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252A - Medical Headlamps - Google Patents

Medical Headlam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252A
KR20230064252A KR1020210149640A KR20210149640A KR20230064252A KR 20230064252 A KR20230064252 A KR 20230064252A KR 1020210149640 A KR1020210149640 A KR 1020210149640A KR 20210149640 A KR20210149640 A KR 20210149640A KR 20230064252 A KR20230064252 A KR 20230064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reference point
inertial sensor
information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유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14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252A/en
Publication of KR2023006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2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진의 미세한 머리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야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셋에 조명램프가 장착된 의료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A)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B) 상기 헤드셋과 조명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하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는 작동부; (C) 상기 헤드셋, 헤드램프 또는 작동부에 설치된 관성센서; 및 (D)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작동부가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에 입력된 기준점에서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를 기준점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기준점 정보에 의한 위치-방향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headlamp that is not affected by minute head movements of a medical staff and can prevent confusion of vision, and more particularly, in a medical headlamp equipped with a lighting lamp in a headset, (A) a user command an input unit through which this is input; (B) an op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set and the lighting lamp and adjusts the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ing lamp or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C) an inertial sensor installed in the headset, headlamp or operating unit; and (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direction or illuminance or the direction and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input unit. Stores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ertial sensor a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t the reference point input to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then, if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operating unit causes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o It relates to a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direction is direct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Description

의료용 헤드램프{Medical Headlamps}Medical Headlamps {Medical Headlamps}

본 발명은 의료진의 미세한 머리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야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headlamp capable of preventing confusion of v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minute head movements of a medical staff.

의료시술에 이용되는 의료용 광원장치는 조작자의 후방 상부 또는 시술대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광원을 배치하여 환부를 조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조명이 시술실의 천정 등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형태나 주변의 환경에 따라 상기 조명이 가려져 시술 대상의 국부로 광조사량을 충분히 올릴 수 없는 경우가 있다. In general, a medical light source device used in a medical procedure irradiates an affected area by arranging one or more light sources at an upper rear portion of an operator or around an operating table. However, when the lighting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operating room, the lighting may be block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bject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light irradiation amount may not be sufficiently raised to the local area of the treatment target.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여 필요한 국부에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자의 신체에 장착하는 의료용 광원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헤드램프는 시술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시술부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시술자의 육안 판별을 용이하게 하는 의료용 광원장치로, 미세한 신체조직을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할 때 그 자체로 혹은 헤드루페에 결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헤드램프는 시술자의 이마 중앙 부근에 설치되고, 시술 시작 시 시술자가 광 조사방향을 직접 손으로 조정한 뒤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정된 램프는 시술자의 머리에 부착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nd secure sufficient brightness in a necessary local area, medical light source devices mounted on the operator's body have been used. A headlamp is a medical light source device that is worn on the operator's head to intensively illuminate the area to be treated and facilitates the operator's visual discrimination. When performing medical activities targeting fine body tissues, the headlamp is itself or combined with a head loupe. is used as The headlamp is installed near the center of the operator's forehead, and at the start of the procedure, the operator manually adjusts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nd then fixes it to use. However, since the fixed lamp remains attached to the operator's head, it moves along with the operator's head movement, causing various problems.

일본공개특허 제2006-107846호는 헤드램프가 시술자가 시술부로부터 시야 방향을 이동시켜, 예를 들어 모니터로 표시되는 생체 수치 등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조명이 방해가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시선이 특정 대상물을 향할 때에만 조명이 켜지도록 하는 머리 장착용 조명기구를 개시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7505호는 실제 대상을 볼 때에만 자동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머리가 설정된 각도 이상 숙여진 경우에만 광원이 켜지도록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헤드루페를 개시하였다(도 1a). 한국등록특허 제10-1163497호는 시술자가 시선을 변경할 때 직접 손으로 광 조사방향을 조절하거나, 혹은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조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조명 방향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의료용 헤드램프를 개시하였다(도 1b).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107846 discloses that a headlamp moves the operator's field of view from the treatment unit to solve the problem that lighting interferes with the wearer when, for example, checking biometrics displayed on a monitor. Disclosed is a head-mounted lighting device in which lighting is turned on only when the line of sight of a person is directed toward a specific objec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7505 discloses a lighting function that turns on a light source only when the head is bent over a set angl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energy by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 only when an actual object is viewed. Branches initiated head loupes (Fig. 1a).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3497 discloses that the lighting direc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earer's gaz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manually adjust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by hand or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when the operator changes the gaze. Disclosed is a medical headlamp controlled by (FIG. 1b).

