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228A -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228A
KR20230063228A KR1020210148256A KR20210148256A KR20230063228A KR 20230063228 A KR20230063228 A KR 20230063228A KR 1020210148256 A KR1020210148256 A KR 1020210148256A KR 20210148256 A KR20210148256 A KR 20210148256A KR 20230063228 A KR20230063228 A KR 20230063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everage cup
recognition
housing
us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3207B1 (en
Inventor
오민경
Original Assignee
오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경 filed Critical 오민경
Priority to KR102021014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07B1/en
Publication of KR2023006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대여한 다회용 음료컵을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음료컵에 대한 비용을 환불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이 가능한 식별수단이 형성된 다회용 음료컵 및 이에 부속된 용품을 선별 수거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다회용 음료컵 및 부속 용품이 선별 적재되는 저장용기가 구비된 적재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측벽과 후벽 및 덮개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수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음료컵 회수부; 및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마개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llect borrowed multi-use drinking cups so that the cost for the beverage cups can be refunded and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cups to minimize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for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and accessories having an identification means capable of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ulti-use beverage cups and accessories are selectively loaded is provided inside. loaded housing; a recovery housing having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housing and having an open front; a beverage cup collecting unit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a stopper recovery unit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collecting the stopper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Description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여한 다회용 음료컵을 용이하게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음료컵에 대한 비용을 환불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easily collect borrowed multi-use beverage cups so that the cost of the beverage cup can be refunded and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cups. It relates to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wast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플라스틱 및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환경부에서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50% 감축 대책과 자원재활용법에 따라 커피전문점이나 패스트푸드점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plastic and disposable items has become seriou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banning the use of disposable cups in coffee shops and fast food restaurants according to the 50% plastic waste reduction plan and the Resource Recycling Act by 2030.

상기와 같은 규제가 시행됨에 따라 매장에서는 유리컵이나 머그잔 등을 이용하여 손님에게 음료를 제공하거나, 텀블러 등을 매장에 비치하여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일회용 컵 사용을 간접적으로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above regulations are enforced, stores are indirectly reducing the use of disposable cups by providing drinks to customers using glass cups or mugs, or by providing tumblers or the like in stores to induce purchase.

한국소비자원조사에 따르면 텀블러 이용에 따른 할인혜택에도 불구하고 개인용 텀블러 이용률은 7.5%에 불과했으며 대형 프랜차이즈의 경우 개인용 텀블러를 가져오는 고객에게 100원~400원(최대 10%)의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는 텀블러 휴대 및 세척의 불편함으로 할인혜택을 포기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Korea Consumer Agency, despite the discount benefits for using tumblers, the use rate of personal tumblers was only 7.5%. However, most consumers give up discount benefits due to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nd washing the tumbler.

정부의 일회용 컵 사용 규제에 따라 머그컵 세척과 관리에 따르는 인건비와 수도비 등의 고정비용이 증가하였고 머그컵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고객들의 위생 컴플레인이 증가하고 있다.Due to the government's regulations on the use of disposable cups, fixed costs such as labor and water costs for washing and managing mugs have increased, and hygiene complaints from customers are increasing as mugs are not cleaned properly.

한편, 최근 들어 다회용 음료컵의 회수 장치가 몇몇 제안된 바 있으나, 단순히 컵을 회수하고 적재하는 기능에만 국한되어 있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단순한 분리수거장치로 취급되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several recovery devices for multi-use beverage cups have been proposed, but they are limited to simply collecting and loading cups, and are treated as simple separate collection devices that are difficult to manage systematically, so they are not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e situation is.

