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386A -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386A
KR20230062386A KR1020220135093A KR20220135093A KR20230062386A KR 20230062386 A KR20230062386 A KR 20230062386A KR 1020220135093 A KR1020220135093 A KR 1020220135093A KR 20220135093 A KR20220135093 A KR 20220135093A KR 20230062386 A KR20230062386 A KR 20230062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computing device
vehicle head
wireless net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샤브 바르드와지
루카 스칼리아
베른트 홀지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62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B60K2370/152
    • B60K2370/58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법들의 다양한 양태를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연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AUTOMATED WIRELESS CONNECTION FOR OPERATING SYSTEM PROJECTION IN VEHICLES}
차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 차량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휴대용 게임 시스템 등과 같은 탑승자(occupant) 디바이스가 차량 내에 포함된 차량 헤드 유닛과 인터페이스하도록 할 수 있다. 탑승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과 인터페이스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project, 투영)할 수 있으며, 차량 헤드 유닛은 차량 헤드 유닛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할 수 있다.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해, 차량의 탑승자는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여 디바이스와 차량 헤드 유닛 사이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먼저 PAN 연결을 설정하여 디바이스와 차량 헤드 유닛 간의 자격 증명(크리덴셜)을 협상한다. PAN 연결을 통해 자격 증명을 협상한 후,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PAN과 다름)와 연결을 설정하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차량에서 운영 체제 프로젝션을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에 관한 것이다. 연결 문제, 사용자 오류, 신호 저하, 호환되지 않는 PAN 구현 등이 발생하기 쉬운 PAN 연결을 설정하는 대신, 이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차량 헤드 유닛이 무선 디바이스간(inter-device)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호스팅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는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의 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탑승자 디바이스가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으므로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호스팅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 후, 탑승자 디바이스는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PAN 연결 설정과 관련된 복잡한 페어링 프로세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탑승자 디바이스가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할 목적으로 차량 헤드 유닛과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PAN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운영 체제의 무선 프로젝션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상당히 손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오류 및/또는 좌절, 연결 문제(예를 들어, 간섭으로 인한), 결함이 있거나 호환되지 않는 구현 등에 민감한 다수의 상이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PAN 연결을 설정하려는 반복적인 시도는 프로세서 사이클, 메모리 저장 공간, 메모리 버스 대역폭, 및/또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 버스 및 무선 라디오 작동과 관련된 전력과 같은 탑승자 디바이스의 상당한 컴퓨팅 리소스를 소비할 수 있다. 잠재적으로 더 우수하고 더 잘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IEEE-802.11 호환 무선 근거리 통신망 표준)을 설정하기 위해 보다 간단한 QR 코드를 사용하여 PAN 연결 설정을 피하거나 자제함으로써, 탑승자 디바이스의 작동은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통해 자체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예에서, 기술의 양태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에서, 기술의 양태는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연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에서, 기술의 양태는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예에서, 기술의 양태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의 세부 사항은 첨부 도면 및 하기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설명 및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에 따라 사용자 계정 인식 개인 영역 네트워크 본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자동화된 무선 접속 기술의 다양한 양태 수행시도 1의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자동화된 무선 접속 기술의 다양한 양태 수행시 도 1의 예에 도시된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에 따라 사용자 계정 인식 개인 영역 네트워크 본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시스템(100)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를 포함한다. 차량에 대한 설명이지만, 컴퓨팅 시스템(100)은 독립형 컴퓨팅 시스템(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 포함), 게임 시스템, 셀룰러 전화기(소위 "스마트폰" 포함), 미디어 시스템(스트리밍 미디어 시스템 포함), 시청각(A/V) 수신기, 텔레비전(소위 "스마트 텔레비전" 포함),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워치, 온도 조절기(소위 "스마트 온도 조절기" 포함), 스마트 글래스 또는 기타 컴퓨팅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컨텍스트(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헤드 유닛 또는 기타 차량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전자 제어 유닛(ECU))과 같은 차량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이다. 