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49A -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 Google Patents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49A
KR20230064349A KR1020210149839A KR20210149839A KR20230064349A KR 20230064349 A KR20230064349 A KR 20230064349A KR 1020210149839 A KR1020210149839 A KR 1020210149839A KR 20210149839 A KR20210149839 A KR 20210149839A KR 20230064349 A KR20230064349 A KR 2023006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rilization
capsule
beverag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하섭
Original Assignee
(주)메디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프레소 filed Critical (주)메디프레소
Priority to KR102021014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349A/en
Publication of KR2023006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와,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는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이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 열수이동유로, 추출부 및 노즐부를 살균하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 및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A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using a capsule containing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 inner fram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inner frame provided to supply room temperature water. A boiler that heats and converts it into hot water, a hot water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boiler and moving the hot water converted in the boiler, and a hot water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hot water flow passage to receive th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flow passage and supplying the hot water to the capsule. An extraction unit for supplying and extracting a beverage, a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and guiding the beverage taken out from the extraction unit to the outside, and provided in the housing or inner frame to transfer the room temperature water, the hot water flow path, the extraction unit, and It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and a gear assembly that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of sterilizing the nozzle unit.

Description

기어 어셈블리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본 발명은 듀얼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a gear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psule inlet co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차 또는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한 캡슐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차나 분말커피 등이 내장된 캡슐을 추출부의 홀더에 장착한 후, 상기 홀더에 안착된 캡슐을 펀칭부로 펀칭하여 천공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in a capsule beverage extracting device for obtaining tea or espresso, after mounting a capsule containing powdered tea or powdered coffee in a holder of an extraction unit, a process of punching and perforating the capsule seated in the holder with a punching unit is performed.

이후, 순간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 함께 캡슐에 수용된 차 또는 커피 추출물이 천공부와 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식이 이용된다.Then, a method is used in which hot water supplied from the instantaneous hot water boiler and the tea or coffee extract contained in the capsule ar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a perforation and a nozzle.

이와 같은 캡슐 음료 추출장치는, 간편하게 가정이나 회사에서 차나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Such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because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ea or espresso at home or in a company.

그러나, 종래의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 물이 저장되거나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과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는 내부가 외부와 밀폐될 수밖에 없었다. However,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path in which water is stored or beverages are moved in a convention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the interior of the path in which water and beverages are moved has to be sealed from the outside.

이에 따라, 종래의 음료 추출장치는 세균이 충분히 번식할 수 있는 온도 및 습도를 조성하게 되어 물 또는 음료에 존재하는 세균 농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present in water or beverage is increased by creating a temperature and humidity at which bacteria can sufficiently propagate.

또한, 사용자는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 추출장치의 외부 부재의 조립을 해제하여 내부를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 the user had to disassemble the outer member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to clean the inside, which was inconvenient.

나아가, 캡슐 투입구 커버를 손으로 직접 들어올린 상태에서 캡슐을 인입하여 사용하는 바, 사용자가 양손을 모두 사용하도록 강제되며, 커버가 손에서 탈락하면 자중에 의해 강한 힘으로 닫혀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Furthermore, since the capsule is drawn in and used while the capsule inlet cover is lifted by hand, the user is forced to use both hands, and when the cover is detached from the hand, it is closed with a strong force by its own weight and damage occurs. existed.

이에 따라, 물 또는 음료가 이동하는 경로를 살균하기 위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장치가 구비된 캡슐 음료 추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equipped with a sterilization device that performs a sterilization function in order to sterilize a path along which water or beverage moves.

본 발명은 물 또는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or beverage is moved.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필요 없이 물 또는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살균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sterilizing a path in which water or beverage is moved without the need to disassemble or assemble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본 발명은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가 복수의 살균모드로 제어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which the sterilization unit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function is controlled in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mode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하우징, 이너 프레임, 보일러, 열수이동유로, 추출부, 노즐부, 살균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using a capsule containing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 inner frame, a boiler, a hot water flow path, an extraction unit, a nozzle unit,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일러는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며, 상기 열수이동유로는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된다.Specifically, the housing forms the exterior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e inner fram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e boiler is provided in the inner frame to heat room temperature water and convert it into hot water, and the hot water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boiler and the hot water converted in the boiler is moved.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이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 열수이동유로, 추출부 및 노즐부를 살균하는 살균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flow path to receiv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flow path and supplies the hot water to the capsule to extract a beverage, and the nozzle unit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to extract the beverage from the extraction unit. guide to the outside,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or inner frame to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of sterilizing the room temperature water, the hot water flow path, the extraction unit, and the nozzle unit.

그리고, 상기 살균부는 UV-C LED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온수가 수용되는 물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물통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상온수를 살균하는 물통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UV-C LED, and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container seat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room temperature water supplied to the boiler, The sterilization unit may include a water bottle sterilizing uni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to sterilize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bottl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면을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보일러를 연통시키는 상온수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상온수유입홀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유입홀로 유입되는 상온수를 살균하는 유입홀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penetrating one surface and communicating the water container and the boiler,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to sterilize the room 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A sterilization unit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캡슐을 홀딩하며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캡슐홀더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홀더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추출살균부를 포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unit may include a capsule holder holding the capsule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capsule, and the sterilization unit may include an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holder to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of the capsule holder. there is.

또한, 상기 노즐부는 노즐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과, 상기 노즐 하우징 하측에 연결되는 노즐 분사부와, 상기 추출부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노즐 분사부로 안내하는 노즐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노즐 유입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 유입부의 내부를 살균하는 노즐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unit may include a nozzle housing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nozzle unit, a nozzle spraying uni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housing, and a nozzl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extraction unit and guiding the beverage extract to the nozzle spraying unit, The sterilizing unit may include a nozzle sterilizing uni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nozzle inlet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nozzle inl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이너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을 보관하는 폐캡슐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폐캡슐 회수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바구니 수용부와, 상기 바구니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캡슐 바구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ste capsule recover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frame to store waste capsule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and the waste capsule recovery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t may include a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to rotate backward, and a waste capsule basket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and drawn out.

또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구니 수용부를 살균하는 제1회수살균부와, 상기 폐캡슐 바구니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캡슐 바구니를 살균하는 제2회수살균부를 포함하는 회수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 first recovery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 to steriliz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 and a second recovery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waste capsule basket to sterilize the waste capsule basket. A sterilization unit may be includ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는 캡슐투입단계와, 상기 물통에서 상기 보일러로 상온수를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단계와, 상기 보일러에서 상온수를 열수로 전환하는 상온수 가열단계와, 상기 열수이동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로 열수를 공급하는 열수공급단계와, 상기 추출부에서 상기 캡슐로 열수를 공급하여 음료를 취출하는 음료취출단계와, 상기 음료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노즐에서 외부로 안내하는 음료배출단계와, 상기 살균부를 작동하여 상기 듀얼 음료 장치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부작동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input step of mounting a capsule in the extraction unit, a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room temperature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iler, and room temperature water from the boiler. A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of converting into hot water, a hot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hot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through the hot water flow passage, a beverage dispensing step of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to the capsule to take out a beverage, and the beverage It includes a beverage discharging step of guiding the beverage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to the outside from the nozzle, and a sterilizing unit operating step of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dual beverage device by operating the sterilization unit.

또한, 상기 살균부작동단계는 상기 상온수 공급단계와 상기 상온수 가열단계 사이에 상기 물통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1작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 제1작동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온수공급단계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와,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수행단계와, 상기 제1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와, 상기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종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unit operating step includes a sterilizing unit first operating mode for controlling the bucket sterilizing unit to be operated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ing step and the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and the sterilizing unit first operating mode allows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room temperature water A first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st set time previously set in the supply step has elapsed, and a first set time elapse determination ste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cket steriliz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A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a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first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and in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e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bottle sterilizing unit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살균부작동단계는 상기 음료배출단계 이후 상기 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2작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 제2작동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료배출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와, 상기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수행단계와, 상기 제2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와, 상기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종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may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second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be operated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and the sterilization unit second operation mode is set by the control unit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A second set time lapse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set time has elapsed, and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of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et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et time lapse determination step And, after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a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살균부작동단계는 상기 캡슐회수단계 이후 상기 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3작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부 제3작동모드는 상기 캡슐회수단계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3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와, 상기 제3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살균부작동단계와. 상기 제3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3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와, 상기 제3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3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3살균기능종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may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third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be operated after the capsule recovery step, and the sterilization unit third operation mode is the sterilization unit at the end of the capsule recovery step. A third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third preset time has elapsed, and a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terilizer when the preset time elapses in the third set time elapsed judgment step and. After the third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a thir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thir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thir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the sterilization A thir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unless inconsistent with or exclusive of the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물 또는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or beverage is moved.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분해하거나 조립할 필요 없이 물 또는 음료가 이동되는 경로를 살균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sterilizing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or beverage is moved without the need to disassemble or assemble the housing forming the exterior.

