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07A - 의료용 조합 자극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조합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007A
KR20230061007A KR1020210145812A KR20210145812A KR20230061007A KR 20230061007 A KR20230061007 A KR 20230061007A KR 1020210145812 A KR1020210145812 A KR 1020210145812A KR 20210145812 A KR20210145812 A KR 20210145812A KR 20230061007 A KR20230061007 A KR 2023006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tips
stimulation
stimulation mo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209B1 (ko
Inventor
권한진
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Priority to KR102021014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2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52Body part for treatment of skin 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7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조합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조작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자극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에 맞춰 설정된 동작조건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뒷면에 복수개의 팁을 보관하는 팁 보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팁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개의 팁이 교환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의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바디부의 외표면에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사용자 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팁의 교환 사용을 통해 하나의 핸드피스를 범용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조합 자극기{MEDICAL COMBINED STIMULATOT}
본 발명은 의료용 조합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초음파 자극 기능, 저온 자극 기능, 저주파 자극 기능을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자극은 주파수 진동에 의한 세포 마찰열로 피부, 근육, 인대, 힘줄, 관절의 혈류순환을 촉진시켜 피부를 치료하고, 저주파 자극은 전기 펄스자극을 통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라는 반복운동으로 피부를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및 저주파 자극은 피부 표면 및 진피속의 콜라겐과 탄성섬유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피부세포를 재생시키는 기능뿐 아니라 세포재생과 혈류증가로 인해 처진 피부를 건강하고 탄력 있게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피부 보호 및 관리에 탁월한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저온 자극은 냉각, 온열 기능을 수행하여 저주파 자극 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열 또는 화상 문제를 해소하며, 더불어 피부미용치료 과정에서 피부에 도포된 약물을 피부 표피 및 진피까지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자극 기능, 저주파 자극 기능, 저온(냉각 또는 온열 포함) 자극 기능은 각각의 독립된 디바이스로 구현되어 단독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는 이들 기능을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도록 일체화시킨 신개념 의료용 조합 자극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3668(2020.06.10)호는 복합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통기홀이 마련된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결합 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이온을 공급하는 헤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를 통해 온열이나 냉열을 피부로 방출하는 열전소자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마련되며 열전소자에 직접 접촉되는 히트 싱크와 본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팬을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부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 상기 헤드에 마련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전면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되는 냉열 또는 온열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헤드측으로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도록 하여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히트 싱크의 방열 구조를 개선하여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복합미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51928(2020.08.31)호는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입수관과 출수관이 통과되는 핸드피스 본체,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이 연결되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캐비티부, 상기 캐비티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온열 또는 냉각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티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자, 상기 도자의 수용공간에 안착되고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진동자, 상기 초음파진동자가 안착된 상기 도자의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초음파진동자를 보호하고 상기 열전소자에 접촉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온열 또는 냉열을 상기 도자에 전달하는 전도체, 및 상기 도자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캐비티부의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온열기능, 냉각기능, 초음파기능에 범용적 사용이 가능한 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3668(2020.06.1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51928(2020.08.3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초음파 자극 기능, 저온 자극 기능, 저주파 자극 기능을 단독적 또는 복합적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의료용 조합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에 복수개의 팁(tip)을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팁을 하나의 핸드피스로 교환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로부터 핸드피스가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조합 자극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의료용 조합 자극기는 전면에 조작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자극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에 맞춰 설정된 동작조건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뒷면에 복수개의 팁을 보관하는 팁 보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팁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개의 팁이 교환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의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바디부의 외표면에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사용자 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초음파 자극모드, 저온 자극모드 및 저주파 자극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자극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상기 조작 패널; 일 측면에 후방을 향해 20 내지 25도 기울어지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핸드피스의 선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으로 인입출되는 상기 핸드피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상기 결합공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거치대; 및 뒷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팁 각각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홈을 포함하는 푸쉬(push)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팁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팁은 직경이 상이한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으로 구성되며 용도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의 바디부에 교체 체결하여 피부의 좁은 부위부터 넓은 부위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 각각은 피부에 닿는 표면에 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의 회전 체결을 위해 단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하로드와 상기 상하로드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는 필요에 따라 초음파 자극 기능, 저온 자극 기능, 저주파 자극 기능을 단독적 또는 복합적으로 선택 및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자극모드를 단독적 또는 복합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피부 증상에 맞게 피부에 적절하게 자극할 수 있어 피부 미용 및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는 본체에 복수개의 팁(tip)을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팁을 하나의 핸드피스로 교환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는 본체로부터 핸드피스가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의 뒷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료용 조합 자극기에서 팁 보관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핸드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핸드피스 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는 핸드피스 바디부에 복수개의 팁이 각각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의 뒷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의료용 조합 자극기에서 팁 보관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료용 조합 자극기(100)는 본체(110)와 핸드피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전면에 조작 패널(111)이 배치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시선 처리를 고려하여 전면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 부위에 조작 패널(111)을 배치시켜 사용자가 조작 패널(11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 패널(111)은 초음파 자극모드, 저온 자극모드 및 저주파 자극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모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자극 모드에 상응하여 핸드피스(130)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 패널(111)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기능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면에 본체(11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조작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12)가 배치되고, 측면에 핸드피스(13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13)가 배치된다.
