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559A -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559A
KR20230064559A KR1020220141287A KR20220141287A KR20230064559A KR 20230064559 A KR20230064559 A KR 20230064559A KR 1020220141287 A KR1020220141287 A KR 1020220141287A KR 20220141287 A KR20220141287 A KR 20220141287A KR 20230064559 A KR20230064559 A KR 2023006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mino acid
receptor
varia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재
김규완
남기석
송형남
Original Assignee
(주)알테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테오젠 filed Critical (주)알테오젠
Publication of KR2023006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35Hyaluronoglucosaminidase (3.2.1.35), i.e. hyaluronid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08Glucanases acting on alpha -1,4-glu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74Hyaluronoglucosaminidase (3.2.1.35), i.e. hyaluronid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약물, (b) PH20 또는 이의 변이체 및 (c) 폴록사머(poloxamer)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간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야생형 인간 PH20에서 알파나선 8 서열 (S347~C381), 및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A333~R346)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N-말단 및/또는 C-말단 부분에 위치한 아미노산이 선택적으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특히 안정화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인간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의 효과로 인하여, 함께 사용되는 약물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Human Hyaluronidase PH20 and Drug}
본 발명은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와 하나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에는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하 투여(subcutaneous injection)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고용량 또는 다량 투여가 필요한 약물들, 특히 항체 의약품 등은 일반적으로 정맥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주사 시간만 약 90분 이상 소요되고 정맥 주사를 위한 추가적인 조제 작업이 수반되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불편함이 크며 추가적인 비용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피하주사는 즉각적인 투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정맥주사 대비 흡수율이 낮고, 흡수가 느리게 일어나서 주사액량이 3~5mL 이상일 경우 주사 부위에 팽윤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백질 치료제의 피하 주사는 통상 2 mL 이내 소량의 용액 주사에 한정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히알루로니다제를 치료 약물과 함께 피하 투여(subcutaneous administration 또는 subcutaneous injection)하면 히알루로니다제의 작용에 의해 세포외 기질에 분포하는 히알루론산이 가수분해되어 피하부의 점성이 감소하고 물질 투과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고용량 및 다량의 의약품을 체내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인간에는 Hyal1, Hyal2, Hyal3, Hyal4, HyalPS1 및 PH20/SPAM1와 같이 6 종류의 히알루로니다제 유전자가 존재한다. Hyal1과 Hyal2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현되며, PH20/SPAM1 (이하, PH20)은 정자의 세포막과 첨체(acrosome) 막에 발현된다. HyalPS1은 슈도진(pseudogene)으로 발현되지 않는다. PH20은 히알루론산의 구성 당인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크론산 사이의 β-1,4 결합을 절단하는 효소(EC 3.2.1.35)이다.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은 최적 pH가 5.5이지만 pH 7~8 조건에서도 일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Hyal1을 포함한 다른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는 최적 pH가 3~4이며 pH 7~8 조건에서는 활성이 매우 약하다. 사람의 피하 부위는 대략 pH 7.4 정도의 중성이므로, 여러 종류의 히알루로니다제 중에서 PH20이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H20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예로는 항체치료제의 피하주사, 안과 수술 시 안구이완제 및 마취 주사 첨가제, 종양세포 세포 외 기질의 히알루론산을 가수분해하여 항암치료제의 종양세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 그리고 조직 내에 과다하게 존재하는 체액 및 혈액의 재흡수를 촉진하기 위한 용도 등이 있다.
한편, 현재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PH20은 소나 양의 고환에서 추출한 형태이다. 예로는 암파다제(Amphadase, 소 히알루로니다제)와 비트라제(Vitrase, 양 히알루로니다제) 등이 있다.
인간 PH20의 재조합 단백질은 효모(P. pastoris), DS-2 곤충세포, 동물세포 등에서 발현된 것이 보고되었다 (Chen et al., 2016, Hofinger et al., 2007). 곤충세포와 효모에서 생산된 재조합 PH20 단백질은 단백질 번역 후 변형 과정에서 N-당화의 양상이 인간 PH20과 다르다.
인간 PH20을 이용하여 다양한 치료용 의약품을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 제형 형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인간 PH20 자체의 안정성이 낮은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야생형 히알루로니다제 PH20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그리고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A333~R346)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고, PH20의 N-말단 및/또는 C-말단 부분에 위치한 아미노산 일부가 절단된 인간 PH20 변이체가 매우 우수한 효소 활성 및 열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특허 출원한 바 있다 (PCT/KR 2019/009215호).
추가적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약물, 바람직하게는 항체 의약품, 구체적으로 고용량의 항-HER2 항체 또는 면역관문 항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또는 제형(formulation)에 PH20 또는 이의 변이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성물 또는 제형에 폴록사머 계열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경우, 항체 의약품 등의 약물 및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의 활성이 매우 안정적이고,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약물과 함께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와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약물과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의 열 안정성 및 활성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는 새로운 약학 조성물, 특히 피하 투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약물, (b) 히알루로니다제 및 (c)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히알루로니다제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야생형 PH20 또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히알루로니다제는 히알루로니다제 PH20, 특히 인간 PH20 또는 이의 변이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야생형 인간 PH20에 있어,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I361T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알파나선 8 서열 (S347~C381) 및/또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A333~R346)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PH20 또는 이의 변이체는 선택적으로 N-말단 및/또는 C-말단 부분에 위치한 아미노산 잔기 일부가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약학 조성물 내에 포함된 히알루로니다제는 가혹조건 하에서도 장기간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40±2℃의 조건 하에서, 7일 경과 후에도 잔존 효소 활성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구체적으로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하 투여를 위한 주사 제형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하 투여(subcutaneous injection)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안정하여 항암제, 바람직하게는 항체 의약품,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HER2 항체 및 면역관문항체 등의 항체 의약품과 PH20 변이체의 활성이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으므로, 피하투여 제형의 생산 비용뿐만 아니라 의료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환자의 편의성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를 사용한 경우와 폴리소르베이트를 사용한 경우인 제형 1, 2, 3, 4, 5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형 8의 장기 안정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형 9, 10, 11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제형 9-1, 9-2, 9-3, 9-4에 대한 것이고, 도 3의 B는 제형 10-1, 10-2, 10-3, 10-4에 대한 것이며, 도 3의 C는 제형 11-1, 11-2, 11-3, 11-4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제형 12-1, 12-2, 12-3, 12-4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형 13-1, 13-2, 13-3, 13-4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형 14-1, 14-2, 14-3, 14-4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형 15-1, 15-2, 15-3, 15-4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형 16-1, 16-2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a) 약물, (b) 히알루로니다제 및 (c)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히알루로니다제는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인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 또는 그 변이체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하 투여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약학 조성물 내에 포함된 히알루로니다제는 가혹조건 하에서도 장기간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40±2℃의 조건 하에서, 7일 경과 후에도 잔존 효소 활성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간 PH20의 변이체는 야생형 PH20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짐), 바람직하게는 성숙된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L36~S490로 이루어진 서열을 가짐) 중에서, 알파나선 부위 및/또는 그 연결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 바람직하게는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및/또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 연결 부위(A333~R346), 더욱 바람직하게는 T341~N363 사이의 아미노산 부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T341~I361, L342~I361, S343~I361, I344~I361, M345~I361 또는 M345~N363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부위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성숙된 야생형 PH20"은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신호 펩타이드인 M1 내지 T35와 PH20의 실질적인 기능과는 무관한 A491~L509가 결실된, 서열번호 1의 L36~S490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의미한다.
표 1.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 “PH20 변이체”는 야생형 인간 PH20의 서열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의 변이,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뿐 아니라, 그러한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과 함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서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이 일어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이라는 표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앞선 연구를 통해 인간 PH20의 알파나선 8 부위와,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을 친수성이 큰 Hyal1의 알파나선 8 부위와,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로 일부 치환하면, 중성 pH에서의 효소 활성과 단백질 응집온도(aggregation temperature, Tagg.)가 증가한다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야생형 PH20보다 효소 활성과 열 안정성이 증가한 새로운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을 제공할 수 있음을 규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야생형 PH20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짐), 바람직하게는 성숙된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L36~S490로 이루어진 서열을 가짐)에 있어,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I361T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S343E, M345T, K349E, L353A, L354I, N356E 및 I361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변이,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L354I 및 N356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N-말단 및/또는 C-말단의 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PH20 변이체는 추가적으로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의 알파나선 부위 및/또는 그 연결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 바람직하게는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및/또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 연결 부위(A333~R346), 더욱 바람직하게는 T341~N363, T341~I361, L342~I361, S343~I361, I344~I361, M345~I361 또는 M345~N363에 해당하는 아미노산 부위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상기 야생형 PH20, 바람직하게는 성숙된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및/또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A333~R346)가 서열번호 51의 서열을 가지는 Hyal1의 대응되는 부위(표 2 및 표 3 참조)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2. 야생형 Hyal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51)
Figure pat00002

