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815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815A
KR20230062815A KR1020237005900A KR20237005900A KR20230062815A KR 20230062815 A KR20230062815 A KR 20230062815A KR 1020237005900 A KR1020237005900 A KR 1020237005900A KR 20237005900 A KR20237005900 A KR 20237005900A KR 20230062815 A KR20230062815 A KR 2023006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preview
mobile terminal
camera
pre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진
구혜림
최경락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되, 상기 비디오 프리뷰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디오 프리뷰와 이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동영상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동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동영상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트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개발되는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폼팩터를 지닐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새로운 형태의 폼팩터를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UI/UX가 많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단말기의 새로운 형태의 폼팩터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실시예들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되, 비디오 프리뷰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하고,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되, 상기 비디오 프리뷰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저장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저장 아이콘은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1 저장 아이콘 및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 2 저장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가 분리하여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frame roll)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을 출력하되, 상기 제 1 프레임 롤은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롤은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가 결합하여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3 프레임 롤을 출력하되, 상기 제 3 프레임 롤은 상기 제 1 비디오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중 제 1 시점을 선택한 상태에서, 녹화를 시작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시점에서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로 상기 제 1 프레임 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및 상기 제 2 프레임 롤을 출력할 때,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된 일시 정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편집 가이드 팝업 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중 제 1 시점을 선택하는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동시에 녹화하고,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일시 정지하는 제 5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동시에 일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가 녹화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 롤을 선택하는 제 6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비쥬얼 이펙트(visual effect)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스위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7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1:1의 화면 비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16:9의 화면 비율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하되,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카메라는 후면 광각 카메라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후면 일반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바디는 스위블 바디, 상기 제 2 바디는 메인 바디이고, 상기 스위블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는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가 포개지고,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는 일 평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프리뷰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함; 및 상기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다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프리뷰를 한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비디오 프리뷰를 촬영함과 동시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스위블 바디의 회전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펴진 상태에서의 일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폴더블 이동 단말기 접힌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와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를 촬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프레임 롤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녹화 중 일시 정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시점에 대한 비디오 프리뷰를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녹화 중인 비디오를 편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191)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스위블 단말기 표준 도면----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스위블 바디(200) 회전 전후를 도시한 것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회전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특징들과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포개어 구비된 두 바디(200, 300)로 구성될 수 있다. 두 바디(200, 300)는 각각 디스플레이(151a, 151b)를 구비하고, 상대 회전 가능하다. 전방에 배치된 바디를 스위블 바디(200), 후방에 배치된 바디를 메인 바디(300)로 정의한다.
각 바디(200, 300)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각 바디(200, 3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1)는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300)의 리어 케이스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후면 커버가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는 후면 커버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에는 카메라(121b)나 광출력부, 플래시(124) 및 제1 조작유닛(123a)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1)와 프론트 케이스 사이,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와 후면 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1)와 윈도우(1511)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1)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조작유닛(123a, 123b)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1)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1)와 프론트 케이스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조작유닛(123a, 123b)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조작유닛(123a, 123b)은 지문센서와 레이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조작유닛(123a, 123b)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거나,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작유닛(123a)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조작유닛(123a)은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가 배터리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에 결합되어 배터리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는 리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정면(또는 전면)을 기준으로, 스위블 바디(200)와 메인 바디(30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스위블 바디(200)와 메인 바디(30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의 외관을, 정면을 기준으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은 실질적인(substantial) 직사각형을 의미한다. 직사각형의 긴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을 각 바디(200, 300)의 길이 방향, 짧은 모서리와 평행한 방향을 각 바디(200, 300)의 너비 방향으로 정의한다.
스위블 바디(200)는 메인 바디(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스위블 바디(200)의 회전은 메인 바디(300)와 평행 상태를 유지한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 일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정면을 기준으로 직사각형의 스위블 바디(200)는 메인 바디(300)와 동일 방향을 향하여 스위블 바디(200)가 메인 바디(300)를 가리도록 회전한 상태를 '닫힌 상태'로 정의하고, 스위블 바디(200)가 메인 바디(300)에 대해 서로 수직 방향이 되도록 회전한 상태를 '열린 상태'로 정의한다.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사이에서 스위블 바디(200)의 회전각은 90°가 될 수 있다.
