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177A -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177A
KR20230062177A KR1020210147175A KR20210147175A KR20230062177A KR 20230062177 A KR20230062177 A KR 20230062177A KR 1020210147175 A KR1020210147175 A KR 1020210147175A KR 20210147175 A KR20210147175 A KR 20210147175A KR 20230062177 A KR20230062177 A KR 2023006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ptom
user
information
terminal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이기춘
주용택
Original Assignee
(주)연합안전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합안전컨설팅 filed Critical (주)연합안전컨설팅
Priority to KR102021014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177A/en
Publication of KR2023006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1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5Toxicology, e.g. by detection of alcohol, drug or toxic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6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using biological or physiological data of a human being, e.g. blood pressure, facial expression,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과 사용자가 음성으로 대화하여 생성한 음성대화와,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생성한 신체정보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을 센싱하여 생성한 환경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수집 단계, 서버가 상기 음성대화 신체정보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 단계, 서버가 상기 인식한 증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화학물질 추정 단계, 및 상기 증상 인식 단계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 화학물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oice conversation generated by voice convers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user, bod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sensing the user's body, and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re provided. Information collection step provided to the server, symptom recogni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recognizes symptoms appearing on the user's body based on the voice conversation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hemical exposure to the user's body based on the recognized symptoms by the server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of estimating a substance, and a ques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when a symptom is not determined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or a chemical substance is not determined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estimate the chemical substances exposed to the user by providing a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s, a terminal and a server that performs the same.

Description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nd a terminal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산업현장, 가정, 실험실, 다중이용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임의의 화학 물질이 유출되어 인체에 접촉하였을 때 또는 접촉이 의심될 때, 접촉한 화학물질을 빠르게 찾아내어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인체는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증상을 나타낸다. 화학 물질은 그 종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위험도가 다르고, 화학 물질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다르다. 따라서 인체가 접촉한 화학 물질이 무엇인지 추정하고 화학 물질에 따라 다른 대응이 필요하다. When random chemical substances are leaked from various places such as industrial sites, homes, laboratories, and multi-use facilities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human body or when contact is suspected, it is necessary to quickly find and deal with the contacted chemicals. The human body exhibits various types of symptoms when exposed to chemicals. Chemical substances have different levels of risk to the human body depending on their types, and specific methods for responding to chemical substances are also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what chemicals the human body has come into contact with and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emicals.

KRKR 10-1957382 10-1957382 B1B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신체에 착용하는 단말 또는 산업현장에 설치된 단말을 이용하여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인식하고, 증상에 기반하여 인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무엇인지 추정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appearing in the human body using a terminal worn on the body or a terminal installed at an industrial site, and estimating what chemical substances are exposed to the human body based on the symptoms, It is for providing a terminal and a ser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은, 단말과 사용자가 음성으로 대화하여 생성한 음성대화와,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생성한 신체정보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을 센싱하여 생성한 환경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수집 단계, 서버가 상기 음성대화 신체정보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 단계, 서버가 상기 인식한 증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화학물질 추정 단계, 및 상기 증상 인식 단계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oice conversation generated by voice convers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user, body information generated by a terminal sensing a user's body,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o the server; symptom recognition step of the server recognizing symptoms displayed on the user's body based on the voice conversation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of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user's body based on the recognized symptom, and when the symptom is not determined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or the chemical substance is not determined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A ques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음성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입력받는 음성대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 제공하는 신체 센싱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배치된 단말이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 제공하는 환경 센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a voice conversation step of receiving symptoms appearing on the user's body through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and generating body information by sensing the user's body by the terminal worn on the user's body. and a body sensing step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n environment sensing step of gener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by sens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located by a terminal worn on the user's body or a terminal disposed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can do.

또한, 상기 음성대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사용자 사이에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자신이 인지한 신체의 증상을 상기 단말에 음성으로 말하면서 음성대화가 시작되거나, 상기 단말이 센싱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하고 상기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하면서 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conversation step can be performed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and the voice conversation starts while speaking the symptoms of the body recognized by the user to the terminal, or the body sensed by the terminal. The server may analyze the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tart by asking a user a question through the terminal by voice.

또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서버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상기 항목에 따른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1 범위 판단단계, 서버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마다 시간순서대로 수집한 값을 트렌드로 생성하는 트렌드 생성단계, 및 상기 트렌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예상범위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비교하고, 상기 예상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2 범위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mptom recognizing step is a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compares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with reference ranges according to the item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y are out of the standard range. A trend generation step of creating a trend with value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expected range obtained using the trend with the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 and a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xpected range is out of the range.

또한, 상기 질문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범위 판단단계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에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includ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 is out of the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inquir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an item out of the range. can include

또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서버가 상기 음성대화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단계, 상기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증상판단 단계, 상기 음성 대화 및 상기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비언어적 표현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2 증상판단 단계, 및 상기 제1 증상판단 단계 또는 제2 증상판단 단계에서 증상이 인식되거나 증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증상의 존부를 확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mptom recognizing step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step of generating a text sentence by recognizing a voice included in the voice conversation by the server,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that can be expressed in language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text sentence. 1 symptom determination step, a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recognizing a non-verbal expression by analyzing the voice conversation and the text sentence and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user's body, and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In case the symptom is recognized or the symptom is not recognized, a symptom confirm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ymptom exist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상기 제1 범위 판단단계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에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질문 생성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항목 판단 단계, 및 상기 항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위급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ymptom recogniz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is out of range, prior to performing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tem out of the range is included in an emergency categor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step, and a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a symptom related to the urgent item exists when an item out of the range is included in the emergency item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또한, 상기 질문 생성 단계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에서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may inclu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asking whether a symptom related to the item out of the range exists. , and generating a second type of question for confirming whether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exists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can include

또한,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는 화학물질 및 상기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검색하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로 추정되는 물질이 기준 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하나 이상의 화학물질을 최종 노출 화학물질로 결정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mical estimating step is to determine the chemical substance causing the symptoms appearing in the user's body by using a symptom database including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the chemical substance and symptoms appearing when the chemical substance is exposed to the body. It may include a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of searching, an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one or more chemical substances with a high probability as the final exposed chemical substance when the number of substances estimated to be chemicals causing symptoms in the user's body is smaller than a reference number.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말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와 음성으로 질문과 답변을 수행하여 서버에 제공하도록, 상기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a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spoken by a user by voice, and a voice output unit that outputs a question to the user by voice.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oice input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to perform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user by voic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또한, 상기 질문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상기 서버에서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er analyz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symptoms related to the item outside the range exist. A first type of question asking whether a symptom is expected to appear in the server, and a second type of question asking whether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exists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in the server. Any one of thes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답변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판단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swer may inclu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r conten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ymptom exists in the user's body as the user's judg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신체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 센서부, 및 상기 신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a body and estimating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sensor unit that senses the user's body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sens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It may include an environment sensor unit that generates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and provides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a ser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정해진 주기마다 측정하고, 상기 질문과 답변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정해진 주기보다 짧은 주기마다 측정하도록 상기 신체 센서부와 환경 센서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body sensor unit and the environment sensor unit to measure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o measure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t interval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period while the question and answer are in progress.

또한, 상기 단말은 신체에 착용가능한 장치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영역을 이동하는 로봇으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공간에 배치되는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implemented as a robot that moves in a predetermined area, or implemented as a facility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정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의 환경정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단말의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부, 화학물질 및 상기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증상 인식부에서 인식한 증상을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을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정하고, 추정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최종 노출된 화학물질을 결정하는 물질 추정부, 및 상기 증상 인식부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물질 추정부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performing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 symptom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symptoms by analyzing voice conversations, a symptom database including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chemicals and symptoms that appear when the chemical is exposed to the body, and generating symptoms recognized by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A substance estimator that searches and estimates the symptom database for chemicals to be ordered, and determines the final exposed chemicals in order of probability when the number of estimated chemical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and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detects symptoms A question generator may be included to generate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when the determination is not made or the substance estimator fails to determine the chemical substance.

또한, 상기 증상 인식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기준범위 또는 트렌드를 이용하여 예측한 예측범위와 비교하여,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질문 생성부에 질문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음성대화를 텍스트 문장으로 인식하고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 또는 비언어적 표현으로 인식가능한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compares the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with a reference range or a predicted range predicted using a trend, and requests the question generator to generate a ques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side the rang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body by recognizing the voice conversation as a text senten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that can be expressed in language or a symptom that can be recognized as a non-verbal expression.