표 3. PH20과 Hyal1의 알파나선 및 아미노산 서열 비교
Figure pat00003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은 야생형 PH20, 바람직하게는 성숙된 야생형 PH20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 L354I 및/또는 N356E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T341 내지 N363 사이에서의 하나 이상의 위치, 특히 T341, L342, S343, I344, M345, S347, M348, K349, L352, L353, D355, E359, I361 및 N3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D355K, E359D, I361T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은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으로, T341S, L342W, S343E, I344N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b)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c)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d)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I361T, 및 N363G’
(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및
(f)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본 발명에 있어서, "S347"과 같이 1 글자(one letter)의 아미노산 잔기명과 숫자가 함께 기재된 표현은 서열번호 1에 따른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각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S347"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347번째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가 세린임을 의미한다. 또한, "S347T"는 서열번호 1의 347번째 세린이 트레오닌으로 치환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특정 아미노산 잔기 위치에서, 아미노산 잔기가 보존적 치환된 변이체들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보존적 치환"이란 1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해당 PH20 변이체의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기능의 손실을 야기하지 않는 유사한 생화학적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PH20 변이체의 변형을 의미한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아미노산 잔기를 유사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로 대체시키는 치환이다. 유사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 부류는 해당 기술분야에 규정되어 있으며, 잘 알려져 있다. 이들 부류는 염기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산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대전되지 않은 극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리신,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시스테인), 비-극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베타-분지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트레오닌, 발린, 이소류신) 및 방향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갖더라도 여전히 활성을 보유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은, 본 발명에 따른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또는 효과를 가지며, 80% 또는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PH20 변이체 또는 이의 절편들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른 PH20 변이체들은 성숙된 야생형 PH20보다 동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며, 단백질 접힘의 속도도 증가하여 열 안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나아가 열 안정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효소 활성은 성숙된 야생형 PH20보다 증가하거나 유사하였다.
한편, 성숙된 야생형 PH20의 S490 등 C-말단부 아미노산 일부가 추가로 절단되면 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PH20 변이체들은 성숙된 야생형 PH20의 C-말단부가 추가로 절단된 서열을 가짐에도 성숙된 야생형 PH20 보다 열안정성이 증가하였고, 효소 활성이 증가하거나 유사하였으며, 또한 성숙된 야생형 PH20의 N-말단 아미노산이 5개까지 절단된 서열을 가짐에도 효소 활성을 유지하여 N-말단의 P41 잔기부터가 단백질 발현과 효소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및/또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A333~R346)에서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과 함께, 추가적으로 C-말단 및/또는 N-말단에서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N-말단의 M1 내지 P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앞, 바람직하게는 L36, N37, F38, R39, A40, P41 또는 P42의 아미노산 잔기 앞에서 절단이 일어나 N-말단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되거나, 및/또는 C-말단의 V455 내지 W509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다음, 바람직하게는 V455 내지 S490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V455, C458, D461, C464, I465, D466, A467, F468, K470, P471, P472, M473, E474, T475, E476, P478, I480, Y482, A484, P486, T488 또는 S490의 아미노산 잔기 다음에서 절단이 일어나 C-말단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N-말단의 L36, N37, F38, R39, A40, P41 또는 P42 앞에서 절단이 일어났다는 표현은 각각 서열번호 1의 서열에서 M1 내지 L36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T35까지, M1 내지 N37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L36까지, M1 내지 F38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N37까지, M1 내지 R39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F38까지, M1 내지 A40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R39까지, M1 내지 P41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A40까지, M1 내지 P42의 바로 앞 아미노산 잔기인 P41까지가 절단되어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서열번호 1의 N-말단 M1 앞에서 절단이 일어났다는 의미는 아무런 N-말단에서의 절단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C-말단의 V455, C458, D461, C464, I465, D466, A467, F468, K470, P471, P472, M473, E474, T475, E476, P478, I480, Y482, A484, P486, T488 또는 S490 다음에서 절단이 일어났다는 표현은 각각 서열번호 1의 서열에서 상기 V455, C458, D461, C464, I465, D466, A467, F468, K470, P472, M473, E474, T475, E476, P478, I480, Y482, A484, P486, T488 또는 S490 이후의 다음 아미노산 잔기부터 절단되어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490 다음에서 절단이 일어났다는 의미는 S490과 A491 사이에서 절단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간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5 내지 서열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에서 제작한 PH20 변이체에서 치환 또는 절단된 아미노산의 서열은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4. 본 발명에 따른 PH20 변이체의 아미노산 서열과 그 치환/절단 특성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한편, 선행연구에서 야생형 인간 PH20의 경우 C-말단에 위치한 아미노산 잔기의 절단 위치에 따라 효소 활성이 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간 PH20의 2차구조를 이루는 특정 알파나선을 다른 인간 히알루로니다제의 알파 나선으로 치환하여 야생형 인간 PH20보다 안정성이 높은 인간 PH20 변이체를 제작하였고, 이 변이체들은 치환된 알파 나선 도메인과 PH20의 다른 2차 구조들이 이루는 상호 작용이 야생형 PH20과 다른 양상을 나타냄으로써 C-말단 절단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효소 활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간 PH20 또는 그 변이체의 고유한 신호 펩티드가 아닌 동물세포에서 높은 단백질 발현량을 보이는 다른 단백질의 신호 펩티드를 이용하여 재조합 인간 PH20 또는 그 변이체의 발현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는 M1 내지 T35의 야생형 PH20의 신호 펩티드를 대신하여, N-말단에 인간 Hyaluronidase-1(Hyal1), 인간 성장호르몬 또는 인간 혈청 알부민 유래의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서열번호 2에 따른 MATGSRTSLLLAFGLLCLPWLQEGSA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성장호르몬 유래의 신호 펩티드, 서열번호 3에 따른 MKWVTFISLLFLFSSAYS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혈청 알부민 유래의 신호 펩티드, 또는 서열번호 4에 따른 MAAHLLPICALFLTLLDMAQG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 Hyal1 유래의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5. 인간 성장호르몬, 인간 혈청 알부민, 또는 인간 Hyal1의
신호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Figure pat00032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PH20 변이체 중에서, C-말단에 6xHis-tag이 부착된 변이체는 HM으로 명명하였고, 6xHis-tag이 없는 변이체는 HP로 명명하였다. 또한 C-말단에 6xHis-tag이 부착된 성숙된 야생형 PH20 (L36-S490)은 WT로 명명하였고, 6xHis-tag이 없으면서 C-말단이 Y482 다음에서 절단된 성숙된 야생형 PH20 (L36~Y482)은 HW2로 명명된다.
HP46(서열번호 44)은 단백질 3차구조가 알려진 인간 히알루로니다제인 Hyal1 (PDB ID: 2PE4) (Chao et al., 2007)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모델링한 후, 인간 PH20의 알파나선 8의 아미노산 및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의 연결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이 Hyal1의 아미노산 서열로 치환되고, N-말단이 F38에서 절단되고, C-말단이 F468 다음에서 절단된 인간 PH20의 변이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PH20 또는 PH20의 변이체는 최소 50 units/mL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0 units/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18,000 units/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6,000 units/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2,000 units/mL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물로는 단백질 의약품(protein drugs), 항체(antibody) 의약품, 소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s), 앱타머(aptamer), RNAi, antisense, CAR (chimeric antigen receptor)-T 또는 CAR-NK (Natural Killer) 등의 세포 치료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약물뿐 아니라, 임상 및 개발이 진행 중에 있는 약물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약물로는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의약품이나 항체(antibody) 의약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단백질 의약품”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단백질의 활성을 통해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약물로서, 항체 의약품 이외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의약품을 의미하며, 사이토카인(cytokines), 치료용 효소(therapeutic enzyme), 호르몬(hormone), 수용성 수용체(soluble receptor) 및 이의 융합 단백질, 인슐린(insulin) 또는 이의 유사체(analogue),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 EPO(erythropoietin) 및 혈장 유래 단백질(serum derived protein)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사이토카인은 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interleukin), CSF (colony stimulating factor), TNF (tumor necrosis factor) 및 TGF (tissue growth factor)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료용 효소는 베타-글루코세레브로시다제(β-Glucocerebrosidase) 및 아갈시다제 베타(agalsidase β)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토카인 및 이의 유사 제품으로 오프렐베킨 (Oprelvekin), 페그인터페론 베타1a (Peginterferon Beta-1a), 페길로데카킨 (Pegilodecakin), 레즈페갈데스류킨 (Rezpegaldesleukin), SAR 444245, GO-203-2c, 데카빌 (Dekavil), 넴발류킨 알파 (Nemvaleukin alfa), 에파바류킨 알파 (Efavaleukin alfa), 에피네프타킨 알파 (Efineptakin alfa), 온페카프스프 알파 (Onfekafusp alfa), 비피카프스프 알파 (Bifikafusp alfa), 레로달씨베프 (Lerodalcibep)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수용체(soluble receptor)는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을 의미하고, 이의 융합 단백질은 상기 수용성 수용체에 항체의 Fc 영역 등이 융합된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수용성 수용체는 질병과 관련된 리간드가 결합하는 수용체의 수용성 형태로서, TNF-α 수용성 수용체에 Fc 영역이 융합된 형태(예를 들어 에타너셉트(Etanercept)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및 VEGF 수용성 수용체에 Fc 영역이 융합된 형태(아플리버셉트(Aflibercept), 컨버셉트 (Conbercept) 또는 OPT-302 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CTLA-4에 Fc 영역이 융합된 형태(예를 들어 아바타셉트 (Abatacept) 또는 벨라다셉트 (Belatacept)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인터루킨 수용성 수용체에 Fc 영역이 융합된 형태(예를 들어 릴로나셉트 (Rilonacept) 또는 인바키셉트 (Inbakicept) 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LFA3 수용성 수용체에 Fc 영역이 융합된 형태(예를 들어 알레파셉트 (Alefacept) 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CD47과 상호작용하는 신호조절단백질 알파 (Signal regulatory protein alpha, SIRPalpha) 에 Fc영역이 융합된 형태 (예를 들어 에보르파셉트 (Evorpacept), 온토르파셉트 (Ontorpacept), 또는 TTI-622 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소타테르셉트 (Sotatercept), 달란테르셉트 (Dalantercept), 아카지콜셉트 (Acazicolcept), 또는 다조달리베프 (Dazodalibep) 라는 성분명의 제품 및 이와 유사한 형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호르몬은 호르몬 결핍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체외에서 주입하는 호르몬 또는 이의 유사체를 의미하며, 사람 성장호르몬(human growth hormone), 에스트로겐(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혈장 유래 단백질은 혈장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혈장에서 추출한 것과 재조합으로 생산된 것들 모두를 의미하며, 피브리노겐(fibrinogen), 본 빌레블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알부민(albumin), 트롬빈(thrombin), FII (Factor II), FV (Factor V), FVII (Factor VII), FVIII (Factor VIII), FIX (Factor IX), FX (Factor X) 및 FXI (Factor XI)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체 의약품은 단클론 항체 의약품 (monoclonal antibody drug) 또는 다클론 항체 의약품 (polyclonal antibody dru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클론 항체 의약품은 특정 질병과 관련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클론 항체 및 단클론 항체 단편을 포함한 단백질을 의미한다. 단클론 항체에는 이중 항체도 포함되며, 단클론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ADC (Antibody-drug conjugate)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특정 질병과 관련된 항원은 4-1BB, 5T4, 인테그린 (integrin), 액티빈 (Activin), 아밀로이드 베타 (amyloid beta), 안지오포에틴(안지오포에틴 1 또는 2), 안지오포에틴 유사물질3, B세포 성숙화 항원 (B cell maturation antigen, BCMA), B세포 활성인자 (B-cell activating factor, BAFF), B7-H3, 보체5 (complement 5), CCR4, CCR5, CCL11, CD2, CD3, CD4, CD6, CD11a, CD16A, CD19, CD20, CD22, CD25, CD27, CD28, CD30, CD32B, CD33, CD38, CD40, CD45, CD46, CD47, CD52, CD56, CD62, CD70, CD73, CD74, CD79b, CD80, CD105, CD123, CD154, CD166, CD262, CD278, CD319, CD326, 태아성암항원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GRP, 클라우딘18 (Claudin-18), c-Met, CSF-1, CSF-1 수용체, CTLA4, DLL3, EGF 수용체, 혈우병 인자, Fc 수용체, FGF23, 폴레이트 (folate) 수용체, GD2,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 TNF 수용체 (Glucocorticoid-induced TNF receptor, GITR), 글리피칸 3 (Glypican 3), GM-CSF, HER2, HER3, 간세포성장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인터페론 수용체, 인터페론 감마, IgE, IGF-1 수용체, 인터루킨1, 인터루킨2 수용체, 인터루킨4, 인터루킨4 수용체, 인터루킨5, 인터루킨5 수용체, 인터루킨6, 인터루킨6 수용체, 인터루킨8, 인터루킨12/23, 인터루킨13, 인터루킨17A, 인터루킨17수용체A, 인터루킨23, 인터루킨31 수용체, 인터루킨36 수용체, 림프구활성화유전자3 (Lymphocyte-activation gene 3, LAG3), 라이실 산화효소 유사체 2 (Lysyl oxidase homolog 2, LOXL2), 메소텔린 (Mesothelin), 뮤신1 (Mucin-1), 뮤신16 (Mucin-16), 넥틴4 (Netin-4), 신경성장인자 (Nerve Growth Factor, NGF), OX40, 전구단백질 전환효소 유형9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PD-1, PD-L1, 포스포리파제 C (Phospholipase C),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s kappa B ligand),티로신-단백질 키나제 막횡단 수용체 (Tyrosine-protein kinase transmembrane receptor, ROR1), 시알산 결합 Ig-유사 렉틴 15 (Sialic acid binding ig-like lectin 15, Siglec-15), 전환성장인자 베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TIGIT (T-cell innunoreceptor with immunoglobulin and ITIM domain), T세포 면역글로블린 및 뮤신-도메인 함유물질 3 (T cell immunoglobulin and mucin-domain containing-3, Tim-3), 조직인자 (Tissue factor), 조직인자경로억제제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TFPI), TORP-2,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B), 큰포식세포집락자극인자 (Colony 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CSF1R),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VEGF 수용체 및 vWF(von Willebrand Factor)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질병과 관련된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 및 단클론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과 이중/다중 특이성 항체, 항체-약물 접합체들은 다음과 같은 약물들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클론 항체 및 단클론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단백질로는 ADG 106. EU101, LVGN6051 , 우렐루맙 (Urelumab), 우토밀루맙 (Utomilumab), 벱텔로비맙 (Bebtelovimab), 아두카누맙 (Aducanumab), 바피네주맙 (Bapinezumab), 크레네주맙 (Crenezumab), 도나네맙 (Donanemab), 간테네루맙 (Gantenerumab), 레카네맙 (Lecanemab), 솔라네주맙 (Solanezumab), 네스바쿠맙 (Nesvacumab), 에비나쿠맙 (Evinacumab), 에놉리투주맙 (Enoblituzumab), 옴부르타맙 (Omburtamab), 벨리무맙 (Belimumab), 이아나루맙 (Ianalumab), 타발루맙 (Tabalumab), 베르틸리무맙 (Bertilimumab), 모가물리주맙 (Mogamulizumab), 레론리맙 (Leronlimab), 시필리주맙 (Siplizumab), 포랄루맙 (Foralumab), 무로모납-CD3 (Muromonab-CD3), 오텔릭시주맙 (Otelixizumab), 테플리주맙 (Teplizumab), 이발리주맙 (Ibalizumab), 트레갈리주맙 (Tregalizumab ), 자노리무맙 (Zanolimumab), 이톨리주맙 (Itolizumab), 에팔리주맙 (Efalizumab), 이네빌리주맙 (Inebilizumab), 타파시타맙 (Tafasitamab), 토시투모맙 (Tositumomab), 오크렐리주맙 (Ocrelizumab), 오파투무맙 (Ofatumumab), 리툭시맙 (Rituximab), 우블리툭시맙 (Ublituximab), 벨투주맙 (Veltuzumab), 에프라투주맙 (Epratuzumab), 바실릭시맙 (Basiliximab), 다클리주맙 (Daclizumab), 바르릴루맙 (Varlilumab), 룰리주맙 페골 (Lulizumab pegol), 이라투무맙 (Iratumumab), BI-1206, 린투주맙 (Lintuzumab), 다라투무맙 (Daratumumab), 펠자르타맙 (Felzartamab), GEN3014, 이사툭시맙 (Isatuximab), 메자키타맙 (Mezagitamab), CDX-1140, 블레셀루맙 (Bleselumab), 다쎄투주맙 (Dacetuzumab), 이스칼리맙 (Iscalimab), 루카투무맙 (Lucatumumab), 미타잘리맙 (Mitazalimab), SEA-CD40, 소티갈리맙 (Sotigalimab), SAR441344, 테고프루바르트 (Tegoprubart), 다피롤리주맙 페골 (Dapirolizumab pegol), I-131 아파미스타맙 (I-131-Apamistamab), AO-176, 리구팔리맙 (Ligufalimab), 마그롤리맙 (Magrolimab), 알렘투주맙 (Alemtuzumab), 크리잔리주맙 (Crizanlizumab), 인클라쿠맙 (Inclacumab), 쿠사투주맙 (Cusatuzumab), 올레클루맙 (Oleclumab), 밀라투주맙 (Milatuzumab), 갈릭시맙 (Galiximab), 카로툭시맙 (Carotuximab), 아데카투무맙 (Adecatumumab), 엡티네주맙 (Eptinezumab), 에레누맙 (Erenumab), 프레마네주맙 (Fremanezumab), 갈카네주맙 (Galcanezumab), TST001, ZL-1211, 졸베툭시맙 (Zolbetuximab), 오나르투주맙 (Onartuzumab), 에쿨리주맙 (Eculizumab), 포젤리맙 (Pozelimab), 라불리주맙 (Ravulizumab), 라크노투주맙 (Lacnotuzumab), PD-0360324, AMB-051, 악사틸리맙 (Axatilimab), 카비랄리주맙 (Cabiralizumab), 에막투주맙 (Emactuzumab), BA3071, 이필리무맙 (Ipilimumab), 쿠아본리맙 (Quavonlimab), 트레멜리무맙 (Tremelimumab), 잘리프레리맙 (Zalifrelimab), 세툭시맙 (Cetuximab), 데파툭시주맙 (Depatuxizumab), 푸툭시맙 (Futuximab), 임가투주맙 (Imgatuzumab), 마투주맙 (Matuzumab), 모도특시맙 (Modotuximab), 네씨투무맙 (Necitumumab), 니모투주맙 (Nimotuzumab), 파니투무맙 (Panitumumab), 토무조툭시맙 (Tomuzotuximab), 잘루투무맙 (Zalutumumab), MK-2060, 바토클리맙 (Batoclimab), 니포칼리맙 (Nipocalimab), 로자놀릭시주맙 (Rozanolixizumab), 부로수맙 (Burosumab), 팔레투주맙 (Farletuzumab), 디누툭시맙 (Dinutuximab), 디누툭시맙 베타 (Dinutuximab beta), 낙시타맙 (Naxitamab), BMS-986156, 라기필리맙 (Ragifilimab), 김실루맙 (Gimsilumab), 렌질루맙 (Lenzilumab), 마브릴리무맙 (Mavrilimumab), 나밀루맙 (Namilumab), 오틸리맙 (Otilimab), 플론마를리맙 (Plonmarlimab), 코드리투주맙 (Codrituzumab), 마르게툭시맙 (Margetuximab), 페르투주맙 (Pertuzumab),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HMBD-001, 파트리투맙 (Patritumab), 세리반투맙 (Seribantumab), 둘리고투주맙 (Duligotuzumab), 피클라투주맙 (Ficlatuzumab), 릴로투무맙 (Rilotumumab), 알롬필리맙 (Alomfilimab), 아니프롤루맙 (Anifrolumab), 에마팔루맙 (Emapalumab), FB825, 리겔리주맙 (Ligelizumab), 오말리주맙 (Omalizumab), 씩수투무맙 (Cixutumumab), 달로투주맙 (Dalotuzumab), 피키투무맙 (Figitumumab), 가니투맙 (Ganitumab), 테프로투무맙 (Teprotumumab), 베르메키맙 (Bermekimab), 카나기누맙 (Canakinumab), 게보키주맙 (Gevokizumab), 브리아키누맙 (Briakinumab), 우스테키누맙 (Ustekinumab), 안루킨주맙 (Anrukinzumab), 쎈다키맙 (Cendakimab), 레브리키주맙 (Lebrikizumab), 트랄로키누맙 (Tralokinumab), 브로달루맙 (Brodalumab), 비메키주맙 (Bimekizumab), 익세키주맙 (Ixekizumab), 세쿠기누맙 (Secukinumab), 브라지쿠맙 (Brazikumab), 구셀쿠맙 (Guselkumab), 미리키주맙 (Mirikizumab), 리산키주맙 (Risankizumab), 틸드라키주맙 (Tildrakizumab), 네몰리주맙 (Nemolizumab), 임시돌리맙 (Imsidolimab), 스페솔리맙 (Spesolimab), 파스콜리주맙 (Pascolizumab), CBP201, 두필루맙 (Dupilumab), 데페모키맙 (Depemokimab), 메폴리주맙 (Mepolizumab), 레슬리주맙 (Reslizumab), 벤랄리주맙 (Benralizumab), 클라자키주맙 (Clazakizumab), 올로키주맙 (Olokizumab), 실툭시맙 (Siltuximab), 시루쿠맙 (Sirukumab), 질티베키맙 (Ziltivekimab), 레빌리맙 (Levilimab), 사릴루맙 (Sarilumab), 사트랄리주맙 (Satralizumab), 토씰리주맙 (Tocilizumab), HuMax-IL8, 아비투주맙 (Abituzumab), 파베젤리맙 (Favezelimab), 피안리맙 (Fianlimab), GSK2831781, 이에라밀리맙 (Ieramilimab), INCAGN02385, 렐라틀리맙 (Relatlimab), 심투주맙 (Simtuzumab), 아바고보맙 (Abagovomab), 오레고보맙 (Oregovomab), 타네주맙 (Tanezumab), BMS-986178, GSK3174998, INCAGN01949, 이븍솔리맙 (Ivuxolimab), 로카틴리맙 (Rocatinlimab), 타볼리맙 (Tavolimab), 델라조를리맙 (Telazorlimab), 본레롤리주맙 (Vonlerolizumab), 알리로쿠맙 (Alirocumab), 보코씨주맙 (Bococizumab), 에브로누씨맙 (Ebronucimab), 에볼로쿠맙 (Evolocumab), 프로보씨맙 (Frovocimab), 온게리씨맙 (Ongericimab), 타폴레씨맙 (Tafolecimab), 도스타를리맙 (Dostarlimab), 발스틸리맙 (Balstilimab), 캄렐리주맙 (Camrelizumab), 쎄미플리맙 (Cemiplimab), 겝타놀리맙 (Geptanolimab), MEDI0680, 니볼루맙 (Nivolumab),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펜풀리맙 (Penpulimab), 피딜리주맙 (Pidilizumab), 프롤골리맙 (Prolgolimab), 레티판리맙 (Retifanlimab), 사산리맙 (Sasanlimab), 세르플루리맙 (Serplulimab), 신틸리맙 (Sintilimab), 스파르탈리주맙 (Spartalizumab), 티슬렐리주맙 (Tislelizumab), 토리팔리맙 (Toripalimab), 에자벤리맙 (Ezabenlimab), 짐베렐리맙 (Zimberelimab),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 아벨루맙 (Avelumab), 코시벨리맙 (Cosibelimab), 수게말리맙 (Sugemalimab), 두르발루맙 (Durvalumab), IMC-001, 엔바폴리맙 (Envafolimab), 수브라톡수맙 (Suvratoxumab), 데노수맙 (Denosumab), 질로베르타맙 (Zilovertamab), NC318, 엘로투주맙 (Elotuzumab), NIS793, BMS-986207, 돔바날리맙 (Domvanalimab), EOS-448, 에티길리맙 (Etigilimab), 오씨페를리맙 (Ociperlimab), 티라골루맙 (Tiragolumab), 비보스톨리맙 (Vibostolimab), 수르제비씰리맙 (Surzebiclimab), 코볼리맙 (Cobolimab), 사바톨리맙 (Sabatolimab), TQB2618, 콘씨주맙 (Concizumab), 마르스타씨맙 (Marstacimab), 아달리무맙 (Adalimumab), 골리무맙 (Golimumab), 인플릭시맙 (Infliximab), 쎄르톨리주맙 페골 (Certolizumab pegol), 코나투무맙 (Conatumumab), 티가투주맙 (Tigatuzumab), 테제펠루맙 (Tezepelumab), 가티포투주맙 (Gatipotuzumab), 카비랄리주맙 (Cabiralizumab), 베바씨주맙 (Bevacizumab), 브롤루씨주맙 (Brolucizumab), 라니비주맙 (Ranibizumab), 올린바씨맙 (Olinvacimab), 이크루쿠맙 (Icrucumab), 라무씨루맙 (Ramucirumab), 카프라씨주맙 (Caplacizumab), 아부릴루맙 (Abrilumab), 에트롤리주맙 (Etrolizumab), 베돌리주맙 (Vedolizumab), 인테투무맙 (Intetumumab), 나탈리주맙 (Natalizumab)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다중 특이성 항체 및 항체 유사 단백질로는 DSP107, RO7122290, 씬레바프스프 알파 (Cinrebafusp alfa), GEN1042, 로지바프스프 알파 (Rozibafusp alfa), GEN1044, 오브린다타맙 (Obrindatamab), GEN1047, 엘라나타맙 (Elranatamab), 린보셀타맙 (Linvoseltamab), 테클리스타맙 (Teclistamab), 엡코리타맙 (Epcoritamab), 글로피타맙 (Glofitamab), 모수네투주맙 (Mosunetuzumab), 오드로넥스타맙 (Odronextamab), 플로테투주맙 (Flotetuzumab), 비베코타맙 (Vibecotamab), 카투막소맙 (Catumaxomab), 씨비사타맙 (Cibisatamab), TAK-186, 탈쿠에타맙 (Talquetamab), 우바마타맙 (Ubamatamab), NVG-111, 엠피자타맙 (Emfizatamab), HPN536, AFM13, 블리나투모맙 (Blinatumomab), ISB1442, CPO107, AFM24, 아미반타맙 (Amivantamab), MCLA-129, SI-B001, 에미씨주맙 (Emicizumab), Mim8, 제노쿠투주맙 (Zenocutuzumab), 자니다타맙 (Zanidatamab), 티불리주맙 (Tibulizumab), GI-101, 보바릴리주맙 (Vobarilizumab), REGN5668, HX009, 카도닐리맙 (Cadonilimab), 부달리맙 (Vudalimab), EMB-02, RO7247669, 테보텔리맙 (Tebotelimab), IBI318, AZD2936, AZD7789, RO7121661, 이보네스씨맙 (Ivonescimab), IBI322, ES101, GEN1046, PRS-344, 에르폰릴리맙 (Erfonrilimab), FS118, 빈트라프스프 알파(Bintrafusp alfa), HB0036, HLX301, NM21-1480, 오조랄리주맙 (Ozoralizumab), BI836880, 파리시맙 (Faricimab), 바누씨주맙 (Vanucizumab ), 나비씩시주맙 (Navicixizumab), IBI302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체-약물 접합체로는 나프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 (Naptumomab estafenatox), 벨란타맙 마포도틴 (Belantamab mafodotin), DS-7300, MGC018, 피베키맙 수니린 (Pivekimab sunirine), 프랄루자타맙 라브탄신 (Praluzatamab ravtansine), 콜툭시맙 라브탄신 (Coltuximab ravtansine), 데닌투주맙 마포도틴 (Denintuzumab mafodotin),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Loncastuximab tesirine),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Ibritumomab tiuxetan),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Inotuzumab ozogamicin), 에프라투주맙 씨스 테시린 (Epratuzumab-cys-tesirine), 목세투모맙 파수도톡스 (Moxetumomab pasudotox), 브렌툭시맙 베도틴 (Brentuximab vedotin),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Gemtuzumab ozogamicin), 바다스툭시맙 탈리린 (Vadastuximab talirine), STI-6129, FOR46, 로보투주맙 메르탄신 (Lorvotuzumab mertansine), 폴라투주맙 베도틴 (Polatuzumab vedotin), 투사마타맙 라브탄신 (Tusamitamab ravtansine), 텔리소투주맙 베도틴 (Telisotuzumab vedotin), 로발피투주맙 테시린 (Rovalpituzumab tesirine), 데파툭시주맙 마포도틴 (Depatuxizumab mafodotin), 파를레투주맙 에크테리불린(Farletuzumab ecteribulin), 미르베툭시맙 소라브탄신 (Mirvetuximab soravtansine), ARX788,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 (Trastuzumab deruxtecan), 트라스투주맙 듀오카르마진 (Trastuzumab duocarmazine), A166,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rastuzumab emtansine), DP303c, MRG002, BDC-1001, SHR-A1811, 디시타맙 베도틴 (Disitamab vedotin), 페르투주맙 주보톨리모드 (Pertuzumab zuvotolimod), 파트리투맙 데룩스테칸 (Patritumab Deruxtecan), 아네투맙 라브탄신 (Anetumab ravtansine), BMS-986148, 엔포르투맙 베도틴 (Enfortumab vedotin), NBE-002, MRG004, ABBV-3373, 사씨투주맙 고비테칸 (Sacituzumab Govitecan)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항체 의약품의 함량은 5~500 ㎎/mL, 바람직하게는 20~2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18㎎/mL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110㎎/mL, 약 120 ㎎/mL 또는 약 130 ㎎/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클론 항체는 이뮨글로블린(immune globulin) 등의 혈장 등에서 추출한 혈장 항체(serum antibody)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분자 화합물의 경우에는 예방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빠른 효과가 요구되는 약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르핀(Morphine) 계열의 항진통제가 사용될 수 있다(Thomas et al., 2009). 또한, 항암제에 의한 조직 괴사의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Antidote 약물인 Vinca Alkaloids 계통, Taxane 계통의 약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Kreidieh et al., 2016).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은 계면활성제, 특히 폴록사머(poloxamer)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록사머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미국 FDA로부터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substance)로 인증을 받은 물질이며, 급성 가슴 통증에서는 일당 3g의 투여 용량에서도 이상 반응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arrintaj et als., 2020) 폴록사머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하이드로젤의 구성 성분으로도 사용되며, 세포 배양 시 0.1 ~ 0.5 %의 농도로 첨가되어 세포를 공기 거품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폴록사머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polyethylene oxide (poly-EO)와 polypropylene oxide (poly-PO)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EO 사슬과 PO 사슬의 구성 함량에 의해 명명된다. EO 사슬의 분자 당 질량 함량은 10%~80%, PO 사슬은 분자당 질량은 950~4000 달톤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의 구조
Figure pat00033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x는 2~130, y는 15~67의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x는 10~60, y는 2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x는 10~60, y는 20~40, 가장 바람직하게는 x는 38, y는 29의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로는 폴록사머 188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록사머 188는 플루로닉 F68라고도 불리며, EO 사슬 함량이 80 %이면서 PO 사슬의 분자량이 1,750 달톤인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 분자량은 8,750 달톤이 된다. 이 폴록사머 188의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는 0.04 mM (~0.03%)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유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소르베이트20이나 폴리소르베이트80의 0.006%, 0.0012%보다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다.
폴록사머 188은 여러 종의 항체 의약품과 단백질 의약품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Enspryng™ (Roche사)에는 0.05%, Gazyva™ (Roche사 ? 스웨덴 Sobi사)에는 0.02%, Hemlibra™ (Roche사)에는 0.05%, Danyelza™ (Y-mAbs사)에는 0.15%, Orencia™ (BMS사)에는 0.8%, Nuwiq (Octaphama사)에는 0.12%, Accretropin(Cangene사)에는 0.2%로 사용되고 있다 (Strichley & Lambert, 2021).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내의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 188의 농도는 0.001% 내지 1.5%(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w/v),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w/v)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약물 없이 히알루로니다제 및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는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완충제는 4 내지 8,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의 pH를 제공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며, 상기 완충제는 말산염 (malate), 폼산염 (formate), 시트르산염 (citrate), 아세테이트 (acetate), 프로피오네이트 (propionate), 피리딘 (pyridine), 피페라진 (piperazine), 카코딜산 (cacodylate), 석신산 (succinate),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 히스티딘 (histidine), 트리스 (Tris), 비스-트리스 (bis-Tris), 인산염 (phosphate), 에탄올아민 (ethanolamine), 탄산염 (carbonate), 에테인술폰산piperazine-N,N′-bis(2-ethanesulfonic acid), PIPES), 이미다졸 (imidazole), 비스-트리스 프로판 (BIS-TRIS propane), BES (N,N-bis(2-hydr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 MOPS (3-(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HEPES (Hydroxyethyl piperazine Ethane Sulfonic acid), 피로인산염(pyrophosphate), 및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히스티딘 완충제, 예를 들어 L-히스티딘/HCl 또는 아세테이트 (acetate) 완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제의 농도는 0.001 내지 20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안정화제로는 단백질의 안정화 목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한 예로서는 탄수화물, 당류 또는 이들의 수화물, 당 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수화물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탄수화물, 당류 또는 당알콜류는 트레할로스 또는 그의 수화물, 수크로스, 사카린, 글리세롤, 에리스톨, 트레이톨, 자일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만니톨, 소르비톨, 갈락티톨, 푸시톨, 아이디톨, 이노시톨, 볼레미톨, 이소말트, 말티톨, 폴리글리시톨,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하이드로옥실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Beta-cyclodextrin) 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아미노산은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라이신, 라이실라이신, 류신, 메티오닌, 발린, 세린, 셀레노메티오닌, 시트룰린, 아르지닌, 아스파라진, 아스파트산, 오르니틴, 아이소류신, 타우린, 테아닌, 트레오닌, 트립토판,타이로신,페닐알라닌,프롤린,피롤라이신,히스티딘 알라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림작하게는 메티오닌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내에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상기 당류 또는 당알콜류의 농도는 0.001 내지 500 mM, 바람직하게는 또는 100 내지 3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30 mM이며, 구체적으로는 약 210 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내에 안정화제로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농도는 1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또는 3 내지 3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 mM이며, 구체적으로는 약 8 내지 15 mM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50~350 ㎎/mL의 항체, 예를 들어 항-HER2 항체 또는 면역관문항체, 100 내지 20,000 units/mL의 PH20 변이체, 0.001% 내지 1.5%(w/v)의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 pH 5.5 ± 2.0를 제공하는 0.001 내지 200 mM의 히스티딘 완충액 및 10 내지 400 mM의 α,α-트레할로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1 내지 50 mM의 메티오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120±18㎎/mL mg/mL의 항-HER2 항체 또는 면역관문항체, 1,500 내지 12,000 units/mL의 PH20 변이체, 0.1% 내지 0.5% (w/v)의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 pH 5.5 ± 2.0를 제공하는 10 내지 30 mM 히스티딘 완충액, 180 내지 230 mM α,α-트레할로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8 내지 15 mM의 메티오닌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피하 주입을 통해 피하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하 주사 투여를 위한 주사 제형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formulation), 바람직하게는 피하 투여용 제형을 제공한다.
상기 피하 투여용 제형은 주사 제형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인 희석 과정 없이 즉시 투여 가능한 형태(ready-to-injection)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또는 유리 앰플이나 플라스틱 용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또는 오토 인젝터 (Auto-injector)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는 웨어러블 인젝터 (Wearable injector)라고도 불리며, 웨스트 (West)사, 이네이블 인젝션즈 (Enable Injections)사, 입소메드 (Ypsomed)사, 웨이벨 CDS (Weibel CDS)사, 서브큐젝트 (Subcuject)사, 에이탄 메디칼 (Eitan Medical)사, 손스보즈 (Sonceboz)사 등의 제품 등이 예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earable Injectors, 2019).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 치료가능한 질병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에 따른 PH20 또는 PH20 변이체와 병용되는 약물로서 치료가능한 질환이라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 치료가능한 질환은 암, 자가면역질환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 치료가능한 암 또는 암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고형암 및 혈액암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암의 예로는 흑색종 등의 피부암, 간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위암, 유방암, 폐암, 난소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대장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식도암, 담도암, 고환암, 직장암, 두경부암, 경추암, 요관암, 골육종, 신경아세포종, 섬유육종, 횡문근육종, 성상세포종, 신경모세포종 및 신경교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암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폐암 및 신장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으로 치료가능한 자가면역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천식(asthma), 건선(psorias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제1형 당뇨병(type I diabetes),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및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또는 제형을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에 있어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제형 개발: 폴록사머 188을 포함한 트라스투주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다음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5종류의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형 1 (Formulation 1) 내지 제형 5 (Formulation 5)는 공통적으로 120 mg/mL의 트라스투주맙을 포함하며, 20 mM histidine/histidine-HCl (pH 5.5), 210 mM trehalos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제형 1 내지 제형 3에서는 HP46을 사용하고 있고, 제형 4와 제형 5에서는 야생형 재조합 PH20 (rHuPH20)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형 3을 제외하고는 10 mM methionine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제형 1, 제형 4에서는 0.04% 폴리소르베이트20 (Polysorbate 20), 제형 2, 제형 3과 제형 5에서는 0.2% 폴록사머 188 (Poloxamer 188)을 포함하고 있다.
표 6. 시험 제형의 조성
Figure pat00034