거치대(113)는 본체(110)의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되 핸드피스(130)의 거치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본체(110)의 후방을 향해 대략 20 내지 25도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치대(115)는 본체(110)의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핸드피스(130)의 선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13)는 일측 상단에 가이드(113a)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공으로 인입출되는 핸드피스(13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0)는 뒷면에 핸드피스(130)의 팁(tip)을 보관할 수 있는 팁 보관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팁 보관부(114)는 푸쉬(push) 서랍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내부에 복수개의 팁(150)을 보관할 수 있다. 팁 보관부(114)는 전면부를 누르면 자동으로 본체(110)로부터 인입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팁 보관부(114)는 복수개의 팁(150) 각각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개의 수납홈(114a)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팁(150)은 용도(피부 부위)별로 또는 자극모드의 종류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팁(150) 각각은 핸드피스(130)의 바디부와 교체 결합되어 핸드피스(130)를 용도별로 또는 자극모드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10)는 뒷면에 전원 플러그가 꽂혀 A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15), 주전원스위치(116) 및 핸드피스 연결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미도시하였지만, 내부에 자극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자극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자극모드에 맞춰 설정된 동작조건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물을 저장하는 탱크 및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130)는 케이블(131)을 통해 본체(110)의 핸드피스 연결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드피스(130)는 바디부에 복수개의 팁(150) 중 선택된 자극모드에 해당하는 팁과 결합하여 선택된 자극모드용 핸드피스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핸드피스(130)는 결합된 팁의 종류에 따라 온열기능, 냉각기능, 초음파기능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개의 팁(150)은 저온(온열 및 냉각) 자극에 상응하는 자극을 출력하는 제1 핸드피스 팁(151), 초음파 자극모드에 상응하는 자극을 출력하는 제2 및 제3 핸드피스 팁(153,155)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핸드피스(130)는 핸드피스 바디부에 복수개의 팁(150) 중 치료 부위에 적합한 팁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핸드피스(130)는 결합된 팁의 종류에 따라 피부의 좁은 범위부터 넓은 범위까지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개의 팁(150)은 다른 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어 피부의 넓은 범위에 사용되는 제1 핸드피스 팁(151), 직경이 좁아 피부의 좁은 범위에 사용되는 제2 및 제3 핸드피스 팁(153,155)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151,153,155)은 선택적으로 핸드피스(130)의 바디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핸드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는 핸드피스 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핸드피스(130)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33)를 포함하고, 바디부(133)의 일측 단부에는 케이블(131)이 인출되어 의료용 조합 자극기(100)의 본체(110)와 연결된다. 핸드피스(130)는 바디부(133)의 타측 단부에 선택된 자극모드 또는 사용 부위에 따라 복수개의 팁(150)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바디부(13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의 손잡이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디부(133)는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드피스(130)는 바디부(133)를 파지한 사용자 손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바디부(133)의 외표면에 미끄럼 방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끄럼 방지부(135)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바디부(133)를 파지한 손과의 마찰력을 높여 파지한 손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핸드피스(130)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33)는 미도시하였지만, 내부에 입수관과 출수관이 통과되고 선단에 캐비티부가 결합되며 캐비티부의 외면에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온열 또는 냉각 동작을 수행하는 열전소자 및 열전소자의 상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33)에는 온열 또는 냉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는 온열과 냉각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 표시하는 LED로 구성할 수 있다.