KRKR 10-1903470 10-1903470 B1B1 KRKR 10-2021-0059360 10-2021-0059360 AA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과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foregoing background art is to provide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various functions and systematic management so as to actively induce use in the fie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회용 음료컵을 수거함에 있어 인력 및 시간적인 소요를 줄이며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회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that reduces manpower and time requirements in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and enables safe and sanitary collection and trea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여된 음료컵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대여 환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음료컵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위생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identify whether it is a borrowed drink cup so that the rental refund can be made automatically,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hygiene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drink cup in advance. To provide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ng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이 가능한 식별수단이 형성된 다회용 음료컵 및 이에 부속된 용품을 선별 수거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다회용 음료컵 및 부속 용품이 선별 적재되는 저장용기가 구비된 적재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측벽과 후벽 및 덮개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수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음료컵 회수부; 및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마개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for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having an identification mean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items attached thereto, A loading housing equipped with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multi-use beverage cups and accessories are selectively loaded; a recovery housing having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housing and having an open front; a beverage cup collecting unit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a stopper recovery uni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recovering the stopper of the multi-use drink cup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컵 회수부는, 상기 적재하우징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을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음료컵 받침대와, 상기 회수하우징의 후벽에 마련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 형성된 식별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음료컵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음료컵 식별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everage cup recovery unit is provided on a rear wall of the recovery housing, and a beverage cup hold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a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to selectively insert a multi-use beverage cup into the storag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controller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everage cup st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컵 받침대와 인접한 위치에 직립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컵 받침대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된 거치가이드와,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가이드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정렬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 형성된 식별수단이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에 의해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인식유도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support rod formed uprigh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nk cup stand, and a guide consisting of a guide r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drink cup stand, the drink cup identification leader, and It is provided at an opposite position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and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guide the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multi-use beverage cup to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recognizable by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duction panel.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 회수부는, 상기 적재하우징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마개 개폐도어와, 상기 회수하우징의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마개에 형성된 식별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마개 개폐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마개 식별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opper recovery unit is provided on a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and a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selectively inserting the stopper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into the storag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and a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for recognizing an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stopper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a controll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 식별리더의 근거리 무선인식을 위한 주파수 발생 또는 코드인식을 위한 광 조사는 마개 개폐도어 방향으로 향하되,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는 일정 거리 이내로 제한되어져, 상기 마개가 상기 마개 개폐도어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일때만 식별수단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ight irradiation for frequency generation or code recognition for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is directed toward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but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is limi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sto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is recognized only when is higher than a certain height from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 식별리더는 상기 회수하우징의 덮개에서 상기 마개 개폐도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 식별리더의 전면에는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인식유도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개폐도어의 테두리에는 전면이 개방된 가이드커버가 직립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투입 위치 및 식별수단의 인식 범위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protrudes from the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a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A recognition induction mark is formed at the location, and a front-opened guide cover is formed upright on the rim of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to guid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topper and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identification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수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내측에 마련되어 측벽과 후벽 및 덮개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모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션감지부의 움직임 감지 여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료컵 받침대 또는 상기 마개 개폐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mo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pened front of the recovery housing to sense movement of an internal space composed of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detects movement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cup stand or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매장 내에서 머그컵 세척에 필요한 인건비와 물, 세제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labor, water, detergent, etc. required for washing mugs in the stor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because disposable cups are not used.

둘째, 매장을 친환경 이미지로 인식시키는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다회용 음료컵이 사용 가능한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image of the store as an eco-friendly image, it can provide a publicity effect for stores where multi-use beverage cups are available.

셋째, 다회용 음료컵을 반납하는 과정과 반납된 다회용 음료컵을 규격별로 적층하는 과정 및 적층된 음료컵을 수거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인력 및 시간적인 소요를 줄일 수 있다..Third,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multi-use beverage cups,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urned multi-use beverage cups by standard,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tacked beverage cups can be handled in one device, so manpower and time can be reduced. ..

넷째, 다회용 음료컵과 마개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투입구가 개방되므로 다회용 음료컵을 제외한 다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inlet is opened only when the multi-use drinking cup and the stopper are normally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other garbage except for the multi-use drinking cup.

다섯째, 투입구를 기준으로 소정 위치에 모션감지부가 마련되어 손이나 팔 등이 투입구의 일정 지점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만 투입구가 폐쇄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Fifth, a mo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nlet, and the inlet is closed only when the hand or arm is separated from a certain point in the inlet, so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여섯째,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 회수시 일정 높이에서만 투입구가 개방되므로 마개에 뭍은 잔여물에 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가 반납될 수 있도록 한다.Sixth, when the stopper of the multi-use drink cup is recovered, the inlet is opened only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residues attached to the stopper and the stopper of the multi-use drink cup can be returned hygienically.

