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615A -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615A
KR20230062615A KR1020237011567A KR20237011567A KR20230062615A KR 20230062615 A KR20230062615 A KR 20230062615A KR 1020237011567 A KR1020237011567 A KR 1020237011567A KR 20237011567 A KR20237011567 A KR 20237011567A KR 20230062615 A KR20230062615 A KR 2023006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rrc connection
network
messa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쿤 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듀얼 카드 폰은, 한 휴대폰에 동시에 두 장의 통신 카드를 넣을 수 있다. 현재, 듀얼 카드 폰에서의 하나의 통신 카드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면,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도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가 페이징을 수신하여 업무를 수신해야 하고, 또는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가 업무를 초기화하였으면, 두 개의 통신 카드의 업무가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의 업무를 처리하는 방법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은,
제1 기지국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고,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은, 상기의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단말 기기는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네트워크에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한다. 페이징 원인이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업무 또는 원인을 지시하였으므로, 단말 기기는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은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되는 업무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은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되는 업무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나타냄으로써, 상위 우선 순위의 업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험을 보장한다. 듀얼 카드 단말 기기의 경우, 단말 기기의 듀얼 카드 작업이 서로 조정되도록 보장할 수 있고, 즉 한 장의 통신 카드(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가 다른 한 장의 통신 카드(예를 들어, 제2 통신 카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도시된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의 도식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듀얼 통신 카드의 원리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2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1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2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3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설명하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 등이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용한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120)(또는 통신 단말, 단말로 지칭됨)과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coverage)를 제공하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제어기이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 전화 교환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단말"은 유선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회선을 통해 연결된 장치;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치;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장치; 다른 단말 기기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은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예는 위성 전화 또는 셀룰러폰; 셀룰러 무선 전화를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페이저,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노트북, 캘린더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및 종래의 랩탑 및 핸드헬드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한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가입자 유닛, 가입자 기지국, 모바일 기지국, 모바일 라디오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기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핸드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120) 사이는 기기 간(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갖는 기기를 통신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기기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110) 및 단말(120)은 전술한 구체적인 기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통신 기기는 또한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바일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같은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문 중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 중의 용어 "및... 중 적어도 하나"는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문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기술 방안을 설명하고자 한다.
속도, 지연, 고속 이동성 및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사람들의 추구, 향후 서비스의 다양성 및 복잡성으로 인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 project) 국제 표준 기구가 5G를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5G의 주요 적용 시나리오는 진화형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및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eMBB는 여전히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및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다른 한 측면에 있어서, eMBB는 실내, 도시 및 농촌 등과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에 배포될 수 있어 기능과 수요가 차이가 크므로, 일반화할 수 없으며, 구체적인 배포 시나리오와 함께 상세하게 분석해야 한다. URLLC의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는 산업 자동화, 전력 자동화, 원격 의료 작업(수술), 교통 안전 보장 등이 포함된다. mMTC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높은 연결 밀도, 작은 데이터량, 지연 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 모듈의 저렴한 비용 및 긴 수명 등이 포함된다.
