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983A -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983A
KR20230061983A KR1020210146788A KR20210146788A KR20230061983A KR 20230061983 A KR20230061983 A KR 20230061983A KR 1020210146788 A KR1020210146788 A KR 1020210146788A KR 20210146788 A KR20210146788 A KR 20210146788A KR 20230061983 A KR20230061983 A KR 2023006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slot
protrusion
hold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웅선
신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4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983A/en
Publication of KR2023006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9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제1 피치를 갖는 제1 연성 케이블, 제2 피치를 갖는 제2 연성 케이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과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1 포트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2 포트가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exible cable having a first pitch, a second flexible cable having a second pitch, a holder for fixing the first flexible cabl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together, and the first flexible cable. A connector having a first port to which an end of the flexible cable is connected and a second port 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connected is formed.

Description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cable and a connector.

FFC 또는 FPC와 같은 연성 케이블은 0.3 mm, 0.5 mm, 0.6 mm, 0.7 mm, 1.0 mm, 1.25 mm 등 다양한 피치를 가지며, 그에 맞는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연성 케이블을 설치하려면, 제1 연성 케이블을 그에 맞는 커넥터에 설치하고, 제2 연성 케이블을 그에 맞는 커넥터에 또 설치하는 등 다수의 공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는 공정 작업 시간, 작업자 피로, 생산 비용 등을 늘리는 요인이 된다.Flexible cables such as FFC or FPC have various pitches such as 0.3 mm, 0.5 mm, 0.6 mm, 0.7 mm, 1.0 mm, and 1.25 mm, and connectors suitable for them must be provided. 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a number of processes are required, such as installing a first flexible cable to a connector suitable therefor and installing a second flexible cable to a connector suitable therefor. This becomes a factor that increases process work time, worker fatigue, and production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작업 시간, 작업자 피로, 생산 비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process time, worker fatigue, production cost,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제1 피치를 갖는 제1 연성 케이블, 제2 피치를 갖는 제2 연성 케이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과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1 포트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2 포트가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exible cable having a first pitch, a second flexible cable having a second pitch, a holder for fixing the first flexible cabl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together, and the first flexible cable. A connector having a first port to which an end of the flexible cable is connected and a second port 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connected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함몰부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exible cable has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has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holder has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2 protrusions that can engage each of the depressio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이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lots. 2 Flexible cables may extend in a direc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and then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m.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이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lots. 2 flexible cables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또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exible cable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holder is formed with the first flexible cable. A first slot through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re formed, the first slot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The slot may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닿을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함몰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exible cable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and the holder is formed with the first flexible cable. A first slot through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are formed, the first slot has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The slot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may engage with the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wh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slots.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홀더를 이용해 제1 연성 케이블과 제2 연성 케이블을 함께 고정하여, 그 함께 고정된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을 커넥터에 한 번에, 동시에 설치함으로써, 공정 작업 시간, 작업자 피로, 생산 비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first flexible cabl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together using a holder, and installs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fixed together to the connector at once and at the same time, thereby performing a process operation. Time, operator fatigue, and production cost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이 홀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연성 케이블이 홀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연성 케이블이 홀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are separated from the holder;
4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coupled to the holder.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coupled to the holder.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를 나타낸 평면도로,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홀더(1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커넥터(14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The cables 110 and 120 are coupled to the holder 130 and are shown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40 .

도 3은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홀더(130)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are separated from the holder 130. Referring to FIG.

도 4는 제2 연성 케이블(120)이 홀더(13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연성 케이블(120)이 홀더(13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로, 편의상 제2 연성 케이블(120)만 도시했으나, 제1 연성 케이블(110)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더(130)에 고정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coupled to the holder 130, and FIG. 5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coupled to the holder 130, Although only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is shown for convenience,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may also be fixed to the holder 130 in the same wa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 연성 케이블(110), 제2 연성 케이블(120), 홀더(130) 및 커넥터(140)를 포함한다.1 to 5,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exible cable 110, a second flexible cable 120, a holder 130, and a connector 140. include

제1 연성 케이블(110)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 케이블(110)은 제1 피치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연성 케이블(110)은 0.5 mm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연성 케이블(110)은 그 단부로부터 특정한 거리에서,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111)가 형성되고, 그로부터 특정한 거리에서,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lexible cable 110 may be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lso,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has a first pitch. For example,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may have a 0.5 mm pitch. In addition,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is form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111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side edge at a specific distance from its end, and a first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edge at a specific distance therefrom. (112) may be formed.