이러한 각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혹 조건인 40±2℃,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RH) 60±5%에서 보관한 후 0, 1, 4, 7 일 간격으로 불출하여 다음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측정
안정성 기간 동안에 불출한 단백질 농도 변화를 분광 광도계로 분석하였다. 시료의 농도가 0.4 mg/mL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한 후, 분광 광도계로 280 nm에서 단백질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7 에서는 최초 시험일을 기준으로 상대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표 7. 제형 1 내지 제형 5의 정량결과 (UV)
Figure pat00035
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한 트라스투주맙의 불순물 비율 조사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Shimadzu Prominence사의 HPLC 시스템과 TSK-gel G3000SWXL (7.8 X 300 mm, 5 μm) 및 TSK guard column (6.0 x 4.0 mm, 7 μ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0.25 M Potassium chloride가 포함된 0.2M potassium phosphate (pH 6.2)를 사용하였다. 유속 0.5 mL/min의 등속 (Isocratic) 분리 모드를 적용하여 35분간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료는 분석 용매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10 mg/mL이 되도록 하였으며, 20 μL을 HPLC 칼럼에 주입한 후 280 nm에서 칼럼 용출액의 흡광도를 기록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램에서 트라스투주맙의 불순물 비율을 계산하고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제형 1 내지 제형 5의 순도 결과 (SEC-HPLC)
Figure pat00036