일곱째, 반납된 음료컵가 적재하우징 내부에 적층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수거 및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Seventh,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returned beverage cups are stacked inside the loading housing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e time of collection and replacement of the devic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여덟째, 이미지 센싱에 의해 다회용 음료컵의 상태에 따라 등급별로 자동으로 분리 적층되므로 세척 재사용이 불가능한 음료컵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다.Eighth, since multi-use beverage cups ar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stacked by grade according to the state of multi-use beverage cups by image sen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beverage cups that cannot be washed and reus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정면도이고,
도3은 도1의 배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회용 음료컵을 도시하는 사시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음료컵 회수부와 마개 회수부에 다회용 음료컵과 마개를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시킨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음료컵 회수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마개 회수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모션감지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multi-use beverage cu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stopper are located in a recognizable range in the beverage cup recovery unit and stopper recove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beverage cup recove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topper recover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 the other hand,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nd their actions and effects, which can be easily know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simplified or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는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이 가능한 식별수단이 형성된 다회용 음료컵 및 이에 부속된 용품을 선별 수거하는 것이다.An apparatus for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collect multi-use beverage cups having identification means capable of short-distanc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products attached thereto.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회용 음료컵(1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식별수단(12)이 형성되고, 상기 식별수단(12)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소정의 로고(14)나 문자 등이 형성된다. 상기 다회용 음료컵(10)의 상부에는 마개(20)가 끼워지며, 상기 마개(20)의 윗면에 식별수단(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dentification means 12 formed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logo ( 14) or characters are formed. A stopper 20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an identification means 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20.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적재하우징(100), 회수하우징(300), 음료컵 회수부(500) 및 마개 회수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loading housing 100, a recovery housing 300, a beverage cup recovery unit 500 and a stopper recovery unit 700.

먼저, 상기 적재하우징(100)은 내부에 상기 다회용 음료컵(10) 및 부속 용품이 선별 적재되는 저장용기가 구비된다.First, the loading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accessories are selectively loaded.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다회용 음료컵(10) 및 부속 용품이 선별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구획 또는 별도의 저장용기로 나누어진다.Although not shown, the storage container is divided into compartments or separate storage containers so that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accessories can be selected and loaded.

덧붙여, 상기 저장용기에는 근접센서가 마련되어 다회용 음료컵(10) 및 부속 용품이 적재된 용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는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적재된 용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거 및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is provid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detect the loaded capacity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accessories, and the proximity sensor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ule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capacity loaded in the storage container in real time. It is transmitted to a remote monitoring terminal so that the collection and replacement time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상기 근접센서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적외선)을 방출하여 돌아오는 신호로 주변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형태의 대상에 적합한 정전식감응센서나 광전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nearby object without physical contact, and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infrared rays) and detects the surroundings with a signal retur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acitive sensor or a photoelectric sensor suitable for a plastic type object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는 음료 등의 잔여물로 인해 해충 및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충방제장치와 살균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pests and bacteria may propagat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due to residues such as beverages, and pest control devices and sterilization devices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is.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만 별도로 수거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수거장치를 통째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3 , an openable doo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housing 100 so that only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separately collected and replaced, thereby reducing the hassle of replacing the entire collection device.

다음으로, 상기 회수하우징(300)은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측벽과 후벽 및 덮개로 형성되어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Next, the recovery housing 3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100, and is formed of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so that the front side is open.

상기 회수하우징(300)을 이루는 측벽, 후벽 및 덮개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소정 색상의 자외선 살균램프(320)가 마련되어 측벽과 후벽 및 덮개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이 살균 및 항균 작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n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320 of a predetermined colo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rear wall, and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300 so that the internal space composed of the side wall, rear wall, and cover can maintain steril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315~405mm의 장파장으로 살균과 항균 기능은 물론 보라색으로 발광하므로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320 have a long wavelength of 315 to 405 mm, and emit purple as well as steriliz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s, so that a beautiful design can be produced.

