit is stored by simp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harged unit is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sens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피충전유닛을 수납하고 수납된 피충전유닛을 충전시키는 어퍼트레이, 어퍼트레이에 고정되고 콘솔바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플러그, 콘솔바디에 고정되고 어퍼트레이가 삽입된 때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퍼트레이가 인출된 때 플러그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플러그 수용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tr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or pulled out from one side while sliding in the console body, and the upper tray for storing the charged unit and charging the stored charged unit, the upper tray It includes a plug fixed to the consol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inser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pulled out.

플러그는, 어퍼트레이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플러그 수용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g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pper tray.

차량용 트레이는, 콘솔바디와 어퍼트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에 홀수회 삽입시 어퍼트레이를 콘솔바디에 고정하고,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에 짝수회 삽입시 어퍼트레이와 콘솔바디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ay is disposed between the console body and the upper tray, fixes the upper tray to the console body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an odd number of times, and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an even number of times, I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for releasing the fixation.

차량용 트레이는, 플러그 수용부에 배치되고,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에 삽입되면 플러그의 양 측을 가압하는 플러그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ay may include plug fixing pins disposed in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and pressurizing both sides of the plug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차량용 트레이는, 일 측이 콘솔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어퍼트레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ay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sole body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tray.

차량용 트레이는, 어퍼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로어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트레이는,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로어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tray may include a lower tray disposed below the upper tray and sliding on the console body and inserted or pulled out from one side. In this case, the vehicle tray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upper tray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lower tra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어퍼트레이의 삽입 또는 인출에 따라 손쉽게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해제되어, 충전이 필요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easily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or withdrawal of the upper tray,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when charging is not required.

둘째, 탑승자가 플러그 또는 어퍼트레이를 홀수회 또는 짝수회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어퍼트레이와 콘솔바디의 고정 및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어퍼트레이에 피충전유닛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판단하여, 피충전유닛이 수납된 동안에만 충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Second, by pressing the plug or upper tray an odd or even number of times, the occupant can easily perform or release the fixation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tray and the console body, and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harged unit is stored in the upper tray,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unit to be charged can be charged only while it is sto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바디 일부 및 콘솔바디에 결합된 차량용 트레이를 도시한 도,
도 3은 도 2에서 로어트레이만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도 2에서 로어트레이 및 어퍼트레이가 모두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2에서 콘솔바디의 상부면을 제거하여 차량용 트레이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
도 6은 도 5에서 로어트레이만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도 5에서 로어트레이 및 어퍼트레이가 모두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분해도,
도 9는 콘솔바디 일부 및 차량용 트레이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차량용 트레이가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도 9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차량용 트레이가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D부분의 단면도 중 플러그 부분을 확대한 도,
도 15는 도 14에서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에 삽입 전/후의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
도 16은 도 9에서 C부분의 단면도 중 탄성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so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a console body and a vehicle tray coupled to the conso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lower tray is withdra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are drawn out in FIG. 2;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tray by re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body in Figure 2;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lower tray is withdrawn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are drawn out in FIG. 5;
8 is an exploded view of a vehicl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part of the console body and a vehicle tray;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in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tray is withdrawn from the console body in FIG. 10;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in FIG. 9;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tray is withdrawn from the console body in FIG. 12;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lug por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D in FIG. 12;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after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part in FIG. 14;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n elastic member por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 in FIG. 9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트레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the vehicle tray 2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200)의 방향을 정의한다. 차량용 트레이(200)가 배치되는 콘솔바디(100)의 면을 후면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기준으로, 차량용 트레이(200)가 콘솔박스에 삽입되는 방향은 전방이고, 차량용 트레이(200)가 콘솔박스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후방이다. 콘솔바디(100)를 기준으로 위쪽이 상방, 아래쪽이 하방이라고 정의한다. 전방/후방/상방/하방을 기준으로, 좌측방과 우측방이 정의된다.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ra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he surface of the console body 100 on which the vehicle tray 200 is disposed is defined as a rear surface. Based on th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y 200 is inserted into the console box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tray 200 is withdrawn from the console box is rearward. Based on the console body 100, the upper part is defined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defined as the lower part. Based on front/back/up/down, the left room and the right room are defined.

