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0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1209A KR20230061209A KR1020220001822A KR20220001822A KR20230061209A KR 20230061209 A KR20230061209 A KR 20230061209A KR 1020220001822 A KR1020220001822 A KR 1020220001822A KR 20220001822 A KR20220001822 A KR 20220001822A KR 20230061209 A KR20230061209 A KR 202300612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assembly
- link
- protection
- heater
- cooking appli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9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1 frozen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히터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히터가 구비되는 무빙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에 의하면 부품이나 음식물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히터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인 히터의 열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인 조리실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히터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리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이러한 조리기기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 공개번호 제10-2018-0126237호에서와 같은 스팀발생장치를 부가하기도 한다.
또한 미국등록번호 US4303820에 개시된 식품 해동 장치는, 한 쌍의 평면 전극이 제공되며, 전극 중 하나는 냉동 식품을 넣을 수 있도록 움직이게 구성된다. 그리고 부드러운 가열(해동)을 위해 식품에 균일한 에너지를 분배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와트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미국등록번호 US8258440에서는 냉장 또는 냉동 식품의 패키지를 재가열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식품 포장과 전도성 열 전달 접촉을 하며, 재가열 모드에서 식품 포장을 재가열 시간동안 재가열 온도까지 재가열하며, 식품이 재가열 온도에 도달한 후 유지모드에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도 링크 타입의 승강시스템 등은 개시되어 있으나 식품의 해동을 위해 히터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등의 구조로 인하여 히터의 승하강이 정확하지 못하고, 조리기기 내부의 음식물과의 충돌 방지나 히터의 원위치 제어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 내부의 전자파 누출 및 안전사고의 발생 그리고 제품의 파손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터가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인위적으로 이동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하강하는 히터 시스템의 주위를 통한 전자파가 효과적으로 차폐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히터의 원위치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를 하강하는 무빙어셈블리나 히터가 음식물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하강을 멈추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 내부를 상하로 유동하는 히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히터가 음식물에 근접하여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빙어셈블리 또는 히터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히터 또는 조리실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무빙어셈블리가 음식물과 간섭되는 경우에는 이동이 중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히터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 전달을 위해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히터가 구비되는 무빙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감지시스템은,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무빙제어수단과, 상기 무빙제어수단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보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제어수단은,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모터축을 연결하는 연결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커플링은,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스위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스위치와 리드스크류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강제되어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보호레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상기 보호스위치 또는 보호레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연결커플링의 신장 가능 거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레버는, 자체 재질이나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레버는,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추고 다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춘 후, 일정시간 경과후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음식물 접촉을 안내하는 메세지 또는 신호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너트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하더라고 유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히터를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터를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에 가깝게 근접시켜 조리할 수 있으므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모터와 리드스크류 사이에 플렉시블한 연결커플링이 구비된다. 따라서 모터축과 리드스크류 사이의 동심도 오차로 인한 동력손실을 줄이고 회전 동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즉 롤러 타입의 가이드부재가 다수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가 장착된 무빙어셈블리의 상하 이동시 히터하우징과 보호커버 및 고정프레임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부품 손상 및 소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무빙어셈블리에 절연부재가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와 조리기기의 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무빙어셈블리와 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 누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무빙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절연부재의 테두리가 조리실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플레이트와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에서 상승하여 원위치된 경우에는 조리실 내부의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무빙어셈블리의 하강시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이 구비된다. 따라서 음식물과 무빙어셈블리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무빙어셈블리의 하강이 정지되므로 음식물 및 부품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서는 무빙어셈블리 또는 히터가 조리실 상단에 원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히터의 원위치가 정확하게 감지되므로 모터의 과회전에 의한 부품(무빙어셈블리)의 충돌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 상하를 유동하는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상단에 원위치하는 경우에만 마이크로파(microwave)가 작동된다. 따라서 무빙어셈블리와 조리실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 누설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본 발명에서는 차폐수단에 전자파를 가두거나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공진실이 구비된다. 즉 절연부재 또는 보호커버에 전자파를 가두거나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공진실이 구비된다. 따라서 외부로 누설되는 전자파가 효과적을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열째,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커플링으로 플렉시블커플링을 사용하며, 보호스위치를 온(on)시키는 보호레버와 리드스크류의 사이의 간격은 연결커플링이 늘어나는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무빙어셈블리의 하강시 음식물과 간섭되는 경우에도 연결커플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가 제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에서 히터가 하강한 경우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무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퍼플레이트와 보호커버 및 고정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히터하우징과 절연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어셈블리의 지지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와 무빙제어수단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무빙어셈블리가 특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0는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에서 히터가 하강한 경우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정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무빙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유동히터시스템을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퍼플레이트와 보호커버 및 고정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제어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호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히터하우징과 절연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4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무빙어셈블리의 지지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와 무빙제어수단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무빙어셈블리가 특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0는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나 전기오븐 등 다양한 형태의 음식 조리기일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설명을 위해 외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조리기기 내부의 주요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실(12)이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실(12)을 개폐하는 도어(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조리기기의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에는 음식물의 수납이나 인출을 위해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이 개구되면, 음식물 조리시 차폐를 위한 도어(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도어(20)는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하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4)이 구비되어 케이스(1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며, 여기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나 데코 판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의 내부에는 음식물이나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판(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판(3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히터시스템(100)이 구비된다.