RRC 상태에 있어서,
5G는 뉴 라디오 시그널링을 감소하고 무선 연결을 빠르게 복구하고, 데이터 업무를 빠르게 복구하려는 목적을 위해, 하나의 새로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상태, 즉, RRC 비활성화(RRC_INACTIVE) 상태를 정의한다. 이런 상태는 RRC 아이들(RRC_IDLE) 상태와 RRC 활성화(RRC_ACTIVE) 상태와 다르다. 여기서,
1) RRC_IDLE 상태(아이들(idle) 상태로 약칭됨): 이동성은 단말 기기에 기반하는 셀 선택 및 재선택이고, 페이징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로부터 개시되며, 페이징 영역은 CN으로 구성된다. 기지국 측에는 단말 기기 컨텍스트가 존재하지 않고, RRC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2) RRC_CONNECTED 상태(연결(connected) 상태로 약칭됨): RRC 연결이 존재하고, 기지국 측과 단말 기기 측에는 단말 기기 컨텍스트가 존재한다. 네트워크측은 단말 기기의 위치가 구체적인 셀 레벨인 것을 알고 있다. 이동성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성이다. 단말 기기와 기지국 사이는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3) RRC_INACTIVE 상태(비활성화(inactive) 상태로 약칭됨):이동성은 단말 기기에 기반하는 셀 선택 및 재선택이고, 액세스망과 핵심망 사이의 연결이 존재하고,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는 특정 기지국에 존재하며, 페이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 의해 트리거되고, RAN에 기반하는 페이징 영역은 RAN에 의해 관리되며, 네트워크 측은 단말 기기의 위치가 RAN에 기반하는 페이징 영역 레벨인 것을 알고 있다. 단말 기기가 RAN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네트워크 측에 통지할 필요가 없지만, RNA 외부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네트워크 측에 통지해야 한다.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듀얼 네트워크 듀얼 스탠바이에 있어서,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 휴대폰은, 하나의 휴대폰에 동시에 두 장의 통신 카드를 넣을 수 있고, 이 두 장의 통신 카드가 모두 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 타입의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의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 CDMA 네트워크의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 PHS 네트워크의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일 수 있다.
듀얼 네트워크 듀얼 스탠바이는 하나의 휴대폰에 동시에 두 장의 상이한 네트워크의 통신 카드를 넣을 수 있는 동시에, 핸드폰으로 하여금 가동 상태가 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핸드오버할 필요가 없이도, 임의로 발신, 수신과 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현재,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완전한 듀얼 송신 듀얼 수신(듀얼 통신으로 약칭됨)을 지원하지 않으며, 듀얼 송신 듀얼 수신은 휴대폰이 동시에 두 장의 통신 카드를 통해 두 개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업링크 송신과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휴대폰은 모두 단일 송신 단일 수신 또는 단일 송신 듀얼 수신을 지원하므로, 이는 휴대폰이 특정 시각에 한 장의 통신 카드에서의 업무만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듀얼 통신을 구현하는 것은 미래 휴대폰 발전의 하나의 추세이다. 5G에 있어서,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 또는 듀얼 네트워크 듀얼 스탠바이를 지원하는 휴대폰의 두 장의 통신 카드의 경우, 그 중 한 장의 통신 카드는 LTE 셀에 상주할 수 있고, 다른 한 장의 통신 카드는 NR 셀에 상주할 수 있으며; 또는, 두 장의 통신 카드가 모두 NR 셀에 상주할 수 있다. 다른 한 측면에 있어서, 두 개의 통신 카드는 동일한 통신사의 통신 카드일 수 있고, 상이한 통신사의 통신 카드일 수도 있다.
현재, 듀얼 카드 휴대폰에서의 하나의 통신 카드가 업무 수행 중이면,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도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가 페이징을 수신하면 업무를 수신해야 하고, 또는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가 업무를 초기화하면, 두 개의 통신 카드의 업무가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하나의 통신 카드의 업무 및 두 개의 통신 카드의 업무 조절의 방법은 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기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 등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적어도 두 장의 통신 카드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두 장의 통신 카드 또는 3 장의 통신 카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는 두 장의 통신 카드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두 장 이상의 통신 카드의 방안도 동일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적용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의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는 모두 사용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이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는 모두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카드이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는 SIM 카드이고, 제2 통신 카드는 USIM 카드이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는 USIM 카드이고, 제2 통신 카드는 SIM 카드이다.
다른 한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는 LTE 네트워크(즉,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제1 기지국이 LTE 기지국임)를 지원하고, 제2 통신 카드는 NR 네트워크(즉,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제2 기지국은 NR 기지국임)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는 모두 NR 네트워크(즉,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제2 기지국이 모두 NR 기지국임)를 지원한다.