종축은 차량용 트레이(200)를 좌측부와 우측부로 균일하게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 차량용 트레이(200)의 삽입/인출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횡축은 차량용 트레이(200)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균일하게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 차량용 트레이(200)의 삽입/인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vertical axis is an imaginary line that uniformly divides the vehicle tray 200 into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insertion/extrac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tray 200 . The horizontal axis is an imaginary line that uniformly divides the vehicle tray 200 into a first half and a second half,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extrac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tray 200 .

콘솔박스(Console box)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박스 모양의 수납장치이다. 콘솔박스는 내부에 기어박스를 수납하거나,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다양한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A console box is a box-shaped storage device install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of a vehicle. The console box may store a gearbox therein, store items, or have various operation buttons.

콘솔박스는 차량에 설치된다. 콘솔박스는 차량에 고정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슬라이딩이나 회전 등 이동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솔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콘솔박스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console box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console box is fixed to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ved such as sliding or rotating.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s assumed that the console box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of a vehic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sole box may be disposed in another location.

콘솔바디(100)는 콘솔바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콘솔바디(100)는 내부에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The console body 100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console body 100. The console body 100 forms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therein.

도 1을 참조하면, 콘솔바디(100)는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콘솔바디(100)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sole body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Alternatively, the console body 10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은 탑승자가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암레스트는 콘솔바디(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콘솔바디(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이 곧바로 암레스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n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body 100 may constitute an armrest for supporting an arm of an occupant. The armres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sole body 100 and mounted on the console body 10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body 100 may direct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rmrest.

콘솔바디(100)는 플러그(221)가 결합되는 플러그 수용부(121)를 포함한다. 플러그 수용부(121)는 콘솔바디(100)에 고정되고, 어퍼트레이(220)가 삽입된 때 플러그(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퍼트레이(220)가 인출된 때 플러그(221)와의 연결이 해제된다.The console body 100 includes a plug receiving portion 121 to which a plug 221 is coupled.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is fixed to the console body 1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221 when the upper tray 22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plug 221 when the upper tray 220 is pulled out. this is released

플러그 수용부(121)는 플러그(221)의 돌기에 매칭되는 홈이 형성되어, 플러그(2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has a groove that matches the protrusion of the plug 221,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221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결합된 때, 전류는 플러그 수용부(121)와 플러그(221)를 통해 어퍼트레이(220)로 흐른다.When the plug 221 is coupled 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 current flows through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and the plug 221 to the upper tray 220 .

플러그 수용부(121)에는 플러그 고정핀(1211)이 배치된다.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된 때 플러그(221)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의 양 단에 배치되어, 플러그(221)를 가압할 수 있다.A plug fixing pin 1211 is disposed in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 The plug fixing pin 1211 presses and fixes the plug 221 when the plug 221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 The plug fixing pins 1211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g 221 to press the plug 221 .

로어트레이(210)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물건을 수납하는 구성요소이다. 로어트레이(210)는 콘솔바디(100)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면이 개방된다.The lower tray 210 is disposed on the console body 100 and is a component for storing objects. The lower tray 210 slides on the console body 100 and is inserted or pulled out to one side,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로어트레이(210)는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어트레이(21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상부면을 통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The lower tray 21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hexahedr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210 is open, and objects may be stored through the upper surface.

로어트레이에(210)는 레일이 형성된다. 로어트레이(210)의 레일은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며, 로어트레이(210)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A rail is formed on the lower tray 210 . The rails of the lower tray 210 extend forward and backward, and slide the lower tray 210 forward and backward.

로어트레이(210)의 레일은 콘솔바디(100)에 연결된다. The rail of the lower tray 210 is connected to the console body 100.

로어트레이(210)에 핸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핸들(211)은 로어트레이(210)의 후면에 배치된다. 핸들(211)은 로어트레이(210)가 콘솔바디(100)에 삽입된 때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핸들(211)을 후방으로 당겨 로어트레이(210)를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A handle 21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tray 210 . The handle 211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tray 210 . The handle 211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lower tray 210 is inserted into the console body 100 . The user can withdraw the lower tray 210 from the console body 100 by pulling the handle 211 backward.