또한, 상기 질문 생성부는 상기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inquires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the item out of range. Generating any one of a first type of question and a second type of question for confirming whether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is present in relation to a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하는 단말 또는 산업현장에 설치된 단말로부터 신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와 음성대화를 수행하여 증상을 인식하므로,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므로, 증상에 기반하여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re collected from a terminal worn on the body or a terminal installed in an industrial field, and symptoms are recognized by perform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a user, symptoms appearing on the body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chemical exposure of the body based on sympto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증상 인식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화학물질 추정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이용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의 지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server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each step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performed by a terminal and a server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in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in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knowledge graph of a symptom database used in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no. Hereinaft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 및 서버(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2 is a diagram showing a terminal 100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은 '단말(100)'이라고 간단히 기재할 수 있고,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200)는 '서버(200)'라고 간단히 기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물질(Chemical substance)은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증상을 발생시키는 물질들, 신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물질들, 및 기타 다양한 화학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al 100 that performs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s can be simply described as 'terminal 100', and performs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s. The server 200 that does can be simply described as 'server 200'. In this specification, a chemical substance may include substances that cause symptoms when exposed to the body, substances that may harm the body, and various other chemical substances.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임의의 화학물질과 사용자(10)가 하나의 장소에 존재할 때, 사용자(10)가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A에 화학물질 A, 화학물질 B, 화학물질 C와 사용자(10)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화학물질 A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10)의 신체에는 화학물질 A에 의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반응들을 포함하며, 냄새, 발열, 눈따가움, 호흡곤란, 심장 박동 증가 등 다양한 증상들을 포함할 수 있고, 불꽃, 연기,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용기의 파손이나 누액 등 주변 환경(40)에 미치는 영향도 포함할 수 있다. See Figures 1, 2, and 3. When certain chemicals and the user 10 are present in one place, there may be a risk that the user 10 is exposed to the chemicals. For example, chemical substance A, chemical substance B, chemical substance C and the user 10 may exist in place A. When the user 10 is exposed to chemical substance A, symptom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 A may occur in the body of the user 10 . Symptoms include reactions in the body of the user 10, and may include various symptoms such as odor, fever, stinging eyes, shortness of breath, increased heart rate, flames, smoke, visually confirmed container damage or leakage. The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40 may also be included.

사용자(10)는 장소 A에 배치된 단말(100)과 음성대화를 수행하여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단말(10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200)에 음성대화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신체정보는 체온, 혈압, 맥박, 근전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환경정보는 기온, 습도, 기압, 가스누출, 연기발생, 진동, 기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음성대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10)가 노출된 화학물질이 무엇인지 추정할 수 있다. The user 10 may perform a voice conversation with the terminal 100 disposed in place A, and input symptoms appearing in the body to the terminal 100 . Th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voice conversa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20 . The terminal 100 may sense the body of the user 10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200 . The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electromyography, and the like. The terminal 100 may sense the environment 40 of the pl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200 .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gas leakage, smoke generation, vibration, and inclination. The server 200 may estimate what chemicals the user 10 is exposed to by analyzing voice conversations,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서버(200)는 추정된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 및 대응기관(30)에 제공할 수 있고, 단말(100)은 음성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사용자(10)가 노출된 화학물질의 종류, 대응방법 등을 알릴 수 있다. 대응기관(30)은 화학물질의 누출사고 발생시 대처에 필요한 소방서, 병원, 경찰서, 구청, 시청, 그 밖의 행정기관, 산업현장의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chemical substance to the terminal 100 and the responding agency 30, and the terminal 100 may provide the user 10 with a voice message to the chemical substance the user 10 is exposed to. The type of substance, response method, etc. can be informed. The response agency 30 may include a fire station, a hospital, a police station, a ward office, a city hall,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managers of industrial sites, and the like necessary to cope with a chemical leakage accident.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은 각각 같거나 다른 증상을 발생시키고, 사용자(10)가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증상을 알고 있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10)가 자신이 어떤 화학물질에 노출되었는지 즉시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가 어떤 화학물질에 노출되었는지 모르더라도, 단말(100)과 음성대화를 수행하여 사용자(10)가 노출된 화학물질의 종류, 대응방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In general, since each chemical causes the same or different symptoms,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user 10 to know the symptoms for all chemical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10 to immediately determine which chemical he or she has been exposed to. diffic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10 does not know what chemical substance he has been exposed to, by performing a voice conversation with the terminal 100, the user 10 will be guided to the type of chemical substance to which he is exposed, how to respond, and the like. can

단말(100)은 하나의 장소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A에 단말(100) A와 단말(100) B가 배치될 수 있다. 장소는 산업 시설, 공사 현장, 실험실, 다중이용시설 등 다양한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장소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대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분석하고 증상을 인식하며 화학물질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100)과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may be disposed in one place. For example, terminal 100 A and terminal 100 B may be disposed in place A. The place may include various places such as industrial facilities, construction sites, laboratories, and multi-use facilities. The server 200 may analyze voice conversations,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respectively dispos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recognize symptoms, and estimate chemical substances.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or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20 .

도 2를 참조한다. 단말(100)은 신체에 착용가능한 장치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영역을 이동하는 로봇으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공간에 배치되는 장비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100)은 신체에 착용가능한 착용형 단말(100A)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단말(100A)은 헬멧 단말(100A1), 조끼 단말(100A2), 스마트워치 단말(100A3)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단말(100A)은 벨트, 목걸이, 안경, 신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100)은 비착용형 단말(100B)을 포함할 수 있다. 비착용형 단말(100B)은 산업현장의 정해진 장소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에어컨 등의 설비나, 산업현장의 벽에 설치된 가스센서, 온도센서 등의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를 포함하는 고정형 단말(100B1), 정해진 경로 또는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로봇이나 드론 등 이동형 단말(100B2)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ee Figure 2. Th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wearable on the body, implemented as a robot that moves in a predetermined area, or implemented as equipment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wearable terminal 100A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The wearable terminal 100A may include a helmet terminal 100A1, a vest terminal 100A2, and a smart watch terminal 100A3. The wearable terminal 100A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lts, necklaces, glasses, and shoes.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non-wearable terminal 100B. The non-wearable terminal (100B) is a fixed type including facilities such as air purifiers, humidifiers, air conditioners, etc., which are placed in designated places in industrial sites, or existing facilities such as gas sensors and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on the walls of industrial site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bile terminal 100B2, such as a terminal 100B1, a robot or a drone that moves on a predetermined path or autonomously.

도 3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은, 사용자(10)가 음성으로 말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110), 사용자(10)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20), 및 사용자(10)와 음성으로 질문과 답변을 수행하여 서버(200)에 제공하도록, 음성 입력부(110) 및 음성 출력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신체 센서부(150), 및 사용자(10)가 위치한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버(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160), 단말(100)이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See FIG. 3 . The terminal 100 performing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input unit 110 that receives information spoken by a user 10 by voice, and a user 10 ) to a voice output unit 120, and a voice input unit 110 and a voice output unit 120 to perform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user 10 by voice and provide them to the server 200.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includes a body sensor unit 150 that senses the body of the user 10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 sensor unit that senses the environment 40 in which the user 10 is located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140).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20,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 terminal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program codes and other data may be included.

음성 입력부(110)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10)는 사용자(10)가 음성으로 입력하는 문장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을 단말 통신부(160)를 통해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2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질문 또는 알림을 음성 출력부(120)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voic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microphone. The voice input unit 110 may convert a sentence input as voice by the user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voice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10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 The audio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speaker. The control unit 130 may convert the question or notific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into voice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20 and provide it to the user 10 .

여기에서, 상기 질문은 서버(200)에서 사용자(10)의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서버(200)에서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question is, when the server 200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user 10 and determines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item outside the range. In relation to a first type of question inquiring whether there are symptoms related to, and a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250 in the server 200, there are symptoms that are not expected to appear or symptoms that are expected to appear It may include any one of the second type of questions confirming whether or not.

여기에서, 답변은 질문에 대한 답변이거나 또는 사용자(10)의 판단으로서, 사용자(10)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의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10)는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답변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단말(100)의 질문이 없더라도, 사용자(10) 자신의 판단에 따라 신체에 증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단말(100)에 말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된 답변을 서버(200)로 제공하고, 서버(200)는 답변을 분석하여 증상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고, 증상을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Here, the answer is an answer to a question or a judgment of the user 10, and may include content confirming whether symptoms exist in the body of the user 10.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terminal 100, the user 10 may answer whether symptoms exist in the body. The user 10 may tell the terminal 100 that a symptom exists in the body according to the user 10's own judgment even if the terminal 100 does not ask a question. The terminal 100 provides an answer input from the user 10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analyzes the answer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symptoms and performs a process of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that causes the symptoms. can start

환경 센서부(14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140)에 포함된 센서는 가스센서, 연기센서, 카메라, 마이크, 온도센서, 광센서, 압력센서, 진동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140)는 단말(100)이 위치한 장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140)는 센서의 측정값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환경 센서부(140)로부터 수신하는 측정값을 통하여 장소의 환경(40)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Sensors included in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 gas sensor, a smoke sensor, a camera, a microphone, a temperature sensor, an optical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vibration sensor.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may monitor a place where the terminal 100 is located.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provid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ct a change in the environment 40 of the place through a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

제어부(130)는 상기 환경 센서부(140)가 인식한 변화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버(200)에 상기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부(140)가 포함하는 가스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수치보다 높은 경우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서버(200)에 센서의 종류(가스센서)와 측정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to the server 200 when the change recogniz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140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as sensor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sensor unit 14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recognized that a change has occurred and the type of sensor (gas sensor) and measured valu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server 200. there is.

신체 센서부(15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센서부(150)에 포함된 센서는 온도센서, 혈압센서, 근전도센서, 맥박센서,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센서부(150)는 사용자(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경 센서부(140)는 센서의 측정값을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신체 센서부(150)로부터 수신하는 측정값을 통하여 신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The body sensor uni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Sensors included in the body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blood pressure sensor, an EMG sensor, a pulse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The body sensor unit 150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user 10 .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provid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ct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body through a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body sensor unit 150 .

