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547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547A
KR20230062547A KR1020237004341A KR20237004341A KR20230062547A KR 20230062547 A KR20230062547 A KR 20230062547A KR 1020237004341 A KR1020237004341 A KR 1020237004341A KR 20237004341 A KR20237004341 A KR 20237004341A KR 20230062547 A KR20230062547 A KR 2023006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ensor signals
vacuum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시모 캄플라니
앤드류 왓슨
데이비드 밀링턴
나단 로숀 매클레인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5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47L9/2863Control elements activated by pivoting movement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는: 진공 모터; 1 이상의 TOF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따라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1 이상의 TOF 센서;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식 센서;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고;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motor; one or more TOF sensors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sensor signals according to proximity of an object to the one or more TOF sensors;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a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user is holding the hand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gene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e the vacuum motor.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적인 것은 아님- ,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In particular - but not exclusivel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means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a vacuum cleaner.

대략적으로 말하면, 네 가지 타입들의 진공 청소기: '스탠드형' 진공 청소기('upright' vacuum cleaner), '실린더' 진공 청소기('cylinder' vacuum cleaner)['캐니스터(canister)' 진공 청소기라고도 함], '핸디형' 진공 청소기('handheld' vacuum cleaner) 및 '스틱형' 진공 청소기('stick' vacuum cleaner)가 있다.Roughly speaking, there are four types of vacuum cleaners: 'upright' vacuum cleaners, 'cylinder' vacuum cleaners (also called 'canister' vacuums), There are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스탠드형 진공 청소기 및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는 메인-전력으로 작동되는 경향이 있다.Stand vacuum cleaners and cylinder vacuum cleaners tend to run on mains-power.

핸디형 진공 청소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휴대성이 뛰어난 진공 청소기이며, 특히 가정의 바닥 및 실내 장식품의 스폿 청소, 자동차 및 보트의 내부 청소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적은 업무 적용에 적합하다. 스탠드형 청소기 및 실린더형 청소기와 달리, 이들은 사용하는 동안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설계되고, 배터리로 전력 공급받는 경향이 있다.Handheld vacuum cleaners are relatively small and highly portable vacuum cleaners, and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relatively low-volume applications such as spot cleaning of household floors and upholstery, interior cleaning of automobiles and boats, and the like. Unlike stand-up vacuums and cylinder vacuums, these tend to be battery-powered and designed to be hand-held during use.

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바닥 표면을 청소하는 동안 서 있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바닥까지 닿는 단단한 세장형 흡입 완드(rigid, elongate suction wand)와 조합되는 핸디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로어 툴(floor tool)이 단단한 세장형 흡입 완드의 단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완드의 하단부와 통합될 수 있다.Stick vacuum cleaners may include handheld vacuum cleaners combined with a rigid, elongate suction wand that effectively reaches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stand while cleaning the floor surface. Typically, a floor tool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rigid elongated suction wand, or alternatively may be integr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wand.

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진공 모터를 활성화시키는 물리적 트리거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트리거 스위치를 놓을 때, 진공 모터는 일반적으로 즉시 비활성화된다. 이는 사용자가 가능할 때, 예를 들어 상이한 영역들 사이에서 이동할 때 트리거를 놓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물리적 트리거 스위치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장시간 청소 세션들은 일부 사용자들에게 약간의 불편함을 유도할 수 있다.Stick vacuum cleaners are typically operated by pressing a physical trigger switch that activates the vacuum motor. When the trigger switch is released, the vacuum motor is normally deactivated immediately.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battery is not drained unnecessarily, since the user tends to release the trigger when possible, for example when moving between different areas. Nonetheless, long cleaning sessions in which the user must continuously hold down the physical trigger switch may induce some discomfort for some users.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선 단점들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고, 및/또는 개선된 또는 대안적인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tigate or eliminate the foregoing disadvantages and/or to provide an improved or alternativ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가 제공되고, 이는 진공 모터; 1 이상의 TOF(time of flight)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따라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1 이상의 TOF 센서;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식 센서(capacitive sensor); 및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고;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which includes a vacuum motor; one or more time of flight (TOF) sensors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sensor signals according to proximity of an object to the one or more time of flight (TOF) sensors;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a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a user is holding the hand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gene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e the vacuum motor.

유리하게는, 제어기는 1 이상의 TOF 센서 및 정전식 센서로부터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결정할 때 진공 모터를 활성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있고 진공 청소기를 조작하여 청소될 표면 또는 물체에 접근할 때, 제어기는 사용자가 물리적 트리거 스위치를 누를 필요 없이 진공 모터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편안함 및 편리함을 개선한다.Advantageously,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vacuum motor upon determining from the one or more TOF sensors and the capacitive sensor that the user is actively using the vacuum cleaner. In this way,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and operates the vacuum cleaner to approach a surface or object to be cleaned, the controller will automatically activate the vacuum motor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press a physical trigger switch. This improves user comfort and convenience.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진공 청소기가 사용자에 의해 더 이상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를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된다.In embodiments,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vacuum mot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no longer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진공 모터가 활성화될 때 및 진공 모터가 비활성화될 때 모두,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In embodiments,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oth when the vacuum motor is activated and when the vacuum motor is deactivated.

실시예들에서, 1 이상의 TOF 센서는 레이더 디바이스 및/또는 레이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one or more TOF sensors include a radar device and/or a laser device.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은 제 1 센서 신호들로부터의, 물체가 1 이상의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있다는 결정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determination that the vacuum cleaner is actively being used includes a determination from the first sensor signals that the object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from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는 1 이상의 탈착식 툴을 더 포함하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는 진공 청소기에 부착되는 탈착식 툴의 타입에 의존한다. 이는 상이한 청소 시나리오들에 진공 청소기의 응답을 맞추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스팅 브러시(dusting brush)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는 틈새 툴(crevice tool)을 사용할 때보다 작을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더스팅 브러시가 실제로 청소될 표면에 놓일 때만 진공 모터가 활성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진공 모터가 조기에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된다.In embodiments,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removable tools,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depends on the type of removable tool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This may be desirable to tailor the vacuum cleaner's response to different cleaning scenarios. For example, when using a dusting brush,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may be smaller than when using a crevice tool, which means that the vacuum only when, for example, the dusting brush actually rest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ecause the motor has to be activated. This helps conserve battery power since the vacuum motor is not activated prematurely.

실시예들에서, 1 이상의 탈착식 툴 각각은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each of the one or more removable tools includes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실시예들에서, 1 이상의 탈착식 툴은: 틈새 툴, 더스팅 브러시, 및 소형 전동 툴 중 1 이상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one or more removable tools include one or more of: a crevice tool, a dusting brush, and a small powered tool.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는 탈착식 완드를 더 포함하고, 탈착식 완드는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vacuum cleaner further includes a removable wand, wherein the removable wand includes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실시예들에서,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위치된다.In embodiments,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is located on the body of the vacuum cleaner.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은 제 2 센서 신호들로부터의,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의 핸들을 쥐고 있다는 결정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determination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includes a determination from the second sensor signals that the user is holding a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전처리 단계 및 분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In embodiments,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sensor signals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step and a classification step.

실시예들에서, 전처리 단계는 센서 신호들의 시간 부분들로부터 특징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preprocessing step includes extracting features from temporal portions of the sensor signals.

실시예들에서, 전처리 단계는 센서 신호들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preprocessing step includes filtering the sensor signals.

실시예들에서, 분류 단계는 기계 학습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특징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기계 학습 분류기는 예를 들어 공장에서 진공 청소기를 다수의 상이한 청소 활동들/시나리오들에 적용하고, 각각의 경우에 진공 청소기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정의함으로써 사전-트레이닝될 수 있다. 또한, 기계 학습 분류기는 사용자의 가정 환경에서 추가 학습이 가능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classification step includes processing the extracted features using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Advantageously,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er can be pre-trained by subjecting a vacuum cleaner to a number of different cleaning activities/scenarios, for example in a factory, and defining how the vacuum cleaner should react in each case. Additionally,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may be capable of further learning in the user's home environment.