어퍼트레이(220)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피충전유닛을 수납하는 구성요소이다. 어퍼트레이(220)는 콘솔바디(100)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피충전유닛(230,240)을 수납하고, 수납된 피충전유닛(230,240)을 충전한다.The upper tray 220 is disposed on the console body 100 and is a component for accommodating a unit to be charged. The upper tray 220 slides on the console body 100 and is inserted or pulled out from one side, receives the charged units 230 and 240, and charges the stored charged units 230 and 240.

어퍼트레이(220)는 로어트레이(21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The upper tray 220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210 .

어퍼트레이(220)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충전유닛(230,240)은 어퍼트레이(22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upper tray 22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upper surface. Accordingly, 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on the upper tray 220 .

어퍼트레이(220)는 좌우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22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26)의 전방에는 제2피충전유닛(240)이 배치되고, 격벽(226)의 후방에는 제1피충전유닛(230)이 배치된다. The upper tray 220 may include partition walls 226 extending left and right and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forward and backward.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ition 226 , and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partition 226 .

어퍼트레이(220)에 플러그(221)가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221)는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된 피충전유닛(230,24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A plug 22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 The plug 221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power to the charged units 230 and 240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

플러그(221)는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되고, 콘솔바디(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The plug 221 is fixed to the upper tray 22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console body 100 .

플러그(221)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된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수용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어퍼트레이(220)에 수납된 모듈들에 전력이 공급된다.The plug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by being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disposed on the console body 100 . When the plug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power is supplied to the modules accommodated in the upper tray 220 while current flows.

플러그(221)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는 측방으로 2개가 돌출될 수 있다.The plug 221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backwar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plurality. For example, two protrusions may protrude to the side.

플러그(221)는 어퍼트레이(22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플러그 수용부(1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221)와 플러그 수용부(121)는 전후방으로 배치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에 삽입될 때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될 때 플러그(221)와 플러그 수용부(12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다.The plug 221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pper tray 220 . For example, the plug 221 and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are disposed forward and backward,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 when viewed from the front or rear. By having this arrangement, when the upper tray 220 is inserted into the console body 100, the plug 221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upper tray 220 is connected to the console body 100 ),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lug 221 and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is released.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되면 플러그(221)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 수용부(121)에 배치되고,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되면 플러그(221)의 양 측을 가압한다.The plug fixing pin 1211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plug 221 when the plug 221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portion 121 . The plug fixing pin 1211 is disposed in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and presses both sides of the plug 221 when the plug 221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121 .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의 양 측에 배치되어, 플러그(221)의 양단을 가압할 수 있다.The plug fixing pins 121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ug 221 to press both ends of the plug 221 .

플러그 고정핀(1211)은 외측으로 경사진 안내부(1211a)와, 내측으로 볼록한 가압부(121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fixing pin 1211 may include an outwardly inclined guide portion 1211a and an inwardly convex pressing portion 1211b.

안내부(1211a)는 후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플러그(221)가 정 위치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The guide portion 1211a has a rear end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plug 22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가압부(1211b)는 내측으로 볼록한 바, 변형되면서 플러그(221)의 돌기를 강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211b is convex to the inside and can press the protrusion of the plug 221 with a strong force while being deformed.

어퍼트레이(220)에는 PCB(271)가 배치될 수 있다. PCB(271)는 플러그(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PCB 27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 The PCB 27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221 .

PCB(271)에는 전달된 전력을 변경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는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력의 변경이라 함은,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전류의 세기를 변경하거나, 펄스 파형을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방식을 포함한다.A controller may be disposed on the PCB 271 to change the delivered power and transfer it to each component. The change of power includes various methods such as changing the magnitude of voltage, changing the intensity of current, or forming a pulse waveform.

PCB(271)는 피충전유닛(230,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충전유닛(230,24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The PCB 27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PCB(271)는 센서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25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The PCB 27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25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ensor unit 250 .

어퍼트레이(220)에 체결부(222)가 배치될수 있다.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한다.A fastening unit 2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 The fastening part 222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upper tray 220 to the console body 100.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222 fixes the upper tray 220 to the console body 100 or releases the fixation.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와 콘솔바디(10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22)는 종축 상에 배치된다.The fastening part 22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tray 220 and the console body 100 . The fastening part 22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tray 220 . Fastening part 222 is disposed on the longitudinal axis.