제어부(130)는 신체 센서부(150)가 인식한 변화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버(200)에 상기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센서부(150)가 포함하는 온도센서가 측정하는 사용자(10)의 체온이 정해진 수치보다 높은 경우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서버(200)에 센서의 종류(온도센서)와 측정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to the server 200 when the change recognized by the body sensor unit 150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if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cluded in the body sensor unit 15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recognized that a change has occurred, and the type of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measurement value are sent to the server 200. Valu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제어부(130)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정해진 주기마다 측정하고, 질문과 답변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정해진 주기보다 짧은 주기마다 측정하도록 신체 센서부(150)와 환경 센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해진 주기마다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100)이 음성대화를 수행하는 중이라면, 정해진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신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성대화가 진행 중인 것은 환경(40)이나 신체에 변화가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자주 측정하여 서버(200)에 제공함으로써, 증상을 인식하거나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것을 돕고, 화학물질의 추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body sensor unit 150 and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to measur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cycles, and during questions and answers, at interval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cycle.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terminal 100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rovide them to the server 200 . If the terminal 100 is performing a voice conversation,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t a shorter cycle than a predetermined cycle and provide the generated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 The fact that the voice conversation is in progress means that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environment 40 or the body.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frequently measures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thereby helping to recognize symptoms or estimating chemicals, and increasing the accuracy of estimating chemicals.

단말(100)은 음성 입력부(110), 음성 출력부(120), 신체 센서부(150), 환경 센서부(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제어부(130), 단말 통신부(160), 단말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에 착용가능한 착용형 단말(100A)은 신체 센서부(150), 제어부(130), 단말 통신부(160), 단말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입력부(110), 음성 출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단말(100A)은 신체에 착용되어, 신체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10)와 대화하여 음성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착용형 단말(100A)은 환경 센서부(14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10)가 위치한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erminal 1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voice input unit 110, a voice output unit 120, a body sensor unit 150, and an environment sensor unit 140, a control unit 13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and terminal storage. A portion 170 may be included. The wearable terminal 100A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may include a body sensor unit 150, a control unit 13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terminal storage unit 170, and may include a voice input unit 110 and a voice output unit. (12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wearable terminal 100A may be worn on the body, sense the body using the body sensor unit 150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generate a voice conversation by talking to the user 10 . The wearable terminal 100A may further include an environment sensor unit 140 to sense the environment 40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비착용형 단말(100B) 중에서, 정해진 장소에 설치되는 고정형 단말(100B1)은 공기청정기, 가습기, 에어컨 등의 설비나, 벽면에 설치된 가스센서, 온도센서 등의 기존 센서에 환경 센서부(140), 제어부(130), 단말 통신부(160), 단말 저장부(17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형 단말(100B1)은 음성 입력부(110), 음성 출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단말(100B1)은 정해진 장소의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정해진 장소에 진입한 사용자(10)와 대화하여 음성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 Among the non-wearable terminals (100B), the fixed terminal (100B1) installed in a designated place is an environmental sensor unit (140) in existing sensors such as air purifiers, humidifiers, and air conditioners, or gas sensors and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on walls. , A control unit 13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terminal storage unit 17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xed terminal 100B1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input unit 110 and an audio output unit 120 . The fixed terminal 100B1 may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by sensing the environment 40 of a predetermined place, and may generate a voice conversation by conversing with the user 10 entering the predetermined place.

비착용형 단말(100B) 중에서, 이동형 단말(100B2)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로봇이나, 드론, 자율적으로 정해진 공간을 순회하는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단말(100)은 환경 센서부(140), 제어부(130), 단말 통신부(160), 단말 저장부(17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동형 단말(100)은 음성 입력부(110), 음성 출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단말(100)은 이동 중에 사용자(10)와 대화하여 음성대화를 생성하거나, 이동하는 장소의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mong the non-wearable terminals 100B, the mobile terminal 100B2 may include a robot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a drone, or a robot autonomously travers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environment sensor unit 140, a control unit 13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and a terminal storage unit 17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input unit 110 and an audio output unit 120 .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reate a voice conversation by conversing with the user 10 while moving, or can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by sensing the environment 40 of the moving pl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10)의 신체정보, 사용자(10)가 위치한 환경(40)의 환경정보, 사용자(10)와 단말(100)의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부(210),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250), 및 증상 인식부(210)에서 인식한 증상을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을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를 검색하여 추정하고, 추정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최종 노출된 화학물질을 결정하는 물질 추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performing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10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he location of the user 10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for recognizing symptoms by analyz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 40 and the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10 and the terminal 100, learning chemicals and symptoms that appear when the body is exposed to chemicals The symptom database 250 including the generated knowledge graph, and chemicals that cause the symptoms recognized by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are searched and estimated from the symptom database 250, and the number of estimated chemicals is the reference number If it is smaller than the probability, it may include a substance estimator 230 for determining the finally exposed chemical in order of high probability.

증상 인식부(210)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기준범위 또는 트렌드를 이용하여 예측한 예측범위와 비교하여,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질문 생성부(220)에 질문 생성을 요청하고, 음성대화를 텍스트 문장으로 인식하고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 또는 비언어적 표현으로 인식가능한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compares the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with a reference range or a predicted range predicted using a tren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nge is out of range, the question generator 220 generates a ques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body by requesting a voice conversation as a text senten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that can be expressed in language or a symptom that can be recognized as a non-verbal expression.

질문 생성부(220)는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The question generation unit 220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 system for inquir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the item out of the range.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first type question and the symptom database 250, any one of the second type questions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is present. can creat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물질 추정부(230)에서 결정된 화학물질에 관한 정보를 단말(100) 또는 대응기관(30)에 전달하는 알림 제공부(240), 네트워크(20)를 통해 단말(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260), 서버(200)가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증상 인식부(210), 구조 분석부, 물질 추정부(230), 알림 제공부(240)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tification providing unit 240 that delivers information on the chemical substance determined by the substance estimation unit 230 to the terminal 100 or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 30,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program code and other data necessary for the server 200 to perform a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 server storage unit 270 for storing may be further included. Program codes necessary to perform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re driven by the processor, and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structure analysis unit, substance estimation unit 230, notification providing unit 240 ) can be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showing each step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은, 단말(100)과 사용자(10)가 음성으로 대화하여 생성한 음성대화와, 단말(100)이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여 생성한 신체정보와, 사용자(10)가 위치하는 환경(40)을 센싱하여 생성한 환경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하는 정보 수집 단계(S10), 서버(200)가 신체정보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 단계(S20), 서버(200)가 인식한 증상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 및 증상 인식 단계(S20)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10)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은, 화학화학물질 추정 단계(S30)에서 추정된 화학물질에 관한 정보를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제공하는 알림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ee FIG. 4 .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conversation generated by a terminal 100 and a user 10 talking by voice, and a terminal 100 using a user 10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of providing the body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body of the user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environment 40 in which the user 10 is located to the server 200 (S10), the server 200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of recognizing symptoms appearing on the body of the user 10 based on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chemical substances exposed to the body of the user 10 based on the symptoms recognized by the server 200 If the symptom is not determined in the estimated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and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or the chemical substance is not determined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10 is asked. A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chemical substances estimated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is transmitted to the user 100 through the terminal 100. )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step (S30)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 및 서버(200)가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performed by a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perform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정보 수집 단계(S10)는 단말(100)과 사용자(10) 사이의 음성대화를 통해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입력받는 음성대화 단계(S11), 사용자(10)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100)이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서버(200)에 제공하는 신체 센싱 단계(S12), 및 사용자(10)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100) 또는 사용자(10)가 위치한 공간에 배치된 단말(100)이 사용자(10)가 위치한 환경(40)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서버(200)에 제공하는 환경 센싱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See Figures 3, 4, and 5.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is a voice communication step (S11) of receiving symptoms appearing on the body of the user 10 through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10, A body sensing step (S12) in which the terminal 100 senses the body of the user 10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server 200, and the terminal 100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10 or the user ( 10) may include an environment sensing step (S13) in which the terminal 100 disposed in the sp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senses the environment 40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200.

신체 센싱 단계(S12)는 사용자(10)가 착용하고 있는 형태의 착용형 단말(100A)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신체 센싱 단계(S12)에서 사용자(10)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100)은 단말(100)에 포함된 신체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신체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센싱 단계(S12)에서 단말(100)은 사용자(10)의 체온을 측정하여 신체정보에 포함시켜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body sensing step ( S12 )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wearable terminal 100A worn by the user 10 . In the body sensing step (S12), the terminal 100 worn on the body of the user 10 senses the body of the user 10 using the body sensor unit 15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and the measured data Body information including may be generated and the bod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200 . For example, in the body sensing step (S12), the terminal 100 may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10, include it in body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server 200.

환경 센싱 단계(S13)는 사용자(10)가 착용하고 있는 형태의 착용형 단말(100A) 또는 사용자(10)가 위치한 환경(40)에 설치되는 형태의 고정형 단말(100B1)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신체 센싱 단계(S12)에서 고정형 단말(100B1)은 단말(100)에 포함된 환경 센서부(140)를 이용하여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40)을 센싱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환경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센싱 단계(S13)에서 단말(100)은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에 누출된 가스를 측정하여 환경정보에 포함시켜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 sensing step (S13) may be performed through a wearable terminal 100A worn by the user 10 or a fixed terminal 100B1 installed in the environment 40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 In the body sensing step (S12), the stationary terminal 100B1 senses the environment 40 of the pl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using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and includes the measured data. It is possible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used and provid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 For example, in the environment sensing step ( S13 ), the terminal 100 may measure the gas leaked in the pl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include it i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

음성대화 단계(S11)는 사용자(10)와 단말(100)이 음성으로 주고받는 질문과 답변을 포함한다. 단말(100)은 사용자(10)로부터 신체의 증상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10)에게 신체의 증상의 유무를 묻는 질문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voice conversation step (S11) includes questions and answers exchanged by voice between the user 10 and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bodily symptoms from the user 10 as voice input, and may output a question asking the user 10 whether or not there are bodily symptoms.