실시예들에서, 기계 학습 분류기는: 인공 신경망, 랜덤 포레스트 및 서포트 벡터 머신 중 1 이상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er includes one or mo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 random forest,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1 이상의 TOF 센서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센서 신호들은 1 이상의 TOF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의존함- ;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정전식 센서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 2 센서 신호들은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함- ;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는 단계; 및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청소기의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first sensor signals by one or more TOF sensors, the first sensor signals being an object to one or more TOF sensors; depends on the proximity of -; generating second sensor signals by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h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ent on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ing a vacuum motor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컴퓨터화된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화된 디바이스가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1 이상의 TOF 센서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센서 신호들은 1 이상의 TOF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의존함- ;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정전식 센서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 2 센서 신호들은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함- ;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는 단계; 및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청소기의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a set of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computerized device, cause the computerized device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the method comprising: 1 generating first sensor signals by the one or more TOF sensors, the first sensor signals being dependent on the proximity of the object to the one or more TOF sensors; generating second sensor signals by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h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ent on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ing a vacuum motor of th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 타입의 진공 청소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스탠드형 진공 청소기,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 또는 핸디형 또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type of vacuum cleaner.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stand-up vacuum cleaners, cylinder vacuum cleaners, or handheld or 'stick' vacuum cleaner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방법 실시형태가 장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여하한의 특징들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in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 method embodiment may incorporate any featur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pparatus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제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아래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진공 청소기의 전기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스틱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관성 측정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선가속도 및 각가속도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관성 측정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방위에 대응하는 또 다른 센서 신호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들,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 모터들 및 제어기 사이의 전기적 연결들을 나타내는, 도 3의 진공 청소기의 전기 구성요소들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센서 신호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 없이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에 나타낸 방법에 적용가능한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센서 신호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칭 트리거(latching trigger)에 기초하여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TOF(time of flight) 센서 및 정전식 센서에 기초하여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3에 나타낸 방법에 적용가능한 예시적인 청소 활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움직임 및 방위 센서 및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5에 나타낸 방법에 적용가능한 예시적인 청소 활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Referring now to the accompanying schematic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f the cleaner head of the vacuum cleaner of Figure 1 viewed from below;
Fig. 3 schematically shows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the stick vacuum cleaner of Fig. 1;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sensor signals corresponding to linear acceleration and angular acceleration generated by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other sensor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bearing generat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mplified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3 showing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sensors, human-computer interface, motors and controll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sensor signal processing performed by a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without a trig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exemplary sensor signal processing performed by a controller applicable to the method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based on a latching trigg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based on a time of flight (TOF) sensor and a capacitive sens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show exemplary cleaning activities applicable to the method shown in FIG. 13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based on motion and orientation sensors and parameters of a cleaner hea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6A and 16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cleaning activities applicable to the method shown in FIG. 15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를 나타낸다. 진공 청소기(2)는 일반적으로 관형인 기다란 완드(8)에 의해 본체(6)에 연결된 청소기 헤드(4)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이다. 또한, 청소기 헤드(4)는 진공 청소기(2)를 핸디형 진공 청소기로 변환하도록 본체(6)에 직접 연결가능하다. 틈새 툴(crevice tool: 3), 더스팅 브러시(dusting brush: 7) 및 소형 전동 청소기 헤드(5)와 같은 다른 제거가능한 툴들이 본체(6) 또는 세장형 완드(8)의 단부에 직접 부착되어 상이한 청소 작업들에 적합할 수 있다.1 to 4 show a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2 is a 'stick-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head 4 connected to a body 6 by means of an elongated wand 8, generally tubular. Also, the cleaner head 4 is directly connectable to the main body 6 to convert the vacuum cleaner 2 into a handheld vacuum cleaner. Other removable tools such as a crevice tool (3), a dusting brush (7) and a small electric vacuum cleaner head (5) are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6) or to the end of the elongated wand (8) to It can be suitable for different cleaning tasks.

본체(6)는, 이 경우에는 사이클론 분리기인 먼지 분리기(10)를 포함한다. 사이클론 분리기는 단일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제 1 사이클론 스테이지(12), 및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사이클론들(16)을 포함하는 제 2 사이클론 스테이지(14)를 갖는다. 또한, 본체(6)는 진공 청소기(2)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벤트(vents)(20)가 제공되는 제거가능한 필터 조립체(18)를 갖는다. 진공 청소기(2)의 본체(6)는 사용자가 붙잡도록 위치되는 피스톨 그립(pistol grip: 22)을 갖는다. 피스톨 그립(22)의 상단부에는 트리거 스위치(24) 형태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2)를 켜기 위해 눌러진다. 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트리거 스위치(24)는 선택적이다. 피스톨 그립(22)의 하단부 아래에는 복수의 충전식 셀(rechargeable cell: 27)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26)이 위치된다.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을 포함하는 진공 모터(52) 및 제어기(50)가 본체(6) 내에서 먼지 분리기(10) 뒤에 제공된다.The main body 6 includes a dust separator 10, which in this case is a cyclone separator. The cyclone separator has a first cyclone stage 12 comprising a single cyclone, and a second cyclone stage 14 comprising a plurality of cyclones 16 arranged in parallel. The body 6 also has a removable filter assembly 18 provided with vents 20 through which air can escape from the vacuum cleaner 2 . The body 6 of the vacuum cleaner 2 has a pistol grip 22 which is positioned to be held by a user. At the upper end of the pistol grip 22 there is a user input device in the form of a trigger switch 24, which is normally pressed to turn on the vacuum cleaner 2.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physical trigger switch 24 is optional. Below the lower end of the pistol grip 22 is a battery pack 26 containing a plurality of rechargeable cells 27. A vacuum motor 52 including a fa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nd a controller 50 are provided behind the dust separator 10 in the body 6 .

청소기 헤드(4)는 도 2에서 아래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청소기 헤드(4)는 흡입 챔버(32) 및 솔 플레이트(34)를 정의하는 케이싱(30)을 갖는다. 솔 플레이트(34)는 공기가 흡입 챔버(32)에 들어갈 수 있는 흡입 개구부(suction opening: 36), 및 바닥 표면과 맞물리는 휠들(37)을 갖는다. 케이싱(30)은 흡입 챔버(32)로부터 완드(8)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출구(38)를 정의한다. 흡입 챔버(32) 내부에는 브러시바(brush bar) 형태의 교반기(40)가 위치된다. 교반기(40)는 교반기 모터(54)에 의해 흡입 챔버(32)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교반기 모터(54)는 교반기(40) 내부에 수용된다. 교반기(40)는 홈(42)들로부터 돌출하는 나선형 어레이들의 강모들(43)을 갖고, 강모들(43)이 흡입 개구부(36)를 통해 흡입 챔버(34) 밖으로 돌출하도록 흡입 챔버에 위치된다.The cleaner head 4 is shown from below in FIG. 2 . The cleaner head 4 has a casing 30 defining a suction chamber 32 and a sole plate 34 . The sole plate 34 has a suction opening 36 through which air can enter the suction chamber 32, and wheels 37 that engage the floor surface. Casing 30 defines an outlet 38 through which air can pass from suction chamber 32 to wand 8 . An agitator 40 in the form of a brush bar is position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32 . Agitator 40 may be driven to rotate within suction chamber 32 by agitator motor 54 . The agitator motor 54 of this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side the agitator 40 . The agitator 40 has helical arrays of bristles 43 protruding from grooves 42 and is positioned in the suction chamber such that the bristles 43 project out of the suction chamber 34 through the suction opening 36 .