도 1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단지 하나의 특정 예를 도시하고,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많은 다른 예가 다른 경우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포함된 컴포넌트(구성요소)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의 예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142),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144),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146), 및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148)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저장 디바이스(148)는 운영 체제(OS)(126) 및 OS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OS 프로젝션 앱")(128)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또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채널(150)은 (물리적으로, 통신적으로, 및/또는 동작적으로) 컴포넌트 간 통신을 위해 컴포넌트(112, 140, 142, 146, 및/또는 148) 각각을 상호 연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컴포넌트(112, 140, 142, 146 및 148)가 서로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채널(150)은 시스템 버스, 네트워크 연결,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간 통신 데이터 구조, 또는 데이터(정보라고도 함)를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112, 140, 142, 146 및 14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도시된 것보다 다른 컴포넌트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컴포넌트는 텔레매틱 제어 유닛(TCU)과 같은 다른 제어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142)은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통신 유닛(142)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통신 유닛들(14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네트워크와 같은 위성 네트워크 상에서 위성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2)의 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예를 들어, 이더넷 카드), 광 트랜시버, 무선 주파수 트랜시버, GPS 수신기, 또는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142)의 다른 예는 단파 라디오(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NFC), 블루투스) 및 이들의 상이한 프로파일(예를 들어, 블루투스 저에너지(BLE)와 같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 GPS, 3G, 4G, 5G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라디오(이러한 WLAN 라디오는 WiFi 표준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IEEE 802.11 표준을 준수할 수 있음),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는 WLAN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통신 유닛(142)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인터페이스 및 WLAN 인터페이스 모두를 구현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이에 의해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144)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의 예로는 몇 가지 예만 들자면 촉각, 오디오, 운동(kinetic) 및 광학 입력이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입력 컴포넌트(144)는 일 예로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음성 응답 시스템, 비디오 카메라, 버튼, 스크롤 휠, 다이얼, 제어 패드, 마이크로폰 또는 인간이나 기계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입력 컴포넌트(144)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입력 컴포넌트(144)는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일 수 있 수 있고, 이는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와 별개의 존재 감지 스크린, 터치 감지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146)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의 예로는 촉각,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이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출력 컴포넌트(146)는 일부 예에서 존재 감지 스크린(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와 분리될 수 있음), 사운드 카드,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 카드, 스피커, 음극선관(CRT) 모니터,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인간나 기계에 촉각, 오디오 및/또는 시각적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입력 컴포넌트(144) 및/또는 출력 컴포넌트들(146)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존재 감지 스크린 또는 터치 감지 스크린과 같은 존재 감지 입력(PSI) 컴포넌트(104)("PSI 컴포넌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는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에서 및/또는 그 근처에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범위로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는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의 2인치 이하 내에 있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는 객체가 검출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의 위치(예를 들어, (x,y)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범위에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는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로부터 2인치 이하 내에 있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다른 범위도 가능하다.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는 용량성, 유도성 및/또는 광학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선택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또한 출력 컴포넌트(146)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촉각,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자극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03)는 출력 컴포넌트(146)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는 임의의 유형의 출력 컴포넌트일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통합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일부 예들에서 입력 및 출력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다른 컴포넌트와 데이터 또는 정보 경로를 공유하는 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외부 패키징(예를 들어,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된 차량 내 스크린) 내에 위치하고 그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내장(built-in) 컴포넌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외부에 위치하고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패키징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외부 컴포넌트(예를 들어,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과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경로를 공유하는 모니터, 프로젝터 등)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패키징 외부에 위치하고 그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될 때, 2개의 개별 컴포넌트, 즉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존재 감지 입력 컴포넌트(104) 및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컴포넌트(1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내의 하나 이상의 저장 컴포넌트(148)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동작 동안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서 