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514A -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514A
KR20230064514A KR1020220025868A KR20220025868A KR20230064514A KR 20230064514 A KR20230064514 A KR 20230064514A KR 1020220025868 A KR1020220025868 A KR 1020220025868A KR 20220025868 A KR20220025868 A KR 20220025868A KR 20230064514 A KR20230064514 A KR 2023006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data
communication
state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규
Original Assignee
강남앤인코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앤인코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남앤인코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514A/en
Publication of KR2023006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 디바이스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서도 중계기를 통해 작업자 상태에 관한 제1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중계기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로부터의 제1 피드백 데이터가 통신 중계기, 작업자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차례로 거쳐 통신 불가한 지역에 있는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 디바이스 및 관리자 서버를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에서의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지하철이나 지하 주차장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건설 현장에서도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first feedback data about a worker status through a repeater even in an area where a worker device cannot be connected, and transmitting second feedback data about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repeater. .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us check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eedback data from the manager server can be transmitted to a worker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via a communication repeater, a worker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 turn, and at the same time , Since the second feedback data on the state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relaying the worker device and the manager serve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communication even at construction sites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wearable devices is not allowed, such as subways or underground parking lots It may be easi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Description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본 발명은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작업자 디바이스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서도 중계기를 통해 작업자 상태에 관한 제1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중계기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first feedback data about a worker status through a repeater even in an area where it is impossible to connect to a worker device and transmitting second feedback data about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repeater, and It's about how.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신체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청각 또는 촉각 등의 형태로 신체에 자극을 전달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일상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in a form wearable on the body to measure various data from the body or to transmit stimulation to the body in the form of hearing or touch. The wearable device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of daily life, and can also be used for checking the condition of a worker at a construction site.

건설 현장의 특성에 따라, 예를 들면 지하철이나 지하 주차장을 건설하는 현장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현장에서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작업자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관리자 서버를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가 활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earable device may not be allowed at a site where a subway or underground parking lot is being built. A communication relay relaying the manager server may be utilized.

다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데이터 수집 빈도, 데이터 발송 빈도, 또는 건설 현장의 작업자들의 인원수에 따라, 정해진 대역폭을 갖는 통신 중계기의 무선 통신 상태가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신 중계기에 대해서도 별도의 피드백을 통해 무선 통신 상태를 관리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However,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of a communication repeater having a predetermined bandwid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data collection of the wearable device, the frequency of data transmission, or the number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hecks a worker's condition at a construction site, it may be required to manage a wireless communication state through separate feedback even for a communication repeater.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 중계기에 대해서도 별도의 피드백을 통해 무선 통신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through separate feedback for a communication repeater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that checks the status of a worker at a construction site. is to do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제1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고, 상기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송신하는 작업자 디바이스;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제2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으로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 및 상기 통신 중계기와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생체 상태와 상기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는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와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worker's body and collects worker data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at a data collection period. Wearable device to collect according to; a worker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wearable device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period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a communication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ying the processing worker data to an area where the worker device cannot be connected; and the first feedback data for the living body state and the motion state based on the processing operator data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data based on the state of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through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anager server that transmits second feedback data for the transmission period.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방법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제1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는 작업자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제2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중계기를 통해,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으로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중계기와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서버를 통해,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생체 상태와 상기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는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와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orker's body,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Collect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collection cycle; Transmitting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cycle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through a worker device interlocked with the wearable device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relaying the processing worker data to an area where the worker device and the connection cannot be reached through a communication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first feedback data for the living body state and motion state based on the processing worker data and th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state of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manager serv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through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second feedback data for the period and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로부터의 제1 피드백 데이터가 통신 중계기, 작업자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차례로 거쳐 통신 불가한 지역에 있는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 디바이스 및 관리자 서버를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에서의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지하철이나 지하 주차장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건설 현장에서도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us check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eedback data from the manager server can be transmitted to a worker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via a communication repeater, a worker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in turn, and at the same time , Since the second feedback data on the state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relaying the worker device and the manager serve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communication even at construction sites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wearable devices is not allowed, such as subways or underground parking lots It may be easi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작업자 디바이스 및 관리자 서버 상호간의 연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공정 진척도에 따라 신규 지역에 통신 중계기를 추가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체온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lements constituting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 wearable device, a worker device, and a manager serv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ding a communication repeater to a new area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 temperature sensor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s constituting a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e check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ly for specify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심사기준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임의로 선정되는 용어의 의미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사전적 의미만이 아닌, 명세서의 전반적인 맥락을 반영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general terms wide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meanings of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intentions of technicians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xamination standards or precedents. etc. may vary.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s of the arbitrarily selected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reflecting the overall context of the specification, not just dictionary mean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되는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및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되는 경우 또한 해당 용어로부터 의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nsisting' or 'compris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if some components or steps are not included, and when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re further included, it should also be construed as intended from the term.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or 'seco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but the compon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ordinal numbers. .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hould only be constru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or step from other components or step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elements constituting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작업자 디바이스(120), 통신 중계기(130) 및 관리자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범용적인 요소들이 시스템(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100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10 , a worker device 120 , a communication relay 130 and a manager server 14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general-purpose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ystem 100 .

시스템(100)은 건설 현장에서 근로하는 작업자들의 건강 상태 또는 안전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작업자 상태 체크를 위해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refer to a system for checking the health status or safety status of workers working at a construction site. System 100 may be a communication system that utilizes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to check worker status.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고,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수집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0, the wearable device 110 may be worn on a body of a worker, and may collect worker data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according to a data collection period.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안경, 웨어러블 컴퓨터, 또는 스마트 속옷 등과 같이 작업자 신체로부터 데이터를 측정하고, 작업자 신체에 시각/청각/촉각 등의 자극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측정하는 작업자 데이터는 작업자의 생체 상태 및 움직임 상태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분당 1회 등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변의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작업자 데이터를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1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various body parts of a worker, for example, measures data from a worker's body, such as a smart watch, smart glasses, wearable computer, or smart underwear, and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delivering stimuli such as visual/auditory/tactile to the body. Worker data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10 may be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10 may measure and collect worker data according to a preset variable data collection cycle, such as once per minute.