도 3은 진공 청소기(2)의 전기 구성요소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제어기(50)는 배터리 팩(26)의 셀들(27)로부터 진공 모터(52)로의 전력 공급을 관리한다. 진공 모터(52)의 전원이 켜질 때, 이는 기류를 생성하여 흡입을 발생시킨다. 먼지가 혼입된 공기가 청소기 헤드(4)[또는 부착된 경우, 틈새 툴(3), 소형 전동 청소기 헤드(5), 또는 더스팅 브러시(7)와 같은 다른 툴들 중 하나]로 흡입되어, 흡입 개구부(36)를 통해 흡입 챔버(32)로 들어간다. 이로부터, 공기는 청소기 헤드(4)의 유출구(38)를 통해 완드(8)를 따라 먼지 분리기(10)로 흡입된다. 혼입된 먼지가 먼지 분리기(10)에 의해 제거된 후, 비교적 깨끗한 공기가 진공 모터(52)를 통해, 필터 조립체(18)를 통해, 그리고 벤트(20)를 통해 진공 청소기(2) 밖으로 나간다. 또한, 제어기(50)는 완드 내부를 따라 진행하는 와이어들(56)을 통해 배터리 팩(26)으로부터 청소기 헤드(4)의 교반기 모터(54)로 전력을 공급하여 교반기(40)를 회전시킨다. 청소기 헤드(4)가 딱딱한 바닥에 있을 때, 이는 휠들(37)에 의해 지지되고, 솔 플레이트(34) 및 교반기(40)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청소기 헤드(4)가 카펫이 깔린 표면에 놓일 때, 휠들(37)은 카펫의 파일 속으로 가라앉고, 이에 따라 솔 플레이트(34)는 [청소기 헤드(4)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더 아래에 위치된다. 이는 카펫 섬유가 흡입 개구부(36)를 향해(및 잠재적으로 이를 통해) 돌출하게 하며, 그 결과 이들이 회전하는 교반기(40)의 강모들(43)에 의해 흩어져 이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떼어놓는다.3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2 . Controller 50 manages the power supply from cells 27 of battery pack 26 to vacuum motor 52 . When the vacuum motor 52 is powered on, it creates an airflow to generate suction. Dust-entrained air is sucked into the cleaner head 4 (or one of the other tools, such as crevice tool 3, small electric vacuum cleaner head 5, or dusting brush 7, if attached), and sucked in It enters the suction chamber 32 through the opening 36. From there, air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or 10 along the wand 8 through the outlet 38 of the cleaner head 4 . After the entrained dust is removed by the dust separator 10, relatively clean air leaves the vacuum cleaner 2 through the vacuum motor 52,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8, and through the vent 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rotates the agitator 40 by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26 to the agitator motor 54 of the cleaner head 4 through the wires 56 running along the inside of the wand. When the cleaner head 4 is on a hard floor, it is supported by wheels 37, and the sole plate 34 and agitator 40 are spaced from the floor surface. When the cleaner head 4 is placed on a carpeted surface, the wheels 37 sink into the pile of the carpet, so the sole plate 34 (together with the rest of the cleaner head 4) sinks further down. is located This causes the carpet fibers to protrude toward (and potentially through) the intake opening 36 so that they are scattered by the bristles 43 of the rotating agitator 40 to shed debris and dust therefrom.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는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청소기 헤드(4)의 교반기 모터(54)에 의해 인출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58), 청소기 헤드(4)의 솔 플레이트(34)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60), 진공 청소기(2)의 본체(6)의 움직임 및 방위에 민감한 관성 측정 유닛(IMU)(62),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HCI)(64), 통상적으로 TOF(time of flight) 센서들(72)의 형태인 1 이상의 근접 센서, 툴 스위치 센서(74), 및 피스톨 그립(22)에 위치되는 정전식 센서(76)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전류 센서(58)는 청소기 헤드(4)에 놓인 것으로 나타내지만, 이는 대안적으로 본체(6)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센서(58)는 와이어들(56)을 통해 배터리(26)로부터 교반기 모터(54)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면, 제어기(50)의 일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하나의 TOF 센서(72)는 청소기 헤드(4) 또는 다른 툴들(3, 5, 7) 중 하나가 부착되는 곳에 가까운 탈착식 완드(8)의 단부에 위치된다. 추가 TOF 센서들(72)이 탈착식 툴들(3, 5, 7) 자체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TOF 센서(72)는 TOF 센서(72)에 대한 물체들의 근접에 따라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적절한 TOF 센서들(72)은 레이더 또는 레이저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툴 스위치 센서(74)는 진공 청소기(2)의 본체(6)에 위치되고, 툴(3, 4, 5, 7) 또는 완드(8)가 본체(6)에 부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들을 생성한다. 실시예들에서, 툴 스위치 센서(74)는 본체(6) 또는 완드(8)에 부착된 툴(3, 4, 5, 7)의 타입에 따라 신호들을 생성한다. 정전식 센서(76)는 피스톨 그립(22)에 위치되고, 사용자가 피스톨 그립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들을 생성한다.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2)는 1 이상의 추가적인 IMU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4)는 청소기 헤드(4)의 움직임 및 방위에 민감하고 본체(6)의 IMU(62)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들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IMU를 포함할 수 있다. IMU(62)는 1 이상의 가속도계, 1 이상의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1 이상의 자력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ditional components as can be seen in FIGS. 3 and 4 . These are: a current sensor 58 that senses the current drawn by the agitator motor 54 of the cleaner head 4, and a pressure sensor 60 that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plate 34 of the cleaner head 4. ,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62 sensitive to the motion and orientation of the body 6 of the vacuum cleaner 2, a human-computer interface (HCI) 64, typically time of flight (TOF) sensors 72 ), a tool switch sensor 74, and a capacitive sensor 76 located in the pistol grip 22. The current sensor 58 is shown as being placed on the cleaner head 4, but it could alternatively be located on the body 6. For example, current sensor 58 may be incorporated as part of controller 50 if operable to sense the current supplied to agitator motor 54 from battery 26 via wires 56 . In the embodiment shown, one TOF sensor 72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removable wand 8 close to where the cleaner head 4 or one of the other tools 3, 5, 7 is attached. Additional TOF sensors 72 may be provided on the removable tools 3, 5, 7 themselves. Each TOF sensor 72 generates a sensor signal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objects to the TOF sensor 72 . Suitable TOF sensors 72 include radar or laser devices. The tool switch sensor 74 is located on the body 6 of the vacuum cleaner 2 and generates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a tool 3, 4, 5 or 7 or a wand 8 is attached to the body 6. do. In embodiments, tool switch sensor 74 generates signals depending on the type of tool 3 , 4 , 5 , 7 attached to body 6 or wand 8 . A capacitive sensor 76 is located on the pistol grip 22 and generates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holding the pistol grip. In embodiments, the vacuum cleaner 2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IMUs. For example, the cleaner head 4 may include an IMU that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and orientation of the cleaner head 4 and generates additional sensor signals to supplement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IMU 62 of the body 6. can IMU 62 may include one or more accelerometers, one or more gyroscopes, and/or one or more magnetometers.

도 4에 더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2)의 본체(6)는 본체(6)의 전방 단부(9)로부터 후방 단부(11)로 이어지는 길이방향 축(70)을 정의한다. 본체(6)의 전방 단부(9)에 부착되는 경우, 완드(8)는 길이방향 축(70)에 평행하다(이 경우에는 동일선상에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HCI(64)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유닛(65), 더 구체적으로는 평면 풀 컬러 백라이트 박막 트랜지스터(TFT) 스크린을 포함한다. 스크린(65)은 제어기(50)에 의해 제어되고, 배터리(26)로부터 전력을 수용한다. 스크린은 오류 메시지, 진공 청소기(2)가 작동 중인 모드 표시, 또는 배터리(26) 잔량 표시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스크린(65)은 실질적으로 후방을 향한다[즉, 그 평면이 길이방향 축(7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위됨]. [피스톨 그립(22)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방향으로] 스크린(65) 아래에는 한 쌍의 제어 부재들(66)이 위치되고, 이는 또한 HCI(64)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 각각은 스크린(65)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제어 부재들은 예를 들어 진공 모터(52)의 전력을 수동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진공 청소기의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HCI(64)는 또한 사용자에게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피커(67)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4 , the body 6 of the vacuum cleaner 2 defines a longitudinal axis 70 running from the front end 9 to the rear end 11 of the body 6 . When attached to the front end 9 of the body 6, the wand 8 is parallel (in this case collinear) to the longitudinal axis 70. In the embodiment shown, HCI 64 includes a visual display unit 65, more specifically a flat full color backlit thin film transistor (TFT) screen. Screen 65 is controlled by controller 50 and receives power from battery 26 . The screen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n error message, an indication of the mode in which the vacuum cleaner 2 is operating, or an indica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26 to the user. The screen 65 faces substantially rearward (ie its plane is orien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70). Located below the screen 65 (in the vertical direction defined by the pistol grip 22) is a pair of control members 66, which also form part of the HCI 64, each of which screen 65 )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input from a user. In embodiments, the control members are configured to change the mode of the vacuum cleaner, for example to manually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of the vacuum motor 52 . In embodiments, HCI 64 also includes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speaker 67 that can provide audible feedback to a user.