다. 제형 1 내지 제형 5에 대한 IEX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IEX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해 Shimadzu Prominence사의 HPLC 시스템과, 컬럼으로 TSKgel CM-STAT (4.6 x 100 mm, 7μm), TSKgel guard gel CMSTAT (3.2 mm l.D. x 1.5 cm) 등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A는 10 mM sodium phosphate (pH 7.5)이고, 이동상 B는 0.1M NaCl이 포함된 10 mM sodium phosphate (pH 7.2)이다. 유속 0.8 mL/min로 0~30% 이동상 B 선형 농도구배를 기하며 55분간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료는 이동상 A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1.0 mg/mL 되도록 하였으며, 80 μL의 시료를 HPLC에 주입한 후 280 nm에서 칼럼 용출액의 흡광도를 기록하였다. HPLC 크로마토그램에서 트라스투주맙의 단량체 비율을 계산하고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37
표 9. 제형 1 내지 제형 5의 항체 Charge variant 분포 (IEX)
라. 제형 1 내지 제형 5에 대한 불용성미립자 측정
불용성미립자 측정을 위하여 측정 기기에 시료 1 mL을 30 mL로 희석하여 조사제의 일반시험법에 기술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주사제의 일반시험법 불용성미립자 시험의 기준은 10 μm 이상의 입자 (NLT 10 μm)가 6000개 이하, 25 μm 이상의 입자 (NLT 25 μm)가 600개 이하이어야 한다.
표 10. 제형 1 내지 제형 5의 불용성 미립자 시험 결과
Figure pat00038


