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124A -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 Google Patents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124A
KR20230064124A KR1020210149360A KR20210149360A KR20230064124A KR 20230064124 A KR20230064124 A KR 20230064124A KR 1020210149360 A KR1020210149360 A KR 1020210149360A KR 20210149360 A KR20210149360 A KR 20210149360A KR 20230064124 A KR20230064124 A KR 20230064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substituted
group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654B1 (ko
Inventor
배한용
송창식
송선구
박진현
이주현
신명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6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22Amides of acids of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원은 하기 화학식 1 로서 표시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2

(화학식 1 에서,
R1 내지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X 는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Description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SYNTHESIS OF TRIPLE HYDROGEN-BONDING DONOR BEARING N-TRIFLYLPHOSPHORAMIDE AND DERIVATIVES THEREOF}
본원은 삼중 수소 결합 주개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공유결합성 상호작용의 하나인 수소 결합(hydrogen-bonding) 은, 화학 분야 전반에 걸쳐 중요한 작용으로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소 결합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의 상호작용임에도 불구하고, 촉매 유기 합성의 작용기부터 다른 분자 인식의 인식 메커니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 결합을 유도하기 위해, 유레아, 싸이오유레아, 및 스퀘어 아마이드와 같이 수소 결합 주개 구조를 갖는 물질이 유기 화학 분야에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2 개의 수소 결합 주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호 작용 가능한 수소 결합 받개의 종류가 제한되고, 상호 작용 가능한 에너지 정도에도 한계가 존재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삼중 수소 결합 주개를 갖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삼중 수소 결합 주개 중심 구조의 화합물은 기본 골격 구조인 포스포 아마이드 작용기 또는 싸이오 포스포 아마이드 작용기의 변주를 통한 유도체 개발에 그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논문(Rodriguez, A. A., Yoo, H., Ziller, J. W., Shea, K. J. (2009). New architectures in hydrogen bond catalysis. Tetrahedron Letters)은 복수의 수소 결합을 갖는 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 골격인 찰코겐 구조 중심 (산소족, P=O) 의 포스포아마이드에서 닉토겐 구조 중심 (질소족 (15족), P=N-Tf) 으로 변경하여, 유래 없던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RNH)3P=N-Tf} 유도체 합성을 통해 제조된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 검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로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 에서,
R1 내지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 - 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 - 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X 는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로서 표현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2 에서,
R4 내지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3,5-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 ((CF3)2), 4-n-부틸 페닐(4-nBu), 4-n-옥틸 페닐(4-nOct), 4-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CF3)임).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 검출 센서에 대한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 물질 검출 센서는, 인산염 작용기(P=O)와 수소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제 3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
(화학식 3 에서,
X1 내지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4 에서,
R12 내지 R16 은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15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pH 가 7 초과 13 이하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에 따른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온화한 조건에서의 유용한 아마이드 중심 구조 형성 반응을 통해,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 라이브러리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작용기의 기본 구조 변경에 따라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초래하는 기능화 전략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을 제조할 때, 상기 화합물의 유도체의 치환기를 조절하여 상기 화합물의 수소결합 주개 개수, 산성도, 소수성, 및 수소 결합력 세기 등을 조절 전략을 수립하고 합성을 진행하여, 향상된 인산염 검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화합물은 필름 또는 코팅의 형태를 가진 화학 물질 검출 센서로 제조될 수 있어 경량화가 용이하고, 환경 변수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다양한 환경에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화학신경유사작용제에 포함된 인산염(P=O)과 높은 선택비로 반응하기 때문에, 인산염이 포함된 물질을 간과하지 않고 검출할 수 있으며, 촉매, 센서, 리셉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간단한 전구체로부터 합성되는 것으로서, 산업적 생산이 용이하고, 기존에 사용되지 않은 다양한 치환기를 도입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화학 물질 검출 센서에 포함되어 음이온 감지 리셉터, 의약품, 유기 촉매, 전해질, 양이온성 고분자의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반응식이다.