시스템(100)에서,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제1 무선 통신으로 연동될 수 있고,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0, the worker device 120 may interwork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transmit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period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데이터 처리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작업자 디바이스(120)에 해당할 수 있다.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연동되거나 1:1로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은 모델명 HM-19의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The worker device 120 may ref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wned by a worker.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devices hav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correspond to the worker device 120 . The worker device 120 may be interworked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or paired 1:1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110 may be a Bluetooth module of model name HM-19.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하여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무선 통신의 상태를 고려하여 건강 상태 데이터 및 안전 상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을, 또는 양자 각각의 일부만을 가공할 수 있다. 작업자 데이터에 대한 가공은 정렬, 필터링, 일부 삭제, 압축, 또는 기타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다른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또는 요청이 있을 때에만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worker device 120 may generate processing worker data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For example, the worker device 120 may process only one of health state data and safety state data, or only a portion of each of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of worker data may include sorting, filtering, partial deletion, compression, or other forms of data processing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he worker device 120 may transmit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cycle or only when requested.

시스템(100)에서, 통신 중계기(130)는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제2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으로 중계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0 ,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120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relay processing worker data to an area where the worker device 120 cannot be connected.

통신 중계기(130)는 LTE, 5G, WLAN(WiFi) 등의 상용의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연결될 수 있다. 원거리 무선 데이터의 용어는 전술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대비 보다 먼 거리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통신 중계기(130)에 의하면,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이 불가한 지역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지하 공사 현장에서 지상의 관리자 서버(140)로 가공 작업자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120 through commercial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TE, 5G, and WLAN (WiFi). The term of long-distance wireless data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 data communication performed at a greater distance than the aforementioned short-range wireless data.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processing worker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140 on the ground even in an area wher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er device 120 is impossible, for example, at an underground construction site.

통신 중계기(130)는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중계기(130)는 무선 통신 중계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AP), 가상 사설망(VPN), 라우터 및 IDC를 차례로 거쳐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사설망(VPN)은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설치될 수 있고, LTE 또는 5G 데이터 통신에 관한 라우터는 원거리 무선 통신이 불가한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Communication repeater 1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may relay processing operator data via an access point (AP) for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a router, and an IDC in sequence. On the other hand,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orker device 120 is possible, and a router for LTE or 5G data communication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시스템(100)에서, 관리자 서버(140)는 통신 중계기(130)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는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는 데이터 수집 주기와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system 100,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130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first feedback data for the living body state and motion state based on the processing operator data and the state of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feedback data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based thereon may be transmitted.

관리자 서버(140)는 통신 중계기(130)에 의해 중계되는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송신하기 위한 전자 구성품들을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 서버(140)는 DRAM, SSD, HDD 등과 같은 메모리 및 CPU, GPU, AP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리자 서버(140)는 통신 중계기(130)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중계기(130)는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작업자 디바이스(120) 및 관리자 서버(14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a server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for storing and processing data relayed by the communication relay 130 and transmitting the result back. For example,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emory such as DRAM, SSD, HDD, and the like, and a processor such as CPU, GPU, and AP.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130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relay 130 may exchange data with the worker device 120 and the manager server 140 in the same communication method.

관리자 서버(140)는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의 심박수나 혈중 산소포화도, 또는 체온과 같은 생체 상태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의 휴식을 권유하는 제1 피드백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속도나 가속도, 자이로 각속도 등과 같은 움직임 상태 데이터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의 낙상과 같은 안전 상태에 관한 제1 피드백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manager server 140 may generate first feedback data for a biological state and a movement state based on processing operator data. For example, when the worker's bio-state data, such as hear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or body temperature, is out of a normal range, first feedback data recommending the worker to rest may be generated. Alternatively, when movement state data such as the worker's speed, acceleration, or gyro angular velocity is out of a normal range, first feedback data regarding a safety state such as the worker's fall may be generated.

관리자 서버(140)는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집 주기와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중계기(130)에서의 원거리 무선 통신의 제한된 대역폭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관리자 서버(140)는 통신 안정성을 위해 데이터 송신량이 감소하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데이터 수집 주기 및 작업자 디바이스(120)의 데이터 송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는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4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제2 피드백 데이터는 통신 중계기(130)를 통해 작업자 디바이스(12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달될 수 있다.The manager server 140 may generate second feedback data for a data collection period and a data transmission period based on a state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data exceeding the limited bandwidth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is transmitted, the manager server 140 se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e wearable device 110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stability.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second feedback data that reduces at least one of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of the worker device 120. The first feedback data and the second feedback data generated by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device 120 and the wearable device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130 .