다음으로, 상기 음료컵 회수부(500)는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10)을 선택적으로 회수한다.Next, the beverage cup collection unit 5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100 and selectively collects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음료컵 회수부(50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10)을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음료컵 받침대(520)와, 상기 회수하우징(300)의 후벽에 마련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10)에 형성된 식별수단(12)을 인식하여 상기 음료컵 받침대(5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음료컵 식별리더(5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beverage cup recovery unit 500 opens and closes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100 to selectively retrieve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By recognizing the drink cup holder 520 to be put into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identification means 12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collection housing 300 and formed on the multi-use drink cup 10, the drink cup holder 520 It includes a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540 that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음료컵 회수부(500)는 대여가 인증된 다회용 음료컵(10)만이 투입 가능하므로 인증된 다회용 음료컵(10)을 제외한 다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장치가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only the multi-use drink cup 10 for which rental is certified can be put into the drink cup recovery unit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other garbage except for the certified multi-use drink cup 10, and to collect Ensure that the device can be managed and maintained hygienically.

덧붙여, 상기 음료컵 회수부(500)는, 다회용 음료컵(10)이 정상적으로 투입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가이드(560)와, 상기 다회용 음료컵(10)의 식별수단(12)이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540)에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인식유도패널(5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verage cup collecting unit 500 includes a holding guide 560 to align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to a position where it is normally inserted, and an identification means 12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 may further include a recognition induction panel 580 for inducing the beverage cup to be located in a recognizable range in the identification leader 540.

여기서, 상기 거치가이드(560)는, 상기 음료컵 받침대(520)와 인접한 위치에 직립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컵 받침대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된다.Here, the mounting guide 560 is composed of a support bar formed uprigh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everage cup holder 520 and a guide r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beverage cup holder. .

그리고, 상기 인식유도패널(580)은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54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가이드(560)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정렬홈(582)이 형성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10)에 형성된 식별수단(12)이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540)에 의해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In addition, the recognition induction panel 58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540 and is made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560, and an alignment groove 58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The identification means 12 formed on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is guided to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recognizable by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540.

즉, 도5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홈(582)에는 다회용 음료컵(10)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로고(14)나 문자 등이 맞춰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회용 음료컵(10) 반납시 음료컵 식별리더(540)에 의한 인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is formed by aligning the logo 14 or letter formed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to the alignment groove 582. Recognition by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540 at the time of return is made easy.

앞서 기재한 근거리 무선인식으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는 RFID 태그가 내장되고,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n RFID tag is embedded in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may include an RFID reader.

상기 RFID는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 시스템으로, 본 발명에서는 RFID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 태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FID is a recognition system that reads data stored in a tag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radio frequ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ssive tag operat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of an RFID reader is preferably used.

이러한 RFID 태그는 언제 어디서나 자동적으로 확인 또는 추적이 가능하며 태그 내부에 메모리를 내장하여 정보의 갱신 및 수정이 가능하다.These RFID tags can be checked or tracked automatically anytime, anywhere, and information can be updated and modified by embedding a memory inside the tag.

RFID 리더기는 태그를 향하여 전파를 주고받는 전자회로를 가지며, 전자회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태그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변환시키거나 그 데이터의 신호를 검증한다.The RFID reader has an electronic circu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toward the tag, and a microprocessor of the electronic circuit converts a signal coming from the tag or verifies the signal of the data.

아울러, 앞서 기재한 코드인식은 1차원 바코드나 2차원 바코드(QR코드)가 작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는 QR코드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는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e recognition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a one-dimensional barcod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QR code). In this case, a QR code is formed in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includes a barcode scanner can be configured.

상기 1차원 바코드는 컴퓨터가 정보를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검은 막대와 하얀 막대를 조합시켜 문자나 숫자를 코드화한 것이다. The one-dimensional barcode is a combination of black bars and white bar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o code characters or numbers so that a computer can easily read information.