체결부(222)는 푸시됨으로써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홀수회 푸시(삽입)되는 경우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고,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한번 더 푸시(삽입)되는 경우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로부터 고정 해제한다.The fastening part 222 may be fixed or released by being push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tray 220 is pushed (inserted) forward an odd number of times, the fastening part 222 fixes the upper tray 220 to the console body 100, and the upper tray 220 is pushed forward once. When further pushed (inserted), the fastening part 222 unfixes the upper tray 220 from the console body 100 .

체결부는 콘솔바디(100)에 고정된 후크(222)와,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된 후크홈(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composed of a hook 222 fixed to the console body 100 and a hook groove 222' fixed to the upper tray 220.

어퍼트레이(220)에 제1피충전유닛 고정부재(2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피충전유닛 고정부재(223)는 제1피충전유닛(230)을 어퍼트레이(22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charged unit fixing member 223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fixing member 223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to the upper tray 220 .

어퍼트레이(220)에 제1살균광 조사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피충전유닛(230)은 살균모듈일 수 있으며, 이때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제1살균광을 투과하는 구성요소이다.A first sterilizing light irradiation unit 2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tray 22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harged unit 230 may be a sterilization module, and in this case, the first sterilization light irradiator 224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first sterilization light.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어퍼트레이(22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The first sterilizing light irradiation unit 224 may be a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220 .

어퍼트레이(220)에 제2살균광 조사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피충전유닛(240)은 살균모듈일 수 있으며, 이때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제2살균광을 투과하는 구성요소이다.A second sterilizing light irradiation unit 225 may be formed on the upper tray 220 . As described later,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a sterilization module, and in this case, the second sterilization light irradiator 225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second sterilization light.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어퍼트레이(22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ing light irradiation unit 225 may be a hole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220 .

피충전유닛(230,240)은 어퍼트레이(220)에 수납될 수 있고, 어퍼트레이(220)에 수납되는 동안 충전되는 구성요소이다. 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tray 220 and are components that are charg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upper tray 220 .

피충전유닛(230,240)은 전기로 동작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The charged units 230 and 240 may be various electrically operated devices.

예를 들어, 피충전유닛은 휴대폰일 수 있으며, 이때 어퍼트레이에는 무선충전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nit to be charged may be a mobile phone, and in this case, a wireless charging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또는, 피충전유닛(230,240)은 살균모듈일 수 있다. 살균모듈은 살균광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살균광은 영역 내의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사멸시키는 광으로, UV(Ultra Violet)일 수 있다. 살균광은 이미 공지된 파장 및 세기의 광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ernatively, 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may be sterilization modules. The sterilization module is a device that irradiates sterilization light. The sterilizing light is light that kills microorganisms or bacteria in an area, and may be UV (Ultra Violet). Sterilization light is light having a known wavelength and intensit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피충전유닛(230,240)은 제1피충전유닛(230) 및 제2피충전유닛(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nits to be charged 230 and 240 may include a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and a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

제1피충전유닛(230)은 어퍼트레이(2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피충전유닛(230)이 살균모듈이라고 할 때, 사용자는 제1피충전유닛(230)을 파지하여 콘솔박스의 외부 다른 영역을 살균 소독할 수 있다. 또는, 제1피충전유닛(230)이 휴대폰이라고 할 때, 사용자는 충전을 위하여 제1피충전유닛(230)을 어퍼트레이(220)에 수납할 수 있다.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tray 220 . When the first charged unit 230 is referred to as a sterilization module, the user can hold the first charged unit 230 to sterilize and disinfect other areas outside the console box.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charged unit 230 is a mobile phone, the user may store the first charged unit 230 in the upper tray 220 for charging.

제1피충전유닛(230)은 핸들(231)을 포함한다. 제1피충전유닛의 핸들(231)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1피충전유닛(230)을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제1피충전유닛의 핸들(231)은 제1피충전유닛(23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includes a handle 231 . The handle 231 of the first charged unit is used by the user to carry the first charged unit 230 . The handle 231 of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

제2피충전유닛(240)은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피충전유닛(230)이 탈착 가능한 것과는 달리, 제2피충전유닛(240)은 탈착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피충전유닛(240)은 어퍼트레이(220)에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fixed to the upper tray 220 . Unlike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that is detachable,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is not detachable. For example,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tray 220 with screws.