IMU(62)는 3 개의 공간 차원들(x, y 및 z)에서 진공 청소기(2)의 본체(6)의 움직임 및 방위에 따라 센서 신호들을 생성한다. 움직임은 본체(6)의 선가속도 및 각가속도를 포함한다. 도 5a는 청소 작업 전, 동안 및 후에 본체(6)의 선가속도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생성된 IMU(62) 센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시간 스케일은 25 Hz의 샘플링 속도로 수집된 샘플들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수직 스케일은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 단위이다. 트레이스들(91a, 91b 및 91c)은 각각 x, y 및 z 방향들에서의 본체(6)의 선가속도에 대응한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청소 작업 전, 동안 및 후에 본체(6)의 각가속도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생성된 IMU(62) 센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트레이스들(92a, 92b 및 92c)은 각각 x, y 및 z 축들에 대한 각가속도에 대응한다. 도 5a 및 도 5b 모두에서, 진공 청소기(2)는 초기에 정적(정지 상태)이다. 이후, 생성된 센서 데이터 중 일부에서 진동 거동을 일으키는 청소 스트로크들을 포함하는 청소 세션이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진공 청소기(2)는 다시 정지 상태로 돌아간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데이터는, 예를 들어 대역-통과 필터 또는 저역-통과 필터에 의해 평활화되었다. 도 6은 상이한 핸디형 청소기 작업 동안 y 축에 대한 본체(6)의 방위에 대응하는 예시적인 생성된 IMU(62) 센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구간 93a는 저-레벨 표면, 예를 들어 스커팅 보드(skirting board)의 청소에 대응하고, 구간 93b는 본체(6)가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기간에 대응하고, 구간 93c는 높은 표면, 예를 들어 천장, 블라인드, 커튼 또는 찬장 상단의 청소에 대응한다. 도 7은 전동 청소기 헤드들(4, 5)을 사용하는 상이한 청소 작업들 동안 y 축에 대한 본체(6)의 방위에 대응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생성된 IMU(62) 센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트레이스 94a는 완드(8)에 부착된 주 청소기 헤드(4)를 사용한 가구 아래의 청소에 대응한다. 트레이스 94b는 완드(8)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6)에 직접 부착된 소형 전동 청소기 헤드(5)를 사용한 계단 청소에 대응한다. 트레이스 94c는 완드(8)에 부착된 청소기 헤드(4)를 사용한 일반적인 선 상태의 진공 청소에 대응한다. 상이한 청소 활동들이 IMU(62)에 의해 생성되는 센서 데이터에서 상이한 시그니처들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IMU(62) 센서 데이터는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청소 활동, 또는 진공 청소기가 작동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추론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IMU 62 generates sensor signals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orientation of the body 6 of the vacuum cleaner 2 in three spatial dimensions (x, y and z). The movement includes linear acceleration and angular acceleration of the body 6 . 5A shows exemplary generated IMU 62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linear acceleration of the body 6 before, during, and after a cleaning operation. The time scale represents the index of samples collected at a sampling rate of 25 Hz. The vertical scale is the unit of acceleration due to gravity. Traces 91a, 91b and 91c correspond to the linear acceleration of body 6 in the x, y and z directions, respectively. FIG. 5B shows exemplary generated IMU 62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acceleration of the body 6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ame clean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5A. Traces 92a, 92b and 92c correspond to angular acceleration about the x, y and z axes, respectively. In both Figures 5A and 5B, the vacuum cleaner 2 is initially static (stationary). This is followed by a cleaning session comprising cleaning strokes that cause vibratory behavior in some of the generated sensor data. Finally, the vacuum cleaner 2 returns to the stationary state again. The data shown in FIGS. 5A and 5B have been smoothed, for example by a band-pass filter or a low-pass filter. 6 shows exemplary generated IMU 62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body 6 about the y axis during different handheld vacuum cleaner operations. Specifically, interval 93a corresponds to cleaning of a low-level surface, for example a skirting board, interval 93b corresponds to a period in which the main body 6 is placed on a table, interval 93c corresponds to a high surface, For example, it corresponds to cleaning ceilings, blinds, curtains or cupboard tops. FIG. 7 shows another exemplary generated IMU 62 sensor data correspond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body 6 about the y axis during different cleaning tasks using the motorized cleaner heads 4 , 5 . Trace 94a corresponds to cleaning under furniture with the main cleaner head 4 attached to the wand 8 . Trace 94b corresponds to stair cleaning using a small electric vacuum cleaner head 5 attached directly to the main body 6 without using a wand 8 . Trace 94c corresponds to normal line vacuuming using the cleaner head 4 attached to the wand 8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different cleaning activities result in different signatures in the sensor data generated by IMU 62 .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in this way, IMU 62 sensor data may be processed to infer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ctivity being performed by a user using the vacuum cleaner, o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vacuum cleaner is operating.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의 전기적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제어기(50)는 트리거(24), 전류 센서(58), 압력 센서(60), IMU(62), 1 이상의 TOF 센서(72), 툴 스위치 센서(74) 및 정전식 센서(76) 중 1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제어기(50)는 제어기(50)가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메모리(51)를 갖는다. 센서 신호들의 처리에 기초하여, 제어기(50)는 진공 청소기(2)의 작동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진공 모터(52), 교반기 모터(54) 및 HCI(64) 중 1 이상을 제어한다. 예시적인 향상들로는 특히 개선된 쓰레기 수거 및 개선된 배터리 수명을 포함한다.8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ical layout of a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In embodiments, the controller 50 includes a trigger 24, a current sensor 58, a pressure sensor 60, an IMU 62, one or more TOF sensors 72, a tool switch sensor 74, and a capacitive sensor. (76) receives and processes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of The controller 50 has a memory 51 in which instructions for the controller 50 to process sensor signals are stored. Based on the processing of the sensor signals, controller 50 controls one or more of vacuum motor 52, agitator motor 54, and HCI 64 to improve operation of vacuum cleaner 2 and thus improve user experience. to control Exemplary enhancements include improved garbage collection and improved battery life, among others.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기(50)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센서 신호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필터링되지 않은 센서 신호들(88)이 이용가능한 센서들 중 1 이상으로부터 제어기(50)에 수신된다. 상이한 실시예들은 상이한 센서들로부터의 센서 신호들을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IMU(62)와 같은 단 하나의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들을 이용한다. 대역-통과 필터 또는 저역-통과 필터(82)가 원시 센서 신호들(88)을 필터링하여, 추가 처리에 더 적절한 평활화된 센서 신호들(90)을 생성한다. 블록 84에서, 사전설정된 특징들(F1,F2...Fn)이 평활화된 센서 신호들로부터 추출되고, 후속하여 분류기(86)에 의해 분석된다. 실시예들에서, 분류기(86)는 추출된 특징들로부터, 진공 청소기(2)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특정 청소 활동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분류기(86)는 추출된 특징들로부터, 진공 청소기(2)가 작동되고 있는 특정 표면 타입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분류기(86)는 추출된 특징들로부터, 트리거없는 진공 청소기(2)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앞선 사항을 결정하였으면, 제어기(50)는 분류기(86) 출력 및 선택적으로 트리거(24)의 상태에 따라 구성되는 진공 모터(52), 교반기 모터(54) 및 HCI(64) 중 1 이상과 관련되어 동작 또는 동작들이 수행되게 한다. 필터(82), 특징 추출 블록(84) 및 분류기(86)는 일반적으로 제어기(50) 상에서 또는 제어기(50)의 제어 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어기 메모리(51)는 필터(82), 특징 추출(84), 분류기(86) 및 결과적인 동작의 작동을 정의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저장한다. 실시예들에서, 분류기는 인공 신경망, 랜덤 포레스트, 서포트 벡터 머신 또는 여하한의 다른 적절한 트레이닝된 모델과 같은 기계 학습 분류기에 기초한다. 모델은 지도 학습 접근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공장에서 사전-트레이닝되었을 수 있다. 슬라이딩 윈도우 접근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필터링된 센서 신호들을 확장(span)하고 신호의 그 특정 시간 부분에 대응하는 특징들을 추출한다. 연속 프레임들은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오버랩되지만, 일반적으로 별개로 처리된다. 항상 이용가능한 모든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제어기(50)는 IMU(62) 센서 데이터만을 처리하여 분류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IMU(62) 센서 데이터의 경우, 제어기(50)는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2)의 방위에 관한 IMU(62) 센서 데이터만을 고려할 수 있거나, 진공 청소기(2)의 가속도에 관한 IMU(62) 센서 데이터만을 고려할 수 있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xemplary sensor signal processing performed by controller 5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filtered sensor signals 88 are received at controller 50 from one or more of the available sensors. Different embodiments use sensor signals from different sensors. Some embodiments use sensor signals from only one sensor, such as IMU 62 for example. A band-pass filter or low-pass filter 82 filters the raw sensor signals 88 to produce smoothed sensor signals 90 that are more suitable for further processing. At block 84, preset features F 1 , F 2 ... F n are extracted from the smoothed sensor signals and subsequently analyzed by classifier 86 . In embodiments, the classifier 86 determines, from the extracted features, the specific cleaning activity being performed by the user using the vacuum cleaner 2 . In other embodiments, the classifier 86 determines, from the extracted features, the specific surface type on which the vacuum cleaner 2 is operating. In other embodiments, the classifier 86 determines, from the extracted features, whether the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to help provide a trigger-free vacuum cleaner 2 . Having determined the foregoing, controller 50 may associate with at least one of vacuum motor 52, agitator motor 54 and HCI 64 configured according to shunt 86 output and optionally the state of trigger 24. to cause an action or actions to be perfor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ilter 82 , feature extraction block 84 and classifier 86 are generally implemented as software modules running on or under the control of controller 50 . Controller memory 51 stores sets of instructions that define the operation of filter 82, feature extraction 84, classifier 86 and resulting operation. In embodiments, the classifier is based on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such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or any other suitable trained model. The model may have been pre-trained, for example in a factory, using a supervised learning approach. A sliding window approach is commonly used to span the filtered sensor signals and extract features corresponding to that particular temporal portion of the signal. Consecutive frames usually overlap to some extent, but are usually treated separat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receive and process sensor data from all available sensors. For example, in embodiments the controller 50 may process only the IMU 62 sensor data to obtain the classifier outp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MU 62 sensor data, the controller 50 may consider, for example, only the IMU 62 sensor data regarding the orientation of the vacuum cleaner 2, or the IMU 62 sensor data regarding the accel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2 ( 62) Only sensor data can be considered.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진공 청소기(2)는 일반적으로 트리거(24)가 눌러질 때 진공 모터(52)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트리거(24)를 포함하지만,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는 진공 청소 작업 동안에 계속 트리거(24)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이해하였다. 실제로,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일부는 진공 청소기(2)가 트리거(24)를 전혀 누르지 않고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트리거(24)의 제공은 진공 청소기(2)로부터 완전히 생략될 수 있도록 선택적일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 shown in FIGS. 1 to 4 typically includes a physical trigger 24 used to activate the vacuum motor 52 when the trigger 24 is depressed, but for user convenience, vacuum cleaning opera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relax the requirement of continuously depressing the trigger 24 during Indeed,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llow the vacuum cleaner 2 to be operated without pressing the trigger 24 at all. Thus, in embodiments, the provision of the physical trigger 24 may be optional such that it may be omitted from the vacuum cleaner 2 entirely.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를 작동시키는 방법(23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232에서, 진공 청소기의 복수의 상이한 센서들에 의해 센서 신호들이 생성된다. 이들은 IMU(62), TOF 센서(72), 전류 센서(58), 압력 센서(60), 정전식 센서(76) 및 툴 스위치 센서(74)의 여하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34에서, 제어기(50)의 제 1 모듈이 생성된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여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단계 236에서, 제어기(50)의 제 2 모듈이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처리하여, 진공 청소기(2)가 현재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238에서, 진공 모터(52)는 출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230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In step 232,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different sensors of the vacuum cleaner. These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IMU 62 , TOF sensor 72 , current sensor 58 , pressure sensor 60 , capacitive sensor 76 and tool switch sensor 74 . In step 234, a first module of the controller 50 processes the generated sensor signals to generat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In step 236, a second module of the controller 50 processes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indicating that the vacuum cleaner 2 is currently being used. At step 238, the vacuum motor 52 is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모듈(100)은 진공 청소기(2)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는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때로는, 모든 센서들이 반드시 존재, 즉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류 센서(58) 및 압력 센서(60)가 탈착식 청소기 헤드(4) 상이나 그 내부에 위치되지만, 진공 청소기(2)가 청소기 헤드(4) 대신에 틈새 툴(7)과 함께 작동되고 있는 실시예들에서, 전류 센서(58) 및 압력 센서(60)는 그때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11에 설명된 일반적인 아키텍처는 제 1 모듈(100)에 신호들을 제공하는 센서들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측면에서 유연하다. 제 1 모듈(100)은 생성된 센서 신호들의 처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신호들(101)을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초당 한 번)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ctrl_detectedHAND"는 예를 들어 정전식 센서(76)에 의해 감지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2)의 핸들[피스톨 그립(22)]을 잡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어 신호 "ctrl_toolType"은 툴 스위치 센서(74)에 의해 감지되는 바와 같이 본체(6) 또는 완드(8)에 부착된 툴(3, 4, 5, 7)의 타입을 나타낸다. 제어 신호 "ctrl_cleaningShortTool"은 사용자가 본체(6)에 직접 부착된 툴을 사용하는 청소 작업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2)를 조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어 신호 "ctrl_cleaningLongTool"은 사용자가 완드(8)에 부착된 툴을 사용하는 청소 작업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를 조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제 1 모듈(100)에 의해 수행되는 생성된 센서 신호들의 처리는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접근법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서, 제 1 모듈(100)은 전처리 단계(필터링 및 특징 추출) 및 (기계 학습 분류기에 기초한) 분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분류기(86)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101)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module 100 receives sensor signals generated by various sensors available in the vacuum cleaner 2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ometimes, not all sensors are necessarily present, i.e. installed in a device. For example, current sensor 58 and pressure sensor 60 are located on or within removable cleaner head 4, but vacuum cleaner 2 operates with crevice tool 7 instead of cleaner head 4. In emerging embodiments, the current sensor 58 and pressure sensor 60 are then absent. However, the general architecture described in FIG. 11 is flexible in terms of adding or removing sensors that provide signals to the first module 100 . The first module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101 periodically (eg, once per second) based on processing of the generated sensor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ctrl_detectedHAND” indicates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pistol grip 22) of the vacuum cleaner 2 as detected by the capacitive sensor 76 for example. The control signal "ctrl_toolType" indicates the type of tools 3, 4, 5, 7 attached to the body 6 or wand 8 as sensed by the tool switch sensor 74. The control signal "ctrl_cleaningShortTool" indicates whether the user is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2 in a manner indicating a cleaning operation using a tool directly attached to the main body 6. The control signal "ctrl_cleaningLongTool" indicates whether the user is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in a manner indicating a cleaning operation using a tool attached to the wand 8 . In embodiments, the processing of the generated sensor signals performed by the first module 100 is based on the approac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9 . Specifically, in embodiments, the first module 100 is configured to process sensor signals generated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step (filtering and feature extraction) and a classification step (based on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In this regard, the classifier 86 is configured to provid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101 .

