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830A -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830A
KR20230063830A KR1020220006550A KR20220006550A KR20230063830A KR 20230063830 A KR20230063830 A KR 20230063830A KR 1020220006550 A KR1020220006550 A KR 1020220006550A KR 20220006550 A KR20220006550 A KR 20220006550A KR 20230063830 A KR20230063830 A KR 20230063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wires
impedance change
propagation
total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성
김정아
김태호
지수영
최대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3Electrical testing of internal connections or -isolation, e.g. latch-up or chip-to-lead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는,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기준배선 선정부;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 및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 를 포함한다.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wire selecting unit that selects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a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s; a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extracting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measuring a total reflec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obtainer for obtaining a propagation speed at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an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impedance change us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includes

Description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및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device and a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기능화에 따라 기판 실장의 3D(3 Dimensions)화, 다층화, 미세화 기술이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복잡해지는 전자 회로 기판 내의 배선 임피던스 변화 상태와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시간영역 반사측정법)은 회로 설계 개발과 이상 위치 해석을 위해 필요하다. In general, along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functionality of electronic devices, 3D (3 Dimensions), multi-layer, and miniaturization technologies of board mounting are in progress.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which can identify the state and position of wiring impedance change in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which is becoming more complex, is necessary for circuit design development and abnormal position analysis.

이 TDR은 스텝 전압 신호의 반사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프로빙(Probing) 위치에서의 거리를 분석하는 방법인데, 스텝 신호의 시간 분해능에 한계가 있어 고밀도 기판 배선의 해석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is TDR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distance from the probing position by measuring the reflection time of the step voltage signal,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analysis of high-density board wiring due to the limited time resolution of the step signal.

이에 비해, 테라 헬츠(Tera Hz) 기술을 활용한 스파이크 신호 반사형 TDR 해석은 높은 시간 분해능 TDR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In contrast, spike signal reflection type TDR analysis using Tera Hz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high time resolution TDR method.

기존의 테라 헬츠(Tera Hz) 기술을 활용한 높은 시간 분해능 TDR은 펨토(femto) 초 레벨의 높은 정확도의 시간 분해능을 가지고, 이 시간 정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해석할 수 있다. A high time resolution TDR using the existing Tera Hz technology has a high accuracy time resolution of the femto second level and can interpret the impedance change location by converting this time information into location information.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테라 헬츠(Tera Hz) 기술을 활용한 높은 시간 분해능 TDR은, 반사 시간 정보를 거리로 변환할 때 정확도가 떨어져 높은 정확도의 시간 분해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igh temporal resolution TDR using the existing Tera Hz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high accuracy temporal resolution is not utilized due to low accuracy when converting reflection time information into distance.

한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1997-026376호(명칭: OTDR 측정 장치)는, 레이저 광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전압 신호를 전자회로에 전송해 전자 회로 내의 임피던스 변화 위치에서 반사되는 반사신호 시간을 펨토(femto) 초 수준으로 검출해 이상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7-026376 (name: OTDR measuring device) transmits a spike voltage signal generated from laser light to an electronic circuit to measure the time of the reflected signal reflected at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in the electronic circuit by femto )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n anomaly by detecting it at the level of seconds.

상기 특허문헌(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1997-026376호)에서, 이상 위치의 결정은 입력한 입력 위치로부터 이상 위치에서 반사해 돌아올 때까지의 왕복 시간을 T, 입력 위치로부터 이상위치까지의 거리를 D로 했을 때, D=V*T가 성립할 것으로 예상하며 해석하고 있다.In the above patent document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7-026376), th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 position is the round-trip time from the input input position to the reflection and return from the abnormal position T, and the distance from the input position to the abnormal position D , it is interpreted by expecting that D=V*T holds.

그러나, 이 방법은 위치 결정 정확도가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회로 배선을 구성하는 각 층별 전송 속도가 다르고, 기판의 층간 비아(Via)를 전송하는 속도도 그 형상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is not accurate. 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speed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circuit wiring is different, and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interlayer vias of the board is also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shape.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1) KR 공개특허 공보 제10-2013-0005658호 (공개일: 2013.01.16)(Patent Document 1) KR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5658 (published date: 2013.01.16)

(특허문헌 1) JP 공개특허 공보 제2010-019865호 (공개일: 2010.01.28)(Patent Document 1) JP Patent Publication No. 2010-019865 (published date: 2010.01.2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여러 개의 기준 배선의 반사파형 결과와 기준배선의 구간별 시간과 거리를 이용하여 기준배선의 구간별 전파신호 전송속도를 도출하고, 측정 대상인 배선의 TDR 파형을 취득하여 구조별 전파속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위치 분해능을 가지고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 rate for each section of the reference wiring using the reflected waveform results of several reference wires and the time and distance for each section of the reference wiring, and acquires the TDR waveform of the wiring to be measured We propose 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detecting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with higher position resolution by reflect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기준배선 선정부;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 및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가 제안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erence wir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a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s; a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extracting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measuring a total reflec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obtainer for obtaining a propagation speed at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an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impedance change us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이 제안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a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a second step of extracting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measuring a total reflec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 third step of obtaining a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position of impedance change us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method including a is pro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여러 개의 기준 배선의 반사파형 결과와 기준배선의 구간별 시간과 거리를 이용하여 기준배선의 구간별 전파신호 전송속도를 도출하고, 측정 대상인 배선의 TDR 파형을 취득하여 구조별 전파속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위치 분해능을 가지고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signal transmission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reference wiring is derived using the reflected waveform results of several reference wirings and the time and distance for each section of the reference wiring, and the TDR waveform of the wiring to be measured is obtained. Therefore, by reflect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impedance change with a more accurate position resolution.