실행되는 동안 모듈(126-136)에 의해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저장 컴포넌트(148)는 임시 메모리이며, 이는 저장 컴포넌트(148)의 주요 목적이 장기 저장이 아님을 의미한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상의 저장 컴포넌트(148)는 휘발성 메모리로 정보를 단기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원이 꺼진 경우 저장된 내용을 유지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의 예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및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형태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저장 컴포넌트(148)는 또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저장 컴포넌트(148)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컴포넌트(148)는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일반적으로 저장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컴포넌트(148)는 비-휘발성 메모리 공간으로서 정보의 장기 저장을 위해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 온/오프 사이클 후에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예로는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EPROM)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EEPROM) 형태가 있다. 저장 컴포넌트(148)는 모듈(126-128)과 관련된 프로그램 명령 및/또는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컴포넌트(148)는 모듈(126-128)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기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40)는 기능을 구현하고 및/또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관련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의 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보조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센서 허브, 및 프로세서, 처리(processing) 유닛, 또는 처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모듈(126-128)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다양한 액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40)에 의해 동작 가능(또는, 다시 말해서, 실행)될 수 있다. 즉, 모듈(126-128)은 실행 가능한 바이트코드(bytecode)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140)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에 따라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따라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수행할 특정 목적의 컴퓨터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서(140)로 하여금 모듈(126-128)에 기인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 컴포넌트(148)에 의해 저장된 명령들을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다. 명령들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때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로 하여금 저장 컴포넌트(148) 내에 정보를 저장하게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유사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242), 하나 이상의 입력 컴포넌트(244), 하나 이상의 출력 컴포넌트(246), 및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28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212-284)는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는 않더라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컴포넌트(112-184)와 유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또한 모듈(240-284)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 채널(250)을 포함한다. 통신 채널(250)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는 않더라도 위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 통신 채널(150)과 유사할 수 있다. 게다가, 저장 디바이스(284)는 OS(226) 및 OS 프로젝션 앱(228)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는 않더라도 각각의 OS(126) 및 OS 프로젝션 앱(128)과 유사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차량(vehicle) 내에 통합되거나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자전거, 세발 자전거, 외발 자전거, 자동차, 농기구(트랙터, 콤바인 등), 건설 장비(덤프 트럭, 크레인 등), 군용 차량 또는 장비(탱크, 군비 등), 트럭, 세미 트랙터(즉, 세미 트레일러), 항공 장비(예를 들어, 비행기), 해상 장비(예를 들어, 보트, 캐리어 등) 또는 기타 유형의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대시보드 또는 차량의 다른 컴포넌트에 통합된 차량 헤드 유닛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대안적으로 차량 헤드 유닛(102), 호스트 차량 헤드 유닛(102), 및/또는 메인 컴퓨팅 디바이스(102)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세서(140)는 OS(126)를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OS(126)가 OS(126)에 의해 제공되는 실행 환경 내에서 로컬 애플리케이션(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되지 않은 소위 "앱")이 로컬로(예를 들어, 저장 디바이스(18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완전한 기능을 갖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완전히 지정된(fully specified) OS라는 점에서 임베디드(embedded, 내장형) OS로 지칭될 수 있다.
OS(126)는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세서(140), 통신 유닛(142), 입력 컴포넌트(144), 출력 컴포넌트(146),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저장 디바이스(184)와 같은 기본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커널을 포함한다. 커널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지원하는 소위 사용자 공간과 분리된 소위 커널 공간(권한이 있는 OS 레벨 실행 환경을 지칭함)에서 실행할 수 있다. 커널은 기본 하드웨어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사용자 공간(및 그 안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한된 방식(예를 들어, 커널보다 적은 권한을 가짐)으로 커널 공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노출할 수 있다.
즉, OS(126)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의해 실행되는 OS(226)와 같은 별도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OS의 출력을 미러링하는 프로젝션, 캐스팅(casting) 또는 기타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씬(thin) 클라이언트를 나타내지 않는다. 대신에 OS(126)는 전술한 바와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의해 실행되는 동안 OS(226)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기보다는 애플리케이션의 로컬(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서) 실행을 용이하게 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또는 임의의 다른 별도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OS(226)와 별개인 전체 실행 환경을 제공한다.