상기 2차원 바코드는 기존 1차원 바코드의 데이터 용량 한계를 극복하여, 문자나 사진 등 대량의 정보를 작은 사각형 안에 2차원의 심벌로 고밀도 코드화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2차원 바코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2-dimensional barcode is a high-density coded high-density code of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text or photos in a 2-dimensional symbol in a small square by overcoming the data capacity limitation of existing 1-dimensional barcode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2-dimensional barcode. .

바코드 스캐너는 스캐너, 디코더 및 MCU(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하며, 바코드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번역되어 이진수로 바뀐 후 문자와 숫자로 해석되어 진다.The barcode scanner includes a scanner, a decoder, and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barcode, detects the reflected light,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converts it into binary numbers, and then interprets it as letters and numbers.

다음으로, 상기 마개 회수부(700)는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20)를 선택적으로 회수한다.Next, the stopper recovery unit 7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100 and selectively retrieves the stopper 20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 회수부(700)는,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하우징(100)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20)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마개 개폐도어(720)와, 상기 회수하우징(300)의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마개(20)에 형성된 식별수단(22)을 인식하여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마개 식별리더(7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stopper recovery unit 70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100 to open and close the stopper 20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By recognizing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to be put into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identification means 22 provided on the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300 and formed on the stopper 20,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includes a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740 that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to be opened or clos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마개 회수부(700)는 대여가 인증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20)만이 투입 가능하므로 인증된 다회용 음료컵 마개(20)를 제외한 다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장치가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stopper recovery unit 7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only insert the stopper 20 of the multi-use drink cup certified for rent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other garbage except for the certified multi-use drink cup stopper 20, , so that the collection device can be managed and maintained hygienically.

여기서, 상기 마개 식별리더(740)의 근거리 무선인식을 위한 주파수 발생 또는 코드인식을 위한 광 조사는 마개 개폐도어(720) 방향으로 향하되,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는 일정 거리 이내로 제한되어져, 상기 마개(20)가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일때만 식별수단(22)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light irradiation for code recognition or frequency gener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740 is directed towar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but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is limi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22 be recognized only when the stopper 20 is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마개 식별리더(740)는,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20)가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개(20)에 뭍어있는 휘핑크림 등의 잔여물이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 등에 닿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마개(20)에 뭍어있는 잔여물에 의해 수거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20)가 반납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740 made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stopper 20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to be opened without contacting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thereby removing whipped cream, etc. Residues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or the li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ection device from being contaminated by residues attached to the stopper 20 and to return the stopper 20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hygienically.

덧붙여, 상기 마개 식별리더(740)는 상기 회수하우징(300)의 덮개에서 상기 마개 개폐도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740 may protrude from the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300 towar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and be formed in a column shape.

상기와 같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마개 식별리더(740)의 전면에는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인식유도마크(742)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의 테두리에는 전면이 개방된 가이드커버(760)가 직립 형성되어 상기 마개(20)의 투입 위치 및 식별수단(22)의 인식 범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개(20)를 정상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곳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마개(20)의 식별수단(22)이 상기 마개 식별리더(740)에 인식 가능한 범위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A recognition induction mark 74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on the front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740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A guide cover 760 with an open front is formed upright on the rim to guide the input position of the stopper 20 and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identification means 22 . Accordingly, the stopper 20 can be easily positioned where it can be normally inserted, and the identification means 22 of the stopper 20 can be easily positioned within a range recognizable by the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740. there will be

나아가, 본 발명은 도1과 도2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하우징(300)의 개구된 전면 내측에 마련되는 모션감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 2, and 8,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ing unit 900 provided insid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recovery housing 300.