음성대화 단계(S11)는 단말(100)과 사용자(10) 사이에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10) 자신이 인지한 신체의 증상을 단말(100)에 음성으로 말하면서 음성대화가 시작되거나, 단말(100)이 센싱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200)가 분석하고 상기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하면서 시작될 수 있다. The voice conversation step (S11) may be performed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user 10, and the user 10 speaks the symptoms of the body he/she recognizes to the terminal 100 by voice, and the voice conversation starts, or the server 200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by the terminal 100 and may start by asking a question to the user 10 through the terminal 100 by voice.

사용자(10)는 단말(100)에 자신의 증상을 먼저 말하면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10) 자신이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자각할 수 있고, 사용자(10)는 자신이 자각한 증상을 단말(100)에 음성으로 입력하여 단말(100)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는 눈이 따갑고 머리가 아프다는 증상을 음성으로 단말(100)에 말할 수 있다. The user 10 may start a conversation by first telling the terminal 100 about his symptoms. When the user 10 is exposed to a chemical substance, the user 10 may be aware of the symptoms appearing in the body, and the user 10 inputs the symptoms he/she is aware of into the terminal 100 by voice to the terminal ( 100) to start a conversation. For example, the user 10 may tell the terminal 100 the symptoms of itchy eyes and a headache through voice.

사용자(10)가 단말(100)에 증상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단말(100)의 음성 입력부(110)는 사용자(10)의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 통신부(160)를 통해 음성을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에서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 단계(S20)와, 인식한 증상에 기초하여 물질을 추정하는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10 inputs a symptom into the terminal 100 as a voice, the voice input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the user's 10 voice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voice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0 . The server 200 may perform a symptom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 symptom from the voi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S20) and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of estimating a substance based on the recognized symptom (S30).

단말(100)은 사용자(10)에게 증상이 존재하는지 질문하면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100)의 신체 센서부(150) 또는 환경 센서부(140)는 사용자(10)의 신체와 환경(40)을 측정하여, 정해진 범위를 넘어서는 값이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서버(200)에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서버(200)로 제공하고, 서버(200)는 신체정보와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증상이 존재하는지 확인을 요청하는 질문을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태 변화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하여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고, 단말(100)은 질문을 음성으로 사용자(10)에게 출력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may start a conversation by asking the user 10 whether symptoms exist. The body sensor unit 150 or the environment sensor unit 140 of the terminal 100 measures the body of the user 10 and the environment 40, and when a value exceeding a predetermined range is measured,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a state change. It can inform the server 200 that it has occurred. Alternatively, the terminal 100 provides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ask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100 a question requesting confirmation of symptoms. (10) can be provided. The server 200 may create and provide a question to the terminal 100 ask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the state change, and th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question to the user 10 as a voice.

단말(100)이 포함하는 센서는 낮은 농도로 누출된 화학물질이 인체에 증상을 일으키기 전에 감지하거나,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자각하기 전에 먼저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화학물질이 노출되었지만 신체의 증상을 자각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단말(100)이 먼저 사용자(10)에게 신체의 증상을 질문하면, 사용자(10)는 화학물질의 누출 가능성을 알 수 있고, 신체의 증상이 존재하는지 관심을 기울일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0)이 먼저 음성으로 사용자(10)에게 증상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면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은 이 자체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The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may detect a leaked chemical substance at a low concentration before it causes symptoms in the human body, or it may first detect the symptoms appearing in the human body. Although the user 10 has been exposed to chemical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or she may not be aware of symptoms of the body.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100 first asks the user 10 about physical symptoms, the user 10 may know the possibility of chemical leakage and have an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re are physical symptoms. Therefore, starting a conversation while the terminal 100 first asks the user 10 whether symptoms exist by voice has a useful effect in itself.

단말(100)이 음성대화를 먼저 시작하고, 사용자(10)가 단말(100)에게 답변하고, 단말(100)이 답변을 서버(200)에 제공하면, 서버(200)는 증상 인식 단계(S20) 및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100 starts a voice conversation first, the user 10 replies to th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100 provides an answer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erforms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 and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can be performed.

단말(100)이 음성대화를 먼저 시작하거나, 사용자(10)가 음성대화를 먼저 시작하는 것과 무관하게, 서버(200)가 증상 인식 단계(S20) 및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를 수행하고, 증상의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질문을 생성하여 음성대화가 지속될 수 있다. 음성대화는 서버(200)의 물질 추정부(230)가 화학물질을 결정하기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inal 100 starts the voice conversation first or the user 10 starts the voice conversation first, the server 200 performs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and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If additional confirmation of the symptom is required, the voice conversation can be continued by creating a new question. The voice convers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substance estimation unit 230 of the server 200 determines the chemical substanc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증상 인식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in the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한다. 증상 인식 단계(S20)는 서버(200)의 증상 인식부(210)가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체정보, 환경정보,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과정이다. 증상 인식 단계(S20)는 서버(200)가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항목에 따른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 서버(200)가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마다 시간순서대로 수집한 값을 트렌드로 생성하는 트렌드 생성단계(S22), 트렌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예상범위와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비교하고, 예상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See Figures 3, 4, and 6.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of the server 200 analyzes the body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oice convers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to recognize symptoms appearing in the body of the user 10. It is a process of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is a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in which the server 200 compares the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item,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out of the standard range. (200) a trend generation step (S22) of creating a trend with value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expected range obtained using the trend and the item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of comparing the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out of the expected range.

제1 범위 판단단계(S21)는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값과 서버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과정이다. 제1 범위 판단단계(S21)에서, 증상 인식부(210)는 신체정보에 포함된 체온, 심박, 혈압 등의 항목들과 그 값을, 체온의 기준범위, 심박의 기준범위, 혈압의 기준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기온, 이산화탄소 농도, 가연성 가스 농도 등의 항목들과 그 값을, 기온의 기준범위,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범위, 가연성 가스 농도의 기준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기준범위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포함하며, 상한값을 초과하거나, 하한값의 미달인 경우 기준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에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값들 중 어느 하나가 기준범위를 이탈한다고 판단하는 경우(Y),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하도록 질문 생성부(220)에 기준범위 이탈이 발생한 항목과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에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값이 모두 기준범위를 이탈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N) 정보 수집 단계(S10)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is a process of comparing a value included in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a reference range stored in the server storage unit 270.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determines the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etc. items and their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the reference range of the body temperature, the reference range of the heart rate, and the reference range of the blood pressure. can be compared with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compare items and their values included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combustible gas concentration, with reference ranges of temperatur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combustible gas concentration. . The reference range includes an upper limit value and a lower limit value, and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or the lower limit valu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range is deviated. When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determines that any one of the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Y),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is performed. Items and values in which a deviation from the standard range has occurred may be provided to the question generator 220 .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continue to perform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that all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do not deviate from the reference range (N). there is.

트렌드 생성단계(S22)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마다 시간순서대로 수집된 값을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트렌드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트렌드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마다 생성되어, 값의 추세를 나타낼 수 있다. 트렌드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귀분석이나, 이동평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트렌드는 사용자(10)의 신체를 센싱하여 수집된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므로, 사용자(10)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트렌드는 사용자(10)마다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트렌드는 공정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40)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트렌드는 체온, 심박수, 혈압, 등의 신체정보와, 기온,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환경정보의 항목마다 생성될 수 있다. The trend generation step (S22) is a process of generating a tren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of value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 trend may be generated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indicate a value trend. There may be various specific methods for generating trends. For example, regression analysis, moving average, etc. can be used. Trends created using body information reflec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10 because they are created using values collected by sensing the body of the user 10 . Accordingly, trends may be generated differently for each user 10 . Trends generated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40 that change according to processes. Trends may be generated for each item of body 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the lik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제2 범위 판단단계(S23)는 트렌드를 이용하여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의 예상범위를 획득하고, 현재 측정된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의 값을 비교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증상 인식부(210)는 체온의 트렌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예상범위와 현재 체온을 비교할 수 있다. 예상범위는 기준범위보다 범위의 폭이 좁게 설정될 수 있다. 기준범위는 개인적 차이나, 공정의 차이에 무관하게, 신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범위로 결정되고, 예상범위는 기존의 기록에 비추에 급격한 변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범위는 일반적으로 이탈하는 경우 신체에 증상이 나타나는 범위이고, 예상범위는 특정 개인의 체온 기록에 비추어 보아, 급격한 체온의 변화로 인정될 수 있는 범위이다. 예상범위는 트렌드 값의 위아래로 5% 또는 10%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예상범위는 트렌드를 표준정규분포화하고, 2시그마에 해당되는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is a process of obtaining an expected range of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by using a trend, and comparing currently measured values of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 S23 ),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compare the expected range obtained using the body temperature trend with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The expected range may be set narrower than the standard range. The reference range is determined as a range in which symptoms can appear in the body, regardless of individual differences or process differences, and the expected range may be determined as a range in which it can be determined that a rapid change has occurred in light of existing records. For example, the reference range is a range in which symptoms usually appear in the body when deviating, and the expected range is a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as a rapid change in body temperature in light of a specific individual's body temperature record. Expected ranges can be set at 5% or 10% above and below the trend value. Alternatively, the expected range may be set to a value corresponding to 2 sigma after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of the trend.