(OS(126)를 지칭하는 또 다른 방식인) 임베디드 OS(126)의 이러한 맥락에서, OS(126)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또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이러한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PAN 링크를 지원하는 임의의 다른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PAN 링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S(126)는 PAN 스택을 OS(126)의 네이티브 기능으로 구현하여(즉, 커널 공간 내에서) OS(126)(및/또는 사용자 공간 내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및 잠재적으로 OS(126)에 의해 로컬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커널 API를 통해) PAN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PAN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OS(126)는 PAN 스택을 호출하는데, 이는 PAN 스택이 인입(incoming) 연결 요청을 수락하도록 통신 유닛(142)을 구성하는 검색(discovery)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차량의 운전자(operator)는 예를 들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OS(126)와 인터페이스하여 PAN 스택이 인입 연결 요청을 수락하도록 통신 유닛(142)(이는 다시 PAN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PAN 인터페이스(142)로 지칭됨)을 구성하는 검색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다음으로 OS(226)가 통신 유닛(242)(이것은 다시 PAN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PAN 인터페이스(242)로 지칭될 수 있음)을 구성하기 위해 유사한 PAN 스택을 호출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212)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인터페이스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본딩(즉, 페어링)하기 위해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페어링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212)를 통해 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선택을 통해) 페어링이 발생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또는 더 구체적으로, PAN 인터페이스(242))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또는 더 구체적으로, PAN 인터페이스(142))의 페어링은 PAN 인터페이스(142)와 PAN 인터페이스(242) 사이에 설정될 PAN 링크를 통한 통신을 암호화하거나 보안하는데 사용되는 보안 키의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페어링은 PAN 인터페이스(142)와 PAN 인터페이스(242) 사이의 반영구적 본딩(결합)을 초래하고, 이는 페어링이 사용자 승인을 받아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를 통해 명시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페어링됨을 의미한다. 이 페어링은 또한 사용자 계정과 관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계정은 이러한 사용자 계정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관련되지 않더라도 이 페어링이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OS(126)는 다수의 상이한 목적을 위해 PAN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페어링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126)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의해 발신된(originated) 셀룰러 음성 호출,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에 의해 발신된 음악 및 기타 오디오의 스트리밍 등을 위한 도관(conduit)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페어링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PAN 링크는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를 피하기 위해 낮은 대역폭 연결이므로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운영 체제의 프로젝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집약적 사용 사례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이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또는 배터리 또는 기타 제한된 전원에 의존하는 임의의 기타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전원 제한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 있다).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맥락에서, OS(126)는 OS 프로젝션 앱(128)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128)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같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젝션된 운영 체제와의 상호작용 및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128)은 프로젝션된 OS(비디오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의 시퀀스로서)를 수신하고 프로젝션된 OS와의 상호작용을 프로젝션된 OS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다시 반환하는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OS 프로젝션 앱(128)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사이의 저대역폭 통신을 위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사이의 PAN 연결을 먼저 설정하도록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운영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PAN 연결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위에서 언급한 보안 키의 교환을 통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인증하고,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도록 승인되었음을 설정할 수 있다. PAN 연결이 로컬(예를 들어, 30피트 이내)이기 때문에, PAN 연결은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도 로컬임을 보장할 수 있다.
PAN 연결을 설정한 후, OS 프로젝션 앱(128)은 차량의 탑승자에게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사이에 고대역폭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연결을 설정하도록 프롬프트할 수 있다. OS(126)는 기본적으로 WLAN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도록 통신 유닛(142)을 구성하기 위한 WLAN 스택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따라서 WLAN 인터페이스(142)로도 지칭될 수 있음). WLAN 인터페이스(14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제공되는 WLAN의 이름을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OS(226)는 또한 기본적으로 WLAN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도록 통신 유닛(242)을 구성하기 위한 WLAN 스택을 지원할 수 있다(여기서 통신 유닛(242)는 WLAN 인터페이스(242)로 지칭될 수 있음). 차량의 탑승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인터페이스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WLAN 인터페이스(142)와 WLAN 인터페이스(242) 사이의 WLAN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이 WLAN 연결은 이전에 설정된 PAN 연결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대역폭(예를 들어, PAN 연결의 경우 초당 11메가비트(Mbps) 대 초당 800킬로비트(Kbps))을 가질 수 있다.