마. 제형 1 내지 제형 5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측정
효소 활성을 측정하는 Microturbidimetric assay 방법은 반응 용액에 잔존하는 히알루론산이 산성화된 알부민(BSA)과 결합하여 응집체를 형성하는 정도를 흡광도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히알루로니다제에 의해 히알루론산이 가수분해되면 알부민과 결합하는 양이 감소하여 흡광도가 감소한다. 표준품으로 BTH (Sigma)를 1, 2, 5, 7.5, 10, 15, 20, 30, 50, 60 unit/mL 되게 희석하여 각 튜브에 준비한다. 시료를 enzyme diluent buffer (20 mM Tris·HCl, pH 7.0, 77 mM NaCl, 0.01% (w/v) bovine serum albumin)로 100X, 300X, 600X, 1200X, 2400X 되게 희석하여 각 튜브에 준비한다. 새로운 튜브에 3 mg/mL인 히알루론산 용액을 농도가 0.3 mg/mL 되게 10배 희석하여 각 튜브의 부피가 180 μL가 되게 한다. 희석한 히알루론산 용액에 히알루로니다제가 포함된 시료를 60 μL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45분간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96-well plate에 반응시킨 효소 50 μL와 acidic albumin solution 250 μL를 각 well에 넣고 10분간 진탕한 후 600nm에서 분광 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각 제형에서의 시험 결과를 도 1에 제시하였다.
실시예 1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5가지 제형에 있어, sub-visible particle의 변화나 함량, 순도, Charge variant의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각 제형의 항체의 안정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폴록사머 188 0.2% 제형의 경우, 폴리소르베이트 20 0.04% 제형과 비교할 때, 항체의 안정성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은 훨씬 더 높게 오랜기간 유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초기 Hyaluronidase 효소 활성을 갖는 경우, HP46을 포함한 제형이 rHuPH20을 포함한 제형보다 효소 활성이 더 유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2. 제형 개발: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의 가혹 안정성 시험
다른 약물을 포함하지 않는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은 표 11과 같이 조제하였고, 이에 대해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 표 12와 같이 효소 활성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 11. 시험 제형의 조성
Figure pat00039

표 12. 제형 6 내지 제형 7의 가혹조건에서의 효소 활성 유지 시험 결과
Figure pat00040

표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형 6과 제형 7의 경우에서 유사하게 pH 6~7의 범위에서 효소 활성이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제형 개발: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의 장기 안정성 시험
다른 단백질 치료제와 혼합하지 않은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의 장기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단독 제형 (Formulation 8)은 3,000 units/mL Hyalronidase (HP46), 10mM Sodium phosphate, 145mM NaCl, 10mM Methionine, 0.1% Human serum albumin, 0.02% Polysorbate 80, pH 7.0으로 조제하였고, 이에 대해 장기 보관 조건인 5 ± 3℃에서 도2와 같이 성상 (Appearance), pH, 삼투압 (Osmolality), 엔도톡신 함량 (Endotoxin content), 무균 (Sterility), 불용성 이물 (Particulated matter, visible), 불용성 미립자 (Particulated matter, subvisible), 역가 (효소활성) /확인시험 (Potency/Identity), 용출부피 (Extractable volume), 용기밀집도 (Container-closure integrity)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제형 개발: 계면활성제 종류별 트라스투주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 종류별과 농도별로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120 mg/mL의 트라스투주맙을 포함하며, 20 mM histidine/histidine-HCl (pH 5.5), 210 mM trehalose, 10mM Methionin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기본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기본 조성에 제형 9-1, 9-2, 9-3, 9-4는 폴리소르베이트20을 각 0.005%, 0.01%, 0.1% 0.2%로 첨가한 제형이고, 제형 10-1, 10-2, 10-3, 10-4는 폴리소르베이트80을 각 0.005%, 0.01%, 0.1% 0.2%로 첨가한 제형이며, 제형 11-1, 11-2, 11-3, 11-4는 폴록사머188을 각 0.005%, 0.01%, 0.1% 0.2%로 첨가한 제형이다.
표 13. 시험 제형 9, 10, 11의 조성
Figure pat00041

표 13에 기재된 각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함량 변화는 실시예 1의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4에 기술하였다. IEX 크로마토그래피 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다. IEX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5에 기술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3의 A (제형 9), B (제형 10), C (제형 11)에 기술하였다. 표 14와 도 3의 경우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표 14. 시험 제형 9, 10, 11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함량 변화
Figure pat00042


표 15. 시험 제형 9, 10, 11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IEX 크로마토그래피 상의 함량 변화
Figure pat00043

표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형의 함량 변화는 거의 없이 유지되었다. 표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속 안정성 기간 동안 Basic variants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각 제형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를 보면 각 제형에 따른 항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형별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 3에서 보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이 제형 9에서 계면활성제인 폴리소르베이트20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활성의 감소 양상을 보였고, 나머지 제형 10과 제형 11에서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의 증가와 효소 활성의 감소 양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폴리소르베이트80을 포함한 제형 10과 폴록사머 188을 포함항 제형 11의 경우에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한 제형 9에 비해 계면활성제 함량의 증가에도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이 잘 유지되고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5. 제형 개발: 오크렐리주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크렐리주맙 (Ocreliz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30 mg/mL의 오크렐리주맙을 포함하며, 20 mM sodium acetate (pH 5.5), 106 mM trehalose, 85mM sodium chlorid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과 rHuPH20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0.04% 폴리소르베이트 20과 0.2% 폴록사머 188을 사용하였다.
표 16. 시험 제형 12의 조성
Figure pat00044

표 16에 기재된 각 오크렐리주맙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함량 변화는 실시예 1의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7에 기술하였다.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상의 주분획의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8에 기술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4에 기술하였다. 표 17, 표 18과 도 4의 경우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표 17. 시험 제형 12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함량 변화
Figure pat00045

표 18. 시험 제형 12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 상의 변화
Figure pat00046