복수의 제어 신호들은 제어 신호들(101)에 따라 출력 신호(103)를 생성하는 제 2 모듈(102)에 의해 분석된다. 진공 모터(52)는 출력 신호(103)의 값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실시예들에서, 출력 신호는 초기 기본 전력 레벨(initial default power level)에서 진공 모터(52)를 켜고 끄는 이진 신호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출력 신호는 진공 모터(52)가 복수의 제어 신호들(101)에 따라 상이한 초기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저, 중 및 고)에서 켜지게 하는 여러 값들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제 2 모듈(102)에 대한 적절한 아키텍처는, 상이한 상태들이 진공 모터(52)의 상태들(전력 레벨들 또는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유한 상태 기계이다.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102)은 단일 제어기(50)에 의해 실행되는 단일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1에 설명된 신호 처리 체인의 상이한 스테이지들에서의 제 1 모듈(100) 및 제 2 모듈(102)의 제공은 두 모듈들의 독립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분류기가 제 1 모듈(100)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변경들은 출력 제어 신호들(101)이 일관된 포맷을 채택한다면 제 2 모듈(102)의 작동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일반적인 아키텍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트리거 없는 진공 청소기(2)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are analyzed by the second module 102 which generates an output signal 103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101 . The vacuum motor 52 is activated or deactivated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output signal 103 . In embodiments, the output signal is a binary signal that turns the vacuum motor 52 on and off at an initial default power level. In other embodiments, the output signal is one of several values that cause the vacuum motor 52 to turn on at different initial power levels (eg, low, medium, and high)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101 . can take A suitable architecture for the second module 102 is a finite state machine where the different states correspond to the states (power levels or on/off state) of the vacuum motor 52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102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single controller 50 or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The provision of the first module 100 and the second module 102 at different stage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described in FIG. 11 enables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two modules. For example, changes to the way the classifier operates in the first module 100 do not necessaril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dule 102 if the output control signals 101 adopt a consistent forma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general archite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may form the basis of a trigger-fre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를 작동시키는 방법(24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242에서, 진공 모터(52)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즉, 켜짐). 단계 244에서, 진공 청소기의 감지된 움직임 및 방위에 기초하여 센서 신호들이 생성된다. 단계 246에서, 생성된 센서 신호들은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50)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 248에서,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52)는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트리거(24)이므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화는 트리거(24)를 누르는 것을 수반한다. 하지만, 종래의 트리거가 있는 디바이스들과 달리, 사용자가 반드시 진공 청소 세션 동안 끊임없이 트리거(24)를 계속 누르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는 제어기(50)가 사용자에 의해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결정한다면 진공 모터(52)가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2)는 예를 들어 0.5 초 미만의 기간 동안 트리거(24)를 순간적으로 누름으로써 켜질 수 있다. 일단 켜지면, 트리거(24)를 놓을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편의를 개선한다. 그러므로, (비-기계적 의미에서) 트리거는 효과적으로 '래칭'된다. 피스톨 그립(22)에 위치된 정전식 센서(76)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트리거(24) 대신에, 사용자의 손을 검출하는 정전식 센서(76)의 동작이 진공 모터(52)의 활성화를 야기할 수 있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240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At step 242, vacuum motor 52 is activated (ie, turned on)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user input device by the user. In step 244,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movement and orientation of the vacuum cleaner. At step 246, the generated sensor signals are processed by controller 50 to determine whether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In step 248,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vacuum motor 52 remains activated. Since the user input device is typically a trigger 24, activation of the user input device involves pressing the trigger 24. However, unlike conventional triggerable devices, the us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keep depressing the trigger 24 constantly during the vacuuming session. This is because the vacuum motor 52 remains activated if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As such, the vacuum cleaner 2 can be turned on by momentarily pressing the trigger 24 for a period of less than 0.5 seconds, for example. Once turned on, the trigger 24 can be released, which improves user comfort. Therefore, the trigger is effectively 'latched' (in the non-mechanical sense). A capacitive sensor 76 located in the pistol grip 22 may form part or all of the user input device. For example, instead of a physical trigger 24, action of the capacitive sensor 76 detecting the user's hand may cause activation of the vacuum motor 52.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가 사용자에 의해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은 사용자가 진공 청소 작업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를 잡고 및/또는 조작하고 있다는 결정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기(50)는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IMU(62)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은 센서 신호들을 처리한다. 제어기(50)가 진공 청소기가 더 이상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것이 테이블 위에 놓일 때, 제어기(50)는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진공 모터(52)를 비활성화한다. 제어기(5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가 잠시만 정지되어 있을 때 진공 모터(52)가 꺼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진공 모터(52)를 비활성화하기 전에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어, 0.5 초 내지 5 초) 동안 대기할 것이다. 이 사전설정된 주기 동안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진공 모터(52)가 비활성화된다. 일단 비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진공 모터(52)가 재활성화될 수 있기 전에, 예를 들어 트리거(24)를 짧게 누름으로써 진공 청소기(2)를 '재-래칭'하도록 요구된다. 다시 말해서, 진공 청소기(2)를 단순히 이동시키는 것은 실시예들에서 진공 모터(52)가 일단 일정 기간 활동하지 않은 후에 비활성화되었으면 재활성화되게 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센서 판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시들은 청소기 헤드(4)의 파라미터들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58) 및 압력 센서(60)로부터의 판독들을 포함한다.In embodiments,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holding and/or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in a manner indicative of a vacuuming operation. In this regard, controller 50 processes sensor signals, such as those generated by IMU 62, in the manner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When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vacuum cleaner is no longer being actively used, for example when it is placed on a table, the controller 50 deactivates the vacuum motor 52 to conserve battery power. Controller 50 typically wai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0.5 to 5 seconds) before deactivating vacuum motor 52 to avoid turning off vacuum motor 52 when the device is only briefly stopped. something to do. If no movement is detected during this preset period, the vacuum motor 52 is deactivated. Once deactivated, the user is generally required to 're-latch' the vacuum cleaner 2 before the vacuum motor 52 can be reactivated, for example by briefly pressing the trigger 24 . In other words, simply moving the vacuum cleaner 2 will not, in embodiments, cause the vacuum motor 52 to be reactivated once it has been deactivated after a period of inactivity. Additional sensor readings may be 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ctively using the vacuum cleaner. Examples include readings from a current sensor 58 and a pressure sensor 60 that sense parameters of the cleaner head 4 .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청소기(2)를 작동시키는 방법(25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252에서, 1 이상의 TOF 센서(72)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들이 생성된다. 제 1 센서 신호들은 1 이상의 TOF 센서(72)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의존한다. 단계 254에서, 정전식 센서(76)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들이 생성되며, 이는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의 핸들(22)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단계 256에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은 진공 청소기(2)가 사용자에 의해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50)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 258에서,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52)가 활성화된다. 제어기(50)는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센서 신호들을 처리한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250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2 according to embodiments. At step 252, first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y one or more TOF sensors 72. The first sensor signals depend on the proximity of an object to one or more TOF sensors 72 . In step 254, second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y the capacitive sensor 76,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22 of the vacuum cleaner. At step 256,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ar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50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In step 258,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vacuum motor 52 is activated. The controller 50 processes the sensor signals in the manner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14a 및 도 14b는 TOF 센서(72) 및 정전식 센서(76)가 진공 청소기(2)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TOF 센서(72)를 포함하는 틈새 툴(3)이 본체(6)에 직접 부착된다. 사용자는 바닥(98a)과 벽(98c) 사이에 형성된 틈새(97b)로부터 약간의 먼지(96)를 청소하기를 원한다. 도 14a에서, 사용자의 손(도시되지 않음)은 본체(6)의 피스톨 그립(22)을 쥐고 있으며, 이는 핸들(22)에 위치된 정전식 센서(76)에 의해 검출된다. TOF 센서(72)는 물체와 표면의 근접을 결정하기 위해 전자기 또는 음향 방사선(73)을 방출하고 수신하는 레이저 디바이스 또는 레이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4a에서, TOF 센서(72)는 물체, 이 경우에는 틈새(97b)가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보다 멀리 떨어져 있음을 검출한다. 그러므로, 진공 모터(52)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전력을 절약한다. 도 14b에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2)를 틈새(97b)에 더 가까이 이동시켜, TOF 센서(72)로부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 내로 가져왔다. 따라서, 제어기(50)는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결정하며, 먼지(96)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제 시간에 진공 모터(52)를 활성화한다. 사용자가 틈새(97b)로부터 멀리 진공 청소기(2)를 이동시킬 때, 이는 TOF 센서(72)에 의해 검출되고 진공 모터(52)는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2)는 사용자가 물리적 트리거(24)를 누르지 않고도 필요에 따라 활성화 및 비활성화된다. 진공 청소기(2)가 저장될 때, 사용자의 손은 핸들(22)을 쥐고 있지 않을 것이고, 이에 따라 진공 모터(52)는 물체가 TOF 센서(72)로부터 사전설정된 거리 내에 있더라도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는 진공 청소기(2)에 부착되는 탈착식 툴의 타입에 의존한다. 이는 상이한 청소 시나리오들에 진공 청소기(2)의 응답을 맞추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스팅 브러시(7)를 사용하는 경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는 틈새 툴(3)을 사용할 때보다 작을 수 있는데, 이는 더스팅 브러시(7)가 실제로 청소할 표면에 놓일 때만 진공 모터(52)가 활성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14A and 14B show an exemplary scenario in which a TOF sensor 72 and a capacitive sensor 76 are used to operate the vacuum cleaner 2 . In this example, a crevice tool 3 containing a TOF sensor 72 i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6 . The user wants to clean some dirt 96 from the gap 97b formed between the floor 98a and the wall 98c. In FIG. 14A , the user's hand (not shown) is gripping the pistol grip 22 of the body 6 , which is detected by a capacitive sensor 76 located on the handle 22 . The TOF sensor 72 may be a laser device or a radar device that e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or acoustic radiation 73 to determine the proximity of objects and surfaces. In FIG. 14A, the TOF sensor 72 detects that an object, in this case gap 97b, is farther away tha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Therefore, the vacuum motor 52 is not yet activated and remains turned off to conserve battery power. In Fig. 14b, the user has moved the vacuum cleaner 2 closer to the gap 97b, bringing it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from the TOF sensor 72. Thus,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and activates vacuum motor 52 in time to effectively remove dust 96 . When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2 away from the gap 97b, this is detected by the TOF sensor 72 and the vacuum motor 52 is deactivated. Thus, the vacuum cleaner 2 is activated and deactivated as needed without the user pressing a physical trigger 24 . When the vacuum cleaner 2 is stored, the user's hand will not grip the handle 22, and thus the vacuum motor 52 will not be activated even if an object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TOF sensor 72. In embodiments,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depends on the type of removable tool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2 . This may be desirable in order to tailor the response of the vacuum cleaner 2 to different cleaning scenarios. For example, when using the dusting brush 7, the preset critical distance may be smaller than when using the crevice tool 3, which is only when the dusting brush 7 is actually plac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vacuum motor 52 ) must be activated.