제2 연성 케이블(120)은 제1 연성 케이블(110)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 제2 연성 케이블(120)도 FFC 또는 FPC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성 케이블(120)도 그 단부로부터 특정한 거리에서,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그로부터 특정한 거리에서,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단, 제2 연성 케이블(120)은 제1 피치와 다른 제2 피치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2 연성 케이블(120)은 1.25 mm 피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is similar to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 In other words,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may also be FFC or FPC. In addition,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is also form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121 recessed inward from the side edge at a specific distance from its end,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edge at a specific distance therefrom. (122) may be formed. However,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has a second pitch different from the first pitch. For example,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may have a 1.25 mm pitch.

홀더(130)는 제1 연성 케이블(110)과 제2 연성 케이블(120)을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130)는 단일 부품으로 제작되어, 제1 연성 케이블(110)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131) 및 제2 연성 케이블(120)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132)이 형성된다. 제1 슬롯(131)과 제2 슬롯(132)의 위치는 후술할 커넥터(140)의 제1 포트(141)와 제2 포트(142)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holder 130 serves to fix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together. To this end, the holder 130 is made of a single piece,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can pass through the first slot 131 and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can pass through. A second slot 132 is formed. Positions of the first slot 131 and the second slot 132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first port 141 and the second port 142 of the connector 1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1 슬롯(131)은 제1 연성 케이블(110)의 제1 돌출부(112)보다 작은 폭(또는 너비)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연성 케이블(110)은 제1 돌출부(112)가 제1 슬롯(131)에 닿을 때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이상 삽입될 수 없다. 이로써, 제1 연성 케이블(110)이 홀더(130)에 대해 전방(즉, 삽입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마찬가지로, 제2 슬롯(132)은 제2 연성 케이블(120)의 제2 돌출부(122)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연성 케이블(120)은 제2 돌출부(122)가 제2 슬롯(132)에 닿을 때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이상 삽입될 수 없다. 이로써, 제2 연성 케이블(120)이 홀더(130)에 대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lot 131 has a smaller width (or width) than the first protrusion 112 of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 Accordingly,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can be inserted until the first protrusion 112 touches the first slot 131 and cannot be inserted any fur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from being pushed forward (ie,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er 130 (see FIG. 5 ). Similarly, the second slot 132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projection 122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 Accordingly,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can be inserted until the second protrusion 122 touches the second slot 132, and cannot be inserted further.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from being push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older 130 .

나아가, 홀더(130)는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제1 및 제2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함몰부(111, 121)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돌기(133)가 형성된다(도 4 참조). 특히, 이러한 돌기(133)는 탄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제1 및 제2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돌기(133)의 경사부에 작용하게 되는 힘의 성분으로 인해,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제1 및 제2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돌기(133)가 (도 4를 기준으로 봤을 때, 위쪽으로 들리도록) 자연스럽게 탄성 변형되면서 그 삽입을 허용하고,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제1 및 제2 슬롯(131, 132)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돌기(133)가 이동하지 않아 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older 130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131 and 132 and the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 Protrusions 133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depressions 111 and 121, respectively, are formed (see FIG. 4).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133 has elasticity and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131 and 132 . According to this,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131 and 132 due to the component of the force acting 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rotrusion 133. When the protrusion 133 is naturally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be lifted upward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FIG. 131 and 132,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the protrusion 133 does not move, so that separation can be prevented.

제1 및 제2 함몰부(111, 121)와 제1 및 제2 돌출부(112, 122)의 위치는 제1 및 제2 돌출부(112, 122)가 제1 및 제2 슬롯(131, 132)에 닿을 때 돌기(133)가 제1 및 제2 함몰부(111, 121)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돌출부(112, 122)를 이용해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홀더(130)에 대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함몰부(111, 121)와 돌기(133)를 이용해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이 홀더(130)에 대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111 and 121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2 and 122 ar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2 and 122 are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lots 131 and 132. The protrusion 133 may be arrang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111 and 121 when touching.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holder 130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2 and 122,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112 and 122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from being push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holder 130 by using the parts 111 and 121 and the protrusion 133 .