부연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피던스의 변화 위치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세부적인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alyze the change position of impedance, for example, there are detailed advantages as follows.

- 배선의 단선 위치, 배선의 단락 위치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음.- Accurately analyzes the location of disconnection and short-circuiting of wiring.

- 전자 기기의 각 부위별 임피던스 매칭, 언매칭 해석이 높은 정확도로 실현 - Impedance matching and unmatching analysis for each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is realized with high accuracy

- 고속 회로 기판 등에서 구간별 전파 신호 속도 해석이 높은 정확도로 실현- High-accuracy analysis of radio wave signal speed by section on high-speed circuit boards, etc.

- 전자 기기의 각 부위별 실효 유전율 해석이 높은 정확도로 실현- Realization of effective permittivity analysis for each part of electronic devices with high accuracy

- 배선의 각 부위별 전송 특성 해석이 높은 정확도로 실현- Analysis of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part of wiring is realized with high accuracy

- 구간별 실효 유전율, 임피던스, 전파 속도 해석을 테스트 쿠폰(TEST Coupon) 등 특별한 전용 실험 없이 실제디바이스 측정만으로 실현- Analysis of effective permittivity, impedance, and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is realized only by actual device measurement without special dedicated experiments such as test coup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의 기준 배선 예시도이다.
도 4는 기준 배선의 반사 시간 예시도이다.
도 5는 구간별 전파시간을 보이는 TDR 파형 예시도이다.
도 6은 구간별 전파시간을 보이는 정상 배선의 TDR 파형 및 불량 배선의 TDR 파형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n impedanc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reference wiring of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reflection time of a reference line.
5 is an exemplary TDR waveform showing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TDR waveform of a normal wiring and a TDR waveform of a defective wiring showing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shape, and numerical value described as an example are only exampl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bu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i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make various new embodiments.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in light of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100)는, 기준배선 선정부(110),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 및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wiring selection unit 110, a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120, and a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130 for each section. and an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140 .

기준배선 선정부(110)는,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서로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상기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ference wire selector 110 selects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ections in which different propagation velocities are mixed.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할 수 있다.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120 extracts wire lengths (dLY1, dvia, dLY7)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calculates total reflection times (t1total, t2total, and t3tot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can be measured

예를 들어, 상기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구간별 배선길이(dLY1,dvia,dLY7)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120 extracts the wire lengths dLY1, dvia, and dLY7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based on dista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may be measured.

예를 들어, 상기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TDR 파형을 구하고, 상기 TDR 파형에 기초해서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을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120 may obtain a TDR wavefor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obtain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based on the TDR waveform.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 (VLY1,Vvia,VLY7)를 구할 수 있다.The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velocity acquisition unit 130 uses the section-by-section wire lengths (dLY1, dvia, dLY7)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to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VLY1, Vvia, VLY7) can be obtained.

여기서, VLY1는 dLY1/tLY1로 구해질 수 있고, VLY7는 dLY7/tLY7로 구해질 수 있으며, Vvia는 dvia/tvia로 구해질 수 있다.Here, VLY1 can be obtained as dLY1/tLY1, VLY7 can be obtained as dLY7/tLY7, and Vvia can be obtained as dvia/tvia.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는,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을 구하고,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와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을 이용하여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를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pagation velocity acquisition unit 130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uses the wire lengths dLY1, dvia, and dLY7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and t3total to obta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he propagation times (tLY1,tvia,tLY7) of the reference wiring for each section are obtained, and the wire lengths (dLY1,dvia,dLY7) for each section and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tLY1,tvia,tLY7) are used for each section. Propagation velocities (VLY1, Vvia, VLY7) can be obtained.

상기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을 구할 수 있다.The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130 includes the section-by-section wiring lengths (dLY1, dvia, dLY7)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as matrix parameters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ings. By solving a matrix equation, propagation times (tLY1,tvia,tLY7)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can be obtained.

일 예로, 상기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하기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를 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행렬 방정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For example, the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130 for each section uses the wire lengths dLY1, dvia, and dLY7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and t3total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s matrix parameters. Propagation times (tLY1,tvia,tLY7)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can be obtained by solving the following matrix equation including , and this matrix equ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140)는,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 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Also, the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140 may detect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using the propagation velocities VLY1, Vvia, and VLY7 for each section.

예를 들어, 상기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140)는,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와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에 기초해 상기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or 140 may detect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based on the propagation speeds VLY1, Vvia, and VLY7 for each section and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tLY1,tvia, and tLY7. there is.

또한, 검사신호 생성시(101)는 검사대상인 기판(20)의 기준배선에 제공할 검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판(2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pection signal is generated (101), a inspection signal to be provided to the reference wiring of the substrate 20 to be inspected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ubstrate 20.

신호검출기(102)는, 상기 기판(20)의 복수의 기준배선 각각의 탐지시점(probe point)에서 검사신호(예, TDR 파형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signal detector 102 may detect a test signal (eg, a TDR waveform signal) at a probe point of each of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of the substrate 20 .

메모리부(150)는, 복수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한 다른 구조 배선 길이(dL1-LY1, dvia, dL1-LY7)(dL2-LY1, dvia, dL2-LY7)( dL3-LY1, dvia, dL3-LY7)에 대한 설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50 has different structural wiring lengths (dL1-LY1, dvia, dL1-LY7) (dL2-LY1, dvia, dL2-LY7) ( dL3- Design data for LY1, dvia, dL3-LY7) can be saved.