제2피충전유닛(240)은 살균광을 하부로 조사하는 살균모듈일 수 있다. 제2피충전유닛(240)에서 조사된 살균광은 제2살균광 조사부(225)를 통과하여 로어트레이(210)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a sterilization module that irradiates sterilization light downward. Sterilization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sterilization light irradiator 225 and diffuse into the lower tray 210 .

어퍼트레이(220)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가정할 때, 제1피충전유닛(230)은 제2피충전유닛(2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어퍼트레이(220)가 일부만 인출된 때 제1피충전유닛(23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tray 220 is inserted is the front,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 By having such an arrangement,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can be easily detached when only a part of the upper tray 220 is withdrawn.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된 경우, 전력은 피충전유닛(230,240)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트레이(210)가 일부만 인출된 경우, 로어트레이(210)와 상하로 중첩된 제1피충전유닛(230)은 충전이 유지되고, 로어트레이(210)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은 제2피충전유닛(240)은 작동이 중단되어, 제2피충전유닛에서 조사된 살균광이 외부로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로어트레이(210)가 어퍼트레이(220)의 격벽(226) 하부까지만 일부 인출된 경우 제1피충전유닛(230)만 충전이 유지되고, 로어트레이(210)가 전부 인출된 경우 제1피충전유닛(230)은 충전이 중단되고 제2피충전유닛(240)은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는, 로어트레이(210)가 전부 인출된 경우, 제1피충전유닛(230) 및 제2피충전유닛(240)이 전부 충전 또는 작동이 중단될 수도 있다.When only the lower tray 210 is withdrawn, power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harged units 230 and 240 . For example, when only a portion of the lower tray 210 is withdrawn, the first charged unit 230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lower tray 210 is maintained charged, and the lower tray 210 and vertically overlapp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is stopped, so that the steriliz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when the lower tray 210 is partially withdra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26 of the upper tray 220, only the first charged unit 230 remains charged, and when the entire lower tray 210 is withdrawn, the first Charging of the unit to be charged 230 may be stopped, and operation of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stopped. Alternatively, when all of the lower tray 210 is withdrawn, charging or operation of all of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and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may be stopped.

로어트레이(210)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면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되며 어퍼트레이(220)는 이동하지 않고, 로어트레이(210)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가압하면, 어퍼트레이(220)와 로어트레이(210)가 동시에 인출된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은 후방이고, 제2방향은 전방일 수 있다.When the lower tray 210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only the lower tray 210 is withdrawn and the upper tray 220 does not move, and when the lower tray 210 is press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tray 220 and the lower tray 210 are pulled out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backward,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ward.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짝수회 이동하면, 탄성부재(260)의 복원력으로 인해 후방으로 인출된다. 이를 기초로, 로어트레이(210)의 핸들(211)을 조작한 후 로어트레이(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260)의 복원력으로 인해 어퍼트레이(220) 및 로어트레이(210)가 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반대로, 로어트레이(210)의 핸들(211)을 조작한 후 로어트레이(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로어트레이(210)만이 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퍼트레이(220)와 로어트레이(210)를 동시에 인출시키거나 혹은 로어트레이(210)만을 인출시키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upper tray 220 moves forward an even number of times, it is drawn backwar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60 . Based on this, when the lower tray 210 is moved forward after manipulating the handle 211 of the lower tray 210, the upper tray 220 and the lower tray 210 are move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60. pulled out to the rear Conversely, when the lower tray 210 is moved backward after manipulating the handle 211 of the lower tray 210, only the lower tray 210 is drawn out.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to withdraw the upper tray 220 and the lower tray 210 at the same time or to withdraw only the lower tray 210 .

차량용 트레이(200)는 탄성부재(26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60)는 어퍼트레이(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다. 탄성부재(260)는 일 측이 콘솔바디(10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어퍼트레이(220)에 연결된다.The vehicle tray 200 includes an elastic member 260 . The elastic member 260 is a component that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upper tray 220 .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60 is connected to the console body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tray 220 .