상기 모션감지부(900)는 측벽과 후벽 및 덮개로 이루어진 회수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션감지부(900)의 움직임 감지 여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료컵 받침대(520) 또는 상기 마개 개폐도어(72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detects movement occurr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overy housing 300 composed of the side wall, the rear wall, and the cove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ignal is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cup stand 520 or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회용 음료컵(10)과 마개(20)의 회수를 위해 음료컵 받침대(520)와 마개 개폐도어(720)가 개방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10)과 마개(20)를 회수하게 되는데, 상기 모션감지부(900)에 의해 사람의 손이나 팔과 같은 신체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상기 음료컵 받침대(520)와 마개 개폐도어(720)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수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사람의 신체가 이탈되어 상기 모션감지부(900)에 의해 감지되는 신체 부위가 없는 경우에만 상기 음료컵 받침대(520)와 마개 개폐도어(720)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in order to recover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the stopper 20, the beverage cup holder 520 an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are opened to remove the multi-use beverage cup 10 and the stopper 20. is recovered, while the body such as a person's hand or arm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900, the beverage cup holder 520 and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720 remain open without being closed, The beverage cup holder 520 an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720 are closed only when the human body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recovery housing 300 and there is no body part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90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hand jamming in advance.

상기 모션감지부(900)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센서는 외부 물질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이 센서 내의 자발 분극을 갖는 물질의 분극을 변화시켜 외부 자유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외부 물질을 감지한다.The motion sensing unit 900 may be formed of an infrared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detects an external material by generating external free charge by changing the polarization of a material having a spontaneous polarization in the sensor by infrared rays emitted from an external material.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의 빛을 발생시키는 LED로 구성된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빛 센서인 수광부로 나누어지는데,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물체에 반사되어 수광부에 들어오는 양에 따라서 수광부에 들어오는 전압의 양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함으로써 물체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n infrared sensor is divided into a light emitting part composed of LEDs that generate infrared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that is a light sensor that detects infrared rays. By measuring what changes,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objects or movements.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매장 내에서 머그컵 세척에 필요한 인건비와 물, 세제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일회용 컵을 사용하지 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labor, water, detergent, etc. required for washing mugs in the stor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because disposable cups are not used.

둘째, 매장을 친환경 이미지로 인식시키는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다회용 음료컵이 사용 가능한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image of the store as an eco-friendly image, it can provide a publicity effect for stores where multi-use beverage cups are available.

셋째, 다회용 음료컵을 반납하는 과정과 반납된 다회용 음료컵을 규격별로 적층하는 과정 및 적층된 음료컵을 수거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인력 및 시간적인 소요를 줄일 수 있다..Third,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multi-use beverage cups, the process of stacking the returned multi-use beverage cups by standard,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tacked beverage cups can be handled in one device, so manpower and time can be reduced. ..

넷째, 다회용 음료컵과 마개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투입구가 개방되므로 다회용 음료컵을 제외한 다른 쓰레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inlet is opened only when the multi-use drinking cup and the stopper are normally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other garbage except for the multi-use drinking cup.

다섯째, 투입구를 기준으로 소정 위치에 모션감지부가 마련되어 손이나 팔 등이 투입구의 일정 지점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만 투입구가 폐쇄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Fifth, a mo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nlet, and the inlet is closed only when the hand or arm is separated from a certain point in the inlet, so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여섯째,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 회수시 일정 높이에서만 투입구가 개방되므로 마개에 뭍은 잔여물에 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가 반납될 수 있도록 한다.Sixth, when the stopper of the multi-use drink cup is recovered, the inlet is opened only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device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residues attached to the stopper and the stopper of the multi-use drink cup can be returned hygienically.