본 발명은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가 복수의 살균모드로 제어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which the sterilization unit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function is controlled in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modes.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트레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하우징 내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 상 태로,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및 캡슐 투입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 및 유로를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2의 B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폐쇄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 13은 상기 도 2의 A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후방으로 개방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14는 제2바구니 수용부에서 제2 폐캡슐 바구니가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기어 어셈블리를 표현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단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살균부 제1작동모드의 작동단계를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살균부 제2작동모드의 작동단계를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use case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y modul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5 shows a disposition state in the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6 is a state of arrangement of the configuration for extracting a beverage i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showing a view from the rear.
Figure 7 shows a capsule storage box and capsule inle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rear surfac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9 shows that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10 is a represent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low path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B of Figure 2, expressing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closed capsule recovery uni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13 shows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ine A of Figure 2, expressing that the second closed capsule recovery uni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opened to the rear.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sket of waste capsules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unit.
15 shows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ned.
Figure 16 is a representation of the gear assembly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eps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on steps of the first operation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ng steps of the second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any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ortion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 내부로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 2가지 이상의 음료(차, 커피 등)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spraying high-pressure hot water into a capsule containing powder, a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extracting two or more beverages (tea, coffee, etc.) 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외부 구조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은 하우징 하부파트(112)와 상기 하우징 하부파트(112)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된 하우징 상부파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1 forming an exterior, and the housing 11 has a housing lower part 112 and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lower part 112. It may include an integrally provided housing upper part 113.

또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하우징 상부파트(113)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추출된 음료를 분사하는 노즐부(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부(2)는 제1노즐부(21)과 제2노즐부(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 가지 이상의 음료를 동시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unit 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using upper part 113 and spraying the extracted beverage, the nozzle unit 2 is a first nozzle unit 21 ) and a second nozzle unit 22, and thus, two or more beverages can be simultaneously extracted.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구비된 트레이 모듈(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모듈(3)은 컵이 거치되는 트레이(31)와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31)를 지지하는 잔수 받침부(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ray module 3 provided under the nozzle, and the tray module 3 is connected to the tray 31 on which the cup is placed and the front of the housing 11. It may be composed of a residual water support part 32 supporting the tray 31.

상기 하우징 하부파트(112)의 전면에는 상기 트레이(31)에 거치되는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전방패널(1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패널(114)은 상기 제1노즐부(21)의 하부에 거치된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패널(1141)과 상기 제2노즐부(22)의 하부에 거치된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패널(1142)을 포함할 수 있다.A front panel 114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the cup mounted on the tray 3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lower part 112, and the front panel 114 is the first nozzle unit 21 It may include a first panel 1141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up mounted under the second nozzle unit 22 and a second panel 1142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up mounted under the second nozzle unit 22 .

상기 제1패널(1141)과 상기 제2패널(1142) 모두 중심부가 양측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방으로 만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Both the first panel 1141 and the second panel 1142 may be provided to be curved backwar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located rearward than both end portions,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음료 추출시 보일러와 펌프가 구동되면서 본체에 진동이 발생하여 트레이(31)에 거치된 컵이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패널(17)이 컵의 좌우측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when the boiler and the pump are driven during beverage extraction, vibration occurs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cup mounted on the tray 31 can escape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panel 17 prevents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up. can solve these problems.

한편,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 상부파트(113)의 상면에 구비된 제1 캡슐 투입구(1133)와 제2 캡슐 투입구(1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상부파트(11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캡슐 투입구(11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상기 제2 캡슐 투입구(11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capsule inlet 1133 and a second capsule inlet 113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upper part 113,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upper part 113 and a first capsule inlet cover 1131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irst capsule inlet 1133 and a second capsule inlet cover 1132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capsule inlet 1134. .

또한,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 사이에는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은 후술할 캡슐 보관함(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psule storage box cover 113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psule inlet cover 1131 and the second capsule inlet cover 1132, and the capsule storage box cover 1135 supports the capsule storage box 4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전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노즐부(21)과 상기 제2노즐부(22)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제1노즐부(21)과 연결된 제1노즐 이송핸들(23)와 상기 제2노즐부(22)과 연결된 제2노즐 이송핸들(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irst nozzle unit 21 and the second nozzle unit 22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for this purpose 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is the first nozzle unit 21 ) may further include a first nozzle transfer handle 23 connected to the second nozzle unit 22 and a second nozzle transfer handle 24 connected to the second nozzle unit 22 .

이에, 상기 트레이(31)에 높이가 높은 컵이 거치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노즐이송핸들을 이용해 노즐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높이가 낮은 컵이 거치될 경우 노즐 이송핸들을 이용해 노즐을 하강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a tall cup is placed on the tray 31, the user can raise the nozzle using the nozzle transfer handle, and when a cup with a low height is placed, the nozzle can be lowered using the nozzle transfer handle. .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 use case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상기 트레이(31) 위에 컵이 거치된 일례로, 상기 제1노즐부(21)의 하측에는 높이가 높은 컵(LC)이 구비되어 상기 제1노즐 분사부(212)가 상승된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제2노즐부(22)의 하측에는 높이가 낮은 컵(SC)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노즐 분사부(222)가 하강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3 is an example in which a cup is placed on the tray 31, a cup LC having a high height is provided below the first nozzle unit 21, and the first nozzle spraying unit 212 is raised. , and a cup SC having a low height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nozzle unit 22 so that the second nozzle spraying unit 222 is used in a lowered stat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높이가 높은 컵이 이용되는 경우 노즐을 상승시켜 용이하게 컵을 거치시키고, 높이가 낮은 컵이 이용되는 경우 노즐을 하강시켜 추출액이 컵의 바닥에서 리바운드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the nozzle when a cup with a high height is used to easily mount the cup, and when a cup with a low height is used, the nozzle is lowered so that the extraction liquid is discharged into the cup. It rebounds from the bottom of the and prevents leakage to the outside.

한편, 도 4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트레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y modul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31')는 그 후단이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잔수 받침부(32') 역시 상기 트레이(31')가 후방으로 기울 어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y 31' may be provided such that its rear end is tilted back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residual water support portion 32' also supports the tray 31' so as to maintain a backward tilted state. can

이는, 전술한 전방패널(114)의 만곡된 구조와 함께, 음료 추출시 보일러와 펌프가 구동되면서 본체에 진동이 발생하여 트레이(31)에 거치된 컵이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is, together with the curved structure of the front panel 114 described above, serves to effectively prevent the problem of the cup mounted on the tray 31 escaping to the outside due to the occurrence of vibration in the main body while the boiler and the pump are driven during beverage extraction. do

한편, 도 5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하우징 내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a state of arrangement within the housing of the configuration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도 5는 상기 노즐부(2)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부(51, 52)의 구조를 설명한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2 is remov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traction units 51 and 5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상기 제1추출부(51)는 캡슐을 홀딩하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 홀더(53, 도 12)를 수용하는 제1추출부 프레임(5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추출부(52) 는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캡슐을 홀딩하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 홀더(53, 도 12)를 수용하는 제2추출부 프레임(5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raction unit 51 includes a first extraction unit frame 511 accommodating a capsule holder 53 (FIG. 12) for holding a capsule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capsule,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may include a second extractor frame 521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xtractor frame and accommodating a capsule holder 53 (FIG. 12) for holding the capsule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capsule.