위와 같은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가 수행하는 동작 과정에 의하면, 작업자의 건강/안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뿐만 아니라, 통신 중계기(130)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제2 피드백 데이터가 생성되어 피드백될 수 있으므로, 지하철이나 지하 주차장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의 무선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건설 현장에서도 시스템(100)의 통신 안정성이 보다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ces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100 as above, second feedback data regarding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relay 130 as well as the first feedback data on the health / safety state of the operator are generated, Since feedback can be provided,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system 100 can be more easily secured even in a construction site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is not permitted, such as in a subway or underground parking lot.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작업자 디바이스 및 관리자 서버 상호간의 연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a wearable device, a worker device, and a manager serv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00)에서 스마트 워치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하나인 블루투스로 스마트폰 형태의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페어링될 수 있고, 이들의 연동은 다시 관리자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system 100, a wearable device 110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can be paired with a worker device 120 in the form of a smart phone through Bluetooth, which is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ir interworking is again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It may be registered in the server 140.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작업자 디바이스(120)의 관리자 서버(140)로의 등록은 양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양자가 페어링되어 동시에 등록될 수도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작업자 디바이스(120)의 등록은 관리자 서버(140)를 운영하는 시스템(100)의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나 기타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디바이스(120)에서 QR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시스템(100)의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읽는 방식으로 등록이 진행될 수도 있다.Regist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worker device 120 to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performed individually, or both may be paired and registered at the same time. Meanwhile, regist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worker device 120 may be performed through a smartphone or other device of a manager of the system 100 that operates the manager server 140 . In this case, as shown,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by generating a QR code in the worker device 120 and reading it through a smartphone of a manager of the system 100.

시스템(100)에서 상호 연동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작업자 디바이스(120)가 관리자 서버(140)에 등록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착용한 작업자가 관리자 서버(140)와 LTE/5G 데이터 통신이 불가한 지역(예를 들면, 지하철 공사 현장 등)에 있더라도, 통신 중계기(130)의 VPN 및 라우터 등을 거쳐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When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 worker device 120 interoperated in the system 100 are registered with the manager server 140, the work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110 transmits the manager server 140 and LTE/5G data Even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eg, a subway construction site, etc.), it may be possible to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via a VPN and a router of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에서 상호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들이 위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관리자 서버(140, 관리자 디바이스)가 통신 중계기(13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 a process of exchanging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relay 130 between a wearable device 110 and a manager server 140 (manager device) in which areas where mutual communication is impossible in the system 100 is located is shown. .

이와 관련하여, 통신 중계기(130)는 적어도 i) 관리자 서버(140)와 연결 가능한 지역의 라우터(133) 및 ii) 관리자 서버(140)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의 가상 사설망(VPN)(132)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 사설망(132)은 제1 중계 대역폭으로 작업자 디바이스(120) 및 라우터(133)를 중계할 수 있고, 라우터(133)는 제1 중계 대역폭보다 큰 제2 중계 대역폭으로 가상 사설망(132) 및 관리자 서버(140)를 중계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communication relay 130 includes at least i) a router 133 in an area connectable to the manager server 140 and ii)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132 in an area unreachable with the manager server 140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may relay the worker device 120 and the router 133 with a first relay bandwidth, and the router 133 may have a second relay bandwidth greater than the first relay bandwidth, and the virtual private network ( 132) and the manager server 140 may be relayed.

가상 사설망(132) 및 라우터(133) 외에도, 통신 중계기(130)는 액세스 포인트(AP)(131) 및 IDC(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31)는 POE 스위치를 통해 가상 사설망(132)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라우터(133)는 LTE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LTE 라우터, 또는 5G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5G 라우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사설망(132)의 제1 중계 대역폭은 30 Mbps일 수 있고, 라우터(133)의 제2 중계 대역폭은 100 Mbps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다른 수치가 제1/제2 중계 대역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and the router 133, the communication relay 130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point (AP) 131 and an IDC 134. The access point 131 may be connected to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through a POE switch. Meanwhile, the router 133 may be an LTE router for relaying LTE data or a 5G router for relaying 5G data. For example, the first relaying bandwidth of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may be 30 Mbps, the second relaying bandwidth of the router 133 may be 100 Mbps, and other appropriate values as necessary may be the first/second relaying Bandwidth can be set.

위와 같이, 통신 중계기(130)의 가상 사설망(132)의 제1 중계 대역폭 및 라우터(133)의 제2 중계 대역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초과하는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한다면 통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신 중계기(130)에 제공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relay bandwidth of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of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and the second relay bandwidth of the router 133 are set, if data traffic exceeding these is generated, long distance to secure communication stability. It may be requested to provide the communication relay 130 with second feedback data about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시스템(100)의 통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첫번째 방식과 관련하여, 제1 중계 대역폭 및 제2 중계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가 초과되는 경우, 관리자 서버(140)는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수집 주기 및 데이터 송신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first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system 100 through the second feedback data,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lay bandwidth and the second relay bandwidth is exceeded, the manager server 140 sends the second feedback data At least one of a data collection period and a data transmission period may be increased through.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로부터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작업자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주기를 증가시켜 데이터 처리의 빈도를 감소시키면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이 감소하여 다시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1/제2 중계 대역폭에 여유가 있는 경우 데이터 수집/송신 주기가 증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110 collects worker data related to the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from the worker's body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cycle, and the worker device 120 processes the worker data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cycle. Since the worker data is being transmitted, if the frequency of data processing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period of these data traffic in the system 100 is reduced, and st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achieved again. Conversely, the data collection/transmission cycle may increase if there is a margin in the first/second relaying bandwidth.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시스템(100)의 통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두번째 방식과 관련하여, 가공 작업자 데이터는 작업자 데이터로부터 가공되는 제1 카테고리 데이터 및 미가공되는 제2 카테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중계 대역폭 및 제2 중계 대역폭 적어도 하나가 초과되는 경우, 관리자 서버(140)는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제2 카테고리 데이터 대비 제1 카테고리 데이터의 비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Regarding the second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system 100 through the second feedback data, the processing operator data may include first category data processed from operator data and second category data that is not processed,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laying bandwidth and the second relaying bandwidth is exceeded, the manager server 140 may increase the weight of the first category data to the second category data through the second feedback data.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데이터에 대한 가공은 정렬, 필터링, 일부 삭제, 압축, 또는 기타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다른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을 통한 제1 카테고리 데이터는 제2 카테고리 데이터 대비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카테고리 데이터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우 시스템(100) 전체의 데이터 트래픽이 감소하여 통신 안정화가 달성될 수 있다.As noted above, processing of operator data may include sorting, filtering, deleting, compression, or other forms of data processing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First category data through such processing may have higher transmission efficiency than second category data. Accordingly, when the proportion of the first category data increases, data traffic of the entire system 100 decreases, thereby achieving communication stabilization.