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은 히터(heater)가 상기 조리실(12) 내부를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는 열기를 발생하는 히터(heater)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heater)는 2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에도 히터(heater)가 구비되어 조리실(12) 상하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동히터시스템(100) 외에도 상기 케이스(10)에 히터(heat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히터(heater)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능 및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 히터(heater)의 원위치 복귀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동히터시스템(100)과 다양한 기능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4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그리고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내부 히터가 하강한 상태의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에는 도 8에 도시된 유동히터시스템(100)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고정어셈블리와 무빙어셈블리 및 링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에는 열기를 발생하는 히터(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히터(210)는 상기 조리실(12)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나 유동히터시스템(100)에는,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기능 및 상기 히터(210)의 원위치 복귀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은, 상기 히터(210)가 장착되어 보호되는 무빙어셈블리(20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200)의 상하 유동을 제어하는 고정어셈블리(300)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어셈블리(40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케이스(10)와 별개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실(12) 내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히터(210)의 측방이 감싸여지도록 구성되어 히터(210)의 열기가 하측으로 집중되고 측방 등으로는 발산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어셈블리(30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무빙제어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어셈블리(40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상측 등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링크(link)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상하단은 각각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와 무빙어셈블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어셈블리(300)는, 상기 조리실(12)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플레이트(310)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고정어셈블리(3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보호커버(320)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33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플레이트(3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실(1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퍼플레이트(310)의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보호커버(32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호커버(320)도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커버(320)의 중앙부에도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홀(hole)이 형성되어 사각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퍼플레이트(310)와 보호커버(320)의 중앙 홀(hole)을 통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보호커버(3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홀(hole)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에는 소정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무빙어셈블리(200)의 히터하우징(220)이 수용되어 상하로 유동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고정프레임(330) 사이에는 고정가이드(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정면에서 볼 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가이드(340)는, 상단은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나 보호커버(3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가이드(340)는 상기 고정프레임(330)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34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나 보호커버(320)에 고정되는 어퍼결합부(344)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340)의 하단인 어퍼결합부(344)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체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34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상측에 2개의 고정가이드(340)가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30)을 지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브라켓(560)이나 리드너트(530) 등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레일(35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 슬라이딩레일(350)이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슬라이딩레일(350)에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브라켓(560)이나 리드너트(530) 등이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측에는 무빙제어수단(500)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은,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510)에서 생성되는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520)와, 상기 리드스크류(520)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너트(530)와,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일단과 모터축을 연결하는 연결커플링(5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510)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정밀한 회전 제어를 위해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는 펄스(Purse) 제어를 통해 회전각에 따라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 운동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예로, 상기 모터(510)로 사용되는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는 분당 회전수가 154.2 RPM(revolution per minute)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펄스입력(pulse input)이 분당 154.2 x 200 Pulses Input(1purse =1.8˚회전, 1회전= 200 purses)가 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가는 원기둥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리드너트(530)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상기 모터(5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드너트(530)가 상기 리드스크류(520)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드스크류(520)(Lead Screw)와 리드너트(530)(Nut)는 순/역방향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510)와 리드스크류(520)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일단과 모터축을 연결하는 연결커플링(5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우측단과 상기 모터(510)의 좌측으로 돌출된 모터축에는 연결커플링(5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커플링(540)은 상기 모터(510)의 축과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축 사이의 동심도 오차에 의한 동력 손실을 줄이고 회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커플링(540)으로는 MST나 MSTS타입의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510)는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브라켓(550)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너트(530)는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브라켓(56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고정가이드(340)에 의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하우징(220)의 이동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의 고정프레임(330)의 상측에는 고정브라켓(550)과 유동브라켓(560)이 각각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550)은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유동브라켓(560)은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브라켓(550)과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셜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레일(350)이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슬라이딩레일(350)에는 상기 유동브라켓(560)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부재(3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레일(350)의 상측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슬라이딩부재(352)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슬라이딩부재(352)의 상면에 상기 유동브라켓(560)이 고정되어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50)에는 상기 모터(510)가 장착되며, 상기 유동브라켓(560)에는 상기 리드너트(53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550)에 장착된 모터(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드너트(530)가 좌우로 유동하게 되므로 결국 유동브라켓(560)이 상기 슬라이딩레일(350)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50)과 유동브라켓(560)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링크(link)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에 구비되는 'X'자 형태의 링크(link) 좌우 상단이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550)과 유동브라켓(560)에 연결되면,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좌우 유동에 따라 'X'자 링크(link)의 좌우 상단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하단에 고정된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의 고정프레임(330) 상측에는 보호브라켓(360)과 위치브라켓(3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브라켓(3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좌측단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상기 히터(210)와 음식물의 간섭 등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감지 기능을 가지는 보호스위치(37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스위치(370)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에 의해 온(on)/오프(off)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스위치(370)는 상기 무빙제어수단(500)과 더불어 아래에서 설명할 음식물감지시스템(375)을 구성한다.
상기 보호스위치(370)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일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과 상기 보호스위치(370)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브라켓(360)에는 보호레버(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스위치(370)와 리드스크류(520)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에 의해 강제되어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보호레버(37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레버(372)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보호레버(372)가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을 눌러 온(on)시키게 된다.
상기 위치브라켓(3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우측단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정위치에 원위치되도록 하거나 원위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스위치(39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320)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3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의 상기 보호커버(320)의 모서리 부근에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부재(322)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하우징(220)이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할 때 보호커버(320)와 간섭되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히터(210)를 감싸 보호하는 히터하우징(220)과,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열이나 전자파를 차단하는 절연부재(2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210)의 열기가 통과 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은,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하우징(220)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네 측면의 두께는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의 틈새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340)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가이드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좌우 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함몰된 가이드홈(222)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홈(222)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할때 상기 고정가이드(340)의 프레임결합부(342)가 수용된다.
