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327A -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327A
KR20230063327A KR1020220141269A KR20220141269A KR20230063327A KR 20230063327 A KR20230063327 A KR 20230063327A KR 1020220141269 A KR1020220141269 A KR 1020220141269A KR 20220141269 A KR20220141269 A KR 20220141269A KR 20230063327 A KR20230063327 A KR 2023006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calcium
composite filler
composit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섭
김루시아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2887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52791A1/en
Priority to US18/263,296 priority patent/US20240099946A1/en
Priority to AU2022378270A priority patent/AU2022378270A1/en
Priority to CN202280009212.9A priority patent/CN116806160A/zh
Priority to CA3203845A priority patent/CA3203845A1/en
Priority to PCT/KR2022/016783 priority patent/WO2023075534A1/ko
Publication of KR2023006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6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phosphorus-containing inorganic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2Phosphorus-containing material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 및 생분해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합 필러 및 이를 포함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 활성능이 향상된 복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필러(Filler)는 주름이나 패인 흉터 등에 주사하거나 삽입하는 보완 재료나 내용물로서, 주름, 흉터, 미용성형과 볼륨유지가 필요한 성대 등 인체장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필러는 유지시기에 따라 영구적, 반영구적, 일시적인 필러로 분류되며, 구체적인 예로는 콜라겐, 지방, 히알루론산,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폴리 메타크릴, 보톡스 등이 있다.
종래 사용되어 온 히알루론산 필러는 시술 부위의 볼륨감을 채워주는 효과가 있지만 피부 탄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며 분해속도가 너무 빨라 필러 유지 기간이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칼슘 필러는 천연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근본적인 피부 개선 효과가 있으며 분해 속도가 느려 유지 기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만큼 생체 활성능이 낮아 피부 개선 효과가 더디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일 성분 필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같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칼슘입자를 혼합한 복합 필러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칼슘입자 복합 필러는 단일 성분 필러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 볼륨 유지 후 칼슘 입자의 조직 자극을 통한 천연 콜라겐 생성으로 피부 자체의 개선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칼슘입자 복합 필러에 적용되는 칼슘입자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구형의 고밀도 고형 입자로, 생체 활성능이 낮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낮은 생분해성으로 인해 교정 시술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기존 칼슘입자 대비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피부 개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초기 볼륨 유지 및 교정 시술이 가능한 필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생산효율성이 높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무기입자를 복합필러에 도입하여 복합필러의 생체활성능을 높여 피부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고, 생분해성이 높아 교정 시술이 가능한 복합 필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체 활성능이 향상된 복합 필러를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 및 생분해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합 필러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복합 필러를 포함하는 제품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복합 필러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 및 생분해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합 필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 구현예의 복합 필러의 경우,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를 생분해성 캐리어와 함께 포함시켜, 생분해성 캐리어의 안정성과 다공성 무기입자의 생체 활성능을 결합하여 단일 성분 필러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 볼륨 유지 후 다공성 무기입자의 조직 자극을 통한 천연 콜라겐 생성으로 피부 자체의 개선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기존의 고밀도 고형 입자 대비 기공율 및 비표면적이 높아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필러의 시술 효과를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입자 제조속도가 빠르고 추가 건조공정이 필요없어 생산성이 높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방폭 위험성 없이 안전한 분무 건조법을 통해 제조되어 생산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복합 필러는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는 칼슘(calcium) 원소를 포함한 입자를 의미하며, 칼슘원소로만 이루어지거나, 칼슘원소 및 기타 원소가 혼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슘계 입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인체의 치아 및 뼈를 구성하는 무기질인 인산칼슘 성분으로 생체 안정성이 높고, 천연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근본적인 주름 개선의 효과가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직경이란 입자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입자 경계선과 만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러한 직경 가운데 가장 큰 값이 최대직경에 해당한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TEM 또는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분무건조를 통해 수 십 ㎛ 이상의 칼슘계 2차 입자를 제조하기 어려움이 있으며 구형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고형분 함량이 요구된다. 또한 분무건조용 슬러리 내 입자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강도가 낮은 칼슘계 2차 입자가 제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형상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알려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다양한 형상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형상의 일례를 들면, 구형, 막대형, 바늘형, 선형, 판형, 시트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형상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TEM 또는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200 nm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바늘형일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200 nm 이하인데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구형인 경우, 분무건조법을 통해 다공성 무기입자를 제조시 구형으로 제조되지 않고, 비정형으로 제조되어, 체내 주입 시 높은 주입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0 nm 이상 10 ㎛ 이하, 또는 1 ㎛ 이상 10 ㎛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구형일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0 nm 이상 10 ㎛ 이하, 또는 1 ㎛ 이상 10 ㎛ 이하인데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구형이 아닌 경우, 칼슘계 2차 입자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여 체내 주입 시 높은 주입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상기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란, 상기 칼슘계 입자 다수 집합체에 대해 고온의 소결공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소결은 입자 다수 집합체인 분말을 녹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분말이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여 고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상기 칼슘계 1차입자 다수가 모여있는 칼슘계 분말의 소결을 통해 얻어진 2차 입자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이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에 분포함에 따라,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가 다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공은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의 내부 및/또는 표면에 분포할 수 있다.