제2 범위 판단단계(S23)는 현재 체온이 예상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예상범위 이탈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예상범위를 이탈한다고 판단하는 경우(Y),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하도록 질문 생성부(220)에 예상범위 이탈이 발생한 항목과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값이 모두 예상범위를 이탈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N) 정보 수집 단계(S10)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In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 S23 ), when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s out of the expected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xpected range has occurred. When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determines that any one of the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the expected range in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Y),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is performed. Items and values that deviate from the expected range may be provided to the question generator 220 .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continue to perform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that all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do not deviate from the expected range (N). there is.

예상범위는 트렌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값이므로, 사람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제1 사용자(10)는 업무 특성상 몸을 움직이므로 체온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될 수 있고, 제2 사용자(10)는 업무 특성상 앉아있으므로 체온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10)에 따라 같은 항목도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범위 판단단계(S21)에서 기준범위를 좁게 설정하면 사용자(10)에 따른 차이를 증상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와 제2 범위 판단단계(S23)를 함께 이용하여, 오측을 최소화하고, 사용자(10)의 신체의 특성에 따른 증상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Since the expected range is a value obtained by using a trend,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re reflected. Since the first user 10 moves his body due to the nature of his work, his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relatively high, and the second user 10's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relatively low because he is sitting due to the nature of his work. In this way, the same item may indicate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user 10 . If the reference range is set narrowly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r 10 may be mistakenly recognized as a symptom.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use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and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together to minimize misreading and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mpto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10's body. there is.

증상 인식 단계(S20)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하기 전에,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항목 판단 단계(S24) 및 항목 판단 단계(S24)에서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S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if it is determined to be out of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prior to performing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an item out of the range is an urgent item.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and the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8) of determining that the symptoms related to the emergency item exist when an item out of range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is included in the emergency item are further performed. can include

항목 판단 단계(S24)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항목 판단 단계(S24)는 증상 인식부(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항목 판단 단계(S24)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에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항목 판단 단계(S24)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예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위급항목은 신체에 중대한 증상을 발생시키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위급항목은 심박수, 산소포화도, 혈압저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 판단 단계(S24)는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항목이 위급항목에 해당하는 경우(Y) 증상 확정 단계(S28)를 수행할 수 잇다.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item determined to be out of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is included in the critical category.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may be performed by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may be performed when the item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may be performed when the item is out of the expected range in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Urgent items may include items that cause serious symptoms in the body. Critical items may includ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lowering of blood pressure, and the like.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if the item determined to be out of range corresponds to an emergency item (Y), the symptom confirmation step (S28) may be performed.

증상 확정 단계(S28)는 위급항목에 해당되는 항목에서 범위 이탈이 발생하고, 값이 위급기준값에 해당하는 경우, 위급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이다.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고, 항목의 값이 위급항목의 위급기준값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대화를 통해 증상을 확정하기 어렵거나, 신체에 중대한 위험이 발생된 것이므로, 해당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수는 위급항목에 해당할 수 있고, 위급항목인 심박수의 위급기준값이 0인데 현재 심박수가 0이면 증상 확정 단게에서 심정지 증상이 발생한 것으로 증상을 확정할 수 있다. 항목 판단 단계(S24)에서, 범위를 이탈한 항목의 값이 위급기준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N),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ymptom confirmation step (S28)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at a symptom related to the emergency item exists when a deviation from the range occurs in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item and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emergency reference value. If an item included in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an emergency item and the value of the item corresponds to the emergency standard value of the emergency item,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symptoms through voice conversation or a serious risk to the body has occurr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ymptom has occurred. For example, the heart rate may correspond to an emergency item, and if the emergency reference value of the heart rate, which is an emergency item, is 0 and the current heart rate is 0, the symptom may be determined as having occurred in the symptom determination step.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S24), when the value of the item out of the range does not correspond to the emergency reference value (N),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may be performed.

질문 생성 단계(S50)는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1), 및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에서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the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outside the predetermined range,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ask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the item out of the range ( S51), an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250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a second type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It may include generating a question of (S52).

질문 생성 단계(S50)는 질문 생성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질문 생성 단계(S50)는 사용자(10)에게 증상의 유무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질문 생성 단계(S50)에서 생성된 질문은 단말(100)로 제공되고, 단말(100)의 음성 출력부(120)가 음성으로 사용자(10)에게 질문을 출력할 수 있다.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may be performed by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I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a question may be generated to request the user 10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is a symptom. The question generated in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 S50 ) is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 and the audio output unit 120 of the terminal 100 may output the question to the user 10 through voice.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1)는 제1 범위 판단단계(S21)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S23)에서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의 유무를 확인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질문 생성부(220)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증상과 항목들의 표를 참조하여, 범위를 이탈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증상은 다양한 항목의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체온과 심박수 항목이 모두 범위를 이탈한 경우, 질문 생성부(220)는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증상들 중에서, 체온과 심박수 항목의 변화를 동반하는 증상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질문 생성부(220)는 선정된 증상들이 존재하는지 사용자(10)에게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tep of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S51) generates a question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an item determined to be out of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S21)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S23). can do.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may refer to a table of symptoms and ite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obtain symptoms related to items out of range. One symptom may be accompanied by changes in various items. When both th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items are out of range,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may preferentially select symptoms accompany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items from among various sympto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may generate a question asking the user 10 whether the selected symptoms exist.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들은 체온, 심박수, 혈압 등의 값과 기온, 이산화탄소 농도, 가스 누출 유무 등의 값이고, 이러한 환경(40)에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범위를 이탈한 항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에게 증상의 유무를 질문하고, 그 답변을 분석하여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인식한다.Item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re values such a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temperatur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gas leakage, etc., an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determine whether any symptoms appear in this environment 40. .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tem out of range occurs, the user 10 is questioned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mptoms, and the symptoms appearing in the body are recognized by analyzing the answer.

질문 생성 단계(S50)에서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여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질문이 제공되면, 사용자(10)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답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보 수집 단계(S10)가 수행되어 음성대화가 생성될 수 있다. When a question of the first type is generated in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and the question is provided to the user 10 through the terminal 100, the user 10 may answer whether symptoms exist in the body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can Through this process, th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10) is performed, and a voice conversation can be created.

증상 인식 단계(S20)는 서버(200)가 음성대화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단계(S25),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이 사용자(10)의 신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증상판단 단계(S26), 음성대화 및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비언어적 표현을 인식하고 사용자(10)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2 증상판단 단계(S27), 및 제1 증상판단 단계(S26) 또는 제2 증상판단 단계(S27)에서 증상이 인식되거나 증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증상의 존부를 확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S2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is a voice recognition step (S25) in which the server 200 recognizes the voice included in the voice conversation and generates a text sentence (S25), and the symptoms that can be expressed in language are the user 10's body by analyzing the text sentence A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6)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in the body, a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of recognizing a non-verbal expression by analyzing voice conversations and text sentences, and determining whether symptoms exist in the body of the user 10 (S27), and In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6) or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a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8) of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exists or not may be included when the symptom is recognized or the symptom is not recognized.

음성 인식 단계(S25)는 STT(Sound To Text)기술을 이용하여 음성대화를 텍스트 문장으로 생성하는 과정이다. 음성 인식 단계(S25)에서, 증상 인식부(210)는 수신한 음성대화를 텍스트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 voice recognition step (S25) is a process of generating text sentences from voice conversations using STT (Sound To Text) technology. In the voice recognition step (S25),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may convert the received voice conversation into a text sentence.

제1 증상판단 단계(S26)는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증상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증상 인식부(210)는 텍스트 문장에 포함된 증상에 관련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다양한 사용자(10)의 표현들을 특정 증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표현할 때 사용자(10)마다 다른 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상 인식부(210)는 사용자(10)가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다양한 표현으로 말하더라도 특정 증상을 인식할 수 있다. 증상 인식부(210)는 사용자(10)가 말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각각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문장에 '어지러움'이 있다거나, '열이 난다'는 등의 표현이 존재하면 해당 증상이 사용자(10)의 신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텍스트 문장에 '이상 없다'거나, '열이 없다'는 등의 표현이 존재하면 해당 증상이 사용자(10)의 신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6)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10 by analyzing the voice conversation.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extract words related to symptoms included in text sentences.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recognize expressions of various users 10 as expressing specific symptoms. When the user 10 expresses a symptom appearing in the body, each user 10 may use a different word. In this case,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recognize a specific symptom even if the user 10 describes the symptom displayed on the body in various expressions.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may recognize one or more symptoms described by the user 10 , respectively. For example, if expressions such as 'dizziness' or 'fever' exist in the text sente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symptom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10 . If expressions such as 'no abnormality' or 'no fever' exist in the text sente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symptom does not exist in the body of the user 10 .