제2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시스템(100)의 통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세번째 방식과 관련하여,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100)은 가상 사설망(132) 및 라우터(133)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별 서버(151, 15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중계 대역폭 및 제2 중계 대역폭 적어도 하나가 초과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선별 서버(151, 152)는 가공 작업자 데이터 중 생체 상태 및 움직임 상태와의 연관성이 기설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선별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관리자 서버(140)에 송신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third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system 100 through the second feedback data, the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us check system 100 includes at least one selection connected to the virtual private network 132 and the router 133. It may further include servers 151 and 152,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lay bandwidth and the second relay bandwidth is exceeded, the at least one sorting server 151 or 152 determines the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of the processing worker data and Selected data whose relevance exceeds a preset threshold may be filter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server 140 .

즉, 적어도 하나의 선별 서버(151, 152)가 활용되는 경우 시스템(100)의 트래픽에서 모든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대신, 그 중에 선별된 일부의 데이터만이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100) 전체의 데이터 트래픽이 감소하여 통신 안정화가 달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at least one of the screening servers 151 and 152 is utilized, instea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ll data from the traffic of the system 100, only a selected part of th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Communication stabilization can be achieved by reducing data traffic.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공정 진척도에 따라 신규 지역에 통신 중계기를 추가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ding a communication repeater to a new area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시스템(100)에 대응되면서, 건설 현장의 공정 진척도에 따른 신규 중계 지역(160)에 추가로 액세스 포인트(AP) 및 가상 사설망(VPN) 등이 설치되는 시스템(400)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while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system 100, a system 400 in which an access point (AP) and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new relay area 16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site. ) is shown.

시스템(400)에서는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131) 및 가상 사설망(132)에 의해서는 중계되지 않는 새로운 지역,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31) 및 가상 사설망(132)이 설치된 지하4층의 공정을 완료하고 그 다음으로 지하3층의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신규 중계 지역(160)을 활용하여 시스템(400)의 통신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400)에서는 건설 현장의 공정 진척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In the system 400, a new area that is not relayed by the existing access point 131 and virtual private network 132, for example, completes the process of the fourth basement floor where the access point 131 and virtual private network 132 are installed. And even when the process of the third basement level is performed next,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system 400 can be secured by utilizing the new relay area 160 . Meanwhile, in the system 400,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site.

먼저, 관리자 서버(140)는 제1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따라 데이터 수집 주기 중 생체 상태를 수집하는 주기 및 움직임 상태를 수집하는 주기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따라 작업자의 체온, 심박, 산소포화도에 의한 건강 상태가 주로 문제되는 것인지, 또는 낙상 등과 같은 안전 상태가 주로 문제되는 것인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공정 단계에 따라 생체 상태 및 움직임 상태를 수집하는 상대 빈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First, the manager server 140 may differently set a biological state collection cycle and a motion state collection cycle among data collection cycles according to the process stage of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first feedback data.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process step of the construction site, whether the main problem is the worker's health status due to body temperatur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or whether the safety condition, such as a fall, is a major problem. A method of changing the relative frequency of collecting the biological state and motion state may be utilized.

다음으로,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자 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고, 관리자 서버(14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출석 체크를 수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따른 작업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제1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경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공정 단계별 작업 위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근로 태도가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다.Next, the worker device 120 may transmit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r server 140, the manager server 140 may perform an attendance check of the work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orker may check the construction site. When leaving the work area according to the process step of the first feedback data can transmit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work attitude of the worker can be easily managed based on the work position at each stage of the process.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체온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body temperature sensor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체온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510, 520, 530)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지(510, 520, 530)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시되었을 뿐, 이와 다른 구조나 형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각종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mages 510 , 520 , and 530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110 are shown. The images 510, 520, and 530 are only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wearable device 110 and various sensors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or shape may be utilized.

먼저, 생체 상태는 작업자의 심박수, 산소포화도 및 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움직임 상태는 작업자의 가속도 및 자이로 각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심박수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산소포화도 센서, 작업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센서 및 작업자의 가속도 및 자이로 각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피드백 데이터는 작업자의 심박수, 산소포화도 및 체온에 기초하는 작업자의 작업 강도 피드백 및 작업자의 가속도 및 자이로 각속도에 기초하는 작업자의 안전 상태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biological state may include the worker's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body temperature, the movement state may include the worker's acceleration and gyro angular velocity, and the wearable device 110 may measure the worker's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 heart rate/oxygen saturation sensor,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worker's body temperature, and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worker's acceleration and gyro angular velocity, wherein the first feedback data is based on the worker's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body temperature. It may include worker's work intensity feedback and worker's safe state feedback based on the worker's acceleration and gyro angular velocity.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생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심박/산소포화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체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xim Integrated사의 MAX86141 모델이 심박/산소포화도 센서로 활용될 수 있고, InvenSense사의 MPU-6500 모델이 자이로 센서로 활용될 수 있고, TDK사의 B57861S0103H040 모델이 체온 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생체 상태 및 움직임 상태에 기초하여 각각 작업 강도 피드백 및 안전 상태 피드백이 생성될 수 있고, 이들이 제1 피드백 데이터를 형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That is, the wearable device 110 may include a heart rate/oxygen satu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worker's biological condition. For example, Maxim Integrated's MAX86141 model can be used as a heart rate/oxygen saturation sensor, InvenSense's MPU-6500 model can be used as a gyro sensor, and TDK's B57861S0103H040 model can be used as a body temperature sensor. Work intensity feedback and safety state feedback may be generated, respectively, based on the biometric state and the movement state measured through various sensors of the wearable device 110, and these form first feedback data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10. can be passed on to