상기 기공이란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내부의 빈 공간을 의미하며, 공극, 할로우(hollow), 구멍, 보이드(void)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공성 입자"란, 입자의 내부 및/또는 표면에 기공을 갖는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 입자는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함유함에 따라, 기공에 의한 표면적 증가로 인해 소결체의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높은 피부 개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기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칼슘계 입자의 소결 과정으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공은 상기 칼슘계 입자간의 소결시 소결 조건을 조절하여 칼슘계 입자 사이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해당한다.
즉,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복합입자의 열처리 결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복합입자의 열처리를 통해, 생체적합성 바인더는 열분해로 제거되고, 칼슘계 입자간의 부분적인 소결이 진행되면서 칼슘계 입자 내부에 미세한 기공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칼슘계 입자에 대한 내용은 상기 복합 필러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는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가 칼슘계 입자와 혼합된 복합입자에서, 칼슘계 입자가 충분히 뭉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소결체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인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는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끓는점이 228 ℃로, 228 ℃ 이상의 온도에서 기화되면서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g/mol 이상 200000 g/mol 이하, 또는 140000 g/mol 이상 19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분석 장치와 시차 굴절 검출기(Refractive Index Detector) 등의 검출기 및 분석용 컬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온도 조건, 용매, flow rate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조건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Polymer Laboratories PLgel MIX-B 300mm 길이 칼럼을 이용하여 Waters PL-GPC220 기기를 이용하여, 평가 온도는 160 ℃이며,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서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mL/min의 속도로, 샘플은 10mg/10mL의 농도로 조제한 다음, 200 μL 의 양으로 공급하며, 폴리스티렌 표준을 이용하여 형성된 검정 곡선을 이용하여 Mw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 표준품의 분자량은 2,000 / 10,000 / 30,000 / 70,000 / 200,000 / 700,000 / 2,000,000 / 4,000,000 / 10,000,000의 9종을 사용하였다.
이에, 상기 복합입자의 열처리는 상기 복합입자를 450 ℃ 이상 550 ℃ 이하의 온도로 1차 열처리하고, 600 ℃ 이상 1200 ℃ 이하의 온도로 2차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입자를 450 ℃ 이상 550 ℃ 이하, 또는 480 ℃ 이상 520 ℃ 이하의 온도로 1차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체적합성 바인더가 기화되면서 열분해로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열처리는 2 ℃/분 이상 8 ℃/분 이하, 또는 4 ℃/분 이상 6 ℃/분 이하의 승온 속도로 450 ℃ 이상 550 ℃ 이하, 또는 480 ℃ 이상 520 ℃ 이하의 온도까지 승온 시킨 후, 450 ℃ 이상 550 ℃ 이하, 또는 480 ℃ 이상 520 ℃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3시간 이하 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입자를 600 ℃ 이상 1200 ℃ 이하, 또는 600 ℃ 이상 1000 ℃ 이하의 온도로 2차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기공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복합입자의 소결이 진행되면서, 상술한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열처리 과정에서 소결온도가 600 ℃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면, 소결체의 충분한 강도 확보가 어렵고, 소결온도가 1200 ℃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면 기공이 모두 제거되어 비다공성 무기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열처리는 2 ℃/분 이상 8 ℃/분 이하, 또는 4 ℃/분 이상 6 ℃/분 이하의 승온 속도로 600 ℃ 이상 1200 ℃ 이하의 온도까지 승온 시킨 후, 600 ℃ 이상 1200 ℃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3시간 이하 열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5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 또는 1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또는 12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4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상대적인 바인더 중량 감소로 인해 분무건조 시 복합입자가 구형을 이루기 어렵다. 