상기 절연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측단은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측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연부재(230)의 외관 크기는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측방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한 경우에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보호커버(3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30)의 상면에는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232)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상기 히터(210)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상기 히터(210)는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히터(210) 양단에는 히터브라켓(212)이 구비되어 히터(210)의 장착이나 히터(210)의 전원 공급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내측 하단부에는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단(240)이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단(240)은 상기 다수의 히터(21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단(240)은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하단을 지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단(240)의 상단은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터(210)의 상측에는 히터(210)의 상부를 감싸는 히터커버(2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커버(250)는 상기 히터(210)의 수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어셈블리(400)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단은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어셈블리(400)는 전후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링크(410,420) 및 후방링크(430,44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방링크(410,420)와 후방링크(430,440)의 하단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결합되는 링크프레임(4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링크(410,420)와 후방링크(430,440)의 좌우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에 결합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전방링크(410,420)는 'X'자 형상을 이루는 전방1링크(410)와 전방2링크(420)가 서로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교차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후방링크(430,440)는 'X'자 형상을 이루는 후방1링크(430)와 후방2링크(440)가 서로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교차하도록 결합된다.
서로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하단은 연결링크(4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2링크(420)와 후방2링크(440)의 하단도 연결링크(46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410,420)와 후방링크(430,440)의 좌우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에 결합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하단이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좌반부에는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하단축이 삽입되어 좌우롤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1링크돌기홀(4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프레임(450)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원위치 복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부재(47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부재(470)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부재(470)의 상단은 상기 위치스위치(39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고정어셈블리(300)의 일측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원위치를 감지하는 원위치감지수단과,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조리실(12)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스위치(3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수단은 상기 히터(210)가 구비된 무빙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음식물과 접촉하였는지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호스위치(3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5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일례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5에는 상기 고정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어퍼플레이트(310)와 보호커버(320) 및 고정프레임(33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는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사각홀인 어퍼홀(3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어퍼홀(312)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왕복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홀(312)의 내부 크기는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외관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에는 다수의 초크피스(314)가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테 형상을 가지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내주면에는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다수의 초크피스(314)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어퍼홀(312)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초크피스(314)가 형성되며, 이러한 초크피스(314)는 상기 조리실(12) 내부의 전자파 누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초크피스(314) 사이에는 'U'자 형태(측방이나 전후방에서 볼 경우)의 간격홀(31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초크피스(314)는 등(等)간격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다수의 초크피스(314)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간격홀(314a)이 형성되어 전자파 소멸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초크피스(314)에는 초크홈(314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크홈(31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크피스(314)의 측면으로부터 일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크피스(314)의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된 초크홈(314b)이 형성된다.
상기 초크홈(314b)은 상기 간격홀(314a)과 더불어 상기 조리실(12) 내부의 전자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리실(12)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사용할 경우에 조리실(12)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간격홀(314a)을 통과하거나 초크홈(314b)을 경유하면서 파장이 분산되고 상쇄되어 소멸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보호커버(32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대응되는 사각테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관 테두리의 크기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외관 테두리 크기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320)의 중앙부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홀(312)과 대응되는 보호홀(32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호커버(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외부 테두리보다 내측 테두리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커버(320)는 '┏' 및 '┓'형상의 단면(전후 또는 좌우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호단차부(324)와, 상기 보호단차부(324)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보호하단부(326) 그리고 상기 보호단차부(324)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보호상단부(32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단차부(324)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초크피스(31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의 단면(측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수평단(332)과, 상기 수평단(332)의 전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3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단(332)에는 한 쌍의 링크통과홀(33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링크통과홀(336)은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링크(link)가 통과하는 통로가 된다. 즉 상기 링크통과홀(336)에는 상기 한 쌍의 전방링크(410,420) 및 후방링크(430,440)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거나 통과하게 된다.
도 16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22)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22)는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롤러(322a)와, 상기 롤러(322a)의 회전 중심이 되는 롤러축(322b)과, 상기 롤러(322a) 또는 롤러축(322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322c) 그리고 상기 롤러지지부(322c)의 하단으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320)에 밀착 고정되는 롤러고정단(322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322a)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322a)는 롤러축(32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롤러(322a)와 롤러축(322b)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롤러(322a)와 롤러축(322b)이 고정되거나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지지부(322c)의 상단에 상기 롤러축(322b)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롤러지지부(32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고정단(322d)은 상기 롤러지지부(322c)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롤러지지부(322c)와 수직을 이루거나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롤러고정단(322d)은 상기 보호커버(320)의 보호단차부(324) 상면에 고정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롤러(322a)의 끝단부(내측단)가 상기 보호커버(320)의 보호홀(325) 내부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상기 보호커버(320)와 고정프레임(330)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는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8에는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이 분해사시도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의 리드스크류(52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우측단에는 우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522)가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돌기(522)는 상기 연결커플링(540)의 중앙부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리드너트(5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관통하는 너트부(532)와, 상기 너트부(532)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너트부(532)가 상기 유동브라켓(560)에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고정부(534)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너트(530)의 너트부(532) 내주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크류(520)와 리드너트(530)가 서로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커플링(54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거나 좌우로 일정량의 길이변화(길이의 감축 및 인장)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커플링(540)의 사용은 상기 모터(510)와 리드스크류(520)의 동심도 오차에 의한 동력손실을 줄이고, 회전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능도 있다.