도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삼중 수소 결합 주개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로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1 에서,
R1 내지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X 는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상기 본원에 따른 "치환될 수 있는" 의 기재는, 선형, 분지형, 방향족 고리, 및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탄소와 결합된 수소가, 알킬기, 할로겐화된 알킬기, 할로겐 원소 등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향족 고리는 1 개 내지 19 개의 수소, 전자 주개, 및 전자 받개를 포함하고, 상기 헤테로 방향족 고리는 1 개 내지 9 개의 수소, 전자 주개, 및 전자 받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전자 주개는 C1 내지 C10 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상기 전자 받개는 할로겐 원소 또는 1 개 내지 9 개의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C1 내지 C4 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1 내지 R3 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 에 따른 화합물에서, 수소 결합 주개(hydrogen bonding donor)인 아민-수소기(N-H)는, 후술할 화학 작용제의 수소 결합 받개(hydrogen bonding acceptor)인 인산염 작용기(P=O)와 수소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화합물은 인산염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학 작용제와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어 인산염을 포함하는 화학 작용제를 흡착 및 검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로서 표현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2 에서,
R4 내지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3,5-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 ((CF3)2), 4-n-부틸 페닐(4-nBu), 4-n-옥틸 페닐(4-nOct), 4-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CF3)임).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1 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기의 화학식 2-2 내지 화학식 2-5 의 물질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1 에서, N-SO2CF3 는 N-Tf (Tf: triflyl; trifluoromethanesulfonyl) 를 의미하고, R7 내지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1 - C10 의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임).
[화학식 2-2]
Figure pat00008
;
[화학식 2-3]
Figure pat00009
;
[화학식 2-4]
Figure pat00010
;
[화학식 2-5]
Figure pat00011
.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2-2 의 물질은 tHBD-(NTf)-1 이고, 상기 화학식 2-3 의 물질은 tHBD-(NTf)-2 이고, 상기 화학식 2-4 의 물질은 tHBD-(NTf)-3 이고, 상기 화학식 2-5 의 물질은 tHBD-(NTf)-4 이다.
상기 화학식 2-2 내지 화학식 2-5 의 물질은 삼중 수소 결합 주개를 갖는 물질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합물은 화학 물질 검출 센서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화학 작용제용 리셉터, 촉매, 음이온 감지, 양이온성 고분자의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 검출 센서에 대한 것이다.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화학 물질 검출 센서에 대하여,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원의 제 1 측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인산염 작용기(P=O)와 수소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의 수소 결합 주개 및 상기 인산염 작용기의 수소 결합 받개 사이의 분자간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화합물과 상기 인산염 작용기는 상호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소 결합 주개의 수소 원자는, 상기 수소 결합 받개의 원자(예를 들어, N, O, F 등)등의 전자적으로 풍부한 (electron-rich) 부분과 상호 작용을 하고, 이들은 서로 하나의 물질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분자간 상호 작용, 보다 구체적으로 3 kcal/mol 내외의 아주 낮은 정도의 비공유 상호 작용에 의해 진행된다.
상술하였듯, 상기 화합물의 N-H 기는 상기 인산염 작용기와 수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수소 결합 주개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인산염 작용기를 포함하는 물질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민감도 및 선택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 검출 센서는 인산염을 포함하는 물질의 검출 뿐만 아니라, 유기 촉매 반응. 양이온성 고분자화 반응, 음이온의 검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3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2
;
(화학식 3 에서,
X1 내지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화학식 4]
Figure pat00013
(화학식 4 에서,
R12 내지 R16 은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3 의 물질의 X1 내지 X3 는 Cl 이고, 상기 화학식 4 의 물질은, 4-n-부틸 페닐, 4-n-옥틸 페닐,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 4-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합물은, 200℃ 이상의 고온, 10기압 이상의 고압, 강산, 강염기 등의 조건이 없는 환경에서 제조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반응식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트리에틸아민(Et3N) 및 톨루엔(toluene, PhMe)이 포함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학식 3 의 물질은 톨루엔 상에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톨루엔 상의 화학식 3 의 물질의 농도는 0.1 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톨루엔 상의 화학식 3 의 물질의 농도는, 톨루엔 1 L 에 포함된 화학식 3 의 물질(예를 들어, Cl3P=N-Tf) 의 몰 수로 결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1당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의 당량은 3 당량 내지 100 당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15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11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pH 가 7 초과 13 이하인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과정은 염기성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자성 교반 바 (magnetic stirring bar), 및 리플럭스 콘덴서 (reflux condenser) 가 장치된, 플레임 건조된 (flame-dried) 둥근 바닥 플라스크 (round-bottom flask) 에,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3,5-bis(trifluoromethyl)aniline), 3.3 당량), 트라이에틸아민 (6.6 당량), 및 톨루엔 (무수, 0.04 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10℃ 까지 승온한 뒤, N-트리플릴포스포릴 클로라이드 (1 당량, 250 mg, 0.88 mmol) 를 서서히 첨가한 후, 출발 물질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약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출발 물질이 완전히 소모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탈이온수 (deionized water)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및 20 wt. % NaCl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무수 MgSO4 를 이용하여 건조시키어 여과한 뒤, 감압 농축한 후, 잔여물은 실리카 겔 (silica gel), 및 적절한 조건의 전개액 (eluent) 을 이용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column chromatography) 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그 결과, 해당하는 합성물을 흰색 고체로 얻었고, 상기 흰색 고체의 구조식은 하기와 같다 (310 mg, 0.36 mmol, 41% yield).