반면,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상대적인 칼슘계 입자 중량 감소로 인해 소결 이후 복합입자 강도가 낮아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입자형태가 찌그러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바늘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늘형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200 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4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구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형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0 nm 이상 10 ㎛ 이하, 또는 1 ㎛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복합입자는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조성물의 분무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분무건조물이란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조성물의 분무건조를 진행한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분무건조는 입자 제조속도가 빠르고 추가 건조공정이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높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방폭 위험성 없이 안전한 분무 건조법을 통해 제조되어 생산 효율성이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입자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제조법인 에멀전법에 비해 현저한 효과상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멀전법의 경우, 에멀전 형성을 위해 오일이나 유기용매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며, 세척 및 건조 공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합입자의 형상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를 들면, 구형을 들 수 있다. 상기 복합입자의 형상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합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 ㎛ 이상 1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합입자의 직경이란 입자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입자 경계선과 만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러한 직경 가운데 가장 큰 값이 최대직경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복합입자 다수에 대해 최대직경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의 산술평균을 구한 값을 최대직경의 평균값이라 한다. 상기 복합입자의 최대직경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합입자는 1 ㎛ 이상 100 ㎛ 이하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을 갖는 개별 입자의 군(group)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군(group)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는 평균적으로 1 ㎛ 이상 100 ㎛ 이하의 최대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군(group)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의 95%, 또는 99%가 1 ㎛ 이상 100 ㎛ 이하의 최대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복합 필러에 함유된 다공성 무기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함에 따라,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피부 개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형상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를 들면, 구형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형상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형상이 구형을 만족함에 따라, 낮은 주입력으로 체내 주사가 가능하며 체내에서 낮은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비표면적이 0.1 m2/g 초과, 또는 0.5 m2/g 이상, 또는 1 m2/g 이상, 또는 3 m2/g 이상, 또는 4 m2/g 이상, 또는 6 m2/g 이상, 또는 10 m2/g 이하, 또는 0.1 m2/g 초과 10 m2/g 이하, 또는 0.5 m2/g 내지 10 m2/g, 또는 1 m2/g 내지 10 m2/g, 또는 3 m2/g 내지 10 m2/g, 또는 4 m2/g 내지 10 m2/g, 또는 6 m2/g 내지 10 m2/g일 수 있다. 상기 비표면적은 BET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비표면적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기존의 고밀도 고형 입자 대비 기공율 및 비표면적이 높아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필러의 시술 효과를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 구현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비표면적이 0.1 m2/g 이하 등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기존의 고밀도 고형 입자와 같이 기공율 및 비표면적이 낮아 생체 활성능이 감소하면서 필러의 시술 효과가 떨어져 많은 양의 입자가 필요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비표면적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무기입자 소결체의 강도가 낮아져 복합 필러 제조 시 사용 가능한 공정이 제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총 기공부피가 0.001 cm3/g 이상, 또는 0.01 cm3/g 이상, 또는 0.016 cm3/g 이상, 또는 0.017 cm3/g 이상, 또는 0.05 cm3/g 이하, 또는 0.001 cm3/g 내지 0.05 cm3/g, 또는 0.01 cm3/g 내지 0.05 cm3/g, 또는 0.016 cm3/g 내지 0.05 cm3/g, 또는 0.017 cm3/g 내지 0.05 cm3/g일 수 있다. 상기 총 기공부피는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에 함유된 기공 전체의 부피 합계를 의미하며, BET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총 기공부피가 상술한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기존의 고밀도 고형 입자 대비 기공율 및 비표면적이 높아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필러의 시술 효과를 빠르게 유도하는 효과 구현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총 기공부피가 0.001 cm3/g 미만 등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기존의 고밀도 고형 입자와 같이 기공율 및 비표면적이 낮아 생체 활성능이 감소하면서 필러의 시술 효과가 떨어져 많은 양의 입자가 필요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총 기공부피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무기입자 소결체의 강도가 낮아져 복합 필러 제조 시 사용 가능한 공정이 제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 ㎛ 내지 1000 ㎛, 또는 10 ㎛ 내지 100 ㎛, 또는 10 ㎛ 내지 45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직경이란 입자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입자 경계선과 만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러한 직경 가운데 가장 큰 값이 