실시 예의 경우 열린 상태는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스위블 바디(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가리키나,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가리킬 수도 있다.
스위블 바디(200)의 제1 스크린(151a)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모두에서 정면에 노출되는 반면, 메인 바디(300)의 제2 스크린(151b)은 열린 상태에서만 정면에 노출된다.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제2 스크린(151b)이 노출되는 영역은 서서히 증가하고 열린 상태에서 최대로 노출될 수 있다.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로서 구비되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이동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에서 모두 동일한 위치(즉, 사용자의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제1 리시버 홀(1521) 및 제2 리시버 홀(1522)을 포함할 수 있다. 소리의 파동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장부 중 제1 리시버 홀(1521)의 배면에 있는 지점에서 스피커 모듈에서 생성되어, 스위블 바디(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리시버 홀(1521) 및 제2 리시버 홀(1522)을 순차적으로 거쳐 출력되며, 스위블 바디(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1 리시버 홀(1521) 만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2 리시버 홀(1522)은 스위블 바디(2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시버 홀(1521)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파동이 가로막히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슬릿(slit) 또는 미세 타공홀(perforation ho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위블 바디(200)가 열린 상태에서도 동일한 기능 수행을 하기 위해, 근접 센서(141) 및 조도 센서(142)는 메인 바디(3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스위블 바디(200)에 구비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항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시에만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팝-업(pop-up) 카메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팝-업 카메라 형태로 구비되는 제1 카메라(121a)는 상대적으로 공간의 넉넉한 메인 바디(300)에 구비될 수 있어 효율적인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롤러블 단말기 표준 도면----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면도이고,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5의 (a)는 이동 단말기가 축소된 제1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 및 도 5의 (b)는 이동 단말기가 확대된 제2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축소된 상태이며, 제 2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151)의 크기도 제 2 상태보다 작아진다. 제 1 상태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방향(D1)으로 확장되어 제 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 및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제1 상태보다 더 커지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는 축소된다. 즉, 제1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51)의 배면에 위치하던 디스플레이부(151) 중 일부는 제2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술한 제 1 상태에 대응할 수 있고,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는 제 2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이의 디스플레이(151)가 확장(extend or enlarge)되는 방향은 제 1 방향(D1),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수축(contact or retract) 또는 축소(reduce)되는 방향은 제2 방향(D2)이라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제1 및 제2 방향은 수평방향이고 제3 방향은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동 단말기(100)의 배치에 따라 제1 및 제2 방향이 수직방향이 될 수 있고, 제3 방향이 수평방향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확장 디스플레이 모드 및 축소 디스플레이 모드 간에 전환됨에 따라 바디의 전면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될 수 있도록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는 바디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1)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레임이 확장됨에 따라 바디의 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바디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의 측면을 거쳐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이 수축됨에 따라 바디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이 바디의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바디의 측면을 거쳐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같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이다.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종이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제1 방향으로 곡률이 변화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기본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기본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변형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인 상기 기본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기본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케이스(후술되는 제 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101, 102))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은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꺾어진 위치가 결정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 감지수단 대신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의 위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휨변형 위치와 전면에 위치하는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전환(제 1 또는 제 2 상태), 즉 이동 단말기(100)의 크기변화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의 크기 변화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수동적인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없이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외력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1)가 자동적으로 변형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방향의 측부를 감싸며 감겨지면서(roll) 180도 꺾어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측부를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부분은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전면부라 하고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배면부라 한다. 이동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이 변화한다. 즉, 전면부와 배면부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101)의 전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에 배면에 위치하는 이의 다른 부분은 상기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방향의 측부에서 감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의 이동 단말기(100) 배면에 배치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이동 단말기(100) 전면에 배치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은 정해져 있고 하나의 연속적인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면부 면적이 늘어나면 배면부 면적이 줄어든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후술되는 제 1 프레임(101)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제 2 프레임(102)내에,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프레임(102)의 제1 방향의 측부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제 2 프레임(102)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 2 프레임(102)에 감겨지면서 상기 제 2 프레임(102)로부터 인출(withdraw or pulled out)되거나 이에 인입(insert or pushed into)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구성요소들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통상적으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제공되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비롯하여 배면까지 커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안테나가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AOD: Antenna on Display)는 패턴이 새겨진 전극층과 유전층이 겹겹이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형태의 안테나이다.