또한,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511)과 상기 제2추출부 프레임(521)의 측면은 폐쇄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각각에서 추출하는 음료의 향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frame 51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frame 521 are composed of closed surfaces, and extrac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respectively. The flavors of the drinks you drink may not mix with each other.

나아가, 상기 제1추출부(51)는 상기 제1노즐부(21)로 음료 추출액을 공급하는 제1토출부(5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추출부(52)는 상기 제2노즐부(22)로 음료 추출액을 공급하는 제2토출부(512)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unit 511 for supplying a beverage extract to the first nozzle unit 2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may include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A second discharge unit 512 for supplying the beverage extract to the nozzle unit 22 may be provided.

상기 제1토출부(511)와 상기 제1노즐부(21), 그리고 상기 제2토출부(512)와 상기 제2노즐부(22)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art 511 and the first nozzle part 21,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512 and the second nozzle part 22 may be connected with a flexible hose (not shown).

이는 서로 독립된 유로를 유지하여 향의 혼합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2)가 상하 이동할 때, 그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호스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is serves to prevent the mixing of fragrances by maintaining flow path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o prevent the hose from being separated by flexibly 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nozzle unit 2 when it moves up and down.

한편, 도 6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 상태로,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최적 배치 구조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view from the rea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figuration for extracting the beverage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Hereinafter, an optimal arrangement structure fo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상기 이너 프레임(12)은 하부 이너 프레임(121)과,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이너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frame 12 may include a lower inner frame 121 and an upper inner frame 12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inner frame 121 .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내측에는 상기 유량계(75)와 보일러(71)와 펌프(72)와 제1밸브(73) 및 제2밸브(7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측부에는 후술한 폐캡슐 회수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flow meter 75, the boiler 71, the pump 72, the first valve 73, and the second valve 74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inner frame 121, and the lower inner frame ( 121)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lung capsule recovery unit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펌프(72)는 상기 보일러(7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일러(71)의 상측에는 상기 제1밸브(73) 및 제2밸브(74)가 배치되어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와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mp 72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oiler 71, and the first valve 73 and the second valve 74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iler 71 to obtain the first hot water The lengths of the movement passage 76 and the second hot water movement passage 77 can be minimized.

이는, 공간을 효율적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유로 저항을 감소시켜 열수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This not only efficiently utilizes space, but also has an excellent effect of increasing the pressure of hot water by reducing flow resistanc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및 캡슐 투입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관련구성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 capsule storage box and capsule inle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storage box cover 1135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opened, the relat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사이에는 상기 제1캡슐 보관함(41)과 상기 제2캡슐 보관함(4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 사이에는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psule storage box 41 and the second capsule storage box 4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The capsule storage box cover 113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psule inlet cover 1131 and the second capsule inlet cover 1132 .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를 개방하고 곧바로 측부의 캡슐 투입구(1131, 1132)에 캡슐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캡슐 투입 동선이 최소화되어 사용의 편의성의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open the capsule storage box cover 1135 and immediately insert a capsule into the side capsule slots 1131 and 1132, the capsule insertion movement line is minimized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maximized.

한편, 도 8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 구조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the rear surfac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igure 9 shows that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the rear structur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온수가 수용되는 물통(9)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include a water container 9 seat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room temperature water supplied to the boiler.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9)은 상온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통바디(91)와 상기 물통바디(91)를 차폐하는 물통커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9)은 후술되는 제1폐캡슐 회수부(81)와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bottle 9 may include a water bottle body 91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room temperature water and a water bottle cover 92 shielding the water bottle body 91 . 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1 and the second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에는 상기 물통바디(91)가 안착되는 물통안착부(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바디(91)는 물통안착부(115)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of the housing 1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bottle seating portion 115 on which the water bottle body 91 is seated, and the water bottle body 91 may be selectively seated on the water bottle seating portion 115. there is.

이에 따라, 상측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물통의 높이를 높일 수 있어 저수용량이 증대되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r can be increas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upper space, the storage capacity is increased, and the rear spac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 또는 이너프레임(12)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 열수이동유로(76, 77), 추출부(5) 및 노즐부(2)를 살균하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6)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or the inner frame 12, and the room temperature water, hot water flow passages 76 and 77, the extraction unit 5 and the nozzle unit ( 2)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6 that performs a sterilization function of sterilizing.

예를 들어, 상기 살균부(6)는 자외선 엘이디가 될 수 있고, UV((Ultraviolet Light)-C LED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6)는 다수의 UV-C LED를 가지는 엘이디 패키지(모듈)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be an ultraviolet LED or a UV (Ultraviolet Light)-C LED.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unit 6 is an LED having a plurality of UV-C LEDs. It can be a package (module).

상기 살균부(6)는 일정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자외선이 조사된 일정 영역에서는 미생물이 자외선 에너지를 가진 광자를 DNA가 흡수하여 변형될 수 있다. 즉, 자외선의 에너지는 미생물의 DNA 및 RNA를 파괴함으로서 미생물로 하여금 신진대사 또는 증식할 수 없도록 불활성화 시킨다. The sterilization unit 6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a certain area, and in the certain area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DNA of microorganisms can absorb photons having ultraviolet energy and be transformed. That is, the energy of ultraviolet rays destroys DNA and RNA of microorganisms, thereby inactivating microorganisms so that they cannot metabolize or proliferate.

이러한, 자외선 살균은 여타 화학적 방법에 의한 소독과는 달리 면역성을 가진 미생물이 생성될 가능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살균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Unlike disinfection by other chemical methods, such ultraviolet sterilization is very efficient in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function becaus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microorganisms with immunity are generated.

UV는 파장의 영역에 따라 UV-C(200~280nm), UV-B(280~315nm), UV-A(315~400nm)로 구분될 수 있고, 이 중 UV-C 파장 영역은 매우 높은 살균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UV can be divided into UV-C (200~280nm), UV-B (280~315nm), and UV-A (315~400nm) according to the wavelength range, and the UV-C wavelength range has a very high level of sterilization. efficiency can be show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부(6)는 상기 물통에 수용된 상온수를 살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살균부(6)는 상기 물통바디(91)의 내면에 구비되는 물통살균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살균부(61)는 상기 물통바디(91)의 내부에 수용된 상온수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be provided to sterilize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container. For example,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include a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body 91 .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may be provid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side the water bottle body 91 .

이로써, 사용자는 번거롭게 물통바디(91)를 탈거하고 상기 물통커버(92)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물통바디(91) 내부에 증식될 수 있는 세균 및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remove germs and microorganisms that may proliferate inside the water bottle body 91 without cumbersomely removing the water bottle body 91 and opening the water bottle cover 92 .

또한, 물통살균부(61)를 통하여 물통바디(91)에 수용된 상온수에서 증식될 수 있는 세균 및 미생물을 물통바디(91)에 수용된 상온수를 교체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짧은 주기로 상온수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ycle of replacing the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 the bucket body 91 with bacteria and microorganisms that can proliferate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 the bucket body 91 through the bucket sterilization unit 61 can be lengthen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 a short cycle. Reduces the hassle of replacement.

또한, 상기 물통살균부(61)는 상기 물통커버(92)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바디(91)의 내부를 향하여 UV를 조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cover 92 to irradiate UV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bottle body 91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9)은 상기 물통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바디(91) 내부의 상온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물통배출구(9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bottle 9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bottle body 91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room temperature water inside the water bottle body 91 is discharged A water bottle outlet 911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배출구(911)과 상기 보일러(71)를 연통시키는 상온수유입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provided to pass through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communicating the water bottle outlet 911 and the boiler 71 can do.

구체적으로 상온수유입홀(117)은 유량계(75)와 연통되어 물통배출구(911)에서 배출되는 상온수를 상기 유량계 및 보일러(71)로 안내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may communicate with the flow meter 75 to form a hole for guiding room temperature water discharged from the bucket outlet 911 to the flow meter and the boiler 71 .