일곱째, 반납된 음료컵가 적재하우징 내부에 적층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수거 및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Seventh,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returned beverage cups are stacked inside the loading housing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e time of collection and replacement of the devic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여덟째, 이미지 센싱에 의해 다회용 음료컵의 상태에 따라 등급별로 자동으로 분리 적층되므로 세척 재사용이 불가능한 음료컵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다.Eighth, since multi-use beverage cups ar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stacked by grade according to the state of multi-use beverage cups by image sen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beverage cups that cannot be washed and reused.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follows may be better understoo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다회용 음료컵
12: 식별수단
14: 로고
20: 마개
22: 식별수단
100: 적재하우징
300: 회수하우징
320: 자외선 살균램프
500: 음료컵 회수부
520: 음료컵 받침대
540: 음료컵 식별리더
560: 거치가이드
580: 인식유도패널
582: 정렬홈
700: 마개 회수부
720: 마개 개폐도어
740: 마개 식별리더
742: 인식유도마크
760: 가이드커버
900: 모션감지부
10: multi-use drink cup
12: identification means
14: logo
20: stopper
22: identification means
100: loading housing
300: recovery housing
320: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500: beverage cup recovery unit
520: drink cup stand
540: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560: mounting guide
580: recognition induction panel
582 alignment groove
700: stopper recovery unit
720: stopper opening door
740: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742: recognition induction mark
760: guide cover
900: motion detection unit

Claims (7)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이 가능한 식별수단이 형성된 다회용 음료컵 및 이에 부속된 용품을 선별 수거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다회용 음료컵 및 부속 용품이 선별 적재되는 저장용기가 구비된 적재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측벽과 후벽 및 덮개가 형성되어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수하우징;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음료컵 회수부; 및
상기 적재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근거리 무선인식 또는 코드인식을 거쳐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마개 회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In the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for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having identification mean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items attached thereto,
Inside, a loading housing provided with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accessories are selectively loaded;
a recovery housing having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housing and having an open front;
a beverage cup collecting unit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collecting multi-use beverage cup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nd
a stopper recovery unit provided on the top of the loading housing and selectively collecting the stopper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through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code recognition;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 회수부는,
상기 적재하우징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을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음료컵 받침대와,
상기 회수하우징의 후벽에 마련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 형성된 식별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음료컵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음료컵 식별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cup recovery unit,
A beverage cup holder for selectively inserting a multi-use beverage cup into the storag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a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A beverage cup identification reader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recovery housing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multi-use beverage cup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ler so that the beverage cup holder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 받침대와 인접한 위치에 직립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컵 받침대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된 거치가이드와,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가이드의 전면 일부를 가리도록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정렬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회용 음료컵에 형성된 식별수단이 상기 음료컵 식별리더에 의해 인식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인식유도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mounting guide composed of a support rod formed uprigh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nk cup stand and a guide r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im of the drink cup stand;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and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multi-use beverage cup can be recognized by the beverage cup identification leader.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ognition induction panel for inducing to be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회수부는,
상기 적재하우징의 저장용기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개폐시켜 다회용 음료컵의 마개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용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마개 개폐도어와,
상기 회수하우징의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마개에 형성된 식별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마개 개폐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마개 식별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recovery unit,
A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loading housing to selectively insert the stopper of the multi-use beverage cup into the storage container;
and a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provided on a cover of the collection housing to recognize an identification means formed on the stopper and transmit a signal to a controll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식별리더의 근거리 무선인식을 위한 주파수 발생 또는 코드인식을 위한 광 조사는 마개 개폐도어 방향으로 향하되,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는 일정 거리 이내로 제한되어져, 상기 마개가 상기 마개 개폐도어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일때만 식별수단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4,
Frequency gener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recognition or light irradiation for code recognition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reader is directed toward the stopper opening/closing door, but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is limi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stopper opens and closes the stopper.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means is recognized only when it is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do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식별리더는 상기 회수하우징의 덮개에서 상기 마개 개폐도어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개 식별리더의 전면에는 상기 주파수 발생 범위 또는 상기 광 조사 범위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인식유도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개폐도어의 테두리에는 전면이 개방된 가이드커버가 직립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투입 위치 및 식별수단의 인식 범위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protrudes from the cover of the recovery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identification leader induces recogni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requency generation range or the light irradiation range. mark is formed,
A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cover with an open front is formed upright on the edge of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to guid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topper and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identification means.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내측에 마련되어 측벽과 후벽 및 덮개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송하는 모션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션감지부의 움직임 감지 여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료컵 받침대 또는 상기 마개 개폐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음료컵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or 4,
A motion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pened front of the recovery housing detects movement of an inner space composed of a side wall, a rear wall, and a cove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everage cup holder or the stopper opening and closing door according to a motion detection signal of the motion sensing unit.
KR1020210148256A 2021-11-01 2021-11-01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KR102553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56A KR102553207B1 (en) 2021-11-01 2021-11-01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256A KR102553207B1 (en) 2021-11-01 2021-11-01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228A true KR20230063228A (en) 2023-05-09
KR102553207B1 KR102553207B1 (en) 2023-07-06