상기 모터(5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리드스크류(52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모터(510)의 모터축(510a)이 상기 연결커플링(540)의 우측단 중앙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19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5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550)은, 적어도 상면은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터(51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모터안착단(552)과, 상기 모터안착단(552)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모터(5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터고정단(554)과, 상기 모터안착단(552)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방링크(410,420)와 후방링크(430,44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체결단(55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안착단(552)의 좌우 끝단에는 볼트 등의 체결도구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550)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고정체결단(55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결단(55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안착단(552)의 높이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고정단(5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모터홀(55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홀(554a)은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모터홀(554a)에는 상기 모터(510)의 모터축(도시되지 않음)이나 연결커플링(540)이 좌우로 관통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링크체결단(556)에는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상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우상링크축(557)이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링크체결단(556) 전면이나 후면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부(556a)가 더 형성되어 강도 보강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에는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브라켓(560)은 저면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352)의 상면에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우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지지단(562)이 우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지지단(562)은 상기 리드너트(530)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리드너트(530)의 하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리드너트(5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중앙부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스크류홈(56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홈(564)은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여기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된 좌상링크축(566)이 형성된다. 상기 좌상링크축(566)은 상기 우상링크축(557)과 더불어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링크(link)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좌상링크축(566)에는 상기 전방2링크(420)와 후방2링크(440)의 상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링크체결단(556)에 형성된 보강부(556a)와 같은 보강부(566a)가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는 상기 보호브라켓(360)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브라켓(360)은, 상하로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호지지부(362)와, 상기 보호지지부(36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호고정단(36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지지부(362)에는 상기 리드스크류(520)와 간섭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음식물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보호스위치(3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보호지지부(362)에는 보호스위치(370)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설치단(36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설치단(366)이 상기 보호지지부(36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보호스위치(370)를 지지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22에는 상기 위치브라켓(380)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브라켓(380)은, 상하로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위치지지부(382)와, 상기 위치지지부(38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위치고정단(38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지지부(382)에는 상기 위치부재(470)와 간섭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원위치에 복귀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스위치(390)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위치지지부(382)에는 위치스위치(39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설치단(38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설치단(386)이 상기 위치지지부(38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위치스위치(390) 등을 지지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브라켓(380)은 상기 고정브라켓(550)과도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위치브라켓(380)의 좌측단에는 브라켓결합단(388)이 상기 위치지지부(382)와 수직을 이루도록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3에는 상기 히터하우징(220)과 절연부재(230)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하우징(220)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바닥면에는 히터망(224)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망(2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하 관통홀(hole)이 형성된 망(網)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히터하우징(22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히터(210)의 복사열이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절연홀(234)이 형성되어 사각테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의 상단으로 원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보호커버(320)와 고정프레임(33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전자판 등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30)의 크기는 상기 어퍼홀(312) 및 보호홀(325)의 내경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각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절연부재(230)의 가로세로의 외관 크기는 상기 어퍼홀(312) 및 보호홀(325) 내경의 가로세로 크기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의 상단에 원위치할 때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가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하여 조리실(12) 내부의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지지단(240)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단(240)은 좌우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히터(210) 등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240)은 상기 히터하우징(220)의 바닥면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바닥지지부(242)와, 상기 바닥지지부(242)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히터(210)를 지지하는 히터안착부(244)와, 상기 바닥지지부(242)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링크연결부(24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연결부(2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안착부(244)의 상하 높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연결부(246)의 상단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링크프레임(450) 저면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히터안착부(244)에는, 상기 히터(210)가 통과하거나 지지되도록 하는 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브라켓(212)이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5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1링크(410)와 전방2링크(420)가 서로 중앙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교차하며, 상기 후방1링크(430)와 후방2링크(440)가 서로 중앙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1링크(410)와 전방2링크(420)의 중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중심축(412)과 링크중심홀(422)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중심축(412)은 상기 전방1링크(410)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중심홀(422)은 상기 전방2링크(42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링크중심축(412)은 상기 전방1링크(410)의 중심부 전면이나 후면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중심홀(422)은 상기 전방2링크(420)의 중앙부에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1링크(410)의 링크중심축(412)이 상기 전방2링크(420)의 링크중심홀(42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1링크(430)와 후방2링크(440)의 중앙부에도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중심축(412)과 링크중심홀(422)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중심축(412)은 상기 후방1링크(430)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중심홀(422)은 상기 후방2링크(44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상단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1링크홀(414)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1링크홀(414)에는 상기 고정브라켓(550)의 우상링크축(557)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방2링크(420)와 후방2링크(440)의 상단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2링크홀(424)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2링크홀(424)에는 상기 유동브라켓(560)의 좌상링크축(566)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하단에는 1링크돌기(416)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1링크돌기(416)는 상기 링크프레임(450)과 연결된다.
상기 전방2링크(420)와 후방2링크(440)의 하단에는 2링크돌기(426)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2링크돌기(426)는 상기 링크프레임(450)과 연결된다.
상기 링크프레임(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454)와, 상기 바닥부(454)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링크연결단(4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연결단(456)에는 상기 전방1링크(410) 및 후방1링크(430)의 하단 그리고, 상기 전방2링크(420) 및 후방2링크(440)의 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연결단(456)의 좌반부에는 상기 전방1링크(410) 및 후방1링크(430)의 하단에 형성되는 1링크돌기(416)가 수용되는 1링크돌기홀(45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1링크돌기홀(4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1링크돌기(416)가 1링크돌기홀(452)에 수용된 상태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1링크돌기홀(452)의 좌우 양단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1링크돌기홈(45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링크돌기홈(452a)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이동한 다음 일시적으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1링크돌기(416)가 일시적으로 머물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연결단(456)의 우반부에는 상기 전방2링크(420) 및 후방2링크(440)의 하단에 형성되는 2링크돌기(426)가 수용되는 2링크돌기홀(458)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2링크돌기(426)는 상기 2링크돌기홀(458)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1링크돌기(416)가 1링크돌기홀(452)에 수용된 상태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전방1링크(410) 및 후방1링크(430)의 하단은 상기 전방2링크(420) 및 후방2링크(440)의 하단으로부터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링크연결단(456)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에서 하강하는 높이는 임의로 설정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나 설계자에 의해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에서 하강하는 높이 또는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시 위치되는 높이는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10)의 회전(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하강하는 히터(210) 또는 히터(210)가 설치되는 무빙어셈블리(200)의 하강 높이는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히터(210) 또는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에서 하강하는 높이는 2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히터(210) 또는 무빙어셈블리(200)가 하강하는 높이를 미리 설정하고, 사용자는 설정된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히터(210) 또는 무빙어셈블리(200)가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여 조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6 및 도 27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가 상기 모터(5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6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와 무빙제어수단(5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에서 특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7(a)는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상단부에 원위치 경우의 링크어셈블리(400)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27(b)는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의 제1위치에 하강한 경우의 링크어셈블리(400)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7(c)는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의 제2위치에 하강한 경우의 링크어셈블리(400)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어셈블리(400)가 동작하면,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의 링크프레임(450)에 결합된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하며, 결국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하여 특정 위치에 도달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7(a)는 상기 각 링크(link)들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이는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의 상단부에 원위치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로 하강한 높이가 0mm인 경우일 수 있다.