이하, 상기 기준배선 선정부(110),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 및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14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wire selection unit 110,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120,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130, and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140 is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설명과, 후술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방법에 대한 설명은 서로 보완적으로 상호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impedance change location method described later may be applied to each other complementary to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n impedanc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은,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는 제1 단계(S100),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 및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구하는 제2 단계(S200),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 및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를 구하는 제3 단계(S300), 및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ethod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impedance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S100),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dLY1, dvia, dLY7) and The second step (S200) of obtaining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and the third step (S300) of obtaining the propagation time (tLY1,tvia,tLY7) and propagation speed (VLY1,Vvia,VLY7) for each section. , and a fourth step (S400)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impedance change.

먼저, 제1 단계(S100)에서는,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도 3의 L1,L2,L3)을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도 3의 L1,L2,L3)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계(S100)는 도 1의 기준배선 선정부(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rst, in the first step (S100),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L1, L2, L3 in FIG. 3) can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n the board, )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vals. For example, the first step ( S100 ) may be performed by the reference wire selector 100 of FIG. 1 .

다음, 제2 단계(S200)에서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도 3의 L1,L2,L3)에 대해 각 구간에 대해,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을 추출하고,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단계(S200)는 도 1의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second step (S200),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L1, L2, L3 in FIG. 3), the wire lengths (dLY1, dvia, dLY7) for each section are extracted,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t2total,t3total)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second step ( S200 ) may be performed by 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120 of FIG. 1 .

다음, 제3 단계(S300)에서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기간(tLY1,tvia,tLY7)을 구하고,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과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를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 (VLY1,Vvia,VLY7)를 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단계(S300)는 도 1의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third step (S300), the propagation period for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s (dLY1, dvia, dLY7)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LY1,tvia,tLY7) is obtained, and the propagation speed (VLY1,Vvia,VLY7) for each section is calculated using the propagation time (tLY1,tvia,tLY7) for each section and the wiring length (dLY1,dvia,dLY7) for each section. can be saved For example, the third step (S300) may be performed by the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130 of FIG. 1 .

다음, 제4 단계(S400)에서는,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 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4 단계(S400)는, 도 1의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fourth step (S400),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can be detected using the propagation speeds VLY1, Vvia, and VLY7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the fourth step ( S400 ) may be performed by the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140 of FIG. 1 .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For each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functions can be omitted, and possible differences can be described for each draw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의 기준 배선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reference wiring of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검사대상인 기판(20)에는 복수의 배선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배선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L1,L2,L3)이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L1, L2, 및 L3은 전체 배선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a plurality of wires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20 to be inspected,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wires. Here, L1, L2, and L3 mean the entire wir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새대상이 되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은, 예를 들어, 제1층 배선(LY1), 비아(Via1-7), 제7층 배선(LY7) 및 제7-8층의 비아(Via7-8)를 경유하는 배선이 될 수 있다. 여기서, LY1 및 LY7은 제1층 배선 및 제7층 배선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to be inspected includes, for example, a first-layer wiring LY1, a via (Via1-7), and a seventh-layer wiring (LY7) and vias (Via7-8) of the 7th and 8th layers. Here, LY1 and LY7 mean the first layer wiring and the seventh layer wiring.

예를 들어, 제1층 배선(LY1)에 3개의 배선(1L1, 1L2, 1L3)이 포함되고, 제7층 배선(LY7)에 3개의 배선(7L1, 7L2, 7L3)이 포함될 수 있고, 제1층 배선(LY1)에 3개의 배선(1L1, 1L2, 1L3)과 제7층 배선(LY7)에 3개의 배선(7L1, 7L2, 7L3)은 제1-7층 비아(Via1-7)를 통해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ayer wiring LY1 may include three wirings 1L1, 1L2, and 1L3, and the seventh layer wiring LY7 may include three wirings 7L1, 7L2, and 7L3. The three wires 1L1, 1L2, and 1L3 of the first-layer wiring LY1 and the three wires 7L1, 7L2, and 7L3 of the seventh-layer wiring LY7 pass through the first- to seventh-layer vias Via1-7. can be connected.

예를 들어, 제1층 배선(LY1)에 포함된 3개의 배선(1L1, 1L2, 1L3) 각각에 대한 길이는 dL1-LY1, dL2-LY1 dL3-LY1라고 하고, 제1층 배선(LY1)에 포함된 3개의 배선(1L1, 1L2, 1L3) 각각에 대한 시간은 tL1-LY1, tL2-LY1 tL3-LY3라고 하고, 그리고, 제1층 배선(LY1)에 포함된 3개의 배선(1L1, 1L2, 1L3) 에 대한 속도는 vLY1라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gths of the three wires 1L1, 1L2, and 1L3 included in the first layer wire LY1 are dL1-LY1, dL2-LY1, and dL3-LY1, and the first layer wire LY1 is The time for each of the three wires (1L1, 1L2, and 1L3) included is tL1-LY1, tL2-LY1, and tL3-LY3, and the three wires (1L1, 1L2, 1L3) can be referred to as vLY1.