탄성부재(260)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토션스프링의 중심축 및 일 단은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타 단은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60 may be a torsion spring. At this time, the central axis and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disposed on the console body 100,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탄성부재(260)는 어퍼트레이(22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한다.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에 홀수회 삽입되면, 체결부(222)에 의한 고정이 수행되어,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되지 않는다. 삽입된 어퍼트레이(220)에 압력이 가해져 한번 더 삽입되면, 체결부(222)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고, 탄성부재(260)로부터 인가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더욱 커짐으로써,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60 applies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tray 220 is drawn out. When the upper tray 220 is inserted into the console body 100 an odd number of times, fixation by the fastening part 222 is performed and the upper tray 220 is not withdrawn from the console body 100 .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erted upper tray 220 and it is inserted once more, the fixation by the fastening part 222 is released, and the size of the restoring force applied from the elastic member 260 further increases, so that the upper tray 220 It can be withdrawn from the console body 100.

차량용 트레이(200)는 센서부(250)를 포함한다. 센서부(250)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vehicle tray 200 includes a sensor unit 250 . The sensor unit 250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lower tray 210 and the upper tray 220 .

구체적으로, 센서부(250)는 어퍼트레이(220)가 이동하지 않고 로어트레이(210)만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다른 형태의 신호를 발한다. 이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가 모두 삽입된 때, 또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가 모두 인출된 때 발신되는 신호와 상이하다.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50 detects that only the lower tray 210 moves without the upper tray 220 moving, and emits a different type of signal. This is different from a signal transmitted when both the lower tray 210 and the upper tray 220 are inserted or when both the lower tray 210 and the upper tray 220 are pulled out.

센서부(250)는 근접센서(251) 및 감지부재(252)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5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251 and a sensing member 252 .

근접센서(251)는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되고, 감지부재(252)의 위치를 감지한다. The proximity sensor 251 is disposed on the upper tray 220 and sense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member 252 .

근접센서(251)는 PCB(2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작동된다.The proximity sensor 2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271 and operated by supplied power.

감지부재(252)는 로어트레이(210)에 배치된다.The sensing member 252 is disposed on the lower tray 210 .

감지부재(252)는 근접센서(251)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되는 경우, 로어부재에 고정된 감지부재(25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근접센서(251)는 이를 감지하여 로어트레이(210)의 인출을 판단한다.The sensing member 252 is disposed to overlap the proximity sensor 251 vertically. When only the lower tray 210 is pulled out, the sensing member 252 fixed to the lower member moves backward, and the proximity sensor 251 detects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 lower tray 210 is pulled out.

PCB(271)에 배치된 제어부는, 감지부재(25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피충전유닛(240)을 작동시키거나 중단시켜, 제2피충전유닛(240)에서 조사된 살균광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는, 근접센서(251)와 감지부재(252)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2피충전유닛(240) 및 제1피충전유닛(230)이 단계적으로 충전/작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member 252, the control unit disposed on the PCB 271 operates or stops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to steriliz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prevent it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second unit to be charged 240 and the first unit to be charged 230 may be charged/operated or stopp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imity sensor 251 and the sensing member 252 .

센서부(250)는 종축을 중심으로 플러그(221)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221)에는 전기적 연결 및 해제에 의하여 전자파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전자파가 센서부(250)를 오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부(250)와 플러그(221)는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25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lug 221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generated in the plug 221 by electric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and since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s may cause the sensor unit 250 to malfun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unit 250 and the plug 22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desira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콘솔바디
121: 플러그 수용부 1211: 플러그 고정핀
200: 차량용 트레이
210: 로어트레이 211: 핸들
220: 어퍼트레이 221: 플러그
222: 체결부 223: 제1피충전모듈 고정부재
224: 제1살균광 조사부 225: 제2살균광 조사부
226: 격벽
230: 제1피충전모듈 231: 핸들
240: 제2피충전모듈
250: 센서부 251: 근접센서
252: 감지부재
260: 탄성부재
100: console body
121: plug receiving portion 1211: plug fixing pin
200: vehicle tray
210: lower tray 211: handle
220: upper tray 221: plug
222: fastening part 223: first charged module fixing member
224: first sterilization light irradiation unit 225: second sterilization light irradiation unit
226 bulkhead
230: first module to be charged 231: handle
240: second module to be charged
250: sensor unit 251: proximity sensor
252: sensing member
260: elastic member