Figure pat00014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1 의 과정과 동일하되,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대신 4-부틸아닐린 ((4-butylaniline), 3.3 당량)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하기 구조식에 해당하는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677 mg, 1.09 mmol, 62% yield).
Figure pat00015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1-1 의 과정과 동일하되,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대신 4-옥틸아닐린((4-octylaniline), 3.3 당량)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하기 구조식에 해당하는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586 mg, 0.74 mmol, 42% yield).
Figure pat00016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1 의 과정과 동일하되,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대신 4-트라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4-(trifluoromethyl)aniline), 3.3 당량)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하기 구조식에 해당하는 흰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307 mg, 0.47 mmol, 27% yield).
Figure pat00017
도 3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의 (a) 는 실시예 1-1 의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고, (b) 는 실시예 1-2 의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고, (c) 는 실시예 1-3 의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며, (d) 는 실시예 1-4 의 리셉터의 1H NMR 분석 그래프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각 화합물 리셉터의 1H NMR분석 데이터는 하기와 같다.
실시예 1-1 (tHBD-(NTf)-1) : 1H NMR (500 MHz, DMSO-d6, Me4Si) : δ 10.12 (d, J = 10.0 Hz, 3H), 7.87 - 7.65 (m, 9H).
실시예 1-2 (tHBD-(NTf)-2) : 1H NMR (500 MHz, DMSO-d6, Me4Si) : δ 8.36 (d, J = 11.6 Hz, 3H), 7.06 (d, J = 8.5 Hz, 6H), 7.01 (d, J = 8.3 Hz, 6H), 2.45 (t, J = 7.6 Hz, 6H), 1.52 - 1.19 (m, 13H), 0.86 (t, J = 7.3 Hz, 8H).
실시예 1-3 (tHBD-(NTf)-3 : 1H NMR (500 MHz, DMSO-d6, Me4Si) : δ 8.35 (d, J = 12.1 Hz, 3H), 7.04 (d, J = 8.4 Hz, 6H), 6.99 (d, J = 8.4 Hz, 6H), 2.43 (t, J = 7.6 Hz, 6H), 1.54 - 1.40 (m, 6H), 1.26 - 1.17 (m, 30H), 0.83 (t, J = 6.9 Hz, 9H).
실시예 1-4 (tHBD-(NTf)-4 : 1H NMR (500 MHz, DMSO-d6, Me4Si) : δ 9.50 (d, J = 10.9 Hz, 3H), 7.64 (d, J = 8.5 Hz, 6H), 7.39 (d, J = 8.5 Hz, 6H).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 로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8

    (화학식 1 에서,
    R1 내지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X 는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로서 표현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9

    (화학식 2 에서,
    R4 내지 R6 는 각각 독립적으로3,5- 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 ((CF3)2), 4-n-부틸 페닐(4-nBu), 4-n-옥틸 페닐(4-nOct), 4-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닐(CF3)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 검출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인산염 작용기(P=O)와 수소 결합하는 것인, 화학 물질 검출 센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20
    ;
    (화학식 3 에서,
    X1 내지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F, Br, Cl, 및 I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할로겐 원소이고,
    상기 NTf 는 N-트리플릴 포스포아마이드(Triflyl Phosphoramide) 임);
    [화학식 4]
    Figure pat00021

    (화학식 4 에서,
    R12 내지 R16 은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X1 내지 X10, 치환될 수 있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1-C20의 알킬, 치환될 수 있는 C6-C20의 아릴, 치환될 수 있는 C5 - C25 의 방향족 고리, 치환될 수 있는 C3 - C20 의 헤테로 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
  6. 제 5 항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150℃ 에서 수행되는 것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표현되는 물질 및 화학식 4 로 표현되는 물질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pH 가 7 초과 13 이하인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149360A 2021-11-03 2021-11-03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KR10265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60A KR102654654B1 (ko) 2021-11-03 2021-11-03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60A KR102654654B1 (ko) 2021-11-03 2021-11-03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24A true KR20230064124A (ko) 2023-05-10
KR102654654B1 KR102654654B1 (ko) 2024-04-03

Family