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기존의 구리 니켈도금 방식으로 구현하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보다 더 얇게 구현할 수 있어 두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는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직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양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디스플레이 내장형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폴더블 단말기 표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가 펴진 상태에서의 일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일 종류로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부(301)을 중심으로 폴딩 기작하는 한쌍의 바디(201, 202)에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하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한 쌍의 바디는(201, 202)는 힌지부(301)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바디(201)와 제2 바디(2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1 바디(201)와 제2 바디(202)가 포개질 수 있으며,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제1 바디(201)와 제2 바디(202)는 일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10)는 비주얼 정보를 출력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폴딩 기작하는 한쌍의 바디(201, 202)와 함께 폴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1)는 한쌍의 바디(201, 202)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1)는 제1 바디(20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영역(211), 제2 바디(202)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영역(212) 및 힌지부(301)에 대응되는 제3 영역(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213)은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의 사이에 구비되어 제1 바디(201)와 제2 바디(202)의 폴딩 기작에 대응하여 접혔다 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폴더블 이동 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가 접힌 상태에서 힌지부(301)가 구비된 측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의 (b)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가 접힌 상태에서 정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7의 (c)는 폴더블 이동 단말기(100)가 접힌 상태에서 하부 측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인폴딩 방식 또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인폴딩 방식과 아웃 폴딩 방식은 한 쌍의 바디(201, 202)가 접히는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폴딩 방식은 한 쌍의 바디(201, 202)가 디스플레이부(201, 도 6 참조)를 구비하는 방향으로 폴딩되는 방식으로 도 7은 인폴딩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인폴딩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1)가 접힌 상태에서 포개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웃 폴딩 방식은 디스플레이부(201)가 구비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폴딩되는 방식이다. 아웃 폴딩 방식에서는 한 쌍의 바디(201, 202)가 접힌 상태 및 펼쳐진 상태에서 모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딩 각도를 감지하고, 폴딩 각도에 대응하여 외부 정보를 획득하는데 특징이 있는 발명으로, 인폴딩 방식 외 아웃 폴딩 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하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810), 디스플레이(820), 카메라(830) 및 제어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10)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루고 있는 하드웨어로써,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디(810)는 스위블 바디와 메인 바디로 구성되어 스위블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거나,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여 롤러블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거나,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폴더블 이동 단말기를 구동할 수 있다.
다만, 스위블 이동 단말기,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폴더블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하드웨어적인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820)는 비주얼(visual)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텍스트(text), 인디케이터(indicator), 아이콘(icon), 컨텐트(content),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미지(image) 및 동영상(vide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20)는 제어부(94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주얼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82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다양한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820)는 도 1 에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출력 기능과 터치 기능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카메라(830)는 바디(810)에 포함되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고, 제어부(840)는 카메라(830)를 통해 얻어진 화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820)에 출력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830)는 도 1의 카메라(121)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7의 단말기에서 카메라(8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830)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고,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는 도 2의 제 1 카메라(121a)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 2 카메라는 제 2 카메라(121b)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 1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고,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인 것을 가정하여 실시예를 작성하였으나, 제 1 카메라는 후면 광각 카메라고,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바디 전면에 전면 카메라가 매립된 것과 별개로 바디 후면에 후면 카메라가 두 종류 매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1 카메라는 후면 광각 카메라, 제 2 카메라는 후면 일반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84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이동 단말기(9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840)는 도 1의 제어부(18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제어부(8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 및 이해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이 참고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와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화면 비율이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 9의 (b)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화면 비율이 16: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1:1의 화면 비율 또는 16:9의 화면 비율은 예시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910)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되, 비디오 프리뷰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프리뷰 이미지인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프리뷰 이미지인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포함하고,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940)을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910)의 디스플레이에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931)과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1:1의 화면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1:1의 화면 비율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바디(920)의 디스플레이에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9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가 동시에 촬영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각각의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다양한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940) 상에 스위치 아이콘(94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스위치 아이콘(941)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931)의 출력 위치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위치 아이콘(941)을 터치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940) 상에 비율 아이콘(942)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율 아이콘(942)는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화면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비율 아이콘(942)은 적어도 하나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1:1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 