바디부(133)에는 복수개의 팁(150) 중 하나의 핸드피스 팁이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팁(150)은 용도(타겟 부위)에 맞춰 사용 가능하도록 크기별로 각각 구성되거나 또는 자극모드 종류에 따라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팁(150)은 얼굴용, 복부용 등의 용도에 따라 40mm, 34mm, 20mm 등의 직경이 상이한 팁들로 구성되어 어떤 각도로도 조사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복수개의 팁(150)은 본체(110)의 팁 보관부(114)에 보관되었다가 필요시 꺼내 바디부(133)에 체결된 핸드피스 팁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핸드피스(130)는 팁의 교체를 통해 피부의 좁은 부위부터 넓은 부위까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팁(150) 각각은 도자(1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자(15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자(157)는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자(157)는 피부에 닿는 표면에 음각의 요철(embossing)을 형성하여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드럽고 매끄러운 마사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자(157)는 핸드피스(130)의 바디부(133)에 체결시 저온 자극모드인 경우에 열전소자의 온열 또는 냉열을 전달받아 접촉되는 피부에 전달할 수 있고, 초음파 자극모드인 경우에 초음파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전달받아 접촉되는 피부에 초음파를 가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팁(150) 각각은 바디부(133)와의 회전 체결을 위해 단부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체결부(159)들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59)들은 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하로드(159a)와 상하로드(159a)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로드(159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바디부(133)에는 록킹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체결부(159)들의 상하로드(159a)와 고정로드(159b)를 따라 이동하여 바디부(133)와 핸드피스 팁 사이의 회전 체결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있는 핸드피스 바디부에 복수개의 팁이 각각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핸드피스(130)는 바디부(133)와 복수개의 팁(150) 중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팁(150)은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들(151,153,15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들(151,153,155)은 각각 직경이 다르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부위에 따라 선택하여 바디부(133)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a)의 핸드피스(130)는 복부, 등과 같이 피부의 넓은 부위에 사용할 수 있고, (b)와 (c)는 얼굴과 같이 (a)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의 좁은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들(151,153,155)은 각각 도자(157) 내면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부착시키거나 열전소자를 부착시켜 자극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바디부(133)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용도에 따라 또는 자극모드에 따라 복수의 팁(15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바디부(133)에 체결하여 핸드피스(13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핸드피스 팁의 체결부(159)와 바디부(133)의 록킹돌기를 마주보게 하여 체결한다. 체결부(159)의 상하로드(159a) 및 고정로드(159b)는 회전을 통해 록킹돌기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록킹돌기는 상하로드(159a)에 의해 직선 이동 후 고정로드(159b)에 의해 이동이 고정된다.
사용자는 본체(110)의 조작패널(111)을 조작하여 자극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작패널(111)에서 선택된 자극모드가 초음파 자극모드이면, 본체(110)는 핸드피스(130)에 초음파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는 1㎒~10㎒ 범위의 주파수 변환 및 펄스폭 변환으로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초음파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피부에 더욱 깊이 침투하게 되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피부에 얕게 침투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1㎒의 주파수는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가 표피로부터 1㎝ 깊이까지 침투하고, 3㎒의 주파수는 피부 표피로부터 3㎝ 깊이까지 침투하며, 10㎒의 주파수는 피부 표피로부터 10㎝ 깊이까지 침투할 수 있어 피부의 얕은 깊이부터 깊은 깊이까지 선택적으로 초음파를 침투시킬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단일펄스, 교차펄스 및 다중펄스 등으로 세분화시켜 피부에 초음파를 가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조작패널(111)에서 선택된 자극모드가 저온 자극모드이면, 본체(110)는 핸드피스(130)에 저온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핸드피스(130)는 열전소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온열 또는 냉각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열전소자는 캐비티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수냉식으로 방열하며,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냉열 또는 온열은 전도체를 통해 도자(157)에 전달된다.