최대직경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다수에 대해 최대직경을 각각 측정하고, 이들의 산술평균을 구한 값을 최대직경의 평균값이라 한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1 ㎛ 내지 1000 ㎛, 또는 10 ㎛ 내지 100 ㎛, 또는 10 ㎛ 내지 45 ㎛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을 갖는 개별 입자의 군(group)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군(group)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는 평균적으로 1 ㎛ 내지 1000 ㎛, 또는 10 ㎛ 내지 100 ㎛, 또는 10 ㎛ 내지 45 ㎛의 최대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군(group)에 포함되는 개별 미립자의 95%, 또는 99%가 1 ㎛ 내지 1000 ㎛, 또는 10 ㎛ 내지 100 ㎛, 또는 10 ㎛ 내지 45 ㎛의 최대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체내 부작용 및 시술 통증이 없으면서도 피부 개선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 ㎛ 미만 등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체내에서 지나친 이물 반응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000 ㎛ 초과 등으로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입자 질량 당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시술 효과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시술 시 큰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합 필러는 생분해성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는 복합 필러의 기재(substrate), 모체 혹은 캐리어(carrier)로서 작용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내부 혹은 외부에 다공성 무기입자가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내부 혹은 외부에 다공성 무기입자가 분산될 때,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와 다공성 무기입자가 직접 접촉하면서 다공성 무기입자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와 다공성 무기입자는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물리적 분산을 통해 다공성 무기입자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에 생분해성 캐리어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와 생분해성 캐리어 사이에 화학적 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표면에 다른 코팅층(예를 들어 실란 코팅층)이 형성되어, 코팅층이 생분해성 캐리어와 접촉하면서 화학적 결합이 형성되면, 다공성 무기입자에 의한 복합 필러의 생체활성능 향상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기 어려워, 생체활성능 증대를 위해 다공성 무기입자를 과량 투입해야 하는 공정상의 효율성 감소 및 비용 증대 문제와 더불어, 과량 투입된 다공성 무기입자가 혼합된 필러를 체내 주사 시 높은 주입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생분해성 캐리어가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의 예로는 젤라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콜라겐, 카르복시메틸 키틴(carboxymethyl chitin), 피브린, 풀루란(pullulan),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글리코라이드 공중합체(PLGA),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에테르에스테르(polyetherester),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싸이클로덱스트린, 폴록사머 (poloxamer),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로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로서, 수산화기(-OH)가 많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이며,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한다. 인간의 피부에도 존재하며, 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화장품 등에 많이 들어있다. 다양한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어 있는 CD44단백질과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조절한다.
상기 복합 필러는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를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함량이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생체 활성능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복합 필러 내 다공성 무기입자가 불균일하게 분산되고 체내로의 원활한 주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러는 하기 수학식1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25 mg/(kg·g) 이상, 또는 30 mg/(kg·g) 이상, 또는 30.5 mg/(kg·g) 이상, 또는 35 mg/(kg·g) 이상, 또는 40 mg/(kg·g) 이상, 또는 46 mg/(kg·g) 이상, 또는 100 mg/(kg·g) 이하, 또는 25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30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30.5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35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40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46 mg/(kg·g) 내지 100 mg/(kg·g)일 수 있다.
[수학식1]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근 후,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또한, 상기 복합 필러는 하기 수학식2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15 mg/(kg·g) 이상, 또는 20 mg/(kg·g) 이상, 또는 22 mg/(kg·g) 이상, 또는 25 mg/(kg·g) 이상, 또는 32 mg/(kg·g) 이상, 또는 35 mg/(kg·g) 이상, 또는 100 mg/(kg·g) 이하, 또는 15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20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22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25 mg/(kg·g) 내지 100 mg/(kg·g), 또는 32 mg/(kg·g) 내지 100 mg/(kg·g) , 또는 35 mg/(kg·g) 내지 100 mg/(kg·g)일 수 있다.