ID=8638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360A KR102654654B1 (ko) 2021-11-03 2021-11-03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150A1 (en) * 1989-01-13 1990-07-26 Kievsky Nauchno-Issledovatelsky Institut Epidemiologii I Infektsionnykh Boleznei Imeni L.V.Gromashevskogo Derivatives of trichlorophosphasocarbacyls and insecticidal, viricidal, hematocidal, fungicidal and ovocidal preparations based on them
KR20050013144A (ko) * 2002-06-19 2005-02-02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전지용 지지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150A1 (en) * 1989-01-13 1990-07-26 Kievsky Nauchno-Issledovatelsky Institut Epidemiologii I Infektsionnykh Boleznei Imeni L.V.Gromashevskogo Derivatives of trichlorophosphasocarbacyls and insecticidal, viricidal, hematocidal, fungicidal and ovocidal preparations based on them
KR20050013144A (ko) * 2002-06-19 2005-02-02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전지용 지지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654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erdyk et al. N, N′-diamidocarbenes: isolable divalent carbons with bona fide carbene reactivity
Thomas et al. A general metal-free route towards the synthesis of 1, 2, 3-triazoles from readily available primary amines and ketones
Patel et al. NL2+ systems as new-generation phase-transfer catalysts
Berkessel et al. Proline‐Derived N‐Sulfonylcarboxamides: Readily Available, Highly Enantioselective and Versatile Catalysts for Direct Aldol Reactions
Michon et al. Inter‐and Intramolecular Hydroamination of Unactivated Alkenes Catalysed by a Combination of Copper and Silver Salts: The Unveiling of a Brønstedt Acid Catalysis
Kingsto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2PN P (iBuNCH2CH2) 3N: A New Bulky Electron-Rich Phosphine for Efficient Pd-Assisted Suzuki− Miyaura Cross-Coupling Reactions
Fan et al. Enantioselective Friedel–Crafts alkylation between nitroalkenes and indoles catalyzed by charge activated thiourea organocatalysts
Herres‐Pawlis et al. A Library of Peralkylated Bis‐guanidine Ligands for Use in Biomimetic Coordination Chemistry
Zhang et al. Synthesis of 2-Aryl-5-alkyl-fulleropyrrolidines: Metal-Free-Mediated Reaction of [60] Fullerene with Aromatic Aldehydes and Inactive Primary Amines
CN111499586B (zh) 5,5′-三氮烯桥连双(2-甲基-4-硝基-1,2,3-三唑)化合物的合成方法
Harder et al. Rebek imide platforms as model systems for the investigation of weak intermolecular interactions
Ullrich et al. Basicity enhancement by multiple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in organic superbase N, N′, N ″, N‴-tetrakis (3-(dimethylamino) propyl) triaminophosphazene
US6664408B2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ically-substituted polyoxometalates
KR102654654B1 (ko) 삼중 수소결합 주개를 가진 n-트리플릴포스포아마이드 유도체와 이들의 합성법
Bárta et al. Synthesis and catalytic evaluation of phosphanylferrocene ligands with cationic guanidinium pendants and varied phosphane substituents
US20120095180A1 (en) Isolation of a c5-deprotonated imidazolium, a crystalline abnormal n-heterocyclic carbene
JPS60184038A (ja) 1−ヒドロキシ−2−オン類の製造方法
US7888509B2 (en) Chiral 1,8-diarylnaphthalenes, methods of making them, and their use as sensors
Milton et al. Flexible, dicationic imidazolium salts for in situ application in palladium‐catalysed Mizoroki–Heck coupling of acrylates under aerobic conditions
US6468406B1 (en) Anion-complexing compou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 ion-selective membrane and a sensor provided with such a compound or membrane
Mareev et al. Base‐Catalyzed Hydration of Silicon‐Containing Activated Alkynes: The Effect of Substituents at the Triple Bond
Kim et al. Pyrrole-and naphthobipyrrole-strapped calix [4] pyrroles as azide anion receptors
Christofi et al. Molecular design using electrostatic interactions. Part 4: Synthesis and properties of flexible tetrapodand tetracations derived from naphthalene. Role of structured water in the electrostatic binding of polyanion guests: a model for interactions in biological systems
Seino et al. Conversion of Benzaldehyde Imines into Isocyanides at a Low-Valent Molybdenum Center. Preparation and Reactivities of Isocyanide− Dinitrogen Complexes trans-[Mo (RNC)(N2)(Ph2PCH2CH2PPh2) 2](R= Aryl, Alkyl)
Ji et al. Enantioselective Dynamic Exchange Reactions of Im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