또 다른 한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가 속하는 통신사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는 동일한 통신사에 속할 수 있고, 상이한 통신사에 속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USIM-A 카드(즉, 제2 통신 카드)와 USIM-B 카드(즉,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하고, 단말 기기는 USIM-A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즉, 제2 네트워크)에서 업무의 수신을 수행하며, 단말 기기는 USIM-B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즉, 제1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기기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2 네트워크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통신 카드를 통해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제1 네트워크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2 통신 카드를 통해 제2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제2 네트워크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타입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NR 네트워크이다. 또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는 모두 NR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단말 기기의 제2 통신 카드는 연결 상태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는 두 개의 USIM 카드가 존재하며, 각각 USIM-A 카드와 USIM-B 카드이다. 여기서, USIM-A 카드에는 수행하는 업무가 존재하며, 연결 상태이고; USIM-B 카드는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설명해야할 것은,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은 제1 통신 카드를 통해 구현되며,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은 제2 통신 카드를 통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는 두 개의 USIM 카드가 존재하며, 각각 USIM-A 카드와 USIM-B 카드이다. 여기서, 단말 기기는 USIM-A 카드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구현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USIM-B 카드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단계 20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의 AS층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징 원인(Paging cause)을 캐리하고, 여기서, 페이징 원인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업무 또는 원인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페이징 원인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보이스 콜(voice call) 업무 또는 비디오 콜(video call) 업무 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서의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랙션은 실질적으로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와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랙션을 가리킨다. 단말 기기의 AS층은 실질적으로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의 AS층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단말 기기의 NAS층은 실질적으로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의 NAS층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의 AS층이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NAS층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또는, AS층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래에 경우에 따라 설명한다.
경우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런 경우, 페이징 원인은 AS층에게 있어서 투명하고, 단말 기기의 AS층이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원인이 보이스 콜 업무에 의해 트리거되는 페이징을 지시하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다.
A)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업무 요청 메시지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 및 핵심망에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access category 0과 access category 3은 두 가지 액세스 카테고리이고,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access category 0의 액세스 시도 타입은 페이징으로 인한 호출 시그널링(MO signalling resulting from paging)이고, access category 3의 액세스 시도 타입은 비페이징으로 인한 NAS레벨 호출 시그널링(MO signalling on NAS level resulting from other than paging)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방안에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는 비지 지시 정보(busy indication)로 지칭될 수도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 및 핵심망에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대응되는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핵심망은 제1 지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엑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네트워크에 엑세스하는 것을 허락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원인을 캐리한다. 나아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는 상기 NAS 메시지를 캐리한다. 이와 같이, RRC 연결 구축 과정을 완료한다.
여기서,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UAC 제한 정보 세트(UAC-BarringInfoSet)를 결정하고, UAC 제한 정보 세트에 기반하여 액세스 제어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UAC 제한 정보 세트는,
UAC 제정 인자(uac-BarringFactor);
UAC 제한 시간(uac-BarringTime); 및
액세스 식별자의 UAC 제한(uac-BarringForAccessIdentity)을 포함한다.
UAC 제한 정보 세트에 기반하여 액세스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는,
1) 액세스 식별자가 uac-BarringForAccessIdentity에서 대응되는 비트(bit)가 0으로 설정되면, 액세스 허락을 나타내고, 대응되는 bit가 1로 설정되면, 아래의 단계 2)를 통해 추가로 판단해야 하고;
2) 랜덤 숫자(rand)를 생성하고, rand의 범위는 0≤rand<1이고, 랜덤 숫자가 uac-BarringFactor보다 낮으면, 액세스 허락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액세스 금지를 나타낸다. 액세스를 금지하면, 랜덤 숫자(rand)를 생성하고, rand의 범위는 0≤rand<1이고, T390을 가동하고 T390=(0.7+0.6Хrand)Хuac-BarringTime이다.
B)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1, 명시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2, 암묵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공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CCH)의 제1 논리 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암묵적 지시 방식의 경우, CCCH를 위해 하나의 새로운 LCID(제1 LCID로 지칭함)를 정의하고, 이 새로운 LCID는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단말 기기가 RRC 연결 복구를 개시하는 목적이 네트워크 측에 단말 기기가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CCCH를 통해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즉,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CCCH에 캐리됨)를 송신하고, 상기 CCCH의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이며, 즉,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되게 상기 제1 LCID를 캐리한다.