및 16:9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1:1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화면 비율을 1:1로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16:9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9의 (b)와 같이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화면 비율을 16:9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940) 상에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에 대한 저장 아이콘(943)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아이콘(943)은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에 대한 저장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저장 아이콘(943)은 제 1 비디오 프리뷰(931)에 대한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에 대한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1 저장 아이콘 및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 2 저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저장 아이콘(943)을 터치함으로써 제 1 저장 아이콘 또는 제 2 저장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제 1 저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 2 저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면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910)의 디스플레이에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931)과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16:9의 화면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바디(910)의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16:9의 화면 비율로 출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제 1 비디오 프리뷰(931)의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크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93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16:9의 화면 비율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스위치 아이콘(941)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9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를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비디오 프리뷰(932)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 2 비디오 프리뷰(932)는 팝업 창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를 촬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9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1040) 상에 녹화 아이콘(1044)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녹화 아이콘(1044)를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를 동시에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의 녹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아이콘(1044)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왼쪽 도면은 녹화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태 아이콘(1044)은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의 녹화 이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아이콘(1044)은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가 전면 카메라(front camera)를 통해 촬영되었으며 현재 “00:00분” 녹화되었다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아이콘(1044)은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가 후면 카메라(rear camera)를 통해 촬영되었으며 현재 “00:00분” 녹화되었다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태 아이콘(1044)은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가 후면 광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었으며,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가 후면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었다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카메라를 통해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를 촬영하고 제 2 카메라를 통해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를 촬영 중인 상태에서, 녹화(recording) 아이콘(1045)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를 동시에 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가 녹화됨에 따라 상태 아이콘(1044)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아이콘(1044)는 현재 녹화 중이라는 표시(예를 들어, 빨간 점) 및 현재 녹화된 시간(예를 들어 00:30분)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가 녹화됨에 따라 녹화 아이콘(1045)을 중지(stop) 아이콘(1046)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일시 정지(pause) 아이콘(1047)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일시 정지 아이콘(1047)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10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032)의 녹화를 동시에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프레임 롤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녹화 중이고, 상술한 분리하여 저장하는 상태인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도 11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를 녹화할 수 있다. 이때,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에 출력되는 내용이 녹화되면 제 1 비디오가 되고,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에 출력되는 내용이 녹화되면 제 2 비디오가 되는 것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1151)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1152)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프레임 롤(1151)은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에 대한 썸네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프레임 롤(1152)은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에 대한 썸네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가 녹화되는 동안 기 설정된 간격에 대한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를 썸네일로 제 1 프레임 롤(1151) 및 제 2 프레임 롤(1152)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1초 간격으로 제 1 프레임 롤(1151) 및 제 2 프레임 롤(1152)에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에 대한 썸네일을 하나씩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151) 및 제 2 프레임 롤(1152)을 출력할 때,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에 대한 썸네일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에 대한 썸네일을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1초 간격으로 썸네일을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151) 및 제 2 프레임 롤(1152) 내에 썸네일들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왼쪽으로 지나가게 표현하면서, 오른쪽에 새로운 썸네일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녹화하는 도중 일시 정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16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161)에 기초하여 녹화 중인 제 1 비디오 프리뷰(11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132)의 촬영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녹화가 중지된 경우, 제 1 프레임 롤(1151) 또는 제 2 프레임 롤(1152) 내부의 제 1 지점을 선택하는 제 2 신호(1162)에 기초하여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스위블 바디(1110)의 디스플레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 및 제 1 지점에 대응하는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스위블 바디(111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 녹화 중 일시 정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제 1 비디오 프리뷰와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동시에 녹화하고 동시에 일시 정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12에서는 하나의 비디오 프리뷰만을 녹화하거나 일시 정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123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를 촬영하며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녹화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1251)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1252)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프레임 롤(1252)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261)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의 녹화 중 제 2 프레임 롤(1252)을 터치할 수 있다.