제7층 배선(LY7)에 포함된 3개의 배선(7L1, 7L2, 7L3) 각각에 대한 길이는 dL1-LY7, dL2-LY7 dL3-LY7라고 하고, 제7층 배선(LY7)에 포함된 3개의 라인(7L1, 7L2, 7L3) 각각에 대한 시간은 tL1-LY7, tL2-LY7 tL3-LY7라고 하고, 그리고, 제7층 배선(LY7)에 포함된 3개의 라인(7L1, 7L2, 7L3) 에 대한 속도는 vLY7라고 할 수 있다.The lengths of each of the three lines 7L1, 7L2, and 7L3 included in the seventh layer line LY7 are dL1-LY7, dL2-LY7, and dL3-LY7, and the lengths of the three lines 7L1, 7L2, and 7L3 included in the seventh layer line LY7 The times for each of the lines 7L1, 7L2, and 7L3 are tL1-LY7, tL2-LY7, and tL3-LY7, and for the three lines 7L1, 7L2, and 7L3 included in the seventh layer wiring LY7, The speed can be said to be vLY7.

그리고, 제1층 배선(LY1)에 3개의 배선(1L1, 1L2, 1L3)과 제7층 배선(LY7)에 3개의 배선(7L1, 7L2, 7L3)을 연결하는 제1-7층 비아(Via1-7)와 제7층 배선(LY7)에 3개의 배선(7L1, 7L2, 7L3)에서 연결하는 제7-8층 비아(Via7-8)에 대한 거리, 시간 및 속도를 dvia, tvia, vvia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first- to seventh-layer vias Via1 connecting three wires 1L1, 1L2, and 1L3 to the first-layer wire LY1 and three wires 7L1, 7L2, and 7L3 to the seventh-layer wire LY7 -7) and the 7th-layer via (Via7-8) connected to the 7th-layer wiring (LY7) by three wires (7L1, 7L2, 7L3), the distance, time, and speed are called dvia, tvia, and vvia. can do.

도 3을 참조하면, 제1층 배선(LY1)은 기판의 최상 표면에 있기 때문에 유전체가 그 하부면과 접하는 배선이다. 제7층 배선(LY7)은 기판(20) 내부에 있기 때문에 유전체가 그 상하 양쪽과 접하는 배선이다.Referring to FIG. 3 , since the first layer wiring LY1 is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dielectric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thereof. Since the seventh layer wiring LY7 is inside the substrate 20, the dielectric is in contact with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wiring.

이와 같이 유전체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다르므로, 제1층 배선(LY1) 및 제7층 배선(LY7)에서의 전압 신호가 보내는 속도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비아(Via) 배선도 제1층 배선과 제7층 배선에서의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전압 신호의 속도가 다를 수 있다.Since the states in which the dielectric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different, the speed at which voltage signals are sent from the first layer wiring LY1 and the seventh layer wiring LY7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via wir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layer wiring and the seventh layer wiring, the speed of the voltage signal may be different.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대상인 기판(20)의 배선은, 3 종류의 다른 전압 전송 속도가 혼재한 배선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3종류의 다른 전송 속도를 각각 도출해,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정확히 해석 또는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ing of the substrate 20 to be inspected may be a wiring in which three types of different voltage transmission rates are mixed. can be accurately interpreted or detect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는 제1 단계(S100)에 있어서, 검사대상인 기판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으로 3개의 기준 배선(L1,L2,L3)을 선정할 수 있다. 본 서류에서, 일 예시로, 3개의 기준 배선(L1,L2,L3)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in the first step (S100) of select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re selected as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 the substrate to be inspected. can In this document, as an example, three reference lines L1, L2, and L3 are described, bu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3개의 기준 배선(L1, L2, L3) 각각은, 분석 대상이 되는 제1층 배선(LY1), 제7층 배선(LY7). 및 제1-7층 사이의 Via 배선(Via1-7), 제7층-8층 사이의 Via 배선(Via7-8)이 혼재한 배선일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ings L1, L2, and L3 is a first-layer wiring LY1 and a seventh-layer wiring LY7 to be analyzed. and Via wirings (Via1-7) between the first to seventh layers and Via wirings (Via7-8)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layers may be mixed.

또한, 3개의 기준 배선(L1, L2, L3) 각각은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배선일 수 있다. Also,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 L2 , and L3 may be wires having different distances from each other.

일 예로, 3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배선이기 때문에 3개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는데, 다른 예시로, n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배선을 조사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n개의 기준 배선을 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reference wires are selected because it is a wire in which three types of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are mixed. As another example, when a wire in which n types of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are mixed is to be investigated, n number of reference wires are selected. It can be.

도 4는 기준 배선의 반사 시간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reflection time of a reference lin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단계(S200)에서는,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을 추출하는 과정(S210)과,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하는 과정(S22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4, in the second step (S200),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wire lengths (dLY1, dvia, dLY7) for each section (S210) and measuring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It may include a process (S220) of doing.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을 추출하는 과정(S210)은,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을 추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wire lengths dLY1 , dvia , and dLY7 for each section ( S210 ), the wire lengths dLY1 , dvia , and dLY7 for each section may be extracted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하는 과정(S220)은,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구간별 전체 반사 시간(t1total,t2total,t3total)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easuring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S220),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may be measured.

예를 들어, 제2 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하여, 3종류의 속도가 다른 구조 배선 길이(dL1-LY1, dvia, dL1-LY7)(dL2-LY1, dvia, dL2-LY7)(dL3-LY1, dvia, dL3-LY7)를 메모리부(도 1의 150)에 저장된 설계 데이터에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L1-LY1, dvia, dL1-LY7은 제1 기준 배선(L1)에 대한 배선길이이고, dL2-LY1, dvia, dL2-LY7는 제2 기준 배선(L2)에 대한 배선길이고, dL3-LY1, dvia, dL3-LY7은 제3 기준 배선(L3)에 대한 배선길이이다.For example, in the second step (S200),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L3), three types of structural wire lengths (dL1-LY1, dvia, dL1-LY7) having different speeds ( dL2-LY1, dvia, dL2-LY7) (dL3-LY1, dvia, dL3-LY7) may be extracted from design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 150 in FIG. 1 ). Here, L1-LY1, dvia, and dL1-LY7 are wiring lengths for the first reference wiring L1, dL2-LY1, dvia, and dL2-LY7 are wiring lengths for the second reference wiring L2, and dL3-LY1 , dvia, and dL3-LY7 are wiring lengths for the third reference wiring L3.