경우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런 경우, 페이징 원인은 AS층에 있어서 불투명하고, 단말 기기의 AS층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 원인이 보이스 콜 업무가 트리거하는 페이징을 지시하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다.
C)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1, 명시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2, 암묵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암묵적 지시 방식의 경우, CCCH를 위해 하나의 새로운 LCID(제1 LCID로 지칭함)를 정의하고, 이 새로운 LCID는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단말 기기가 RRC 연결 복구를 개시하는 목적이 네트워크 측에 단말 기기가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CCCH를 통해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즉,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CCCH에 캐리됨)를 송신하고, 상기 CCCH의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이며, 즉,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되게 상기 제1 LCID를 캐리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2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2 네트워크이다. 제1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기지국은 제1 기지국(즉,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으로 지칭되고, 제1 기지국은 타깃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를 페이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의 도 2에 관련된 방법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더이상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402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도 2에 관련된 방법의 경우 1에서의 B) 방안 또는 경우 2에서의 C) 방안의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1, 명시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2, 암묵적 지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암묵적 지시 방식의 경우, CCCH를 위해 하나의 새로운 LCID(제1 LCID로 지칭함)를 정의하고, 이 새로운 LCID는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또는 단말 기기가 RRC 연결 복구를 개시하는 목적이 네트워크 측에 단말 기기가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CCCH를 통해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즉,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CCCH에 캐리됨)를 송신하고, 상기 CCCH의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응하게,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이며, 즉,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되게 상기 제1 LCID를 캐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는 제4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 및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캐리하며;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2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이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은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4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제1 기지국에 송신하며, 여기서,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메시지(즉, RRC Release PDCP PDU)를 캐리한다. 다음, 제1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전달하며,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가 핵심망 사용자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게,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는 AMF이고, 상기 핵심망 사용자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는 UPF이며, 제2 기지국은 AMF에 단말 기기가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통지하는 것 및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지 않는 지시 정보(즉, 제4 지시 정보)를 통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AMF는 UPF에게,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제2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되고, 예를 들어,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제2 기지국에 도달할 때,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 대한 페이징을 트리거하여, RNA 범위 내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1 기지국)에게,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지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통지된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는 AMF이고,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에 페이징 원인을 캐리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 AMF는 제2 기지국에 페이징 원인을 통지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이 페이징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 예시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 있어서, 앵커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RRC 릴리즈 메시지는 RNA 구성 정보를 캐리한다. 단말 기기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한 후, 비활성화 상태에 진입한다.
단계 502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타깃 기지국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는 SRB0을 통해 타깃 기지국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쇼트 MAC-I와 I-RNTI를 캐리한다.
단계 503에 있어서, 타깃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는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지시 정보를 캐리한다.
단계 504에 있어서, 앵커 기지국은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한다.
단계 505에 있어서, 앵커 기지국은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타깃 기지국에 송신하고,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PDCP PDU를 캐리한다.
단계 506에 있어서, 타깃 기지국은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타깃 기지국은 SRB1을 통해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말 기기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수신한 후, 비활성화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에 진입한다.
단계 507에 있어서, 앵커 기지국은 AMF에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508에 있어서, AMF는 UPF에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흐름 예시도 3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제1 통신 카드와 제2 통신 카드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제2 네트워크이다. 제2 통신 카드는 연결 상태이고, 단말 기기는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제2 네트워크에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며, 단말 기기는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인 제1 통신 카드에 대해 UE 초기의 MO-data의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수행하고, 또는 UE 초기의 mo-Signalling의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수행하며, 또는 UE 초기의 상위 우선 순위의 MO-data의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수행한다.