Family

ID=8640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256A KR102553207B1 (en) 2021-11-01 2021-11-01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15B1 (en) 2023-08-14 2024-01-16 이파로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platform for management of cup usage, method for managing usage of cup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07A (en) * 1996-07-03 1998-01-20 Boodaresu Human Center:Kk Empty can recovering apparatus with bar code reading function
JPH11199005A (en) * 1998-01-09 1999-07-27 Fuji Electric Co Ltd Container recovery device
KR200314486Y1 (en) * 2003-03-06 2003-06-02 유영구 Vessel auto-reclaimer
KR101903470B1 (en) 2016-09-21 2018-11-13 승병선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tic bottle and paper cup
KR102110927B1 (en) * 2019-09-02 2020-05-15 정한인프라(주) Food waste collection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59360A (en) 2019-11-15 2021-05-25 이윤정 Mobile Tumbler Rental and Return System with QR code
KR102338740B1 (en) * 2021-10-21 2021-12-14 삼일씨티에스(주) Pet bottle resource recovery apparatus and pet bottle resource management server
KR20220164234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system for collecting PET bottl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07A (en) * 1996-07-03 1998-01-20 Boodaresu Human Center:Kk Empty can recovering apparatus with bar code reading function
JPH11199005A (en) * 1998-01-09 1999-07-27 Fuji Electric Co Ltd Container recovery device
KR200314486Y1 (en) * 2003-03-06 2003-06-02 유영구 Vessel auto-reclaimer
KR101903470B1 (en) 2016-09-21 2018-11-13 승병선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tic bottle and paper cup
KR102110927B1 (en) * 2019-09-02 2020-05-15 정한인프라(주) Food waste collection device with fingerprint sensor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59360A (en) 2019-11-15 2021-05-25 이윤정 Mobile Tumbler Rental and Return System with QR code
KR20220164234A (en) *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system for collecting PET bottles
KR102338740B1 (en) * 2021-10-21 2021-12-14 삼일씨티에스(주) Pet bottle resource recovery apparatus and pet bottle resource management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207B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2829A1 (en) Reversibly deactivat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tag
KR102553207B1 (en) Multi-use beverage cup collection apparatus
US20050024211A1 (en) Key control system using separated ID and location detection mechanisms
US7316351B2 (en) Marking a deposit item
MXPA06012413A (en) Activating a data tag by load or orientation or user control.
RU2017101145A (en) COMPUTER-CONTROLLED AUTOMATIC Kiosk NOT REQUIRING THE SELLER'S PRESENCE
CN209785129U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7491799B (en) A kind of switch gate condi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RFID
CN103942879A (en) Intelligent sale promotion machine for plastic bottle beverages
JP2007107325A (en) Collective type valuables storing device
WO2017077296A1 (en) Beverage container
KR20090029154A (en) Vending machine for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and a system for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using thereof
Ayre Library RFID systems for identification, security, and materials handling
EP17550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optical code reads and RFID reads
EP4143797A1 (en) Vending machine system
US20110043364A1 (en) Container for fluid products, in particular perfumes, deodorants, creams and similar
CN108885811B (en) Fraud detection
US11860588B1 (en) Identification of watch bands
KR101083658B1 (en) Self Check-out System with Sterilizing Function for RFID tagged Materials
TWM367382U (en) Certificate identification apparatus with multiple document inputs
JP2007308154A (en) Non-contact type ic bag and content control method
JP7483884B2 (en) Resource recove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125049A (en) Locker box
CN210902756U (en) Medical intelligent soap dispenser based on NFC or RFID
EP4036881A1 (en) Multimedia kiosk for purchas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