도 12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261)에 기초하여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의 녹화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의 녹화가 중지됨에 따라 제 2 프레임 롤(1252) 내에 썸네일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의 녹화가 중지됨에 따라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에 비쥬얼 이펙트(visual effect)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를 어둡게(dim) 처리 또는 흑백 처리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261)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1231)는 계속하여 녹화하고, 제 1 프레임 롤(1251)에 썸네일을 계속하여 추가할 수 있는 반면,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는 어둡게 처리하고, 제 2 프레임 롤(1252)에 썸네일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는 제 2 프레임 롤(1252)을 한번 더 선택하는 제 2 신호(미도시)에 기초하여 일시 정지되었던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를 다시 녹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비디오 프리뷰(1232)에 추가했던 비쥬얼 이펙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6b는 메인 바디에서 출력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13a 내지 도 16b는 스위블 바디에 대한 도면은 생략하나 스위블 바디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가 출력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가 녹화 전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메인 바디에서 출력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스위치 아이콘(1341), 비율 아이콘(1342), 저장 아이콘(1343), 상태 아이콘(1344) 및 녹화 아이콘(1345)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때, 도 13a의 실시예는 저장 아이콘(1343)이 결합하여 저장하는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녹화 아이콘(1345)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361)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할 수 있다.
도 13a의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면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되는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결합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2 비디오를 결합한 제 1 프레임 롤(135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 롤(1351)은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351) 내에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가하며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함에 따라, 녹화 아이콘(1345)을 중지 아이콘(1346)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일시 정지 아이콘(1347) 및 줌(zoom) 아이콘(1348)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a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351)에 포함된 썸네일을 좌우로 드래그하는 제 2 신호(1362)에 기초하여 선택된 시점에 대한 썸네일을 스위블 바디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1362)에 기초하여 선택된 시점부터 새로운 비디오 프리뷰로 녹화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16a 및 도 16b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3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b의 첫번째 도면은 도 13a의 첫번째 도면에 대응한다. 다만, 도 13b의 실시예는 도 13a의 실시예와 달리 저장 아이콘(1343)이 분리하여 저장하는 아이콘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녹화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361)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할 수 있다.
도 13b의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1351)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1352)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가 녹화됨에 따라 제 1 프레임 롤(1351) 및 제 2 프레임 롤(1352)에 각각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3b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351) 및 제 2 프레임 롤(1352)에 포함된 썸네일을 좌우로 드래그하는 제 2 신호(1362)에 기초하여 선택된 시점에 대한 썸네일을 스위블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결합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4b는 분리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a의 첫번째 도면은 도 13a의 두번째 내지 네번째 도면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중 일시 정지 아이콘(1447)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46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a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461)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 롤(1451)에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의 출력을 중지하고, 편집 가이드 팝업 창(1470)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집 가이드 팝업 창(1470)은 제 1 프레임 롤(1451)의 일시 정지된 시점 이후에 새로운 비디오 프리뷰로 녹화가 가능하다는 가이드를 나타내는 팝업 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b의 첫번째 도면은 도 13b의 네번째 도면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중 일시 정지 아이콘(1447)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461)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451) 및 제 2 프레임 롤(1452)을 드래그하여 특정 시점의 썸네일을 선택하는 제 2 신호(1462)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프레임 롤(1451) 및 제 2 프레임 롤(1452) 내부를 터치한 뒤 드래그하여 특정 시점의 썸네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b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461) 또는 제 2 신호(1462)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 롤(1451) 및 제 2 프레임 롤(1452)에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의 출력을 중지하고, 편집 가이드 팝업 창(147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집 가이드 팝업 창(1470)은 제 1 프레임 롤(1451) 및 제 2 프레임 롤(1452)이 제 2 신호(1462)에 기초하여 특정된 시점 이후부터 새로운 비디오 프리뷰로 녹화가 가능하다는 가이드를 나타내는 팝업 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시점에 대한 비디오 프리뷰를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결합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5b는 분리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a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도중 일시 정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26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a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261)에 기초하여 비디오 프리뷰의 프레임 롤(1550)의 제어 아이콘(1549)을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중 일시 정지되는 경우, 프레임 롤(1550)에 출력되는 제어 아이콘(1549)의 왼쪽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가 일시 정지되는 경우 지금까지 녹화된 시간(1591)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a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어 아이콘(1549)을 터치한 뒤 좌우로 드래그하는 제 2 신호(1562)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550)에 출력 중인 썸네일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1562)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550)의 중앙에 위치한 썸네일에 대한 팝업 창(1580)을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1562)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550) 중 선택되는 제 1 시점에 대한 녹화 시간(1592)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b는 도 15a와 동일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만, 도 15a와 달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서 녹화되는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롤이 2개가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b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함에 따라 2개의 프레임 롤(1551, 1552)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일시 