상기 살균부(6)는 상기 상온수유입홀(117)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유입홀(117)로 유입되는 상온수를 살균하는 유입홀살균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further include an inflow hole sterilization unit 62 provided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to sterilize the room 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

예를 들어, 상기 유입홀살균부(62)는 상기 상온수유입홀(117)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유입홀(117)을 통하여 상온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온수유입홀(117)의 중심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let hole sterilization unit 62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to clean the center of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while the room temperature water flows in through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UV rays can be irradiated towards it.

상기 유입홀살균부(62)를 통하여 상기 상온수유입홀(117)을 살균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상온수유입홀(117)을 청소할 수 있다.Since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can be sterilized through the inlet hole sterilization unit 62, the user can efficiently clean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117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부에 열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서 상온수가 유동하는 라인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열수가 유동하는 라인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components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extrac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10 , a line through which room temperature water flows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a line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먼저, 상온수 라인과 관련된 부분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온수를 보관하는 물통(9), 상기 물통배출구(911)와 연결되는 유동조절부(116), 유량계(75), 상온수를 열수로 전환하는 보일러(71) 및, 상기 물통(9)에서 상기 보일러(71)로 상온수가 공급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7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a part related to the room temperature water line,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water container 9 for storing room temperature water, a flow control unit 116 connected to the water bottle outlet 911, a flow meter 75, and conversion of room temperature water into hot water. and a pump 72 that provides power so that room 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9 to the boiler 71.

또한, 열수 라인과 관련된 부분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보일러(71)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71)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76, 7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는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추출부(5)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part related to the hot water line,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include hot water flow passages 76 and 77 connected to the boiler 71 and moving the hot water converted in the boiler 71. For example, the hot water flow passages 76 and 77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boiler 71 and the extractor 5.

구체적으로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는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제1추출부(51)를 연결하는 제1열수이동유로(76),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73),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제2추출부(52)를 연결하는 제2열수이동유로(77),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t water flow passages 76 and 77 selectively connect the first hot water flow passage 76 connecting the boiler 71 and the first extractor 51 and the first hot water flow passage 76. The first valve 73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hot water flow path 77 connecting the boiler 7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and the second hot water flow path 77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wo valves 74 may be included.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하나의 보일러와 하나의 펌프로 두 개의 추출부 각각에 선택적으로 열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며,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기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supply hot water to each of the two extraction units using one boiler and one pump, there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reducing the overall volume of the appliance.

한편, 상기 제1밸브(73)와 상기 제2밸브(74)는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와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를 개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들은 상기 이너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valve 73 and the second valve 74 may be provided in any way as long as they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hot water passage 76 and the second hot water passage 77,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s a solenoid valve. The above components may be fixed to the inner frame 12 .

한편, 상기 살균부(6)는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 내부를 살균하는 유로살균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살균부(63)는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 내부를 살균하는 제1유로살균부(631)와,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 내부를 살균하는 제2유로살균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include a passage sterilization unit 63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water movement passages 76 and 77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hot water movement passages 76 and 77 . For example, the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 includes a first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1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t water flow path 76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first hot water flow path 76, and the second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1 . A second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2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water flow path 77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second hot water flow path 77 may be included.

상기 제1유로살균부(631)와 제2유로살균부(632)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어느 하나가 작동될 때 다른 하나는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1 and the second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32 may operate independently, and when one operates, the other may stop operating.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를 별도로 분해하지 않고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 내부의 미생물 및 세균을 자외선을 통하여 살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sterilize microorganisms and bacteria inside the hot water flow channels 76 and 77 by using ultraviolet rays without separately disassembling the hot water flow channels 76 and 77 .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하우징(11)이 제거된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노즐부(2)에 관한 세부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showing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th the housing 11 remove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nozzle unit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에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1추출부(51)의 측방에 구비되며 분말이 포함된 캡슐에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제2추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includes a first extraction unit 51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spraying hot water at high pressure on a capsule containing powder, and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to extract a beverage from the capsule containing powder. It may include a second extraction unit 52 for extracting a beverage by spraying high-pressure hot water.

또한, 상기 제1노즐부(21)은 제1노즐 하우징(211), 상기 제1노즐 하우징(211)의 하측에 연결된 제1노즐 분사부(212), 상기 제1추출부(51)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제1노즐 분사부(212)로 안내하는 제1노즐 유입부(213) 및, 상기 제1노즐 이송핸들(23)과 상기 제1노즐 하우징(211)을 연결하는 제1핸들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nozzle unit 2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nozzle housing 211, the first nozzle injection unit 212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nozzle housing 211,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a first nozzle inlet 213 for guiding the beverage extract to the first nozzle injection unit 212, and a first handle connecting the first nozzle transfer handle 23 and the first nozzle housing 211. A connection portion 214 may be includ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노즐부(22)은 제2노즐 하우징(221), 상기 제2노즐 하우징(221)의 하측에 연결된 제2노즐 분사부(222), 상기 제2추출부(52)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제2노즐 분사부(222)로 안내하는 제2노즐 유입부(223) 및, 상기 제2노즐 이송핸들(24)과 상기 제2노즐 하우징(221)을 연결하는 제2핸들 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nozzle unit 2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nozzle housing 221, the second nozzle injection unit 222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nozzle housing 22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and a second nozzle inlet 223 for guiding the beverage extract to the second nozzle injection unit 222, and a second handle connecting the second nozzle transfer handle 24 and the second nozzle housing 221. A connection portion 224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고정된 이너 프레임(12)과,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전단에 고정된 제1노즐 연결부(62) 및,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전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노즐 연결부(62)의 측방에 구비된 제2노즐 연결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n inner frame 12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a first nozzle connection part 62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inner frame 12, and the inner frame 12 Doedoe fixed to the front end of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nozzle connection portion 6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nozzle connection portion 62.

상기 제1노즐 하우징(211)은 상기 제1노즐 연결부(62)에 연결되되 상기 제1노즐 연결부(62)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노즐 하우징(221) 역시 상기 제2노즐 연결부(63)에 연결되되 상기 제2노즐 연결부(63)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nozzle housing 211 is connected to the first nozzle connection part 62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first nozzle connection part 62, and the second nozzle housing 221 also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zzle connection part 63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through the second nozzle connection part 63 .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상측에는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사이에는 사용 전 음료 캡슐을 보관하는 바구니인 캡슐 보관함(4)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2 ,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may be provided. ) A capsule storage box 4, which is a basket for storing beverage capsules before us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m.

상기 캡슐 보관함(4)은 상기 제1추출부(51)에 투입될 캡슐을 보관하는 제1캡슐 보관함(41)과, 기 제2추출부(52)에 투입될 캡슐을 보관하는 제2캡슐 보관함(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캡슐 보관함(41)과 상기 제2캡슐 보관함(42)은 각기 다른 음료 캡슐(차와 커피 등)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psule storage box 4 includes a first capsule storage box 41 storing capsules to be put into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a second capsule storage box storing capsules to be put in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42, and the first capsule storage box 41 and the second capsule storage box 42 can form independent spaces to separately store different beverage capsules (tea, coffee, etc.) there is.

한편,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측부에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제어하는 PCB(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 살균부(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inner frame 12 may be provided with a PCB (P) for controlling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e PCB may include a control unit 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mp 72, the valves 73 and 74, the nozzle unit 2, the extraction unit 5, and the sterilization unit 6.

사용자가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부(C)와 통신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C)에 상기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 살균부(6)의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C)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ump 72, the valves 73 and 74, and the nozzle unit 2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C). , control signals of the extraction unit 5 and the sterilization unit 6 can be transmitted.

상기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UI/UX 클라이언트(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받아,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 살균부(6)를 제어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C)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s UI / UX client (not shown) and receives the user's command, the pump 72, the valves 73 and 74, the nozzle unit 2, the extraction unit 5, It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6 to the control unit C.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A user interface (UI)/user eXperience (UX) client may refer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또한, UI/UX 클라이언트는 상기 통신모듈과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UX client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for network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user input/output interface for user input/output.

구체적으로, UI/UX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과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UX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610)에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I/UX client may correspond to a mobile termina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cellular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A user may transmit a comman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610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I/UX client. Thus, sinc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regardless of location,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한편, 살균부(6)는 상기 노즐유입부(213, 22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유입부(213, 223)의 내부를 살균하는 노즐살균부(6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include a nozzle sterilization unit 65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nozzle inlets 213 and 223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nozzle inlets 213 and 223 .