일 예로, 3개의 기준 배선(L1,L2,L3)의 비아(via) 배선은 기판 두께이며, 공통이기 때문에 추출한 구간별 배선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비와같이, 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LY7, dvia 로 7개가 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ia wiring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L3) is the substrate thickness, and since it is common, the extracted wiring length for each section is dL1-LY1, dL1-LY7 as shown in FIG. , dL2-LY1, dL2-LY7, dL3-LY1, dL3-LY7, dvia can be seven.

일 예시로, 3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로 혼재된 배선이기 때문에 3개의 기준 배선(L1,L2,L3)을 선정하고, 7개의 거리 수치를 추출하였다.As an exampl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L3) were selected and seven distance values were extracted because the wires were mixed with three types of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이에 따라, n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배선을 조사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n개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n*(n-1)+1개의 거리 수치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n types of wires having different propagation velocities are mixed as an object of investigation, n reference wires may be selected and n*(n-1)+1 distance values may be extracted.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LY7, dvia)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시간(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을 구할 수 있다.2 to 4, in the third step (S300),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L1, L2, L3), the wire lengths (dL1-LY1, dL1-LY7, dL2- LY1, dL2-LY7, dL3-LY1, dL3-LY7, dvia)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tL1-LY1, tL1-LY7, tL2-LY1, tL2 -LY7, tL3-LY1, tL3-LY7, tvia) can be obtained.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기준 배선(L1,L2,L3)에 대한 TDR 파형을 획득하고, 획득된 3개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한 탐지시점(Probe point)부터 종점(Terminal point)까지의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또는 반사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TDR waveforms for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re acquired, and the detection time points for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obtained ( The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or reflection time) from the probe point to the terminal point can be measured.

예를 들어,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LY7, dvia)와 측정한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를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를 계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third step (S300),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he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LY7 , dvia) and the measured reflection times (t1total, t2total, t3total) as matrix parameters by solving the matrix equation to determine the propagation times for each section (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 LY1, tL3-LY7, tvia) can be measured.

예를 들어, 구간별 전파 속도(VLY1,Vvia,VLY7)를 구하는 과정(S320)에서,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LY7, dvia)와 상기 전파 시간(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을 이용하여, 상기 3개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한 구간별 전파 속도(VL1,Vvia,VL7)를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propagation speeds (VLY1, Vvia, VLY7) for each section (S320), the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dL1-LY1, dL1-LY7, dL2-LY1, dL2-LY7, dL3-LY1, dL3 -LY7, dvia) and the propagation time (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L3) propagation speeds for each section (VL1, Vvia, VL7) can be obtained.

일 예로, 상기 전파 시간(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과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1-LY1, dL1-LY7, dL2-LY2, dL2-LY7, dL3-LY1, dL3-LY7, dvia)를 이용하고, 각 구조별 전파 속도(VL1,Vvia,VL7)를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pagation times (tL1-LY1, tL1-LY7, tL2-LY1, tL2-LY7, tL3-LY1, tL3-LY7, tvia) and the wiring lengths for each section (dL1-LY1, dL1-LY7, dL2- LY2, dL2-LY7, dL3-LY1, dL3-LY7, dvia), propagation speeds (VL1, Vvia, VL7) for each structure can be obtained.

한편, 3개의 기준 배선(L1,L2,L3)에 관련된 배선 거리, 전파 시간, 전파 속도, 및 반사 시간과 관련된 파라메타는 하기 표1과 같다.Meanwhile, parameters related to wiring distance, propagation time, propagation speed, and reflection time related to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L1,L2,L3 각각은 3개의 기준 배선이다. LY1은 기판의 1층. LY7은 기판의 7층, Via는 1층과 7층을 연결하는 기판의 비아와 7층과 8층을 연결하는 기판의 비아이다.Referring to Table 1, each of L1, L2, and L3 is three reference wires. LY1 is the first layer of the substrate. LY7 is the 7th layer of the board, and Via is the via of the board connecting the 1st and 7th layers and the 7th and 8th layers.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단계(S300)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t1total, t2total, t3total)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하기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를 구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n the third step (S300),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he wire lengths (dLY1, dvia, dLY7)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t1total, t2total, t3total) are matrix parameters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tLY1,tvia,tLY7) can be obtained by solving the following matrix equation including

여기서, dLY1에는 1층의 배선길이인 dL1-LY1 dL2-LY1 dL3-LY1가 포함되고, dLY7에는 7층의 배선길이인 dL1-LY7 dL2-LY7 dL3-LY7가 포함된다. tLY1에는 1층의 전파 시간인 tL1-LY1 tL2-LY1 tL3-LY1가 포함되고, tLY7에는 7층의 전파 시간인 tL1-LY7 tL2-LY7 tL3-LY7가 포함될 수 있다.Here, dLY1 includes dL1-LY1, dL2-LY1, and dL3-LY1, which are wiring lengths of the first layer, and dLY7 includes dL1-LY7, dL2-LY7, and dL3-LY7, which are wiring lengths of the seventh layer. tLY1 may include the propagation time of the first layer, tL1-LY1 tL2-LY1 tL3-LY1, and tLY7 may include the propagation time of the seventh layer, tL1-LY7 tL2-LY7 tL3-LY7.