한편, 이미지(510, 520, 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체온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와 관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를 포함할 수 있고, 체온 센서는 작업자의 손목에 접촉하는 금속제 접촉부,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를 통해 금속제 접촉부에 연결되는 서미스터(thermistor) 및 서미스터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체온을 추정하는 PCB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images 510, 520, and 530, in relation to a structure capable of more accurately measuring a worker's body temperature, the wearable device 110 may include a smart watch worn on the worker's wrist, The body temperature sensor may include a metal contact part contacting the worker's wrist, a thermistor connected to the metal contact part through thermal grease, and a PCB calculation unit estimat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orker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ermistor. .

위와 같은 체온 센서의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의 손목에 직접 접촉하는 금속제 접촉부에 작업자의 체온이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 체온이 서멀 그리스를 통해 서미스터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PCB 연산부는 작업자 체온 변동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서미스터의 저항 변동에 기초하여 측정값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체온 변동에 따라 제1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ody temperature sensor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s body temperatur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etal contact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worker's wrist, and this body temperat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thermistor through the thermal grease. Since a measurement value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resistance variation of the thermistor that is directly reflected, accuracy of generating the first feedback data according to the operator's body temperature variation can be improved.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로부터 데이터를 측정할 때 스마트 워치 등을 통한 접촉 방식 외에도, 비접촉 생체 측정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비접촉 생체 측정 방식으로 작업자의 초기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초기 건강 상태를 이후 측정되는 생체 상태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접촉 생체 측정 방식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작업자의 신체가 반드시 접촉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형상이나 구조의 제약이 감소할 수 있다.Meanwhile, when measuring data from a worker, the wearable device 110 may utilize a non-contact biometric method in addition to a contact method through a smart watch or the like.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10 may check the worker's initial health condition in a non-contact biometric method, and synchronize the initial health condition with the biometric condition measured thereafter. According to such a non-contact biometric measurement method, since the wearable device 110 does not necessar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perator's body, restrictions on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wearable device 110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비접촉 생체 측정 방식은 작업자 신체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미지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관심 영역을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관심 영역의 화소를 색차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색차 신호로부터 작업자의 생체 상태를 추출하는 단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n-contact biometric method includes acquiring a plurality of images of a worker's body,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in the images, filtering the set region of interest, and converting pixels of the filtered region of interest into color difference signals. , and a step of extracting the biological state of the operator from the color difference signal.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지속적으로 작업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업자 디바이스(120)로 송신해야 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저전력으로 구동하는 것이 시스템(100)에서의 주요 과제일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wearable device 110 must continuously collect and transmit worker data to the worker device 120, driving the wearable device 110 with low power may be a major task in the system 100.

먼저, 저전력화와 관련하여, 제1 저전력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 디바이스(120)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에만 작업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요청이 없을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생체 상태를 측정하지 않을 수 있고, 데이터 수집 주기마다 움직임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요청이 있을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생체 상태를 측정하여 마지막으로 측정된 움직임 상태와 함께 작업자 데이터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저전력 모드에 의하면 요청시에만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소모 전력이 크게 저감될 수 있다.First, in relation to power saving, in the first low power mode, the wearable device 110 can transmit worker data only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worker device 120, and when there is no request, the wearable device 110 The state may not be measured, the movement state may be measured every data collection period, and when requested, the wearable device 110 may measure the biological state and transmit it as worker data together with the last measured movement state. . According to the first low power mode, data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requested, and thus power consumption of the wearable device 11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다만, 저전력화에 의하면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송신하는 등의 이유로 통신 안정화가 저해될 수 있으므로, 저전력화 및 통신 안정화는 서로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을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양자 중 어느 하나를 추구하는 모드 전환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However, since communication stabilization may be hindered by low power consumption for reasons such as transmitting a lot of data at once, power saving and communication stabilization may be in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o either mode is pursued as necessary. A conversion method may be used.

모드 전환 방식과 관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전력 소모 및 통신 안정성에 기초하여 제2 저전력 모드 또는 통신 안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고, 제2 저전력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수집 주기의 복수회 동안 작업자 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고, 통신 안정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생체 상태 및 움직임 상태가 측정될 때마다 즉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 전환 방식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저전력화가 필요한 시점에서는 제2 저전력 모드로, 통신 안정화가 필요한 시점에서는 통신 안정 모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양 모드의 장점만을 취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Regarding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 wearable device 110 may operate in either a second low power mode or a stable communication mode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stability, and in the second low power mode, the wearable device 110 converts data Data obtained by accumulating operator data during a plurality of collection periods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and in a stable communication mode, the wearable device 110 may transmit immediately whenever the biometric state and motion state are measured. According to this mode switching method, the wearable device 110 can operate in the second low-power mode at a time when power saving is required and in the communication stable mode at a time when communication stabilization is required, so that only advantages of both modes can be taken. .

일 실시예에서, 기본 데이터는 가속도계, 자이로 스코프, 하트 비트, SpO2 및 체온 센서일 수 있다.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는 사용자의 모든 활동 메트릭을 완벽하게 결정하기 위해 모든 3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심박수 및 SpO2 센서는 일반적으로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보다 낮은 샘플링 속도에 최적화되어 배터리축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ic data may be accelerometer, gyroscope, heartbeat, SpO2 and body temperature sensors. Accelerometer and gyroscope can be defined in all 3 axes to perfectly determine all activity metrics of the user. Heart rate and SpO2 sensors are typically optimized for lower sampling rates than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so they can be battery-powered.