노즐유입부(213, 223)는 추출부(5)에서 추출된 음료가 외부로 안내되는 통로에 해당되어 세균 등이 내부에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나, 세척하기는 매우 어려운 부재일 수 있다. The nozzle inlets 213 and 223 correspond to passages through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5 is guid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acteria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therein, but they may be members that are very difficult to clean.

상기 노즐살균부(65)가 상기 노즐유입부(213, 223)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유입부(213, 223) 내부에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미생물이 상기 노즐유입부(213, 223) 내면에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nozzle sterilizing part 65 is provided in the nozzle inlet parts 213 and 223, and as UV rays are irradiated into the nozzle inlet parts 213 and 223, microorganisms prolifer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ozzle inlet parts 213 and 223.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또한, 상기 노즐살균부(65)는 제1노즐유입부(21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노즐유입부(213)의 내부를 살균하는 제1노즐살균부(651)와, 제2노즐유입부(22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노즐유입부(223)의 내부를 살균하는 제2노즐살균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zzle sterilizing unit 6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nozzle inlet 213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first nozzle inlet 213, the first nozzle sterilizing unit 651 and the second nozzle A second nozzle sterilization unit 652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let 223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second nozzle inlet 223 may be included.

한편, 도 12는 상기 도 2의 B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폐쇄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도 13은 상기 도 2의 A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후방으로 개방된 것을 표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shows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B of Figure 2, expressing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closed capsule recovery uni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addition, Figure 13 shows a cross section cut along line A of Figure 2, expressing that the second closed capsule recovery unit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opened to the rear.

이하, 도 2의 A단면을 도식화한 도 13 및 도 2의 B단면을 도식화한 도 12을 참조하여, 추출부(51, 52)의 작동방식 및 캡슐의 이동 경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3 schematically illustrating cross-section A of FIG. 2 and FIG. 12 illustrating cross-section B of FIG.

먼저, 상기 제1추출부(51)는 캡슐 홀더(53), 캡슐 홀더(53)의 후방에 연결된 홀더 링커(54),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511)과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55) 및,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56)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connects the capsule holder 53, the holder linker 54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psule holder 53,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frame 511 and the holder linker 54. It may include a frame linker 55 and a cover linker 56 connecting the first capsule inlet cover 1131 and the holder linker 54.

이에 따라, 상기 제1캡슐 투입구(16)를 투입된 캡슐은, 상기 제1캡슐 투입구커버(12)가 닫힘에 따라 상기 캡슐 홀더(53)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psule inserted through the first capsule inlet 16 may be held by the capsule holder 53 as the first capsule inlet cover 12 is closed.

한편, 상기 살균부(6)는 상기 캡슐홀더(5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홀더(53)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추출살균부(6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include an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64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holder 53 to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of the capsule holder 53 .

상기 추출살균부(64)는 상기 제1캡슐 투입구(1133)로 투입된 캡슐이 홀딩되는 캡슐홀더(53)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추출살균부(641) 및 제2캡슐 투입구(1134)로 투입된 캡슐이 홀딩되는 캡슐홀더(53)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2추출살균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and sterilization unit 64 includes the first extraction and sterilization unit 641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holder 53 in which the capsules inserted into the first capsule inlet 1133 are held and the second capsule inlet 1134. A second extraction and sterilization unit 642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holder 53 in which the capsule is held may be included.

이로써, 사용자가 제1캡슐 투입구(1133) 및 제2캡슐 투입구(1134)를 별도로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캡슐이 홀딩되는 캡슐홀더(53)의 내부는 살균 될 수 있다. Thus, the inside of the capsule holder 53 in which the capsules are held can be sterilized without the user separately opening the first capsule inlet 1133 and the second capsule inlet 1134.

한편,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추출부(51, 52)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부(51, 52)에서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을 보관하는 폐캡슐 회수부(81,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 and provided below the extraction parts 51 and 52, and collects waste capsules for storing the waste capsule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parts 51 and 52. Parts 81 and 82 may be further includ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폐캡슐 회수부(81, 82)는 상기 제1추출부(51) 하측에 구비된 제1폐캡슐 회수부(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는 상면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1바구니 수용부(811)와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제1폐캡슐 바구니(81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aste capsule recovery units 81 and 82 may include a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1 provided below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and the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 81) is the first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811 provided to rotate rearward of the housing 11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811)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811 811) may include a first closed capsule basket 812 provided to be withdrawn.

또한, 상기 상부 이너 프레임(122) 중 상기 제1추출부(51)의 캡슐 홀더(53)의 하측 부분은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이 상기 캡슐 홀더(53)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로 낙하되도록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를 향해 개방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완료된 폐캡슐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에 적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holder 53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51 of the upper inner frame 122 causes the extracted waste capsules to separate from the capsule holder 53 and the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1) may be configured with an open surface toward the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1 so as to fall, and accordingly, the used waste capsules can be naturally loaded into the first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1 .

또한, 제1폐캡슐 바구니(812)는 폐캡슐을 보관하는 제1바구니 바디(8121), 상기 제1바구니 바디(8121)의 상측에 연결된 제1바구니 핸들(8122) 및, 상기 제1바구니 바디(8121)의 하면에 구비되어 폐캡슐의 잔수를 배출하는 제1바구니 홀(8121a)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losed capsule basket 812 includes a first basket body 8121 for storing closed capsules, a first basket handle 8122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basket body 8121, and the first basket body. It may include a first basket hole 8121a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8121 to discharge residual water of the waste capsule.

또한,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의 하측에는 상기 제1바구니 홀(8121a)을 통해 유출된 잔수가 모이는 제1잔수 체류 공간(811a)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residual water retention space 811a in which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asket hole 8121a is collected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811 .

한편, 도 14는 제2바구니 수용부에서 제2 폐캡슐 바구니가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2추출부(52)에 투입되는 캡슐의 처리루트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te capsule basket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4,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processing route of capsules injected in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will be described.

마찬가지로, 상기 제2추출부(52)는 캡슐 홀더(53), 캡슐 홀더(53)의 후방에 연결된 홀더 링커(54), 상기 제2추출부 프레임(521)과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55) 및 상기 제2캡슐 투입구 커버(12)와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56)를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connects the capsule holder 53, the holder linker 54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apsule holder 53,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frame 521 and the holder linker 54. It may include a frame linker 55 and a cover linker 56 connecting the second capsule inlet cover 12 and the holder linker 54.

이에 따라, 상기 제2캡슐 투입구(16)를 투입된 캡슐은, 상기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가 닫힘에 따라 상기 캡슐 홀더(53)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apsul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capsule inlet 16 may be held by the capsule holder 53 as the second capsule inlet cover 1132 is closed.

또한, 상기 폐캡슐 회수부(81, 82)는 상기 제2추출부(52) 하측에 구비된 제2폐캡슐 회수부(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는 상면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바구니 수용부(821)와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제2폐캡슐 바구니(8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te capsule recovery units 81 and 82 may include a second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2 provided below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and the second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2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part 821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part 821 and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part 821 provided to rotate rearward of the housing 11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second closed capsule basket 822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또한, 상기 상부 이너 프레임(122) 중 상기 제2추출부(52)의 캡슐 홀더(53)의 하측 부분은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이 상기 캡슐 홀더(53)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로 낙하되도록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를 향해 개방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완료된 폐캡슐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에 적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holder 53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52 of the upper inner frame 122 is such that the extracted waste capsules are separated from the capsule holder 53 and the second waste capsule collection unit (82) may be configured as an open surface toward the second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2 so as to fall, and thus used waste capsules can be naturally loaded into the second waste capsule recovery unit 82 .

또한, 제2폐캡슐 바구니(822) 역시 폐캡슐을 보관하는 제2바구니 바디(8221), 상기 제2바구니 바디(8221)의 상측에 연결된 제2바구니 핸들(8222) 및, 상기 제2바구니 바디(8221)의 하면에 구비되어 폐캡슐의 잔수를 배출하는 제2바구니 홀(8221a)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losed capsule basket 822 also includes a second basket body 8221 for storing closed capsules, a second basket handle 8222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ket body 8221, and the second basket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basket hole 8221a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8221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of the waste capsule.