제2 증상판단 단계(S27)는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비언어적 표현으로 인식가능한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제2 증상판단 단계(S27)에서 증상 인식부(210)는 음성이 인식되지 않거나,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거나, 문장이 중단되거나, 비명을 지르는 등의 비언어적 표현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증상판단 단계(S27)에서 이러한 비언어적 표현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10)에게 해당 비언어적 표현과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언어적 표현과 관련된 증상은 마비, 실신, 호흡곤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recognizable as a non-verbal expression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10 by analyzing the voice conversation. In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may determine whether voice is not recognized, questions are not answered, sentences are interrupted, or non-verbal expressions such as screaming exist. If such a non-verbal expression exists in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10 has a symptom related to the non-verbal expression. Symptoms associated with non-verbal expression may include paralysis, fainting, and difficulty breathing.

증상 확정 단계(S28)는 제1 증상판단 단계(S26)에서 인식된 증상이나, 제2 증상판단 단계(S27)에서 인식된 증상을 종합하여 증상의 존부를 확정하는 과정이다. 제1 증상판단 단계(S26)에서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증상은 사용자(10)의 판단에 기초한 것이므로 그대로 증상을 확정할 수 있다. 비언어적 표현으로 인식되는 제2 증상판단 단계(S27)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증상은 해당 증상이 어떤 것인지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증상판단 단계(S26)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증상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8)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exists or not by integrating the symptoms recognized in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6) or the symptoms recognized in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In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 S26 ), the symptom determined to be non-existent or present is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user 10, so the symptom can be determined as it is.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ich symptom is the symptom determined to exist in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7 recognized as a non-verbal expression.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ymptom that can occur together with the symptom determined to exist in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S26) exist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화학물질 추정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in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는 물질 추정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물질 추정 단계(S30)는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를 이용하여,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검색하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 및 상기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로 추정되는 물질이 기준 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하나 이상의 화학물질을 최종 노출 화학물질로 결정하는 판단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by the substance estimating unit 230.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S30), symptoms appearing on the body of the user 10 are determined by using the symptom database 250 including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chemicals and symptoms that appear when the body is exposed to the chemicals. A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of searching for a chemical substance causing symptoms (S31), and when the number of substances estimated to be chemicals causing symptoms in the body of the user 1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one or more chemicals with high probability are selected as final exposure chemicals. It may include a determination step (S33) of determining the material.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는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난 것으로 인식된 증상에 기초하여, 해당 증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이 무엇인지 검색하는 과정이다. The symptom-based estimating step (S31)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hemical substance capable of causing a corresponding symptom based on a symptom recognized as appearing on the body of the user 1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에서 이용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250)의 지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howing a knowledge graph of a symptom database 250 used in a method for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서버(200)의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는 화학물질 및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증상은 화학물질이 인체에 노출된 경우 발생하는 신체의 변화를 포함한다. 화학물질과 그에 따른 증상은 기존에 공개된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증상 데이터베이스(250)가 학습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미국 NIH의 WISER(Wireless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Responders)에 포함된 HSDB(Hazardous Substance Data Bank),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NIOSH)가 공개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ee Figures 2, 7, and 8. The symptom database 250 of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chemicals and symptoms. Symptoms include changes in the body that occur when the body is exposed to a chemical. Chemicals and their associated symptoms can be formed by learning previously published databases. The data that the symptom database 250 learns is, for exampl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ovid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Hazardous Substance Data (HSDB) included in the US NIH's WISER (Wireless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Responders) Bank), databases open to the public by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서버(200)의 증상 데이터베이스(250)는 예를 들어 도 8에 일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물질들(화학물질 A, B, C, D)과 이와 관련된 증상들(증상 A, B, ... I)이 각각 관계값(관계값 AA, AB, ... DI)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화학물질은 복수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하나의 화학물질은 복수의 증상과 관계값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증상은 다양한 화학물질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증상은 복수의 화학물질과 관계값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관계값은 화학물질과 증상을 연결하는 선으로 도시하였으며, 관계값의 표시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관계값 AB 라고 표시된 관계값은 화학물질 A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 B를 의미한다고 예시적으로 정의하고 설명한다.The symptom database 250 of the server 200 includes, for example, chemicals (chemical substances A, B, C, and D) and related symptoms (symptoms A, B, . .. I) may have a form in which each relational value (relational value AA, AB, ... DI) is connected. Since one chemical substance can show multiple symptoms, one chemical substance can be connected with multiple symptoms through relational values. Since one symptom can be manifested by various chemicals, one symptom can be connected to multiple chemicals through relational values. In FIG. 8, the relationship value is shown as a line connecting the chemical substance and the symptom, an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to display the relationship value. In this specification, the relationship value indicated as relationship value AB is symptom B caused by chemical substance A. It is exemplarily defined and explained to mean.

화학물질과 증상 사이에 관계값이 존재하면 화학물질이 신체에 일으키는 증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계값은 증상이 발생하기 위하여 노출되어야 하는 화학물질의 양,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상의 치명적인 정도,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증상이 발생하는 순서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f there is a relationship value between a chemical substance and a symptom,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symptom caused by a chemical substance in the body. The relational value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a chemical substance to be exposed to cause symptoms, the fatality of symptoms occurring when exposed to a chemical substance, and the order in which symptoms occur when exposed to a chemical substance.

물질 추정부(230)는 증상 인식부(210)로부터 증상이 입력되면 해당 증상을 증상 데이터베이스(250)에서 검색하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는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검색하는 과정이다. 먼저, 입력된 증상과 관계값을 통해 연결된 화학물질들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증상 A가 증상 인식부(210)로부터 입력된 경우, 증상 A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들(화학물질 A, B, C, D)을 검색한다. When a symptom is input from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the substance estimator 230 may perform a symptom-based estimating step S31 of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symptom in the symptom database 250. The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S31)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hemical substance that causes a symptom appearing in the body of the user 10. First, chemical substances connected through the entered symptoms and relationship values are searched. For example, when symptom A is input from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210, chemicals (chemical substances A, B, C, and D) that can cause symptom A are searched for.

다음으로, 물질 추정부(230)는 검색된 화학물질들을 최종적으로 사용자(10)에게 노출된 화학물질이라고 출력하는 것이 타당한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S33)를 수행할 수 있다. 판단 단계(S33)에서 물질 추정부(230)는 검색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많은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의의 증상을 나타내는 화학물질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한 대응방법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너무 많은 화학물질을 결과물로 출력하는 것은 대응을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준개수는 사용자(10)가 화학물질에 대응을 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작은 개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개수가 2개이고 검색된 화학물질들이 A, B, C, D의 4개이면 판단 단계(S33)에서 물질 추정부(230)는 검색된 화학물질들이 사용자(10)에게 노출된 화학물질이라고 추정하기 어렵다고 판단(N)할 수 있다. Next, the substance estimator 230 may perform a judgment step (S33)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finally output the retrieved chemical substances as chemical substances exposed to the user 10. In the determination step (S33), the substance estimation unit 230 may determine based on whether the number of searched chemical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There may be a variety of chemicals that produce any symptom, and the required response may be different. Therefore, outputting too many chemicals can make it difficult to respond. Therefore, the reference number can be set to a number small enough for the user 10 to respond to the chemical substance. For example, if the standard number is 2 and the searched chemicals are 4 of A, B, C, and D, in the determination step (S33), the substance estimator 230 determines that the searched chemicals are chemicals exposed to the user 10.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N).

판단 단계(S33)에서 검색된 화학물질이 사용자(10)에게 노출된 화학물질이라고 추정하기 어렵다고 판단(N)하는 경우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질문 생성 단계(S50)에서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2)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질문은 단말(100)로 전송되고, 단말(100)은 사용자(10)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출력하여 음성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 단계는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사용자(10)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10)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추정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여 단말(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질문 생성 단계(S50)는 질문 생성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N) tha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at the chemical substance retriev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33) is a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user 10,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may be performed. I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type of question (S52) may be performed. The second type of ques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100 outputs the question to the user 10 through voice to perform a voice conversa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type of question, when the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body of the user 10 is not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33, a question for estimating the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body of the user 10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may be performed by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질문 생성부(220)는 검색된 화학물질들이 나타내는 다른 증상을 검색하고, 다른 증상들 중의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지 사용자(10)에게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물질 A, B, C, D가 신체에 일으키는 증상들은 증상 A, B, ... I가 있는 것으로 검색될 수 있다. 검색된 증상들 중에서 증상 E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10)가 증상 E가 존재한다는 답변을 하면 화학물질 C, D는 제외할 수 있으며, 사용자(10)가 증상 E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하면 화학물질 A, B를 제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문 생성부(220)는 질문 생성 단계(S50)에서 사용자(10)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증상을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질문은 서버 통신부(260)를 통해 단말(100)로 제공되며, 단말(100)은 질문을 음성으로 사용자(10)에게 제공하여 음성대화 단계(S11)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음성대화 단계(S11)를 수행하여 사용자(10)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면, 다시 증상 인식 단계(S20),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 판단 단계(S33), 질문 생성 단계(S50) 또는 물질 결정단계(S33)가 수행될 수 있다. The question generating unit 220 may search for other symptoms indicated by the searched chemicals and generate a question asking the user 10 whether one or more of the other symptoms exist. For example, symptoms caused by chemicals A, B, C, and D in the body can be retrieved as having symptoms A, B, ... I. Among the searched symptoms, a question asking whether symptom E exists may be generated. At this time, if the user 10 answers that symptom E exists, chemicals C and D may be excluded, and the user 10 If the answer is that symptom E does not exist, chemicals A and B can be excluded. In this way, the question generation unit 220 may generate a question inquiring about symptoms that may occur to the user 10 in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The ques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60, and the terminal 100 provides the user 10 with the question as a voice so that the voice communication step (S11) can be performed again.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step (S11) is performed and an answer is received from the user 10,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the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S31), the judgment step (S33),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or substance determination are performed again. Step S33 may be performed.