커넥터(140)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되어, 제1 연성 케이블(110)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1 포트(141) 및 제2 연성 케이블(120)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2 포트(142)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포트(141)는 제1 피치(0.5 mm 피치)용이고, 제2 포트(142)는 제2 피치(1.25 mm 피치)용이다. 이러한 커넥터(140)는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에 대한 접점 및 고정 구조를 갖는데, 해당 구조 자체는 공지된 바(예컨대, 출원인의 공개특허 10-2009-0010369, 10-2011-0074636, 10-2013-0127895, 10-2014-0076256, 10-2015-0044212 등)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쉽게 변경하여 도출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nector 140 is manufactured as a single component, and includes a first port 141 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110 is connected and a second port 142 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120 is connected.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first port 141 is for the first pitch (0.5 mm pitch), and the second port 142 is for the second pitch (1.25 mm pitch). This connector 140 has a contact and fixing structure for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and the structure itself is known (eg, Applicant's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10-2009-0010369, 10-2011 -0074636, 10-2013-0127895, 10-2014-0076256, 10-2015-0044212, etc.) or to the degree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and derive from the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이러한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에 의하면, 두 연성 케이블을 설치할 때 하나의 연성 케이블을 하나의 커넥터에 설치하고 다른 연성 케이블을 다른 커넥터에 또 설치하는 '2회 체결'이 아니라, 홀더(130)에 의해 함께 고정된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110, 120)을 하나의 커넥터(140)에 한 번에, 동시에 설치하는 '1회 체결'을 통해, 공정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when installing two flexible cables, it is not 'twice fastening' in which one flexible cable is installed in one connector and the other flexible cable is installed in another connector, but the holder 130 Process operation time can be minimized through 'one-time fastening' that simultaneously installs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110 and 120 fixed together to one connector 140 at once.

이상으로 설명한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00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o the extent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s described in the claims.

100: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110: 제1 연성 케이블
111: 제1 함몰부
112: 제1 돌출부
120: 제2 연성 케이블
121: 제2 함몰부
122: 제2 돌출부
130: 홀더
131: 제1 슬롯
132: 제2 슬롯
133: 돌기
140: 커넥터
141: 제1 포트
142: 제2 포트
100: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110: first flexible cable
111: first depression
112: first protrusion
120: second flexible cable
121: second depression
122: second protrusion
130: holder
131: first slot
132: second slot
133: projection
140: connector
141: first port
142: second port

Claims (6)

제1 피치를 갖는 제1 연성 케이블,
제2 피치를 갖는 제2 연성 케이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과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을 함께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1 포트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제2 포트가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 first flexible cable having a first pitch;
A second flexible cable having a second pitch;
A holder for fixing the first flexible cable and the second flexible cable together; and
A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formed with a first port to which an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is connected and a second port 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함몰부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lexible cable is formed with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a side edge,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formed with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a side edge,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 wherein the holder has protrusions engageable with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respective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이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The protrusion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and the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연성 케이블이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cabl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l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lexible cable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The first slot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slot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은 측면 모서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2 연성 케이블의 단부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제2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돌출부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슬롯에 닿을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 함몰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연성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flexible cable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The second flexible cable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edge,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first flexible cable can pass and a second slot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exible cable can pass through,
The first slot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protrusion,
The second slot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protrusion,
and wherein the protrusions are positioned such that wh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slots, the protrusions engage the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KR1020210146788A 2021-10-29 2021-10-29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2300619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88A KR20230061983A (en) 2021-10-29 2021-10-29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88A KR20230061983A (en) 2021-10-29 2021-10-29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83A true KR20230061983A (en) 2023-05-09

Family

ID=8640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788A KR20230061983A (en) 2021-10-29 2021-10-29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9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20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9699930B2 (en) Electric device system
KR102202564B1 (en) connector
US9685716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US20060166549A1 (en) Wire cover for connectors
KR20070095245A (en) Composite electric connector, holder for composite electric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fluorescent tube, and connection method for fluorescent tube
CN113991347B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JP2009163908A (en) Connector
JP4694466B2 (en) Board connector
US11177589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US7264501B1 (en) Fixing mechanism
KR20180046886A (en) Board connector
KR870005563A (en) Support member for electric parts
JP2006004949A (en) Connector
KR20130055653A (en) Connector
US11297731B2 (en) Assembled air shroud
WO2020085036A1 (en)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061983A (en)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110045691A1 (en) Easily installable network wiring device
KR101121506B1 (en) Reinforcement part for flexible cable and connector for the same
KR10141155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TWI750354B (en) Tool-less cover assembly
EP1469556A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JP6397239B2 (en) Electronic components
JP200128485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pacer for mother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