또한,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의 하측에도 상기 제2바구니 홀(8221a)을 통해 유출된 잔수가 모이는 잔수 체류 공간(821a)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sidual water retention space 821a in which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basket hole 8221a is collected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821 .

도 14는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가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사용자는 핸들(8122, 8222)을 파지하고 바구니 바디(8121, 8221)를 상측으로 리프팅시켜 폐캡슐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are detached from the basket accommodating parts 811 and 821, an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user grips the handles 8122 and 8222 and the basket body (8121, 8221) can be lifted upward to easily withdraw the lung capsule.

한편, 상기 살균부(6)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를 살균하는 제1회수살균부(661)와,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를 살균하는 제2회수살균부(662)를 포함하는 회수살균부(66)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unit 6 includes a first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1 provided insid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s 811 and 821 to steriliz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s 811 and 821, and the waste capsule basket ( 812 and 822 may include a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 including a second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2 provided inside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to sterilize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

상기 제1회수살균부(661)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를 살균할 수 있고, 상기 제1잔수 체류공간(811a) 또는 제2잔수 체류공간(812a)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1잔수 체류공간(811a) 또는 제2잔수 체류공간(812a) 내부의 세균 및 미생물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1 is provided insid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s 811 and 821 to steriliz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s 811 and 821, and the first residual water staying space 811a or Proliferation of bacteria and microorganisms in the first residual water retention space 811a or the second residual water retention space 812a can be prevented by irradiating the second residual water retention space 812a with ultraviolet rays.

또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에는 추출부(5)에서 탈거된 폐캡슐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폐캡슐에는 추출되고 남은 분말이 열수와 혼합된 채 남아있어, 세균 및 미생물이 증식될 가능성이 높다. In addition, the waste capsules removed from the extraction unit 5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sket receiving parts 811 and 821, and the powder remaining after extraction remains mixed with hot water in the waste capsules, so that bacteria and microorganisms proliferate. It is likely to be.

상기 제2회수살균부(662)는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를 살균하는 동시에 상기 폐캡슐에 생성되는 세균 및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econd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2 is provided inside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to sterilize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and at the same time remove bacteria and microorganisms generated in the waste capsules. there is.

한편, 도 15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의 연결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FIG. 15 shows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is opened. 15 shows that one side of the housing 11 is opened,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ket accommodating parts 811 and 821 can be confirmed.

구체적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는 전방커버(85), 상기 전방커버(85)의 하단에 연결된 잔수 체류 공간(821a)을 형성하는 베이스(84), 상기 베이스(84)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커버(8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sket accommodating parts 811 and 821 include a front cover 85, a base 84 forming a residual water staying space 821a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85, and a rear end of the base 84. A rear cover 83 extending upward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전방커버(85)에는 탄성부 체결부(85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측에는 수용부 연결부(614)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 체결부(851)와 상기 수용부 연결부(614)는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된 탄성부(8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rt fastening part 851 i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85, and the housing 11 has an accommodating part connecting part 614 provided therein, and the elastic part fastening part 851 and the accommodating part connecting part ( 614 may be connected through an elastic part 86 provided as a torsion spring.

상기 탄성부(86)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에 상기 하우징(11)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가 인출되면 자동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는 폐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86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basket accommodating parts 811 and 821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 and accordingly, when the waste capsule baskets 812 and 822 are withdrawn, the basket is automatically The accommodating parts 811 and 821 may be restored to a closed state.

상기 수용부 연결부(614)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벽, 상기 이너 프레임(12) 또는 PCB(P)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connection part 614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 the inner frame 12, or the PCB(P).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기어 어셈블리를 표현한 것이다.Figure 16 is a representation of the gear assembly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듀얼 음료 추출장치(1)는 제1 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 캡슐 투입구 커버(1132)를 열고 닫는 기어 어셈블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gear assembly 7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capsule inlet cover 1131 and the second capsule inlet cover 1132.

기어 어셈블리(700)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gear assembly 700 may be provided as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gears.

도 16을 참조하면, 기어 어셈블리(700)는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축 기어(710)와 축 기어(710)의 외주에 맞물려 회전 연결되는 링 기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 기어(720)의 개수는 필요시 되는 기어비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축 기어(710)는 선 기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6 , a gear assembly 700 may include an axial gear 710 rotatably disposed on a central axis and a ring gear 720 rotatably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axial gear 710 by engaging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number of ring gears 720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 required gear ratio. The axis gear 71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un gear.

축 기어(710)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720)는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링 기어(72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축 기어(7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축 기어(710)와 링 기어(720)의 회전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shaft gear 710 causes the ring gear 720 to rotate correspondingly. Conversely, even when the ring gear 720 rotates, the shaft gear 710 may also rotate. At this tim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shaft gear 710 and the ring gear 720 may be in opposite directions.

축 기어(710)와 링 기어(720)는 반경이 서로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비의 차이에 의해 회전 속도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술 투입구 커버(1131, 113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속도를 감속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axial gear 710 and the ring gear 720 may be selected to have different radii. Accordingly, a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 may be generated by a difference in gear ratio. Therefore, when the capsul inlet covers 1131 and 1132 rotate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rotational speed can be reduced to prevent damage.

구체적으로, 캡슐 투입구 커버(1131, 1132)는 링 기어(7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캡슐 투입구 커버(1131, 1132)가 링 기어(720)에 직접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링크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당연히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링커(56)가 링 기어(7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링커(56)는 일면에 기어가 형성되어 링 기어(720)와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링 기어(72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capsule inlet covers 1131 and 1132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gear 720 . 1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psule inlet covers 1131 and 1132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ring gear 720, but they may also be linked, and this is natur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referring to FIG. 12 , the cover linker 56 may be connected to the ring gear 720 . At this time, the cover linker 56 may be provided with a gear formed on one surface to engage with the ring gear 720, or may be connected to a rotational shaft of the ring gear 720.

한편, 축 기어(710)는 홀더 링커(58)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 투입구 커버(1131, 1132)의 개폐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캡슐 홀더까지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aft gear 710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linker 58 . Accordingly,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apsule inlet covers 1131 and 1132 can be transmitted to the capsule holder.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홀더 링커(58)가 캡슐 투입구 커버(1131, 1132) 또는 커버 링커(56)가 연결된 링 기어(720)가 아닌 다른 링 기어(7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링 기어(720)에서 축 기어(710)를 거쳐 다시 링 기어(720)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홀더 링커가 작동(58)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holder linker 58 may be connected to a ring gear 720 other than the ring gear 720 to which the capsule inlet covers 1131 and 1132 or the cover linker 56 are connected. Accordingly, the holder linker may be operated (58)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ring gear 720 through the shaft gear 710 to the ring gear 720 again.

기어 어셈블리(700)는 복수개의 기어들이 배치되는 기어 커버(7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assembly 700 may include a gear cover 730 on which a plurality of gears are disposed.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단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eps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출부(5)에 캡슐을 장착하는 캡슐투입단계(S100)와, 상기 물통(9)에서 상기 보일러(71)로 상온수를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단계(S200)와, 상기 보일러(71)에서 상온수를 열수로 전환하는 상온수 가열단계(S300)와,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5)로 열수를 공급하는 열수공급단계(S400)와, 상기 추출부(5)에서 상기 캡슐로 열수를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취출단계(S500)와. 상기 음료취출단계(S500)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노즐부(2)에서 외부로 안내하는 음료배출단계(S600)와, 상기 살균부(6)를 작동하여 상기 듀얼 음료 장치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부작동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sule input step (S100) of mounting a capsule in the extraction unit (5), and supplying room temperature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9) to the boiler (71). supplying room temperature water (S200), heating room temperature water (S300) converting room temperature water into hot water in the boiler 71,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5 through the hot water transfer passages 76 and 77. A hot water supply step (S400) and a beverage dispensing step (S500) of extracting a beverage by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5 to the capsule. Beverage dispensing step (S600) of guiding the beverage extracted in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500) to the outside from the nozzle unit (2), and sterilization of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dual beverage device by operating the sterilization unit (6) A non-operation step (S900) may be included.