첫째,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세분화. 데이터 수집은 동작 인식 시스템에서 동작, 인식 및 전송의 추상화일 수 있다. 웨어러블 센서 네트워크에서 얻은 데이터는 연속적이며 잠재적으로 무한한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다. 데이터 세분화의 문제는 동작 인식을 위해 무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에서 단면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동작 인스턴스라고 하며 후속 동작 인식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First, data collection and data segmentation. Data collection can be an abstraction of motion,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in a motion recognition system. Data obtained from wearable sensor networks can be a continuous and potentially infinite stream of data. The problem with data segmentation is how to cut off a cross-section in an infinite sensor data stream for motion recognition. The collected data is called motion instance and is the most basic unit for subsequent motion recognition.

둘째, 변칙 행동 패턴 추출. 사용자의 동작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원시 센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 인스턴스일 수 있다. 이 원시 데이터에서 변칙 동작을 인식하려면 동작 인스턴스에 포함된 이상 데이터에서 피쳐 추출이 필요할 수 있다.Second, the extraction of anomalous behavioral patterns. It may be an action instance containing raw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f the user's actions. Recognizing anomalies in this raw data may require feature extraction from the anomaly data contained in motion instances.

생리파라미터에 대한 수집된 측정은 데이터 매트릭스 X =(Xij)로 표현되며, 여기서 i는 시간 인스턴스이고, j는 모니터링된 매개변수를 나타낼 수 있다. Xk =(X1k,X2k,. . . . . . . . . . . )는 수학식 1에 주어진 데이터 행렬 X의 열이다.Collected measurements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are represented by the data matrix X = (X ij ), where i is the time instance and j can represent the monitored parameter. X k =(X 1k ,X 2k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s a column of the data matrix X given in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비정상적인 값을 검색하려면 J48(의사 결정 트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레코드(또는 선)를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레코드가 검출되면 선형 회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 매개 변수에 대한 전류 측정을 예측하고 예측값과 전류 값간의 차이가 임계값보다 크면 잘못된 센서와 환자 건강 저하를 구분하기 위한 상관 관계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To detect abnormal values, J48 (Decision Tree Algorithm) can be used to classify a record (or line) as normal or abnormal. When an abnormal record is detected, a linear regression algorithm is used to predict the current measurement for each parameter,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current value is greater than a threshold, a correlation analysis can be performed to distinguish between a faulty sensor and poor patient health. ..

의사 결정 트리 J48는 특성이 비터미널 노드로 표현되고 터미널 노드가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분류에 사용되는 의사 결정 트리 알고리즘이다. 우리의 모델에서 트리 노드는 모니터링된 생리적 특성이며 리프 노드는 클래스(정상 및 비정상)일 수 있다. 루트에서 리프로 트리 노드를 빌드하려면 각 특성의 게인 비율(GR)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Decision tree J48 is a decision tree algorithm used for classification where features are represented by non-terminal nodes and terminal nodes represent decision outcomes. In our model, tree nodes are monitored physiological traits and leaf nodes can be classes (normal and abnormal). To build a tree node from root to leaf, the gain ratio (GR) of each characteristic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정보 Gain IG(X, Xk)는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information Gain IG (X, Xk) can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H(X)는 트레이닝 레코드와 명목 클래스(정상 또는 비정상) 사이의 연관성의 엔트로피이며, xik는 특성 Xk에 의해 가져 온 값이다. 정보 얻는 것은 두 클래스 간의 정보 분할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각 Xik에 대한 정보 분할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where H(X) is the entropy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raining record and the nominal class (normal or abnormal), and x ik is the value taken by feature X k . Information acquisi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split between the two classes, so we need to compute the information split for each X ik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4에서 n은 클래스의 수이고, SI(X, Xik)는 각 클래스 내에서 Xik의 예상치 못한 엔트로피이다. 따라서 각 특성에 대한 게인 비율을 계산하면 이러한 특성을 트리 노드에 계층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In Equation 4, n is the number of classes, and SI(X, X ik ) is the unexpected entropy of X ik within each class. Therefore, by calculating the gain ratio for each feature, these features can be distributed hierarchically to the tree nodes.

선형 회귀는 회귀라고 불리는 독립 변수 Xik의 벡터를 사용하여 종속 변수 Yik를 모델링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모델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Linear regression is a statistical method for modeling the dependent variable Y ik using a ve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X ik called regression. The model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5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선형 회귀는 회귀라고 불리는 독립 변수 Xik의 벡터를 사용하여 종속 변수 Yik를 모델링하는 통계적 방법이다. 모델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Linear regression is a statistical method for modeling the dependent variable Yik using a ve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X ik called regression. The model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below.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선형 회귀는 동일한 인스턴스 Xij|j6=k의 다른 특성을 사용하여 Yik 값을 예측하고 예측된(Yik)을 Xik의 실제 값과 비교하여 작은 오차 범위 내에 맞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inear regression has the same instance X ij | It can be used to predict the value of Y ik using the other properties of j6 = k and compare the predicted (Y ik ) with the actual value of X ik to ensure that it fits within a small margin of error.

제한된 자원을 가진 많은 무선 장비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고, 더 많은 자원과 더 높은 전송기능을 가진 휴대용 수집장치(예: 스마트폰)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비정상적인 패턴이 감지되면 응급 팀에 대한 경보를 제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Many wireless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are used to collect data, and portable collection devices (e.g., smartphones) with more resources and higher transmission capabilities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when abnormal patterns are detected, alert the emergency team. Can be used to raise an alert.