[행렬 방정식][matrix eq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1 및 행렬 방정식을 참조하면, L1,L2,L3 각각은 3개의 기준 배선이다. LY1은 기판의 1층. LY7은 기판의 7층, Via는 1층-8층 기판의 비아이다.Referring to Table 1 and the matrix equation, each of L1, L2, and L3 is three reference wires. LY1 is the first layer of the substrate. LY7 is the 7th layer of the board, and Via is the via of the 1st-8th layer board.

dL1-LY1, dL2-LY1, dL3-LY1은 1층의 3개의 배선길이이고, dL1-LY7, dL2-LY7, d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 길이이고, dvia는 1층과 7층간 비아와 7층과 8층간 의 배선 길이다. dL1-LY1, dL2-LY1, dL3-LY1 are the three wiring lengths of the 1st layer, dL1-LY7, dL2-LY7, dL3-LY7 are the 3 wiring lengths of the 7th layer, and dvia is the via between the 1st and 7th layers and the wiring length between the 7th and 8th floors.

tL1-LY1, tL2-LY1, tL2-LY1은 1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L1-LY7, tL2-LY7, t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via는 1층과 7층간 비아와 7층과 8층간의 전파 시간이다.tL1-LY1, tL2-LY1, and tL2-LY1 are the propagation times of the three wires on the first layer, tL1-LY7, tL2-LY7, and tL3-LY7 are the propagation times of the three wires on the seventh layer, and tvia is the propagation time of the three wires on the first layer. and is the propagation time between the vias between the 7th layer and the 7th and 8th layers.

그리고, t1total, t2total, t3total는 3개의 기준 배선(L1,L2,L3)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시간이고, VL1,Vvia,VL7는 1층,via, 7층 각각에 대한 전파속도이다.In addition, t1total, t2total, and t3total are total reflection times for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nd VL1, Vvia, and VL7 are propagation speeds for each of the first, via, and seventh layers.

예를 들어, 상기 7행 7열의 행렬 방정식에서, 상단 3행이 각 기준 배선의 시간에 관한 방정식이며, 하단 4행이 속도의 역수에 관한 방정식이다. For example, in the matrix equation of 7th row and 7th column, the upper 3rd row is an equation for the time of each reference line, and the lower 4th row is an equation for the reciprocal of the velocity.

상기 행렬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해진 구간별 시간을 도 5에 도시된 기준 배선(Line1)의 TDR 파형에 반영될 수 있다.The time for each section obtained using the matrix equation may be reflected in the TDR waveform of the reference line Line1 shown in FIG. 5 .

다음,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TDR 파형을 계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Next, in the fourth step (S400), a TDR wavefor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may be measur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구간별 전파시간을 보이는 TDR 파형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TDR waveform showing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도 5에 도시된 TDR 파형을 참조하면, 기준 배선의 TDR 파형에 상기 구한 구간별 전파 시간 요소가 반영되면 더욱 정확도가 높은 위치 정보에 대한 획득이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TDR waveform shown in FIG. 5 , if the obtained propagation time factor for each section is reflected in the TDR waveform of the reference line,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전술한 예를 참조하면, 3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배선이기 때문에 3개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전술한 7행 7열의 행렬방정식을 풀어 7개의 시간 파라미터를 획득하였다. Referring to the above example, since the wiring has three different propagation velocities, 3 reference wires are selected and 7 time parameters are obtained by solving the matrix equation of 7 rows and 7 columns.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면, n종류의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배선을 조사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n개의 기준 배선을 선정해 <n*(n-1)+1>행 <n*(n-1)+1>열의 행렬방정식을 풀고, n*(n-1)+1개의 시간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n*(n-1)+1>행, <n*(n-1)+1>열의 행렬방정식 중 n행은 n개의 기준배선의 시간에 관한 방정식이며, (n-1)2행은 속도의 역수에 관한 방정식이 될 수 있다.Using this method, if n types of wires mixed with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are to be investigated, n reference wires are selected and <n*(n-1)+1> rows <n*(n-1 )+1> by solving the matrix equation of the column, n*(n-1)+1 time parameters can be obtained. Here, among the matrix equations of <n*(n-1)+1> rows and <n*(n-1)+1> columns, row n is an equation for the time of n reference wires, and (n-1) 2 The row can be an equation for the reciprocal of velocity.

도 6은 구간별 전파시간을 보이는 정상 배선의 TDR 파형 및 불량 배선의 TDR 파형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DR waveform of a normal wiring and a TDR waveform of a defective wiring showing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도 6에서, Gref는 정상 배선에 대한 TDR 파형도이고, Gopen은 불량 배선에 대한 TDR 파형도이다.In FIG. 6, Gref is a TDR waveform diagram for a normal wiring, and Gopen is a TDR waveform diagram for a defective wirin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4 단계(S400)는 상기 구해진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S410)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S420)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fourth step ( S400 ), a process ( S420 ) of detecting a position of an impedance change may be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propagation times (tLY1,tvia,tLY7) for each section (S410).

상기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S420)에서는,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tLY1,tvia,tLY7) 에 기초해 상기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S420),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tLY1,tvia,tLY7).