상기 캡슐투입단계(S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1캡슐투입구커버(1131) 또는 제2캡슐투입구커버(1132)를 개방하여 캡슐을 투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캡슐투입단계(S100) 이후 수행되는 상온수 공급단계(S200)는 사용자의 작동 입력을 통하여 물통바디(91) 내부의 상온수가 상기 보일러(71)로 공급되는 단계일 수 있다.The capsule insertion step (S100) may be a step in which the user inserts a capsule by opening the first capsule entrance cover 1131 or the second capsule entrance cover 1132.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S200) performed after the capsule insertion step (S100) may be a step in which room temperature water inside the water bottle body 91 is supplied to the boiler 71 through a user's operation input.

또한, 상기 열수공급단계(S400)는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5)로 공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음료취출단계(S500)는 상기 추출부(5)로 공급된 열수를 음료로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step (S400) may be a step in which the hot water converted from the boiler is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5 through the hot water flow passages 76 and 77.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500) may be a step of extracting hot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5 as a beverage.

또한, 상기 음료배출단계(S600)는 상기 음료취출단계(S500)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노즐부(2)로부터 외부로 안내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600) may be a step of guiding the beverage extracted in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500) from the nozzle unit 2 to the outside.

상기 살균부작동단계(S900)는 상온수 공급단계(S200)가 종료된 이후 상기 물통살균부(61)가 작동되는 살균부 제1작동모드(S910)와, 음료 배출 단계 이후 상기 추출살균부(64), 노즐살균부(65), 유로살균부(63) 및 회수살균부(66)가 작동되는 살균부 제2작동모드(S920)와, 상기 캡슐 회수단계(S700)가 종료된 이후 살균부(6)가 작동되는 살균부 제3작동모드(S9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S900) includes the first operation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S910) in which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is operated after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S200) is completed, and the extraction and sterilization unit 64 after the beverage discharging step. ), the sterilization unit second operation mode (S920) in which the nozzle sterilization unit 65, the passage sterilization unit 63, and the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 are operated, and the sterilization unit after the capsule recovery step (S700) is completed ( 6) may include a third operation mode (S930) of the sterilization unit.

상기 살균부 제3작동모드(S930)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여부와 관계 없이 살균부(6)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sterilization unit's third operating mode (S930), the control unit C can control the sterilization unit 6 to oper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 ) is operated.

상기 살균부 제3작동모드(S930)에서 상기 살균부(6)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작동 및 정지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살균부 제3작동모드에서 상기 살균부(6)는 기설정된 작동시간동안 작동될 수 있고, 기설정된 작동정지시간동안 정지될 수 있다.In the sterilization unit's third operating mode (S930), the sterilization unit 6 may operate and stop sequentially at preset time intervals. Sterilization unit In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sterilization unit 6 can be operated for a preset operation time and stopped for a preset operation stop time.

일례로, 상기 살균부 제3작동모드(S930)는 상기 캡슐 회수단계(S700)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어부(C)가 기설정된 제3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31)와, 상기 제3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31)에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제3살균기능수행단계(S932)와, 상기 제3살균기능수행단계(S932) 이후, 기설정된 제3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33)와, 상기 제3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33)에서 상기 제3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6)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3살균기능종료단계(S93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third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S930), the control unit (C)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hird set time has elapsed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capsule collection step (S700) has elapsed. (S931) and the third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S932) of operating the sterilization unit by the controller (C) when the preset time has elapsed in the third set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31), and the third sterilization After the function execution step (S932), a thir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33)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set thir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nd the third sterilization time elapsed in the thir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33)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done, a thir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S934)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6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이로써,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살균부(6)의 작동이 On 및 Off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부가적인 명령 입력이 필요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6 can be turned on and off regardless of whether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is operated, and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ecause a separate additional command input is not required.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살균부 제1작동모드의 작동단계를 블럭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8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ng steps of the first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살균부작동단계(S900)는 상기 상온수 공급단계(S200)와 상기 상온수 가열단계(S300) 사이에 상기 물통살균부(61)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1작동모드(S9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ing unit operating step (S900) may include a sterilizing unit first operating mode (S910) for controlling the bucket sterilizing unit 61 to operat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ing step (S200) and the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S300). can

일례로, 상기 살균부 제1작동모드(S910)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상온수공급단계(S500)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11)와,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11)에서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61)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수행단계(S912)와, 상기 제1살균기능수행단계(S912) 이후, 상기 제어부(C)가 기설정된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13)와, 상기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13)에서 상기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6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종료단계(S914)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S910) includes a first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1) in which the control unit C determines whether a first set time previously set in the normal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S500) has elaps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in the first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1), a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S912) of controlling the bucket sterilization unit 61 to operate, and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After the performing step (S912), a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3) in which the control unit C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first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nd in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3),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3) If it is determined that one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S914)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설정시간경과판단계(S911)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상온수공급단계(S500)에서 물통(9)으로부터 보일러(71)로 상온수가 계속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설정시간경과판단계(S911)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살균기능수행단계(S912)가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first set time does not elapse in the first set time elapsed board step (S911), room temperature water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9 to the boiler 71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S500). Conversely, when the first set time previously set in the first set time elapsed board step (S911) elapses,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S912) may be performed.

이 경우, 상기 물통살균부(61)를 제외한 추출살균부(64), 유로살균부(63), 노즐살균부(65), 회수살균부(66)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64, the passage sterilization unit 63, the nozzle sterilization unit 65, and the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 excluding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may not operate.

즉, 상기 제1살균기능수행단계(S912)는 물통(9)에서 상온수가 보일러(71)로 급수된 이후, 기설정된 제1살균시간 동안 물통살균부(61)가 작동되어 물통바디(91) 내부의 살균이 진행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S912), after room 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9 to the boiler 71,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first sterilization time, so that the water bottle body 91 Internal sterilization may proceed.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13)에서 상기 제1살균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물통살균부(61)의 작동이 정지되는 제1살균기능종료단계(S914)가 수행되고 상온수 가열단계(S300)가 진행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13),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S914)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61 is stopped is performed, and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S300) may proceed.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살균부 제2작동모드의 작동단계를 블럭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9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ng steps of the second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살균부작동단계(S900)는 상기 음료배출단계(S600) 이후 상기 살균부(6)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2작동모드(S9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ing unit operating step (S900) may include a sterilizing unit second operating mode (S920) for controlling the sterilizing unit 6 to be operated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600).

상기 살균부 제2작동모드(S920)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음료배출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21)와, 상기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21)에서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6)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수행단계(S922)와, 상기 제2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23)와, 상기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23)에서 상기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6)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종료단계(S9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ilization unit second operation mode (S920) includes a second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S921) in which the control unit C determines whether a second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and the second set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et time has elapsed in the elapsed judgment step (S921),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S922) of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6 to operate, and after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the predetermin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23)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n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2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the sterilization unit (6)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S924) of controlling operation to be stopped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21)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음료배출단계(S600)에서 음료가 계속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S912)에서 기설정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살균기능수행단계(S922)가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first set time previously set in the second set time lapse determination step (S921) does not elapse, the beverage may continue to be discharged in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S600). Conversely, whe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second set time elapse determination step (S912),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execution step (S922) may be performed.

이 경우, 상기 물통살균부(61)를 포함한 추출살균부(64), 유로살균부(63), 노즐살균부(65), 회수살균부(66)는 모두 작동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64 including the bucket sterilization unit 61, the passage sterilization unit 63, the nozzle sterilization unit 65, and the recovery sterilization unit 66 may all be operated.