표 17 및 표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형별로 함량 등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도 4과 같이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경우에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이 6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 획인되었고,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40% 이상의 효소 활성이 유지되고 있었다. 이를 보면 각 제형별로 항체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제형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HP46과 rHuPH20은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6. 제형 개발: 리툭시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툭시맙 (Rituxi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120 mg/mL의 리툭시맙을 포함하며, 20 mM sodium acetate (pH 5.5), 106 mM trehalose, 85mM sodium chlorid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기본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과 rHuPH20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0.04% 폴리소르베이트 20과 0.2% 폴록사머 188을 사용하였다.
표 19. 시험 제형 13의 조성
Figure pat00047
표 19에 기재된 각 리툭시맙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함량 변화는 실시예 1의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0에 기술하였다.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상의 주분획의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1에 기술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5에 기술하였다. 표 20, 표 21과 도 5 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표 20. 시험 제형 13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함량 변화
Figure pat00048

표 21. 시험 제형 13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 상의 변화
Figure pat00049

표 20 및 표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형별로 함량 등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도 5에서 보면,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경우에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이 2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보였고,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20%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보면 각 제형별로 항체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제형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HP46과 rHuPH20은 큰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7. 제형 개발: 니볼루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니볼루맙 (Nivol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25 mg/mL의 니볼루맙을 포함하며, 20 mM sodium acetate (pH 5.5), 106 mM trehalose, 85mM sodium chlorid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기본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과 rHuPH20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0.04% 폴리소르베이트 20과 0.2% 폴록사머 188을 사용하였다.
표 22. 시험 제형 14의 조성
Figure pat00050

표 22에 기재된 각 니볼루맙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함량 변화는 실시예 1의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3에 기술하였다.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상의 주분획의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4에 기술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6에 기술하였다. 표 22, 표 23과 도 6의 경우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표 23. 시험 제형 14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함량 변화
Figure pat00051

표 24. 시험 제형 14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 상의 변화
Figure pat00052

표 23 및 표 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형별로 함량 등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도 6에서 보면,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경우에 히알루로니다제 HP46의 효소 활성이 60% 이상, 히알루로니다제 rHuPH20의 효소 활성이 5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보였고,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히알루로니다제 HP46의 효소 활성이 50% 이상, 히알루로니다제 rHuPH20의 효소 활성이 30% 이하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볼 수 있었다. 이를 보면 각 제형별로 항체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HP46과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제형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8. 제형 개발: 다라투무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2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라투무맙 (Daratum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60 mg/mL의 니볼루맙을 포함하며, 20 mM sodium acetate (pH 5.5), 106 mM trehalose, 85mM sodium chlorid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기본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과 rHuPH20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0.04% 폴리소르베이트 20과 0.2% 폴록사머 188을 사용하였다.
표 25. 시험 제형 15의 조성
Figure pat00053
표 25에 기재된 각 다라투무맙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함량 변화는 실시예 1의 가.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함량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6에 기술하였다.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상의 주분획의 함량 변화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27에 기술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7에 기술하였다. 표 26, 표 27과 도 7 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표 26. 시험 제형 15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함량 변화
Figure pat00054

표 27. 시험 제형 15의 가혹 안정성 기간 중 크기배제크로마토그래피 상의 변화
Figure pat00055

표 26 및 표 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제형별로 함량 등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도 7에서 보면,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경우에 히알루로니다제 HP46의 효소 활성이 80% 이상, 히알루로니다제 rHuPH20의 효소 활성이 6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보였고,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히알루로니다제 HP46의 효소 활성이 60% 이상, 히알루로니다제 rHuPH20의 효소 활성이 50% 이하로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볼 수 있었다. 이를 보면 각 제형별로 항체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HP46과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제형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9. 제형 개발: 펨브롤리주맙 피하주사 제형의 안정성 시험
표 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피하주사 제형을 제조하여 각 제형의 가혹 조건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제형은 25 mg/mL의 펨브롤리주맙을 포함하며, 20 mM sodium acetate (pH 5.5), 106 mM trehalose, 85mM sodium chloride, 2000 units/mL hyaluronidase로 구성되어 있다. 히알루로니다제 (Hyaluronidase)는 HP46과 rHuPH20을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0.2% 폴록사머 188을 사용하였다.
표 28. 시험 제형 16의 조성
Figure pat00056

표 25에 기재된 각 펨브롤리주맙 피하주사 제형을 가혹 조건인 40 ± 2℃, 상대습도 60 ± 5%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변화는 실시예 1의 마.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 방법으로 측정하여 도 8에 기술하였다. 도8의 경우에는 각 0 day의 함량이나 효소 활성을 100%로 하여 활성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도 8에서 보면, 계면활성제로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알루로니다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효소 활성이 4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항체 단백질 의약품의 경우에는 히알루로니다제와 계면활성제를 변경하는 경우, 각 제형별로 항체에 대한 영향은 없지만, HP46과 폴록사머188을 사용하는 제형이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활성의 안정성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Chen, K.J., Sabrina, S., El-Safory, N.S., Lee, G.C., and Lee, C.K. Constitutive expression of recombinant human hyaluronidase PH20 by Pichia pastoris. J Biosci. Bioeng. (2016) 122, 673-678
Hofinger, E.S., Bernhardt, G., and Buschauer, A. Kinetics of Hyal-1 and PH-20 hyaluronidases: comparison of minimal substrates and analysis of the transglycosylation reaction. Glycobiology (2007) 17, 963-971
Kreidieh, F.Y., Moukadem, H.A., and Saghir, N.S.E. Overview,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emotherapy extravasation. World J. Clin. Oncol. (2016) 7, 87-97.
Thomas, J.R., Yocum, R.C., Haller, M.F., and Flament J. The INFUSE-Morphine IIB Study: Use of Recombinant Human Hyaluronidase (rHuPH20) to Enhance the Absorption of Subcutaneous Morphine in Healthy Volunteers. J. Pain Symptom Manag. (2009) 38, 673-682
Strickley, R.G., and Lambert, W.J. A review of formulations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bodies. J Pharm. Sci. (2021) 110, 2590?2608
Zarrintaj P., Ramsey J.D., Samadi A., Atoufic Z., Yazdi M.K., Ganjali M.R., Amirabad L.M., Zangene E., Farokhi M., Formela K., Saeb M.R., Mozafari M., and Thomas S. Poloxamer: A versatile tri-block copolymer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cta Biomaterialia (2020) 110, 37-67
Wearable Injectors. OnDrugDelivery (2019) 100, 04-91

Claims (38)