증상 인식 단계(S20),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 판단 단계(S33), 질문 생성 단계(S50)를 수행하고 음성대화 단계(S11)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면, 사용자(10)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들의 유무를 반복하여 판단할 수 있고, 계속하여 화학물질의 범위를 좁혀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상 인식 단계(S20)에서 사용자(10)에게 증상 A가 나타나는 경우, 화학물질 A, B, C, D가 추정되고, 질문을 통해 증상 E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화학물질 C, D는 추정되는 물질에서 제외할 수 있다.If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the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S31), the judgment step (S33),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S50) are performed and the voice conversation step (S11) is repeated, the user's body (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mptoms can be repeatedly judged, and the scope of chemicals can be narrowed down continuously. For example, when symptom A appears to the user 10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chemical substances A, B, C, and D are estimated, and when symptom E is recognized to exist through a question, chemical substance C, D can be excluded from the presumed substances.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에서 검색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작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By repeating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number of chemicals retrieved in the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S31)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사용자(10)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로 판단되는 물질이 기준 개수보다 작은 경우 검색된 화학물질이 사용자(10)에게 노출된 화학물질이라고 판단(Y)하고, 물질 결정단계(S33)를 수행할 수 있다. 물질 결정단계(S33)는 검색된 화학물질들 중에서 사용자(10)에게 노출되었을 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화학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10)에게 노출될 확률은 사용자(10)가 위치하는 환경(40)에서 이용되는 화학물질인지 여부, 화학물질의 사용 빈도, 사용자(10)의 업무 등의 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화학물질은 알림 제공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알림 제공부(240)는 단말(100) 또는 대응기관(30)에 결정된 화학물질의 종류, 대응방법, 그 밖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determination step (S33), if the number of substances determined to be chemical substances exposed to the user 1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ed chemical substance is a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user 10 (Y), and the substance is determined. Step S33 may be performed. In the substance determination step S33 , one or more chemical substances may be determined in order of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xposed to the user 10 from among the searched chemical substances. The probability of exposure to the user 10 may be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whether the chemical substance is used in the environment 40 in which the user 10 is locate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hemical substance, and the work of the user 10 . The determined chemical substance may be provided to the notification provider 240 . The notification provider 240 may provide the terminal 100 or the responding institution 30 with the determined type of chemical substance, response method,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사용자(10)는 단말(100)에 음성으로 자신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입력하고, 사용자(10)가 입력하는 증상에 기초하여 서버(200)가 사용자(10)의 신체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단말(100)과 음성을 이용하여 대화하므로 편리하게 증상을 입력하고 대응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By performing this process, the user 10 inputs symptoms appearing in his/her body through voice to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determines the user 10's body based on the symptoms input by the user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substances are presumed to have been exposed to. Since the user 1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00 using voice, he or she can conveniently input symptoms and receive a response method.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한다. 질문 생성 단계(S50)의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2)는, 증상 데이터베이스(250) 및 구조 데이터베이스(260)를 이용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 back to FIGS. 6 and 7 . In the step of generating a second type of question (S52) of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exists using the symptom database 250 and the structure database 260. You can create a question to see if it does or not.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2)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를 수행하고, 판단 단계(S33)를 수행한 결과, 검색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많은 경우(N)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너무 많은 화학물질이 검색되어,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 질문이 필요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type of question (S52) is performed when the number of searched chemical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N)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ymptom-based estimation step (S31) and performing the judgment step (S33). It can be. That is, if too many chemicals are searched, additional queries may be performed if needed to improve accuracy.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S52)는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 장소와 관련된 화학물질 목록, 최근 기록에 기초한 가중치, 공정 변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가 어디인지, 해당 장소에 관련된 화학물질 목록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물질 추정부(230)가 검색한 화학물질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화학물질의 유무를 우선적으로 질문할 수 있다. 최근 기록에는 어떤 화학물질을 이용하였는지 기록되며, 최근 이용한 화학물질 순서로 질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10)가 위치한 장소에서 공정의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따른 환경정보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econd type of question ( S52 ), a pl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a list of chemical substances related to the place, a weight based on a recent record, and a change in process may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question. If the location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and the chemical substance included in the list of chemical substances related to that place match the chemical substance searched for by the substance estimation unit 23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emical substance may be first asked. can In the recent record, which chemicals were used are recorded, and questions can be asked in the order of recently used chemicals.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process at the place where the user 10 is located, the change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may be considered.

물질 추정부(230)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S31)를 수행한 결과로 복수의 화학물질과 화학물질이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증상, 발생시킬 가능성이 없는 복수의 증상을 획득할 수 있다. 질문 생성 단계(S50)는 특정한 증상이 존재하는지를 문의하는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존재 여부를 확인할 증상은 이미 사용자(10)에게 나타난 것으로 인식된 증상이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 증상을 제외하고, 검색 결과인 화학물질들 중에서 특정 증상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화학물질의 수와 발생 가능성이 없는 화학물질의 수의 차이가 가장 작은 증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상 A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이 8개이고, 증상 A를 발생시킬수 없는 화학물질이 2개이며, 증상 B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이 6개이고, 증상 B를 발생시킬수 없는 화학물질이 4개이면, 증상 B를 선택한다.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ymptom-based estimating step (S31), the substance estimator 230 may obtain a plurality of chemicals, a plurality of symptoms likely to be caused by the chemical, and a plurality of symptoms unlikely to occur. In the question generating step (S50), a question asking whether a specific symptom exists may be generated. The symptom to be confirmed is the number and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specific symptom among chemicals that are search results, excluding symptoms recognized as having already appeared to the user 10 or symptoms recognized as not appearing. The symptoms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emicals that do not have this effect can be selected. For example, there are 8 chemicals that can cause symptom A, 2 chemicals that cannot cause symptom A, 6 chemicals that can cause symptom B, and 2 chemicals that cannot cause symptom B. If there are 4 substances, choose Symptom B.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상 인식부(210)가 증상 인식 단계(S20)를 수행함에 있어서,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특정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사용자(10)에게 질문하고, 사용자(10)의 답변을 분석하여 증상을 확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0)가 입력한 증상에 기초하여 화학물질을 검색하고, 검색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많은 경우 화학물질과 관련된 증상의 유무를 사용자(10)에게 질문하고, 사용자(10)의 답변을 분석하여 화학물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증상을 확인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performing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S20) by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210, the user 10 determines whether symptoms related to a specific item exist by analyzing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 symptom may be determined by asking a question and analyzing an answer of the user 10 . In addition, chemical substances are searched based on the symptoms input by the user 10, and when the number of chemical substances retrieved is large, the user 10 is asked whether there are symptoms related to the chemical substances, and the user 10 answers The number of chemicals can be reduced by analysis. In this way, check the symptom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사용자
20: 네트워크
30: 대응기관
40: 환경
100: 단말
100A: 착용형 단말
100A1: 헬멧 단말
100A2: 조끼 단말
100A3: 스마트워치 단말
100B: 비착용형 단말
100B1: 고정형 단말
100B2: 이동형 단말
110: 음성 입력부
120: 음성 출력부
130: 제어부
140: 환경 센서부
150: 신체 센서부
160: 단말 통신부
170: 단말 저장부
200: 서버
210: 증상 인식부
220: 질문 생성부
230: 물질 추정부
240: 알림 제공부
250: 증상 데이터베이스
260: 서버 통신부
270: 서버 저장부
10: User
20: network
30: Response Agency
40: environment
100: terminal
100A: wearable terminal
100A1: helmet terminal
100A2: vest terminal
100A3: smart watch terminal
100B: non-wearable terminal
100B1: fixed terminal
100B2: mobile terminal
110: voice input unit
120: audio output unit
130: control unit
140: environmental sensor unit
150: body sensor unit
16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70: terminal storage unit
200: server
210: symptom recognition unit
220: question generator
230: material estimation unit
240: notification providing unit
250: symptom database
260: server communication unit
270: server storage unit

Claims (14)