의료행위 시에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뿐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불가피하게 머리를 움직일 수 있다. 헤드램프는 머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이 흔들리면서 목표 부위에 조명-그늘이 반복되어 시야의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시선 방향에 따라 조명 방향이 자동 제어되는 경우에는 동공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므로, 머리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시선의 작은 움직임에 따라 조명 역시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의료행위 시에는 2인 이상의 의료진이 협력하여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다. 헤드램프를 착용한 본인은 자신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영향을 적게 받으나 다른 사람들은 예고없이 조명이 변하게 되어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의료용 헤드램프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During medical practice, the head can be moved not only for a specific purpose, but also unconsciously and unavoidably. Since the headlamp is fixed to the head, the light shak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lighting and shade are repeated at the target area, which may cause confusion in the field of view. Since the prior art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upil when the lighting direc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gaze direction, even if the head does not move, the lighting may also shake according to the small movement of the gaze. In medical practice,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wo or more medical staff cooperate to perform medical practice. The person who wears the headlamp can predict the change in lighting according to his/her movement and is less affected, but other people may be more seriously affected as the lighting changes without notice. However, the prior art for medical headlamps does not mention this problem, and therefore, does not suggest a method for solving it.

일본공개특허 2006-107846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07846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750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7505 한국등록특허 제10-116349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3497

본 발명은 시술자의 머리 움직임에도 그 움직임이 일정한 범위 이내이면 조명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headlamp that maintains constant lighting even when the movement of the operator's head is within a certain range.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시술범위 밖으로 시술자의 머리가 움직이면, 미리 세팅된 값의 조도로 조도가 낮춰지거나, 스위치가 꺼지도록 제어되는 의료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headlamp that is controlled so that when the operator's head moves outside the set operating range, the illumination intensity is lowered to a preset value or the switch is turned of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셋에 조명램프가 장착된 의료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A)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B) 상기 헤드셋과 조명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하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는 작동부; (C) 상기 헤드셋, 헤드램프 또는 작동부에 설치된 관성센서; 및 (D)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작동부가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에 입력된 기준점에서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를 기준점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기준점 정보에 의한 위치-방향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dical headlamp equipped with a lighting lamp in a headset, comprising: (A)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B) an op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set and the lighting lamp and adjusts the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ing lamp or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C) an inertial sensor installed in the headset, headlamp or operating unit; and (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direction or illuminance or the direction and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input unit. Stores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ertial sensor a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t the reference point input to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then, if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operating unit causes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o It relates to a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direction is direct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헤드램프에 의하면 시술자의 작은 머리 움직임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시술 부위를 일정하게 조명할 수 있어 시야의 혼동을 방지하고 시술에 집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dical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illuminate the treatment area without being affected by small head movements of the operator, preventing confusion in the field of view and concentrating on the treatment.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헤드램프는 미리 시술범위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설정 범위를 벗어나 생체 지수를 확인하거나 다른 의료진과 소통하는 경우 램프의 조도를 낮추거나 일시적으로 소등하는 것에 의해 눈부심을 방지하고, 다시 시술에 들어갈 때 자동으로 조도가 조절되며 기준점 재설정 또한 용이하므로 시술 시 조명램프의 설정으로 인한 불편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dical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glare by setting the treatment range in advance, by lowering the illuminance of the lamp or temporarily turning off the light when checking the biometric index outside the set range or communicating with other medical staff, and again When entering the procedure, the illumination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it is easy to reset the reference point,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and contamination due to the setting of the lighting lamp during the procedure.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램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헤드램프의 구성도.
Figures 1a and 1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d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al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However, these drawings and embodiments are only examples for easily explaining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changed.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헤드램프는 입력부, 작동부, 관성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별도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헤드램프를 구성하는, 예를 들면 전원부와 같은, 기본구성이 본 발명의 헤드램프에 포함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의료용 헤드램프 고유의 특징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 2, the medical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an operation unit, an inertial sensor, and a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for medical use, and it is natural that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as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eadlamp, for example, a power supply unit, even if not separately mentioned.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unique to the medical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버튼, 음성인식 또는 동작인식의 수단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 버튼은 헤드램프 자체에 형성된 버튼일 수도 있으나, 별도의 패드, 리모콘, 휴대폰 또는 PC의 어플에 형성된 버튼일 수도 있다. 버튼의 형상 역시 단수의 버튼에서, 복수개의 버튼 혹은 키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인식이나 동작인식으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특정 명령에 상응하는 음성 또는 동작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The input unit is a command input by a user, and can be input by means of buttons, voice recognition, or motion recognition. The button may be a button formed on the headlamp itself, or may be a button formed on a separate pad, remote controller, mobile phone, or PC application. The shape of the button may also be a single button, a plurality of buttons or a keybo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 command is input through voice recognition or motion recognition, a voice or mo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y be set in advance.