단계 60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고,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NAS층은 단말 기기의 AS층에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트리거하고,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RRC 연결 원인을 송신하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은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RRC 연결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방안에 있어서, 단말 기기의 AS층은 실질적으로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의 AS층을 가리키고, 마찬가지로, 단말 기기의 NAS층은 실질적으로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의 NAS층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USIM-A 카드를 통해 업무 수신을 수행하고, 단말 기기의 USIM-B 카드는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며, USIM-B 카드의 NAS층은 AS층에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트리거함으로써, USIM-B 카드의 AS층은 USIM-B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 과정을 개시한다. 더 나아가, USIM-A 카드의 AS층은 USIM-A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RRC 연결 릴리즈 요청을 개시한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제1 통신 카드의 AS층이 AS층에 송신한 RRC 연결 원인은 아래와 같은 것일 수 있다.
1)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또는 호출 데이터(MO-data)이다.
2) 상기 RRC 연결 원인은 긴급(emergency) 또는 상위 우선 순위 액세스(highPriorityAccess)이다.
3)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보이스 콜(mo-VoiceCall), 또는 호출 비디오 콜((mo-VideoCall), 또는 호출 메시지 업무(mo-SMS)이다.
4) 상기 RRC 연결 원인은 mps-PriorityAccess 또는 mcs-PriorityAccess이다.
5) 상기 RRC 연결 원인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업데이트(rna-Update)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1이고,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701)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702);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유닛(703)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701)은 또한,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702)은,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7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702)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704)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액세스 카테고리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업무 요청 메시지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 및 핵심망에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702)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유닛(704)은,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원인을 캐리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701)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유닛(704)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는 상기 NAS 메시지를 캐리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7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702)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704)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704)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704)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702)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송신 유닛(7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704)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송신 유닛(7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704)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가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연관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연관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2이고, 제1 기지국에 적용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801) -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이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802)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802)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802)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캐리되는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801)은 또한, 제2 기지국에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는 제4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 및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수신 유닛(802)은 또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캐리하며;
상기 송신 유닛(801)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전달하며,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가 핵심망 사용자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게,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제2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통지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연관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연관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3이고,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901) -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며,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함 - ;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902); 및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903)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903)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RRC 연결 원인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또는 호출 데이터(MO-data)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긴급(emergency) 또는 상위 우선 순위 액세스(highPriorityAccess)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보이스 콜(mo-VoiceCall), 또는 호출 비디오 콜(mo-VideoCall), 또는 호출 메시지 업무(mo-SMS)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mps-PriorityAccess 또는 mcs-PriorityAccess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업데이트(rna-Update)이다.
선택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903)은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RRC 연결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연관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의 연관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통신 기기(10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상기 통신 기기는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일 수도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통신 기기(1000)는 프로세서(10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000)는 또한 메모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10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000)는 트랜시버(10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0)는 상기 트랜시버(1030)와 다른 기기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10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0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0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기기(10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0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10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칩(1100)은 프로세서(11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1100)은 메모리(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1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100)은 입력 인터페이스(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1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1100)은 출력 인터페이스(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11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온 칩, 칩 시스템 또는 칩 온 시스템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통신 시스템(1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1200)은 단말 기기(1210) 및 네트워크 기기(1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1210)는 상기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2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직접 반영되어 실행 및 완료될 수 있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판독 전용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쾌속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이고,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플로우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개략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며,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닐 수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고,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한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 즉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다만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뿐이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76)