Claims (7)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피충전유닛을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피충전유닛을 충전시키는 어퍼트레이;
상기 어퍼트레이에 고정되고, 상기 콘솔바디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플러그;
상기 콘솔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트레이가 삽입된 때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어퍼트레이가 인출된 때 상기 플러그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플러그 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n upper tray that slides on the console body and is inserted or pulled out from one side, receives a unit to be charged, and charges the stored unit to be charged;
a plug fixed to the upper tray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console body;
A tray for a vehicle comprising: a plug accommodating portion fixed to the console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inser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plug when the upper tray is pulled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어퍼트레이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 수용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A vehicle tray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pper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바디와 상기 어퍼트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홀수회 삽입시 상기 어퍼트레이를 상기 콘솔바디에 고정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짝수회 삽입시 상기 어퍼트레이와 상기 콘솔바디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Disposed between the console body and the upper tray,
Fixing the upper tray to the console body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an odd number of times;
A vehicle tray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fixation between the upper tray and the console body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ortion an even number of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양 측을 가압하는 플러그 고정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Disposed in the plug receiving portion,
A tray for a vehicle comprising: a plug fixing pin pressurizing both sides of the plug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accommod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콘솔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어퍼트레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sole body,
A tray for a vehicl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having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upper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로어트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tray including a lower tray disposed under the upper tray and sliding on the console body and inserted or pulled out from one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upper tray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lower tray.
KR1020210149733A 2021-11-03 2021-11-03 Tray for vehicle KR102583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33A KR102583362B1 (en) 2021-11-03 2021-11-03 Tra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33A KR102583362B1 (en) 2021-11-03 2021-11-03 Tray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679A true KR20230064679A (en) 2023-05-11
KR102583362B1 KR102583362B1 (en) 2023-10-05

Family

ID=8637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733A KR102583362B1 (en) 2021-11-03 2021-11-03 Tra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36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26U (en) * 1994-04-30 1995-11-20 Mobile phone storage console
KR0120882Y1 (en) * 1995-10-02 1998-07-15 전성원 Console box handphone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00006725U (en) * 1998-09-21 2000-04-25 홍종만 Car tray device
KR101369672B1 (en) * 2012-10-31 2014-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Wireless rechargeable cell phone holder for automobile
KR101517694B1 (en) 2013-10-31 2015-05-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ultraviolet sterlzang function with hand-phone wireless charger trey of automobi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26U (en) * 1994-04-30 1995-11-20 Mobile phone storage console
KR0120882Y1 (en) * 1995-10-02 1998-07-15 전성원 Console box handphone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00006725U (en) * 1998-09-21 2000-04-25 홍종만 Car tray device
KR101369672B1 (en) * 2012-10-31 2014-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Wireless rechargeable cell phone holder for automobile
KR101517694B1 (en) 2013-10-31 2015-05-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ultraviolet sterlzang function with hand-phone wireless charger trey of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362B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CN104548164B (en)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US6637909B1 (en) Adaptable electric accessory system for containers, receptacles, and the like
CN106660459B (en) Charging connection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a charging connection
JP5400156B2 (en) Furniture with drawer and electric loader
KR20200002082A (e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Sterilizing Device For Airtight Container
KR20230064679A (en) Tray for vehicle
KR102567951B1 (en) Tray for vehicle
KR101538036B1 (en) Container assembly with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function for car trunk
JP2012023841A (en) Furniture system
JP2009172055A (en) Endoscope washing/disinfecting device
JP2012019878A (en) Furniture system
JP5593148B2 (en) Furniture system
EP1863106B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KR20220000488A (en) Mobile phone charger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KR200425707Y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101204038B1 (en) A table type toothbrush sterilizer
JP6751813B2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KR101305774B1 (en) Headlamp structure for vehicle
KR101163892B1 (en) Tray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212066869U (en) Probe receiver and trolley system
CN212560803U (en)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and washing machine
JP4008749B2 (en) Drawing device
JP6021451B2 (en) Light source arrangement structure in vehicle interior equipment
CN111441149A (en) Ultraviolet disinfection device and method and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