  1. (a) 약물, (b) 히알루로니다제 및 (c)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히알루로니다제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야생형 PH20 또는 이의 PH20 변이체를 포함하고, 상기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야생형 PH20에 있어,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I361T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N-말단 및/또는 C-말단의 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L354I 및 N356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부위 및 그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부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부위는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이고, 그 연결부위는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 연결 부위(A333~R3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부위 및 그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부위는 T341~N363, T341~I361, L342~I361, S343~I361, I344~I361, M345~I361 또는 M345~N363인 것을 특징으로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야생형 PH20의 알파나선 8 부위(S347~C381) 및 알파나선 7과 알파나선 8 연결 부위(A333~R346)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가 Hyal1의 대응되는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L354I 및/또는 N356E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T341, L342, S343, I344, M345, S347, M348, K349, L352, L353, D355, E359, I361 및 N3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L354I 및/또는 N356E의 아미노산 잔기 치환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D355K, E359D, I361T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추가적으로 T341S, L342W, S343E, I344N 및 N363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a) T341S,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b) L342W,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c)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d)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I361T, 및 N363G
    (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및
    (f) S343E, I344N, M345T, S347T, M348K, K349E, L352Q, L353A, L354I, D355K, N356E, E359D 및 I361T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추가적으로 C-말단 및 N-말단 중 하나 이상의 말단에서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약학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N-말단의 M1 내지 P4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앞에서 절단되어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N-말단의 L36, N37, F38, R39, A40, P41 또는 P42 잔기 앞에서 절단되어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C-말단의 V455 내지 L509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다음에서 절단되어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C-말단의 V455 내지 S490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 다음에서 절단되어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C-말단의 V455, C458, D461, C464, I465, D466, A467, F468, K470, P471, P472, M473, E474, T475, E476, P478, I480, Y482, A484, P486, T488 또는 S490 잔기 다음에서 절단되어 일부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야생형 PH20 또는 PH20 변이체는 N-말단에 추가로 인간 Hyaluronidase-1(Hyal1), 인간 성장호르몬 또는 인간 혈청 알부민 유래의 신호 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5 내지 서열번호 5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PH20 변이체는 서열번호 44의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단백질 의약품(protein drugs), 항체(antibody), 소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s), 앱타머(aptamer), RNAi, antisense 또는 세포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항체, 수용성 수용체 또는 수용성 수용체와 Fc 융합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4-1BB, 5T4, 인테그린 (integrin), 액티빈 (Activin), 아밀로이드 베타 (amyloid beta), 안지오포에틴(안지오포에틴 1 또는 2), 안지오포에틴 유사물질3, B세포 성숙화 항원 (B cell maturation antigen, BCMA), B세포 활성인자 (B-cell activating factor, BAFF), B7-H3, 보체5 (complement 5), CCR4, CCR5, CCL11, CD2, CD3, CD4, CD6, CD11a, CD16A, CD19, CD20, CD22, CD25, CD27, CD28, CD30, CD32B, CD33, CD38, CD40, CD45, CD46, CD47, CD52, CD56, CD62, CD70, CD73, CD74, CD79b, CD80, CD105, CD123, CD154, CD166, CD262, CD278, CD319, CD326, 태아성암항원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GRP, 클라우딘18 (Claudin-18), c-Met, CSF-1, CSF-1 수용체, CTLA4, DLL3, EGF 수용체, 혈우병 인자, Fc 수용체, FGF23, 폴레이트 (folate) 수용체, GD2,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 TNF 수용체 (Glucocorticoid-induced TNF receptor, GITR), 글리피칸 3 (Glypican 3), GM-CSF, HER2, HER3, 간세포성장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인터페론 수용체, 인터페론 감마, IgE, IGF-1 수용체, 인터루킨1, 인터루킨2 수용체, 인터루킨4, 인터루킨4 수용체, 인터루킨5, 인터루킨5 수용체, 인터루킨6, 인터루킨6 수용체, 인터루킨8, 인터루킨12/23, 인터루킨13, 인터루킨17A, 인터루킨17수용체A, 인터루킨23, 인터루킨31 수용체, 인터루킨36 수용체, 림프구활성화유전자3 (Lymphocyte-activation gene 3, LAG3), 라이실 산화효소 유사체 2 (Lysyl oxidase homolog 2, LOXL2), 메소텔린 (Mesothelin), 뮤신1 (Mucin-1), 뮤신16 (Mucin-16), 넥틴4 (Netin-4), 신경성장인자 (Nerve Growth Factor, NGF), OX40, 전구단백질 전환효소 유형9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PD-1, PD-L1, 포스포리파제 C (Phospholipase C),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s kappa B ligand),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막횡단 수용체 (Tyrosine-protein kinase transmembrane receptor, ROR1), 시알산 결합 Ig-유사 렉틴 15 (Sialic acid binding ig-like lectin 15, Siglec-15), 전환성장인자 베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TIGIT (T-cell innunoreceptor with immunoglobulin and ITIM domain), T세포 면역글로블린 및 뮤신-도메인 함유물질 3 (T cell immunoglobulin and mucin-domain containing-3, Tim-3), 조직인자 (Tissue factor), 조직인자경로억제제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TFPI), TORP-2,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B), 큰포식세포집락자극인자 (Colony 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CSF1R),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VEGF 수용체 및 vWF(von Willebrand Facto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원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ADG 106. EU101, LVGN6051 , 우렐루맙 (Urelumab), 우토밀루맙 (Utomilumab), 벱텔로비맙 (Bebtelovimab), 아두카누맙 (Aducanumab), 바피네주맙 (Bapinezumab), 크레네주맙 (Crenezumab), 도나네맙 (Donanemab), 간테네루맙 (Gantenerumab), 레카네맙 (Lecanemab), 솔라네주맙 (Solanezumab), 네스바쿠맙 (Nesvacumab), 에비나쿠맙 (Evinacumab), 에놉리투주맙 (Enoblituzumab), 옴부르타맙 (Omburtamab), 벨리무맙 (Belimumab), 이아나루맙 (Ianalumab), 타발루맙 (Tabalumab), 베르틸리무맙 (Bertilimumab), 모가물리주맙 (Mogamulizumab), 레론리맙 (Leronlimab), 시필리주맙 (Siplizumab), 포랄루맙 (Foralumab), 무로모납-CD3 (Muromonab-CD3), 오텔릭시주맙 (Otelixizumab), 테플리주맙 (Teplizumab), 이발리주맙 (Ibalizumab), 트레갈리주맙 (Tregalizumab ), 자노리무맙 (Zanolimumab), 이톨리주맙 (Itolizumab), 에팔리주맙 (Efalizumab), 이네빌리주맙 (Inebilizumab), 타파시타맙 (Tafasitamab), 토시투모맙 (Tositumomab), 오크렐리주맙 (Ocrelizumab), 오파투무맙 (Ofatumumab), 리툭시맙 (Rituximab), 우블리툭시맙 (Ublituximab), 벨투주맙 (Veltuzumab), 에프라투주맙 (Epratuzumab), 바실릭시맙 (Basiliximab), 다클리주맙 (Daclizumab), 바르릴루맙 (Varlilumab), 룰리주맙 페골 (Lulizumab pegol), 이라투무맙 (Iratumumab), BI-1206, 린투주맙 (Lintuzumab), 다라투무맙 (Daratumumab), 펠자르타맙 (Felzartamab), GEN3014, 이사툭시맙 (Isatuximab), 메자키타맙 (Mezagitamab), CDX-1140, 블레셀루맙 (Bleselumab), 다쎄투주맙 (Dacetuzumab), 이스칼리맙 (Iscalimab), 루카투무맙 (Lucatumumab), 미타잘리맙 (Mitazalimab), SEA-CD40, 소티갈리맙 (Sotigalimab), SAR441344, 테고프루바르트 (Tegoprubart), 다피롤리주맙 페골 (Dapirolizumab pegol), I-131 아파미스타맙 (I-131-Apamistamab), AO-176, 리구팔리맙 (Ligufalimab), 마그롤리맙 (Magrolimab), 알렘투주맙 (Alemtuzumab), 크리잔리주맙 (Crizanlizumab), 인클라쿠맙 (Inclacumab), 쿠사투주맙 (Cusatuzumab), 올레클루맙 (Oleclumab), 밀라투주맙 (Milatuzumab), 갈릭시맙 (Galiximab), 카로툭시맙 (Carotuximab), 아데카투무맙 (Adecatumumab), 엡티네주맙 (Eptinezumab), 에레누맙 (Erenumab), 프레마네주맙 (Fremanezumab), 갈카네주맙 (Galcanezumab), TST001, ZL-1211, 졸베툭시맙 (Zolbetuximab), 오나르투주맙 (Onartuzumab), 에쿨리주맙 (Eculizumab), 포젤리맙 (Pozelimab), 라불리주맙 (Ravulizumab), 라크노투주맙 (Lacnotuzumab), PD-0360324, AMB-051, 악사틸리맙 (Axatilimab), 카비랄리주맙 (Cabiralizumab), 에막투주맙 (Emactuzumab), BA3071, 이필리무맙 (Ipilimumab), 쿠아본리맙 (Quavonlimab), 트레멜리무맙 (Tremelimumab), 잘리프레리맙 (Zalifrelimab), 세툭시맙 (Cetuximab), 데파툭시주맙 (Depatuxizumab), 푸툭시맙 (Futuximab), 임가투주맙 (Imgatuzumab), 마투주맙 (Matuzumab), 모도특시맙 (Modotuximab), 네씨투무맙 (Necitumumab), 니모투주맙 (Nimotuzumab), 파니투무맙 (Panitumumab), 토무조툭시맙 (Tomuzotuximab), 잘루투무맙 (Zalutumumab), MK-2060, 바토클리맙 (Batoclimab), 니포칼리맙 (Nipocalimab), 로자놀릭시주맙 (Rozanolixizumab), 부로수맙 (Burosumab), 팔레투주맙 (Farletuzumab), 디누툭시맙 (Dinutuximab), 디누툭시맙 베타 (Dinutuximab beta), 낙시타맙 (Naxitamab), BMS-986156, 라기필리맙 (Ragifilimab), 김실루맙 (Gimsilumab), 렌질루맙 (Lenzilumab), 마브릴리무맙 (Mavrilimumab), 나밀루맙 (Namilumab), 오틸리맙 (Otilimab), 플론마를리맙 (Plonmarlimab), 코드리투주맙 (Codrituzumab), 마르게툭시맙 (Margetuximab), 페르투주맙 (Pertuzumab),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HMBD-001, 파트리투맙 (Patritumab), 세리반투맙 (Seribantumab), 둘리고투주맙 (Duligotuzumab), 피클라투주맙 (Ficlatuzumab), 릴로투무맙 (Rilotumumab), 알롬필리맙 (Alomfilimab), 아니프롤루맙 (Anifrolumab), 에마팔루맙 (Emapalumab), FB825, 리겔리주맙 (Ligelizumab), 오말리주맙 (Omalizumab), 씩수투무맙 (Cixutumumab), 달로투주맙 (Dalotuzumab), 피키투무맙 (Figitumumab), 가니투맙 (Ganitumab), 테프로투무맙 (Teprotumumab), 베르메키맙 (Bermekimab), 카나기누맙 (Canakinumab), 게보키주맙 (Gevokizumab), 브리아키누맙 (Briakinumab), 우스테키누맙 (Ustekinumab), 안루킨주맙 (Anrukinzumab), 쎈다키맙 (Cendakimab), 레브리키주맙 (Lebrikizumab), 트랄로키누맙 (Tralokinumab), 브로달루맙 (Brodalumab), 비메키주맙 (Bimekizumab), 익세키주맙 (Ixekizumab), 세쿠기누맙 (Secukinumab), 브라지쿠맙 (Brazikumab), 구셀쿠맙 (Guselkumab), 미리키주맙 (Mirikizumab), 리산키주맙 (Risankizumab), 틸드라키주맙 (Tildrakizumab), 네몰리주맙 (Nemolizumab), 임시돌리맙 (Imsidolimab), 스페솔리맙 (Spesolimab), 파스콜리주맙 (Pascolizumab), CBP201, 두필루맙 (Dupilumab), 데페모키맙 (Depemokimab), 메폴리주맙 (Mepolizumab), 레슬리주맙 (Reslizumab), 벤랄리주맙 (Benralizumab), 클라자키주맙 (Clazakizumab), 올로키주맙 (Olokizumab), 실툭시맙 (Siltuximab), 시루쿠맙 (Sirukumab), 질티베키맙 (Ziltivekimab), 레빌리맙 (Levilimab), 사릴루맙 (Sarilumab), 사트랄리주맙 (Satralizumab), 토씰리주맙 (Tocilizumab), HuMax-IL8, 아비투주맙 (Abituzumab), 파베젤리맙 (Favezelimab), 피안리맙 (Fianlimab), GSK2831781, 이에라밀리맙 (Ieramilimab), INCAGN02385, 렐라틀리맙 (Relatlimab), 심투주맙 (Simtuzumab), 아바고보맙 (Abagovomab), 오레고보맙 (Oregovomab), 타네주맙 (Tanezumab), BMS-986178, GSK3174998, INCAGN01949, 이븍솔리맙 (Ivuxolimab), 로카틴리맙 (Rocatinlimab), 타볼리맙 (Tavolimab), 델라조를리맙 (Telazorlimab), 본레롤리주맙 (Vonlerolizumab), 알리로쿠맙 (Alirocumab), 보코씨주맙 (Bococizumab), 에브로누씨맙 (Ebronucimab), 에볼로쿠맙 (Evolocumab), 프로보씨맙 (Frovocimab), 온게리씨맙 (Ongericimab), 타폴레씨맙 (Tafolecimab), 도스타를리맙 (Dostarlimab), 발스틸리맙 (Balstilimab), 캄렐리주맙 (Camrelizumab), 쎄미플리맙 (Cemiplimab), 겝타놀리맙 (Geptanolimab), MEDI0680, 니볼루맙 (Nivolumab),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 펜풀리맙 (Penpulimab), 피딜리주맙 (Pidilizumab), 프롤골리맙 (Prolgolimab), 레티판리맙 (Retifanlimab), 사산리맙 (Sasanlimab), 세르플루리맙 (Serplulimab), 신틸리맙 (Sintilimab), 스파르탈리주맙 (Spartalizumab), 티슬렐리주맙 (Tislelizumab), 토리팔리맙 (Toripalimab), 에자벤리맙 (Ezabenlimab), 짐베렐리맙 (Zimberelimab),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 아벨루맙 (Avelumab), 코시벨리맙 (Cosibelimab), 수게말리맙 (Sugemalimab), 두르발루맙 (Durvalumab), IMC-001, 엔바폴리맙 (Envafolimab), 수브라톡수맙 (Suvratoxumab), 데노수맙 (Denosumab), 질로베르타맙 (Zilovertamab), NC318, 엘로투주맙 (Elotuzumab), NIS793, BMS-986207, 돔바날리맙 (Domvanalimab), EOS-448, 에티길리맙 (Etigilimab), 오씨페를리맙 (Ociperlimab), 티라골루맙 (Tiragolumab), 비보스톨리맙 (Vibostolimab), 수르제비씰리맙 (Surzebiclimab), 코볼리맙 (Cobolimab), 사바톨리맙 (Sabatolimab), TQB2618, 콘씨주맙 (Concizumab), 마르스타씨맙 (Marstacimab), 아달리무맙 (Adalimumab), 골리무맙 (Golimumab), 인플릭시맙 (Infliximab), 쎄르톨리주맙 페골 (Certolizumab pegol), 코나투무맙 (Conatumumab), 티가투주맙 (Tigatuzumab), 테제펠루맙 (Tezepelumab), 가티포투주맙 (Gatipotuzumab), 카비랄리주맙 (Cabiralizumab), 베바씨주맙 (Bevacizumab), 브롤루씨주맙 (Brolucizumab), 라니비주맙 (Ranibizumab), 올린바씨맙 (Olinvacimab), 이크루쿠맙 (Icrucumab), 라무씨루맙 (Ramucirumab), 카프라씨주맙 (Caplacizumab), 아부릴루맙 (Abrilumab), 에트롤리주맙 (Etrolizumab), 베돌리주맙 (Vedolizumab), 인테투무맙 (Intetumumab), 나탈리주맙 (Natalizumab), DSP107, RO7122290, 씬레바프스프 알파 (Cinrebafusp alfa), GEN1042, 로지바프스프 알파 (Rozibafusp alfa), GEN1044, 오브린다타맙 (Obrindatamab), GEN1047, 엘라나타맙 (Elranatamab), 린보셀타맙 (Linvoseltamab), 테클리스타맙 (Teclistamab), 엡코리타맙 (Epcoritamab), 글로피타맙 (Glofitamab), 모수네투주맙 (Mosunetuzumab), 오드로넥스타맙 (Odronextamab), 플로테투주맙 (Flotetuzumab), 비베코타맙 (Vibecotamab), 카투막소맙 (Catumaxomab), 씨비사타맙 (Cibisatamab), TAK-186, 탈쿠에타맙 (Talquetamab), 우바마타맙 (Ubamatamab), NVG-111, 엠피자타맙 (Emfizatamab), HPN536, AFM13, 블리나투모맙 (Blinatumomab), ISB1442, CPO107, AFM24, 아미반타맙 (Amivantamab), MCLA-129, SI-B001, 에미씨주맙 (Emicizumab), Mim8, 제노쿠투주맙 (Zenocutuzumab), 자니다타맙 (Zanidatamab), 티불리주맙 (Tibulizumab), GI-101, 보바릴리주맙 (Vobarilizumab), REGN5668, HX009, 카도닐리맙 (Cadonilimab), 부달리맙 (Vudalimab), EMB-02, RO7247669, 테보텔리맙 (Tebotelimab), IBI318, AZD2936, AZD7789, RO7121661, 이보네스씨맙 (Ivonescimab), IBI322, ES101, GEN1046, PRS-344, 에르폰릴리맙 (Erfonrilimab), FS118, 빈트라프스프 알파(Bintrafusp alfa), HB0036, HLX301, NM21-1480, 오조랄리주맙 (Ozoralizumab), BI836880, 파리시맙 (Faricimab), 바누씨주맙 (Vanucizumab ), 나비씩시주맙 (Navicixizumab), IBI302, 나프투모맙 에스타페나톡스 (Naptumomab estafenatox), 벨란타맙 마포도틴 (Belantamab mafodotin), DS-7300, MGC018, 피베키맙 수니린 (Pivekimab sunirine), 프랄루자타맙 라브탄신 (Praluzatamab ravtansine), 콜툭시맙 라브탄신 (Coltuximab ravtansine), 데닌투주맙 마포도틴 (Denintuzumab mafodotin),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Loncastuximab tesirine),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Ibritumomab tiuxetan),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Inotuzumab ozogamicin), 에프라투주맙 씨스 테시린 (Epratuzumab-cys-tesirine), 목세투모맙 파수도톡스 (Moxetumomab pasudotox), 브렌툭시맙 베도틴 (Brentuximab vedotin),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Gemtuzumab ozogamicin), 바다스툭시맙 탈리린 (Vadastuximab talirine), STI-6129, FOR46, 로보투주맙 메르탄신 (Lorvotuzumab mertansine), 폴라투주맙 베도틴 (Polatuzumab vedotin), 투사마타맙 라브탄신 (Tusamitamab ravtansine), 텔리소투주맙 베도틴 (Telisotuzumab vedotin), 로발피투주맙 테시린 (Rovalpituzumab tesirine), 데파툭시주맙 마포도틴 (Depatuxizumab mafodotin), 파를레투주맙 에크테리불린(Farletuzumab ecteribulin), 미르베툭시맙 소라브탄신 (Mirvetuximab soravtansine), ARX788,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 (Trastuzumab deruxtecan), 트라스투주맙 듀오카르마진 (Trastuzumab duocarmazine), A166,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Trastuzumab emtansine), DP303c, MRG002, BDC-1001, SHR-A1811, 디시타맙 베도틴 (Disitamab vedotin), 페르투주맙 주보톨리모드 (Pertuzumab zuvotolimod), 파트리투맙 데룩스테칸 (Patritumab Deruxtecan), 아네투맙 라브탄신 (Anetumab ravtansine), BMS-986148, 엔포르투맙 베도틴 (Enfortumab vedotin), NBE-002, MRG004, ABBV-3373, 및 씨투주맙 고비테칸 (Sacituzumab Goviteca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용체 또는 수용성 수용체와 Fc 융합 단백질에 포함되는 수용성 수용체는 TNF-α 수용성 수용체, VEGF 수용성 수용체, CTLA-4, 인터루킨1 수용성 수용체 및 LFA3 수용성 수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용체와 Fc의 융합 단백질은 에타너셉트(Etanercept), 아플리버셉트(Aflibercept), 컨버셉트 (Conbercept), OPT-302, 아바타셉트 (Abatacept), 벨라다셉트(Belatacept), 릴로나셉트 (Rilonacept), 인바키셉트 (Inbakicept), 알레파셉트 (Alefacept), 에보르파셉트 (Evorpacept), 온토르파셉트 (Ontorpacept), TTI-622, 소타테르셉트 (Sotatercept), 달란테르셉트 (Dalantercept), 아카지콜셉트 (Acazicolcept), 및 다조달리베프 (Dazodalibep)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7. 히알루로니다제 및 폴록사머(poloxamer) 계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8. 제1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18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9. 제1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는 0.001% 내지 1.5%(w/v)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0. 제1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는 말산염 (malate), 폼산염 (formate), 시트르산염 (citrate), 아세테이트 (acetate), 프로피오네이트 (propionate), 피리딘 (pyridine), 피페라진 (piperazine), 카코딜산 (cacodylate), 석신산 (succinate), 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 히스티딘 (histidine), 트리스 (Tris), 비스-트리스 (bis-Tris), 인산염 (phosphate), 에탄올아민 (ethanolamine), 탄산염 (carbonate), 2-에테인술폰산 (piperazine-N,N′-bis(2-ethanesulfonic acid), PIPES), 이미다졸 (imidazole), 비스-트리스 프로판 (BIS-TRIS propane), BES (N,N-bis(2-hydr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 MOPS (3-(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HEPES (Hydroxyethyl piperazine Ethane Sulfonic acid), 피로인산염(pyrophosphate), 및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완충제이고;
    상기 안정화제는 탄수화물, 당류 또는 이들의 수화물, 당알콜류 또는 이들의 수화물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수화물, 당류 또는 당알콜류는 트레할로스 또는 그의 수화물, 수크로스, 사카린, 글리세롤, 에리스톨, 트레이톨, 자일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만니톨, 소르비톨, 갈락티톨, 푸시톨, 아이디톨, 이노시톨, 볼레미톨, 이소말트, 말티톨, 폴리글리시톨,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하이드로옥실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Beta-cyclodextrin)및 글루코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아미노산은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라이신, 라이실라이신, 류신, 메티오닌, 발린, 세린, 셀레노메티오닌, 시트룰린, 아르지닌, 아스파라진, 아스파트산, 오르니틴, 아이소류신, 타우린, 테아닌, 트레오닌, 트립토판,타이로신,페닐알라닌,프롤린,피롤라이신,히스티딘및 알라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3. 제30항에 있어서, 50~350 ㎎/mL의 항체,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항-HER2 항체 또는 면역관문항체, 100 내지 20,000 units/mL의 PH20 변이체, 0.001% 내지 1.5%(w/v)의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 pH 5.5 ± 2.0를 제공하는 0.001 내지 200 mM의 히스티딘 완충액 및 10 내지 400 mM의 α,α-트레할로스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1 내지 50 mM의 메티오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120±18㎎/mL mg/mL의 항-HER2 항체 또는 면역관문항체, 1,500 내지 12,000 units/mL의 PH20 변이체, 0.1% 내지 0.5% (w/v)의 폴록사머 계열 계면활성제, pH 5.5 ± 2.0를 제공하는 10 내지 30 mM 히스티딘 완충액, 180 내지 230 mM α,α-트레할로스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8 내지 15 mM의 메티오닌을 추가로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2℃의 조건 하에서, 7일 경과 후에 잔존 효소 활성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하 투여용 제형.
  37. 제36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희석 과정 없이 즉시 투여 가능한 (ready-to-injection)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투여용 제형.
  38. 제37항에 있어서,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유리 앰플, 플라스틱 용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또는 오토 인젝터 (Auto-injector)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투여용 제형.
KR1020220141287A 2021-10-29 2022-10-28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30064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385 2021-10-29
KR20210146385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559A true KR20230064559A (ko) 2023-05-10