초음파 자극모드와 저온 자극모드는 동시에 수행되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합 자극기(100)는 본체에 복수의 핸드피스를 모두 거치해놓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바디부에 팁만 교체하여 복수의 핸드피스와 동일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기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고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료용 조합 자극기
110: 본체
111: 조작패널 112: 전원스위치
113: 거치대 113a: 가이드
114: 팁 보관부 114a: 복수개의 수용홈
115: 전원입력부 116: 주전원스위치
117: 핸드피스 연결부
130: 핸드피스
131: 케이블 133: 바디부
135: 미끄럼 방지부
150: 복수개의 팁(tip)
151: 제1 핸드피스 팁 153: 제2 핸드피스 팁
155: 제3 핸드피스 팁 157: 도자
159: 체결부
159a: 상하로드 159b: 고정로드

Claims (3)

  1. 전면에 조작 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자극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가 선택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에 맞춰 설정된 동작조건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뒷면에 복수개의 팁을 보관하는 팁 보관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의 일측 단부에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팁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개의 팁이 교환 체결되고 상기 본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의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바디부의 외표면에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를 파지한 사용자 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면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초음파 자극모드, 저온 자극모드 및 저주파 자극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자극모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자극모드에 상응하여 상기 핸드피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상기 조작 패널;
    일 측면에 후방을 향해 20 내지 25도 기울어지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핸드피스의 선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으로 인입출되는 상기 핸드피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상기 결합공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거치대; 및
    뒷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팁 각각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홈을 포함하는 푸쉬(push)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팁 보관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팁은
    직경이 상이한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으로 구성되며 용도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의 바디부에 교체 체결하여 상기 핸드피스를 피부의 좁은 부위부터 넓은 부위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핸드피스 팁 각각은
    피부에 닿는 표면에 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의 회전 체결을 위해 단부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하로드와 상기 상하로드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조합 자극기.
KR1020210145812A 2021-10-28 2021-10-28 의료용 조합 자극기 KR10263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12A KR102634209B1 (ko) 2021-10-28 2021-10-28 의료용 조합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12A KR102634209B1 (ko) 2021-10-28 2021-10-28 의료용 조합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07A true KR20230061007A (ko) 2023-05-08
KR102634209B1 KR102634209B1 (ko) 2024-02-07

Family

ID=8638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12A KR102634209B1 (ko) 2021-10-28 2021-10-28 의료용 조합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2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707A (ko) * 2012-11-19 2014-06-11 (주) 프렉코 안면 마사지 장치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20180006680A (ko) * 2016-07-11 2018-01-19 주식회사 지톤그룹 복합 피부 미용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25951A (ko) * 2018-08-31 2020-03-10 김동수 카트리지 보관용 홀더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hifu 장치
KR102123668B1 (ko) 2018-12-26 2020-06-17 박수종 복합미용기기
KR102151928B1 (ko) 2020-01-07 2020-09-04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의료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707A (ko) * 2012-11-19 2014-06-11 (주) 프렉코 안면 마사지 장치
KR101814109B1 (ko) * 2016-07-04 2018-01-02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20180006680A (ko) * 2016-07-11 2018-01-19 주식회사 지톤그룹 복합 피부 미용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25951A (ko) * 2018-08-31 2020-03-10 김동수 카트리지 보관용 홀더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hifu 장치
KR102123668B1 (ko) 2018-12-26 2020-06-17 박수종 복합미용기기
KR102151928B1 (ko) 2020-01-07 2020-09-04 주식회사 울트라브이 의료용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209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0607B2 (en) Portable electronic therapy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123926B1 (ko) 근육 진동 마사지 장치
CN105555245A (zh) 刺激和治疗设备
JP2016512451A5 (ko)
CN111840800A (zh) 利用磁场的便携式刺激治疗装置
KR101629698B1 (ko) 저주파 온열 핸드 마사지기
CN205198723U (zh) 超声波治疗仪
KR102634209B1 (ko) 의료용 조합 자극기
KR20140070707A (ko) 안면 마사지 장치
KR20140036677A (ko) 물리치료용 초음파패드
WO2016010265A1 (ko) 다중 주파수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기
EP3320951B1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and/or cosmetic treatments
JP3196760U (ja) 揉み温灸器
US202301727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issue treatment using powered treatment devices
US20110084054A1 (en) Massage stone warming apparatus
JP2011011040A (ja) ヘアブラシ
KR20090001456U (ko) 착탈식 브러시캡이 결합된 다용도 레이저 조사봉
KR102370845B1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KR102104460B1 (ko) 피부에 고르게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초음파 장치
KR20090094901A (ko) 탈모관리기
CN206730278U (zh) 一种疼痛诊疗装置
CN204562883U (zh) 一种用于艾灸治疗器械的激光艾灸热感应头
US20230200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issue treatment using powered treatment devices
KR20190106407A (ko) 다기능 초음파 물리치료기
KR20020043266A (ko) 바이브레이팅 립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