상기 작동부는 헤드셋과 조명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하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 및/또는 조도를 조절한다. 조명램프의 방향 조절은 램프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모듈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조도 조절은 램프에 가해지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램프의 기계적인 구동 방식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 구성에 의한 기계적인 구동 방식을 이용하여 특정 조건에서 조명램프가 특정 위치를 조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계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종래 기술을 참작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조도 조절 역시 종래 기술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operat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set and the lighting lamp to adjust the direction and/or intensity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Direction control of the lighting lamp may be realized by a driving module that moves or rotates the lamp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llumination control may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lamp.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explain a mechanical driving method of a lighting lamp, but to irradiate a lighting lamp at a specific position under a specific condition using a mechanical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It will be easy to configure by taking into account the technology. Illuminance control can also be easily implemented using the prior art.

상기 관성센서는 가속도, 속도, 방향, 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로 머리의 움직임, 즉, 헤드램프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성센서는 헤드셋, 헤드램프 또는 작동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inertial sensor is a sensor that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acceleration, speed, direction, distance, and the like,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head, that is, the movement of the headlamp. To this end, the inertial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headset, headlamp or operat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작동부가 조명램프의 방향 및/또는 조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direction and/or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sensor.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명령은 전원의 스위칭 명령, 기준점 설정 명령, 조명램프의 방향 설정 명령 및 조도 설정 명령을 포함한다.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전원을 켜고 적절한 조도를 설정한 후, 조명램프의 방향을 조절하여 타겟 위치를 조명하게 되면 이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적절한 조도값 등은 기본 설정으로 저장하여, 사용 시마다 설정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기본 설정값이 읽혀지도록 할 수 있다. Commands input to the input unit include a power supply switching command, a reference point setting command, a lighting lamp direction setting command, and an illuminance setting command. For use, the user turns on the power, sets an appropriate level of illumination, and then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lighting lamp to illuminate the target position, setting this as a reference point. In this case, appropriate illuminance values and the like can be stored as default settings, so that the default settings can be read without having to input the settings every time they are used.

입력부에 기준점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기준점에서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를 기준점 정보로 저장한다. 이후,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기준점 정보에 의한 위치-방향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지시한다. 이때, "소정 범위"라 함은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헤드램프 자체의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 등에 따라 사용자가 변수로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범위는 기준점으로부터의 위치와 방향 편차값에 의해 설정된다.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작동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헤드램프의 움직임을 보상하여 헤드램프의 위치를 보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움직였다면, 작동부는 움직인 값만큼 왼쪽으로 램프를 이동시키며, 위쪽으로 움직였다면, 램프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다. When a reference point setting command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stores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ertial sensor at the input reference point a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reafter, if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operating unit is instruct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lighting lamp in the position-direc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 "predetermined range" means a range of preset values. Therefore, it may be set as the default value of the headlamp itself, or may be input as a variable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reatment area or purpose of treatment. The range is set by the position and direction deviation values from the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ler, the operation uni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headlamp by compensating for the movement of the headlamp caused by the user's movement. That is, if the user moves to the right, the operation unit moves the lamp to the left by the moved value, and if the user moves to the top, the operation unit can compensate for the movement by moving the lamp downward.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명령은 시술범위 설정 명령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술"은 비관혈적 치료를 나타내는 협의의 시술과 체내의 병변을 노출한 치료를 나타내는 수술을 포함하는 의료행위를 의미한다. 시술 시에는 당연히 기준점이 되는 위치에 시선이 집중되기도 하지만, 시술 중 환자의 생체지수를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를 보거나, 동료 의사들과 의견을 나누기 위하여 대화를 하는 등 기준점 이외의 곳을 보기도 한다. 이 경우 표적 부위를 비추기 위한 강한 조도의 조명램프는 시야를 흐리게 하거나, 상대방의 눈을 부시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는 추가로 시술범위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시술범위 설정 명령이 입력부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시술범위 설정 명령에 해당하는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 기반의 시술범위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조명램프의 조도를 낮추거나, 스위치를 끄도록 지시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dure range setting comman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cedure" refers to medical practices including surgery in a narrow sense representing non-invasive treatment and surgery representing treatment by exposing lesions in the body. During the procedure, of course, the gaze is focused on the reference point, but during the procedure, you may look at a place other than the reference point, such as looking at the monitor to check the patient's biometric index or having a conversation with fellow doctors to share opinion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ighting lamp having strong illumination for illuminating a target part blurs the field of view or dazzles the other party. Accordingly, the user may additionally input an operation range setting command. When a surgical range setting command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stores surgical range information based on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inertial sens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urgical range setting command. Then, when the loca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not included in the treatment range information, the aforementioned problem can be solved by instructing the operation unit to lower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or to turn off the switch.