PAN 연결 및 WLAN 연결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한 후, 탑승자는 OS 프로젝션 앱(128) 및 OS 프로젝션 앱(22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인터페이스하여 OS 프로젝션 앱(128)과 OS 프로젝션 앱(228) 사이의 프로젝션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OS 프로젝션 앱(128)과 마찬가지로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대한 OS(226)의 무선 프로젝션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OS(226)를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OS 프로젝션 앱(128)은 수신하여 OS(126)를 통해 탑승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에 제공한다.
종종 OS(126)는 오래되어 업데이트하기 어려운데, 특히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또한 업데이트하기 어렵고 및/또는 업 데이트 비용이 많이 드는 오래된(구식) 하드웨어를 가질 수 있다는 점(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대시보드 또는 차량의 다른 부분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에)에서 특히 그렇다, OS 프로젝션 앱(128)과 OS 프로젝션 앱(228) 사이에 설정된 프로젝션 세션을 통한 OS(226)의 프로젝션은 OS(226)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보다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고, 탑승자에게 추가 비용 없이 셀룰러 데이터를 제공하고,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도로, 교통 등의 측면에서 대부분 최신인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탐승자에게 보다 현대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오래된 하드웨어가 잘 실행할 수 없을 수 있는 컴퓨팅 요구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 사례를 더 잘 수용하는 보다 업데이트된 하드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OS(226)의 프로젝션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지만, 탑승자가 OS 프로젝션 앱(128)과 OS 프로젝션 앱(228) 사이의 프로젝션 세션을 구성하기 위해 PAN 연결 및 WLAN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탐색(navigate)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즉, OS(126)는 PAN 스택을 완전히 구현하지 않거나 PAN 스택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문제를 가질 수 있는 반면, OS(226)는 OS(126)에 의한 PAN 스택의 구현과 호환되지 않는 업데이트된 PAN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PAN 스택을 잘 구현하더라도, 여기에는 OS(126) 및 OS(226)의 PAN 스택이 구현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탐색하기 어려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OS(226)를 프로젝션하는 기능을 잠재적으로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에 따르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차량에서 운영 체제 프로젝션을 위한 자동화된 무선(예를 들어, WLAN)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 문제, 사용자 오류, 신호 저하, 호환되지 않는 PAN 구현 등에 취약할 수 있는 PAN 연결을 설정하는 대신,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무선 디바이스간(inter-device)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호스팅되는 WLAN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또는 다른 탑승자 디바이스)가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호스팅되는 WLAN을 통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의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QR 코드의 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WLAN 연결을 설정한 후,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OS(226)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동작시,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WLAN 제공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WLAN의 SSID 및 WL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QR 코드에 임베딩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OS 프로젝션 앱(128)은 OS(126)를 통해 탑승자에 의해 호출되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QR 코드(130)를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는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QR 코드(130)의 프리젠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OS 프로젝션 앱(228) 또는 QR 코드(130)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일부 다른 앱(예를 들어, QR 코드 판독기 앱, 카메라 앱 등)을 호출할 수 있다. QR 코드(130)가 캡처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OS 프로젝션 앱(228)은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QR 코드(130)를 디코딩할 수 있다.
QR 코드(130)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바코드, 그래픽,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연결 정보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시각적 표현이 디스플레이되고 캡처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정보의 시각적 표현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는 근거리 통신(NFC) 통신 세션, 초광대역(UWB) 통신 세션, 또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로컬(예를 들어, 30피트 이내) 무선 통신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 간 통신 프로세스는 승인되지 않은 주변 사람이 디바이스 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WLAN에 자동으로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로컬로 유지될 수 있다.