도 27(b)는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위치에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로 하강한 높이가 46mm인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에서 하강하면 좀 더 음식물과 가까워져 조리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7(c)는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2위치에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로 하강한 높이가 92mm인 경우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하강 높이는 조리실 내부의 높이보다는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내부의 하단부까지 하강하면 음식물과 더욱 가까워져 조리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여 조리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는 다시 조리실의 상단으로 상승하여 원위치되어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히터(210) 또는 무빙어셈블리(200)의 원위치감지는 원위치감지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는 상기 히터(210) 또는 무빙어셈블리(200)가 원위치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원위치감지수단의 구성과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8에는 원위치감지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9에는 원위치감지수단의 구성과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에는 상기 히터(210)가 원위치에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원위치감지수단(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위치감지수단(395)은,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위치스위치(390)와, 상기 위치스위치(390)의 위치버튼(392)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위치레버(394)와, 상기 히터(21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위치레버(394)를 선택적으로 미는 위치부재(4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스위치(390)는 상기 위치브라켓(38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레버(394)도 상기 위치브라켓(380)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레버(394)가 상기 위치브라켓(380) 외의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위치브라켓(380)에 상기 위치스위치(390)와 상하로 함께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위치부재(47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어셈블리(4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부재(470)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위치스위치(39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위치부재(470)도 상기 링크프레임(450) 외에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등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레버(394)는 자체 재질이나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레버(39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위치레버(394)의 형상에 의해 휨이 발생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거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레버(3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위치레버(394)는, 상기 위치스위치(390)의 위치버튼(392)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는 접촉단(394a)과, 상기 위치부재(470)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간섭부(394b)와, 상기 접촉단(394a)과 간섭부(394b)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394c)와, 상기 위치브라켓(38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394d)와, 상기 고정부(394d)와 간섭부(394b)를 연결하는 결합부(394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단(39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레버(394)의 끝단(도 29에서는 우측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스위치(390)에 구비되는 위치버튼(392)이나 아래에서 설명할 안내레버(392b)를 상측(도 28 및 도 29에서)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394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위치브라켓(38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394e)는 상기 고정부(394d)로부터 일측(도 29에서는 우측 하향)으로 돌출되며, 우측단(도 29에서)은 상기 간섭부(394b)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간섭부(394b)는 상기 위치부재(470)의 상단과 선택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부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위치부재(470)의 상단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394c)는 상기 간섭부(394b)의 우측단으로부터 우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간섭부(394b)와 소정 각도로 벤딩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94c)의 우측단은 좌측단보다 상측(도 29에서)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단(39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94c)의 끝단(도 29에서는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위치버튼(392)이나 안내레버(392b)를 용이하게 위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스위치(390)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스위치(390)에는 하나 이상의 단자(392a)와 위치버튼(39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버튼(392)은 통상 액추에이터(actuator)라 불리는 것으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외력을 받아 그 동작을 내부에 전달하여 스위치를 개폐 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상기 위치스위치(390)에는,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위치버튼(392)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안내레버(39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레버(392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스위치(390)에 안내레버(392b)가 구비되면, 상기 위치레버(394)의 접촉단(394a)은 상기 위치버튼(392)을 직접 가압하지 않고 상기 안내레버(392b)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스위치(390)에 상기 안내레버(392b)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레버(394)가 상기 위치버튼(392)을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스위치(390)에 상기 안내레버(392b)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레버(394)가 상기 안내레버(392b)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안내레버(392b)에 의해 상기 위치버튼(392)이 눌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는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을 구성하는 모터(510)의 회전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의 유동은 상기 위치스위치(390)의 위치버튼(392)이 가압되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 내부로 하강한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히터(21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나 링크어셈블리(400)에 설치된 위치부재(47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부재(470)가 상기 위치레버(394)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위치레버(394)나 안내레버(392b)가 상기 위치버튼(392)을 상측으로 밀어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된다.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되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의 상측 유동은 정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 되는 경우에도,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상측 이동이 소정 시간 더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10)는 상기 위치스위치(390)의 위치버튼(392)이 가압되어 온(on) 된 후에도 일정 시간 더 작동된 후 정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조리실 내부 상면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microwave)파에 의한 요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마이크로파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가 원위치에 정확하게 복귀하여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 된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나 히터(210)가 원위치하는 것이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인데,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로 하강한 상태에서는 무빙어셈블리(200)와 조리실 상면인 상기 어퍼플레이트(3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 상단에 도달하여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절연부재(230)가 서로 접하여 무빙어셈블리(200)와 어퍼플레이트(310) 사이의 틈새가 차폐된 경우에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위치버튼(392)이 눌러져 위치스위치(390)가 온(on) 된 경우에도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소정 거리 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절연부재(230)의 상면 사이의 틈새(G)가 0.5mm에 도달하면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된 이후에도 상기 모터(510)를 추가적으로 29°더 회전하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절연부재(230)의 상면은 완전히 밀착되어 틈새(G)를 통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의 누설이 방지된다.