정지하는 제 1 신호(156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b의 두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561)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 롤(1551) 및 제 2 프레임 롤(1552)의 중앙에 제어 아이콘(1549)을 출력할 수 있고, 상단에 녹화된 시간(1591)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b의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어 아이콘(1549)을 터치한 뒤 좌우로 드래그하는 제 2 신호(1562)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 롤(1551) 및 제 2 프레임 롤(1552)에 출력 중인 썸네일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2 신호(1562)에 기초하여 썸네일에 대한 팝업 창(158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제어 아이콘(1549)을 명시적으로 출력하였으나 이동 단말기는 제어 아이콘(1549)을 출력하지 않고, 프레임 롤(1550, 1551, 1552)의 일 부분을 터치한 뒤 드래그하여 프레임 롤(1550, 1551, 1552)에 출력된 썸네일을 좌우로 움직이고 이에 대한 비디오 프리뷰 팝업 창(158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5b의 실시예는 도 15a의 실시예와 달리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비디오 프리뷰 팝업 창(1580) 역시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녹화 중인 비디오를 편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는 결합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15b는 분리하여 저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a의 첫번째 도면은 도 15a의 세번째 도면에 대응한다. 즉,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도중 제 1 시점(1653)을 기준으로 일시 정지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의 상단에 제 1 시점(1653)에 대한 녹화 시간을 출력할 수 있고, 제 1 시점(1653)에 대한 썸네일을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녹화 아이콘(1645)을 선택하는 제 1 신호(1661)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신호(1661)는 사용자가 녹화 아이콘(1645)을 터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녹화 아이콘(1645)를 터치하는 방법 이외에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호를 통해 녹화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6a의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 1 신호(1661)에 기초하여 제 1 시점(1653)에서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로 프레임 롤(165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가 일시 정지되고, 프레임 롤(1650) 내부의 제 1 시점(1653)이 선택된 상태에서, 녹화가 다시 시작되는 경우, 제 1 시점(1653)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시점(1653) 이후에 촬영되었던 비디오(1633)는 새롭게 촬영된 비디오로 편집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1653) 이후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650)에 새로운 썸네일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1650)에 제 1 시점(1653) 이후 기존에 촬영되었던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들(1633)을 어둡게(dim) 처리할 수 있다.
도 16a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새로운 비디오 프리뷰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65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새롭게 편집된 비디오, 프레임 롤(1650)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는 녹화가 완료된 비디오를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도 16b는 도 16a와 동일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만, 도 16a와 달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통해 녹화되는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롤이 2개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6b의 첫번째 도면은 도 15b의 세번째 도면에 대응한다. 즉,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고, 비디오 프리뷰에 포함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도중 제 1 시점(1653)을 기준으로 일시 정지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녹화 아이콘(1645)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6b의 두번째 및 세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가 제 1 시점(1653)을 기준으로 새롭게 시작되면, 새롭게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에 기초하여 프레임 롤(1651, 1652)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도 16b의 실시예는 도 16a와 달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1653) 이후에 새롭게 촬영되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썸네일을 각각 제 1 프레임 롤(1651) 및 제 2 프레임 롤(1652)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1651) 및 제 2 프레임 롤(1652)에 제 1 시점(1653) 이후 기존에 촬영되었던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들(1633)을 어둡게 또는 흑백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6b의 네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새로운 비디오 프리뷰에 기초하여 제 1 프레임 롤(1651) 및 제 2 프레임 롤(1652)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6b의 실시예 역시 업데이트된 제 1 프레임 롤(1651) 및 제 2 프레임 롤(1652)은 상술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7의 각 단계는 도 1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스위블 단말기, 롤러블 단말기 및 폴더블 단말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순서도는 상술한 실시예를 이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내부의 프레임 워크로써 상술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S1701)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프리뷰는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고,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는 후면 광각 카메라고, 제 2 카메라는 후면 일반 카메라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기 설정된 화면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1:1의 화면 비율 또는 16:9의 화면 비율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단계(S1702)에서, 이동 단말기는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저장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아이콘은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1 저장 아이콘과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 2 저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가 분리하여 저장되는 경우,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프레임 롤은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고, 제 2 프레임 롤은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와 제 2 비디오가 결합하여 저장되는 경우,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3 프레임 롤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프레임 롤은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3 프레임 롤은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이 결합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 내부의 제 1 시점을 선택한 상태에서, 녹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제 1 시점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비디오 프리뷰로 프레임 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프레임 롤 내지 제 3 프레임 롤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롤에 대하여 제 1 시점을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가 결합하여 저장되는 제 3 프레임 롤 내부의 제 1 시점을 선택받는 경우, 제 1 비디오 및 제 2 비디오가 함께 새롭게 촬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을 출력할 때,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1초에 1개의 썸네일을 프레임 롤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을 출력할 때,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기 설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 내에서 썸네일을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프레임 롤 중 제 1 시점을 선택하는 경우, 제 1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팝업 