여하튼, OS 프로젝션 앱(228)은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제공되는 WLAN에 대한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QR 코드(130)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위에서 언급한 프로젝션 세션을 호스팅하는 서버(예를 들어, OS 프로젝션 앱(12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됨)와 연관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OS 프로젝션 앱(228)은 또한, WLAN 연결을 통해 그리고 서버와 연관된 포트 및 IP 주소에 기초하여, WLAN 연결을 통해 서버(이는 다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OS 프로젝션 앱(1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와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WLAN 연결을 통해 설정된)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OS(226)(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OS(226)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양한 규정을 수용하도록 다르게 포맷될 수 있음)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일단 OS(226)가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에 의해 프로젝션되고 디스플레이되면, 탑승자는 OS(226)와 인터페이스하여 앱을 시작(launch)하고, 알림을 수신하고,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를 통해) 알림에 응답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128)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수신하고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OS 프로젝션 앱(228)에 이러한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이러한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OS(226)를 적응시켜 다양한 상호작용을 반영하도록 OS(226)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업데이트된 OS(226)를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OS 프로젝션 앱(128)에 다시 프로젝션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128) 및 OS 프로젝션 앱(228)은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하여 OS(226)의 프로젝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PAN 연결을 설정하는데 수반되는 복잡한 페어링 프로세스에 의지할 필요 없이 OS(226)를 프로젝션할 목적으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의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의 PAN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PAN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 오류, (예를 들어, 간섭으로 인한) 연결 문제, 잘못되거나 호환되지 않는 구현 등에 영향을 받기 쉬운 다수의 상이한 단계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 PAN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은 OS 226의 무선 프로젝션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반복적인 시도는 프로세서 사이클, 메모리 저장 공간, 메모리 버스 대역폭, 및/또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 버스 및 무선 라디오의 작동과 관련된 전력과 같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상당한 컴퓨팅 리소스를 소비할 수 있다. 잠재적으로 더 우수하고 더 확립된 WLAN 연결(예를 들어, IEEE - 802.11 호환 WLAN 표준)을 설정하기 위해 보다 직접적인 QR 코드 130을 선호하여 PAN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회피하거나 자제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동작 자체가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자동화된 무선 접속 기술의 다양한 양태를 수행함에 있어서 도 1의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에 의해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A)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300A)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A-302E)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A)은 탑승자가 셀룰러 전화를 걸 수 있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B)은 탑승자가 차량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C)은 탑승자가 목적지를 선택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길찾기를 수신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Nav")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D)은 탑승자가 텍스트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를 리뷰하고 보낼 수 있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은 OS(226)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프로젝션하는 OS 프로젝션 앱(128)을 나타낸다.
도 2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같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현재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은 비활성화되거나 회색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을 인에이블하기 전에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가 PAN 연결과 WLAN 연결 모두를 통해 연결될 것을 요구하는 대신, 사용자 인터페이스(300A)는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전에 PAN 연결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을 인에이블 및 활성화 상태로 제시한다.