환자 건강 이상의 검출결함을 차별화하면서 잘못된 측정으로 인한 거짓 경보를 줄이기 위해 비정상적인 값을 감지될 수 있다. 의사 결정 트리 및 선형 회귀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의사 결정 트리를 구축하고 모니터링 특성의 제한된 간격 범위 내부에 떨어지는 정상적인 활력 징후에서 선형 계수를 검색할 수 있다. Abnormal values can be detected to reduce false alarms due to erroneous measurements while differentiating detection defects of patient health anomalies. It can be based on decision trees and linear regression. A decision tree can be built and linear coefficients retrieved from normal vital signs that fall within the bounded interval range of the monitored characteristic.

다음과 같은 활력 징후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HR

Figure pat00007
[80-120], 펄스
Figure pat00008
[80 - 120], 호흡 속도
Figure pat00009
[12 - 30], SpO2
Figure pat00010
[90 100], Temperature
Figure pat00011
[36.5 - 37.5]. 제한된 정상 간격을 벗어난 특성 값은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HR과 맥박은 서로 다른 센서의 동일한 속성을 반영하며, 여기서 맥박은 맥박산소계로부터 얻어지고 HR은 심전도 신호의 불규칙한 간격(R-R)의 수로 측정될 수 있다.You can focus on vital signs such as: HR
Figure pat00007
[80-120], pulse
Figure pat00008
[80 - 120], breathing rate
Figure pat00009
[12 - 30], SpO2
Figure pat00010
[90 100], Temperature
Figure pat00011
[36.5 - 37.5]. Characteristic values outside of a limited normal interval can be considered abnormal. HR and pulse reflect the same properties of different sensors, where pulse is obtained from a pulse oximeter and HR can be measured as the number of irregular intervals (RR) of the ECG signal.

알고리즘algorithm

1: for each received record Ri ---during Time T do1: for each received record Ri ---during Time T do

2: Classify Ri J48;2: Classify Ri J48;

3: if Class(Ri) == 'ABNORMAL' then3: if Class(Ri) == 'ABNORMAL' then

4: for each

Figure pat00012
do4: for each
Figure pat00012
do

5: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5: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6:

Figure pat00015
6:
Figure pat00015

7: end for7: end for

8: if

Figure pat00016
8: if
Figure pat00016

9: Raise Alarm for Health9: Raise Alarm for Health

10: end if10: end if

11: end if11: end if

12: end for12: end for

아래 수학식 7은 비정상적인 측정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잔류 임계값을 나타내는 수식이다.Equation 7 below is an equation representing a residual threshold used to detect an abnormal measurement.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이하의 방식은 교육 및 탐지의 두 단계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The following scheme can be based on two steps: training and detection.

교육 단계에서 머신러닝 방법은 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테스트 단계에서 입력은 기존 모델에서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J48 의사 결정 트리 모델(제한된 간격 내에 교육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축됨)은 수신된 각 기록을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분류하는 접근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트리 모델은 분류에 대한 수치 비교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구축비용이 저렴하고 견고하며 처리속도가 빠른 규칙 집합(if-then)이다. In the training phase, machine learning methods create models to classify data, and in the testing phase, inputs can be classified as abnormal if they deviate from the existing model. A J48 decision tree model (built using training data within a bounded interval) can be used in the approach to classify each received record as normal or abnormal. Because the tree model is based on numerical comparison for classification, it is a low-cost, robust, and fast-processing rule set (if-then).

또한, J48의해 감지된 비정상적인 인스턴스는 선형 회귀로 예측만 트리거하므로 교육 단계에서 모니터링되는 특성에 대해 제한된 작은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기록이 J48에 의해 비정상적인 것으로 분류되는 경우, 재귀적으로 특성 (Xik)이 누락되고 선형 회귀계수가 심박수 추정을 위한 방정식에 주어진 다른 특성 (xij|j6=k)에 대한 현재 값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omalies detected by J48 only trigger predictions with linear regression, we can use limited small intervals for the traits monitored in the training phase. If a record is classified as abnormal by J48, the feature (X ik ) is recursively missing and the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s estimate the current values for the other features (x ij | j6=k ) given in the equation for heart rate estimation.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used for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수학식 8에 따르면, 현재(HRi)와 추정(HR^i)값 사이의 Euclidian 거리가 하나의 특성에 대해 사전 정의된 임계값(예상 값의 10%)보다 크면, 측정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예상 값으로 선형 회귀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최소 2 개의 판독값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관리팀에 경보를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R의 급격한 변화 및 SpO2의 감소는 건강악화의 증상이며 즉각적인 의료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According to Equation 8, if the Euclidian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HR i ) and estimated (HR^ i ) values is greater than a predefined threshold (10% of the expected value) for one characteristic, the measurement is considered to be faulty. and can be replaced by linear regression with expected values. However, if at least two readings are above the threshold, it can trigger an alert to the management team. For example, rapid changes in HR and decrease in SpO2 are symptoms of deteriorating health and may require immediate medical intervention.

J48은 계산 복잡성을 줄이고 기지국의 각 인스턴스에 대한 각 특징의 추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J48은 분류에 대한 몇 가지 비교를 기반으로 하며 결함 감지 및 분류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J48 can be used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avoid estimating each feature for each instance of a base station. J48 is based on several comparisons for classification,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approaches to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can be used.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teps constituting a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e check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6을 참조하면,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방법(600)은 단계(610) 내지 단계(6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범용적인 단계들이 방법(6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method 600 may include steps 610 to 640 . However, other general-purpose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in method 600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6의 방법(600)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전술한 시스템(100, 4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되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시스템(100, 400)에 대해 이상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방법(6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600 of FIG. 6 may be composed of steps processed time-sequentially in the systems 100 and 4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ystems 100 and 40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method 600 .