Family

ID=8616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87A KR20230064559A (ko) 2021-10-29 2022-10-28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424301A1 (ko)
KR (1) KR20230064559A (ko)
CN (1) CN118695873A (ko)
AU (1) AU2022376750A1 (ko)
CA (1) CA3236277A1 (ko)
MX (1) MX2024005173A (ko)
WO (1) WO2023075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4735A1 (en) * 2022-12-01 2024-06-06 I-Mab Biopharma (Hangzhou) Co., Ltd. Liquid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anti-gm-csf antibody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604A2 (en) * 2009-09-17 2011-03-24 Baxter Healthcare, S.A. Stable co-formulation of hyaluronidase and immunoglobul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3974715A (zh) * 2011-06-17 2014-08-06 哈洛齐梅公司 乙酰透明质酸降解酶的稳定制剂
EP2797622B1 (en) * 2011-12-30 2016-10-12 Halozyme, Inc. Ph20 polypeptide variants,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EP3636752A4 (en) * 2018-07-25 2021-04-28 Alteogen, Inc. NEW HYALURONIC ACID HYDROLYZING ENZYMUTANT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IS
CN116870164B (zh) * 2019-03-25 2024-07-23 阿特根公司 用于皮下注射的包含人透明质酸酶ph20变体和药物的药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76750A1 (en) 2024-05-16
CN118695873A (zh) 2024-09-24
WO2023075506A1 (ko) 2023-05-04
EP4424301A1 (en) 2024-09-04
CA3236277A1 (en) 2023-05-04
MX2024005173A (es)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853B1 (ko)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의 변이체와 약물을 포함하는 피하투여용 약학 조성물
US11986526B2 (en) Liquid protein formulations containing 4-ethyl-4-methylmorpholinium methylcarbonate (EMMC)
KR20230064559A (ko)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과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TWI781415B (zh) 用於皮下注射之包含人類玻尿酸酶ph20變異體及藥物的醫藥組合物
TWI788188B (zh) 用於皮下注射之包含人類玻尿酸酶ph20變異體及藥物的醫藥組合物
RU2810952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вариант рн20 гиалуронидазы человека,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дкожного введения
TW202245833A (zh) 用於皮下注射之包含人類玻尿酸酶ph20變異體及藥物的醫藥組合物
TW202313112A (zh) 用於皮下注射之包含人類玻尿酸酶ph20變異體及藥物的醫藥組合物
EA047666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вариант ph20 гиалуронидазы человека,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дкожного введения
RU2024114375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гиалуронидазу ph20 человека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