[수학식2]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군 후,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상기 복합 필러는 상기 수학식1, 또는 수학식2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생체 활성능이 향상되어 피부 개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초기 볼륨 유지 및 교정 시술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수학식1, 또는 수학식2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지나치게 감소하면, 생체 활성능이 낮아 피부 개선 효과가 더디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복합 필러는 필요에 따라, 필러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다양한 첨가제 성분, 예를 들어 글리세린 등의 윤활제, 인산 완충액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2. 제품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일 구현예의 복합 필러를 포함하는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러에 대한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품의 예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필러를 적용하는 용도에 따라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품의 일례를 들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효율성이 높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무기입자를 복합필러에 도입하여, 복합필러의 생체 활성능을 높여 피부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고, 생분해성이 높아 교정 시술이 가능한 복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얻은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 및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실시예2에서 얻은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실시예3에서 얻은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 및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4에서 얻은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 및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5에서 얻은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1에서 얻은 무기입자의 표면 및 단면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생체 활성능이 향상된 복합 필러의 제조>
실시예1
(1) 다공성 무기입자의 제조
물에 폴리바이닐 알코올(PVA, 중량평균 분자량 146,000~186,000 Da, 99+% hydrolyzed)을 90 ℃에서 교반하여 1 중량% PV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PVA 수용액에 최대직경이 150 nm인 바늘형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p) 분말을 HAp/PVA의 중량비율이 12/1을 만족하도록 투입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분무건조(Buchi mini spray dryer B-290)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입자를 수득하여, 도가니에 담아 box furnace 내에서 500 ℃로 2시간을 유지하며 PVA를 제거한 후, 다시 1000 ℃에서 2시간 동안 소결시켜 다공성 무기입자를 제조하였다.
(2) 복합 필러의 제조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0.4 g을 히알루론산 9.6 g과 혼합하여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하기 표1과 같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 분말 최대직경을 10~50 nm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공성 무기입자 및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
(1) 다공성 무기입자의 제조
물에 폴리바이닐 알코올(PVA, 중량평균 분자량 146,000~186,000 Da, 99+% hydrolyzed)을 90 ℃에서 교반하여 1 중량% PV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PVA 수용액에 최대직경이 2.5 ㎛인 구형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 분말을 HAp/PVA의 중량비율이 50/1을 만족하도록 투입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분무건조(Buchi mini spray dryer B-290)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입자를 수득하여, 도가니에 담아 box furnace 내에서 500 ℃로 2시간을 유지하며 PVA를 제거한 후, 다시 1000 ℃에서 2시간 동안 소결시켜 다공성 무기입자를 제조하였다.
(2) 복합 필러의 제조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 0.4 g을 히알루론산 9.6 g과 혼합하여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4
하기 표1과 같이, 소결 온도를 120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공성 무기입자 및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5
하기 표1과 같이, HAp/PVA의 중량비율이 80/1을 만족하도록 현탁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공성 무기입자 및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복합 필러의 제조>
비교예1
하기 표1과 같이, 소결 온도를 120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기입자 및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복합 필러의 제조>
참고예1
93.25용적%의 메탄올을 3.93용적%의 증류수와 혼합하였다. 0.81용적%의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용액을 pH 4.5 내지 5.5로 완충시켰다. 2용적%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용액을 제조하였다.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용액에 상기 실시예1의 (1)에서 얻어진 다공성 무기입자 0.4 g을 30분간 투입한 후, 70℃에서 24시간 경화시켜 실란층을 도입하였다.
상기 실란층이 도입된 다공성 무기입자를 히알루론산 9.6 g과 혼합하여, 실란층과 히알루론산간의 화학결합을 형성된 복합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비교예, 또는 참고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와 복합 필러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및 도면에 나타내었다.
1. 입자 형상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에 대하여, SEM 이미지를 통해 표면, 또는 단면의 형상을 확인하고, 이를 도면 1 내지 6에 각각 나타내었다.
2. 입자 크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에 대하여, SEM 이미지를 통해 100개의 입자별 최대 직경을 측정하고, 이들의 산술평균값을 구하였다.
3. 기공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에 대하여, SEM 이미지를 통해 입자 단면의 형상을 확인하고, 기공 존재 유무에 따라 기공도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 : 입자 내부 단면 SEM 이미지 상 기공 존재
Ⅹ : 입자 내부 단면 SEM 이미지 상 기공 미존재
4. 비표면적 및 총 기공부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무기입자에 대하여, BET analyzer를 이용하여 비표면적 및 총 기공부피를 측정하였다.