대신, 탑승자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을 선택할 때, OS(1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B)로 전환하는 OS 프로젝션 앱(128)을 호출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300B)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130)를 제시한다. 그런 다음 탑승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인터페이스하여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QR 코드(130)의 스캔을 수행할 수 있는 OS 프로젝션 앱(228)을 로드함으로써 QR 코드(130)에 내장된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정보는 또한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예를 들어, 서버의 IP 주소 및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정보는 PAN 연결과 같은 다른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탑승자는 PAN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페어링하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피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 관리자를 식별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OS(126)에 의해 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것 및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사이에 P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디바이스 관리자에 의해 제시된 명령을 따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페어링 프로세스는 또한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의 P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OS(226)에 의해 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탑승자는 OS 프로젝션 앱(228)을 통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의 OS 프로젝션 앱(128)으로 무선으로 OS(226)를 프로젝션하기 시작하기 위해 OS 프로젝션 앱(128)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추가 단계는 잠재적으로 차량을 작동하는 동안 탑승자가 주변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탑승자와 근처의 사람 및/또는 기타 차량 모두에게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와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사이의 연결을 원활하게(seamlessly) 자동화함으로써 산만함을 줄이며, 여기서 탑승자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을 선택한 다음 무선 OS 프로젝션이 시작되기 전에 QR 코드(130)를 스캔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인터페이스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에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 및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둘 모두의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은 산만함을 감소시켜 차량의 보다 안전한 작동을 촉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자동화된 무선 접속 기술들의 다양한 양태를 수행함에 있어서 도 1의 예에 도시된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는 차량에서 운영 체제 프로젝션을 위한 자동화된 무선(예를 들어, WLAN)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 문제, 사용자 오류, 신호 저하, 비호환성 PAN 구현 등에 취약할 수 있는 PAN 연결을 설정하는 대신,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가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호스팅되는 WLAN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의 OS(126)는 OS 프로젝션 앱(128)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여기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은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로 표시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A)를 제시할 수 있다(400). OS(126)는 OS(126)로 하여금 OS 프로젝션 앱(128)을 호출하게 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302E)의 선택(차량 탑승자에 의해)을 수신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128)은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QR 코드(130(40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B)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탑승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인터페이스하여 OS 프로젝션 앱(228)을 호출할 수 있으며(404), 이는 위에서 언급된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QR 코드(130)를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06).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전용 QR 코드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QR 코드(130)를 스캔하기 위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로부터 그리고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즉, 이 예에서 QR 코드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WLAN 제공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WLAN의 SSID 및 WL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QR 코드에 임베딩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OS 프로젝션 앱(228)은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의해 제공되는 WLAN에 대한 WLAN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408). 일부 예에서, QR 코드(130)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정보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위에서 언급된 프로젝션 세션을 호스팅하는 서버(예를 들어, OS 프로젝션 앱(12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됨)와 관련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OS 프로젝션 앱(228)은 또한 WLAN 연결을 통해 그리고 서버와 관련된 IP 주소 및 포트에 기초하여, WLAN 연결을 통해 서버(OS 프로젝션 앱(12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시 구현될 수 있음)와의 프로젝션 세션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410).
OS 프로젝션 앱(228)은 또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PAN 연결(핸즈프리 프로파일(HFP)에 사용될 수 있음)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412). 즉, 연결 정보는 차량 헤드 유닛을 식별하는 PAN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차량 헤드 유닛(102)을 식별하는 PAN MAC 주소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차량 헤드 유닛(102) 사이의 PAN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PAN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하도록 통신 유닛(242)을 구성할 수 있다.
OS 프로젝션 앱(228)은 (WLAN 연결을 통해 설정된)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OS(226)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다양한 규정을 수용하도록 다르게 포맷될 수 있고 차량 운영 체제를 나타낼 수 있는) OS(226)를 호스트 컴퓨팅 디바이스(102)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414). OS 프로젝션 앱(128)은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수신하고 존재 감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OS(226)를 제시할 수 있다(416).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다음의 예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 1.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 예 1에 있어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예 3. 예 1에 있어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4. 예 1에 있어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초광대역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5. 예 1 내지 예 4의 임의의 조합에 있어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차량 헤드 유닛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6. 예 1 내지 예 5의 임의의 조합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예 7. 예 6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젝션된 차량 운영 체제를 수용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그리고 차량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헤드 유닛에 대한 개인 영역 MAC 주소를 포함한다.
예 8. 예 7에 있어서,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설정된 서버와의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9. 예 1 내지 예 8의 임의의 조합에 있어서,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0. 예 9에 있어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예 11. 컴퓨팅 디바이스는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연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 12. 예 1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예 13. 예 1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 14. 예 1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초광대역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 15. 예 11 내지 예 14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차량 헤드 유닛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예 16. 예 11 내지 예 15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예 17. 예 16에 있어서, 연결 정보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젝션된 차량 운영 체제를 수용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한다.
예 18. 예 17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고;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설정된 서버와의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된다.