도면(도 29)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히터(210)가 조리실(12) 내부에서 하강한 경우에는 상기 위치레버(394)의 끝단인 접촉단(394a)은 'A'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위치부재(470)의 상단이 상기 상기 위치레버(394)의 간섭부(394b)를 위로 밀면, 상기 위치레버(394)의 접촉단(394a)은 'B'지점에 도달하여 상기 위치버튼(392)을 누르게 되어 위치스위치(390)가 온(on)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상기 절연부재(230) 상면 사이의 틈새(G)가 0.5mm에 도달하게 되고, 연이어 상기 모터(510)가 추가적으로 29°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위치부재(470)의 상단이 상기 위치레버(394)의 간섭부(394b)를 위로 소정 높이만큼 더 밀게 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절연부재(230) 사이의 틈새(G)는 거의 제로(0)가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버(392b)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레버(394)의 접촉단(394a)은 직접적으로 상기 위치버튼(392)을 누르는 대신 상기 안내레버(392b)를 통하여 위치버튼(392)을 누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 내부의 조리실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구조가 부가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되면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자파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주변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파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도 30 및 도 31에는 상기 케이스(10)와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 누설을 방지하는 차폐수단(26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0에는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1에는 전자파 누설을 차단하는 차폐수단(260)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210)가 조리실 상단부로 원위치한 경우에 조리실 내부의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폐수단(260)이 구비되며, 이러한 차폐수단(260) 상기에서 설명한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수단(260)은, 상기 히터(210) 및 무빙어셈블리(200)가 원위치한 경우에 상기 케이스(10)와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절연부재(2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외측테두리가 무빙어셈블리(20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3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를 측방에서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는 일정 부분이 상하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와 히터(210)가 원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는 상하로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의 중첩으로 인하여 조리실 내부의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폐수단(260)에는 전자파를 가두거나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공진실(262,26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부재(230) 또는 보호커버(320)에는 전자파를 가두거나 서로 상쇄되도록 하는 공진실(262,26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진실(262,264)은 상기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부재(230)와 보호커버(320)에 모두 공진실(262,264)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230)에는 제1공진실(262)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320)에는 제2공진실(26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진실(262)과 제2공진실(264)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주변의 틈새를 통해 통과하는 전자파의 이동 통로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및 히터(210)의 상승시(원위치시)에는,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는 일정 부분이 겹쳐지거나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가 전자파 누설을 차단할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하여 하단부의 상기 절연부재(230) 상면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접하는 경우에만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되어 마이크로파(microwave)에 의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제어되거나, 적어도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가 전자파 누설을 차단할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의 접촉 또는 근접 제어는, 상기 히터(210)가 원위치에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원위치감지수단(39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위치감지수단(395)에 의해 상기 절연부재(230)와 어퍼플레이트(310)의 접촉 또는 근접이 확인된 경우에만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도 3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375)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음식물감지시스템(375)은 상기 케이스(10) 등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감지시스템(375)은 상기에서 설명한 무빙제어수단(500)과 보호스위치(3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식물감지시스템(375)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무빙제어수단(500)과, 상기 무빙제어수단(500)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보호스위치(3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브라켓(360)에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와 보호레버(372)가 장착되며, 상기 보호레버(372)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와 리드스크류(520)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치스위치(390)의 안내레버(392b)와 같은 추가적인 안내레버(374)가 보호스위치(370)에도 더 구비되어 상기 보호버튼(370a)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보호스위치(370)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일단(도 32에서는 좌측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일단(도 32에서는 좌측단)과 상기 보호스위치(370) 또는 보호레버(372)의 이격 거리는, 상기 연결커플링(540)의 신장 가능 거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와 리드스크류(520) 사이에 보호레버(3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호레버(372)와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 사이의 거리(L)는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연결커플링(540)이 좌우로 늘어나는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하측단이 음식물과 간섭되어 상기 연결커플링(540)이 늘어날때 연결커플링(540)의 파손 전에 상기 보호스위치(370)가 온(on)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커플링(540)이 늘어날 수 있는 신장 길이 즉, 상기 연결커플링(540)의 탄성한계 인장변경 한도가 2.5mm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레버(372)와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 사이의 거리(L)는 약 1.7mm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호레버(372)와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 사이의 거리(L)가 상기 연결커플링(540)의 탄성한계 인장변경 한도보다 충분히 작아서 파손 우려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스위치(370) 및 보호레버(372)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스위치(390)와 위치레버(39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스위치(370)에도 보호버튼(370a)과 하나 이상의 단자(37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버튼(370a)도 통상 액추에이터(actuator)라 불리는 것으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외력을 받아 그 동작을 내부에 전달하여 스위치 개폐를 하도록 하는 기구이다.
상기 보호레버(372)도 위치레버(394)와 같이 탄성을 가지며, 상기 보호버튼(370a)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자체 재질이나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단이 보호버튼(370a)에 직접 접하여 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레버(372)도 위치레버(394)와 같이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감지시스템(375)에 의해 음식물과 조리기기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추고 다시 상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춘 후, 일정시간 경과후 상승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이 가압되어 온(on)되면, 음식물 접촉을 안내하는 메세지 또는 신호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송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 내부에서 하강하다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너트(530)는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회전하더라고 유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하측으로 계속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모터(5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계속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스위치(370)를 온(on) 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과 같이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리가 시작되기 전에는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유동히터시스템(100)의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조리실(12)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측으로 올라간 상태이므로,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1링크돌기(416)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1링크돌기홀(452) 좌측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510)의 회전(정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너트(530)가 점차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1링크(410)와 전방2링크(420)의 상단 그리고 상기 후방1링크(430)와 후방2링크(440)의 상단은 점차 근접하게 되므로,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조리실(12)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조리실(12) 내부에서 하강하다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충돌하게 되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으므로, 상기 리드너트(530)는 구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510)가 계속적으로 정회전을 하는 상태에서 상기 리드너트(53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커플링(540)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은 좌측으로 늘어나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520)의 좌측 끝단이 소정 거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드스크류(520)와 인접하게 설치된 보호스위치(370)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510)의 회전은 정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은 물론 상기 연결커플링(540)과 같은 부품의 파손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조리실(12) 내부에서 하강하다가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과 충돌하여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면, 상기 리드너트(530)는 상기 고정브라켓(560)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좌우로 더이상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상기 모터(510)는 계속 정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리드스크류(520)는 좌측(도 32에서)으로 이동하여 리드스크류(520)의 좌측단이 상기 보호레버(372)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보호레버(372)를 좌측으로 밀면, 보호레버(372)의 하단은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을 누르게 되므로 보호스위치(370)가 온(on)된다.