예를 들어, 전술한 과정에서 각 구조별 전파 속도를 구한 후, 임피던스 이상 반사 위치에 대한 예시를 설명한다. For example, after obtain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tructure in the above process, an example of an impedance abnormal reflection position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전기검사 등에서 단선 불량이라고 판단된 배선에 대해 어느 위치에서 선이 끊겼는지를 해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line is dis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wiring determined to be a disconnection defect in an electrical inspection or the like through analysis.

일 예로, 해석 대상이 되는 기판의 배선 구조는 전술한 바와같이, 제1층 배선→Via1-7→제7층 배선→Via7-8를 경유하는 배선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wiring structure of the board to be analyzed may be a wiring passing through the first layer wiring → Via1-7 → seventh layer wiring → Via7-8,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검사 대상이 되는 기판의 기준 배선은 정상 배선의 TDR 파형은 도 6의 Gref와 같으며, 불량 배선의 TDR 파형을 취득하면 도 6의 Gopen과 같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DR waveform of the normal wiring of the reference wiring of the substrate to be inspected is the same as Gref in FIG.

다음으로, 상기 과정에서 구한 각 구조별 전파 속도와 해석 대상 배선의 설계 데이터에서 추출한 기준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dLY1,dvia,dLY7)로부터 구간별 전파 시간을 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간별 전파 시간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Next,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tructure obtained in the above process and the wiring length (dLY1, dvia, dLY7) for each section of the reference wiring extracted from the design data of the wiring to be analyzed. is as shown in Figure 6.

도 6에 도시된 TDR 파형인 Gref 및 Gopen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TDR 파형의 데이터에 기초하면, 단선 불량 위치가 제7층 배선의 후반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TDR waveforms Gref and Gopen shown in FIG. 6 , based on the data of the TDR waveform shown in FIG.

또한 제7층의 전파 속도와 단선에서 반사한 TDR 시간을 이용해 해석하면, 제7층의 7.83mm의 위치에 단선이 있다고 특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alyzing using the propagation speed of the seventh layer and the TDR time reflected from the disconnection, it can be specified that there is a disconnection at the position of 7.83 mm in the seventh layer.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 결과를 통해서 기준 배선 전체의 평균적인 전파 속도에서 구한 위치 특정보다 더 높은 정확도로 위치 특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Through the test resul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location can be specified with higher accuracy than the location specified from the average propagation speed of the entire reference lin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100)는, 프로세서(예: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 메모리(예: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입력 디바이스(예: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등), 출력 디바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 및 통신접속장치(예: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장치 등)이 서로 상호접속(예: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네트워크 등)된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etc.), memory (e.g., volatile memory (e.g., 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input device (e.g., keyboard, mouse, etc.) , pen, voice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infrared camera, video input device, etc.), output device (eg display, speaker, printer, etc.) and communication access device (eg modem, network interface card (NIC), integrated network A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interfaces, radio frequency transmitters/receivers, infrared ports, USB interfaces, etc.)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e.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USB, firmware (IEEE 1394), optical bus structures, networks, etc.) can be implemented as

상기 컴퓨팅 환경은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puting environment may be a personal computer, server computer, handheld or laptop device, mobile device (mobile phone, PDA, media player, etc.), multiprocessor system, consumer electronic device, mini computer, mainframe computer, any of the foregoing systems or I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de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variations.

100: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110: 기준배선 선정부
120: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
130: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
140: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
150: 메모리부
100: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110: reference wiring selection unit
120: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130: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for each section
140: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150: memory unit

Claims (16)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기준배선 선정부;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 및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a reference wire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es a plurality of sections;
a total reflection time measurement unit extracting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measuring a total reflec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 section-by-section propagation speed obtainer for obtaining a propagation speed at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an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impedance change us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서로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상기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ctions in which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are mixed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을 추출하는
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Extract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based on distance data stored in a memory unit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반사시간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TDR 파형을 구하고, 상기 TDR 파형에 기초해서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구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otal reflection time measuring unit,
Obtaining a TDR wavefor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obtaining the total reflection time based on the TDR waveform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는,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상기 구간별 반사 시간을 구하고,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구간별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for each section,
Obtaining a reflection time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Obtain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reflection time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반사 시간을 구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for each section,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solving a matrix equation includ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s matrix parameters to obtain the reflection time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변위위치 검출부는,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와 상기 구간별 반사 시간에 기초해 상기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mpedance displacement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based on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and the reflection time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속도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하기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반사 시간을 구하고
<행렬 방정식>
Figure pat00003

여기서, L1,L2,L3 각각은 3개의 기준 배선이고, LY1은 기판의 1층. LY7은 기판의 7층, Via는 기판의 비아이고, dL1-LY1, dL2-LY1, dL3-LY1은 1층의 3개의 배선길이이고, dL1-LY7, dL2-LY7, d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 길이이고, dvia는 비아의 배선 길이고, tL1-LY1, tL2-LY1, tL2-LY1은 1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L1-LY7, tL2-LY7, t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via는 비아의 전파 시간이고, t1total, t2total, t3total는 3개의 기준 배선인 L1,L2,L3 각각에 대한 반사 시간이고, VL1,Vvia,VL7는 1층,via,7층 각각에 대한 전파속도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pagation speed acquisition unit for each section,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ings, the reflection time for each section is obtained by solving the following matrix equation including the wiring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s matrix parameters;
<Matrix equation>
Figure pat00003