예 19. 예 11 내지 예 18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들은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하드웨어 기반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tangible)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2) 신호 또는 반송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의 구현을 위한 명령,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를 검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함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명령들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 서버 또는 기타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그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데이터 저장 매체는 연결, 반송파, 신호 또는 기타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대신 비-일시적 유형의 저장 매체에 관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된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에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울트라 블루레이 등이 포함되며, 여기서 디스크(disk)는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위의 조합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FPGA), 또는 기타 등가의 집적 또는 이산 논리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된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전술한 구조 또는 설명된 기술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임의의 다른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설명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술은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논리 요소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IC) 또는 IC 세트(예를 들어, 칩 세트)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 모듈, 또는 유닛은 개시된 기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의 기능적 양태를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설명되지만, 반드시 다른 하드웨어 유닛에 의해 실현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위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상호 운용되는 하드웨어 유닛의 집합 또는 하드웨어 유닛에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예가 설명되었다. 이들 및 기타 예는 다음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차량 헤드 유닛에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초광대역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차량 헤드 유닛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젝션된 차량 운영 체제를 수용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차량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헤드 유닛에 대한 개인 영역 MAC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설정된 서버와의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연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QR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초광대역 통신 세션을 통해,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차량 헤드 유닛과 개인 영역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젝션된 차량 운영 체제를 수용하기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버와 관련된 포트 및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에 의해 제시되는 서버와 프로젝션 세션을 설정하고;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설정된 서버와의 프로젝션 세션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도록 구성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는 프로젝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20.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차량 헤드 유닛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차량 헤드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차량 헤드 유닛에 차량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0135093A 2021-10-29 2022-10-19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 KR20230062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52,848 US20230138858A1 (en) 2021-10-29 2021-10-29 Automated wireless connection for operating system projection in vehicles
US17/452,848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86A true KR20230062386A (ko) 2023-05-09

Family

ID=8369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093A KR20230062386A (ko) 2021-10-29 2022-10-19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38858A1 (ko)
EP (1) EP4175256A1 (ko)
JP (1) JP2023067798A (ko)
KR (1) KR20230062386A (ko)
CN (1) CN115576515A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7720B (zh) * 2011-09-12 2016-08-24 爱尔比奎特公司 集成了手机应用代理(hap)的移动集成平台(mip)
US9116563B2 (en) * 2011-10-28 2015-08-25 Honda Motor Co., Ltd. Connecting touch screen phones in a vehicle
US9155026B2 (en) * 2012-01-10 2015-10-06 Htc Corporatio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9144094B2 (en) * 2012-10-29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wireless display sess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vehicle head unit
US9471697B2 (en) * 2012-12-27 2016-10-18 Intel Corporation URI-Based host to mobile device setup and pairing
GB2516377A (en) * 2014-07-17 2015-01-21 Daimler Ag Method for identifying a user of a vehicle
US9641960B2 (en) * 2014-11-12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MirrorLink with wireless serial bus
CN107211242B (zh) * 2015-02-08 2020-10-23 苹果公司 车内无线通信
KR102455986B1 (ko) * 2018-01-08 202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연결시스템 및 그 연결방법
US20210392054A1 (en) * 2020-06-11 2021-12-16 Darren David Remote controlled information displa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5256A1 (en) 2023-05-03
JP2023067798A (ja) 2023-05-16
US20230138858A1 (en) 2023-05-04
CN115576515A (zh)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59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926452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10204127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9247005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car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372537B2 (en) Image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585184B1 (en) Using multiple wireless connections
US9561750B1 (en) Communicating an alert notification to a particular vehicle
US11131557B2 (en) Full-vision navigation and positioning method,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device
EP4213026A1 (en) Fault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terminal
EP4220627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433768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2300074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ing data between computing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KR20230062386A (ko) 차량의 운영 체제를 프로젝션하기 위한 자동화된 무선 연결
US11395356B1 (en) User account aware personal area network bonding
EP4020936B1 (en) Switchable communication trans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CN117479344B (zh) 一种蓝牙连接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479344A (zh) 一种蓝牙连接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4194521A1 (en) Application framework for multiple device interactions
KR201300944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