상기 보호스위치(370)가 온(on)되면, 상기 모터(510)의 정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하강이 멈추게 된다.
연이어 상기 모터(510)가 바로 역회전을 하여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510)의 역회전 시점은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스위치(370)가 온(on)되면, 상기 모터(510)의 정회전이 정지된 경우에는 음식물 접촉을 안내하는 메세지 또는 신호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송출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2) 내부로 내려온 상태의 유동히터시스템(10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전방1링크(410)와 후방1링크(430)의 1링크돌기(416)는 상기 링크프레임(450)의 1링크돌기홀(452) 우측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면, 조리실(12) 내부의 음식물에 상기 히터(210)가 근접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조리가 한층 빠르게 진행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하여 원위치하여야 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상승을 위해서는 상기 모터(510)가 역회전을 하도록 제어하여야 하며, 이러한 모터(51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너트(530)가 점차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전방1링크(410)와 전방2링크(420)의 상단 그리고 상기 후방1링크(430)와 후방2링크(440)의 상단은 점차 멀어지게 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는 상기 조리실(1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된다.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상승하여 원위치되었는지의 여부는 상기 위치부재(470)와 위치스위치(390) 등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절연부재(230)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일정 간격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에 구비된 위치부재(470)의 상단이 상기 위치스위치(390)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모터(510)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절연부재(230)의 충돌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절연부재(23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 누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스위치(390)에 의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원위치로 복귀한 경우에만 조리기기의 전자파 이용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12) 내부로 하강한 경우에는 조리기기의 전자파 사용이 차단되므로 전자파 누설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어셈블리(200)가 조리실 내부 상단에 도달하여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절연부재(230)가 서로 접한 경우에만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가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절연부재(230)의 상면 사이의 틈새(G)가 0.5mm에 도달하면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되고, 상기 위치스위치(390)가 온(on)된 이후에도 상기 모터(510)를 추가적으로 더 회전(약 29°)하여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상기 무빙어셈블리(200) 절연부재(230)의 상면이 완전히 밀착된 경우에만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의 동작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의 동작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도 30 및 도 31에서의 화살표와 같이 조리실(12) 내부의 전자파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절연부재(2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흘러가다가 상기 제1공진실(262)에서 1차적으로 상쇄된 다음, 상기 초크피스(314)와 무빙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자파는 상기 초크피스(314)의 초크홈(314b) 또는 간격홀(314a)을 통해 유동하면서 분산되거나 서로 간섭 등에 의해 2차적으로 상쇄되고, 연이어 상기 보호커버(320)의 제2공진실(264)로 유입되어 3차적으로 상쇄된다. 그런 다음 상기 보호커버(320)의 보호상단부(328)와 무빙어셈블리(200)의 히터하우징(2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리실(12) 내부의 전자파는 상기 어퍼플레이트(310)와 절연부재(230) 사이의 틈새, 상기 무빙어셈블리(200)의 히터하우징(220)과 절연부재(230) 및 보호커버(320) 사이의 틈새 및 제1공진실(262)과 제2공진실(264) 등을 거치게 되므로 거의 소멸하여 조리기기 외부로의 누설이 차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스위치(370)와 리드스크류(520) 사이에 보호레버(372)를 설치하여 보호레버(372)가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을 직접적으로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리드스크류(520)가 직접 상기 보호스위치(370)의 보호버튼(370a)을 누르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 케이스
12. 조리실
14. 전면프레임 20. 도어
30. 지지판 100. 유동히터시스템
200. 무빙어셈블리 210. 히터
212. 히터브라켓 220. 히터하우징
222. 가이드홈 224. 히터망
230. 절연부재 232. 안착홈
234. 절연홀 240. 지지단
242. 바닥지지부 244. 히터안착부
246. 링크연결부 250. 히터커버
260. 차폐수단 262. 제1공진실
264. 제2공진실 300. 고정 어셈블리
310. 어퍼플레이트 312. 어퍼홀
314. 초크피스 320. 보호커버
322. 가이드부재 322a. 롤러
322b. 롤러축 322c. 롤러지지부
324. 보호단차부 326. 보호하단부
328. 보호상단부 330. 고정프레임
332. 수평단 334. 수직단
336. 링크통과홀 340. 고정가이드
342. 프레임결합부 344. 어퍼결합부
350. 슬라이딩레일 352. 슬라이딩부재
360. 보호브라켓 362. 보호지지부
364. 보호고정단 366. 보호설치단
370. 보호스위치 372. 보호레버
375. 음식물감지시스템 380. 위치브라켓
382. 위치지지부 384. 위치고정단
386. 위치설치단 388. 브라켓결합단
390. 위치스위치 392. 위치버튼
392b. 안내레버 394. 위치레버
395. 원위치감지수단 400. 링크어셈블리
410. 전방1링크 412. 링크중심축
414. 1링크홀 416. 1링크돌기
420. 전방2링크 422. 링크 중심홀
424. 2링크홀 426. 2링크돌기
430. 후방1링크 440. 후방2링크
450. 링크프레임 452. 1링크돌기홀
452a. 1링크돌기홈 454. 바닥부
456. 링크연결단 458. 2링크돌기홀
460. 연결링크 470. 위치부재
500. 무빙제어수단 510. 모터
520. 리드스크류 522. 삽입돌기
530. 리드너트 532. 너트부
534. 너트고정부 540. 연결 커플링
550. 고정브라켓 552. 모터안착단
554. 모터고정단 554a. 모터홀
556. 링크체결단 556a,566a. 보강부
557. 우상링크축 558. 고정체결단
560. 유동브라켓 562. 너트지지단
564. 스크류홈 566. 좌상링크축
14. 전면프레임 20. 도어
30. 지지판 100. 유동히터시스템
200. 무빙어셈블리 210. 히터
212. 히터브라켓 220. 히터하우징
222. 가이드홈 224. 히터망
230. 절연부재 232. 안착홈
234. 절연홀 240. 지지단
242. 바닥지지부 244. 히터안착부
246. 링크연결부 250. 히터커버
260. 차폐수단 262. 제1공진실
264. 제2공진실 300. 고정 어셈블리
310. 어퍼플레이트 312. 어퍼홀
314. 초크피스 320. 보호커버
322. 가이드부재 322a. 롤러
322b. 롤러축 322c. 롤러지지부
324. 보호단차부 326. 보호하단부
328. 보호상단부 330. 고정프레임
332. 수평단 334. 수직단
336. 링크통과홀 340. 고정가이드