시술범위 설정 명령은 기존 설정값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직접 시술범위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로 표현되는 경우 기준점 정보로부터 직경 10 cm 이내, 직경 20 cm 이내와 같은 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설정값은 위치가 아닌 방향(각도)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는 직접 시술범위를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술범위는 점이 아닌 영역이므로 복수의 점을 선택하고 그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을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시술범위가 정밀한 값을 요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점만을 선택하여 기준점으로부터 해당 점을 포함하는 동심원 내의 영역이 되도록 하여도 충분할 것이다.The operation range setting command can select and use an existing setting value or directly designate and set the operation range. For example, when expressed as a position, setting values such as within 10 cm in diameter and within 20 cm in diameter may be selected from reference point information.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set value may be set to a direction (angle) rather than a position. Alternatively, the operation range may be set directly to a location.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range is an area rather than a point, it is possible to select multiple points and set the area defined by them, but since the operation range does not require precise values, select only one point and include the corresponding point from the reference point. It will be sufficient to make the area within the concentric circle.

생체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이유로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 밖이 되도록 헤드램프가 이동하였다가, 다시 시술범위 이내로 되돌아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조명램프의 조도를 다시 초기 기준점에서의 조도로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시 스위치를 켜거나 조도를 높이기 위해 버튼을 작동시키는 등의 추가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바로 시술이 가능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감염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다. For reasons such as checking biometric information, the headlamp moves so that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outside the treatment range information, and then returns to within the treatment range, the control unit causes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lighting lamp. It is preferable to instruct to adjust the illuminance at the initial reference point agai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level of illumination that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turning on the switch again or operating a button to increase the level of illumination, making it convenient and safe to perform the procedure by preventing the risk of infection. .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초기 설정된 기준점과 다른 기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시술 중 오작동으로 인하여 기준점 설정이 해제되었거나, 초기 환부로 생각했던 기준점 부분과 다른 부위를 상세하게 확인 또는 시술하여야 하거나, 혹은 시술범위 밖으로 벗어낫다가 다시 정확하게 기준점을 설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 이내이고, 초기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시간동안 변동이 없을 때에는 새로운 기준점 설정 명령으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시간은 시술자에 따라 5초~1분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준점 설정 방법은 추가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기준점 설정이 가능하므로 의료 시술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set a reference point different from the initially set reference point. For example, the reference point setting was canceled due to a malfunction during the procedure, or a part other than the reference point that was initially thought to be an affected area needs to be checked or operated in detail, or it is necessary to set the reference point accurately again after going out of the operation range. there is. To this end, the input unit preferably inputs a new reference point setting command when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the operation range information, outside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initial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there is no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in the range of 5 seconds to 1 minute according to the operator. The reference point setting metho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omponents and can be usefully used in a medical procedure field because it is possible to set a reference poin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 헤드셋에는 루페가 함께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headset may be equipped with a loup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extent that various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8)