단말과 사용자가 음성으로 대화하여 생성한 음성대화와,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생성한 신체정보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을 센싱하여 생성한 환경정보를 서버로 제공하는 정보 수집 단계;
서버가 상기 음성대화 신체정보와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 단계;
서버가 상기 인식한 증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노출된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화학물질 추정 단계; 및
상기 증상 인식 단계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An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providing a voice conversation generated by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bod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sensing the user's body, and environ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o the server;
a symptom recogni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recognizes a symptom displayed on the user's body based on the voice conversation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 chemical substance estimating step of estimating, by the server, a chemical substance exposed to the user's body based on the recognized symptoms; and
When the symptom is not determined in the symptom recognition step or the chemical substance is not determined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a ques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recognizing the symptom of the body and chemical substance How to estimat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음성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입력받는 음성대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 제공하는 신체 센싱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배치된 단말이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에 제공하는 환경 센싱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gathering step
a voice communication step of receiving symptoms appearing on the user's body through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a body sensing step in which the terminal worn on the user's body senses the user's body to generate body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a server; and
An environment sensing step in which a terminal worn on the user's body or a terminal disposed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senses the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located to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a server,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chemical substances How to estimate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성대화 단계는
상기 단말과 사용자 사이에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자신이 인지한 신체의 증상을 상기 단말에 음성으로 말하면서 음성대화가 시작되거나, 상기 단말이 센싱한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하고 상기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하면서 시작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voice conversation step is
It can be performed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and a voice conversation is started while speaking the symptoms of the body perceived by the user to the terminal by voice, or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ensed by the terminal is sent to the server. A method of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which is started by analyzing and asking a user a question by voice through th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서버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상기 항목에 따른 기준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1 범위 판단단계;
서버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마다 시간순서대로 수집한 값을 트렌드로 생성하는 트렌드 생성단계; 및
상기 트렌드를 이용하여 획득한 예상범위와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비교하고, 상기 예상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2 범위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질문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범위 판단단계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에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ymptom recognition stage is
a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compares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with reference ranges according to the item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y are out of the standard range;
a trend generation step in which the server creates a trend with values collected in chronological order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of comparing an expected range obtained using the trend with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out of the expected range;
The question creation step is
If it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ask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an item out of range, How to recognize and estimate chemic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서버가 상기 음성대화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문장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단계;
상기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1 증상판단 단계;
상기 음성 대화 및 상기 텍스트 문장을 분석하여 비언어적 표현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제2 증상판단 단계; 및
상기 제1 증상판단 단계 또는 제2 증상판단 단계에서 증상이 인식되거나 증상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증상의 존부를 확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ymptom recognition stage is
a voice recognition step of generating a text sentence by recognizing a voice included in the voice conversation by a server;
a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analyzing the text sentence to determine whether a symptom that can be expressed in language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a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analyzing the voice conversation and the text sentence to recognize a non-verbal express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user's body; and
In the first symptom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symptom determination step, when the symptom is recognized or recognized as no symptom, a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ymptom exists or not, recognizing the symptoms of the body and estimating the chemical metho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상 인식 단계는
상기 제1 범위 판단단계 또는 제2 범위 판단단계에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질문 생성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항목 판단 단계; 및
상기 항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위급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위급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증상 확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ymptom recognition stage is
an ite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item out of the range is included in an urgent item before performing the question generation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 is out of the range in the first range determination step or the second range determination step; and
In the item determination step, when an item outside the range is included in an emergency item, a symptom confirm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a symptom related to the emergency item exists, a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s in the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s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 단계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에서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question creation step is
generating a first type of question inquiring whether a symptom related to an item out of the range exis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in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step, generating a second type of question for confirming whether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exists , a way to recognize symptoms in the body and estimate chemicals.
상기 화학물질 추정 단계는
화학물질 및 상기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검색하는 증상기반 추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나타난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물질로 추정되는 물질이 기준 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하나 이상의 화학물질을 최종 노출 화학물질로 결정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
The chemical estimation step is
A symptom-based estimating step of searching for a chemical substance causing a symptom appearing in the user's body by using a symptom database including a chemical substance and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symptoms appearing when the chemical substance is exposed to the body; and
Recognizing the symptoms of the body and including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one or more chemical substances with a high probability as the final exposure chemical substance when the substance estimated to be the chemical substance causing the symptom on the user's body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How to estimate .
사용자가 음성으로 말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질문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와 음성으로 질문과 답변을 수행하여 서버에 제공하도록, 상기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문은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의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상기 서버에서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답변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판단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a voice input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spoken by a user through voice;
a voice output unit outputting a question to the user by voi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voice input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to perform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user by voic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above question
First, when the server analyzes the user's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the item out of the range. type of question; and
In relation to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in the server, a second type of question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The above answer is
A terminal that performs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including information for confirming whether a symptom exists in the body of the user,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r as a judgmen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센싱하여 신체정보를 생성하는 신체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을 센싱하여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환경 센서부; 및
상기 신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를 정해진 주기마다 측정하고, 상기 질문과 답변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정해진 주기보다 짧은 주기마다 측정하도록 상기 신체 센서부와 환경 센서부를 제어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a body sensor unit that senses the user's body and generates body information;
an environment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generat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to a server,
The control unit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re measured at predetermined cycles, and while the question and answer are in progress, the body sensor unit and the environment sensor unit are controlled to measure at shorter intervals than the predetermined period, recognizing symptoms of the body and detecting chemicals. A terminal that performs an estimation method.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신체에 착용가능한 장치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영역을 이동하는 로봇으로 구현되거나, 정해진 공간에 배치되는 설비로 구현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According to claim 9 or claim 10,
The terminal
A terminal that performs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of a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implemented as a device worn on the body, implemented as a robot that moves in a predetermined area, or implemented as a facility disposed in a predetermined space.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신체정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의 환경정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단말의 음성대화를 분석하여 증상을 인식하는 증상 인식부;
화학물질 및 상기 화학물질이 신체에 노출되는 경우 나타나는 증상을 학습하여 생성한 지식그래프를 포함하는 증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증상 인식부에서 인식한 증상을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을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추정하고, 추정된 화학물질의 개수가 기준개수보다 작은 경우 확률이 높은 순서대로 최종 노출된 화학물질을 결정하는 물질 추정부; 및
상기 증상 인식부에서 증상을 확정하지 못하거나, 상기 물질 추정부에서 화학물질을 결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질문을 생성하는 질문 생성부를 포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a symptom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symptom by analyzing body information of a user received from a termi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terminal;
a symptom database including a chemical substance and a knowledge graph generated by learning symptoms that appear when the chemical substance is exposed to the body;
Chemicals that cause symptoms recognized by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are estimated by searching the symptom database, and if the number of estimated chemical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number, substance estimation that determines the finally exposed chemicals in order of high probability. government; and
When the symptom recognizing unit fails to determine a symptom or the substance estimating unit fails to determine a chemical substance, including a ques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ques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recognizing a symptom of the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How to do serv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증상 인식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과 값을 기준범위 또는 트렌드를 이용하여 예측한 예측범위와 비교하여,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질문 생성부에 질문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음성대화를 텍스트 문장으로 인식하고 언어로 표현가능한 증상 또는 비언어적 표현으로 인식가능한 증상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신체에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2,
The symptom recognition unit
Items and values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range predicted using the standard range or trend,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outside the range, the question generation unit requests a question to be generated, and the voice conversation is converted into text. A server that performs a method of recognizing a symptom in the body and estimating a chemical substance by recognizing a sentence and determining whether a symptom that can be expressed in a language or a symptom recognizable as a non-verbal expression exist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질문 생성부는
상기 신체정보 또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정보 및 환경정보에 포함된 항목의 값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범위를 벗어난 항목에 관련된 증상이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제1 유형의 질문; 및
상기 증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정한 화학물질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 또는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되는 증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유형의 질문 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신체의 증상을 인식하고 화학물질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2,
The question generator
A first type of question inquiring whether there is a symptom related to an item out of the ran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of an item included in the body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by analyzing the body information 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Regarding the chemical substance estimated using the symptom database, recognizing a symptom in the body, which generates either a second type of question confirming whether a symptom that is not expected to appear or a symptom that is expected to appear is present A server that performs methods for estimating chemicals.
KR1020210147175A 2021-10-29 2021-10-29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KR20230062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75A KR20230062177A (en) 2021-10-29 2021-10-29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75A KR20230062177A (en) 2021-10-29 2021-10-29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77A true KR20230062177A (en) 2023-05-09

Family

ID=8640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175A KR20230062177A (en) 2021-10-29 2021-10-29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17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82B1 (en)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urgent response against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chemical hazard, and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82B1 (en) 2016-11-25 2019-03-12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urgent response against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chemical hazard, and disaster response method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3476B2 (en) System for customized interactions-related assistance
US114233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worker performance
US9392431B2 (en) Automatic vehicle crash detection using onboard devices
JP2845926B2 (en) Man-machine system
JP7285589B2 (en) INTERACTIVE HEALTH CONDITION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70188216A1 (en) Personal emergency saver system and method
US20150265211A1 (en) Device, method and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a current load level
CN110719553B (en) Smart speaker system with cognitive sound analysis and response
KR101731561B1 (en) Personality tes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0569347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330477A (en) Harmful behavi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2215700A (en) Credit face audit method and device
JP2000097735A (en) Measurement and authentication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KR20190053982A (en) Apparatus for analyzing customer emotion
KR20230062177A (en) Method for recognizing symptom of body and estimating chemical substance, an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JP2006230548A (en) Physical condition judging device and its program
CN108267170B (en)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16821304B (en) Knowledge intelligent question-answering system of power supply station based on big data
CN106931972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inding escape direction of dangerous environment personnel
KR20230062711A (en)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method using symptom and chemical structure,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JP2004177359A (en) Method and device for acoustically monitoring operating state of facility
KR101400636B1 (en) Hum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KR20230100132A (en) Control method of voice conversation server based on child emotion dictionary
Fraser et al. Measuring cognitive status from speech in a smart home environment
KR20220081115A (en) Symptom-based chemical substance estimation method, terminal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