Here, each of L1, L2, and L3 is three reference wires, and LY1 is the first layer of the board. LY7 is the 7th layer of the board, Via is the via of the board, dL1-LY1, dL2-LY1, dL3-LY1 are the three wiring lengths of the 1st layer, and dL1-LY7, dL2-LY7, dL3-LY7 are the 7th layer 3 wire length, dvia is the wire length of the via, tL1-LY1, tL2-LY1, tL2-LY1 are the propagation times of the 3 wires on the 1st layer, tL1-LY7, tL2-LY7, tL3-LY7 are the 7th layer is the propagation time of the three wires, tvia is the propagation time of the via, t1total, t2total, and t3total are the reflection times for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nd VL1, Vvia, and VL7 are the first layer, via , which is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of the 7 layers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기판의 복수의 배선 중에서 복수의 기준 배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구간별 배선 길이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전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A first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from among a plurality of wires of a substrate,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e a plurality of sections;
a second step of extracting wire lengths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measuring a total reflec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 third step of obtaining a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position of impedance change us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은
서로 다른 전파 속도가 혼재된 상기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Including the plurality of sections in which different propagation speeds are mixed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거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을 추출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step,
Extract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based on dista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TDR 파형을 구하고, 상기 TDR 파형에 기초해서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구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step,
Obtaining a TDR wavefor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and obtaining the total reflection time based on the TDR waveform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 및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의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을 구하는 과정; 및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 각각에 대한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를 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hird step,
obtaining a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nd
obtaining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us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을 구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rd step,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solving a matrix equation includ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s matrix parameters to obtain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구간별 전파 속도와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에 기초해 상기 임피던스 변화 위치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ourth step,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the impedance change position based on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section and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배선에 대해, 상기 구간별 배선 길이와 상기 전체 반사 시간을 행렬 파라메타로 포함하는 하기 행렬 방정식을 풀어서, 상기 구간별 전파 시간을 구하고,
<행렬 방정식>
Figure pat00004

여기서, L1,L2,L3 각각은 3개의 기준 배선이고, LY1은 기판의 1층. LY7은 기판의 7층, Via는 기판의 비아이고, dL1-LY1, dL2-LY1, dL3-LY1은 1층의 3개의 배선길이이고, dL1-LY7, dL2-LY7, d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 길이이고, dvia는 비아의 배선 길이고, tL1-LY1, tL2-LY1, tL2-LY1은 1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L1-LY7, tL2-LY7, tL3-LY7은 7층의 3개의 배선의 전파 시간이고, tvia는 비아의 전파 시간이고, t1total, t2total, t3total는 3개의 기준 배선인 L1,L2,L3 각각에 대한 반사 시간이고, VL1,Vvia,VL7는 1층,via,7층 각각에 대한 전파속도인
임피던스 변화 위치 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rd step,
For the plurality of reference wires, the propagation time for each section is obtained by solving the following matrix equation including the wire length for each section and the total reflection time as matrix parameters;
<Matrix equation>
Figure pat00004

Here, each of L1, L2, and L3 is three reference wires, and LY1 is the first layer of the board. LY7 is the 7th layer of the board, Via is the via of the board, dL1-LY1, dL2-LY1, dL3-LY1 are the three wiring lengths of the 1st layer, and dL1-LY7, dL2-LY7, dL3-LY7 are the 7th layer 3 wire length, dvia is the wire length of the via, tL1-LY1, tL2-LY1, tL2-LY1 are the propagation times of the 3 wires on the 1st layer, tL1-LY7, tL2-LY7, tL3-LY7 are the 7th layer is the propagation time of the three wires, tvia is the propagation time of the via, t1total, t2total, and t3total are the reflection times for each of the three reference wires L1, L2, and L3, and VL1, Vvia, and VL7 are the first layer, via , which is the propagation speed for each of the 7 layers
Impedance change location detection method.
KR1020220006550A 2021-11-02 2022-01-17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23006383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8890 2021-11-02
KR1020210148890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30A true KR20230063830A (en) 2023-05-09

Family

ID=8640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550A KR20230063830A (en) 2021-11-02 2022-01-17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8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6272A1 (en) Fault detection apparatus
CN100565217C (en) The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contact type single side probe unit and test lead open circuit or short circuit
US7746086B2 (en) Non-contact type apparatus for testing open and short circuits of a plurality of pattern electrodes formed on a panel
CN105675990B (en) The link impedance detecting method of multi-layered interconnection board
US77460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testing
JP2625623B2 (en) Circuit test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61701A1 (en) Printed board inspecting apparatus
US7656166B2 (en)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Tsai et al. Mixed-signal reflectometer for location of faults on aging wiring
JP5797502B2 (en) Continuity inspection device and continuity inspection method
US7659727B2 (en)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for testing the same
US9891256B2 (en) Determining the current return path integrity in an electric device connected or connectable to a further device
US6922062B2 (en) Timing markers for the measurement and testing of the controlled impedance of a circuit board
CN113468849A (en) Printed circuit board wiring detection method, printed circuit board wiring detec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63830A (en) Impedance chang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7728273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est structure for measuring a crosstalk voltage
CN106872790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ia hole loss
KR101039049B1 (en) Chip scale package for detecting open/short of elcectrode pettern using noncontact inspection method and the inspection apparatus thereof
Sharma et al. VLSI interconnects and their testing: prospects and challenges ahead
Rodriguez-Montanes et al. Localization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interconnect open defects
JP2005249548A (en) Test method and test device of circuit board
RU80010U1 (en) MODAL SENSING DEVICE
CN220650802U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defects in a device under test
RU2634494C2 (en) Method for control of printed board conductors width deflections from nominal values
KR20010061435A (en) Multi line cable check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