5. 생체 활성도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복합 필러를 모사체액 (simulatied body fluid) 내에 8일 간 담군 후, acid digestion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고, 시료에 대하여, ICP-OES 장비를 사용하여, 시료 내 Ca 이온 및 P 이온의 함량(단위 : mg/k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1, 수학식2에 의해 생체 활성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모사체액 내 Ca 이온 및 P 이온의 함량은 42 mg/kg으로 측정되었으며, 하기 수학식의 값이 클수록 생체 활성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수학식1]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군 후,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수학식2]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군 후,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예 측정 결과
구분 HAp/PVA의 중량비율 HAp의 최대직경 HAp의 형상 소결온도 입자 형상 입자크기 (㎛) 기공도 비표면적 (m2/g) 총 기공부피 (cm3/g)
실시예1 12/1 150 nm 바늘형 1000 ℃ 도면1 44 6 0.0171
실시예2 12/1 10~50 nm 바늘형 1000 ℃ 도면2 43 6 0.0169
실시예3 50/1 2.5 ㎛ 구형 1000 ℃ 도면3 42 5 0.0146
실시예4 50/1 2.5 ㎛ 구형 1200 ℃ 도면4 34 4 0.0123
실시예5 80/1 2.5 ㎛ 구형 1000 ℃ 도면5 44 5 0.0151
비교예1 12/1 150 nm 바늘형 1200 ℃ 도면6 49 0.1 0.0009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복합 필러에 함유된 무기 입자의 경우, 입자 내부 기공을 갖는 다공성 무기 입자가 얻어져, 비교예1 대비 비표면적과 기공부피 모두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1 복합 필러에 함유된 무기 입자의 경우, 입자 내부 기공이 존재하지 않는 비다공성 무기 입자가 얻어져, 실시예 대비 비표면적과 기공부피 모두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체 활성도 측정 결과
구분 Ca 이온 생체 활성도(mg/(kg·g)) P 이온 생체 활성도(mg/(kg·g))
실시예1 47.2 36.1
실시예2 45.7 33.2
실시예3 30.6 23.6
실시예4 30.2 21.9
실시예5 37.3 30.5
비교예1 20.8 12.5
참고예1 22.7 13.3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복합 필러의 경우, Ca 이온 생체 활성도가 30.2 mg/(kg·g) 내지 47.2 mg/(kg·g), P 이온 생체 활성도가 21.9 mg/(kg·g) 내지 36.1 mg/(kg·g)로 비교예 대비 커서, 생체 활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반면, 비교예 복합 필러의 경우, Ca 이온 생체 활성도가 20.8 mg/(kg·g), P 이온 생체 활성도가 12.5 mg/(kg·g)로 실시예 대비 적어, 생체 활성능이 낮아 피부 개선 효과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고예 복합 필러의 경우에도, Ca 이온 생체 활성도가 22.7 mg/(kg·g), P 이온 생체 활성도가 13.3 mg/(kg·g)으로 실시예 대비 적어, 생체 활성능이 낮아 피부 개선 효과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0)

  1. 칼슘계 입자의 소결체, 및 상기 소결체에 분포한 기공을 포함한 다공성 무기입자; 및
    생분해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복합 필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러는 하기 수학식1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25 mg/(kg·g) 이상인, 복합 필러:
    [수학식1]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군 후, 체액 내 칼슘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러는 하기 수학식2에 의한 생체 활성도가 15 mg/(kg·g) 이상인, 복합 필러:
    [수학식2]
    생체 활성도 =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 - [체액에 복합 필러를 8일간 담군 후, 체액 내 인 이온 함량(mg/kg)]}/(복합 필러 내 무기입자 함량(g)).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내부 혹은 외부에 다공성 무기입자가 분산된, 복합 필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표면에 생분해성 캐리어가 접촉하는 것인, 복합 필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총 기공부피가 0.001 cm3/g 이상인, 복합 필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비표면적이 0.1 m2/g 초과인, 복합 필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 ㎛ 내지 1000 ㎛인, 복합 필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10 ㎛ 이하인, 복합 필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 nm 이상 200 nm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바늘형인, 복합 필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입자의 최대직경이 100 nm 이상 10 ㎛ 이하이고, 칼슘계 입자의 형상이 구형인, 복합 필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계 입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복합 필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복합 필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캐리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를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복합 필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무기입자는,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복합입자의 열처리 결과물을 포함하는, 복합 필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입자의 열처리는
    상기 복합입자를 450 ℃ 이상 550 ℃ 이하의 온도로 1차 열처리하고,
    600 ℃ 이상 1200 ℃ 이하의 온도로 2차 열처리하는 것인, 복합 필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바인더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계 입자의 함량이 5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복합 필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입자의 최대직경의 평균값이 1 ㎛ 이상 100 ㎛ 이하인, 복합 필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입자는 생체적합성 바인더 및 칼슘계 입자를 포함한 조성물의 분무건조물인, 복합 필러.