도 15는 실시예들에 따른 청소기 헤드(4)를 갖는 진공 청소기(2)를 작동시키는 방법(26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262에서, 진공 청소기의 감지된 움직임 및 방위에 기초하여 제 1 센서 신호들이 생성된다. 제 1 센서 신호들은, 예를 들어 IMU(6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단계 264에서, 청소기 헤드(4)의 감지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제 2 센서 신호들이 생성된다. 제 2 센서 신호들은 전류 센서(58) 및/또는 압력 센서(6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단계 266에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은 진공 청소기(2)가 사용자에 의해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50)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 268에서, 진공 청소기(2)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진공 모터(52)가 활성화된다. 제어기(50)는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센서 신호들을 처리한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260 of operating the vacuum cleaner 2 having the cleaner head 4 according to embodiments. In step 262, first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ased on the detected movement and orientation of the vacuum cleaner. The first sensor signals may be generated by, for example, the IMU 62 . In step 264 second sensor signals are generated based on the sensed parameters of the cleaner head 4 . Second sensor signals may be generated by current sensor 58 and/or pressure sensor 60 . At step 266,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ar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50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by a user. In step 268, in response to a determination that the vacuum cleaner 2 is being actively used, the vacuum motor 52 is activated. The controller 50 processes the sensor signals in the manner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16a 및 도 16b는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가 진공 청소기(2)의 작동을 일으키는 데 사용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16a에서, 진공 청소기(2)는 벽(98c)에 장착된 도크(dock)(99) 내에 놓여 있다. 청소기 헤드(4)는 본체(6)에 부착되는 완드(8)에 부착된다. 청소기 헤드(4)에 가해지는 압력은 진공 청소기(2)가 이러한 방식으로 도크(99)에 매달려 있을 때 작거나 0이다. 또한, IMU(62)는 진공 청소기(2)가 어떠한 움직임도 겪고 있지 않으며 고정된 방위로 유지됨을 감지할 것이다. 도 16b에서, 진공 청소기(2)는 사용자에 의해 도크(99)로부터 꺼내졌다. 청소기 헤드(4)는 바닥(98a)에 놓여 있고, 사용자는 바닥 청소를 시작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2)를 앞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제어기(50)는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청소기 헤드(4)와 연계된 진단 센서들(58, 60) 및 IMU(62)로부터의 센서 신호들을 처리한다. 이는 제어기(50)로 하여금, 사용자가 지금 진공 청소기(2)를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결정하게 한다. 따라서, 제어기(50)는 사용자가 트리거(24)를 누를 필요 없이 진공 모터(52)를 활성화한다.16a and 16b show exemplary scenario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are used to cause the vacuum cleaner 2 to operate. In Fig. 16a, the vacuum cleaner 2 is placed in a dock 99 mounted to the wall 98c. The cleaner head 4 is attached to a wand 8 which is attached to a body 6.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leaner head 4 is small or zero when the vacuum cleaner 2 is suspended in the dock 99 in this way. Also, the IMU 62 will sense that the vacuum cleaner 2 is not experiencing any movement and is held in a fixed orientation. In Fig. 16b, the vacuum cleaner 2 has been taken out of the dock 99 by the user. The cleaner head 4 is placed on the floor 98a, and the user starts to move the vacuum cleaner 2 forward to start cleaning the floor. Controller 50 processes sensor signals from diagnostic sensors 58 and 60 associated with cleaner head 4 and IMU 62 in the manner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This causes the controller 50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now actively using the vacuum cleaner 2 . Thus, the controller 50 activates the vacuum motor 52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press the trigger 24 .