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의 녹화가 일시 정지되는 경우, 편집 가이드 팝업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동시에 녹화하고, 일시 정지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동시에 일시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제 2 비디오 프리뷰가 녹화 중인 상태에서,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을 선택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중지하고, 제 1 비디오 프리뷰를 어둡게 또는 흑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 도 9 내지 도 16b를 통해 상술한 실시예들은 도 17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반복적으로 실시 가능하며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되, 상기 비디오 프리뷰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저장 아이콘을 출력하되, 상기 저장 아이콘은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에 대한 제 2 비디오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제 1 저장 아이콘 및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를 결합하여 저장하는 제 2 저장 아이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가 분리하여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제 1 프레임 롤(frame roll)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2 프레임 롤을 출력하되, 상기 제 1 프레임 롤은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롤은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와 상기 제 2 비디오가 결합하여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제 3 프레임 롤을 출력하되, 상기 제 3 프레임 롤은 상기 제 1 비디오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중 제 1 시점을 선택한 상태에서, 녹화를 시작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시점에서부터 새롭게 촬영되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로 상기 제 1 프레임 롤을 업데이트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및 상기 제 2 프레임 롤을 출력할 때, 상기 제 1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 및 상기 제 2 비디오에 대한 썸네일을 시간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출력된 일시 정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편집 가이드 팝업 창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레임 롤 중 제 1 시점을 선택하는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팝업 창으로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녹화하는 제 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동시에 녹화하고,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일시 정지하는 제 5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동시에 일시 정지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가 녹화 중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 롤을 선택하는 제 6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녹화를 일시 정지하고,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에 비쥬얼 이펙트(visual effect)를 추가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스위치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7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출력 위치를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상에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화면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아이콘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1:1의 화면 비율로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16:9의 화면 비율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오버레이 방식으로 출력하되, 상기 제 2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는 상기 제 1 비디오 프리뷰의 크기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인, 이동 단말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후면 광각 카메라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후면 일반 카메라인,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스위블 바디, 상기 제 2 바디는 메인 바디이고, 상기 스위블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동 단말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는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가 포개지고,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는 일 평면을 구성하는,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포함되는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 1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프리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프리뷰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1 비디오 프리뷰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 2 비디오 프리뷰를 포함함; 및
    상기 출력 중인 비디오 프리뷰를 제어하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바디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237005900A 2020-09-11 2020-09-1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62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305 WO2022054991A1 (ko) 2020-09-11 2020-09-1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815A true KR20230062815A (ko) 2023-05-09

Family

ID=8063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900A KR20230062815A (ko) 2020-09-11 2020-09-1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6863A1 (ko)
KR (1) KR20230062815A (ko)
WO (1) WO2022054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12A1 (ko) * 2022-07-17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3243A3 (en) * 2005-09-09 2008-03-26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US8988558B2 (en) * 2011-04-26 2015-03-2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overlay in a mobile device
KR102010955B1 (ko) * 2013-01-07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2101850B1 (ko) * 2013-06-04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4617B1 (ko) * 2014-01-08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6863A1 (en) 2023-10-19
WO2022054991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8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599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533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811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212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1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85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55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74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90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372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43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0485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6165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24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2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545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051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2014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207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134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28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85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73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