  20. 제1항의 복합 필러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220141269A 2021-11-01 2022-10-28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KR20230063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887728.8A EP4252791A1 (en) 2021-11-01 2022-10-31 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same
US18/263,296 US20240099946A1 (en) 2021-11-01 2022-10-31 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the same
AU2022378270A AU2022378270A1 (en) 2021-11-01 2022-10-31 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the same
CN202280009212.9A CN116806160A (zh) 2021-11-01 2022-10-31 复合填料和使用其的产品
CA3203845A CA3203845A1 (en) 2021-11-01 2022-10-31 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the same
PCT/KR2022/016783 WO2023075534A1 (ko) 2021-11-01 2022-10-31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52 2021-11-01
KR20210148252 2021-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327A true KR20230063327A (ko) 2023-05-09

Family

ID=8640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269A KR20230063327A (ko) 2021-11-01 2022-10-28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3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eng et al. The electrostimulation and scar inhibition effect of chitosan/oxidized hydroxyethyl cellulose/reduced graphene oxide/asiaticoside liposome based hydrogel o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vitro
Izquierdo-Barba et al. High-performance mesoporous bioceramics mimicking bone mineralization
DE60022197T2 (de) Silberhaltige bioglas-zusammensetzungen, die von sol-gel zuständen abgeleitet werden
Marques et al. Novel sintering-free scaffolds obtained by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current bone regeneration and drug delivery: Proof of concept
Erol‐Taygun et al. Bioactıve glass‐polymer nanocomposites for bone tıssue regeneration applicatıons: a revıew
EP3509559B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injectable gels compris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hydroxyapatite
Sohrabi et al. The influence of polymeric component of bioactive glass‐based nanocomposite paste on its rheological behaviors and in vitro responses: hyaluronic acid versus sodium alginate
Popescu et al. New alginate–pullulan–bioactive glass composites with copper oxide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trials
Lewandowska-Łańcucka et al. Novel hybrid materials for preparation of bone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Neščáková et al. Polymer (PCL) fibers with Zn‐doped mesoporous bioactive glass nanoparticles for tissue regeneration
Najafabadi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lumina nanowire on 3D printed polycaprolactone/magnetic mesoporous bioactive glass scaffold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KR20230063327A (ko) 복합 필러, 이를 이용한 제품
Wang et al. Fabrication of long‐acting drug release property of hierarchical porous bioglasses/polylactic acid fibre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US20240099946A1 (en) Composite filler, and product using the same
Akturk et al.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ℇ-caprolactone) nanofiber mats doped with bioactive glass and copper metal nanoparticles
EP3377126B1 (en) Threads of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hydroxyapatite
Pattanayak et al. Advancing strategies towards the development of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a review
KR20230138762A (ko) 다공성 무기입자,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필러, 제품
EP3927387B1 (en) Hydrogel hybrid material, method of it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Go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elf‐crosslinking sodium alginate‐bioactive glass sponge
CN116806160A (zh) 复合填料和使用其的产品
Bertolo et al. Effects of calcium phosphates incorporation on structural, thermal and drug-delivery properties of collagen: chitosan scaffolds
Nosrati et al. Preparation and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scaffolds composed of chitosan, gelatin and 58S bioactive glass nanoparticles for skin tissue engineering
Sohrabi et al. Antioxidant flavonoid-loaded nano-bioactive glass bone paste: in vitro apatite formation and flow behavior
Valarmathi et al. Copper–strontium hydroxyapatite/chitosan/polyvinyl alcohol/gelatin electrospun composite and its biological studies for orthopedic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