어느 하나의 실시예 및/또는 측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하한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여하한의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측면들, 또는 여하한의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측면들의 여하한의 조합의 1 이상의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방법들(230, 240, 250, 260) 중 주어진 하나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이 방법들(230, 240, 250, 260) 중 다른 것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및/또는 단계들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ny featur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y one embodiment and/or aspec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eatures described, and any other embodiment and/or aspect, or an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eatures of any combination of other embodiments and/or aspects. For example, features and/or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given one of methods 230, 240, 250, and 260 are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other ones of methods 230, 240, 250, and 26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y be includ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steps and/or step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진공 청소기(2)는 제어기(50)를 포함한다. 제어기(5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시스템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하한의 예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각각의 디바이스, 구성요소 또는 기능, 예를 들어 IMU(62) 및/또는 HCI(64)는 유사하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1 이상의 측면은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장치는 이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유형적으로 저장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및 유형적으로 저장된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에 옮기도록 적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특히 캐리어 상의 또는 캐리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확장된다.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소스 코드, 목적 코드의 형태, 또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스들의 구현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여하한의 다른 비-일시적 형태일 수 있다. 캐리어는 RAM, ROM, 또는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 등과 같이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는 여하한의 개체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2 includes a controller 50 . Controller 50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methods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a controller includes a processing system. Such processing systems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and/or memory. Each device, component or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y of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IMU 62 and/or HCI 64, may similarly include a processor, or It can be included in a device that includes a processor. One or more aspec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processes performed by a device. In some examples, an apparatus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configured to perform these processes. In this regard,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at least in part by computer software stored in (non-transitory) memory and executable by a processor, or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and tangibly stored firmware) stored tangibly. can be implemented by Embodiments also extend to a computer program, in particular a computer program on or within a carrier, which is adapted to put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into practice. A program may be in the form of non-transitory source code, object code, or any other non-transitory form suitable for use in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es according to embodiments. A carrier may be any entity or device capable of carrying a program, such as RAM, ROM, or an optical memory device.