  1.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비액세스(N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이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액세스(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액세스 카테고리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업무 요청 메시지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 및 핵심망에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원인을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는 상기 NAS 메시지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공공 제어 채널(CCCH)의 제1 논리 채널 식별자(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8. 통신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적재되는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제2 기지국에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는 제4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 및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임 - ;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캐리함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전달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가 핵심망 사용자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게,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제2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6.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고,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고,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RRC 연결 원인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이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또는 호출 데이터(MO-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긴급(emergency) 또는 상위 우선 순위 액세스(highPriority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보이스 콜(mo-VoiceCall) 또는 호출 비디오 콜(mo-VideoCall), 또는 호출 메시지 업무(mo-S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1.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mps-PriorityAccess 또는 mcs-Priority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2.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업데이트(rna-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RRC 연결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4. 통신 장치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아이들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구축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액세스 카테고리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업무 요청 메시지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NAS 메시지 - 상기 NAS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 및 핵심망에 상기 단말 기기의 페이징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유닛은, 제1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락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RRC 연결 원인을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RRC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는 상기 NAS 메시지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을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RRC 연결 복구 과정을 개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0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피호출 액세스(mt-Access)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액세스 카테고리 -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는 access category 3임 - ;
    RRC 연결 원인 -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임 - ; 및
    제2 지시 정보 -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카드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6.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7.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에 기반하여,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카드는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AS층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0. 제46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1. 통신 장치로서,
    제1 기지국에 적용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기지국이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는 제3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CCCH의 제1 LCID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가 캐리되는 MAC TB에서 대응되는 헤더는 제1 헤더이고, 상기 제1 헤더에서의 LCID는 상기 제1 L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5. 제5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제2 기지국에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요청 메시지는 제4 지시 정보를 캐리하며,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 및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 기기의 컨텍스트를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텍스트 요구 실패 메시지는 RRC 릴리즈 메시지를 캐리하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RRC 릴리즈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전달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가 핵심망 사용자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게,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시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7. 제51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제2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페이징 원인은 핵심망 제어 플레인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8.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9. 통신 장치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업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에서의 제2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이며, 상기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통신 카드를 구비함 - ;
    상기 제1 통신 카드의 RRC 연결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통신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의 NAS층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에 RRC 연결 원인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AS층을 통해 상기 RRC 연결 원인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시그널링(mo-Signalling) 또는 호출 데이터(MO-d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2.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긴급(emergency) 또는 상위 우선 순위 액세스(highPriority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3.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호출 보이스 콜(mo-VoiceCall), 또는 호출 비디오 콜(mo-VideoCall), 또는 호출 메시지 업무(mo-S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4.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mps-PriorityAccess 또는 mcs-PriorityAcce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5.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원인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 업데이트(rna-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6. 제59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RRC 연결 릴리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7.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8.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9. 칩으로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0. 칩으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칩이 설치된 기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
  71.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72.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7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제2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6.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11567A 2020-09-10 2020-09-10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KR20230062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4604 WO2022052004A1 (zh) 2020-09-10 2020-09-10 一种通信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615A true KR20230062615A (ko) 2023-05-09

Family

ID=8063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567A KR20230062615A (ko) 2020-09-10 2020-09-10 통신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09503A1 (ko)
EP (1) EP4213552A4 (ko)
JP (1) JP2023546317A (ko)
KR (1) KR20230062615A (ko)
CN (2) CN116097801A (ko)
WO (1) WO2022052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9950A (zh) * 2020-10-30 2023-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寻呼指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973B2 (en) * 2005-11-10 2009-09-0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mobile stations
CN101039503B (zh) * 2006-03-18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媒体广播/组播业务中寻呼的方法
WO2018005419A1 (en) * 2016-06-30 2018-01-04 Intel IP Corporation Optimized paging mechanism for ip multimedia subsystem (ims)
US20190320411A1 (en) * 2016-07-14 2019-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ing paging of a wireless device
CN109788494B (zh) * 2017-11-13 2022-06-07 苹果公司 用于具有蜂窝能力的辅助无线设备与多sim无线设备的兼容性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82384A (zh) 2023-09-19
JP2023546317A (ja) 2023-11-02
EP4213552A1 (en) 2023-07-19
EP4213552A4 (en) 2023-11-01
CN116097801A (zh) 2023-05-09
WO2022052004A1 (zh) 2022-03-17
US20230209503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421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06107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US2023020950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4451004A (zh) 一种cli测量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US11653407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2313979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KR20220046515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장치
WO2022088100A1 (zh) 一种寻呼指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2082409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设备
WO2022104608A1 (zh)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2094810A1 (zh) 一种rrc状态转换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
WO2022067470A1 (zh) 一种位置更新的方法及装置、终端设备
US202302248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on communication, and terminal device
WO2021196084A1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1918357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5315980A (zh) 一种传输策略的配置方法及装置、网络设备、终端设备
WO202025818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通信设备
KR20230117620A (ko) 구성 리셋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CN114930971A (zh) 一种配置信息的协商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6569599A (zh) 无线通信方法及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