342. 프레임결합부 344. 어퍼결합부
350. 슬라이딩레일 352. 슬라이딩부재
360. 보호브라켓 362. 보호지지부
364. 보호고정단 366. 보호설치단
370. 보호스위치 372. 보호레버
375. 음식물감지시스템 380. 위치브라켓
382. 위치지지부 384. 위치고정단
386. 위치설치단 388. 브라켓결합단
390. 위치스위치 392. 위치버튼
392b. 안내레버 394. 위치레버
395. 원위치감지수단 400. 링크어셈블리
410. 전방1링크 412. 링크중심축
414. 1링크홀 416. 1링크돌기
420. 전방2링크 422. 링크 중심홀
424. 2링크홀 426. 2링크돌기
430. 후방1링크 440. 후방2링크
450. 링크프레임 452. 1링크돌기홀
452a. 1링크돌기홈 454. 바닥부
456. 링크연결단 458. 2링크돌기홀
460. 연결링크 470. 위치부재
500. 무빙제어수단 510. 모터
520. 리드스크류 522. 삽입돌기
530. 리드너트 532. 너트부
534. 너트고정부 540. 연결 커플링
550. 고정브라켓 552. 모터안착단
554. 모터고정단 554a. 모터홀
556. 링크체결단 556a,566a. 보강부
557. 우상링크축 558. 고정체결단
560. 유동브라켓 562. 너트지지단
564. 스크류홈 566. 좌상링크축
Claims (14)
-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히터가 구비되는 무빙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음식물감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감지시스템은,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무빙제어수단과, 상기 무빙제어수단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보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제어수단은,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서 생성되는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너트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모터축을 연결하는 연결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플링은,
플렉시블 커플링(flexible coupling)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스위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스위치와 리드스크류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강제되어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보호레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과 상기 보호스위치 또는 보호레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연결커플링의 신장 가능 거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레버는,
자체 재질이나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레버는,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추고 다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하강을 멈춘 후, 일정시간 경과후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스위치의 보호버튼이 가압되어 온(on)되면, 음식물 접촉을 안내하는 메세지 또는 신호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과 간섭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너트는 상기 리드스크류가 회전하더라고 유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887666.0A EP4426060A1 (en) | 2021-10-28 | 2022-10-27 | Cooking apparatus |
PCT/KR2022/016616 WO2023075471A1 (ko) | 2021-10-28 | 2022-10-27 |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6085 | 2021-10-28 | ||
KR20210146085 | 2021-10-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209A true KR20230061209A (ko) | 2023-05-08 |
Family
ID=863816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823A KR20230061210A (ko) | 2021-10-28 | 2022-01-05 | 조리기기 |
KR1020220001822A KR20230061209A (ko) | 2021-10-28 | 2022-01-05 | 조리기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823A KR20230061210A (ko) | 2021-10-28 | 2022-01-05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30061210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03820A (en) | 1979-12-31 | 1981-12-01 | General Electric Company | Capacitative apparatus for thawing frozen food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
US8258440B2 (en) | 2008-12-08 | 2012-09-04 | Duke Manufacturing Co. | Rethermalizing apparatus |
KR20180126237A (ko) | 2017-05-17 | 2018-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 기기 |
-
2022
- 2022-01-05 KR KR1020220001823A patent/KR20230061210A/ko unknown
- 2022-01-05 KR KR1020220001822A patent/KR20230061209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03820A (en) | 1979-12-31 | 1981-12-01 | General Electric Company | Capacitative apparatus for thawing frozen food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
US8258440B2 (en) | 2008-12-08 | 2012-09-04 | Duke Manufacturing Co. | Rethermalizing apparatus |
KR20180126237A (ko) | 2017-05-17 | 2018-1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210A (ko)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23955B2 (ja) | 調理装置 | |
JP5723957B2 (ja) | 調理装置 | |
EP3680555B1 (en) | Cooking appliance | |
EP3680559A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531060B1 (ko) |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 |
EP3910243B1 (en) | Cooking appliance | |
US20220087473A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2480463B1 (ko)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
KR20230061209A (ko) | 조리기기 | |
KR20230061211A (ko) | 조리기기 | |
CA1145412A (en) | Microwave seal structure in microwave oven | |
EP4426060A1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061212A (ko) | 조리기기 | |
KR20230061213A (ko) | 조리기기 | |
EP4426063A1 (en) | Cooking apparatus | |
EP3680558B1 (en) | Cooking appliance | |
EP4426062A1 (en) | Cooking appliance | |
EP4426064A1 (en) | Cooking apparatus | |
US6828532B2 (en) | Microwave oven with microwave leak control | |
EP4426061A1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30138859A1 (en) | Cooking appliance | |
EP3910242A1 (en) | Cooking device | |
KR20040002166A (ko) | 전자렌지 | |
CN117882493A (zh) | 烹饪设备 | |
CN105972654A (zh) | 蒸汽微波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