처리 시스템들의 1 이상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프로세서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제공된 예시들에 추가하여 많은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가 1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수의 함께-위치된 프로세서들 또는 다수의 상이하게 위치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1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 시스템들은 설명된 것들과 상이한, 더 많은, 및/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processing systems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or a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many other types of device may be used to provide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o the examples provided. The one or more processors may include multiple co-located processors or multiple differentially positioned processors. Tasks performed by one or more processors may be performed by one or more of hardware, firmware, and softwa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processing systems may include different, more, and/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described.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 및/또는 지원하도록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의 적어도 일부 측면들은 처리 시스템들 또는 프로세서들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들은 또한 예시들을 실행에 옮기도록 적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예를 들어 캐리어 상의 또는 캐리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확장된다. 캐리어는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는 여하한의 개체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캐리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시들은 광학 매체(예를 들어, CD-ROM, DVD-ROM 또는 블루레이), 플래시 메모리 카드, 플로피 또는 하드 디스크, 또는 적어도 하나의 ROM 또는 RAM 또는 PROM(Programmable ROM) 칩들에 있는 마이크로코드 또는 펌웨어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여하한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or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These may include configuring the device to perform and/or support some or all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lthough at least some aspects of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clude computer processes performed on processing systems or processors,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also include a computer program, e.g., adapted to put the examples into practice. eg to a computer program on or within a carrier. A carrier can be any entity or device capable of carrying a program. A carrier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xamples of tangibl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an optical medium (eg, CD-ROM, DVD-ROM or Blu-ray), a flash memory card, a floppy or hard disk, or at least one ROM or RAM or PROM (Programmable ROM). ) microcode in chips or any other medium capable of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such as firmw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앞선 설명에서, 알려진, 명백한 또는 예측가능한 균등물들을 갖는 완전체들 또는 요소들이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균등물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된 것처럼 여기에 통합된다. 여하한의 이러한 균등물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청구항들이 참조되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고, 유리하고, 편리한 것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완전체들 또는 특징들은 선택적이며, 독립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선택적인 완전체들 또는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Where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integers or elements having known, apparent, or foreseeable equivalents, such equivalents are incorporated herein as if individually set forth.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claims to determine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to be interpreted to encompass any such equival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integrals or features of the invention which are described as preferred, advantageous, or expedient are optional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dependent claims. Moreo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optional integrals or features, while advantageously possible 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undesirable in other embodiments, and thus may be absent.

Claims (18)

진공 청소기로서,
진공 모터;
1 이상의 TOF(time of flight)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따라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1 이상의 TOF 센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정전식 센서(capacitive sensor); 및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고;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As a vacuum cleaner,
vacuum motor;
one or more time of flight (TOF) sensors configured to generate first sensor signals according to proximity of an object to the one or more time of flight (TOF) sensors;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a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user is holding the handle; and
controller
Including, wherein the controller:
process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gene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e the vacuum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더 이상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진공 모터를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activate the vacuum motor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no longer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공 모터가 활성화될 때 및 상기 진공 모터가 비활성화될 때 모두,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oth when the vacuum motor is activated and when the vacuum motor is deactiva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는 레이더 디바이스 및/또는 레이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ne or more TOF sensors include a radar device and/or a lase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은 상기 제 1 센서 신호들로부터의, 상기 물체가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있다는 결정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etermination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comprises a determination from the first sensor signals that the object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from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제 5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탈착식 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전설정된 임계 거리는 상기 진공 청소기에 부착되는 탈착식 툴의 타입에 의존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5,
and one or more removable tools, wherei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depends on a type of removable tool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탈착식 툴 각각은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removable tools includes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탈착식 툴은:
틈새 툴(crevice tool);
더스팅 브러시(dusting brush); 및
소형 전동 툴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one or more removable tools are:
crevice tool;
dusting brush; an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mall powered tool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착식 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식 완드는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wand, wherein the removable wand comprises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 중 하나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one of the one or more TOF sensors is located on a body of the vacuum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은 상기 제 2 센서 신호들로부터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의 핸들을 쥐고 있다는 결정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the determination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comprises a determination from the second sensor signals that the user is holding a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처리 단계 및 분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sensor signals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step and a classification step.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센서 신호들의 시간 부분들로부터 특징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pre-processing step comprises extracting features from temporal portions of the sensor signals.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센서 신호들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pre-processing step comprises filtering the sensor signals.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단계는 기계 학습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특징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classification step comprises processing the extracted features using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 분류기는: 인공 신경망, 랜덤 포레스트 및 서포트 벡터 머신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5,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 random forest,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1 이상의 TOF 센서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센서 신호들은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의존함- ;
상기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정전식 센서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센서 신호들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함- ;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generating first sensor signals by one or more TOF sensors, wherein the first sensor signals are dependent on proximity of an object to the one or more TOF sensors;
generating second sensor signals by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h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ent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and
responsiv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ing a vacuum motor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method.
컴퓨터화된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화된 디바이스가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방법은:
1 이상의 TOF 센서에 의해 제 1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센서 신호들은 상기 1 이상의 TOF 센서에 대한 물체의 근접에 의존함- ;
상기 진공 청소기의 핸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정전식 센서에 의해 제 2 센서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센서 신호들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쥐고 있는지 여부에 의존함- ;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 신호들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능동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의 진공 모터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a set of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a computerized device, causes the computerized device to perform a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leaner, comprising:
The method is:
generating first sensor signals by one or more TOF sensors, wherein the first sensor signals are dependent on proximity of an object to the one or more TOF sensors;
generating second sensor signals by a capacitive sensor positioned proximate to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he second sensor signals dependent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holding the handle;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sensor signals to determine whether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by the user; and
responsive to determin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being actively used, activating a vacuum motor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KR1020237004341A 2020-07-10 2021-07-02 Vacuum cleaner KR2023006254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010658.9 2020-07-10
GB2010658.9A GB2596856B (en) 2020-07-10 2020-07-10 Vacuum cleaner
PCT/GB2021/051370 WO2022008866A1 (en) 2020-07-10 2021-06-03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547A true KR20230062547A (en) 2023-05-09

Family

ID=7213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341A KR20230062547A (en) 2020-07-10 2021-07-02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3347A1 (en)
JP (1) JP2023533080A (en)
KR (1) KR20230062547A (en)
CN (1) CN115843227A (en)
GB (1) GB2596856B (en)
WO (1) WO202200886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432A (en) * 2022-11-18 2024-05-22 Dyson Technology Ltd An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1647T2 (en) * 1991-10-17 1997-01-02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circuit with a capacitive sensor for a hose handle
GB201106953D0 (en) * 2011-04-21 2011-06-01 Numatic Int Ltd Mobile electric appliance
DE102014113796B4 (en) * 2014-09-24 2020-04-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acuum cleaner
KR101842463B1 (en) * 2016-07-08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handle for a cleaner
EP3466310B1 (en) * 2017-10-03 2022-07-27 Black & Decker Inc. Proximity detection
DE102018200691A1 (en) * 2018-01-17 2019-07-18 Robert Bosch Gmbh Mobile household service device, method of making a mobile household servi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96856A (en) 2022-01-12
CN115843227A (en) 2023-03-24
GB202010658D0 (en) 2020-08-26
US20230263347A1 (en) 2023-08-24
WO2022008866A1 (en) 2022-01-13
JP2023533080A (en) 2023-08-01
GB2596856B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5421A1 (en) Vacuum cleaner
KR20230062547A (en) Vacuum cleaner
KR20230062546A (en) Vacuum cleaner
KR20230065234A (en) Vacuum cleaner
KR20230062545A (en) Vacuum cleaner
KR20230035106A (en) Vacuum cleaner
KR20230035107A (en) Vacuum cleaner
GB2624132A (en) Vacuum cleaner
GB2614680A (en) Vacuum cleaner
KR20230033731A (en) Vacuum cleaner
KR20230035111A (en) Vacuum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