방법(600)을 구성하는 단계(610) 내지 단계(640)는 시스템(100, 400)을 구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작업자 디바이스(120), 통신 중계기(130) 및 관리자 서버(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teps 610 to 640 constituting the method 600 are performed on the wearable device 110, the worker device 120, the communication relay 130 and the manager server 140 constituting the systems 100 and 400. can be performed by

단계(610)에서,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610, the wearable device 110 worn on the body of the worker may collect worker data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according to a data collection period.

단계(62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는 작업자 디바이스(120)는,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In step 620, the worker device 120 interworking with the wearable device 1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transmit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period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단계(630)에서,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중계기(130)는,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작업자 디바이스(120)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으로 중계할 수 있다.In step 630, the communication repeater 130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120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ay relay processing worker data to an area where the worker device 120 cannot be connected.

단계(640)에서, 통신 중계기(130)와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관리자 서버(140)는,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는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는 데이터 수집 주기와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In step 640, the manager server 14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130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he first feedback data for the living body state and motion state based on the processing operator data and the state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feedback data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may be transmitted.

한편,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방법(600)은, 그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기록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e check method 600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or software including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such a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100: 시스템 110: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작업자 디바이스 130: 통신 중계기
131: 액세스 포인트(AP) 132: 가상 사설망(132)
133: 라우터 134: IDC
140: 관리자 서버 151, 152: 적어도 하나의 선별 서버
160: 신규 중계 지역
100: system 110: wearable device
120: worker device 130: communication relay
131: access point (AP) 132: virtual private network (132)
133: router 134: IDC
140: administrator server 151, 152: at least one screening server
160: New relay area

Claims (1)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작업자의 생체 상태와 움직임 상태에 관한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 주기에 따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제1 무선 통신으로 연동되고, 상기 작업자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송신하는 작업자 디바이스;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제2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를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와 연결 불가능한 지역으로 중계하는 통신 중계기; 및
상기 통신 중계기와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 작업자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생체 상태와 상기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제1 피드백 데이터 및 상기 원거리 무선 통신의 상태에 기초하는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와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한 제2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는 관리자 서버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In the construction site worker condition check system,
a wearable device that is worn on a worker's body and collects worker data related to the worker's biological state and movement state according to a data collection period;
a worker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wearable device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processing worker data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period by proc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 data;
a communication repeater connected to the worker device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ying the processing worker data to an area where the worker device cannot be connect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through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first feedback data for the living body state and the motion state based on the processing worker data and the state of the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 construction site worker status check system comprising a manager server that transmits second feedback data for a period.
KR1020220025868A 2021-10-07 2022-02-2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KR20230064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868A KR20230064514A (en) 2021-10-07 2022-02-2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3499 2021-10-07
KR1020210149483A KR102371506B1 (en) 2021-10-07 2021-11-03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KR1020220025868A KR20230064514A (en) 2021-10-07 2022-02-2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83A Division KR102371506B1 (en) 2021-10-07 2021-11-03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514A true KR20230064514A (en) 2023-05-10

Family

ID=808162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83A KR102371506B1 (en) 2021-10-07 2021-11-03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KR1020220025868A KR20230064514A (en) 2021-10-07 2022-02-28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83A KR102371506B1 (en) 2021-10-07 2021-11-03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15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49B1 (en) 2022-06-24 2022-10-13 문철원 System for checking condition of worker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KR102661626B1 (en) 2023-04-26 2024-04-2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Worker human error prevention field safety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385A (en) * 2016-02-28 2017-09-06 조영훈 Monitoring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and smartphone app
KR101866677B1 (en) * 2017-01-05 2018-06-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site based on wearable devices and method thereof
JP6204622B1 (en) * 2017-03-16 2017-09-27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program
KR102184093B1 (en) * 2019-12-24 2020-11-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elecom shaded area using bluetooth mesh network
KR102222558B1 (en) * 2020-02-27 2021-03-04 주식회사 팜프로 Permanent-available grazing animals health-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solar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506B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 et al. Machine learning in the Internet of Things: Designed techniques for smart cities
KR202300645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status of construction site worker
US20190279483A1 (en) Remote data monitoring and collection system with multi-tiered analysis
KR101196296B1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 based on newly developed fall detection algorithm
US10958512B2 (en) Fine grained network management to edge device features
CN110197732B (e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multiple sensors
Wang The architecture design of the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CN107257651A (en) The scene detection of medical monitoring
US101045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exceptions of people behavior
CN111080968A (en) Linkage control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accidental occurrence of solitary old people
Salem et al. Markov models for anomaly detection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for secure health monitoring
WO2022061352A1 (en) Item monitoring for doorbell cameras
Adhikari et al. Random forest for data aggregation to monitor and predict COVID-19 using edge networks
JP708160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s to determine a subject's fall response
AU2021101013A4 (en) Aiot based pandemic related smart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workers
JP2022042721A (en) Dehydrated state management system and dehydrated state management method
Yi et al. Design flow of neural network application for IoT based fall detection system
Wang et al. Fall detec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using smart insole
Orpa et al. An IoT based healthcare solution with ESP32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Ganapathy et al. Sensor based efficient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remote healthcare
US20170004435A1 (en) Method for providing team-level metrics data and team state monitoring system
KR102190759B1 (en) System and mehtod for monitering emergency situation
US20210386360A1 (en) Detecting an ictal of a subject
CN112386249A (en) Fal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annino et al. Effective supervised knowledge extraction for an mhealth system for fall de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