헤드셋에 조명램프가 장착된 의료용 헤드램프에 있어서,
(A)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B) 상기 헤드셋과 조명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하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는 작동부;
(C) 상기 헤드셋, 헤드램프 또는 작동부에 설치된 관성센서; 및
(D)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작동부가 조명램프의 방향 또는 조도 또는 방향과 조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에 입력된 기준점에서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를 기준점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기준점 정보에 의한 위치-방향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In the medical headlamp equipped with a lighting lamp in the headset,
(A) an input unit into which user commands are input;
(B) an operating unit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set and the lighting lamp and adjusts the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ing lamp or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unit;
(C) an inertial sensor installed in the headset, headlamp or operating unit; and
(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direction or illuminance or the direction and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ertial sens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stores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ertial sensor a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t the reference point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n, if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the operation unit operates the A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instructing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in a location-direction based on reference point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버튼, 음성인식 또는 동작인식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unit is a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input by a button, voice recognition or motion recogn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명령은 전원의 스위칭 명령, 기준점 설정 명령, 조명램프의 방향 설정 명령 및 조도 설정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2,
The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includes a power switching command, a reference point setting command, a lighting lamp direction setting command, and an illuminance setting comma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명령은 시술범위 설정 명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procedure range setting comma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에 입력된 시술범위 설정 명령에 해당하는 관성센서로부터 전송된 위치-방향 측정정보 기반의 시술범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조명램프의 조도를 낮추거나, 스위치를 끄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stores treatment range information based on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inertial sensor corresponding to a treatment range setting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not included in the treatment range information. If not, the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instructing the operating unit to lower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or to turn off the switch.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 이내로 되돌아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로 하여금 상기 조명램프의 조도를 다시 초기 기준점에서의 조도로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returns within the operation ran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nstructs the operating unit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lamp to the illuminance at the initial reference poin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성센서에 의한 위치-방향 측정정보가 시술범위 정보 이내이고, 초기 기준점 정보의 소정 범위를 벗어나며, 소정 시간동안 변동이 없을 때에는 새로운 기준점 설정 명령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of claim 4,
The input unit inputs a new reference point setting command when the position-direction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inertial sensor is within the operation range information, outside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initial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there is no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에는 루페가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medical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set is equipped with a loupe.
KR1020210149640A 2021-11-03 2021-11-03 Medical Headlamps KR202300642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640A KR20230064252A (en) 2021-11-03 2021-11-03 Medical Headlam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640A KR20230064252A (en) 2021-11-03 2021-11-03 Medical Headlam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252A true KR20230064252A (en) 2023-05-10

Family

ID=8638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640A KR20230064252A (en) 2021-11-03 2021-11-03 Medical Headlam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252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7846A (en) 2004-10-01 2006-04-20 Seventh Dimension Design:Kk Head-mounted luminaire
KR20090097505A (en) 2008-03-11 2009-09-16 황현태 Headloupe with light
KR101163497B1 (en) 2010-02-19 2012-07-1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Medical head la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7846A (en) 2004-10-01 2006-04-20 Seventh Dimension Design:Kk Head-mounted luminaire
KR20090097505A (en) 2008-03-11 2009-09-16 황현태 Headloupe with light
KR101163497B1 (en) 2010-02-19 2012-07-1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Medical head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102A (en) Contrast adjustor for aiming laser
US11054113B2 (en) Adaptive lighting array with image-based control
JP5749298B2 (en) Head front lighting device
US8727558B2 (en) Medical headlamp for tracking eye locations
CN103180664B (en) Illuminator
RU2009141582A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REFRACTIVE SURGERY
JP2019504662A (en) Hand-controllable surgical ligh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5527913A (en) Automatic machine setting for customized refractive surgery
JP6544757B2 (en) Light irradiation system, controller, light irradiation control method, and microscope apparatus for operation
JP2015532884A (en) Adjustable loop fiber optic illuminator for surgery
JP2017098170A (en) Luminaire
KR20230064252A (en) Medical Headlamps
JP2007167659A (en) External device for controlling laser in ophthalmologic operation
JP2014100203A (en) Headlight
JP4229443B2 (en) Medical device with lighting device
KR102132961B1 (en) Robotic surgical light system with cognitive func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132963B1 (en) Drone attached surgical light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JP7460109B2 (en) Light irradiation device
KR102089747B1 (en) Surgical light system automatically controlled by user's input sig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997794B (en) Medical multifunctional eyelid retractor
CN113662507A (en) Cornea contact type ophthalmology digital microscope
KR100961916B1 (en) Led stand having a function skin beauty
JP3598222B2 (en) Lighting equipment
CN215020366U (en) Multifunctional punctum dilator with functions of illumination and magnifier
CN213872340U (en) Illumination device for ophthalmologic cataract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