즉, 상기 제2살균기능수행단계(S922)는 음료가 배출된 이후, 기설정된 제2살균시간 동안 살균부(6)가 작동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음료 추출장치 내부가 살균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S922), after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e sterilization unit 6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second sterilization time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S923)에서 상기 제2살균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살균부(6)의 작동이 정지되는 제2살균기능종료단계(S924)가 수행되고 캡슐 회수단계(S700)가 진행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judgment step (S923),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S924)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6 is stopped is performed, and a capsule recovery step (S700) is performed. can proce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1: 하우징 2: 노즐부 3: 트레이모듈
4: 캡슐보관함 5: 추출부 6: 살균부
61: 물통살균부 62: 유입홀살균부 63: 유로살균부
64: 추출살균부 65: 노즐살균부 66: 회수살균부
71: 보일러 72: 펌프 73: 제1밸브
8: 폐캡슐회수부 9: 물통
S100: 캡슐투입단계 S200: 상온수공급단계
S300: 상온수가열단계 S400: 열수공급단계
S500: 음료추출단계 S600: 음료배출단계
S700: 캡슐회수단계 S900: 살균부작동단계
S910: 살균부제1작동모드 S920: 살균부제2작동모드
S930: 살균부제3작동모드
11: housing 2: nozzle unit 3: tray module
4: capsule storage box 5: extraction unit 6: sterilization unit
61: bucket sterilization unit 62: inlet hole sterilization unit 63: flow path sterilization unit
64: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65: nozzle sterilization unit 66: recovery sterilization unit
71: boiler 72: pump 73: first valve
8: waste capsule collection unit 9: water container
S100: Capsule insertion step S200: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S300: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S400: hot water supply step
S500: Beverage extraction step S600: Beverage discharging step
S700: Capsule recovery step S900: Sterilization sub-operation step
S910: Sterilization unit 1st operation mode S920: Sterilization unit 2nd operation mode
S930: Sterilizer 3 operation mode

Claims (10)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구와 상기 캡슐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캡슐 투입구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는 노즐부;
상기 하우징 또는 이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 열수이동유로, 추출부 및 노즐부를 살균하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In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a beverage using a capsule containing powder,
a housing that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 capsule inlet into which the capsule is inserted and a capsule inlet cove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apsule inlet;
an inner fram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boiler provided in the inner frame to heat room temperature water and convert it into hot water;
a hot wat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boiler and moving the hot water converted from the boiler;
an extraction unit connected to the hot water flow passage to receiv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flow passage and supplying the hot water to the capsule to extract a beverage;
a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and guiding the beverage taken out from the extraction unit to the outside;
a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or inner frame to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of sterilizing the room temperature water, the hot water flow path, the extraction unit, and the nozzle unit; and
A gear assembl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apsule inlet cover of the housing;
The gear assembly is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ge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UV-C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unit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UV-C 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온수가 수용되는 물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물통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상온수를 살균하는 물통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container seated in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room temperature water supplied to the boiler;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includes a water bottle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room temperatur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bott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면을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보일러를 연통시키는 상온수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상온수유입홀에 구비되어 상기 상온수유입홀로 유입되는 상온수를 살균하는 유입홀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ousing includes a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provided to penetrate one surface and communicates the water container and the boiler,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let hole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room temperature water flowing into the room temperature water inle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캡슐을 홀딩하며 상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캡슐홀더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홀더의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추출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tractor includes a capsule holder holding the capsule and supplying hot water to the capsule;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sule holder and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raction sterilization unit for performing a sterilization function of the capsul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
상기 노즐 하우징 하측에 연결되는 노즐 분사부; 및
상기 추출부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노즐 분사부로 안내하는 노즐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노즐 유입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 유입부의 내부를 살균하는 노즐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ozzle part
a nozzle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 nozzle ejection uni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nozzle housing; and
Including; a nozzl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extraction unit and guiding the beverage extract to the nozzle injection unit;
The steriliz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ozzle inl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zzle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nozzle inlet unit dual beverage extrac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을 보관하는 폐캡슐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캡슐 회수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바구니 수용부와,
상기 바구니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캡슐 바구니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구니 수용부를 살균하는 제1회수살균부와, 상기 폐캡슐 바구니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폐캡슐 바구니를 살균하는 제2회수살균부를 포함하는 회수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ste capsule recovery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frame and storing the waste capsule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unit,
The lung capsule recovery unit
A basket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to rotate rearward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waste capsule basket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basket receiving portion and to be withdrawn,
The sterilization unit
A recovery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 first recovery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asket accommodating unit to sterilize the basket accommodation unit and a second recovery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waste capsule basket to sterilize the waste capsule basket. Features a dual beverage brewing device.
제3항의 듀얼 음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에 캡슐을 장착하는 캡슐투입단계;
상기 물통에서 상기 보일러로 상온수를 공급하는 상온수 공급단계;
상기 보일러에서 상온수를 열수로 전환하는 상온수 가열단계;
상기 열수이동유로를 통하여 상기 추출부로 열수를 공급하는 열수공급단계;
상기 추출부에서 상기 캡슐로 열수를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취출단계;
상기 음료취출단계에서 추출된 음료를 상기 노즐부에서 외부로 안내하는 음료배출단계; 및
상기 살균부를 작동하여 상기 듀얼 음료 장치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부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dual beverage device of claim 3,
A capsule insertion step of mounting the capsule to the extraction unit;
A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room temperature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iler;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of converting room temperature water into hot water in the boiler;
a hot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hot water to the extraction unit through the hot water flow passage;
a beverage dispensing step of extracting a beverage by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extraction unit to the capsule;
a beverage dispensing step of guiding the beverage extracted in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to the outside from the nozzle unit; and
Control method of the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of operat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dual beverag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작동단계는 상기 상온수 공급단계와 상기 상온수 가열단계 사이에 상기 물통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1작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 제1작동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온수공급단계에서 기설정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
제1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수행단계;
상기 제1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 및
상기 제1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통살균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1살균기능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rilizing unit operating step includes a sterilizing unit first operating mode for controlling the bucket sterilizing unit to operat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ing step and the room temperature water heating step,
The first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s
a first set time lapse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first set time has elapsed in the room temperature water supply step;
a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of controlling the bucket sterilization unit to be op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in the first set time elapse determination step;
a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first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first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cket sterilization unit to stop; Control method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작동단계는 상기 음료배출단계 이후 상기 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살균부 제2작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 제2작동모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료배출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
상기 제2설정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수행단계;
상기 제2살균기능수행단계 이후, 기설정된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 및
상기 제2살균시간경과판단단계에서 상기 제2살균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살균부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제2살균기능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rilization unit operation step includes a sterilization unit second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operate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The second operating mode of the sterilization unit is
a second set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second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beverage dispensing step;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of controlling the sterilization unit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et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et time lapse determination step;
a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after the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performing ste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time elapsed determination step, a second sterilization function termin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to stop; Control method of a dual beverag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KR1020210149839A 2021-11-03 2021-11-03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KR202300643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39A KR20230064349A (en) 2021-11-03 2021-11-03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39A KR20230064349A (en) 2021-11-03 2021-11-03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49A true KR20230064349A (en) 2023-05-10

Family

ID=8638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839A KR20230064349A (en) 2021-11-03 2021-11-03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3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576B2 (en) Portable automatic beverage brewing drinking vessel
CN106998932B (en) Assembly for creating milk foam,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20160110437A (en) Beverage cartridge holder with movable outlet
RU2489956C2 (en) Set of items suitable for usage in process of beverage preparation
KR102068864B1 (en) Water server
US20120132573A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JP2015535720A (en) Extraction unit having shiftable cartridge receivers of multiple sizes
KR20160110435A (en) Beverage machine cartridge holder
JP2015533565A (en) Extraction unit with multiple sized cartridge cavities
JP2013544568A (en) Beverage machine for multiple different spatial environments
CN107046798B (en) Assembly for creating milk foam
CN106998949A (en) Assembly for creating milk foam,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2218826B1 (en)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KR20230064349A (en) Dual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opened and closed with a gear assembly
JP5571218B1 (en) Water server
KR102454113B1 (en)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water supply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61128A (en) Control method of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KR20220055249A (en) Beverage extraction machine for coffee capsules and tea capsules using dual nozzles
CN110141118B (en) Safe water drin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507824B2 (en) Treated water vending equipment
KR102220630B1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KR20150124975A (en) Water dispenser
KR102454126B1 (e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convenience including gear assembly
CN106573078A (en) Device for heating and sterilizing a baby item
CN219125994U (en) Liquid he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